KR20180078576A -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76A
KR20180078576A KR1020160183475A KR20160183475A KR20180078576A KR 20180078576 A KR20180078576 A KR 20180078576A KR 1020160183475 A KR1020160183475 A KR 1020160183475A KR 20160183475 A KR20160183475 A KR 20160183475A KR 20180078576 A KR20180078576 A KR 20180078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motion information
image frames
electronic devic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782B1 (ko
Inventor
송원석
김낙훈
안병호
윤재무
전학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782B1/ko
Priority to PCT/KR2017/015498 priority patent/WO2018124706A1/ko
Priority to US16/470,692 priority patent/US10863091B2/en
Publication of KR20180078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23258
    • H04N5/2326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2207/005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involving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Motion Effect of an Electronic Device in an Imag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카메라는 촬영자의 손떨림 등에 의한 움직임을,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방식 또는 DIS(digital image stabilization)방식으로 보정한다.
OIS는 물리적인 방식으로 카메라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움직여 움직임을 보정하며, DIS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획득한 움직임 정보 등에 기반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보정하는 데 유리하다.
최근의 카메라는 개선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OIS 기능과 DIS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가 높은 주파수의 움직임 보정에 유리한 OIS와 낮은 주파수의 움직임 보정에 유리한 DIS 모두를 사용하는 경우, OIS에 의해 보정된 높은 주파수 움직임의 정보가 DIS의 보정에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주파수의 움직임은 과보정될 수 있다.
OIS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여 DIS 보정에 사용한다면, 이미지가 과보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OIS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OIS의 움직임 정보 없이 OIS 보정된 이미지를 DIS로 보정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카메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매체는, 상기 명령어들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OIS 기능에 기반하여 보정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획득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움직임 벡터에 제1 LPF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OIS 움직임에 대한 정보 없이 OIS 보정된 이미지를 DIS로 더 보정하여 보다 개선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움직임이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움직임 정보 및 제4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정된 움직임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움직임 정보 및 제4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움직임 정보, 제4 움직임 정보 및 제6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예: 전자 장치(801, 901))는 카메라(110), 센서(120), 디스플레이(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위 구성 요소들 중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혹은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같은 구성이 전자 장치(1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10)(예: 카메라 모듈(291))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110)는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OIS unit,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nit)(111)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는 카메라(110)의 흔들림에 대응하여 카메라(110)의 렌즈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임으로써,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는 물리적으로 흔들림을 보정하므로, 높은 주파수의 흔들림을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센서(120)(예: 센서 모듈(940))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120)는 카메라(110)가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동안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120)는 모션 센서일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예: 자이로 센서(940B), 가속도 센서(940E)) 및 관성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20)는 카메라(110)에 내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예: 디스플레이(860, 960))는 프로세서(14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되지 않고,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예: 프로세서(820, 910))는 카메라(110) 및 센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 장치(100)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AP(application processor)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의 SoC(System on Chip) 내에 구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연산 코어(processing core)에 해당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100)에서 프로세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가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움직임이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면,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카메라(110)의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를 이용하여 광학식으로 움직임이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왼쪽으로 카메라(110)의 이미지 센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동작 202에서,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면, 센서(12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동안 센서(120)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예를 들어, 자이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움직임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motion vector)일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서술하는 움직임 정보들은 움직임 벡터일 수 있다.
동작 203에서, 프로세서(140)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는 LPF(low pass filter)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 정보에 제1 LPF(low pass filter)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가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은 광학식으로 높은 주파수의 움직임이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센서(120)를 이용하여 획득한 제1 움직임 정보는 낮은 주파수의 움직임 정보뿐만 아니라 높은 주파수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가 제1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경우, 이미지 프레임에 대한 높은 주파수의 움직임은 과보정(overcompensation)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 정보에 LPF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3 움직임 정보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생성된 움직임 정보이다.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은 광학식 움직임 보정이 된 이미지 프레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 및 제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가중치에 기반하여, 제1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LPF로 IIR 필터(in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은 제1 이미지 프레임 및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이전 이미지 프레임인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고 제1 가중치가 적용된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고 제2 가중치가 적용된 제2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의 합은 1일 수 있고, 제2 가중치의 값이 커질수록 IIR 필터로 구현되는 LPF 필터의 통과대역은 좁아질 수 있다.
이러한 IIR 필터로 구현되는 LPF는 다음의 수학식 1로 나타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igure pat00002
는 제1 움직임정보,
Figure pat00003
는 제2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04
는 제1 가중치,
Figure pat00005
는 제2 가중치, 상기
Figure pat00006
은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이다.)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는 광학 움직임 보정부(111)의 최대 보정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광학 움직임 보정부(111)의 최대 보정치가 클수록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이 보정된 정도가 높으므로, 제2 가중치의 값이 크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가 센서(120)를 이용하여 획득한 움직임 정보에 기반한 제1 움직임 정보와 카메라(110)가 획득한 이미지 프레임에 기반한 움직임 정보인 제3 움직임 정보는 대부분의 구간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제1 움직임 정보는 보정되지 않은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제3 움직임 정보는 광학식 움직임 보정이 된 이미지 프레임을 기반으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2 움직임 정보와 제3 움직임 정보의 유사도는 제1 움직임 정보와 제3 움직임 정보의 유사도보다 높다. 제2 움직임 정보는 제1 움직임 정보에 LPF를 적용한 것이고, LPF는 OIS와 마찬가지로 높은 주파수 영역의 움직임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동작 204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DIS(digital image stabilization)를 수행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DIS를 수행하여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하나의 스틸 이미지(a single still image)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DIS를 수행하여 연속되는 2 이상의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205에서,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30) 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시간 영역에 비해 110ms 부근에서 제2 움직임 정보와 제3 움직임 정보의 변위 차이가 매우 크다. 이는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의 물리적 한계에 의해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보상하기 위해 이미지 기반의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01에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3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401은 동작 203에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광학식 움직임 보정이 된 이미지 프레임을 기반으로 제3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 내에서 엣지(edge) 등 검출이 용이한 특징(feature)에 기반하여 제3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402에서, 제2 움직임 정보와 제3 움직임 정보가 제1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동작 204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조건은 제2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차이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동작 402에서, 제2 움직임 정보와 제3 움직임 정보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4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403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3 가중치가 적용된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4 가중치가 적용된 제3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4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가중치와 제4 가중치의 합은 1일 수 있고, 제4 가중치의 값이 커질수록 제4 움직임 정보에 이미지 기반의 움직임 정보가 더 많이 포함된다.
제4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다음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7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8
는 제2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09
는 제3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10
은 제4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11
는 제3 가중치
Figure pat00012
는 제4 가중치, 상기
Figure pat00013
은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이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움직임 정보 및 제4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조건의 제1 임계값은 3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110ms 부근에서 제2 움직임 정보와 제3 움직임 정보의 변위 차이는 3을 초과하므로 제1 조건이 만족된다. 제1 조건이 만족되므로 프로세서(140)는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3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4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110ms 부근에서 제3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과 큰 차이를 나타내는 제2 움직임 정보와 달리, 제4 움직임 정보는 전 시간 영역에서 제3 움직임 정보와 제1 임계값 이하의 차이를 갖는다.
동작 404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생성된 제4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404는 전술한 동작 204에 대응되는 동작으로써, 제4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 205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4 움직임 정보는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하므로,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에 오류가 있다면 이미지 보정에도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정지한 상태에서 이미지 프레임 내 객체가 움직이는 경우, 제3 움직임 정보가 발생할 수 있다. 연속된 프레임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은, 카메라의 움직임이나 사용자의 손떨림 외에, 피사체 자체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움직임 정보는 실제의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과 다른 오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의 움직임을 고려한 OIS/DIS 보정 외에, 피사체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에 발생한 오류를 보상하기 위해 가상의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추정된 움직임 정보에 더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403 후 동작 601에서, 제3 움직임 정보와 제4 움직임 정보가 제2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4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는 동작 404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이미지 기반 움직임 정보에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조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조건은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제4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차이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고,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제4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비율이 미리 정의된 범위(예를 들어, (제3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 값)/(제4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 값) > 기 설정된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동작 601에서, 제3 움직임 정보와 제4 움직임 정보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 정보에 동작 203의 제1 LPF보다 넓은 통과 대역을 갖는 제2 LPF를 적용하여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602를 수행할 수 있다.
제5 움직임 정보는 이미지 프레임에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에 의한 움직임 보정이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 움직임 정보이다.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111)는 높은 주파수 영역의 움직임을 제거하므로,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 정보에 LPF를 적용하여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5 가중치 및 제5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6 가중치에 기반하여, 제1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LPF로 IIR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은 제1 이미지 프레임 및 제1 이미지 프레임의 이전 이미지 프레임인 제2 이미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고 제5 가중치가 적용된 제1 움직임 정보 및 제2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고 제6 가중치가 적용된 제5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1 이미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IIR 필터로 구현되는 LPF는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수학식 3에서,
Figure pat00015
는 제1 움직임정보,
Figure pat00016
는 제5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17
는 제5 가중치,
Figure pat00018
는 제6 가중치, 상기
Figure pat00019
은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이다.)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5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6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40)는 제7 가중치가 적용된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8 가중치가 적용된 제5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6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7 가중치와 제8 가중치의 합은 1일 수 있다.
제6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다음의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20
(수학식 4에서,
Figure pat00021
는 제2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22
는 제5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23
는 제6 움직임 정보,
Figure pat00024
는 제7 가중치,
Figure pat00025
는 제8 가중치, 상기
Figure pat00026
은 이미지 프레임의 번호이다.)
도 7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움직임 정보 및 제4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움직임 정보, 제4 움직임 정보 및 제6 움직임 정보를 시간에 따른 변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조건의 제1 임계값은 5이고, 제2 조건의 미리 정의된 범위는 (제3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 값)/(제4 움직임 정보의 움직임 값)이 1.3을 초과하는 것일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50ms 부근에서 제3 움직임 정보와 제4 움직임 정보의 변위 차이는 5를 초과한다. 그리고 제4 움직임 정보의 변위는 20보다 작지만, 제3 움직임 정보의 변위는 30을 초과한다. 제2 조건이 만족되므로 프로세서(140)는 제1 움직임 정보에 제2 LPF를 적용하여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제2 움직임 정보 및 제5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6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50ms 부근에서 제6 움직임 정보의 변위는 제4 움직임 정보의 변위보다 작다.
동작 604에서,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제6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604는 전술한 동작 204에 대응되는 동작으로써, 제6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전자 장치(100)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 205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전자 장치(801),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6)가 네트워크(862) 또는 근거리 통신(864)을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버스(810), 프로세서(820), 메모리(830), 입출력 인터페이스(850), 디스플레이(860), 및 통신 인터페이스(8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8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810)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810-8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8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8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840)은, 예를 들면, 커널(841), 미들웨어(8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8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8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841), 미들웨어(843), 또는 API(8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 (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8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843), API(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810), 프로세서(820), 또는 메모리(8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841)은 미들웨어(843), API(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에서 전자 장치(8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843)는, 예를 들면, API(8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이 커널(8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8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8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8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810), 프로세서(820), 또는 메모리(8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843)는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8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847)이 커널(841) 또는 미들웨어(8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8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850)는 전자 장치(8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801)와 외부 장치(예: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8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8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864)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864)는,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또는 GN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ST는 전자기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고, 상기 펄스는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상기 자기장 신호를 POS(point of sales)에 전송하고, POS는 MST 리더(MST reader)를 이용하여 상기 자기장 신호는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8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802) 및 제2 전자 장치(804) 각각은 전자 장치(8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806)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8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또는 서버(8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8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01)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8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9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910), 통신 모듈(920), 가입자 식별 모듈(924), 메모리(930), 센서 모듈(940), 입력 장치(950), 디스플레이(960), 인터페이스(970), 오디오 모듈(980), 카메라 모듈(991), 전력 관리 모듈(995), 배터리(996), 인디케이터(997), 및 모터(9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9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9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9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91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920)은, 도 8의 통신 인터페이스(8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9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921), Wi-Fi 모듈(922), 블루투스 모듈(923), GNSS 모듈(924)(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925), MST 모듈(926), 및 RF(radio frequency) 모듈(927)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9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929)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9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21)은 프로세서(9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922), 블루투스 모듈(923), GNSS 모듈(924), NFC 모듈(925), 또는 MST 모듈(926)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21), Wi-Fi 모듈(922), 블루투스 모듈(923), GNSS 모듈(924), NFC 모듈(925), 또는 MST 모듈(926)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C(integrated chip)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927)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927)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921), Wi-Fi 모듈(922), 블루투스 모듈(923), GNSS 모듈(924), NFC 모듈(925), MST 모듈(926)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929)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 (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30)(예: 메모리(8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932) 또는 외장 메모리(9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9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마스크(mask) ROM, 플래시(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낸드플래시(NAND flash) 또는 노아플래시(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SSD(solid state dri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9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9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901)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안 모듈(936)은 메모리(930)보다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은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모듈로써, 안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된 실행 환경을 보장해주는 회로일 수 있다. 보안 모듈(936)은 별도의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936)은, 예를 들면, 탈착 가능한 스마트 칩, SD(secure digital) 카드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901)의 고정 칩 내에 내장된 내장형 보안 요소(embedded secure element(eS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모듈(936)은 전자 장치(901)의 운영 체제(OS)와 다른 운영 체제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안 모듈(936)은 JCOP(java card open platform)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센서 모듈(9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9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9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940A), 자이로 센서(940B), 기압 센서(940C), 마그네틱 센서(940D), 가속도 센서(940E), 그립 센서(940F), 근접 센서(940G), 컬러 센서(940H)(예: RGB 센서), 생체 센서(940I), 온/습도 센서(940J), 조도 센서(9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9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9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9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901)는 프로세서(9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9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9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9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9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9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954), 키(key)(9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9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9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9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9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9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9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958)는 마이크(예: 마이크(9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60)(예: 디스플레이(860))는 패널(962), 홀로그램 장치(964), 또는 프로젝터(966)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962)은, 도 8의 디스플레이(8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9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962)은 터치 패널(9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9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9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960)는 패널(962), 홀로그램 장치(964), 또는 프로젝터(9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0)는, 예를 들면, HDMI(972), USB(9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976), 또는 D-sub(D-subminiature)(978)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970)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8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9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 카드/MMC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9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980)은, 예를 들면, 스피커(982), 리시버(984), 이어폰(986), 또는 마이크(9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9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9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9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9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9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997)는 전자 장치(901) 혹은 그 일부(예: 프로세서(9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9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901)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1010)(예: 프로그램(8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OS)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Android, iOS, Windows, Symbian, 또는 Tizen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010)은 커널(1020), 미들웨어(1030), API(10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10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0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서버(806) 등)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
커널(1020)(예: 커널(8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021) 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10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021)는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1021)는 프로세스 관리부, 메모리 관리부, 또는 파일 시스템 관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102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030)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0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10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1060)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0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030)(예: 미들웨어(843))은 런타임 라이브러리(10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10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10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10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10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10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10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10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10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10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10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1051),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1052), 또는 결제 매니저(10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0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0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10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104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0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10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1043)는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1044)는 어플리케이션(10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10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1046)은 어플리케이션(10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1047)은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1048)은,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10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1050)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1051)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10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1030)는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03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기능의 조합을 형성하는 미들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030)는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030)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1060)(예: API(845))은,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Android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0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847))은, 예를 들면, 홈(1071), 다이얼러(1072), SMS/MMS(1073), IM(instant message)(1074), 브라우저(1075), 카메라(1076), 알람(1077), 컨택트(1078), 음성 다이얼(1079), 이메일(1080), 달력(1081), 미디어 플레이어(1082), 앨범(1083), 또는 시계(1084),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07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8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설명의 편의상,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온/턴-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 등)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070)은 외부 전자 장치의 속성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의료 기기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070)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802), 제2 전자 장치(804)), 및 서버(806)) 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070)은 프리로드 어플리케이션(preloaded application) 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제3자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1010)의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운영 체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10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0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9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1010)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830)이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카메라;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대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다른 일부 움직임이 상기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에서 보정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3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3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차이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인, 전자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3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3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4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4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4 움직임 정보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상기 제1 LPF보다 넓은 통과 대역을 갖는 제2 LPF를 적용하여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제5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6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6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상기 제4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차이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상기 제4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비율이 미리 정의된 범위에 해당하는 것인,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카메라에 내장되는, 전자 장치.
  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 중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과 관련된 제1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해 지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상기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저장 매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의 적어도 일부로,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다른 일부 움직임이 광학식 움직임 보정부에서 보정된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획득하는, 전자 매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가중치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저장 매체.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제3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3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저장 매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차이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인, 저장 매체.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3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제3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4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4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와 상기 제4 움직임 정보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움직임 정보에 상기 제1 LPF보다 넓은 통과 대역을 갖는 제2 LPF를 적용하여 제5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움직 및
    상기 제2 움직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제5 움직임 정보를 합성하여 제6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더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일부 이미지 프레임들로부터 상기 생성된 제6 움직임 정보에 적어도 더 기반하여 상기 움직임 중 적어도 일부 움직임이 보정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생성하는, 저장 매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상기 제4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차이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3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과 상기 제4 움직임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의 비율이 미리 정의된 범위에 해당하는 것인, 저장 매체.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OIS 기능에 기반하여 보정된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이 획득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모션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움직임 벡터에 제1 LPF를 적용하여 제2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에 기반하여 제3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와 상기 생성된 제3 움직임 벡터의 차이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제3 움직임 벡터를 합성하여 제4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4 움직임 벡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3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4 움직임 벡터의 차이가 제2 임계값을 초과하고, 상기 제3 움직임 벡터와 상기 제4 움직임 벡터의 비율이 미리 정의된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움직임 벡터에 상기 제1 LPF보다 넓은 통과 대역을 갖는 제2 LPF를 적용하여 제5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움직임 벡터 및 상기 생성된 제5 움직임 벡터를 합성하여 제6 움직임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6 움직임 벡터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정된 이미지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KR1020160183475A 2016-12-30 2016-12-30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60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75A KR102608782B1 (ko) 2016-12-30 2016-12-30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CT/KR2017/015498 WO2018124706A1 (ko) 2016-12-30 2017-12-26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6/470,692 US10863091B2 (en) 2016-12-30 2017-12-26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influence of movements of electronic device on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75A KR102608782B1 (ko) 2016-12-30 2016-12-30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76A true KR20180078576A (ko) 2018-07-10
KR102608782B1 KR102608782B1 (ko) 2023-12-04

Family

ID=6271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475A KR102608782B1 (ko) 2016-12-30 2016-12-30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63091B2 (ko)
KR (1) KR102608782B1 (ko)
WO (1) WO2018124706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09A (ko) * 2018-10-30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812720B2 (en) 2018-10-10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tabilization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cameras
WO2021182759A1 (ko) * 2020-03-12 2021-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363199B2 (en) 2018-02-07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tion
US11436760B2 (en) 2018-12-19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reducing image blur
WO2022240183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와 모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743568B2 (en) 2020-09-07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015A1 (ja) * 2019-02-20 2020-08-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ぶれ補正装置、撮像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443A (ja) * 2011-12-27 2013-07-0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134428A (ko) * 2015-05-13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9172B2 (ja) 2007-12-19 2013-08-07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手振れ補正制御回路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撮像装置
KR101603213B1 (ko) 2010-02-12 2016-03-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6581352B2 (ja) 2014-03-05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レンズ装置、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6478504B2 (ja) * 2014-07-16 2019-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05118B1 (ko) 2015-02-11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안정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5443A (ja) * 2011-12-27 2013-07-08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60134428A (ko) * 2015-05-13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3199B2 (en) 2018-02-07 202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optical image stabilization motion
US10812720B2 (en) 2018-10-10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tabilization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cameras
US11218636B2 (en) 2018-10-10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tabilization for electronic devices such as cameras
KR20200048609A (ko) * 2018-10-30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924550B2 (en) 2018-10-30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b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1436760B2 (en) 2018-12-19 202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reducing image blur
WO2021182759A1 (ko) * 2020-03-12 2021-09-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11743568B2 (en) 2020-09-07 2023-08-29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WO2022240183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와 모션 데이터를 포함하는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706A1 (ko) 2018-07-05
US20200221031A1 (en) 2020-07-09
KR102608782B1 (ko) 2023-12-04
US10863091B2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8782B1 (ko) 이미지에서 전자 장치의 흔들림 영향을 보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05242A (ko)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70083439A (ko) 전자 장치의 센서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7000906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US20190324279A1 (en)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device, which are controlled on basis of user gaze and input
KR20160114930A (ko) 모듈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9615A (ko) 전자 기기의 해상도 조정 방법 및 장치
US108530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464280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00214650A1 (en)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2160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tuator by utilizing same
KR2017009811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밝기 제어 방법
KR20170098106A (ko)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931322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6010424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자이로 센서 칼리브레이션 방법
KR20170081903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73188A (ko) 전자장치 및 이를 활용한 웹 페이지 표시 방법
KR20180038789A (ko) 케이스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31471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속도 측정 방법
KR2017010586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80013564A (ko) 카메라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8735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56345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034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카메라 노출 조정 방법
US20160092843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