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406A -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 Google Patents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406A
KR20180077406A KR1020160181598A KR20160181598A KR20180077406A KR 20180077406 A KR20180077406 A KR 20180077406A KR 1020160181598 A KR1020160181598 A KR 1020160181598A KR 20160181598 A KR20160181598 A KR 20160181598A KR 20180077406 A KR20180077406 A KR 2018007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ansparent electrode
lenticular lens
lay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6964B1 (ko
Inventor
이영복
전욱
김성우
허태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9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1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다중 시청 영역을 구현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은, 하부 필름, 하부 투명 전극, 상부 필름, 상부 투명 전극, 상부 배향막, 렌티큘러 렌즈층, 액정 층, 측부 실, 패드 오픈 패턴을 포함한다. 하부 투명 전극은, 하부 필름의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다. 상부 투명 전극은, 상부 필름의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다. 상부 배향막은, 상부 투명 전극 위에 도포된다. 렌티큘러 렌즈층은, 하부 투명 전극 위에 배치된다. 액정 층은, 렌티큘러 렌즈층과 상부 배향막 사이에 배치된다. 측부 실은,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 사이의 테두리를 밀봉한다. 패드 오픈 패턴은, 측부 실 외부로 연장된 하부 투명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렌티큘러 렌즈층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Flim Type Lens Cell For Autostereoscopic 3-Dimensional Display}
본 발명은 다중 시청 영역(혹은, 멀티-뷰; Multi-View)을 구현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필름형 렌즈 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패드부에 개방 패턴을 구비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표시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에 입체 영상을 재현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누구나 어디에서든지 입체(혹은, 3D)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란 "인위적으로 입체 영상을 재생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사람이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끼는 이유는, 눈이 가로 방향으로 65mm 떨어져 있음으로 하여 나타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 때문이다. 사람의 눈은 양안 시차 때문에 똑같은 사물을 바라보더라도 각각 약간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영상을 보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융합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입체 영상 표시장치는, 양안 시차의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2차원 표시장치에서 좌안 및 우안 영상 2개를 모두 표시하고, 좌안과 우안에 정확하게 보내는 설계를 통해 가상적인 입체감을 만들어 낸다. 양안 시차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이 각각 개발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무안경 방식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고, 각각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여 좌안과 우안에 나누어 제공한다. 무안경 방식은 다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그리고 인테그럴 포토그래피(integral photography)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은 표시 패널 전면에 세로 격자 모양의 개구부(aperture)를 설치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한다. 렌티큘러 렌즈 방식은 반원통형 렌즈가 연속으로 배열된 렌즈 필름을 표시 패널의 전면에 부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한다. 인테그럴 포토그래피 방식은 잠자리 눈 모양의 렌즈판을 이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제공한다.
렌티큘러 렌즈 방식의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렌티큘러 렌즈를 능동적으로 2D 모드와 3D 모드 사이를 전환하도록 하기 위해서 스위쳐블 렌즈 셀로 구현할 수 있다. 스위쳐블 렌즈 셀은 전압 인가 여부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기능이 온(On)되거나, 오프(Off)되는 광학 소자이다. 스위쳐블 렌즈 셀을 이용하여 렌티큘러 렌즈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정 렌즈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외부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여야 한다. 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적 신호를 원활하게 인가하기 위한 구조적인 특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패드부에 개방 패턴을 구비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후속 공정 없이 패드부를 개방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은, 하부 필름, 하부 투명 전극, 상부 필름, 상부 투명 전극, 상부 배향막, 렌티큘러 렌즈층, 액정 층, 측부 실, 패드 오픈 패턴을 포함한다. 하부 투명 전극은, 하부 필름의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다. 상부 투명 전극은, 상부 필름의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다. 상부 배향막은, 상부 투명 전극 위에 도포된다. 렌티큘러 렌즈층은, 하부 투명 전극 위에 배치된다. 액정 층은, 렌티큘러 렌즈층과 상부 배향막 사이에 배치된다. 측부 실은, 하부 필름과 상부 필름 사이의 테두리를 밀봉한다. 패드 오픈 패턴은, 측부 실 외부로 연장된 하부 투명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렌티큘러 렌즈층에 배치된다.
일례로, 렌티큘러 렌즈층은 반원통형을 갖는 다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들이 연속하여 배치된다. 렌티큘러 렌즈층의 상부 표면이 상부 배향막과 맞닿아 합착된다.
일례로, 패드 오픈 패턴은, 다수 개의 사각 형상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일례로, 패드 오픈 패턴은, 일정 길이를 갖는 선분 형상들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일례로, 패드 오픈 패턴은, 다수 개가 일정 영역 내에 분포되어 있다. 각 패드 오픈 패턴들 사이에는 렌즈 잔여 패턴이 배치되어 있다.
일례로, 패드 오픈 패턴은, 렌티큘러 렌즈층의 적어도 일측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패드부 일부가 노출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을 제공한다. 따라서, 별도의 후속 공정 없이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패드부를 노출할 수 있다. 패드부를 노출하기 위한 후속 공정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패드부 노출 공정에 따른 패드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패드부를 노출하는 패드 오픈 패턴은 렌즈 시트의 일측변에서 일부의 전극을 개방한다. 따라서, 노출된 전극의 부식이나, 손상이 확산되어 전극 전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렌즈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렌즈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제1 실시 예>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Film type Lens Cell)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LCM)은, 하부 필름(FL), 상부 필름(FU), 하부 투명전극(EL), 상부 투명 전극(EU), 렌티큘러 렌즈층(LN), 액정 층(LC), 상부 배향막(AU) 및 측부 실(SE)을 포함한다. 필름형 렌즈 셀(LCM)의 일측 단부에는 하부 투명 전극(EL)에서 측부 실(SE) 외부로 연장된 렌즈 패드 단자(LPD)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렌즈 패드 단자(LPD)는 필름형 인쇄 회로 기판(FPC)과 연결될 수 있다. 필름형 인쇄 회로 기판(FPC)은 외부 장치(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렌즈 패드(LPC)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y Conductive Film)과 같은 도전 연결 필름(ACF)을 이용하여 필름형 인쇄 회로 기판(FPC)에 형성된 패드 단자(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필름형 렌즈 셀(LCM)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하부 필름(FL)의 상부 표면 전체에는 ITO(Indium Tin Oxide) 혹은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든 하부 투명 전극(EL)이 도포되어 있다. 하부 투명 전극(EL) 위에는 렌티큘러 렌즈층(LN)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렌티큘러 렌즈층(LN)에는 반 원통형의 렌즈들이 일정 기울임 각도를 갖고 연속하여 배열되어 있다.
상부 필름(FU)의 하부 표면 전체에는 상부 투명 전극(EU)이 도포되어 있다. 상부 투명 전극(EU) 위에는 상부 배향막(AU)이 도포되어 있다. 상부 필름(FU)의 하부 표면과 하부 필름(FL)의 상부 표면은 서로 대향하여 면 합착되어 있다. 특히, 상부 필름(FU)의 상부 투명 전극(EU)의 표면이 렌티큘러 렌즈층(LN)의 최상위 표면과 맞닿도록 합착된다. 렌티큘러 렌즈층(LN)과 상부 투명 전극(EU) 사이에는 액정층(LC)이 채워져 있다. 합착된 상부 필름(FU)과 하부 필름(FL)의 테두리에는 측부 실(SE)로 밀봉되어 있다. 측부 실(SE)은 그 내부에 채워진 액정 층(LC)의 액정 물질들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부 필름(FU)의 하부 표면에 배치된 상부 배향막(AU)은 액정 층(LC)의 초기 배향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배향 무늬(혹은, 배향 패턴)가 새겨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액정 층(LC)과 접촉하는 렌티큘러 렌즈층(LN)의 겉 표면에도 배향 무늬가 새겨져 있을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층(LN)의 배향 무늬와 상부 배향막(AU)의 배향 무늬는 액정층(LC)의 배열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액정 층(LC)은 굴절율 이방성 물질로서, 액정 분자의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굴절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액정 층(LC)은 장축방향 굴절율(ne)와 단축방향 굴절율(no)를 갖는다. 여기서, 액정 층(LC)의 장축방향 굴절율(ne)와 렌티큘러 렌즈층(LN)의 굴절율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축방향 굴절율(no)은 장축방향 굴절율(ne)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투명 전극(EU)과 하부 투명 전극(EL) 사이에 전위차에 따라, 액정 층(LC)이 구동된다.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LCM)의 구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LCM)의 구동 방식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예를 들어, 전위차가 0V이면, 초기 배향상태를 유지하여, 액정 층(LC)의 장축 방향이 필름형 렌즈 셀(LCM)의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액정 층(LC)의 액정 분자들의 장축이 렌티큘러 렌즈(LN)의 배열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2a에 도시한 단면도에서는, 원형으로 나타내었다. 이 경우, 필름형 렌즈 셀(LCM)의 하부 필름(FL)에서 입사되는 입사광(100)들은 렌티큘러 렌즈(LN)와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액정 층(LC)의 장축방향으로 입사된다. 따라서, 상부 필름(FU) 및 하부 필름(FL) 사이에는 굴절율 차이가 없는 균일한 물질이 채워진 상태가 되므로, 입사광(100)은 렌티큘러 렌즈층(LN)에 아무런 영향 없이 투과된다. 즉, 출사광(200)은 입사광(100)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상부 투명 전극(EU)과 하부 투명 전극(EL) 사이의 전위차가 5V이면, 액정 층(LC)은 상부 투명 전극(EU)과 하부 투명 전극(EL)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열 방향이 바뀐다. 그 결과, 입사광(100)들은 렌티큘러 렌즈(LN)보다 작은 굴절율을 갖는 액정 층(LC)의 단축 방향으로 입사된다. 따라서, 상부 필름(FU) 및 하부 필름(FL) 사이에서, 렌티큘러 렌즈층(LN)의 렌즈 기능이 작동된다. 즉, 출사광(210)은 입사광(100)이 렌티큘러 렌즈층(LN)에 의해 집광된 상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LCM)은, 상부 투명 전극(EU)과 하부 투명 전극(EL) 사이의 전위차를 조정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층(LN)을 온-오프할 수 있다. 그 결과, 무안경 입체 영상과 일반 2D 영상 사이에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에서 2D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본 발명의 필름형 렌즈 셀(LCM)의 렌즈 기능을 오프(Off)하며, 3D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렌즈 기능을 온(On)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무안경 입체 영상 기능을 제공한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LCM)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측부 실(SE) 외부로 연장된 상부 투명 전극(EU) 및 하부 투명 전극(EL)이 노출되어야 한다. 상부 투명 전극(EU)의 경우, 상부 배향막(AU)이 덮고 있는 구조이어서, 상부 배향막(AU)을 제거함으로써, 상부 투명 전극(EU)의 끝 단부를 큰 어려움 없이 노출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상부 배향막(AU)의 일단부를 제거하면 되므로, 제거 후에 상부 투명 전극(EU)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하부 투명 전극(EL)의 경우, 렌티큘러 렌즈층(LN)에 의해 덮여 있다. 렌티큘러 렌즈층(LN)은 상부 배향막(AU)과 달리, 매우 두꺼우며, 그 두께도 일정하지 않으며, 그 두께 차이도 매우 심하다. 이는 렌터큘러 렌즈층(LN)이 반원통형의 렌즈들이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렌티큘러 렌즈층(LN)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층(LN)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솔벤트를 이용하여 녹여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제거 과정에서 노출되는 하부 투명 전극(EL)의 일부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는 하부 투명 전극(EL)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어 전압 인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입체 영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 렌티큘러 렌즈층(LN)을 하부 투명 전극(EL) 위에 형성하기에 앞서, 마스킹 테이프를 렌즈 패드(LP) 영역에 부착한 후, 렌티큘러 렌즈층(LN)을 형성한 후에 마스킹 테이프를 떼어 냄으로써, 렌즈 패드(LP)를 노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킹 테이프가 있는 외측부와 마스킹 테이프가 없는 표시 영역에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층(LN) 사이에 단차로 인해 렌티큘러 렌즈층(LN)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하여 렌즈 패드(LP)를 노출하는 과정에서, 주변 렌티큘러 렌즈층(LN) 일부도 함께 뜯겨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 영역에서 렌티큘러 렌즈층(LC)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구조를 갖는 필름형 렌즈 셀(LCM)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패드 영역에서 렌티큘러 렌즈층(LC)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필름형 렌즈 셀(LCM)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LCM)은, 하부 필름(FL), 상부 필름(FU), 하부 투명전극(EL), 상부 투명 전극(EU), 렌티큘러 렌즈층(LN), 액정 층(LC), 상부 배향막(AU), 측부 실(SE) 및 패드 오픈 패턴(LNO)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예에 의한 필름형 렌즈 셀(LCM)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패드 오픈 패턴(LNO)은 측부 실(SE) 외측으로 노출된 렌티큘러 렌즈층(LN)의 끝 단부에서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한 형상을 갖는다. 렌즈 패드 단자(LPD)는. 하부 투명 전극(EL)에서 측부 실(SE) 외부로 연장되며, 패드 오픈 패턴(LNO)에 의해 노출된 부분이다. 패드 오픈 패턴(LNO)의 주변에는 렌티큘러 렌즈층(LN)이 남아 있는 렌즈 잔여 패턴(LNP)이 있다.
렌즈 패드 단자(LPD)는, 도 1에서처럼, 필름형 인쇄 회로 기판(FPC)과 연결될 수 있다. 필름형 인쇄 회로 기판(FPC)은 외부 장치(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렌즈 패드(LPD)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y Conductive Film)과 같은 연결 수단(ACF)을 이용하여 필름형 인쇄 회로 기판(FPC)에 형성된 패드 단자(P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LCM)의 렌즈 시트(LNS)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렌즈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렌즈 시트(LNS)는, 하부 필름(FL), 하부 투명 전극(EL) 및 렌티큘러 렌즈층(LN)을 포함한다. 렌즈 시트(LNS)는 필름형 렌즈 셀(LCM)을 형성함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렌즈 시트(LNS)는,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하부 필름(FL) 위에 하부 투명 전극(EL)을 증착하고, 하부 투명 전극(EL) 위에 렌티큘러 렌즈층(LN)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롤(ROLL) 형태로 취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렌즈 시트(LNS)는 롤(ROL)에 감겨져 있다.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렌즈 시트(LNS)의 일측 표면 전체 위에는 하부 투명 전극(EL)이 증착되어 있다. 하부 투명 전극(EL)이 증착된 일측 표면 위에는 렌티큘러 렌즈층(LN)이 형성되어 있다. 렌티큘러 렌즈층(LN)은 다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들이 사선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렌즈 시트(LNS)의 양측변부 중 적어도 어는 한 측변부에는 패드 오픈 패턴(LNO)이 형성되어 있다. 일례로, 패드 오픈 패턴(LNO)은 바둑판(혹은 체스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다수 개의 사각형을 갖는 패드 오픈 패턴(LNO)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패드 오프 패턴(LNO)들 사이에는 렌즈 잔여 패턴(LNP)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잔여 패턴(LNP)는 남아 있는 렌티큘러 렌즈층(LN)이다.
패드 오픈 패턴(LNO)은, 하부 투명 전극(EL)의 일측 단부를 노출하기 위한 패턴이므로, 렌즈 시트(LNS)에서 중앙 영역이 아닌 측변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패드 오픈 패턴(LNO)은, 렌즈 시트(LNS)의 측변부 모두를 노출하는 것보다는 일부만 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드 오픈 패턴(LNO)은, 렌즈 시트(LNS)의 측변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패드 오픈 패턴(LNO)이 일정 영역별로 모아져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시트(LNS)에서 패드 오픈 패턴(LNO)은 표시 패널의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 오픈 패턴(LNO)이 형성되지 않은 렌즈 시트(LNS)의 중앙 영역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AA)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예>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 예는 렌즈 시트(LNS)에 형성되는 패드 오픈 패턴(LNO)의 다른 형상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의 렌즈 시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시트(LNS)는 기본적으로 제2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시트(LNS)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차이가 있다면, 패드 오픈 패턴(LNO)의 형상에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패드 오픈 패턴(LNO)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의한 렌즈 시트(LNS)는, 렌즈 시트(LNS)의 양측변부 중 적어도 어는 한 측변부에 형성된 패드 오픈 패턴(LNO)을 포함한다. 특히, 패드 오픈 패턴(LNO)은, 일정 길이를 갖는 선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분 형상은, 직선 형상을 갖고 다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선분 형상은 렌즈 시트(LNS)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패드 오픈 패턴(LNL)은 일정 길이를 갖는 물결 형태의 선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분 형상의 패드 오픈 패턴(LNO)들 사이에는 렌티큘러 렌즈층(LN)이 그대로 남아 있는 렌즈 잔여 패턴(LNP)이 배치될 수 있다.
패드 오픈 패턴(LNO)은, 하부 투명 전극(EL)의 일측 단부를 노출하기 위한 패턴이므로, 렌즈 시트(LNS)에서 중앙 영역이 아닌 측변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패드 오픈 패턴(LNO)은, 렌즈 시트(LNS)의 측변부 모두를 노출하는 것보다는 일부만 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드 오픈 패턴(LNO)은, 렌즈 시트(LNS)의 측변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분산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패드 오픈 패턴(LNO)이 일정 영역별로 모아져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렌즈 시트(LNS)에서 패드 오픈 패턴(LNO)은 표시 패널의 비 표시 영역(NA)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 오픈 패턴(LNO)이 형성되지 않은 렌즈 시트(LNS)의 중앙 영역은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AA)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투명 전극(EL)의 끝 단부인 패드를 노출하는 패드 오픈 패턴(LNO)은 렌즈 시트(LNS)의 일측변에서 전극의 일부분만을 개방한다. 따라서, 노출된 하부 투명 전극(EL)의 부식이나 손상이 확산되어 하부 투명 전극(EL) 전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LCM: 필름형 렌즈 셀
FU: 상부 필름 FL: 하부 필름
EU: 상부 투명 전극 EL: 하부 투명전극
LC: 액정 층 LN: 렌티큘러 렌즈층
SE: 측부 실 AU: 상부 배향막
LNS: 렌즈 시트 LNO: 패드 오픈 패턴

Claims (6)

  1. 하부 필름;
    상기 하부 필름의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 하부 투명 전극;
    상부 필름;
    상기 상부 필름의 일측 표면 위에 도포된 상부 투명 전극;
    상기 상부 투명 전극 위에 도포된 상부 배향막;
    상기 하부 투명 전극 위에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층;
    상기 렌티큘러 렌즈층과 상기 상부 배향막 사이에 배치된 액정 층;
    상기 하부 필름과 상기 상부 필름 사이의 테두리를 밀봉하는 측부 실; 그리고
    상기 측부 실 외부로 연장된 상기 하부 투명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렌티큘러 렌즈층에 배치된 패드 오픈 패턴을 포함하는 필름형 렌즈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층은 반원통형을 갖는 다수 개의 렌티큘러 렌즈들이 연속하여 배치되며,
    상기 렌티큘러 렌즈층의 상부 표면이 상기 상부 배향막과 맞닿아 합착된 필름형 렌즈 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오픈 패턴은,
    다수 개의 사각 형상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필름형 렌즈 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오픈 패턴은,
    일정 길이를 갖는 선분 형상들이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필름형 렌즈 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오픈 패턴은,
    다수 개가 일정 영역 내에 분포되어 있고,
    상기 각 패드 오픈 패턴들 사이에는 렌즈 잔여 패턴이 배치되어 있는 필름형 렌즈 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오픈 패턴은,
    상기 렌티큘러 렌즈층의 적어도 일측부에 배치된 필름형 렌즈 셀.
KR1020160181598A 2016-12-28 2016-12-28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KR102556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98A KR102556964B1 (ko) 2016-12-28 2016-12-28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98A KR102556964B1 (ko) 2016-12-28 2016-12-28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406A true KR20180077406A (ko) 2018-07-09
KR102556964B1 KR102556964B1 (ko) 2023-07-19

Family

ID=6291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598A KR102556964B1 (ko) 2016-12-28 2016-12-28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9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724A (ko) * 2008-12-31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취급성을 개선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20140211125A1 (en) * 2013-01-30 2014-07-31 Omron Corporation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illumination device
KR20150074452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9724A (ko) * 2008-12-31 2010-07-08 제일모직주식회사 취급성을 개선한 프리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20140211125A1 (en) * 2013-01-30 2014-07-31 Omron Corporation Light guide plate and surface illumination device
KR20150074452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964B1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56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용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그제조방법
KR101331900B1 (ko) 광제어필름을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11002983B2 (en) Switching parallax barr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on a blocking region and a transmitting region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5739112B (zh) 偏振控制单元以及具有该设备的2d和3d图像显示设备
US9013645B2 (en) Polarizing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22733B1 (ko) 반사판을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852006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309313B1 (ko) 화면이 분할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38546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56964B1 (ko)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용 필름형 렌즈 셀
KR100811818B1 (ko)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용 렌티큘러 액정셔터 및 이를 갖는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7923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용 2d/3d 스위칭 렌티큘라 렌즈
CN110824724A (zh) 3d显示光学系统及装置
TWM497789U (zh) 用於液晶顯示器的電控式立體光柵結構
KR101949388B1 (ko) 3d 영상 표시장치
KR101268283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09453B1 (ko) 입체 영상용 스위치어블 광학 시트 제조 방법
KR101980240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41622B1 (ko) 영상 표시장치
JP4275589B2 (ja) パララックスバリア素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TWI603118B (zh) 用於液晶顯示器的電控式立體光柵結構
TWI540340B (zh) 液晶顯示器及其製作方法
TWI581009B (zh) 液晶顯示器及其製作方法
KR101309484B1 (ko) 스위치어블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20060058402A (ko) 3차원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