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079A -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 - Google Patents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079A
KR20180077079A KR1020170180777A KR20170180777A KR20180077079A KR 20180077079 A KR20180077079 A KR 20180077079A KR 1020170180777 A KR1020170180777 A KR 1020170180777A KR 20170180777 A KR20170180777 A KR 20170180777A KR 20180077079 A KR20180077079 A KR 20180077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astening means
terminal
jumper wir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희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77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30End pieces held in contact by a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브레드 보드용 점퍼선이 개시된다. 상기 점퍼선은 자석 단자 및 상기 자석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단자는 자석, 상기 자석의 일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자석 케이스 및 상기 자석 케이스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단자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MAGNETIC TERMINAL AND JUMPER WI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석 단자와 연결 단자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전기, 전자 회로의 교육에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오픈 하드웨어(open hardware)를 이용한 하드웨어 제작 열풍이 일고 있다. 따라서, IoT의 기초 교육을 위한 전기, 저자 회로 연결, 센서 연결 등을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들도 쉽게 회로 구성이 가능한 직관적이고 사용이 용이한 기구 또는 도구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자석 또는 금속과 결합 가능한 자석의 성질을 이용한 자석 브레드 보드 등의 기구는 초보자들도 용이하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종래의 연결 단자 또는 종래의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점퍼선으로는 자석 브레드 보드 등에서 부품들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석에 붙는 성질을 갖는 전기, 전자 회로 또는 부품 등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점퍼선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2485호 (2010.03.10.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연결 및 분리 또는 보관이 용이한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퍼선은 자석 단자 및 상기 자석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단자는 자석, 상기 자석의 일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자석 케이스 및 상기 자석 케이스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단자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석 단자는 원통형 자석, 상기 원통형 자석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자석 케이스 및 상기 자석 케이스의 상 면에 형성된 제1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 케이스는 상기 원통형 자석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비철 금속을 이용한 도금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선 또는 나사골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에 의할 경우, 자석과 전선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모든 자석마다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자석 전선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자석 단자와 전선의 분리를 통해 자석과 전선이 서로 엉겨붙어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자석 단자는 서로 간에 작용하는 척력(밀어내는 힘)으로 인하여 브레드 보드의 전도성 패드에 여러 개의 자석 단자를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자석 단자는 척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전도성 패드에 여러 개의 자석 단자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석 단자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결 단자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석 단자와 도 2에 도시된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점퍼선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자석 단자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석 단자(100)는 자석(110), 자석 케이스(130) 및 제1 체결 수단(150)을 포함한다.
자석(110)은 네오디윰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석(110)은 원통형 또는 다각 기둥(예컨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으며, 자석(110)의 지름이나 직육면체의 특정 면의 길이는 함께 사용되는 브레드 보드에 포함되는 전도성 패드의 폭(두께) 및/또는 간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자석 케이스(130)는 자석(110)의 외면(또는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자석 케이스(130)는 자석(110)의 일면(예컨대, 밑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110)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도금을 함으로써 자석 케이스(1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자석 케이스(130)는 금(Au), 은(Ag), 구리(Cu), 주석(Sn), 철(Fe) 등과 같은 금속을 이용한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자석 케이스(130)는 구리(Cu) 등과 같은 비철 금속(또는 비자성체)을 이용한 도금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자석 케이스(130)는 도전성을 갖추어 자석(110)과 제1 체결 수단(150) 또는 상기 브레드 보드에 포함되는 상기 전도성 패드와 제1 체결 수단(150) 사이에서 전기 신호를 전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석 케이스(130)로 인하여, 자석 단자(100)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여러 개의 자석 단자(100)를 브레드 보드의 전도성 패드에 부착할 수 있다.
제1 체결 수단(150)은 자석 케이스(130)의 일 면(예컨대, 상면)에 원통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수단(150)은 자석 케이스(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자석 케이스(130)의 상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수단(15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크류(screw)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체결 수단(150)은 금(Au), 은(Ag), 구리(Cu), 주석(Sn), 철(Fe)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구리(Cu) 등과 같은 비철 금속(또는 비자성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체결 수단(150)과 후술될 연결 단자의 제2 체결 수단의 결합(예컨대, 나사 결합)과 분리가 자유롭기 때문에 자석 단자(100) 만을 별도로 보관하거나, 분리된 자석 단자(100)를 다른 전자 부품이나 연결 단자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전선 또는 모든 연결 단자마다 자석을 부착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점퍼선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연결 단자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단자(300)는 일 단에 제2 체결 수단(310)이 형성되고 타 단에 제3 체결 수단(330)이 형성된 원통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예컨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형될 수 있다.
제2 체결 수단(310)은 제1 체결 수단(15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홀(hole)일 수 있다. 즉, 제1 체결 수단(150)이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체결 수단(310)은 원통 형상을 갖는 홀로 구현될 수 있고, 제1 체결 수단(150)이 다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경우 제2 체결 수단(310)은 다각 기둥 형상을 갖는 홀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체결 수단(31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나사골이 형성되어 제1 체결 수단(150)과 나사 결합(또는 스크류 결합)할 수 있다. 이 대의 제2 체결 수단(310)은 내주면에 나사골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나사산과 나사골의 형성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즉, 제1 체결 수단(150)에 나사골이 형성되는 경우 제2 체결 수단(3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 수단(330)은 원통형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의 홀로 구현될 수 있다. 소정의 형상을 갖는 홀로 구현된 제3 체결 수단(330)에는 전선(electric wire)이나 전자 부품의 단자가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후에 크램핑 툴(또는 압착 툴)을 이용하여 압착됨으로써 연결 단자(300)와 상기 전선 또는 연결 단자(300)와 상기 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석 단자와 도 2에 도시된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점퍼선(jumper wire)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점퍼선(10)은 자석 단자(100), 자석 단자(1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연결 단자(300) 및/또는 연결 단자(30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선(또는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석 단자(100)의 제1 체결 수단(150)과 연결 단자(300)의 제2 체결 수단(310)이 결합(예컨대, 나사 결합 또는 스크류 결합)될 수 있고, 제3 체결 수단(330)과 전선이 클램핑 툴이나 압착 툴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자석 단자
110 : 자석
130 : 자석 케이스
150 : 제1 체결 수단
300 : 연결 단자
310 : 제2 체결 수단
330 : 제3 체결 수단

Claims (6)

  1. 자석 단자; 및
    상기 자석 단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 단자는 자석, 상기 자석의 일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자석 케이스 및 상기 자석 케이스의 일 면에 형성된 제1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단자의 일 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2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점퍼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케이스는 상기 자석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비철 금속을 이용한 도금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선 또는 나사골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현되는,
    점퍼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수단은 내주면에 나사골 또는 나사선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홀인,
    점퍼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는 상기 연결 단자의 타 단에 형성된 원통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의 홀로 구현된 제3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점퍼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퍼선은 상기 제3 체결 수단에 삽입된 후 압착되어 고정되는 전선을 더 포함하는,
    점퍼선.
  6. 원통형 자석;
    상기 원통형 자석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된 자석 케이스; 및
    상기 자석 케이스의 상 면에 형성된 제1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 케이스는 상기 원통형 자석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비철 금속을 이용한 도금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수단은 외주면에 나사선 또는 나사골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구현되는,
    자석 단자.
KR1020170180777A 2016-12-27 2017-12-27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 KR201800770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80243 2016-12-27
KR1020160180243 2016-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079A true KR20180077079A (ko) 2018-07-06

Family

ID=6292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777A KR20180077079A (ko) 2016-12-27 2017-12-27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7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9934B2 (en) LED light apparatus
DE102006059384A1 (de) Gerät mit einem Stromwandler zur Erfassung eines durch einen Stromleiter fließenden Stromes sowie Klemmen-/Stromwandler-Modul für ein derartiges Gerät
MX2015005008A (es) Aparato de union capaz de usarse en ambientes de interruptores de circuito y estructurado para conectar una terminal de anillo al interruptor de circuito.
US9099806B2 (en) Connector assembly
KR20180077079A (ko)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
CN106226565A (zh) 一种专用电力测试线插头及测试方法
CN104134877A (zh) 接线端钮与分流器/连接片一体化连接结构及其制备方法
CN208589595U (zh) 一种快速固定的端子结构
US8202113B2 (en) Jumper assembly
CN105226418B (zh) 电表用插拔式端子排
DE102013113861A1 (de) Galvanische Trennvorrichtung für Prozessmessgeräte
KR101740961B1 (ko) 브래드 보드, 브래드 보드용 점퍼선 및 교육용 키트
KR101709110B1 (ko) 무땜납 연결 구조를 갖는 자석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점퍼선
CN101976774A (zh) 一种线簧孔接触构件
CN207490145U (zh) 一种组合式接线母端子
CN201994437U (zh) 一种压线式端子排
CN201490349U (zh) 电磁铁插头芯接线柱
CN205811117U (zh) 高性能音频线连接器
CN217879340U (zh) 电能表连接装置及电能表检测装置
CN204760576U (zh) 一种磁性接线端子
CN204045757U (zh) 接线端钮与分流器/连接片一体化连接结构
GB2470182A (en) Detachable terminal
CN210866790U (zh) 配电箱接地装置
KR200209628Y1 (ko) 자석칠판을 이용한 전자회로 교육 제작도구
CN202333318U (zh) 电子线路连接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