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900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900A
KR20180076900A KR1020160181563A KR20160181563A KR20180076900A KR 20180076900 A KR20180076900 A KR 20180076900A KR 1020160181563 A KR1020160181563 A KR 1020160181563A KR 20160181563 A KR20160181563 A KR 20160181563A KR 20180076900 A KR20180076900 A KR 2018007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cabinet
door
inle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3496B1 (en
Inventor
김근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496B1/en
Publication of KR2018007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4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o facilitate input and output of laund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cabinet including a first input hole formed on a front surface and a second input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 first tub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first tub input hole installed in the first tub to allow the first tub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put hole; a first drum installed inside the first tub to be able to rotat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ub input hole and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laundry; a first tub seal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input hole and the first tub input hole, and preventing water inside the first tub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a first doo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close the first input hole; a second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tub and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 second tub input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ub to allow the second tub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input hole; a second drum disposed inside the second tub to be able to rotat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ub input hole and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laundry; a second tub sealing part connecting the second input hole and the second tub input hole, and preventing water inside the second tub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and a second do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close the second input hole.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Generall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a concept including a device for washing clothes (laundry object, dry object), a device for drying clothes, and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both washing and drying of clothes.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서로 다른 부피를 가진 두 개의 처리장치(터브 및 드럼)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가 있었다. 서로 다른 두 개의 처리장치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의류를 구분하여 세탁하거나, 의류의 양에 따라 두 터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세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wo processing apparatuses (tubs and drums) having different volum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two different processing apparatuses have the effect of washing different types of clothes separately or by selecting one of the two tub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othes.

두 개의 처리장치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상하로 배치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에 의류를 투입하는 제1투입구와 제2처리장치에 의류를 투입하는 제2투입구가 모두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 중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에서 의류를 인출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two processing apparatuses,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a second processing apparatus are arranged vertically in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Both the inlet and the second inlet for inputting clothes to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were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cabinet. Therefore,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inconvenient for putting the clothes into the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under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or pulling out the clothes from the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below.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투입구는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투입구는 캐비닛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의류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charging port of a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at a lower portion is provided in front of a cabinet, and a charging port of a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a cabinet, This is the task to be don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전방면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 및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와 상기 제1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터브 투입구;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 상기 제1투입구와 상기 제1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제1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캐비닛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터브 실링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와 상기 제2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제2터브 투입구;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 상기 제2투입구와 상기 제2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제2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캐비닛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터브 실링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first input po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and a second input po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A first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first tub inlet provided in the first tub to communicate the first tub and the first inlet;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tub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ub inlet and provide a space for storing clothes; A first tub seal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inlet port and the first tub inlet port to prevent water in the first tub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A first do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 or close the first inlet; A second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positioned above the first tub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second tub loading port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ub to communicate the second tub and the second loading port; A second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tub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ub inlet and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 second tub sealing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inlet port and the second tub inlet port to prevent water in the second tub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And a second doo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 or close the second inlet.

상기 제2터브 실링부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주름관(Corrugate Tube)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corrugated tube that can be stretched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제2터브 실링부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stretchabl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본 발명은 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 실링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터브로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second tub sealing part to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second tub; And a valve that opens or closes the water supply pipe.

본 발명은 상기 제2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유로; 급수원과 상기 도어유로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제2도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유로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터브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door air passage provided inside the second door;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door flow path; And a discharge por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door and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o the door channel to the second turbine.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투입구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2투입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유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at are connected to the door flow path through the second door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discharge port when the second door closes the second discharge port.

본 발명은 상기 제1터브에 고정되며,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 상기 제1스테이터가 발생시키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 상기 제1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1로터를 연결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0도 이상 90도 미만의 각도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2터브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발생하는 제2스테이터; 상기 제2스테이터가 발생시키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 상기 제2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과 상기 제2로터를 연결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 이하의 각도로 구비되는 제2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tor comprising: a first stator fixed to the first tub and forming a rotating system; A first rotor rotating by a rot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stator; A first rotary shaft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tub and connect the first drum and the first rotor, the first rotary shaft being disposed at an angle of 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 second stato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to generate a rotating magnetic field; A second rotor rotating by a rotor system generated by the second stator; A second rotating shaft provid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and connect the second drum and the second rotor and being provided at an angle of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

본 발명은 상기 제2터브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제2터브 지지부; 상기 제1터브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제2터브에 고정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터브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제2터브에 고정하며, 상기 제1드럼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스프링과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스프링; 상기 제1터브의 원주면 하부영역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tub support for fixing the second tub to the cabinet; A first spring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to the cabinet or the second tub; A second spring fixed to the cabinet or the second tub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spring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drum; And a damper fix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to the cabinet.

상기 제2로터와 상기 제1터브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제1터브 사이의 최단거리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tor and the first tub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first tub.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투입구가 구비된 프론트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이 고정되는 제1전방프레임;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패널이 고정되는 제1후방프레임;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base panel defining a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 side panel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base panel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tub; A housing positioned above the side panels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the second tub, the housing defining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 front panel extending from the base panel to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he front panel having the first input port; A first front frame provided on the base panel and to which the front panel is fixed; A first rear frame provided on the base panel and to which the side panels are fixed; And a first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first front frame and the first rear frame and fixing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터브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터브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제2터브에 연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fram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frame an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tub suppo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ub.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투입구는 캐비닛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부에 위치된 처리장치의 투입구는 캐비닛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의류의 투입과 인출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input po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at the bottom is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input po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located at the top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have.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캐비닛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터브 도어 및 제2급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ample of a cabine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show an example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cond tub door and a second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도 1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처리장치(2, 3, 도 3 참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처리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처리장치(4, 6, 도 3 참고)를 포함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see FIG. 1),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2, 3 (see FIG. 3) provided in the cabinet for providing spac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And a second processing device (4, 6, refer to FIG. 3) provided in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and locat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1), 상기 베이스패널(11)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제1처리장치(2, 3)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측면패널(13),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2처리장치(4, 6)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4),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2, the cabinet 1 includes a base panel 11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 first processing apparatus 2, 3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anel 11, A housing (14) located above the side panel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6) are housed, a housing And may include a front panel 12.

상기 측면패널(13)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131), 의류처리장치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133), 의류처리장치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3측면(135)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측면(131), 제2측면(133) 및 제3측면(135)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패널이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panel 13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131 forming a left side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 second side surface 133 forming a right side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first side surface 131, the second side surface 133 and the third side surface 135 may be provided with three sides 135 so that one panel connected to each other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base panel 11 And may be provided by bending.

상기 베이스패널(11)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이 고정되는 제1전방프레임(15), 상기 측면패널(13)이 고정되는 제1후방프레임(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프레임(15)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전방모서리 두 곳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후방프레임(16)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후방모서리 두 곳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방프레임(15)과 제1후방프레임(16)은 의류처리장치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지지프레임(16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 first front frame 15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Y axis direc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fixed to the front panel, a first rear frame 15 fixed to the side panel 13 16 may be provided. The first front frame 15 may be provided at two front corners of the base panel 11 and the first rear frame 16 may be provided at two rear corners of the base panel 11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first front frame 15 and the first rear frame 16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rst support frame 161 provided along the depth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나아가, 상기 베이스패널(11)의 전방모서리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전방프레임(15)은 제3지지프레임(19)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론트패널(15)은 상기 제1전방프레임(15)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 the two first front frames 15 provided at the front edge of the base panel 11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hird support frame 19. In this case, the front panel 15 may b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ront frame 15 and the third support frame 19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제1지지프레임(161)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14)을 지지하는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은 제2지지프레임(18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A second front frame 17 and a second rear frame 18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frame 161 to support the housing 14. The second front frame 17 and / And the second rear frame 18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

상기 제2전방프레임(17)은 상기 하우징(14)의 전방모서리 두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후방프레임(18)은 상기 하우징(14)의 후방모서리 두 곳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및 제2후방프레임(18)은 상기 캐비닛(1)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181)은 상기 캐비닛(1)의 깊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frame 17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wo front edges of the housing 14 and the second rear frame 18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wo rear edges of the housing 14 . In this case, the second front frame 17 and the second rear frame 18 ar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cabinet 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is provided in the cabinet 1 (Z-axis direction).

상기 프론트패널(12)은 상술한 프레임들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 전체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패널(12)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패널(11)에 접촉하고, 상기 프론트패널(12)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14)의 전방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front panel 12 may be fixed to the above-described frames to form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s a whole.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nel 12 is in contact with the base panel 11,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anel 12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4.

상기 프론트패널(12)에는 제1처리장치(2, 3)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처리장치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는 제1투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투입구(121)는 프론트패널(1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도어(12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The front panel 12 is provided with a first input port 121 for inputting clothes to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es 2 and 3 or for pulling out clothes stored in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21 are opened or closed by a first door 123 rotatably fixed to the front panel 12.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12)에는 제1처리장치(2, 3)와 제2처리장치(4, 6)를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25)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25)에는 각 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anel 12 is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125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processing devices 2 and 3 and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An input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a display of a control command selectable by the user,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execution information of a control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컨트롤패널(125)에 구비된 입력부와 표시부는 제어부가 구비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PCB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19)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of the control panel 12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CB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control unit. The PCB may be fixed to the third support frame 19.

상기 하우징(14)은 제2처리장치(4, 6)를 수용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하우징(14)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housing 14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s 4 and 6. Figure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ousing 14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on shape .

상기 하우징(14)은 상기 측면패널(13)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우징 바디(141), 상기 하우징 바디에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바디 상부면(141a), 상기 바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2처리장치(4, 6)에 연통하는 제2투입구(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입구(143)는 상기 하우징 바디(14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제2도어(145)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The housing 14 includes a housing body 141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panel 13, a body upper surface 141a provided at the housing body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a second inlet 14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es 4 and 6 so as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The second input port 143 may be opened or closed by a second door 145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body 14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21)에 연통하는 제1터브(2), 상기 제1터브(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3)을 포함한다.3,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tub 2 provided in the cabinet 1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121, a second tub 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ub 2, And a first drum (3) which is provided so a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상기 제1터브(2)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제1터브(2)가 원통형상(cylinder)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tub 2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form a space for storing water. FIG.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tub 2 is provided as a cylinder. will be.

이 경우, 상기 제1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1터브 바디(21), 상기 제1터브 바디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121)에 연통하는 제1터브 투입구(2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ub 2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tub body 21 having an interior hollow therein, a first tub body 21 pene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tub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inlet 121, And a tub inlet 23.

상기 제1터브 바디(21)는 제1터브 지지부(251, 253, 255)에 의해 상기 베이스패널(11)과 측면패널(13)이 제공하는 공간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터브 지지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first tub body 21 is fixed to the space provided by the base panel 11 and the side panel 13 by the first tub supporting portions 251, 253 and 255, do.

상기 제1투입구(121)와 제1터브 투입구(23)는 제1터브 실링부(231)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터브 실링부(231)는 신축 가능한 구조(주름관 등)로 구비되거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inlet 121 and the first tub inlet 23 are connected to the first tub sealing portion 231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tub body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tub sealing portion 231 is formed of a resilient structure (corrugated tube or the like) or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n order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tub 2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

상기 제1터브(2)는 제1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제1배수부를 통해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1급수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와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1급수관(21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급수관(21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밸브(213)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tub 2 receives water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unit and discharges wat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the first drainage unit. The first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water supply pipe 211 connecting the first tub body 21 and a water supply source located outside the cabinet and a second water supply pipe 211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supply pipe 21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a control unit And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valve 213 that opens or closes.

한편, 상기 제1배수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215), 상기 제1터브 바디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배수관(215)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제1펌프(217)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rainage unit includes a first drain pipe 215 for guiding the water stored in the first tub body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water stored in the first tub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pipe 215 And a first pump 217 for causing the first pump 217 to move along.

상기 제1배수관(215)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배수관을 개폐하는 별도의 밸브 없이도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Preferably, the first water pipe 215 passes through a point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set in the first tub body 21. So that water can be stored in the first tub body 21 without a separat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water pipe.

상기 제1드럼(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 내부에 회전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제1드럼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drum 3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rotate inside the first tub body 21, and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drum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

이 경우, 상기 제1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제1드럼 바디(31), 상기 제1드럼 바디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 투입구(23)에 연통하는 제1드럼 투입구(33), 상기 제1드럼 바디(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 바디 내부와 상기 제1터브 바디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1관통홀(35)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drum 3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drum body 31 having an empty interior, a second drum body 31 extending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rum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ub inlet 23, A first drum insertion port 33 and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35 penetrating the first drum body 31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first drum body and the inside of the first tub body .

상기 제1드럼 투입구(33)는 제1터브 투입구(23)를 통해 상기 제1투입구(121)에 연통하므로, 상기 제1도어(123)가 제1투입구(121)를 개방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1투입구(121), 제1터브 투입구(23) 및 제1드럼 투입구(33)를 통해 제1드럼 바디(31)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드럼 바디(31)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The first drum inlet 33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let 121 through the first tub inlet 23 so that when the first door 123 opens the first inlet 121, The clothes are put into the first drum body 31 through the first inlet 121, the first tub inlet 23 and the first drum inlet 33 or the clothes stored in the first drum body 31 are f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

상기 제1드럼 바디(31)는 제1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도 3은 상기 제1구동부가 제1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371, 제어부가 전력을 공급하면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수단),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373), 상기 제1터브 바디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드럼 바디(31)와 제1로터(373)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375)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drum body 31 is rotated by a first driving unit.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 first stator of the first drum body 21 which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ub body 21 to form a rotating field A first rotor 373 rotating by a rotating magnetic field, a second rotor 373 passing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tub body, and a second rotor 373 rotating by the first drum body 31, And a first rotating shaft 375 connecting the rotor 373 with each other.

상기 제1회전축(375)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구비(제1회전축은 캐비닛의 바닥면과 0도가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0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rotation axis 375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the first rotation axis may be provided to be at 0 degre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or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f 0 degree or mor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

후자의 경우, 상기 제1회전축(375)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90도보다는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1처리장치(2, 3)의 상부에 제2처리장치(4, 6)가 위치하고, 상기 제1드럼 투입구(33)가 제1드럼 바디(31)의 전방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회전축(375)의 경사각이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90도보다는 작은 각도를 형성해야만 사용자가 제1드럼 바디(31)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In the latter case, the first rotation shaft 375 should be provided at a small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Since the second processing device 4 or 6 is locat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device 2 or 3 and the first drum loading port 33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rum body 31,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otary shaft 375 should be smaller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so that the user can take out the clothes stored in the first drum body 31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상기 제2처리장치(4, 6)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투입구(143)에 연통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4),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6)을 포함한다.The second processing device 4 or 6 includes a second tub 4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tub body 21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loading port 143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second drum (6) rotatably provided in the second tub to provide space for storing clothes.

상기 제2터브(4)는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은 상기 제2터브(4)가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The second tub 4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tub 4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ll be.

이 경우, 상기 제2터브(4)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바디(141) 내부에 위치하는 제2터브 바디(41),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143)에 연통하는 제2터브 투입구(43)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tub 4 includes a second tub body 41,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ody 141 and has an inner hollow shap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41 And a second tub inlet 4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let 143 so as to pass therethrough.

상기 제2투입구(143)와 제2터브 투입구(43)는 제2터브 실링부(45)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2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누수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2터브 바디(21)의 진동이 하우징(14)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터브 실링부(45)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구조(주름관 등)로 구비되거나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inlet 143 and the second tub inlet 4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45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tub body 21,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45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rrugated tube or the like) that can be stretch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cabinet in order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cabinet 2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housing 14, As shown in FIG.

상기 제2투입구(143)와 제2터브 투입구(43)가 제2터브 실링부(45)로 연결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도어(145)만으로 제2터브(4)를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제2터브 투입구(4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별도의 도어가 없이도 본 발명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저장된 물이 캐비닛의 내부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inlet 143 and the second tub inlet 4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45,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econd tub 4 only by the second door 145,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body 41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cabinet without a separate door that opens or closes the second tub inlet 43.

상기 제2터브 바디(41)는 제2터브 지지부(71)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는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원주면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적어도 3개의 제2터브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ub body 4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a second tub supporting portion 71.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41 And at least three second tub supports spaced apart.

상기 제2터브 지지부(71)는 일단은 상기 하우징 바디(14)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결합된 지지바(71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장치를 하우징(14) 내부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바(715)의 일단은 상기 제2전방프레임(17), 제2후방프레임(18), 제2지지프레임(181) 등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바(715)의 타단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tub supporting portion 71 may be formed as a support bar 715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housing body 14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econd tub body 41. One end of the support bar 715 is fixed to the second front frame 17, the second rear frame 18, the second support frame 181,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715 in order to firmly fix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in the housing 14. [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715 can be fixed to the second tub body 41. [

다만,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터브 지지부(71)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의 원주면에 구비된 브라켓(711),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715)의 타단이 삽입되는 브라켓 관통홀(712), 상기 지지바(715)의 타단이 상기 브라켓(71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716), 상기 브라켓(711)과 스토퍼(716)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1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18)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를 상기 제2투입구(143)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tub supporting portion 71 includes a bracket 711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41 so that vibration generated in the second tub body 41 can be damped, A stopper 716 for preventing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71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711, a bracket 712 for supporting the bracket 711, 711 and a stopper 716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e spring 718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second tub body 41 toward the second inlet 143.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제2터브 실링부(45)는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대해 신축 가능한 구조 또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므로, 본 발명은 제2터브 지지부(71)만으로 제2터브(4)를 하우징(14) 내부에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제2터브(4)를 하우징(14) 내부에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터브의 진동이 하우징(14)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tub seal portion 45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esilient or elastic material with respect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tub seal portion 45 only by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71,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fix the second tub 4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4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cond tub 4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4 and minimize the transmission of the vibration of the second tub to the housing 14. [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2급수부를 통해 제2터브 바디(41)에 물을 공급하고, 제2배수부를 통해 제2터브 바디(4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2급수부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제2급수관(411),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밸브(413)로 구비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to the second tub body 41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and discharges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body 41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rough the second drainage unit. The second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second water supply pipe 411 connecting the second tub body 41 and the water supply source and a second valve 413 for opening or closing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

다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2터브 투입구(43)가 제2투입구(143)와 제2터브 실링부(45)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급수관(4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브 실링부(45)와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second tub inlet 43 is connected to the second tub 143 by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45, the second tubular water pipe 4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tub-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45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상기 제2배수부는 상기 제2터브 바디(41)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되, 상기 제2터브 바디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된 제2배수관(415), 상기 제2배수관을 통해 물을 이동시키는 제2펌프(417)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ainage section is provided with a second drain pipe 415 which guides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body 41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nd passes through a point higher than the maximum water level set in the second tub body, And a second pump 417 for moving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pipe.

상기 제2드럼(6)은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상기 제2드럼(6)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second drum 6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rotatable within the second tub body 4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drum 6, As an example.

이 경우, 상기 제2드럼(6)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 바디(41) 내부에 위치하는 제2드럼 바디(61), 상기 제2드럼 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에 연통하는 제2드럼 투입구(63), 상기 제2드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 바디(61) 내부공간을 제2터브 바디(41) 내부공간과 연통시키는 다수의 제2관통홀(6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drum 6 includes a second drum body 61,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tub body 41 and has an inner hollow shape, through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is inserted A second drum loading port 6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ub loading port 43 to penetrate the second drum body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drum body 61 passes through the second tub body 41,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65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상기 제2드럼 투입구(63)는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2도어(145)를 통해 제2투입구(143)를 개방하면, 상기 제2드럼 투입구(63)는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바디 상부면(141a)에 노출된다. 제1처리장치와 제2처리장치가 캐비닛의 내부에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에 각각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각 처리장치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각 처리장치에 저장된 의류를 인출하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second drum loading port 63 is located below the second tub loading port 43. When the second loading port 143 is opened through the second door 145, Is exposed on the body upper surface 141a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lthough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lower space and the upper space in the cabinet,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that it is easy to put the clothes into the respective processing apparatuses or to take out the clothes stored in the respective processing apparatuses .

상기 제2드럼 바디(61)는 제2구동부(67)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제2구동부는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67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673), 상기 제2터브 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드럼 바디(61)의 바닥면과 제2로터(673)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675)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drum body 61 is rotated by a second driving unit 67. The second driving unit is composed of a second stator 67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41 to form a rotating system, A second rotor 673 rotating by a rotating magnetic field and a second rotating shaft 675 conne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rum body 61 and the second rotor 673 through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

도 3은 상기 제2회전축(675)이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지만, 상기 제2회전축(675)은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0도보다는 크고 90도 이하의 각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axis 675 is orthogon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However, the second rotation axis 675 may be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may be set to an angle of 90 degrees or less.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제1터브 바디(21)는 제1터브 지지부를 통해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ub body 21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side the cabinet 1 through the first tub supporting por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브 지지부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제1스프링(251),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제2스프링(253),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하부영역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댐퍼(255)로 구비될 수 있다.4, the first tub supporting part includes a first spring 251 for fixing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first tub body 21 to the cabinet 1, a first spring 251 for fixing the first tub body 21 to the cabinet 1, A second spring 253 for fixing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a of the first tub body 21 to the cabinet 1 and a damper 255 for fixing the lower circumferential area of the first tub body 21 to the cabinet .

상기 제1터브 바디의 원주면 상부영역은 상기 제1터브 바디의 원주면 중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H, 제1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의 상부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body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line (H,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drum body)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tub body 21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body Quot; region "

상기 댐퍼(255)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을 감쇠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진동을 감쇠시킬 뿐아니라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The damper 255 is a means for attenuating the vibration of the first tub body 21 and the first spring 251 and the second spring 253 are used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first tub body 21 As well as means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tub body 21.

상기 댐퍼(255)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하부영역을 상기 베이스패널(11) 또는 측면패널(13)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amper 255 may be provided to fix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ub body 21 to the base panel 11 or the side panel 13.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V, 제1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pring 251 and the second spring 253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ference to a vertical line V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tub body 21 and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drum body Position.

또한, 상기 제1터브 바디(21)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제1전방프레임과 제1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61)과 상기 제1터브 바디(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pring 251 and the second spring 253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61 connecting the first front frame and the first rear frame so as to firmly support the first tub body 21. [ And the first tub body 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제1스프링(251)과 제2스프링(253)은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유리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스프링(251)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과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스프링(253)은 상기 제1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상부영역과 제2터브 바디(41)의 바닥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rst spring 251 and the second spring 253 are advantageou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tub body 21 as the first spring 251 and the second spring 253 are closer to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1 spring 251 is provided to connect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body 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41 and the second spring 253 is connected to the first tub body 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body 41, as shown in FIG.

상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처리장치(4, 6)가 제1처리장치(2, 3)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터브 바디(21)가 제2터브 바디(4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상기 제1처리장치의 작동 시 제1터브 바디(21)에 발생한 진동이 제2터브 바디(41)에 전달되거나, 제2처리장치의 작동 시 제2터브 바디(41)에 발생한 진동이 제1터브 바디(2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Since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es 4 and 6 are located above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es 2 and 3 so that the first tub body 21 is located above the second tub body 41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That is,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first tub body 2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ub body 41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rocessing apparatus, or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econd tub body 41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prevent i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tub body 21.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서 발생한 진동은 제2구동부(67)를 통해 제2터브 바디(41)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구동부의 제2로터(673)와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2)는 상기 캐비닛(1)과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1)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상기 캐비닛과 제1터브 바디 사이의 최단거리(L1)의 두 배 이상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first tub body 21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ub body 41 through the second driving unit 67, so that the second rotor of the second driving unit The shortest distance L2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first tub body 21 is set equal to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cabinet 1 and the first tub body 21, Is set to be at least twice the shortest distance (L1)

상기 제1터브 바디(21)와 캐비닛(1) 사이의 최단거리(L1)는 상기 제1터브 바디(21)에 발생 가능한 진폭을 고려하여 설계되므로, 상기 제2로터(673)와 제1터브 바디(21) 사이의 최단거리(L2)가 제1터브 바디와 캐비닛 사이의 최단거리(L1) 이상으로 설정되면, 제1터브 바디(21)에서 발생한 진동이 제2터브 바디(41)로 전달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tub body 21 and the cabinet 1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plitude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first tub body 21,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first tub body 2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ub body 41 when the shortest distance L2 between the bodies 21 is set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L1 between the first tub body and the cabinet Can be minimized.

도 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제2도어(14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제2도어(145)를 통해 제2터브 바디(41)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FIG.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door 145 provid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door 145, And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tub body (41).

제2드럼(6)을 회전시켜 의류를 세탁할 경우, 제2터브 바디(41)에 저장된 물은 제2드럼의 회전 시 제2터브 실링부(45)를 통해 제2도어(145)로 이동할 수 있는데, 제2터브 바디(41) 내부의 물이 제2도어(145)로 이동하면 세탁과정에서 발생한 거품이나 오물이 제2도어(145)에 잔류할 가능성이 있다. 거품이나 오물이 제2도어(145)의 내주면에 잔류하게 되면, 의류처리장치의 위생적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는데, 상기 제2도어(145)를 통해 물이 제2터브 바디(41)로 공급되게 하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When the clothes are washed by rotating the second drum 6, the water stored in the second tub body 41 moves to the second door 145 through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45 when the second drum rotates If water in the second tub body 41 moves to the second door 145, bubbles or dirt generated in the washing process may remain in the second door 145. If bubbles or dirt remai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oor 145, sanitary control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become difficult. In this case,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tub body 41 through the second door 145 This can solve the problem.

상술한 효과의 구현을 위해, 상기 제2도어(145)는 내부에 구비되어 제2급수관(41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도어유로(145a), 상기 제2도어(145)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도어유로(145a) 내부의 물을 상기 제2터브 투입구(43)로 배출하는 배출구(145b)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mentioned effect, the second door 145 is provided inside the door 145a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second water supply pipe 411, and the second door 145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door 145, And an outlet 145b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door channel 145a to the second tub inlet 43. [

상기 배출구(145b)는 상기 제2도어(145)가 제2투입구(143)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2투입구(143)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도어(145)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유로(145a)에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door 145 closes the second inlet 143, the outlet 145b passes through the second door 145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inlet 143, so that the door 145a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베이스패널
12: 프론트패널 121: 제1투입구 123: 제1도어
125: 컨트롤패널 13: 측면패널 14: 하우징
141: 하우징 바디 143: 제2투입구 145: 제2도어
145a: 도어유로 145b: 배출구 15: 제1전방프레임
16: 제1후방프레임 161: 제1지지프레임 17: 제2전방프레임
18: 제2후방프레임 181: 제2지지프레임 19: 제3지지프레임
2: 제1터브 21: 제1터브 바디 23: 제1터브 투입구
231: 제1터브 실링부 251: 제1스프링 253: 제2스프링
255: 댐퍼 3: 제1드럼 31: 제1드럼 바디
33: 제1드럼 투입구 35: 제1관통홀 4: 제2터브
41: 제2터브 바디 43: 제2터브 투입구 45: 제2터브 실링부
6: 제2드럼 61: 제2드럼 바디 63: 제2드럼 투입구
65: 제2관통홀 71: 제2터브 지지부
100: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1: cabinet 11: base panel
12: front panel 121: first inlet 123: first door
125: control panel 13: side panel 14: housing
141: housing body 143: second inlet 145: second door
145a: Door channel 145b: Outlet 15: First front frame
16: first rear frame 161: first support frame 17: second front frame
18: second rear frame 181: second support frame 19: third support frame
2: first tub 21: first tub body 23: first tub inlet
231: first tub sealing portion 251: first spring 253: second spring
255: damper 3: first drum 31: first drum body
33: first drum inlet 35: first through hole 4: second tub
41: second tub body 43: second tub inlet 45: second tub sealing portion
6: second drum 61: second drum body 63: second drum inlet
65: second through hole 71: second tub support

Claims (11)

전방면에 구비되는 제1투입구 및 상부면에 구비되는 제2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터브;
상기 제1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와 상기 제1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제1터브 투입구;
상기 제1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드럼;
상기 제1투입구와 상기 제1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제1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캐비닛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터브 실링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의 상부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터브;
상기 제2터브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와 상기 제2투입구를 연통시키는 제2터브 투입구;
상기 제2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터브 투입구에 연통하며,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드럼;
상기 제2투입구와 상기 제2터브 투입구를 연결하며, 상기 제2터브 내부의 물이 상기 캐비닛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터브 실링부;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투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first input po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input por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first tub inlet provided in the first tub to communicate the first tub and the first inlet;
A first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tub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tub inlet and provide a space for storing clothes;
A first tub seal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inlet port and the first tub inlet port to prevent water in the first tub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A first do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 or close the first inlet;
A second tub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nd positioned above the first tub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second tub loading port provid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ub to communicate the second tub and the second loading port;
A second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tub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ub inlet and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tored;
A second tub sealing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inlet port and the second tub inlet port to prevent water in the second tub from leaking into the cabinet;
And a second doo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to open or close the second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브 실링부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주름관(Corrugate Tube)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is formed as a corrugate tube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브 실링부는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tub sealing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a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 실링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제2터브로 공급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second tub sealing part to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second tub; And
And a valve that opens or closes the water supply pipe.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 내부에 구비되는 도어유로;
급수원과 상기 도어유로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제2도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유로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터브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A door air passage provided in the second door;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door flow path;
And a discharge port provided to penetrate the second door and to discharge the water supplied to the door channel to the second tub.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2투입구를 폐쇄한 경우 상기 제2투입구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도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유로에 연결되는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at are connected to the door flow path through the second door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loading port when the second door closes the second loading port. .
제2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브에 고정되며,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
상기 제1스테이터가 발생시키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로터;
상기 제1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1로터를 연결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0도 이상 90도 미만의 각도로 구비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2터브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발생하는 제2스테이터;
상기 제2스테이터가 발생시키는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제2로터;
상기 제2터브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과 상기 제2로터를 연결하며,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대해 0도보다 크고 90도 이하의 각도로 구비되는 제2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3,
A first stator fixed to the first tub and forming a rotating system;
A first rotor rotating by a rot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first stator;
A first rotary shaft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first tub and connect the first drum and the first rotor, the first rotary shaft being disposed at an angle of 0 to 90 degrees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 second stator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to generate a rotating magnetic field;
A second rotor rotating by a rotor system generated by the second stator;
A second rotating shaft provid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tub and connect the second drum and the second rotor and being provided at an angle of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wherei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브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제2터브 지지부;
상기 제1터브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제2터브에 고정하는 제1스프링;
상기 제1터브의 원주면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 또는 상기 제2터브에 고정하며, 상기 제1드럼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스프링과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스프링;
상기 제1터브의 원주면 하부영역을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second tub support for fixing the second tub to the cabinet;
A first spring fix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to the cabinet or the second tub;
A second spring fixed to the cabinet or the second tub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first spring with respect to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drum;
Further comprising: a damper for fixing a lower reg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ub to the cabin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터와 상기 제1터브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제1터브 사이의 최단거리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tor and the first tub is set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first tub.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제1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패널;
상기 측면패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터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베이스패널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투입구가 구비된 프론트패널;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프론트패널이 고정되는 제1전방프레임;
상기 베이스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패널이 고정되는 제1후방프레임;
상기 제1전방프레임과 상기 제1후방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이 고정되는 제1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base panel defining a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 side panel provided along an edge of the base panel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tub;
A housing positioned above the side panels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the second tub, the housing defining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 front panel extending from the base panel to a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to form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he front panel having the first input port;
A first front frame provided on the base panel and to which the front panel is fixed;
A first rear frame provided on the base panel and to which the side panels are fixed;
And a first support frame connecting the first front frame and the first rear frame and fixing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제2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터브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터브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제2터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second support frame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frame an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tub suppor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tub.
KR1020160181563A 2016-12-28 2016-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83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63A KR102583496B1 (en) 2016-12-28 2016-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563A KR102583496B1 (en) 2016-12-28 2016-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00A true KR20180076900A (en) 2018-07-06
KR102583496B1 KR102583496B1 (en) 2023-09-27

Family

ID=6292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563A KR102583496B1 (en) 2016-12-28 2016-12-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49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509A (en)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and gascket cleaning method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4790168A (en) * 2015-04-21 2015-07-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509A (en)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oor and gascket cleaning method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4790168A (en) * 2015-04-21 2015-07-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496B1 (en)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48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US9487904B2 (en) Detergent dissolution device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127691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637091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WI586867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70016686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1389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ith drainage connector
KR2017000288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69732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TWI626352B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9211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0103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06555305B (en) Clothes treating device
KR20180076900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0373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2978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9488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28859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2118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52401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1854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89488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50236B1 (en) Washing machine
KR2018013228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