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578A -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578A
KR20180076578A KR1020160180884A KR20160180884A KR20180076578A KR 20180076578 A KR20180076578 A KR 20180076578A KR 1020160180884 A KR1020160180884 A KR 1020160180884A KR 20160180884 A KR20160180884 A KR 20160180884A KR 20180076578 A KR20180076578 A KR 2018007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attery
battery cell
power supply
sw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285B1 (ko
Inventor
안성욱
황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8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가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점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근거로 상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welling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가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점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근거로 상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용 기기,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에서 전기적 구동원으로서,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배터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석유, 석탄 등의 일차 에너지 사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신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만을 할 뿐, 그 외의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그로 인해, 과전압 및 과열 등을 이유로 발화 또는 팽창하여 폭발함으로써, 배터리를 구비 및 사용하는 기기까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상태 및 성능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단순히 배터리의 전압, 전류 및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배터리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배터리가 팽창하는 것을 감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가 전압, 전류 및 온도와 무관하게 내부 구조 고장으로 인해 팽창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이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여전히 배터리가 팽창하는 것을 감지 및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배터리의 물리적인 팽창을 감지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가 팽창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구비해야 하므로 그 설계 비용 및 체적이 증가되어, 실질적으로 이를 배터리에 적용하는 데 높은 비용이 소비될 뿐만 아니라, 여유 공간까지 확보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압력센서는 고온에서 고장이 발생할 수 있고, 온도센서는 고압하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장치의 고장 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39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가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점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근거로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접촉하게 되는 접점을 각각 도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도선의 표면을 절연체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선으로부터 전력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과도한 팽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는,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셀과, 상기 배터리셀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셀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셀이 물리적으로 팽창함으로써 접촉하게 되는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구비하는 감지회로와,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상기 배터리셀의 접촉에 의해 도통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저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제외한 표면이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상기 배터리셀의 접촉에 의해 도통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부로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은, 배터리셀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셀에서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셀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셀이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제1 접점 및 제2 접점에 접촉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도통되는 단계와,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도통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은, 상기 감지하는 단계로부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부를 통해 빛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빛을 방출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되, 저항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표면이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은, 상기 감지하는 단계로부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부로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가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접점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근거로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배터리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의 스웰링 현상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접촉하게 되는 접점을 각각 도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도선의 표면을 절연체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도선으로부터 전력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의 과도한 팽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스웰링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의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의 과정을 설명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부하'란, 전압 또는 전류를 수전하여 소비함으로써, 전기적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지칭하며, '모터' 또는 '발전기'등과 같은 동력원을 의미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의 구현 모습 및 배터리셀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는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라면 어떠한 기술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는 전원부(110), 배터리 셀(120), 하우징(130), 감지회로(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원부(110)는 하나 이상의 부하와 연결되며, 후술되는 배터리 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부하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부(110)는 배터리 셀(120)을 구비하는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전기자동차)에 기 설치되어 있는 마이콤(Micro Controller Unit; MCU)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 설치된 마이콤에 상기 감지회로(140) 및 상기 제어부(150)를 추가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 셀(120)은 상기 전원부(110)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전원부(110)에서 부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에너지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 셀(12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의 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130)은, 배터리 셀(120)의 일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120)은 과전압, 과전류, 고온 및 내부 구조 이상의 문제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여 팽창하되, 상기 하우징(130)에 의해 고정된 부분을 제외하고 팽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배터리 셀(120)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여 팽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 셀(120)의 표면 일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30)은 탄성력이 있는 소재 또는 절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다음으로, 감지회로(140)는 상기 전원부(11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30)에 의해 고정된 상기 배터리 셀(1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120)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여 팽창하는 경우, 팽창한 상기 배터리 셀(120)의 일측이 접촉하게 되는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와 상기 배터리 셀(120)의 소정 간격은 상기 배터리 셀(120)이 스웰링되어 팽창하는 경우, 접촉하게 되는 간격 내에서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은 상기 배터리 셀(120)이 팽창하여 접촉하는 경우 도통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후술되는 제어부(150)에서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회로(140)는 상기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이 도통되는 경우, 외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발광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142)는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현상을 인지 할 수 있도록 빛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142)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 필라멘트(Filament) 등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되되, 필요에 따라, 점광식 및 점멸식 중 어느 하나의 점등 방식으로 점등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회로(140)는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저항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항부(143)를 통해 상기 감지회로(140)가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 인해 파손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저항부(143)는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상기 발광부(142)로 공급하는 전력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함으로써, 상기 발광부(142)의 과전압 및 과전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항부(143)는 상기 감지회로(140)의 일측에 형성되되, 그 형성되는 위치가 가변적일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감지회로(140)는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을 연결하는 도선이 전도체 물질로 형성되되, 그 표면이 절연체(140`)로 이루어짐으로써, 과전압 및 과전류로 인해 상기 도선으로부터 전력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감지회로(1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이 도통되는 것을 근거로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에서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배터리셀(120)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지회로(120)를 통해 전원부(110)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원부(110)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배터리 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현상이 감지되는 상태(즉,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이 도통되는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신호 생성에 소정 시간 딜레이를 설정해놓았을 경우,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하되, 상기 스웰링 현상이 감지되는 상태로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원부(110)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120)의 일시적인 스웰링 현상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2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배터리 셀(120)마다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을 통해 다수의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현상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100)의 하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현 모습일 뿐, 필요에 따라, 회로를 부가 및 변경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상기 발광부(142)가 다수의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여부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감지회로(140)를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수의 배터리 셀(120) 중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팽창한 배터리 셀(120)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다수의 배터리 셀(120) 중 스웰링 현상이 발생한 상기 배터리 셀(120)만 용이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100)의 배터리 스웰링 감지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배터리 셀(120)에서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S401), 상기 배터리 셀(120)은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상기 감지회로(140) 상에 구비되는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에 접촉하게 된다(S402).
한편, 상기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은 상기 배터리 셀(120)이 접촉됨으로써 도통되며(S403),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1 접점(141) 및 제2 접점(141`)가 도통되는 것을 감지한다(S404).
또한, 상기 제1 점접(141) 및 제2 접점(141`)이 도통됨에 따라, 상기 감지회로(140) 상에 구비되는 발광부(142)는 상기 전원부(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S405)하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배터리 셀(120)의 스웰링 여부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소정 시간 이상 상기 제1 점점(141) 및 제2 접점(141`)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생성(S406)하며, 상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부(110)로 인가한다.
이어서, 상기 전원부(110)는 상기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배터리 셀(1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S407)하며, 그로 인해, 상기 배터리 셀(120)이 스웰링 현상으로 인해 팽창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110: 전원부
120: 배터리 셀
130: 하우징
140: 감지회로
140`: 절연체
141: 제1 접점
141`: 제2 접점
142: 발광부
143: 저항부
150: 제어부

Claims (10)

  1.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셀;
    상기 배터리셀의 일측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셀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셀이 물리적으로 팽창함으로써 접촉하게 되는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구비하는 감지회로; 및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상기 배터리셀의 접촉에 의해 도통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저항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을 제외한 표면이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상기 배터리셀의 접촉에 의해 도통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부로 인가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셀의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6. 배터리셀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배터리셀에서 전원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셀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배터리셀이 물리적으로 팽창하여 제1 접점 및 제2 접점에 접촉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도통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이 도통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은,
    상기 감지하는 단계로부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발광부를 통해 빛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방출하는 단계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되, 저항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표면이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도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은,
    상기 감지하는 단계로부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의 도통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부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배터리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웰링 감지 방법.
KR1020160180884A 2016-12-28 2016-12-28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20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884A KR102206285B1 (ko) 2016-12-28 2016-12-28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884A KR102206285B1 (ko) 2016-12-28 2016-12-28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578A true KR20180076578A (ko) 2018-07-06
KR102206285B1 KR102206285B1 (ko) 2021-01-21

Family

ID=6292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884A KR102206285B1 (ko) 2016-12-28 2016-12-28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53A1 (ko) * 2019-10-10 2021-04-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EP4071887A4 (en) * 2020-03-09 2023-12-20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BATTERY WITH ADDED SOURCE DETECTION UN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28B1 (ko) 2009-11-2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KR20140028931A (ko) * 2012-08-31 2014-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펄스 전원을 이용한 차량용 이차전지 스웰링 감지방법 및 장치
KR101419746B1 (ko) * 2008-10-13 2014-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swelling 감지장치
KR20150012793A (ko) *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JP5844664B2 (ja) * 2012-03-13 2016-01-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46B1 (ko) * 2008-10-13 2014-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swelling 감지장치
KR101093928B1 (ko) 2009-11-26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고온 스웰링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JP5844664B2 (ja) * 2012-03-13 2016-01-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KR20140028931A (ko) * 2012-08-31 2014-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펄스 전원을 이용한 차량용 이차전지 스웰링 감지방법 및 장치
KR20150012793A (ko) * 2013-07-26 2015-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53A1 (ko) * 2019-10-10 2021-04-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비 일시적 저장 매체
EP4071887A4 (en) * 2020-03-09 2023-12-20 LG Energy Solution, Ltd. POUCH BATTERY WITH ADDED SOURCE DETEC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85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348B1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US9774026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over-charge for battery of vehicle
CN110720157B (zh) 电池组和控制电池组的方法
JP5048366B2 (ja) 保護装置
KR102194985B1 (ko)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80076578A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57732A (ko) 이차 전지용 보호 장치
KR102044598B1 (ko)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EP3151421A1 (en) Smart grid system, for black box,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N107210405B (zh) 监控电池的至少一个电池单体的状态参量的方法
KR101985761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8039528B (zh) 电池组件充电控制方法及电池组件
KR101264020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제어방법
KR101750488B1 (ko) 직렬 연결된 ptc 서미스터들을 포함하는 이상온도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503240B1 (ko) 슈퍼커패시터 이상 감지 센서 모듈
US112094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insulation resistance
KR20170051062A (ko) 배터리 팩의 직병렬 동작 제어 장치
CN108054457B (zh) 电池安全监控设备及方法
CN107912060B (zh) 用于识别蓄能器设备故障的测量设备
KR20170051898A (ko) 배터리 과충전 안전 시스템
CN108001233A (zh) 电动汽车及其停车漏电保护装置
US10476067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al combination
KR102527396B1 (ko) 셀 밸런싱 장치
WO2018206282A1 (en) Battery module with reduced short circuit current
KR20170051060A (ko) 배터리 팩의 직병렬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