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476A - Method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body typ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body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6476A KR20180076476A KR1020160180679A KR20160180679A KR20180076476A KR 20180076476 A KR20180076476 A KR 20180076476A KR 1020160180679 A KR1020160180679 A KR 1020160180679A KR 20160180679 A KR20160180679 A KR 20160180679A KR 20180076476 A KR20180076476 A KR 201800764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wearer
- hanbok
- shoulder
- upper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신체 또는 반신체와 같은 신체유형에 따라 한복 저고리 및 한복 치마를 제작하여 착용감을 향상시켜줄 뿐 아니라 한복 고유의 멋을 유지시킬 수 있는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king a hanbok according to a body type, more specifically, to make hanbok jeogori and a hanbok skirt according to a body type such as an oyster body or a half body to improve the fit feel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body type.
한복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상·관습·행위·기술 등의 양식과 정신이 깃든 한민족(韓民族) 고유의 의복으로서 조선옷이라고도 한다.Hanbok is a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ith a style and spirit of ideas, customs, acts, and techniques that have been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한복은 수십년전만 하더라도 외출복이나 예복뿐만 아니라 평상복으로도 착용하였으나, 착용방법이 복잡하고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으로 인해 주로 평상복보다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명절, 경사, 상례, 제례 등에서 예복으로 주로 착용한다.Although Hanbok was worn as a casual wear as well as outfits and dresses decades ago, it is mainly worn as a robe in holidays, festivals, ceremonies, ceremonies, etc., which are more formal than ordinary casual clothes due to the complicated and practical problems.
그러나 한복은 착용자의 어깨넓이, 팔길이 등과 같은 신체치수에 맞춰 정확하게 제작하기 때문에 착용 후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hanbok is manufactured accurately according to the body dimensions such as the shoulder width, the arm length, etc. of the wearer, it can cause discomfort after wearing.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73066호(등록일자: 2002년 04월 10일)에서는, 종래의 한복저고리에 있어서 상기 한복저고리의 앞판과 뒷판이 겹쳐지는 동아리부에 앞판의 아래에 절개하지 않고 여분으로 남긴 상태로 재단한 앞판시접부와 뒷판의 뒷판겉지와 뒷판안지의 아래에 절개하지 않고 여분으로 남긴 상태로 재단한 뒤판시접부를 형성하되 상기 앞판시접부는 안쪽으로 말려 있는 두장의 뒤판시접부 사이에 끼워 서로 겹쳐진 상태로 재봉하여 재봉시접부를 형성하고, 상기 재봉시접부의 상부는 고정재봉선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겨드랑이 품조절이 가능한 한복저고리가 게재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73066 (registered on Apr. 10, 2002), in a conventional hanbok choker, the front and rear panels of the hanbok choke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front plate contact portion and the rear plate contact portion are cut without leaving an incision. The front plate contact portion and the back plate contact portion are cut off in a state where they are left without being cut under the back plat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wing contact portion is fixed by a fixed seam,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wing contact portion is fixed by a fixed seam.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273066호는 한복의 겨드랑이 품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굴신체 또는 반신체와 같은 신체 유형을 갖는 착용자가 착용할 경우 착용감이 현저히 낮아질 뿐만 아니라 옷매무새가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registrant utility model No. 20-0273066 can adjust the underarms of the hanbok, the wearer having the body type such as the oval body or the half body is not only significantly lowered in wearing feeling, .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굴신체 또는 반신체와 같은 신체 유형을 갖는 착용자에 따라 한복을 제작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is a demand for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a wearer having a body type such as oval body or half bod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표준 체형과 비교해 앞으로 굽은 체형인 굴신체 또는 표준 체형에 비해 젖혀진 반신체와 같은 신체 유형을 갖는 착용자가 한복 저고리 및 한복 치마를 착용하였을 경우 등이 뜨고 당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case where a wearer wearing a hanbok jeogori and a hanbok skirt wearing a body type such as an oval body which is bent forward as compared with a standard body or a hal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body type that can prevent the back and back phenomenon of the hanbok.
또한, 착용자가 활동 시에도 한복 전통의 멋을 유지시키면서 착용자의 신체 유형을 보완할 수 있는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body type that can complement the body type of the wearer while keeping the hanbok tradition in style while the wearer is activ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은 등이 굽은 착용자의 상체 앞쪽을 감싸면서 일정치수의 앞품을 갖도록 앞안길 및 앞겉길로 형성된 앞길과, 상기 앞길과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뒷쪽을 감싸도록 상기 앞품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 뒷길을 준비하는 길준비단계와, 상기 뒷길에서 한복저고리의 저고리길이 부분에 곡선형상의 등솔기를 형성하는 등솔기형성단계와, 상기 뒷길에 깃이 연결되기 위한 깃고대의 양측단에서 진동으로 갈수록 사선으로 형성된 뒷길어깨선과, 상기 앞길에 상기 깃고대에서 진동으로 갈수록 수평으로 형성된 앞길어깨선이 바느질되어 어깨솔기를 형성하는 어깨솔기형성단계와, 상기 착용자의 상체 앞쪽을 감싸는 앞안길과 앞겉길이 벌어져 상기 착용자의 상체 앞쪽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앞안길에 상기 깃과 인접한 윗쪽이 상기 등솔기에서 1.2cm 내지 1.5cm가 돌출되고 아랫쪽이 상기 등솔기에서 2cm 내지 2.5cm가 돌출되도록 안섶을 부착하는 안섶부착단계와, 상기 안섶과 중첩되도록 상기 앞겉길에 겉섶을 부착하는 겉섶부착단계와, 상기 앞길과 뒷길의 도련을 바느질하는 도련바느질단계와, 상기 도련이 바느질된 앞길과 뒷길의 진동에 소매를 연결하여 저고리를 완성하는 소매연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bok manufacturing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waist and a front waist formed to have a front waist and a front waist so as to surround a front waist of a back waist, A step of preparing a back leg which is larger in size than the front leg so as to wrap the back of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 step of forming a soccer leg in a form of a curved shape in the leg length of the leg of the hanbok, A shoulder seam forming step of forming shoulder seams by stitching a front shoulder line formed horizontally in the front leg with a vibration in the front leg, and a shoulder seam forming step of forming a shoulder seam at both ends of the leg, A front passageway and a front passageway extending in front of the upper body are opened to expose the front side of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an anchor in such a manner that an upper side adjacent to the collar protrudes from the washer at a distance of 1.2 cm to 1.5 cm and a lower side projects from the shoulder at a distance of 2 cm to 2.5 cm, A step of stitching the stitches of the front and back stitches, a step of connecting the sleeves to the vibrations of the front and back stitches,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도련바느질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위치되는 진동선의 아랫부분에 트임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eeding stitching step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ibration line where the lower side of the wearer is position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팔이 움직일 경우 상기 착용자의 상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부분이 위치되는 진동에 일정크기의 당을 연결하는 당연결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urther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sugar-attaching step of connecting a sugar of a predetermined size to a vibration in which the armpit portion of the wearer is positioned to prevent the wearer's upper body from being exposed when the arm of the wearer moves desi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 체형과 비교해 앞으로 굽은 체형인 굴신체 또는 표준 체형에 비해 젖혀진 반신체와 같은 신체 유형을 갖는 착용자가 한복 저고리 및 한복 치마를 착용하였을 경우 등이 뜨고 당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용자의 신체 유형에 따라 한복을 제작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earer wearing a hanbok jeogori and a hanbok skirt wearing a body type such as an oval body that is bent forward or a half body that is bent compared to a standard body compared to a standard body,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wearability of the wearer as well as to wear comfortably in daily life,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
또한, 착용자가 활동 시에도 한복 전통의 멋을 유지시키면서 착용자의 신체 유형을 보완할 수 있어 착용자의 활동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적 결함을 보완해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층이 확대될 수 있어 한복 판매점 등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arer's activity and satisfaction because it can complement the wearer's body type while maintaining the fashion of the traditional costume of the wearer even when the wearer is active, and the consumer can be expanded because it can compensate the wearer's physical def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a retailer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앞안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당이 연결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당이 연결된 상태도.1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hanbok jeogori manufactured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hanbok jeogori manufactured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hanbok jeogor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ugar-coated piece of a Korean traditional dress is made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acrificial body of a hanbok jeogori manufactured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body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배면도이다.FIG. 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hanbok hang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of a Hanbok Chogori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앞안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당이 연결된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의 당이 연결된 상태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a hanbok jeogori manufactured according to a body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bok jeogor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tate in which sugar chains of the Hanbok Chogori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body typ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even when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Also, directional terms such as "top", "bottom", "front", "back", "front", "forward", "rear", etc. ar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orientation of the disclosed drawing (s). Since the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ositioned in various orientations, the directional terminology is u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not limit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등이 굽은 착용자의 상체 앞쪽을 감싸는 앞길(10)과, 상기 앞길(10)과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상체 뒷쪽을 감싸는 뒷길(20)을 준비한다(S10).1 to 3,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앞길(10)은, 상기 착용자의 상체 앞쪽을 감싸면서 일정치수의 앞품을 갖도록 형성되며, 앞안길(11)과 앞겉길(12)로 형성된다.The
상기 뒷길(20)은, 상기 착용자의 상체 뒷쪽을 감싸면서 상기 앞길(10)의 앞품보다 0.5cm 내지 0.7cm 더 큰 뒷품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The
또한, 상기 뒷길(20)에는 한복저고리의 저고리길이 부분에 곡선형상의 등솔기(25)를 형성한다(S20).In addition, a curve-
다시 말해, 상기 뒷길(20)에서 한복저고리의 저고리길이 부분에 상기 착용자의 등이 굽은 위치와 굽은 정도에 따라 시접에서 바깥쪽으로 곡선형상의 등솔기(25)를 형성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이때, 상기 등솔기(25)는 상기 착용자의 등이 굽은 위치와 굽은 정도에 따라 곡률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of the
상기와 같이 곡선형상의 등솔기(2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착용자의 등부분이 뜨거나 당기는 현상을 방지하여줄 수 있어 착용의 불편함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ved isola-
상기 등솔기(25)가 형성된 뒷길(20)에는 깃을 연결하기 위한 깃고대(41)를 형성해야 하며, 상기 깃고대(41)는 8cm 내지 8.5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상기 뒷길(20)과 앞길(10)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뒷길(20)에 형성된 뒷길어깨선과 상기 앞길에 형성된 앞길어깨선이 바느질되어 어깨솔기(30)를 형성한다(S30).A back shoulder line formed on the
상기 뒷길어깨선은 상기 뒷길(20)에 상기 깃고대(41)의 양측단에서 진동으로 갈수록 사선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뒷길(20)의 뒷길어깨선은 상기 깃고대(41)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0.5cm 내지 0.7cm를 올린 점에서 진동(33)으로 갈수록 사선으로 형성되어야 한다.The back shoulder line is formed obliquely from the both side ends of the
상기 앞길어깨선은 상기 앞길(10)에 상기 깃고대(41)의 양측단에서 진동(33)으로 갈수록 수평이 되도록 형성된다.The front shoulder line is formed in the
상기 형성된 뒷길어깨선과 앞길어깨선을 바느질하여 어깨솔기(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앞길(10)과 상기 뒷길(20)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어깨솔기(30)로 인해 상기 깃고대(41)에 깃(40)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신체와의 마찰 또는 세탁에 의한 깃(40)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어깨솔기를 형성하지 않고 어깨부분에 가윗집만 내어 깃을 연결할 경우 착용자의 굽은 등으로 인한 신체와의 마찰 또는 세탁에 의해 깃고대가 약해지고 미여짐으로 인해 깃이 훼손되지만, 상기 어깨솔기를 형성하면서 깃을 깃고대에 연결할 경우 상기 깃이 깃고대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신체와의 마찰 또는 세탁에 의해 깃이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길(10)의 앞안길(11)에는 상기 앞안길(11)과 상기 앞겉길(12)이 벌어짐으로 인해 상기 착용자의 상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섶(50)을 부착시킨다(S40).4, in order to prevent the wearer's upper body from being exposed due to the spreading of the
상기 안섶(50)은 상기 앞안길(11)에 상기 깃(40)과 인접한 윗쪽이 상기 등솔기(25)에서 1.2cm 내지 1.5cm가 돌출되고, 아랫쪽이 상기 등솔기(25)에서 2cm 내지 2.5cm가 돌출되도록 부착되어야 한다.The upper part of the
상기 앞안길(11)에 부착된 안섶(50)과 중첩되도록 상기 앞겉길(12)에 겉섶(60)을 부착시킨다(S50).The
상기 겉섶(60)은 상기 깃고대(41)의 중심에서 상기 진동(33) 방향으로 2.5cm 내지 3cm 들어간 점에서 상기 앞안길(11) 방향으로 사선이 되도록 상기 앞겉길(12)에 부착된다.The
상기 겉섶(60)이 부착된 앞겉길(12)이 상기 안섶(50)이 부착된 앞안길(11)에 중첩될 경우 상기 앞겉길(12)와 앞안길(11)이 벌어지더라도 상기 착용자의 상체 앞쪽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Even if the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앞길(10)과 뒷길(20)의 도련을 바느질한다(S60).The front and
여기서, 상기 앞길(10)과 뒷길(20)의 도련을 바느질할 경우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위치되는 진동(33)의 아랫부분에 트임(35)을 형성할 수 있다. Here, when stitching the front and
상기 트임(35)은 상기 진동(33)에서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7cm일 경우 3cm 내지 3.5cm가 트여 형성될 수 있다.The trim (35) may be formed with a length of 3 cm to 3.5 cm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wearer's side is 7 cm in the vibration (33).
상기 트임(3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등이 굽은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앞이 뒤로 당겨 쓸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게 된다.By forming the
상기 도련이 바느질된 앞길(10)과 뒷길(20)의 진동(33)에 소매(70)를 연결하여 저고리를 완성시킨다(S70).The
상기 소매(70)는 상기 뒷길(20)의 진동(33)에 형성된 트임위치에서부터 상기 앞길(10)의 진동(33)과 함께 소매배래까지 네겹 바느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상기 소매(70)가 연결된 후 상기 앞길(10)에는 옷고름(미도시)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옷고름(미도시)는 상기 앞안길(11)에 일정길이의 옷고름을 부착하고, 상기 앞겉길(12)에 상기 앞안길(11)에 부착된 옷고름보다 길이가 긴 옷고름을 부착할 수 있다.Here, after the
이때, 상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부분이 위치되는 진동(33)에는 일정크기의 당(80)을 연결할 수 있다(S80).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5 to 6, a
상기 당(80)은 상기 진동(33)과 소매(7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진동(33)과 소매(70) 사이에 이격되는 여유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The
상기 당(80)을 연결함으로 인해 상기 착용자가 팔을 움직일 때 상기 앞길(10)이 당기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착용자의 상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By connecting the sugar (8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ont body (10) from being pulled when the wearer moves the arm,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from being exposed.
여기서, 상기 당(80)은 바이어스 천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sugar (80) may be a bias cloth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한복저고리가 제작됨으로써 굴신체 또는 반신체와 같은 신체 유형을 갖는 착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한복 저고리 앞쪽이 위로 당겨 쓸려가서 안섶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음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wearer wearing a body type such as an oval body or a half body is worn by wearing a hanbok jeogori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of the hanbok jeogori is pulled up to be washed and prevented from spreading, You can wear comfortably in everyday life.
또한, 착용자가 활동 시에도 한복 전통의 멋을 유지시키면서 착용자의 신체 유형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wearer is active, it is possible to complement the wearer's body typ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style of the hanbok.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굴신체 또는 반신체에 따라 제작된 한복 저고리와 함께 착용되는 한복 치마는, 상기 착용자의 하체를 감싸면서 앞자락보다 뒷자락이 3cm 내지 4cm 더 짧게 형성되는 치마를 준비한 후 상기 치마의 상단에 상기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 앞으로 여밀 수 있도록 앞여밈으로 형성된 치마조끼를 구성할 수 있다.The hanbok skirt, which is worn together with the hanbok jeogori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oyster body or the half body as described above, prepares a skirt which is formed with a back side of 3 cm to 4 cm shorter than the front side while covering the lower body of the wearer, A skirt vest formed by the front closure can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d to be dug forward.
상기와 같이 신체 유형에 따라 제작된 한복은, 표준 체형과 비교해 앞으로 굽은 체형인 굴신체 또는 표준 체형에 비해 젖혀진 반신체와 같은 신체 유형을 갖는 착용자가 한복 저고리 및 한복 치마를 착용하였을 경우 등이 뜨고 당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착용자의 신체 유형에 따라 한복을 제작하여 착용자의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어 제품의 기능성을 대폭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anbok made according to the body type has a tendency to be worn when a wearer wearing a hanbok jeogori and a hanbok skirt wearing a body type such as an oval body that is bent forward or a half body that is bent compared to a standard body compared to a standard body It is possible to make a hanbok according to the body type of the wearer so as to prevent the rising and pulling phenomenon, thereby remarkably enhancing the wearer's feeling of wearing, and being able to wear comfortably in everyday life, It is effective.
또한, 착용자가 활동 시에도 한복 전통의 멋을 유지시키면서 착용자의 신체 유형을 보완할 수 있어 착용자의 활동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적 결함을 보완해줄 수 있기 때문에 소비층이 확대될 수 있어 한복 판매점 등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earer's activity and satisfaction because it can complement the wearer's body type while maintaining the fashion of the traditional costume of the wearer even when the wearer is active, and the consumer can be expanded because it can compensate the wearer's physical defec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a retailer or the lik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앞길
11: 앞안길
12: 앞겉길
20: 뒷길
25: 등솔기
30: 어깨솔기
33: 진동
35: 트임
40: 깃
41: 깃고대
50: 안섶
60: 겉섶
70: 소매
80: 당10: Front pass 11: Front pass
12: front surface 20: back road
25: Isolator 30: Shoulder seam
33: Vibration 35: All
40: Feather 41: The petting
50: Not sure 60: Outside
70: Retail 80: per
Claims (3)
상기 뒷길에서 한복저고리의 저고리길이 부분에 곡선형상의 등솔기를 형성하는 등솔기형성단계와,
상기 뒷길에 깃이 연결되기 위한 깃고대의 양측단에서 진동으로 갈수록 사선으로 형성된 뒷길어깨선과, 상기 앞길에 상기 깃고대에서 진동으로 갈수록 수평으로 형성된 앞길어깨선이 바느질되어 어깨솔기를 형성하는 어깨솔기형성단계와,
상기 착용자의 상체 앞쪽을 감싸는 앞안길과 앞겉길이 벌어져 상기 착용자의 상체 앞쪽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앞안길에 상기 깃과 인접한 윗쪽이 상기 등솔기에서 1.2cm 내지 1.5cm가 돌출되고 아랫쪽이 상기 등솔기에서 2cm 내지 2.5cm가 돌출되도록 안섶을 부착하는 안섶부착단계와,
상기 안섶과 중첩되도록 상기 앞겉길에 겉섶을 부착하는 겉섶부착단계와,
상기 앞길과 뒷길의 도련을 바느질하는 도련바느질단계와,
상기 도련이 바느질된 앞길과 뒷길의 진동에 소매를 연결하여 저고리를 완성하는 소매연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A front leg which is formed by a front leg and a front leg so as to cover a front side of the upper body of the bent person and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a back leg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leg so as to cover the back of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 road preparatory step,
A sole forming step of forming a curved isoquacer in the length of the jeogori of the hanbok choko in the back,
A step of forming shoulder seams on both sides of the legs for connecting the feathers to the back of the legs, the shoulders forming a shoulder line formed by an oblique line as the vibration progresses, and the front shoulder lines formed by horizontally forming the front legs, ,
In order to prevent the front of the wearer's front body and the front of the wearer's body from being exposed, the front side of the wearer's upper shoulder protrudes from the shoulder by 1.2 cm to 1.5 cm, An attachment step of attaching an anchor to protrude from 2 cm to 2.5 cm,
A step of attaching a front surface to the front surface so as to overlap with the front surface,
A stitch sewing step of stitching the front and back stitches,
And a sleeve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the sleeves to the vibrations of the front and back stitched stitches to complete the jacket.
상기 도련바느질단계는,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위치되는 진동선의 아랫부분에 트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hanbok according to the body ty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knitting stitching step forms a hem on a lower portion of a vibration line where a lower portion of an underarm of the wearer is located.
상기 착용자의 팔이 움직일 경우 상기 착용자의 상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착용자의 겨드랑이 부분이 위치되는 진동에 일정크기의 당을 연결하는 당연결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유형에 따른 한복 제작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sugar-attaching step of connecting a sugar of a predetermined size to a vibration in which the armpit portion of the wearer is positioned to prevent the wearer's upper body from being exposed when the arm of the wearer moves,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679A KR101881088B1 (en) | 2016-12-28 | 2016-12-28 | Method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body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0679A KR101881088B1 (en) | 2016-12-28 | 2016-12-28 | Method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body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6476A true KR20180076476A (en) | 2018-07-06 |
KR101881088B1 KR101881088B1 (en) | 2018-08-17 |
Family
ID=6292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0679A KR101881088B1 (en) | 2016-12-28 | 2016-12-28 | Method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body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108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37213A (en) * | 2020-10-23 | 2020-12-29 | 西京学院 | Method for making Chinese garment picture of women's clothe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8870U (en) * | 1997-08-13 | 1999-03-05 | 양인효 | Margot, Vest |
KR20120013148A (en) * | 2010-08-04 | 2012-02-14 | 김홍갑 | Korean traditional jacket |
KR101443338B1 (en) * | 2013-05-31 | 2014-09-29 | 양하나 | Korean traditional jacket having enhanced wearing sensations |
-
2016
- 2016-12-28 KR KR1020160180679A patent/KR1018810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8870U (en) * | 1997-08-13 | 1999-03-05 | 양인효 | Margot, Vest |
KR20120013148A (en) * | 2010-08-04 | 2012-02-14 | 김홍갑 | Korean traditional jacket |
KR101443338B1 (en) * | 2013-05-31 | 2014-09-29 | 양하나 | Korean traditional jacket having enhanced wearing sensations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한복 저고리 보고서(네이버, 블로그, 2010.05.22.) * |
한복 저고리 보고서(네이버, 블로그,2010.05.22.)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37213A (en) * | 2020-10-23 | 2020-12-29 | 西京学院 | Method for making Chinese garment picture of women's cloth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1088B1 (en) | 2018-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2144823A (en) | Garment with sleeve, and paper pattern for the same | |
JP6551759B1 (en) | Clothing with cup | |
US3949426A (en) | Conforming ladies garments having smooth lines | |
JP6748863B1 (en) | Jacket | |
US3719956A (en) | Underarm construction for garments | |
KR101443338B1 (en) | Korean traditional jacket having enhanced wearing sensations | |
KR101881088B1 (en) | Method of making korean traditional clothes according to body type | |
US2358113A (en) | Bathing suit | |
KR101511919B1 (en) | Coat string | |
US2386768A (en) | Garment construction | |
US20190174842A1 (en) | Jacket, tie and shirt combination | |
CN208624667U (en) | Stand-up collar cotta POLO shirt | |
CN208624666U (en) | A kind of stand-up collar cotta POLO shirt | |
CN208639645U (en) | A kind of cotta POLO shirt | |
JP3124666U (en) | Fashion kimono | |
JP2987087B2 (en) | Clothes | |
KR101909385B1 (en) | Production Method Hanbok jacket | |
KR101159546B1 (en) | Functional Clothes With Alternative Sleeves | |
JP7244365B2 (en) | jacket | |
JP7328672B2 (en) | Reformed kimono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0496105Y1 (en) | Clothing with Brassiere Functions | |
JP5134151B1 (en) | Upper garment | |
JPS5837921Y2 (en) | Japanese and Western clothing | |
CN204483108U (en) | Wind coat seam construction system | |
JP2018135607A (en) | Japanese kimon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