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462A -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462A
KR20180076462A KR1020160180638A KR20160180638A KR20180076462A KR 20180076462 A KR20180076462 A KR 20180076462A KR 1020160180638 A KR1020160180638 A KR 1020160180638A KR 20160180638 A KR20160180638 A KR 20160180638A KR 20180076462 A KR20180076462 A KR 20180076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under
sink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준
엄주혁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462A/ko
Publication of KR20180076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수처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수처리 장치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언더싱크 정수기; 및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에 의해 공급되는 정수 또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여 생성한 온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장치는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여 정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수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언더싱크 정수기(Under the sink; UTS)는 정수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직수 방식의 정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수처리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언더싱크 정수기 본체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고, 싱크대 상부에 설치된 파우셋을 통해 정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기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 1은, 언더 싱크형 정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4671103호 (공개일: 2006.06.29.)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는 언더싱크 정수기를 통해 보다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정수기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처리 장치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언더싱크 정수기; 및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에 의해 공급되는 정수 또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여 생성한 온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는 언더싱크 정수기를 통해 정수 및 온수를 제공할 수 있고, 언더싱크 정수기 및 디스펜서 내부의 동작 순서를 개선하여 보다 원활하게 정수 추출 및 온수 추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언더싱크 정수기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는 언더싱크 정수기(100) 및 디스펜서(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언더싱크 정수기(100)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 및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부(110)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부(110)는 세디먼트 필터 및 프리카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처리 필터와,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 중공사막(UF) 필터, 나노 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인 필터와, 포스트카본 필터를 포함하는 후처리 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언더싱크 정수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펜서(2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언더싱크 정수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에 의한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130)는 디스펜서(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싱크 정수기(100) 및 디스펜서(200)가 서로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거나, 언더싱크 정수기(100) 및 디스펜서(200)가 각각 WiFi,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200)는 언더싱크 정수기(100)와 별도로, 예를 들어 싱크대 상부에 설치되어 언더싱크 정수기(100)에 의해 생성된 정수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공급하거나, 이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210), 제어부(220), 통신부(230), 디스플레이(240), 히터(250) 및 추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기계식 또는 터치식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10)를 통해 정수 추출 또는 온수 추출 입력을 받아서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디스펜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펜서(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230)를 통해 언더싱크 정수기(1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정수 추출 신호를 전달받으면 통신부(230)를 통해 언더싱크 정수기(100)로 정수 추출 신호를 전달하고, 이와 더불어 디스펜서(200) 내부의 정수 공급 유로 상의 밸브를 개방하여 추출부(260)를 통해 정수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입력부(210)로부터 온수 추출 신호를 전달받으면 통신부(230)를 통해 언더싱크 정수기(100)로 온수 추출 신호를 전달하고, 이와 더불어 디스펜서(200) 내부의 온수 공급 유로 상의 밸브를 개방하고 히터(250)를 작동시켜 추출부(260)를 통해 온수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20)에 의한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230)는 언더싱크 정수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유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싱크 정수기(100) 및 디스펜서(200)가 서로 유선 케이블로 연결되어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거나, 언더싱크 정수기(100) 및 디스펜서(200)가 각각 WiFi,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수처리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LED, LCD 등과 같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40)는 언더싱크 정수기(100)로부터 수신한 유량값을 기초로 계산된 필터 사용량 정보 또는 필터 교환 주기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40)는 언더싱크 정수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원수 및 정수의 TDS 정보나, 언더싱크 정수기(100)의 고장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히터(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유입되는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식을 채용한 순간 온수 생성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출부(260)는 언더싱크 정수기(100)로부터 공급된 정수 또는 히터(250)에 의해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언더싱크 정수기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급라인(L1)을 통해서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1 전처리 필터(111)에 의해 여과된 후, 연결라인(L2)을 통해서 제2 전처리 필터(112)로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제2 전처리 필터(112)에 연결된 입수연결라인(L3)에는 공급밸브(V1)와 펌프(P)가 구비되며, 공급밸브(V1)를 개방하고 펌프(P)를 구동하면 제1 및 제2 전처리 필터(111, 112)에 의해 여과된 물이 입수연결라인(L3)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113)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입수연결라인(L3)에는 입수연결라인(L3)을 유동하는 물의 TDS를 감지하는 입수 TDS 센서(ST1)와 입수연결라인(L3)을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SF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입수연결라인(L3)에는 조리수 추출부재(141)와 연결되는 조리수라인(L4)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역삼투압 필터(113)는 역삼투막(미도시)에 의해 비여과측과 여과측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입수연결라인(L3)과 생활용수라인(L6)은 역삼투압 필터(113)의 비여과측(미도시)에 연결되고, 출수연결라인(L5)은 역삼투압 필터(113)의 여과측(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역삼투압 필터(113)로 유입된 물의 일부는 역삼투막(미도시)을 통과하면서 여과되어 출수연결라인(L5)으로 유출되고, 역삼투막(미도시)에 의해 여과되지 못한 나머지 물은 생활용수로서 생활용수라인(L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생활용수라인(L6)에는 생활용수밸브(V2)가 구비되며, 생활용수밸브(V2)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113)에 소정의 여과압력이 형성되면서 역삼투압 필터(113)의 역삼투막(미도시)에 의해서 여과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생활용수라인(L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출수연결라인(L5)에는 출수연결라인(L5)을 유동하는 물의 TDS를 감지하는 출수 TDS 센서(ST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수연결라인(L5)에는, 예를 들어 출수 TDS 센서(ST2)의 후단에는, 드레인라인(L7)이 연결되어 역삼투압 필터(113)에 의해 여과된 물이 외부로 드레인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라인(L7)에는 드레인밸브(V3)가 구비되며, 예를 들어, 역삼투압 필터(113)에 의해 여과되어 출수연결라인(L5)으로 유출되는 물의 TDS 농도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면 드레인밸브(V3)가 개방되어 드레인라인(L7)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또한, 출수연결라인(L5)에는 후처리 필터(114)가 연결되고, 후처리 필터(114)는 배출라인(L8)에 의해 배출부재(14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라인(L8)에는 배출밸브(V4)가 구비되며, 배출밸브(V4)가 개방되면 역삼투압 필터(113)에서 여과된 물이 후처리 필터(114)에서 여과된 후 배출라인(L8)을 유동하여 배출부재(1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일 구현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참조하면, 연결라인(L9)을 통해서 언더싱크 정수기(100)로부터 공급된 정수는 정수추출라인(L10)을 유동하여 추출부(260)를 통해서 추출되거나, 히터입수라인(L11)을 유동하여 히터(250)에 의해 가열된 후 온수추출라인(L12)을 유동하여 추출부(260)를 통해서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라인(L9)에는 입수밸브(V5)가 구비되며, 입수밸브(V5)가 개방되면 언더싱크 정수기(100)에서 배출부재(142)를 통해 배출되는 정수가 디스펜서(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라인(L9)에는 연결라인(L9)을 유동하는 정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SF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정수추출라인(L10)에는 정수추출밸브(V6)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정수 추출이 선택되면 정수추출밸브(V6)가 개방되어 연결라인(L9)을 유동하는 정수가 정수추출라인(L10)을 유동하여 추출부(26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정수추출밸브(V6)의 전단에는 체크밸브(CV)가 추가로 구비되어 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히터입수라인(L11)에는 히터입수밸브(V7)가 구비되며, 사용자에 의해 온수 추출이 선택되면 히터입수밸브(V7)가 개방되어 연결라인(L9)을 유동하는 정수가 히터입수라인(L11)을 유동하여 히터(25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온수추출라인(L12)에는 온수추출밸브(V8)가 구비되며, 히터(25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온수추출밸브(V8)가 개방되어 온수가 온수추출라인(L12)을 유동하여 추출부(26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또한, 히터(250)에는 온수드레인라인(L13)이 더 연결되고, 온수드레인라인(L13)에는 온수드레인밸브(V9)가 구비되며, 히터(250)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목표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온수드레인밸브(V9)가 개방되어 온수가 온수드레인라인(L13)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의 동작 흐름도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의한 조리수 추출 동작 흐름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의한 정수 추출 동작 흐름을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장치에 의한 온수 추출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리수 추출 부재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조리수 추출을 개시하면(S41),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전처리 필터에 의해 여과되고(S42), 이에 따라 UTS에 구비된 유량센서가 작동할 수 있다(S43).
이후, 조리수 추출 부재를 통해 조리수가 추출되고(S44), 사용자가 조리수 추출 부재를 폐쇄하는 것에 의해 조리수 추출이 정지되면(S45), UTS는 디스펜서로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량값을 전송할 수 있다(S46).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서에 구비된 정수 추출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정수 추출을 개시하면(S51), 디스펜서는 UTS로 해당 신호를 전달하고(S52), 이에 따라 UTS에 구비된 유량센서가 작동할 수 있다(S53).
이후, UTS 및 디스펜서의 정수 공급 유로상의 각 밸브를 개방하고 펌프를 작동하며(S54), 이에 따라 디스펜서의 추출부를 통해 정수가 추출될 수 있다(S55).
여기서, UTS 및 디스펜서가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 밸브 개방 및 펌프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공급밸브(V1) 개방 -> 펌프(P) 작동 -> 배출밸브(V4)/입수밸브(V5)/ 정수추출밸브(V6) 개방
이후,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서에 구비된 정수 추출 정지 버튼을 누르거나, 기 선택된 추출량에 해당하는 정수가 추출되어 정수 추출이 정지되면(S56), UTS 및 디스펜서의 정수 공급 유로상의 각 밸브를 폐쇄하고 펌프 작동을 중단시키며(S57), UTS는 디스펜서로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량값을 전송할 수 있다(S58).
여기서, 밸브 폐쇄 및 펌프 작동 중단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펌프(P) 작동 중단 -> 0.5초 대기 후 정수추출밸브(V6) 폐쇄 -> 입수밸브(V5) 폐쇄 -> 1초 대기 후 배출밸브(V4) 폐쇄 -> 공급밸브(V1) 폐쇄
이와 같이, 정수 추출 정지시에는 UTS와 디스펜서의 통신 지연 시간 등을 고려하여 펌프 및 각 밸브의 작동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을 가짐으로써, 정수 추출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브 폐쇄 및 펌프 작동 중단 순서에서 대기 시간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서에 구비된 온수 추출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온수 추출을 개시하면(S61), 디스펜서는 UTS로 해당 신호를 전달하고(S62), 이에 따라 UTS에 구비된 유량센서가 작동할 수 있다(S63).
이후, UTS 및 디스펜서의 온수 공급 유로상의 각 밸브를 개방하고 펌프 및 히터를 작동하며(S64), 이에 따라 디스펜서의 추출부를 통해 온수가 추출될 수 있다(S65).
여기서, UTS 및 디스펜서가 각각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되는 경우, 밸브 개방과 펌프 및 히터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공급밸브(V1) 개방 -> 히터(250) 작동 -> 펌프(P) 작동 -> 배출밸브(V4) 개방 -> 입수밸브(V5) 개방 -> 히터입수밸브(V7) 개방 -> 온수추출밸브(V8) 개방
이와 같은 순서로 각 밸브를 개방하고 히터 및 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온수 추출시에 초기 예열시 온수 추출부에 잔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온수 추출시에 정수 추출부의 물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서에 구비된 온수 추출 정지 버튼을 누르거나, 기 선택된 추출량에 해당하는 온수가 추출되어 온수 추출이 정지되면(S66), UTS 및 디스펜서의 온수 공급 유로상의 각 밸브를 폐쇄하고 펌프 및 히터 작동을 중단시키며(S67), UTS는 디스펜서로 유량센서에 의해 측정된 유량값을 전송할 수 있다(S68).
여기서, 밸브 폐쇄와 펌프 및 히터 작동 중단 순서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히터(250) 작동 중단 -> 펌프(P) 작동 중단 -> 0.5초 대기 후 히터입수밸브(V7) 폐쇄 -> 0.5초 대기 후 온수추출밸브(V8) 폐쇄 -> 입수밸브(V5) 폐쇄 -> 1초 대기 후 배출밸브(V4) 폐쇄 -> 공급밸브(V1) 폐쇄
이와 같이, 온수 추출 정지시에도 UTS와 디스펜서의 통신 지연 시간 등을 고려하여 펌프, 히터 및 각 밸브의 작동 사이에 소정의 대기 시간을 가짐으로써, 온수 추출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브 폐쇄와 펌프 및 히터 작동 중단 순서에서 대기 시간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수처리 장치가 설치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언더싱크 정수기
110: 정수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200: 디스펜서
210: 입력부
220: 제어부
230: 통신부
240: 디스플레이
250: 히터
260: 추출부

Claims (12)

  1.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언더싱크 정수기; 및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에 의해 공급되는 정수 또는 상기 정수를 가열하여 생성한 온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는, 정수를 생성하는 역삼투압 필터와, 상기 역삼투압 필터의 전단에 연결된 유로 상에 설치된 공급밸브 및 펌프와, 상기 역삼투압 필터의 후단에 연결된 유로 상에 설치된 배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와 연결된 유로 상에 설치된 입수밸브와, 상기 입수밸브의 후단에서 분기되는 정수 공급 유로 상에 설치된 정수추출밸브와, 상기 입수밸브의 후단에서 분기되는 온수 공급 유로 상에 순차로 설치된 히터입수밸브, 히터 및 온수추출밸브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정수추출밸브의 전단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정수 추출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공급밸브의 개방, 상기 펌프의 작동, 및 상기 배출밸브와 상기 입수밸브와 상기 정수추출밸브의 개방의 순으로 동작하는 수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추출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펌프의 작동 중단, 기 설정된 시간 대기 후 상기 정수추출밸브의 폐쇄, 상기 입수밸브의 폐쇄, 기 설정된 시간 대기 후 상기 배출밸브의 폐쇄, 및 상기 공급밸브의 폐쇄의 순으로 동작하는 수처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온수 추출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공급밸브의 개방, 상기 히터의 작동, 상기 펌프의 작동, 상기 배출밸브의 개방, 상기 입수밸브의 개방, 상기 히터입수밸브의 개방 및 상기 온수추출밸브의 개방의 순으로 동작하는 수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추출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히터의 작동 중단, 상기 펌프의 작동 중단, 기 설정된 시간 대기 후 상기 히터입수밸브의 폐쇄, 기 설정된 시간 대기 후 상기 온수추출밸브의 폐쇄, 상기 입수밸브의 폐쇄, 기 설정된 시간 대기 후 상기 배출밸브의 폐쇄 및 상기 공급밸브의 폐쇄의 순으로 동작하는 수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는,
    공급되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부;
    상기 디스펜서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에 의해 공급된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히터;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에 의해 공급된 정수 또는 상기 히터에 의해 생성된 온수를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추출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정수 추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 정수 추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정수 공급 유로 상의 밸브를 개방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온수 추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 온수 추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디스펜서 내부의 온수 공급 유로 상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수처리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로부터 수신한 유량값을 기초로 계산된 필터 사용량 정보, 원수 및 정수 TDS 정보, 및 상기 언더싱크 정수기의 고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1020160180638A 2016-12-28 2016-12-28 수처리 장치 KR20180076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38A KR20180076462A (ko) 2016-12-28 2016-12-28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638A KR20180076462A (ko) 2016-12-28 2016-12-28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62A true KR20180076462A (ko) 2018-07-06

Family

ID=6292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638A KR20180076462A (ko) 2016-12-28 2016-12-28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4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05B1 (ko) * 2022-12-02 2024-02-16 서민식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손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905B1 (ko) * 2022-12-02 2024-02-16 서민식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손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36102B (zh) 供水系统
KR20150101374A (ko) 수처리장치
CN107487873A (zh) 一种新型可远程监管的智能净水器
CN108726638A (zh) 水处理系统、净饮机及水处理系统的控制方法
KR20210048149A (ko) 정수기
CN105481125B (zh) 一种具有稳定出水水质的净水器及其使用方法
KR20180076462A (ko) 수처리 장치
KR102491063B1 (ko) 살균수를 공급하는 정수 장치
CN105366855A (zh) 净水机及其控制方法
EP1289632B1 (en)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water
KR20180067150A (ko) 정수기 및 이의 유량 제어 방법
CN205313218U (zh) 自动进排水反渗透净水系统
KR20180052403A (ko) 수처리장치
CN112672807A (zh) 直接式净水器
KR102614247B1 (ko) 정수기
CN109467163A (zh) 一种具有排冷水功能的淋浴软水系统
CN116102122A (zh) 净水系统及其冲洗控制方法、装置
CN205367980U (zh) 微废水净水机
KR20180068024A (ko) 수처리 장치
CN204474377U (zh) 水处理装置和净水机
CN208632165U (zh) 水处理系统及净饮机
CN210286987U (zh) 一种可自动反冲洗的超滤净水装置
KR101872898B1 (ko)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CN104671356A (zh) 水处理装置和净水机
CN218978627U (zh) 一种可调温度的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