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162A - Bunk bed used as sofa - Google Patents

Bunk bed used as sof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162A
KR20180076162A KR1020160180319A KR20160180319A KR20180076162A KR 20180076162 A KR20180076162 A KR 20180076162A KR 1020160180319 A KR1020160180319 A KR 1020160180319A KR 20160180319 A KR20160180319 A KR 20160180319A KR 20180076162 A KR20180076162 A KR 20180076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horizontal frame
layer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진
문요엘
Original Assignee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0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162A/en
Publication of KR2018007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1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47C19/205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convertible, e.g. from single bed or sof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1/00Ladders in general
    • E06C1/02Ladders in general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 or members
    • E06C1/04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e.g. walls poles, tre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8Ladder heads; Supports for heads of ladders for resting against objec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fa-combined bunk b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bunk bed capable of securing two sleeping spaces up and down within a limited space, and can be used as a sofa by easily rotating a bed located in an upper layer if necessary. Therefore, a user can easily take a sleep or rest, maximiz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and do not have a feeling of being stuffy by the bed installed on an upper floor of the bunk be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inconvenience that movement thereof is limited, or the user is hit and injured.

Description

소파 겸용 이층침대{Bunk bed used as sofa}Bunk bed used as sofa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 내에서 상하로 두 개의 수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층에 위치한 침대를 용이하게 회동시켜 소파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수면 또는 휴식을 편하게 취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층침대의 상층에 설치된 침대에 의해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이 제한되거나 부딪혀 부상을 입히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unk bed capable of securing two sleeping spaces up and down within a limited space. If necessary, the upper bed can be easily rotated to be used as a sofa,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space and to avoid the feeling of stiffness by the bed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of the bunk bed and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such as the movement being restricted or being injured, It is about the bed.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람이 누워서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든 가구의 하나로써, 단층으로 이루어진 보통의 침대와 두 사람이 상 하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이층침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bed is one of the furniture that a person can lie down to take a rest or sleep, and a single bed of a single layer and a bunk bed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can be used.

이 중에서도 이층침대는 하부면이 지면에 지지되는 수직프레임을 복수개 구비하고, 이 수직프레임에 수평프레임을 두 개의 층으로 구분되게 이격 설치하며, 이 수평프레임의 상부에는 쿠션감과 안락함을 줄 수 있는 매트리스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Among these, the bunk bed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which are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and the horizontal fram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wo layers, and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is provided with a mattress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이층침대는 하나의 침대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에 두 사람이 지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좁은 실내공에서의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고, 경제적인 이익의 확보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제한된 면적에 다수의 사람이 지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기숙사 또는 군부대와 같이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하나의 방에 두 명의 자녀가 지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기도 하며, 또는 학교나 직장 주변에 자취하는 사람들이 임대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임대료를 서로 나누어 지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임대료에 지출되는 비용을 아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nk beds are constructed so that two persons can stay in a space where a single bed can be installed. Thus, the bunk beds are used mainly for space utilization in a narrow indoor space and for securing economic benefits. Typically, It is often used in cases such as dormitories or military unit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need to live. In addition to this, they may be used when two children are in one room, Increasingly, they are being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cost of rent by making it possible to share rents with each other while reducing the area.

이러한 이층침대의 일 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3692호에는 도 1과 같이 하부침대(10)의 네 지주(12)의 상단에 요철형상으로 각각 삽입 안착되며 그 상부 외주에 나선면(14a)이 형성된 상부커플러(14)와, 상부침대(20)의 네 지주(22)의 하단에 요철형상으로 각각 삽입 안착되며 그 하부 외주에 나선면(24a)이 형성된 하부커플러(24)와,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전환시 사용되는 네 보조지주(30)와, 상기 네 보조지주(30)의 상단 및 하단에 요철형상으로 각각 삽입 안착되어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전환시 상기 상부 및 하부커플러(14)(24)의 끝단에 요철형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며 그 외주단에 플랜지(32a)가 각각 일체로 돌설된 다수의 보조커플러(32)와, 상기 네 보조지주(30)의 외주 상단 및 하단에 회전자유롭게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보조커플러(32)의 플랜지(32a)에 의해 외부 이탈되지 않게 걸린 채로 이층침대 또는 단층침대로 전환시 상기 상부 및 하부커플러(14)(24)의 나선면(14a)(24a)에 체결되도록 내주에 나선면(34a)이 형성된 연결커버(34)로 구성된 분리형 이층침대가 제안되었다.As an example of such a bunk bed,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3692 is inserted and seated in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top of four pillars 12 of a lower bed 10 as shown in Fig. 1, A lower coupler 24 inserted into the concave and convex shapes at the lower ends of the four pillars 22 of the upper bed 20 and having a spiral surface 24a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oupler 14,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our auxiliary struts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oncave and convex shape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uplers 14 A plurality of auxiliary couplers 32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ends of the four auxiliary struts 30 in a concavo-convex shape and having flanges 32a integrally projected from the outer peripheral ends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auxiliary coupler 32 The spiral surface 34a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y so as to be fastened to the spiral surfaces 14a and 24a of the upper and lower couplers 14 and 24 when the duplex bed or the single- A separating type double-layered bed composed of a connecting cover 34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 is proposed.

하지만, 종래의 이층침대는 분리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설치와 운반의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었으나, 침대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하기는 어려웠다.However, the conventional double-layered bed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upl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transport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 double-layered bed for purposes other than bed.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3444호에는 도 2와 같이 가구의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좌판부(30)와 등받이부(40)를 각도조절 장치(21)로 연결 형성하여된 절첩식 매트리스(20)를 프레임(10)에 안착 시켜된 공지의 소파 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중앙 양측으로 레일(11)을 형성하되 일측끝으로 레일홈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절첩식 매트리스(20)의 좌판부(30) 하부의 중앙 양측으로 로울러(31)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11) 일측끝으로 형성된 레일홈부(12)로 상기 좌판부(30) 하부의 중앙 양측으로 형성된 로울러(31)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10) 전방으로 이동 시키며, 상기 프레임(10) 일측면에 리턴스프링(14)에 의해 복원되는 스토퍼(13)를 형성하되 좌판부(30) 일측면으로 두개의 고정홈부(32)를 형성하여된 소파 겸용 침대가 제안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면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트리스를 펼쳐 침대로 사용하다가, 소파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펼쳐진 매트리스를 접어 침대로 사용하여 침대와 소파를 겸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In additio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3444, the seat plate portion 30 and the backrest portion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angle regulating device 21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furniture as shown in FIG. 2 The folding type mattress 20 is folded on the frame 10 so that the rail 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frame 10 and the rail groove 12 is formed at one end A roller 31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late 30 of the folding mattress 20 so that the rail groove portion 12 formed at one end of the rail A stopper 13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frame 10 to be restored by a return spring 14. The stopper 13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frame 10, There is proposed a sofa combination bed in which two fixing grooves 32 are formed, If you want to sleep through the mattress to use as a bed unfolded, if you want to use as a sofa folded mattress to use the bed as a bed and sofa was also proposed to be combined with the structure.

하지만, 소파 겸용 침대의 경우는 대부분 단층 침대에 한정되어 사용되었으며, 이 소파 겸용 침대를 이층침대에 적용한다 하더라도 아래층에 위치한 침대를 소파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는 있었겠지만, 이때에는 소파 바로 위에 윗층에 위치한 침대로 인해 답답함을 줄 뿐 아니라, 이동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앉았다 일어나는 과정에서 윗층의 침대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sofa beds are limited to single beds. Even if this sofa bed is applied to a bunk bed, it could have been used as a sofa on the lower floor.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frustration caused by the bed that was located, it caused inconvenience to move,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hit by the bed upstairs in the process of getting up.

게다가,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윗층의 침대가 설치되는 높이를 높이게 될 경우, 침대의 높이를 높이기 위한 제조비용의 증대는 물론, 제한된 면적에서 높이만 높아지게 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며, 윗층의 침대와 천장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윗층 침대를 이용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f the height of the upper bed is raised, the manufacturing cost for raising the height of the bed is increased, the height is increased only in a limited area, and stability is lowered.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upstairs b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3692호(2003.11.07.등록, 분리형 이층침대)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33692 (Registered on Sep. 2003, Separated Bunk Bed)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3444호(2003.08.04.등록, 소파 겸용 침대)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23444 (Registered on April 4, 2003)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된 공간 내에서 상하로 두 개의 수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층에 위치한 침대를 용이하게 회동시켜 소파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수면 또는 휴식을 편하게 취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층침대의 상층에 설치된 침대에 의해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이 제한되거나 부딪혀 부상을 입히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layered bed capable of securing two sleeping spaces up and down within a limited spa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ofa, so that sleeping or resting can be taken easily, th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the bed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of the bunk bed is prevented from feeling uncomforta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such as clogging.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모서리부에 하부면이 바닥에 지지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층코너프레임과, 상기 하층코너프레임에 침대의 폭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층코너프레임과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층측변프레임과, 상기 하층코너프레임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제1매트리스가 안착되는 하층수평프레임을 형성시켜 된 침대하층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corner frame, which is installed vertically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bottom at both side edg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A lower side lateral frame provided vertically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orner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ower horizontal frame provided horizontally on the lower corner frame to seat the first mattress on the upper surface, Lower bed;

상기 하층코너프레임의 상면에 하층코너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층코너프레임과, 상기 하층측변프레임의 상면에 하층측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하층측변프레임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된 제2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의 길이방향 측으로 상하 회동되는 상층측변프레임과, 상기 상층측변프레임이 회동될 때 상기 하층수평프레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상층코너프레임과 상층측변프레임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제2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상층수평프레임을 형성시켜 된 침대상층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An upper corn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layer corner fram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layer corner frame, and a second corner fram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side side frame an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n upper side side frame which is vertically rotatab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by a rotating means and a lower side horizontal frame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corner frame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when the upper side side frame is rotated, And a bed upper layer portion formed with an upper horizontal frame on which the second mattress is seated,

상기 침대상층부를 상기 제2회동수단에 의해 하향되게 회동시켜 상기 하층측변프레임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의 일측면이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상층수평프레임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여 소파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침대상층부를 상기 제2회동수단에 의해 상향되게 회동시켜 상기 상층코너프레임과 상층지지프레임이 상기 하층코너프레임과 하층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수직되게 위치한 경우에는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ne sid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and one side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rotating the bed upper portion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the upper horizontal frame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lower horizontal frame The upper corner frame and the upper support frame a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layer corner frame and the lower-side support frame, and the upper-layer corner frame and the upper-layer support frame are used as a bunk bed So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 flat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상하로 두 개의 수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층에 위치한 침대를 용이하게 회동시켜 소파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수면 또는 휴식을 편하게 취할 수 있고, 공간의 활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층침대의 상층에 설치된 침대에 의해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이 제한되거나 부딪혀 부상을 입히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fa-combined double-deck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ouble-deck bed capable of securing two sleeping spaces up and down within a limited space. If necessar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take a sleeping or resting comfortably,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to prevent feeling of stiffness by the bed installed on the upper layer of the bunk bed, to limit moveme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convenience can be solved.

도 1은 종래 분리형 이층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소파 겸용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 침대가 침대로 사용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가 소파로 사용 가능하게 변형되었을 때 상층수평프레임이 하층수평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가 소파로 사용 가능하게 변형되었을 때 상층수평프레임이 하층수평프레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고정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제1회동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의 하층수평프레임이 제1회동수단에 의해 상향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침대상층부가 제2회동수단에 의해 하향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상향 회동된 상태의 하층수평프레임이 하향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쿠션부재 및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리프팅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a은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설치된 추락방지프레임이 추락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13b는 도 13a의 상태에서 추락방지프레임의 수평가드프레임이 상층수평프레임 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사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의 상층과 하층 각각에 설치되는 제1매트리스와 제2매트리스가 고정벨트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parable bunk b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ofa combination b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e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rizontal frame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horizontal frame when the sofa combined du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formed into a sofa. FIG.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rizontal frame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horizontal frame when the sofa combined dual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formed into a sofa.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xing means are installed on a double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means is installed on the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rizontal frame of the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pwardly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d upper portion is rotat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in the state of Fig. 8;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horizontal frame in the upwardly rotated state in the state of FIG. 9 is rotated downward,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shion member and an impact absorbing member are installed in a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fting means is installed on a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A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ll preventing frame installed on a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prevent fall,
FIG. 13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guard frame of the fall preventing frame is rotated toward the upper horizontal frame in the state of FIG. 13A;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dder is installed on a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in which a first mattress and a second mattress provided on upper and lower layers of a sofa combined dual-layer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 by a fixing belt.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ouble-layered sofa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attached hereto.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는 소파 또는 이층침대로 변형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침대하층부(100)와 침대상층부(200)로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ofa-combined double-layer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bed portion 100 and a bed upper portion 200 in order to be transformed into a sofa or a bunk bed.

상기의 침대하층부(100)는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모서리부에 하부면이 바닥에 지지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코너프레임(110)에 침대의 폭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층코너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층측변프레임(120)과, 하층코너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제1매트리스(140)가 안착되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을 형성시켜 된 것이다.The lower bed portion 100 includes a lower corner frame 110 vertical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ed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thereof on the floor and a lower corner frame 110 disposed on the lower corner frame 1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A lower side frame 120 which is vertically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corner frame 110 at a predetermined spaced distance from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a second mattress 120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lower corner frame 110, 140 are mount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상기의 침대상층부(200)는 하층코너프레임(110)의 상면에 하층코너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층코너프레임(2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면에 하층측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측으로 상하 회동되는 상층측변프레임(2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이 회동될 때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층코너프레임(21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제2매트리스(240)가 안착되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을 형성시켜 된 것이다.The bed upper layer 200 includes an upper corner frame 21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a lower corner frame 2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frame 120. [ An upper side side frame 220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ide horizontal frame 130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The second mattress 240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corner frame 21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en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is rotate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formed.

여기서, 제2회동수단(250)은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에 양측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회동지지브라켓(251)과, 이 제2회동지지브라켓(251)의 중앙부에 끼워져 침대상층부가 회동되는 중심축 역할을 하는 제2힌지축(252)으로 구성된 것으로, 제2회동지지브라켓(251)의 양측은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단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하단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turning unit 250 includes a second turning support bracket 251 fixed to both the lower side frame 220 and the lower side frame 220 and a second turning support bracket 251 fixed to the upper side frame 220, And a second hinge shaft 252 that is inserted into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ide support frame 251 and serves as a center shaft for rotating the upper layer of the bed. Both sides of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racket 251 ar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2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the low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respectively.

이러한 제2회동지지브라켓(251)의 결합방법으로는 용접, 볼팅(Bolting), 리벳팅(Riveting)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결합방법으로 제2회동지지브라켓(251)을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에 결합할 때에는 침대상층부(200)를 회동시켰을 때 결합부위가 간섭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second turning support bracket 251 may be formed by welding, bolting, or riveting. Alternatively, the second turning support bracket 25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When coupling the frame 120 to the upper side frame 220,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coupling portion from interfering with the upper bed portion 200 when the bed is rotated.

또한,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에는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가 안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받침대(135,235)를 각각 설치하되, 이러한 받침대(135,235)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면 및 하면, 그리고 상층수평프레임(230)의 상면 및 하면에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 위에 앉거나 누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안락하고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re provided with pedestals 135 and 235 formed of wood or synthetic resin so as to firmly support the first mattress 140 and the second mattress 240, It is preferable that the pedestals 135 and 235 are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t is possible to provide comfort and comfort to a user who sits down or uses the first mattress 140 and the second mattress 240 while preventing the height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from being increased.

더불어,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에는 각각의 하단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하층코너프레임(110)의 반대측으로 연장 형성된 하층받침프레임(18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층받침프레임(180)을 통해 침대상층부(200)가 상하로 회동되는 동안은 물론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회동된 상태에서도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도록 하여 사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ower lay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layer side frame 1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lower layer supporting frame 180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surfaces of the lower layer corner frame 110 and extend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layer corner frame 110, Through the lower layer supporting frame 180, the bed upper layer 20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surface while being vertically rotated as well as rotatably used as a double layer bed,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use .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파 겸용 이층침대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sofa-combined double-layer be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 및 4와 같이 상층코너프레임(21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이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 각각의 상측에 수직되게 위치한 경우에는 침대상층부(200)와 침대하층부(1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어, 하층수평프레임(130)에 놓인 제1매트리스(140)의 상부공간과 상층수평프레임(230)에 놓인 제2매트리스(240)의 상부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이층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3 and 4, when the upper corner frame 21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a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The upper space of the first mattress 140 plac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space of the second mattress 240 placed on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re sufficiently secured It can be used as a bunk bed made up of two layers.

여기서,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켜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일측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층수평프레임(230)은 5a와 같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5b와 같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소파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Here,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which is vertically rotatable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is downwardly turned so that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s shown in 5a or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s shown in 5b and becomes usable as a sofa.

이때,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의 길이방향 일측면 즉 상층코너프레임(210)의 반대측에 위치한 일측면이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하향 회동된 상층수평프레임(230)의 높이가 소파로 사용 가능한 높이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하층수평프레임(130)을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하단부 측으로 설치하거나, 침대상층부(200)의 회동점 즉 제2회동수단(250)을 침대상측부 측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폭을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첨부한 도 5a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이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하단부 측에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된 것을 대표로 도시한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en the upper bed part 200 is rotated downwar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r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side frame 120 or the turning point of the upper bed 200 may be provided on the bed side, 5A is a side view of the lower layer side frame 130 and the lower layer side frame 130. The lower layer side frame 13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lay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layer side frame 120, (230) Interference will not be shown to represent the installed height.

여기서,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킬 때에는 제2매트리스(240)를 상층수평프레임(230)으로부터 분리하였다가,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측에 위치되게 회동되어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하부면이 상측에 위치되었을 때, 이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하부면에 제2매트리스(240)를 안착시켜 소파로 사용하면 되며, 제1매트리스(140)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하층수평프레임(130)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안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the second mattress 24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rotated to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the second mattress 240 may be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o be used as a sofa.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or may be held in a seated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turning radius of the horizontal frame 230.

반면,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측에 위치한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의 높이가 소파로 사용 가능한 높이로 설치되도록 함은 물론,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 상층수평프레임(230)이 바닥에 간섭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하층코너프레임(110)의 반대측에 위치한 하층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일측면에 상층수평프레임(2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하층수평프레임(130)을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중앙부 또는 상단부 측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폭을 상층수평프레임(2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첨부한 도 5b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이 바닥 및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하층수평프레임(130)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I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the height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set to a height usable as a sofa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floor when the upper bed part 200 is rotated downward and the vertical horizontal frame 130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corner frame 11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may be installed on the center or upper side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side lateral frame 120 or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horizontal frame 230. [ 130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may have a height such that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or and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 state where the frame 130 is shown.

여기서, 침대상층부(200)가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면에 안착된 제1매트리스(140)가 상측에 노출됨에 따라 제1매트리스(140)를 분리할 필요없이 소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제2매트리스(240)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감안해 분리시키거나 안착시킨 상태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 상층수평프레임(230)과 바닥면 사이에 제2매트리스(240)가 위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1매트리스(140)의 상면에 제2매트리스(240)를 안착시켜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가 적층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mattress 14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exposed on the upper side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part 200 of the bed is rotated downward so that the first mattress 140 is used as a sofa And the second mattress 240 can be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separated or seat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at which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When the upper bed 200 is rotated downward, When the second mattress 240 is difficult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2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ttress 140, the second mattress 2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ttress 140, (240) may be stack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이층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 상하로 분리된 공간에서 편하게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층에 위치한 침대상층부(200)를 회동시켜 소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ofa-combined double-deck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ouble-deck bed in a limited space, so that it can sleep or relax in a space separated vertically and, if necessary, ) Can be turned and used as a sofa.

이를 통해 소파로 변형된 상태에서는 상층에 위치한 침대 즉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에 위치한 침대 즉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소파로 사용하는데 있어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상층수평프레임(230)에 의해 이동에 간섭되거나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린 상태로 이동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소파에서 일어나거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머리를 부딪혀 부상을 입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state of being transformed into a sofa, the bed located in the upper layer, that is,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bed located in the lower floor, that is,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in using the sofa as a sofa.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from being disturbed or disturbed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being injured by bumping the head in the process of getting up or moving.

상기의 소파 겸용 이층침대는 하층코너프레임(110)의 상부와 상층코너프레임(210)의 하부에 고정수단(300)을 설치하여, 이층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침대하층부(100)의 상측에 침대상층부(200)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침대상층부(200)가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임의로 하향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고정하고, 그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는 침대상층부(200)가 하향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어 소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and lower corner frames 210 and 210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fixing means 300. The bed upper layer 100 may be used as a double bed, The bed upper layer 200 is fixed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ry unit 250.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sofa.

이러한 고정수단(3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코너프레임(210)의 하부에 돌출되는 고정돌기(320)와, 일측은 하층코너프레임(110)에 회동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고정돌기(3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슬릿(31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1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의 고정브라켓(310)에는 고정돌기(320)에 고정슬릿(311)을 끼워 침대상층부(200)가 회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거나 고정돌기(320)로부터 고정슬릿(311)을 빼내 침대상층부(200)가 회동 가능한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고정손잡이(3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6, the fixing means 300 includes fixing protrusions 320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rner frame 210,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corner frame 110, The fixed slit 31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310 and the fixed slit 31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310.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fixing knob 312 for fixing the upper layer part 200 so as not to be pivotable or pulling the fixing slit 311 from the fixing protrusion 320 to easily adjust the pivotable state of the upper layer part 200.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300)을 통해, 이층 침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침대상층부(200)가 침대하층부(100)의 상측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 안정성이 증대되고, 소파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킨 후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When the bed is used as a double-layer bed through the fixing means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bed upper layer 200 can be kept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d lower layer 100, It is possible to easily release the fixed state by the fixing means 300 and then to rotate the bed upper layer 200 downward,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한편, 도 5b와 같이 이층침대의 상태에서 소파로 변형시켜 사용하고자 침대상층부(200)를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하향 회동시켰을 때,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하층수평프레임(130)은 도 7과 같이 하층코너프레임(110)에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것일 수 있다.5B,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in order to be transformed into a sofa in the state of a bunk be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folded i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corner frame 11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as shown in FIG.

이러한 제1회동수단(150)은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설치되는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폭방향에 해당하는 측면에 양측이 각각 설치되는 제1회동지지브라켓(151)과, 이 제1회동지지브라켓(151)에 하층수평프레임(130)이 회동되는 중심축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제1힌지축(152)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제1회동지지브라켓(151)은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수평프레임(130)에 용접, 볼팅(Bolting) 또는 리벳팅(Riveting) 등의 공지된 결합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turning unit 150 includes a lower corner frame 110 on whic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mounted and a first turning support bracket 130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a first hinge shaft 152 installed to serve as a center shaft for rotating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on the first hinge support bracket 151. The first hinge support bracket 151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lay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layer horizontal frame 130 by a known joining method such as welding, bolting, or riveting.

여기서,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될 경우,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수평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층측변프레임(120)에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하층지지프레임(16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하층지지프레임(160)은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양측에 설치된 하층측변프레임(120)에 설치되도록 하층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이와는 달리 하층측변프레임(120)에 수평하게 일정 길이로 돌출된 '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Here, whe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vertically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in ord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lower frame 130 in a horizontal state, It is preferable that a lower support frame 160 capable of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130 is installed and the lower support frame 160 at this time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side frames 120 The lower side frame 120 may be formed in a long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layer horizontal frame 130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frame 120. Alternatively,

상기와 같이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하 회동되게 설치함으로써, 침대하층부(100)와 침대상층부(200)가 이층으로 적층되어 이층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켜 소파로 변형시킬 때나, 소파로 사용되는 상태에서 침대상층부(200)를 상향 회동시켜 이층침대로 변형시킬 때, 하층수평프레임(130)을 일정 각도 상향되게 회동시켜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회동되는 동안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vertically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so that the lower bed portion 100 and the upper bed portion 200 are stacked as a double layer, When the bed 200 is turned downward to be transformed into a sofa or used as a sofa,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turned upward to be transformed into a double bed,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rotated upward by a certain angle, So that the frame 23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ile being rotated.

또한, 침대상층부(200)가 상하로 회동되는 동안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를 침대로 사용하기 적절한 높이에 설치하고, 소파로 변형시킨 상태에서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을 소파로 사용하기 적절한 높이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ile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up and down so that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can be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t a height suitable for use as a sofa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at a suitable height for use and is deformed by a sofa.

이때,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의 설치간격은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향되게 회동되었을 때 상층수평프레임(230)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침대상층부(200)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하기에 앞서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향 회동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혼자서도 이층침대 또는 소파로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set such that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whe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rotated upwar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held in a state of being upwardly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before the upper bed portion 200 is rotated upward or down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a sofa.

다시 말해,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향 회동된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원래의 위치로 임의 회동되지 않을 수 있도록 회동시킨 이후 도 9과 같이 침대상층부(200)를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하향 회동시키고,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일측면이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침대상층부(200)가 하향 회동시킨 이후에는 도 10과 같이 상향 회동된 상태의 하층수평프레임(13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하향 회동시켜 상층수평프레임(230)의 상측에 하층수평프레임(130)이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하면 소파로 변형된 상태가 되며, 반대로 소파로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는 도 10 내지 8의 동작을 역으로 실시하면 용이하게 이층침대로 변형되므로, 혼자서도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소파 또는 이층침대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double-layer bed can be used,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rotated upwar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is rotated as shown in FIG. 8 so as not to be arbitrarily rotat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is rotat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and the upper bed portion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one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1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rotated down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n parallel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formed into a double-layered bed by reversing the operations of Figs. 10 to 8 in a state where it can be used as a sofa,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use to transform into a bunk bed.

상기의 소파 겸용 이층침대는 이층침대로 사용시 침대상층부(200)가 침대상층부(200)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하층코너프레임(110)의 상단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하층보조프레임(170)과, 상층코너프레임(210)의 하단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하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층보조프레임(260)을 더 설치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ide frames 120 and the lower side corner frame 120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 frames 200 and 200 in order to stably and firmly support the upper side bed 200 when the bed is used. A lower layer auxiliary frame 170 connected horizontally and an upper layer auxiliary frame 260 connecting a lower end of the upper corner frame 210 and a lower end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horizontally.

이러한 하층보조프레임(170)과 상층보조프레임(260)은 이층침대로 사용시 하층보조프레임(170)의 상부면에 상층보조프레임(260)의 하부면이 지지되도록 하여 침대하층부(100)의 상측에 침대상층부(200)가 위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subframes 170 and 260 of the upper and lower subframes 170 and 260 ar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ayer subframe 170 when the lower layer subframe 260 is used as a double layer bed,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where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is located.

여기서, 도 11과 같이 하층보조프레임(170)의 상부면과 상층보조프레임(260)의 하부면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500)가 하층보조프레임(170)과 상층보조프레임(2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쿠션부재(500)를 통해 소파로 변형된 상태에서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침대상층부(200)를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상향 회동시켰을 때에는 하층보조프레임(170)과 상층보조프레임(260)이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며, 이층침대로 변형된 상태에서 소파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에는 소파의 팔걸이 역할을 하는 하층보조프레임(170)의 상부면과 상층보조프레임(260)의 하부면을 통해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hown in FIG. 11, a cushion member 500, which absorbs shocks and prevents noise,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layer sub frame 17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sub frame 260, It is preferable that the bed upper part 200 is integral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uxiliary frame 260. The bed upper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the lower auxiliary frame 170 and the upper auxiliary frame 260 can absorb the impact generated by the collision between the lower auxiliary frame 170 and the upper auxiliary frame 260, and nois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to be in a state whe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ayer auxiliary frame 170 serving as an armrest of the sofa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layer auxiliary frame 260 That there is an effect.

또한, 이층침대의 상태를 소파로 변형하였을 때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이 서로 접촉되는 각각의 면에는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6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충격흡수부재(600)는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 전체에 설치되거나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도 있다.When the state of the bunk bed is transformed into a sofa,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bsorb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The impact absorbing member 600 may be installed on the entir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or on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상기한 침대상층부(200)에는 상층코너프레임(210)의 상단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상단이 연결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고,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켜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일측면에 접촉되었을 때에는 그 수평하게 설치된 상부면이 하층코너프레임(110)의 하단면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하단면에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시킨 상층가로지지프레임(27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d upper part 200 is horizontally installe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rner fram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ide frame 22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lower side frame 2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frame 220, Layer horizontal support frame 270 is further provided.

이와 같은 상층가로지지프레임(270)을 통해 이층침대의 상태에서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켜 소파로 변형시켜 사용할 경우, 상층가로지지프레임(270)이 하층받침프레임(180)의 상면에 지지됨에 따라 침대상층부(200)를 이루는 상층보조프레임(26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제2회동수단(250)은 물론 제2회동수단(250)이 결합되는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downwardly turned and transformed into a sofa through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frame 270,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frame 27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layer supporting frame 180 The upper side support frame 260 and the upper side support frame 260 can be firmly supported by the upper side frame 200 and the upper side frame 200. Accordingly, 12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상기의 상층측변프레임(220)과 하층코너프레임(110)에는 도 12와 같이 이층침대 또는 소파로 사용하고자 침대상층부(200)를 상하 회동시킬 때, 그 침대상층부(200)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침대상층부(200)가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하며, 침대상층부(200)가 침대하층부(100)와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의 양측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when the bed upper part 200 is vertically rotated to be used as a bunk bed or a sofa, the load of the bed upper part 200 is reduced in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and the lower corner frame 110 The upper portion 200 of the bed is smoothly rotated and both sides of the lifting means for reducing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upper portion 200 of the bed collides with the lower portion 100 of the bed can be respectively installed.

이러한 리프팅수단(700)은 리프팅몸체의 내부에 입출로드의 일측이 삽입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어, 입출로드가 리프팅몸체에 인입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인출되면 지속적으로 인출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하고, 반대로 입출로드가 리프팅몸체에 인출된 상태에서 일정 길이 인입되면 지속적으로 인입되려는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ing means 700 is installed in the lifting body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input / output rod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body. When the inlet / outlet rod is drawn in the lifting body, And a shock absorber configured to be able to act as a force to be continuously drawn when a certain length is drawn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 output rod is drawn out to the lifting body.

또한, 상기의 리프팅수단(700)은 침대상층부(200)가 상하로 회동되었을 때 침대하층부(100)와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시키기 위해, 침대상층부(200)와 침대하층부(100)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댐퍼(Damper)와, 침대상층부(200)의 회동 동작시 이 댐퍼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댐퍼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ifting means 70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bed upper layer 200 and the lower bed portion 100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impact and noise generated when the upper bed portion 200 is rotated up and down, And a damper supporting piec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damper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상기의 침대상층부(200)에는 상층에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가 추락하여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프레임(28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추락방지프레임(280)은 상층수평프레임(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가드프레임(281)과, 그 복수개로 이루어진 수직가드프레임(281)의 상부가 서로 연이어지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수직가드프레임(281)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가드프레임(282)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all-preventing frame 28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ed 200 to prevent a user who falls asleep from falling down from being injured. A plurality of vertical guard frames 281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guard frame 281 and horizontally installed so that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guard frames 28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horizontal guard frame 282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rame 281.

이러한 추락방지프레임(280)을 통해 이층침대의 상층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3a와 같이 수직가드프레임(281)이 상층수평프레임(230)에 수직되게 회동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층의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층침대를 소파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3b와 같이 추락방지프레임(280)의 설치높이가 최소화되도록 회동시켜 추락방지프레임(280)에 의해 침대상층부(200)의 하향 회동 동작이 방해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upper layer of the bunk bed is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fall preventing frame 280, the vertical guard frame 281 is rotated and fixed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double-layered bed is used as a sofa, it is rotated so as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all-prevention frame 280 as shown in FIG. 13B, and the downward rotation of the bed upper layer 200 is performed by the f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r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or interfered.

본 발명에 따른 소파 겸용 이층침대는 침대상층부(200)를 침대하층부(100)의 상측에 위치시켜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마련된 경우, 도 14와 같이 상층수평프레임(230)의 일측면에는 하단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이층침대의 상층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사다리(4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upper bed part 20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bed part 100 to be usable as a double bed, It is preferable that a ladder 400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layer of the bunk b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이러한 사다리(400)의 상부에는 상층수평프레임(230)에 분리 결합되며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층받침대(410)가 설치되고, 사다리(400)의 하부에는 상층받침대(410)가 상층수평프레임(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된 하층받침대(42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layer pedestal 41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ladder 400 an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n upper layer pedestal 4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이와 같이 상층받침대(410)와 하층받침대(420)가 구비된 사다리(400)를 통해 이층침대의 상층과 하층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사용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층침대의 상층으로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supporting the loads applied from the upper and lower layers of the bunk bed through the ladder 400 equipped with the upper and lower floors 410 and 420, the stability of use can be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ability.

이에 더해, 도 15와 같이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에는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 각각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벨트(141,241)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정벨트(141,241)를 통해 이층침대로 사용하는 동안은 물론 소파로 사용하는 동안에도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가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에 안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임의로 유동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mattress 140 and the second mattress 240 are provided with fixing belts 141 and 241 to be fixed i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respectively The first mattress 140 and the second mattress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130 while being used as a sofa as well as a sofa through the fixing belts 141 and 241.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keeping the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seat 230 firmly and preventing it from being arbitrarily moved or released.

아울러, 고정벨트(141,241)에는 기 설정된 위치에서 서로 분리 결합되게 형성된 탈착부재(142,242)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탈착부재(142,242)는 버클(Buckle) 또는 벨크로(Velcro) 등과 같이 분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이면 모두 가능하며, 이와 같은 탈착부재(142,242)를 통해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를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에 각각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etachable members 142 and 24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belts 141 and 241 at predetermined positions. The detachable members 142 and 242 may be detached and coupled to each other, such as a buckle or a velcro. The first mattress 140 and the second mattress 240 are connected to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hrough the detachable members 142 and 242, respectively, It can be easily fixedly installed or separated so that the usability can be further increased.

100 : 침대하층부 110 : 하층코너프레임
120 : 하층측변프레임 130 : 하층수평프레임
135 : 받침대 140 : 제1매트리스
141 : 고정벨트 142 : 버클
150 : 제1회동수단 151 : 제1회동지지브라켓
152 : 제1힌지축 160 : 하층지지프레임
170 : 하층보조프레임 180 : 하층받침프레임
200 : 침대상층부 210 : 상층코너프레임
220 : 상층측변프레임 230 : 상층수평프레임
235 : 받침대 240 : 제2매트리스
241 : 고정벨트 242 : 탈착부재
250 : 제2회동수단 251 : 제2회동지지브라켓
252 : 제2힌지축 260 : 상층보조프레임
270 : 상층가로지지프레임 280 : 추락방지프레임
281 : 수직가드프레임 282 : 수평가드프레임
300 : 고정수단 310 : 고정브라켓
311 : 고정슬릿 312 : 고정손잡이
320 : 고정돌기
400 : 사다리 410 : 상층받침대
420 : 하층받침대
500 : 쿠션부재 600 : 충격흡수부재
700 : 리프팅수단
100: lower part of bed 110: lower corner frame
120: Lower side side frame 130: Lower layer horizontal frame
135: pedestal 140: first mattress
141: Fixing belt 142: Buckle
150: first rotating means 151: first rotating supporting bracket
152: first hinge shaft 160: lower layer supporting frame
170: lower layer supporting frame 180: lower layer supporting frame
200: bed upper layer 210: upper corner frame
220: Upper side lateral frame 230: Upper horizontal frame
235: pedestal 240: second mattress
241: Fixing belt 242: Desorption member
250: second rotating means 251: second rotating supporting bracket
252: second hinge shaft 260: upper layer auxiliary frame
270: Upper layer horizontal support frame 280: Fall prevention frame
281: vertical guard frame 282: horizontal guard frame
300: fixing means 310: fixing bracket
311: Fixing slit 312: Fixing knob
320: Fixing projection
400: Ladder 410: Upper floor base
420: Lower layer base
500: cushion member 600: shock-absorbing member
700: lifting means

Claims (14)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 모서리부에 하부면이 바닥에 지지되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층코너프레임(110)과,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에 침대의 폭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층코너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져 수직되게 설치되는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제1매트리스(140)가 안착되는 하층수평프레임(130)을 형성시켜 된 침대하층부(100);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의 상면에 하층코너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상층코너프레임(210)과, 상기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면에 하층측변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부 일측면에 설치된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길이방향 측으로 상하 회동되는 상층측변프레임(220)과, 상기 상층측변프레임(220)이 회동될 때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상층코너프레임(21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부면에 제2매트리스(240)가 안착되는 상층수평프레임(230)을 형성시켜 된 침대상층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대상층부(200)를 상기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하향되게 회동시켜 상기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일측면이 접촉된 경우에는 상기 상층수평프레임(230)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여 소파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침대상층부(200)를 상기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상향되게 회동시켜 상기 상층코너프레임(210)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이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측에 수직되게 위치한 경우에는 이층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A lower corner frame 110 vertically installed at both side edges of the b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is supported on the floor and a lower corner frame 110 disposed on the lower corner frame 110 at a position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ed And a lower floor side frame 120 which is vertically provid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a lower floor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on which the first mattress 140 is seated, A lower bed part 100 formed with a horizontal frame 130;
An upper corner frame 210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a lower corner frame 11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frame 120, An upper side side frame 220 which is installed along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is vertically rotate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de of the lower level side frame 130, The second mattress 240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upper corner frame 21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en the frame 220 is rotated And a bed upper layer 200 having an upper horizontal frame 230 formed thereon,
When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is rotat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to contact one sid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one side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230)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can be used as a sofa, and the upper bed part (200) is rotated up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210 and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are vertic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ide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the double layer bed can be used as a double layer b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의 상부와 상층코너프레임(210)의 하부에는 상기 침대상층부(200)가 상기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상향 회동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거나, 그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침대상층부(200)가 상기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하향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3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d upper layer 20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rner frame 210 in a state of being upwardly rotate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And a fixing means (300) for releasing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so that the upper bed portion (200) can be turn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 겸용 이층침대를 소파로 사용하고자 하향 회동된 상층수평프레임(230)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설치높이와 제2회동수단(250)의 설치높이는 상기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켰을 때 상기 상층수평프레임(230)이 하층수평프레임(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is downwardly rotated to use the sofa-combined bunk bed as a sofa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height 250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rotated down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파 겸용 이층침대를 소파로 사용하고자 하향 회동된 상층수평프레임(230)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은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에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which is downwardly rotated to use the sofa-combined double-layer bed as a sofa,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placed on the lower- And is vertically rotate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은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이 제1회동수단(150)에 의해 상향되게 회동되었을 때 상기 상층수평프레임(230)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may have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when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rotated upward by the first rotating means 150 A sofa-type bunk bed that is installed.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측변프레임(120)에는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부면을 받쳐 지지하는 하층지지프레임(1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Wherein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lower support frame (160)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하층부(100)에는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의 상단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상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하층보조프레임(17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침대상층부(200)에는 상기 상층코너프레임(210)의 하단과 상층측벽프레임의 하단을 수평하게 연결하여 이층침대로 사용시 상기 하층보조프레임(170)의 상부면에 하부면이 지지되게 형성된 상층보조프레임(26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d lower layer portion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wer layer auxiliary frame 170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rner frame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side lateral frame 120 horizontally, An upper floor sub-frame 260 is provided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ner frame 2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floor sidewall frame so as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oor of the lower floor sub- Double sofa b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층부(200)에는 상기 상층코너프레임(210)의 상단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상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상층가로지지프레임(270)이 설치되고, 그 상층가로지지프레임(270)은 상기 침대상층부(200)를 하향 회동시켜 상기 하층측변프레임(120)의 일측면과 상층측변프레임(220)의 일측면이 접촉되었을 때 상기 상층가로지지프레임(270)의 상부면이 상기 하층코너프레임(110)의 하단면과 하층측변프레임(120)의 하단면에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upper layer horizontal support frame 270 connecting horizontally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rner frame 210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220 is installed in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When the upper side 200 of the bed is rotated downward and one side of the upper side lateral frame 220 contacts with one side of the lower side lateral frame 120, Is form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on the lower end face of the upper side side frame (110) and the lower end face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보조프레임(170)의 상부면과 상층보조프레임(260)의 하부면에는 상기 침대상층부(200)가 상기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회동되었을 때, 상기 침대하층부(100)와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방지하며, 소파로 변형하여 사용시에는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부재(5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upper bed 200 is pivoted by the second pivoting means 250 against the lower bed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auxiliary frame 17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auxiliary frame 260 And a cushion member (500) for absorbing impacts generated, preventing noise generation, and providing a cushioning feeling when used as a sofa is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층부(200)가 상기 제2회동수단(250)에 의해 하향되게 회동되었을 때, 상기 하층측변프레임(120)과 상측측변프레임이 서로 접촉되는 각각의 면에는 회동시 충격을 흡수하고 소음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ed upper layer portion 200 is pivoted downward by the second rotating means 250, shocks are absorbed on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lower side side frame 120 and the upper side frame,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600) capable of restrain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6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측변프레임(220)과 하층코너프레임(110)에는 이층침대 또는 소파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침대상층부(200)를 상하 회동시킬 때 그 침대상층부(200)의 하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침대상층부(200)가 상기 침대하층부(100)와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형성된 리프팅수단(700)의 양 끝단부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layer side frame 220 and the lower layer corner frame 110 are provided with the upper layer 200 for lowering the load of the upper layer 200 when the upper layer 200 is vertically rotated for use as a bunk bed or a sofa, Wherein both end portions of the lifting means (700) are formed such that the impact generated by collision with the lower layer portion (100) of the bed (200) is reduc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층부(200)에는 사용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층수평프레임(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양측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가드프레임(281)과, 그 수직가드프레임(281)의 상부가 서로 연이어지도록 수평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가드프레임(281)의 회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가드프레임(282)으로 이루어진 추락방지프레임(2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vertical guard frames 281 rotatably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to prevent a user from falling down, A fall prevention frame 280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connect the upper portions of the vertical guard frames 281 and horizontally guard frames 282 rotat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ertical guard frames 28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ofa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상층부(200)가 침대로 사용 가능하게 마련된 경우, 상기 상층수평프레임(230)의 일측면에는 하단면이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 사다리(400)가 설치되되, 상기 사다리(400)의 상부에는 상기 상층수평프레임(230)에 분리 결합되며 상층수평프레임(23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층받침대(410)가 설치되고, 상기 사다리(400)의 하부에는 상기 상층받침대(410)가 상층수평프레임(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형성된 하층받침대(4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bed upper layer 200 is used as a bed, a ladder 4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so that the lower surface is supported on the floor, An upper layer support 410 separated from the upper layer horizontal frame 230 and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layer horizontal frame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layer frame 400, (420)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n a state where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is coupled to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매트리스(140)와 제2매트리스(240)에는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탈착부재(142,242)를 매개로 양 끝단부가 설치되어 상기 하층수평프레임(130)과 상층수평프레임(230) 각각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벨트(141,24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겸용 이층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oth ends of the first mattress 140 and the second mattress 240 are connected to the lower horizontal frame 130 and the upper horizontal frame 230 via detachable members 142 and 242, And a fixing belt (141, 241) for fixing the fixing belt in a seated state.
KR1020160180319A 2016-12-27 2016-12-27 Bunk bed used as sofa KR2018007616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19A KR20180076162A (en) 2016-12-27 2016-12-27 Bunk bed used as sof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319A KR20180076162A (en) 2016-12-27 2016-12-27 Bunk bed used as sof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62A true KR20180076162A (en) 2018-07-05

Family

ID=6292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319A KR20180076162A (en) 2016-12-27 2016-12-27 Bunk bed used as sof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16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725A (en) * 2018-09-27 2020-04-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oldable ladder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725A (en) * 2018-09-27 2020-04-06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oldable ladde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159B2 (en) Mechanism and mattress for sofabed
US6519798B2 (en) Mattress and bed assembly providing an enlarged sleeping surface area
US6871910B2 (en) Adjustable chairs and beds
US20130320139A1 (en) Seat structure of airplane
RU199436U1 (en) LIFTING BED
US2724127A (en) Reclining head board for beds
US4506927A (en) Convertible table, chair, and bed combination
US6952847B1 (en)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US20220265056A1 (en) Toddler Bunk Beds
US20070169263A1 (en) Adult bed
US3974529A (en) Bed and lounge unit
KR20180076162A (en) Bunk bed used as sofa
KR101470402B1 (en) Low wooden bench having a lifting table
CN202051323U (en) Multifunctional bed
RU95234U1 (en) SOFA BED ORTHOPEDIC
US3011180A (en) Stacked arrangement of beds
CN106108484A (en) A kind of push-pull folding bunk bed
GB2423243A (en) Bedside cot and support structure
KR100819146B1 (en) A chair for controlling height
US20130221302A1 (en) Baby play yard mattress
EP1704799A2 (en) Bedside cradle
KR101700266B1 (en) Removable bed reading desk
US6704950B1 (en) Convertible crib and bed system
TWI524867B (en) A multi-stage combined crib
TWI807869B (en) Transformable multifunctional din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