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113A - 일방향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113A
KR20180076113A KR1020160180245A KR20160180245A KR20180076113A KR 20180076113 A KR20180076113 A KR 20180076113A KR 1020160180245 A KR1020160180245 A KR 1020160180245A KR 20160180245 A KR20160180245 A KR 20160180245A KR 20180076113 A KR20180076113 A KR 2018007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core
elastic member
elastic
val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식
강동수
이성호
모상남
김성환
전승민
Original Assignee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113A/ko
Publication of KR2018007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 밸브 장치의 밸브 코어가 진동에 의해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방향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케이스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유체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 코어와, 상기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서로 편향되게 하는 탄성 편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방향 밸브 장치{One way valve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방향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일방향 밸브 장치의 밸브 코어가 진동에 의해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방향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에어컨용 압축기는 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해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냉매를 내부에 흡입하여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에 의하여 압축하고, 이를 응축기 방향으로 보내주는 장치이다. 예컨대, 이러한 압축기는 최근에 사판(斜板)의 경사각을 제어하여 토출용량을 가변시키는 가변용량 압축기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컨용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냉매를 응축기 방향으로 일방향 이송하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일부분에 일방향 밸브(일명, 체크 밸브 또는 원웨이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컨용 압축기는 내부에 수용된 냉매의 압력이 비상 압력 이상으로 올라가서 내부 부품이나 타기능품들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을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압력 이상으로 냉매의 압력이 올라가면 냉매를 외부로 비상 방출시키는 일방향 밸브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방향 밸브 장치는, 유체가 밸브 케이스의 유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밸브 케이스와 밸브 코어의 공차로 인하여, 밸브 코어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유체 배출을 위해 밸브 코어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탄성 부재의 반발력과 유체의 압력이 상호 작용하면서 밸브 코어의 진동을 유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 소음으로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가 밸브 코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함으로써, 밸브 코어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일방향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방향 밸브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 케이스; 상기 밸브 케이스의 상기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케이스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유체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 코어; 상기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서로 편향되게 하는 탄성 편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탄성 편향부는, 상기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이 제 1 압축거리로 압축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압축거리 보다 짧은 제 2 압축거리로 압축되어 상기 밸브 코어에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코어의 상기 탄성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제 1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코어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코어 경사부의 상기 제 1 경사 각도는 3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탄성 편향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밸브 코어에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케이스의 상기 탄성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제 2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밸브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밸브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정심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정심 돌출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경면에 구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밸브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편향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과 일정한 편심 거리 만큼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편심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편심 거리는 0.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유체는 차량의 에어컨용 냉매이고, 상기 밸브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에어컨용 압축기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 장치에서, 상기 유체는 차량의 냉각수 또는 수증기이고, 상기 벨브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리저버탱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가 밸브 코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함으로써, 밸브 케이스내에서 밸브 코어가 상하이동 시 밸브 케이스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코어가 상하이동 시에 밸브 케이스의 내경면과 접촉됨으로써, 밸브 코어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밸브 코어의 진동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방향 밸브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방향 밸브 장치가 절개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방향 밸브 장치의 밸브 코어가 탄성 부재로부터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받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일방향 밸브 장치(100)가 절개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방향 밸브 장치(100)의 밸브 코어(30)가 탄성 부재(40)로부터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받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100)는, 가변용량 압축기의 오프(off)시 토출압력이 배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DCV(Discharge Check Valve)이며, 크게 밸브 케이스(10)와, 밸브 시트(20)와, 밸브 코어(30)와, 탄성 부재(40) 및 탄성 편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10)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유체 배출구(11)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밸브 케이스(10)는, 내부에 밸브 시트(20)의 일부분과, 밸브 코어(30) 및 탄성 부재(40)를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밸브 케이스(10)는, 수지, 스틸,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아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되는 구조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밸브 케이스(10)는, 도 2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내부에 밸브 시트(20)의 일부분과, 밸브 코어(30) 및 탄성 부재(40)를 수용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재질의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막힌 원통형 구조로 제작되어, 하부가 밸브 시트(20)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밸브 케이스(10)의 측면 및 상면에는 다수의 유체 배출구(1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체 배출구(11)는, 밸브 케이스(10)내로 유입된 유체가 밸브 코어(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또한, 밸브 케이스(10)는, 탄성 부재(40)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밸브 케이스(10)의 내측 상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 부재(40)가 삽입되고, 밸브 코어(30)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정심 돌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정심 돌출부(12)는, 탄성 부재(4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경면에 구배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케이스(10)는, 정심 돌출부(12)를 포함하여, 밸브 코어(30)가 밸브 케이스(10) 내에서 상승 시,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압축되면서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20)는, 밸브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21)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앙 부분에 유체 유입구(2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20)에서 밸브 케이스(10)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결합 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밸브 케이스(10)의 하부에는 결합 홈(22)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 돌기(14)가 형성되어, 밸브 시트(20)의 결합 홈(22)과 밸브 케이스(10)의 결합 돌기(14)가 끼워 맞춤 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밸브 케이스(10)와 밸브 시트(20)는 반드시 상술한 상기 끼워 맞춤 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나사 결합, 본딩 결합 등 다양한 결합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밸브 케이스(10)와 밸브 시트(20)의 결합부에는 유체의 실링을 위해서 각종 오링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30)는, 밸브 케이스(10)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체 유입구(21) 및 유체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제적으로, 밸브 코어(30)는, 유체 유입구(21) 측의 유체의 압력이 높아지면, 유체에 의해 후진되어 밸브 케이스(10)의 상부 방향으로 상승하고, 다시 유체 유입구(21) 측의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면, 전진하여 밸브 케이스(10)의 하부 방향으로 하강함에 따라, 유체 유입구(21) 및 유체 배출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밸브 코어(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탄성 부재(40)의 일부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고, 외면이 케이스부(10)의 내경면에 의해 안내되어 전후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유입구(21) 측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밸브 코어(30)가, 유체 유입구(21)와 유체 배출구(11)가 연통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반대로 유체 유입구(21) 측의 압력이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면 밸브 코어(30)가, 유체 유입구(21)와 유체 배출구(11)가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하여, 유체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차량의 에어컨용 냉매이고, 밸브 케이스(10)는, 상기 차량의 에어컨용 압축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차량의 냉각수 또는 수증기이고, 밸브 케이스(10)는 상기 차량의 리저버탱크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방향 밸브 장치(100)는, 에어컨용 압축기에 설치되어 냉매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여 냉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저버탱크에 설치되어 냉각수 또는 수증기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엔진과열로 인해 고온의 냉각수 또는 수증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끓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는, 밸브 케이스(10)와 밸브 코어(30)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 유입구(2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탄성 편향부(50)는,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부재(40)의 탄성 복원력이 서로 편향되게 유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 편향부(50)는,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의 일측이 제 1 압축거리(L1)로 압축되고, 타측이 제 1 압축거리(L1) 보다 짧은 제 2 압축거리(L2)로 압축되어 밸브 코어(30)에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밸브 코어(30)의 탄성 부재(40)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제 1 경사 각도(A1)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코어 경사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어 경사부(51)의 제 1 경사 각도(A1)는 3도 내지 20도일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편향부(50)의 코어 경사부(51)로 인하여, 밸브 코어(30)가 탄성 부재(40)로부터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 받음으로써, 탄성 복원력이 약한 쪽으로 밸브 코어(30)가 기울어져서, 밸브 코어(30)의 기울어진 측이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함으로써, 밸브 케이스(10) 내에서 밸브 코어(30)가 상하이동 시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100)는, 밸브 코어(30)가 상하이동 시에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됨으로써, 밸브 코어(30)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30)의 진동 발생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일방향 밸브 장치(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200)의 밸브 케이스(10)는, 탄성 부재(40)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탄성 부재(40)의 탄성 복원력이 편향될 수 있도록, 밸브 케이스(10)의 내측 상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 부재(40)가 삽입되고, 밸브 코어(30)의 중심축과 일정한 편심 거리(D) 만큼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편심 돌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편심 거리(D)는, 0.1mm 내지 1.0mm일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할 때, 탄성 부재(4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편심 돌출부(13)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향된 탄성 복원력의 방향으로 일정한 편심 거리(D) 만큼 이격되어 형성되어,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200)는,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함으로써, 밸브 케이스(10) 내에서 밸브 코어(30)가 상하이동 시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코어(30)가 상하이동 시에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됨으로써, 밸브 코어(30)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30)의 진동 발생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일방향 밸브 장치(2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300)의 탄성 편향부(50)는,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에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밸브 케이스(10)의 탄성 부재(40)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제 2 경사 각도(A2)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경사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할 때, 탄성 부재(4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효과적으로 인가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경사부(52)가 코어 경사부(51)와 같은 방향으로 제 2 경사 각도(A2) 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제 2 경사 각도(A2)는 제 1 경사 각도(A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코어(30)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40)가 밸브 코어(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탄성 복원력을 밸브 코어(30)에 서로 편향되게 인가함으로써, 밸브 케이스(10) 내에서 밸브 코어(30)가 상하이동 시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300)는, 밸브 코어(30)가 상하이동 시에 밸브 케이스(10)의 내경면과 항시 접촉됨으로써, 밸브 코어(30)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30)의 진동 발생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일방향 밸브 장치(3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 장치(400)는, 가변용량 압축기의 석션(suction)압력 맥동 및 소음 저감을 할 수 있는 SDD(Suction Damping Device)이며,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방향 밸브 장치(100, 200, 300)의 구성 요소들과 그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밸브 케이스
20: 밸브 시트
30: 밸브 코어
40: 탄성 부재
50: 탄성 편향부
L1: 제 1 압축거리
L2: 제 2 압축거리
A1: 제 1 경사각도
A2: 제 2 경사각도
100, 200, 300, 400: 일방향 밸브 장치

Claims (10)

  1.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유체 배출구가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 케이스;
    상기 밸브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유체가 유입되는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케이스 내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 및 상기 유체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고,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밸브 코어;
    상기 밸브 케이스와 상기 밸브 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유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작용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서로 편향되게 하는 탄성 편향부;
    를 포함하는, 일방향 밸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편향부는,
    상기 밸브 코어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측이 제 1 압축거리로 압축되고, 타측이 상기 제 1 압축거리 보다 짧은 제 2 압축거리로 압축되어 상기 밸브 코어에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코어의 상기 탄성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제 1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코어 경사부;
    를 포함하는, 일방향 밸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경사부의 상기 제 1 경사 각도는 3도 내지 20도인, 일방향 밸브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편향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밸브 코어에 편향된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케이스의 상기 탄성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제 2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경사부;
    를 더 포함하는, 일방향 밸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밸브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정심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일방향 밸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심 돌출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경면에 구배부가 형성되는, 일방향 밸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의 상부가 정위치에서 이탈하지 않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편향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케이스의 내측 상면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밸브 코어의 중심축과 일정한 편심 거리 만큼 이격된 중심축을 가지는 편심 돌출부;
    를 포함하는, 일방향 밸브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거리는 0.1mm 내지 1.0mm인, 일방향 밸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차량의 에어컨용 냉매이고, 상기 밸브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에어컨용 압축기에 설치될 수 있는, 일방향 밸브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차량의 냉각수 또는 수증기이고, 상기 벨브 케이스는 상기 차량의 리저버탱크에 설치될 수 있는, 일방향 밸브 장치.
KR1020160180245A 2016-12-27 2016-12-27 일방향 밸브 장치 KR20180076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45A KR20180076113A (ko) 2016-12-27 2016-12-27 일방향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45A KR20180076113A (ko) 2016-12-27 2016-12-27 일방향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13A true KR20180076113A (ko) 2018-07-05

Family

ID=6292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245A KR20180076113A (ko) 2016-12-27 2016-12-27 일방향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1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402B2 (en) Micro water pump capable of controlling flow precisely
JP6695848B2 (ja) 高圧ポンプ
KR101746009B1 (ko) 급속 토출밸브 구조체 및 다이아프램 펌프
US7070160B2 (en) Diaphragm valves
KR20130099000A (ko) 유압 피스톤 펌프의 밸브
US7175157B2 (en) Fluid controller
KR100841234B1 (ko) 화학 액체 밸브
CN205388167U (zh) 用于阀的闭锁体以及具有这种闭锁体的阀
KR102076967B1 (ko) 흡입 맥동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사판식 압축기
KR20180076113A (ko) 일방향 밸브 장치
KR20150000500A (ko) 다이어프램 밸브
CN102410199B (zh) 阀,特别是液压活塞泵的阀
US10648582B2 (en) Check valve and liquid delivery pump
KR101146109B1 (ko) 연료 압력 조절장치
JP6714468B2 (ja) ダイアフラム弁
KR102629406B1 (ko) 다이어프램 밸브
JP5248660B2 (ja) ダイアフラム弁
KR20170108854A (ko) 저가형 일방향 밸브 장치
KR102357776B1 (ko) 밸브
AU2018231033B2 (en) Ven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venting within a chamber of a reciprocating device assembly
KR20070070019A (ko) 일정 용적형(容積形) 전자(電磁) 다이어프램 펌프
JP7487946B2 (ja) 電気的駆動弁
KR200494425Y1 (ko) 보조압력을 이용한 압력조절기
US20220325802A1 (en) Valve device
KR102315066B1 (ko) 무전원 수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