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061A -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061A
KR20180076061A KR1020160180146A KR20160180146A KR20180076061A KR 20180076061 A KR20180076061 A KR 20180076061A KR 1020160180146 A KR1020160180146 A KR 1020160180146A KR 20160180146 A KR20160180146 A KR 20160180146A KR 20180076061 A KR20180076061 A KR 20180076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peed
author
feed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80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061A/ko
Publication of KR20180076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에 있어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저작물관리부,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대한 저장된 저작물의 배속여부를 설정하여 상기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에 대한 리스트인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배속관리부 및 상기 급송을 통해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유저에게 노출하는 저작물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ACCESS}
본 발명은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대한 저작물의 배속여부를 제어하여 저작물의 노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SNS와 같은 서비스가 인기를 끌면서 온라인상의 활동이 증가됨에 따라 개인들이 생성하는 저작물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저작물 중 자신의 일상을 촬영한 사진 또는 글과 같은 저작물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인의 사생활을 포함하고 있거나 또는 개인의 생각을 포함하는 저작물은 온라인상의 장소인 블로그 또는 SNS에 개별적으로 등록하여 게시된다.
하지만, 개인들이 온라인상에 게시한 저작물이 늘어나고, 저작물이 등록된 온라인상의 장소가 다양해짐에 따라 자신이 게시한 저작물을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개인들이 제작한 저작물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각 저작물 별로 게시된 온라인상의 장소를 방문하여 개별적으로 삭제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개인의 사생활에 대한 보호가 필요할 때 자신의 저작물을 삭제, 노출여부 등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기간이 오래되어 개인이 기억하지 못하는 저작물에 대해서는 추적하여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6-0132477호에서는 디지털 저작물의 불법 복제 유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TCP/IP 기반의 라이선스 관리서버에 저작물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라이선스 용도별로 적합하게 권리를 분리 조합 등록함으로써, 불법적으로 저작물을 전송, 복제하는 이용자에게 다운로드 전후의 시기에 자신의 목적에 맞는 라이선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상술된 바와 같이 자신이 제작한 저작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자를 중심으로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작물이 게시되는 복수의 온라인상의 장소에 대한 저작물의 노출여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의 삭제여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에 있어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저작물관리부,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대한 저장된 저작물의 배속여부를 설정하여 상기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에 대한 리스트인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배속관리부 및 상기 급송을 통해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유저에게 노출하는 저작물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상기 저작물을 등록하는 배속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급송에 대해 배속이 설정된 저작물을 포함하는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을 통해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상기 저작물을 등록하는 배속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급송에 대해 배속이 설정된 저작물을 포함하는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을 통해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상기 저작물을 등록하는 배속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급송에 대해 배속이 설정된 저작물을 포함하는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을 통해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저자를 중심으로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저작물이 게시되는 복수의 온라인상의 장소에 대한 저작물의 노출여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의 삭제여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저작물’은 사람이 오감으로 인지될 수 있는 창작물로 예를 들어, 사진, 글, 음악,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작물을 창작하여 생성한 유저를 ‘저자’라고 한다.
그리고 ‘급송’은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유저에게 온라인상으로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매체로 유저들은 급송을 통해 저작물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유저는 급송을 통해 노출된 저작물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저작물에 열람권한 유무에 따라 열람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속’은 저작물이 급송을 통해 노출되도록 등록하는 것이고, 각 급송 별로 배속되어 노출되는 저작물에 대한 리스트를 ‘배속리스트’라고 한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는, 저자가 저작물의 제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자가 자신이 생성한 저작물의 급송에 대한 배속여부 또는 저작물의 삭제여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급송에 대해 배속된 저작물이 포함된 배속리스트를 기초로 저작물을 급송을 구독하는 유저에게 노출시킬 수 있으며, 유저의 저작물에 대한 열람권한을 식별하여 저작물의 열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전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은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단말기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유저와의 인터랙션을 위한 클라이언트가 설치된 전자단말기와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컴퓨팅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가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제 3 의 서버(미도시)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전자단말기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작물관리부(110), 배속관리부(120), 저작물노출부(130) 및 인터페이스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내부구성요소, 즉, 저작물관리부(110), 배속관리부(120), 저작물노출부(130) 및 인터페이스제공부(14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외부구성요소와의 통신을 하게 하는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작물관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저자와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작물을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진 또는 영상을 제작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관리부(110)는 글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워드프로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작물관리부(110)는 제 3 의 단말로부터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가 생성하여 타 서버에 저장된 저작물을 저자로부터 획득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크롤링하거나 또는 타 서버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저자의 저작물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과 저자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관리부(110)는 회원가입을 통해 저자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계정에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저장된 저작물을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고, 각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작물이 분류되는 기준에 따라 하나의 저작물이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 카테고리에 저작물을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이 “인도 음식”에 관련된 저작물의 경우, 저작물관리부(110)는 음식에 대한 카테고리와 인도에 대한 카테고리 각각에 “인도 음식” 저작물을 매칭함으로써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카테고리 별로 매칭되어 저장된 저작물을 타 카테고리로 변경하여 카테고리와의 매칭을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작물이 분류되어 매칭된 각 카테고리에 대한 명칭을 저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으며, 설정된 카테고리의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삭제할 수 있다.
즉,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작물을 삭제하거나 또는 저자로부터 선택된 카테고리에 매칭된 복수의 저작물을 일괄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관리부(110)는 저자와 매칭된 저작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아 삭제하거나 또는 카테고리를 선택받아 카테고리에 매칭된 모든 저작물을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작물을 저장 관리함으로써 저자를 중심으로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배속관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속관리부(120)는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대한 저장된 저작물의 배속여부를 설정하여,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에 대한 리스트인 배속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앞서, 배속관리부(120)는 저자 또는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에 대한 배속여부를 설정받을 수 있다.
이때, 배속관리부(120)는 하나의 저작물에 대해 배속여부를 설정받거나 또는 복수의 저작물 집합에 대해 일괄적으로 배속여부를 설정받을 수 있다. 또는 저작물이 분류되어 매칭된 카테고리 단위별로 배속여부를 설정받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저자가 급송에 대한 저작물의 제어권을 갖는 경우, 배속관리부(120)는 저자의 입력에 따라 급송에 저작물을 배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5 급송 중 저자가 저작물의 제어권을 갖는 제 2 급송에 대해 저작물을 배속하는 요청을 획득하면, 배송관리부(120)는 해당 저작물을 제 2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저자가 급송에 대한 저작물의 제어권을 갖지 못한 경우, 배송관리부(120)는 저자 또는 급송의 관리자 중 어느 하나의 배속요청에 따라 저작물을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이때, 배속을 요청한 자에 따라 저자의 배속 요청에 대한 수락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배송관리부(120)가 저자로부터 급송에 대한 배속 요청을 획득하면, 배송관리부(120)는 저자의 배속 요청을 급송의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급송의 관리자가 저작물의 배속을 수락하면, 배송관리부(120)는 저자의 저작물을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이때, 급송의 관리자가 한명인 경우,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의 관리자가 수락하면, 저자의 저작물을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그러나 급송의 관리자가 복수인 경우,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의 복수의 관리자 각각의 수락의사 표시를 통해 저작물의 급송의 배속이 의결되면, 저자의 저작물을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배송관리부(120)가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배속 요청을 획득하면, 배송관리부(120)는 저작물의 저자에게 급송에 대한 배속의 허가를 요청할 수 있고, 저자가 급송에 대한 배속을 허가하면 급송에 저작물을 배속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복수의 급송의 관리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배속 요청을 획득하면, 배송관리부(120)는 해당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에게 배속 요청을 전달할 수 있고, 해당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가 저작물의 배속을 수락하면, 배송관리부(120)는 저작물의 저자에게 급송에 대한 배속의 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저자가 급송에 대한 배속을 허가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에 저작물을 배속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배송관리부(120)가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에 대해 배속 요청을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획득하면, 배송관리부(120)는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을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이때, 급송의 관리자가 복수이면, 배송관리부(120)는 해당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의 배속 요청을 전달하여 해당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로부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의 수락을 받아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을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작물을 급송 별로 배속하여 노출여부를 관리함으로써 저작물을 제공하는 복수의 급송에 대한 저작물의 노출여부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송관리부(120)는 각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의 리스트인 배속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저자 또는 급송의 관리자에 의해 저작물의 급송에 대한 배속여부가 변경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의 배속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급송에 저작물이 배속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의 배속리스트에 저작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자 또는 급송의 관리자에 의해 급송에 저작물이 배속 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에 대한 배속리스트에 저작물을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급송에 저작물의 배속이 해제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의 배속리스트에서 저작물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자가 급송에 배속된 특정 저작물의 배속을 해제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에 대한 배속리스트에서 저작물을 제외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저자가 카테고리에 대한 배속을 해제하면, 배송관리부(120)는 급송에 대한 배속리스트에서 저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매칭된 모든 저작물을 제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급송에 노출된 저자의 저작물에 대해 삭제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작물노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작물노출부(130)는 급송을 통해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유저에게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노출부(130)는 급송의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게시물의 제목을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순서에 따라 급송을 구독한 유저에게 나열함으로써 저작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후, 저작물노출부(130)는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에 대해 설정된 열람권한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노출된 저작물의 열람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저작물노출부(130)는 저작물에 대해 설정된 열람권한을 식별할 수 있고, 저작물을 선택한 유저에게 열람권한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저작물을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게시물의 제목 중 어느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면, 저작물노출부(130)는 유저가 선택한 게시물의 열람권한인 “18세 이상 열람가능”을 확인할 수 있고, 유저가 “18세 이상인지” 확인하여 게시물의 본문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속리스트에서 저작물이 제거되면, 저작물노출부(130)는 배속리스트에서 제거된 저작물을 급송을 통해 유저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급송을 구독하는 유저에게 기 노출된 복수의 저작물에 대해 저자가 배속을 해제하여 배속리스트에서 제거되면, 저작물노출부(130)는 배속리스트에서 제거된 복수의 저작물의 노출을 변경하여 제 1 급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1 급송의 관리자가 복수의 저작물에 대해 배속을 해제하여 배속리스트에서 제거되면, 저작물노출부(130)는 배속리스트에서 제거된 복수의 저작물의 노출을 변경하여 제 1 급송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인터페이스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제공부(140)는 저작물에 대한 상기 급송의 배속 여부 및 상기 저작물의 삭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관리인터페이스를 상기 저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제공부(140)는 각 저작물에 대해 카테고리를 설정하거나 또는 카테고리의 명칭을 변경하도록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제공부(140)는 저자가 저작물을 개별적으로 급송에 배속시키거나 또는 카테고리 단위로 급송에 배속을 설정할 수 있도록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저작물을 개별적으로 삭제하거나 또는 카테고리 단위로 삭제할 수 있도록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괄적으로 저작물을 관리함으로써 기존 온라인상에서 자신의 저작물을 관리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게시물에 접근하여 수정하는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S2001).
이를 위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에게 저작물을 생성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에게 게시물을 작성할 수 있는 워드프로세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사진 또는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제 3 의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제 3 의 서버에서 생성되어 편집된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가 생성한 저작물을 저자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자의 입력에 따라 저작물을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의 입력에 따라 제 1 급송 카테고리와 제 2 급송 카테고리로 저자의 저작물을 분류할 수 있으며, 제 1 급송 카테고리와 제 2 급송 카테고리 각각과 분류된 저작물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저작물을 등록하는 배속의 요청을 수신하여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할 수 있다(S2002).
그리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급송에 대해 배속이 설정된 저작물을 포함하는 배속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2003).
예를 들어, S2002단계에서 급송에 저작물이 배속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급송에 대한 배속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고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을 배속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급송을 통해 노출시킬 수 있다(S2004).
즉,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급송을 통해 복수의 저작물을 제공받는 것을 등록한 유저에게 S2003단계를 통해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을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급송을 통해 사진의 제목과 일부 사진만이 표시된 썸네일을 유저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자의 선택에 따라 S2004 를 통해 노출된 저작물을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자가 저작물을 삭제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작물이 배속된 적어도 하나의 급송에 노출된 저작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각 급송의 배속리스트에서 저작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저자가 특정 급송에 대한 배속을 해제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배속이 해제된 급송에 노출된 저작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4 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도 2 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편의를 위해 생략한다.
도 3 은 저자가 저작물의 배속을 요청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고(S3001), 저자의 입력에 따라 저작물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각 카테고리별로 저작물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S3002).
이후,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은 저작물을 배속할 급송이 저자가 접근관리를 하는 급송인지 판단할 수 있고(S3003), 저자가 접근관리를 하는 급송이 아니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급송의 관리자에게 배속을 요청할 수 있다(S3004).
예를 들어, 저자가 배속을 요청한 급송에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가 있는 경우,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작물에 대한 정보와 함께 배속 요청을 모든 급송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각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수락의 의사를 획득할 수 있다(S3005).
이때, 급송의 관리자가 수락하지 않는 경우,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S3005단계를 반복하거나 또는 저작물의 배속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급송의 관리자가 배속을 수락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가 배속을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에 대해 급송에 배속할 수 있다(S3006).
그리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배속리스트에 S3006단계에서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을 포함시킬 수 있고(S3007),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급송을 통해 유저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S3008).
한편, S3003단계에서 저자가 급송에 대한 접근관리를 하는 경우,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의 입력에 따라 S3006 단계 내지 S3008단계를 수행하여 급송을 통해 저작물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는 급송의 관리자가 저작물의 배속을 요청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고(S4001), 저자의 입력에 따라 저작물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각 카테고리별로 저작물을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S4002).
그리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작물의 배속 요청이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획득된 요청인지 판단할 수 있고(S4003), 급송의 관리자의 배속 요청이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급송의 관리자의 배속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S4004).
이와 달리 S4003단계에서 저작물의 배속 요청이 급송의 관리자의 배속요청이 아니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상술된 S3003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급속의 관리자가 복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S4005), 급속의 관리자가 복수이면, S4004 에서 획득된 배속 요청을 해당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S4006),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로부터 수락의 의사를 획득할 수 있다(4007).
이때,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가 수락하지 않는 경우,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S4007단계를 반복하거나 또는 저작물의 배속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급송의 관리자가 배속을 수락하면,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배속이 요청된 저작물이 재배포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08).
실시예에 따라 저작물이 재배포가 가능한 경우,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가 배속을 요청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에 대해 급송에 배속하여(S4010), 배속리스트에 저작물을 포함시킬 수 있고(S4011),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저작물을 급송을 통해 유저에게 노출시킬 수 있다(S4012).
이와 달리 S4008단계에서 재배포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로 배속의 승인을 요청할 수 있고(S4009), 저자가 급송에 배속을 승인하면, S4010단계 내지 S4012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S4009단계에서 저자가 배속의 승인을 하지 않는 경우에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급송의 관리자에게 저자가 거부하였음을 알릴 수 있고, 급송에 대해 저작물의 배속을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 또는 급송의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따라 S4012 단계를 통해 급송에 노출된 저작물을 회수하여 급송을 통해 저작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애,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 또는 급송의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특정 저작물만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특정 카테고리 내에 포함된 모든 저작물이 일괄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작물접근제어장치(100)는 저자의 입력에 따라 특정 저작물을 삭제하거나 또는 저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카테고리에 매칭된 복수의 저작물을 일괄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을 통해 기존과 같이 특정 급송 별로 저작물에 접근하여 삭제 또는 노출여부를 관리하는 것이 아닌 모든 급송에 대해 저작물의 삭제 또는 노출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저작물접근제어장치
110: 저작물관리부
120: 배속관리부
130: 저작물노출부
140: 인터페이스제공부

Claims (19)

  1.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에 있어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저작물관리부;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상기 저작물의 배속여부를 설정하여 상기 급송에 배속된 저작물에 대한 리스트인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배속관리부; 및
    상기 급송을 통해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유저에게 노출하는 저작물노출부를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접근제어장치는,
    상기 저작물에 대한 상기 급송의 배속 여부 및 상기 저작물의 삭제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관리인터페이스를 상기 저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관리부는,
    상기 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물을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매칭시키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관리부는,
    상기 저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카테고리의 명칭을 설정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속관리부는,
    상기 저자에 의해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에 매칭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에 배속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관리부는,
    상기 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자에 의해 선택된 저작물 및 상기 저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분류된 저작물 중 어느 하나를 삭제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속관리부는,
    상기 저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급송의 관리자의 배속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물을 상기 급송에 배속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속관리부는,
    상기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저작물의 배속 여부에 대한 상기 저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물을 상기 급송에 배속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속관리부는,
    상기 저작물 중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에 대해 상기 급송에 대한 배속 요청을 상기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획득하면, 상기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에 배속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속관리부는,
    상기 급송의 관리자가 복수인 경우, 상기 급송의 관리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저작물의 배속 요청을 획득하면, 상기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속관리부는,
    상기 저자 및 상기 급송의 관리자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물에 대해 상기 급송에 대한 배속을 해제하여 상기 배속리스트에서 상기 저작물을 제거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노출부는,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에 대해 설정된 열람권한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에게 노출된 저작물의 열람을 제공하는, 저작물접근제어장치.
  13. 저작물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자에 의해 생성된 저작물을 상기 저자로부터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유저에게 저작물을 노출시키는 급송에 상기 저작물을 등록하는 배속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급송에 대해 배속이 설정된 저작물을 포함하는 배속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속리스트에 포함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을 통해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저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여부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여부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송의 관리자로부터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에 대한 배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포가 허가된 저작물을 상기 급송에 배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물에 대한 배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급송의 복수의 관리자 중 어느 하나의 관리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 요청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급송의 나머지 관리자로부터 상기 저작물의 배속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작물접근제어방법.
  18. 제 13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9. 저작물접근제어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13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80146A 2016-12-27 2016-12-27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76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46A KR20180076061A (ko) 2016-12-27 2016-12-27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46A KR20180076061A (ko) 2016-12-27 2016-12-27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61A true KR20180076061A (ko) 2018-07-05

Family

ID=6292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146A KR20180076061A (ko) 2016-12-27 2016-12-27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6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4482B2 (en) Method of navigating through digital content
US87550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f-publication
US201302625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se of portable objects
US201301853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generated content
US20130103592A1 (en) Interactive Licensing Of Media With Negotiation And Dynamic Pricing Guidance
US20130262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Handling and Aggregation of Multimedia Contents, for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Multimedia Aggregate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Associated Advertising Revenue
US20150326548A1 (en) Management of digital assets
CN105190667A (zh) 基于互联网的内容平台中的频道级广告属性
US20130145028A1 (en) Access Control List
WO2012052632A4 (fr) Procédé de diffusion de documents numériques auxquels sont attachés des droits d'usage, supportant la copie multiple, l'échange et multiplate-forme
US202001433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kering the Publication of Media Content
US9460300B1 (en) Utilizing multiple access control objects to manage access control
US201500063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option-based transfers of acquired digital content items
US20170206586A1 (en) Dynamically Customizing User Quotas
Ikuta et al. Blending texture features from multiple reference images for style transfer
Jo et al. Local context based recognition+ Internet of Things: Complementary infrastructures for future generic mixed reality space
KR20180076061A (ko) 저작물의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20419A (ko) 온라인 콘텐츠 종합 관리 시스템
AU20202337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kering the publication of media content
US202203355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grated video content discovery, selling, and buying platform
Ozeri et al. Keeping deep learning GPUs well fed using object storage
Baillargeault et al. Mice, a small story
Green A museum guide to digital rights management
Carrer et al. Mobile tagging and mixed realities
Fitzgerald et al. Fantasia: music evolv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