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457A -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457A
KR20180075457A KR1020180071963A KR20180071963A KR20180075457A KR 20180075457 A KR20180075457 A KR 20180075457A KR 1020180071963 A KR1020180071963 A KR 1020180071963A KR 20180071963 A KR20180071963 A KR 20180071963A KR 20180075457 A KR20180075457 A KR 20180075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road surface
road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457A/en
Publication of KR2018007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4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uiding a route of a vehicle,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guiding a route of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a method for guiding a route of a vehicle,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guiding a route of a vehicle, which can adjust estimated time of arrival in a drive path and provide a driver with information on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using road su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various vehicles during driving of a vehicle. The method for guiding a route of a vehicle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road surface information in a preset drive path changed in real-time from various devices equipped in the vehicle, such as an ABS and a rain sensor; deciding whether or not the road surface state is different from normal road surface state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providing drivers, who are expected to pass the corresponding region, with the information if the road is in a dangerous state requiring drivers′ attention, thereby promoting convenience of drivers.

Description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guidance method,

본 발명은 주행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다수의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guidan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guidance method in which, by using road su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when a vehicle is operated, a scheduled arrival time for a traveling route is adjusted, And a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위성으로부터의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주행 거리 및 주행 속도, 도착 예정 시간 등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 정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In general, a navigation system receives GPS information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and determines a traveling path, a traveling distance and a traveling speed from a current position to a destination, Time, etc., and provide it to the user in the form of voice or image information.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 외에도 주행 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navigation system calculates a traveling route and a scheduled arrival tim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and provides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the user. In addition,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raveling are provided to the user in real time.

또한, 최근에는 교통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 또는 기상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도로의 교통 정체 상태 등의 교통 정보 또는 주변 지역의 기상 정보 등을 제공받아 최단 주행 경로, 최단 주행 시간 등의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raffic information such as a traffic congestion state of a road to be used by a user or weather information of a surrounding area to be used by a separate server providing a traffic information service or a separate server providing a weather information service, A navigation system capable of calculating information such as a route, a shortest running time, and the like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a user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교통 정보 또는 기상 정보 등을 제공받아 주행 경로 및 이에 소요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더라도, 도로의 교통 정체 상황 또는 주변 지역의 기상 상황은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목적지까지 도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산출된 도착 예정 시간이 상이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혼란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However, even if traffic information or weath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separate server to calculate the traveling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the traffic congestion situation on the road or the weather conditions in the surrounding area often changes every moment,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often different from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user, which causes a lot of confusion to the user.

특허문헌: KR 10-0779466 B1, 2007년 11월 20일 등록 (명칭: 제동 시 노면상태 판단방법)Patent Document: KR 10-0779466 B1, registered on November 20, 2007 (Name: Method of judging road surface condition during braking)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주행 안내 시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한 속도나 도착 예정 시간과 같은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road guidance information such as a speed limit and a scheduled arrival tim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weather conditions or road surface conditions at the time of vehicle driving guidance.

또한, 차량에 구비된 ABS 및 레인센서 등의 다수의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 해당 차량 또는 다른 차량으로 제공하는 데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or another vehicle that measures a current weather condition or a road surface condition more accurately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rough a plurality of devices such as an ABS and a rain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안내 시스템은 차량 운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안전 운행 속도 및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전송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guidance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 route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for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y confirming the current user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which output the information, the estimat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route and the traveling route to the destination is calc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 road surface information obtaining apparatus Wh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the risk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saf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risk level is confirmed,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nd a travel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adjusting and transmitting the previously scheduled arrival time based on the safe running speed and the safe running spe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는 차량 운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도로 정보 수집부, 도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차량 위치 확인부 및 도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t least one road surface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is in operation, a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cquiring unit for collec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vehicle location confirming unit and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nfirm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data.

여기서, 제2 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 수집부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된 빗물량 정보,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collect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n anti-lock brake system (anti-lock brake system) for preventing the wheels from locking during braking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wheel sensor, And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rain sensor detected through the rain sensor mounted on the windshield Information about the wiper operation detected through the wiper operation sensor, and outdoor air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outdoor air temperature sensor.

이때, 일정 기간,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거나, 처음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에만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only at the time when the first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 입력부,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확인한 후,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a terminal input unit for inpu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r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at least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When at least one roa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vel route is received from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or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fter confirm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vel route and the travel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a terminal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risk level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ing the predetermined saf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risk, and adjus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based on the safe running spe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안전 운행 속도 및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t least one user terminal;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nd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the risk level is calculated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fter confirming the predetermined saf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risk, the user terminal device which is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sets the previously estimated arrival time based on the safe running speed and the safe running speed And a service control unit for adjusting and transmitting .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는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servic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risk by compar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or may determine a risk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안내 방법은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 및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guidance method including receiv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A step of extracting a user terminal device likely to pass through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 step of extracting a user terminal device from which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s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adjusting the scheduled arrival time to be transmitted based on the traveling speed and transmitting the adjusted arrival tim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이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isk may include determining the risk by comparing the road information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for road surface information, or determining the risk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경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가 감소되는 것이 비례하여 위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Here, when the ris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it is proportional that the number of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s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is proportional to the risk And a step of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단계는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사용자 단말장치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를 확인하여,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step of extracting the user terminal device may include extracting and providing the user terminal device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by checking the traveling route transmitted by the travel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have.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주행 안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travel guidance method described in at least one of the above items is recorded may b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주행 안내 시 해당 주행 경로 상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보다 정확하게 제한 속도 정보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response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provide the speed limit information, the estimated arrival time, etc. to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weather condition or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on at least a part of the traveling route .

또한, 본 발명의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나 기상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guidanc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urrent road surface condition or weather condition during driving through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에서의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에서의 도로 노면 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를 위한 도착 예정 시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messag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driving guidance method in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in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pecif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scheduled arrival time calculation method for traveling gui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at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driv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o omit the unnecessary description so as to convey the key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without fading.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describing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re not used to define the components.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ravel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ravel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시스템(100)은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 및 통신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 travel guidan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 a user terminal device 20,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40 Lt; / RTI >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운행 중의 해당 도로의 노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collects road surface information of a road during a vehicle operation through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in real time.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 수집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통상적으로 도로의 노면은 상태가 양호한 도로가 있는 반면에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림에 따른 결빙으로 미끄러운 노면, 주변 환경과 지역적인 영향 및 시간대에 따른 습기 및 결빙으로 미끄러운 노면, 공사로 인하여 포장이 벗겨진 비포장 노면 등 다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Generally, roads on roads have good road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roads with good road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roads with slippery roads due to rain or snow, slippery roads due to environmental and local influences, It maintains various conditions such as road surface.

이러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노면이 양호하지 않을 경우, 타이어와 도로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상적인 차량 제동 제어가 이뤄지지 않아 주변 차량과의 충돌 등 대형 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ad surface is not goo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is reduced, so that the normal vehicle braking control is not performed, thereby causing a serious accident such as a collision with a nearby vehicle.

따라서 차량에는 차량 주행 시 운전자의 의지와 다르게 차량이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행 안전 장치(Electronic Stability Program)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Therefore,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in order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driver's intentio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이러한 주행 안전 장치는 차량이 미끄러지려고 할 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네 바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건조한 노면, 빗길, 자갈길, 눈길 등에서의 주행 안정성을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Such a driving safety device independently controls each of four wheels instantaneously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when the vehicle tries to slip,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driving on a dry road surface, a comb, a cobbled road, and an eye path.

예를 들면, 차량의 네 바퀴에 장착되어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이하, ABS라 함), 엔진에 장착되는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을 이용하여 각 바퀴로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조향 휠에 장착되며 조향 휠의 각속도를 기초로 조향 의지를 판단할 수 있는 조향 휠 각속도 센서 등이 주행 안전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an anti-lock brake system (hereinafter abbreviated as "ABS"), which is mounted on four wheels of a vehicle to prevent the wheel from being locked during braking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wheel sensor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wheel ),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master cylinder so as to control the braking force to each wheel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master cylinder mounted on the engine,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and determining the steering effort based o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teering wheel A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etc.,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traveling safety device.

또한, 주행 안전 장치 외에도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윈드쉴드 클래스(Wind Shield Class)에 장착되고, 윈드쉴드 상의 빗물량 및 수분량 등의 정보를 감지하여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인 센서(Rain Sensor), 와이퍼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와이퍼 작동 센서, 차량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에어컨을 자동으로 동작하게 해주는 외기온도 센서 등이 그 예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driving safety device, there may be various devices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installed in a windshield class, Rain sensor for detecting information and operating the wiper of the vehicle, wiper opera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and outdoor temperature sensor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air conditioner by measuring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vehicle .

이와 같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들, 즉 주행 안전 장치,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이용하여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In this way,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collects road surface information us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that is, a driving safety apparatus, and device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다시 말해, 차량 운행 중 ABS가 동작하게 되면, 현재의 도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외기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가 영하인 경우, 현재의 도로 노면은 미끄러운 결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현재 와이퍼가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가 많이 내리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ABS is opera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t can be judged that the current road surface is slippery. In addition, when the outdoor air temperature detected through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is below zero, the present road surface can be judged to be in a slippery freezing state. Further, when the wiper is actively operating through the wiper operation senso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rain is lowered.

이와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 여부, 또는 장치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Thu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by us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or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device.

이후,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와 더불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는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Then,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confirms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road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together with the collected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do.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이 처음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에 도로 노면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거나, 일정 기간 또는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될 수도 있다.Her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in real time and transmitted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but when the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start to operat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Alternatively,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n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수신되면,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user, the user terminal device 20 confirms the current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and displays the travel route on the pre-stored map data when the travel route and the arrival scheduled time are received from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Means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데, 예컨대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지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행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적용 가능하다.Such a user terminal 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Any device can be applied to the user terminal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can display the traveling route to the user through the map dat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를 독립된 형태의 장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정보 수집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20 are illustrated as independent apparatus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erminal device 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차량 내 위치하는 장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user terminal apparatus 20 may be devices located in the vehicle.

즉, 차량 운행 중에 현재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주행 시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주행 경로를 안내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50) 내 존재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since it is necessary to collect current road surface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and to guide a traveling route suitable for the user when driving the vehi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vice is present in the vehicle 50 as shown in FIG. 1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차량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주행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 특히 본 발명의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The runn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is a device capable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running information to a vehicle for smooth running of the vehicle. In particular, the runn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en th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estimat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route and the traveling route to the destination is calc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

이후,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고,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20)를 추출한 후 위험도를 기초로 추출된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한 후 재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when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at least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the risk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a user who is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fter the terminal device 20 is extracted, the estimated arrival time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extracted user terminal device 20 based on the risk level is adjusted and retransmitted.

예컨대, 주행정보 제공장치(30)가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A, B, C 지역을 경유하여 목적지에 도착하는 주행 경로 및 이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후 주행정보 제공장치(30)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차량, 예컨대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B 지역에 대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provides the travel route to the destination via the areas A, B, and C and the corresponding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 of the first vehicle 50a Describe the state as an example. The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receive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for the area B from at least one other vehicle, for example,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of the second vehicle 50b, and determines the risk level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

예를 들어,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5℃"의 3가지 도로 노면 정보 및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예컨대, B 지역)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For example, from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of the second vehicle 50b, three kinds of road surface information such as "ABS operating oil, strong wiper operating condition, ambient temperature -5 deg. C & When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rea B) is received, 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preset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여기서, 위험 조건 정보는 원래의 도로 노면의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가름할 수 있는 척도로, 예컨대, 도로 노면 정보별 기 설정된 임계값 또는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개수에 대한 조건 정보가 될 수 있다.Here, 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is a measure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how much difference there is in comparison with the state of the original road surface. For example, the road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may be condi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0.

예컨대, B 지역에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가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영하 이하"이면, "위험도 상", "ABS 동작 유"이면, "위험도 중"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의 도로 노면 정보는 위험도 상에 해당하는 상태이다.For example, if the preset risk condition information in area B is set to "dangerous" when "ABS operation oil, wiper operating state strong, ambient temperature is below zero" or "ABS operation possible" The abov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in a state corresponding to a risk.

즉,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현재 B 지역이 ABS가 동작하고 있으므로, 현재 도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이며, 와이퍼가 강하게 동작하고 있으므로, 많은 양의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이며, 외기 온도가 -5℃이므로, 도로가 결빙된 상태로 차량 주행에 깊은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상에 해당하는 상태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ABS is currently operating in the B zone, the roa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is currently in a slippery state on the road surface, and the wiper is operating strongly, so that a large amount of rain or snow is falling, -5 ° C, it is judged that the road is in a state of being frozen and in a state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risk that requires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running the vehicle.

따라서, 현재 B 지역의 도로 노면이 위험한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B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제공하기 위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 정보를 확인하여, 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단말장치(20)를 추출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road surface of the current area B is in a dangerous state,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ransmits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 And extracts the user terminal 20 which is highly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B.

이후,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가 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출되면,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확인한 후, B 지역을 통과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위험도에 따라 조정하여 다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20 of the first vehicle 50a is extracted as having a high possibility of passing through the area B,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 of the first vehicle 50a is The tim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area B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isk, and the time is agai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 of the first vehicle 50a.

반면, 위험 조건 정보가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개수에 대한 조건 정보일 경우, B 지역에 대한 도로 노면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10개 이상이면 "위험도 상", 5개 ~ 10개 사이이면, "위험도 중"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is condition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0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that simultaneously provide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on the B area includes 10 or more If it is between 5 and 10, it can be judged to be "at risk."

보다 구체적인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the user terminal device 2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ig.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차량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통신망(4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the user terminal apparatus 2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of each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 / receiv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WLAN), Wi-Fi, Wibro,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A communication method or a wired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 (Fiber to the Curb), FTTH (Fiber To The Home)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20 transmit and receive the related information by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th the travel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one communication method, it may include all other widely known or later developed communication method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각 차량의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지도 데이터와 맵핑하여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장치(20)가 직접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20)가 주행정보 제공장치(30) 또는 다수의 다른 차량에 구비된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 of each vehicle transmi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he estimated arrival time is mapped to the map data and outpu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ser terminal 20 may directly search for the traveling route and calculate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 this cas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20 receive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route from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provided in the travel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or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isk and adjust the estimated arrival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isk.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수집되는 모든 도로의 노면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가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도로 노면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 예컨대, 위험도가 상 또는 중일 경우에만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transmits road surface information of all the roads collec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transmi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may determine the risk based on the collected road surfa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only when the risk is high or midd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직접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장치(20)로 도로 노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on whic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is collected is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10 may directly transmit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to all the user terminal devices 20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radius.

이하, 본 발명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와 주행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20)를 별도의 독립된 형태의 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Prior to the descrip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for collect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20 capable of displaying the traveling route on the map are separate and independent apparatuses Explana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도로정보 수집부(11), 제어부(12), 통신부(13) 및 차량 위치 확인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 a control unit 12, a communication unit 13, As shown in FIG.

도로정보 수집부(11)는 차량 운행 시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 collects at least one road surface information us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at the time of vehicle operation.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와 같이 안정적인 차량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주행 안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하거나,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량 정보,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와 같이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anti-lock brake system (anti-lock brake system) that prevents the wheels from locking during braking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wheel sensor,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running stability device for stable vehicle driving such as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ngular velocity sens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is used as road surface information, Various kinds of control for the vehicle ar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rain amou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unted rain sensor, information on the wiper operation detected through the wiper operation sensor, and outdoor temperatur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The measured road surface information can be used a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이때, 도로정보 수집부(11)는 차량 운행 시 1분 또는 10분과 같은 일정 기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거나, 50cm, 1m와 같은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 may collect road surfac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eriod basis such as 1 minute or 10 minutes when the vehicle is running, or collect road surfac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interval basis such as 50 cm and 1 m.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장치들이 처음 동작하는 시점에만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ABS는 타이어와 도로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 부분 이상으로 감소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마찰력이 일정 부분 이상으로 감소하게 되면, 바퀴의 제동력 제어에 개입하게 된다. 이러한 ABS가 개입되는 시점에만 이에 대한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도 있다.Also,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only at the time when each of the devices described above operates for the first time. For example, the ABS monitors whether the friction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is reduced by more than a certain amount, and intervenes in the braking force control of the wheel when the friction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Information on the ABS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only when the ABS is intervened.

제어부(12)는 도로정보 수집부(11)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면, 도로 노면 정보 및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 the control unit 12 checks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re collected, To the providing apparatus 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2)가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기 이전에,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controller 12 transmit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he controller 12 determines the risk based on the collected road surface informati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

예컨대, 도로정보 수집부(11)를 통해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가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5℃"이고,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가 "ABS 동작 무, 와이퍼 동작 상태 중"일 경우에는 "위험도 중",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영하 이하"일 경우에는 "위험도 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도로 노면 정보와 위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의 도로 노면 정보는 "위험도 상"에 해당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만 상기의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 is "ABS operating oil, strong wiper operating state, ambient temperature -5 ° C" and the predetermined risk condition information is "ABS operation no, "," ABS operating oil "," Wiper operating condition ", and" Outside temperature lower than or equal to minus ", if it is set to" Risky ",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a "risk degree ", so that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only in this case.

이때, 이를 수신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위험도를 판단하는 과정 없이 바로,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을 추출한 후 해당 차량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조정하여 재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that has received the information extracts the vehicle that is expected to pass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judging the risk,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20 of the vehicle And the re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통신부(13)는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통신망(40)을 통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13)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13 transmits the collected road surface inform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 [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3 preferably operate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차량 위치 확인부(14)는 도로정보 수집부(11)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는 시점의 차량 위치를 확인하여, 상술한 제어부(12)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차량 위치 정보를 파악하거나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셀 아이디(cell ID) 방식을 통해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The vehicle position confirming unit 14 confirms the vehicle position at the time when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1 and transmits the vehicle position to the control unit 12 so that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And can confirm the current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ell ID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20)는 단말 통신부(21), 단말 제어부(22), 단말 저장부(23), 단말 입력부(24), 단말 출력부(25) 및 사용자 위치 확인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 출력부(25)는 음원처리모듈(25a)과 표시모듈(25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3, a user terminal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a terminal control unit 22, a terminal storage unit 23, a terminal input unit 24, And a user position confirmation unit 26. The terminal output unit 25 may further include a sound source processing module 25a and a display module 25b.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 통신부(21)는 통신망(40)을 통해 주행정보 제공장치(3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확인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주행정보 제공장치(30) 또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In particular,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confirmed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t least one roa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route from any one of the apparatuses 10 may be received.

단말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2)는 후술할 단말 입력부(2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지 정보와 현재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2)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수신되면, 후술할 단말 저장부(23)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상에 맵핑하여 출력하는 것을 제어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control unit 22 performs overall management of the user terminal 20.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S) and a process unit for driving each configuration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In particular,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terminal input unit 2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inpu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current user location information, ).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may control the map data to be mapped on the map data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23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travel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are received from the travel data providing apparatus 30. [

또한, 본 발명의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저장부(24)에 지도 데이터 외에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을 경우, 직접 주행 경로를 탐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arch for the direct travel route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24 when it stor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for traveling route search in addition to the map data.

다시 말해, 단말 제어부(22)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주행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confirm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sets the travel route by searching for the travel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Can be calculated.

이후, 단말 제어부(22)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위험도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Then,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vel route is received from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he terminal control section 22 transmits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After determining the risk level based on the risk, the estimated arrival tim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isk.

단말 저장부(23)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단말 저장부(23)는 지도 데이터와 더불어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3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terminal storage unit 23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map data.

이러한 단말 저장부(23)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장치(2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2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지도 데이터,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3)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erminal storage unit 23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The program area stores relevant information for driving the user terminal device 20 such a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user terminal device 20. The data area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map data an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Lt; / RTI > The terminal storage unit 23 may b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memory of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e.g., SD or XD memory), a RAM, a ROM ROM), and the like.

단말 입력부(24)는 사용자로부터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사용자 단말장치(2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입력부(24)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erminal input unit 24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from a user and transmits various signals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in connection with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 [ In particular, the terminal input unit 24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put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22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user.

이러한 단말 입력부(24)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입력부(24)는 후술할 단말 출력부(25)의 표시모듈(25b)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입력부(24)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The terminal input unit 2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pad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opera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input unit 24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one touch panel (or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25b of the terminal output unit 25 to be described later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The terminal input unit 24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 input unit such as a keyboard and a keypad, a touch input unit such as a touch sensor or a touch pad, a gyro sensor, a geomagnetism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proximity sensor, Gesture input means, or voice input means. In addition, it can include all forms of input that are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r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단말 출력부(25)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특히,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수신되면, 단말 저장부(23)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상에 맵핑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The terminal output unit 25 output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operation results, and the like that occur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20. [ In particular, when the travel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are received from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he map is mapped onto the map data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23 and output to the user in the form of voice or image information.

여기서, 단말 출력부(25)는 음원처리모듈(25a) 및 표시모듈(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음원처리모듈(25a)은 주행 안내와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형식의 음원을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등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 모듈(25b)은 주행 안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이때의 표시 모듈(25b)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output unit 25 may include a sound source processing module 25a and a display module 25b and the sound source processing module 25a may convert sound sources of various digital formats related to the driving guidance into analog form And the display module 25b displays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guidance. The display module 25b at this tim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FT-LCD (liquid crystal display) Thin Film Transistor LC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ED (Light Emitting Diode), 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ED), Flexible display and 3D display.

사용자 위치 확인부(26)는 현재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GPS 방식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셀 아이디(cell ID) 방식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The user location confirmation unit 26 can confirm the current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can check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method or the cell ID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3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서비스 통신부(31), 서비스 저장부(32) 및 서비스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어부(33)는 위험도 판단 모듈(33a)과 주행 안내 모듈(33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4,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31, a service storage unit 32, and a service control unit 33. In particular, the service control unit 33 may further include a risk determination module 33a and a travel guidance module 33b.

서비스 통신부(31)는 통신망(40)을 통해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와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31 transmits and receives relate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서비스 저장부(32)는 주행 안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별로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The service storage unit 32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guidance, and stores predetermined risk condition information for each regi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collect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서비스 제어부(33)는 특정 목적지까지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주행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서비스 제어부(33)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설정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설정된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도로 노면이 평상 시와 어느 정도 다른 상태인지에 대해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The service control unit 33 controls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aveling information to the user who wants to move to the specific destination. Particularly, the service control unit 33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20 The traveling route to the destination is searched and set. Then, the service control unit 33 calculates a schedul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set travel route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20 together with the travel route information. Then, the service control unit 33 determines the degree of risk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 least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to determine how much the road surface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road surface.

예컨대, 도로 노면이 평상 시와 달리 매우 미끄러운 상황이면 운전자의 깊은 주의를 요하는 상태이므로 "위험도 상"으로 판단하고, 어느 정도의 주의를 요하는 상태이면, "위험도 중"으로 판단하며, 평상 시와 별 차이가 없을 경우 "위험도 하"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ad surface is in a very slippery con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urface is in a "dangerous state" because it requires a driver's deep attention. If the road surface requires a certain degree of attention, If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it can be judged to be "at risk".

이러한 위험도 분석 결과, 서비스 제어부(33)는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B 지역의 평상 시의 운행 속도가 60km이라면, "위험도 상" 상태에서는 30km로 감속 운행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어부(33)는 서비스 저장부(32)에 지역별 평상 시의 운행 속도 및 위험도에 대응한 적절한 안전 운행 속도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of the risk analysis, the service control unit 33 confirms the predetermined saf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risk. For example, if the normal speed of operation in area B is 60 km, then the speed should be reduced to 30 km in the "risky" state. For this, the service control unit 33 preferably stores and stores in the service storage unit 32 an appropriate safe running speed corresponding to the normal running speed and the danger level.

이후, 해당 지역을 경유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도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차량 운전자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재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area,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transmitt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is adjusted and retransmitted to adjust the estimated arrival time according to the risk.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서비스 제어부(33)가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목적지 정보(예컨대 송파구 B 건물) 및 사용자 위치 정보(예컨대, 구로구 A 건물)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어부(33)는 "구로구 A 건물"에서 "송파구 B 건물" 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한다.First, when the service control unit 33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B / B building)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guide A building) from the user terminal 20 of the first vehicle 50a, Searches for the travel route from "Guro A building" to "Song B building B".

여기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은 주행 경로 탐색 시 도로 정체 상황에 대한 정보,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고려하여 주행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나,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traveling route searching method can search the traveling route by tak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about the traffic congestion state and the weather information into consideration while searching the traveling route, but it is a known technique,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후, "구로구 A 건물"에서 "송파구 B 건물" 까지의 A, B, C 지역을 통과하는 주행 경로가 설정되면, 서비스 제어부(33)는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고,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송신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when a traveling route passing through areas A, B and C from "Gurogu A building" to "Songpa B building" is set, the service control part 33 calculates a schedul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user terminal 20 of the first vehicle 50a that has transmitted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5℃"의 3가지 도로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예컨대, B 지역)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Thereafter, the service control unit 33 receives three kinds of road surface information of "ABS operating oil, strong wiper operating state, ambient temperature -5 deg. C" from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of the second vehicle 50b, When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rea B) at the time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is received, the risk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여기서, 위험도는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하게 되는 데,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risk level i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the predetermined risk condition information, and the predetermined risk condition information can be set as shown in Table 1 below.

지역area ABS 정보ABS Information 와이퍼 작동 정보About wiper operation 외기 온도Ambient temperature 위험도Risk B 지역Area B U River 영하Zero Prize U -- -- medium radish medium 영상video Ha

상기의 <표 1>에 표시된 위험 조건 정보는 B 지역에 대응하여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로, 상기 수신된 도로 노면 정보는 상기 위험 조건 정보와 비교한 결과, "위험도 상"에 해당되게 된다.현재, B 지역의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달리 운전자의 깊은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상"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역을 경유하여 운행할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어부(33)는 해당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을 추출하게 된다.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shown in Table 1 is set as risk cond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gion B and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as a result of " Since the road surface condition of the area B is in a "risky" state requiring a driver's deep attention, the service control unit 33 can notify the driver of the vehicle The vehicle that is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is extracted.

여기서, 해당 지역(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 운전자는 해당 차량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한 주행 경로를 기초로 확인이 가능하다.Here, a vehicle driver who is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area B) can confirm based on the traveling route that has bee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 of the vehicle.

상기의 예에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가 A, B, C 지역을 경유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제어부(33)는 제1 차량(50a)을 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 운전자로 추출하고,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기 전송한 도착 예정 시간을 확인하게 된다.In the above example, since the traveling route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20 of the first vehicle 50a passes through areas A, B, and C, the service control section 33 sets the first vehicle 50a to B It is extracted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who is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and the expected arrival time of the vehicle, which corresponds to the traveling route, is confirm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20 of the first vehicle 50a.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위험도에 따라 차등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위험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B 지역의 평상 시의 권장 안전 운행 속도가 60km이면, "위험도 상" 상태에서의 안전 운행 속도는 30km가 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ice control unit 33 confirms the predetermined safe running speed in response to the risk in order to adjust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 accordance with the risk. For example, if the recommended safe operating speed in region B is 60 km, the safe running speed in the "at risk" state can be 30 km.

이후, 확인된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차등하여 조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estimated arrival time can be adjusted differently based on the confirmed safe running spe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위험 조건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관점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condition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each road surface inform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set from various viewpoints.

예컨대, B 지역을 동시에 운행하고 있는 다수의 차량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비해,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of a plurality of vehicles simultaneously operating in the area B,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on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It may be judged to be higher.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 위험도를 단계적으로 낮출 수도 있다.When the number of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0 providing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ecreases, the risk may be lowered step by step in the case of determining the risk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0.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어부(33)는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는 위험도 판단 모듈(33a),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설정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모듈(3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rvice control unit 33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sk determination module 33a for determining a risk level by comparing with predetermined risk condition information, a travel guidance module for searching and setting a travel route, 33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다수의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re accurate arrival scheduled time to the vehicle driver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urrent road surface state during driving through the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주행 안내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및 주행정보 제공장치(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The travel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servers operating in a server-based computing mode or a cloud mode.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vel guide system 100 may be provided through a cloud computing function that can be permanently stored in the cloud computing device on the Internet. Here, cloud computing utilizes Internet technology in digital terminals such as desktops, tablet computers, laptops, netbooks and smart phones to provide virtualized IT (Information Technology) resources such as hardware (server, storage, (Database, security, web server, etc.), service, data, etc. on dem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0, the user terminal device 2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is stored in the cloud computing device on the Internet and can be transmitted anytime and anywhere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travel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에서의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5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driving guidance method in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101 단계에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한다. 주행 경로 탐색 시 각 도로별 교통 정체 상황 정보 등을 고려하여 탐색할 수 있다. 이후, 주행 경로가 설정되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설정된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한다(S105).Referring to FIGS. 1 and 5, first,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receives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 of the first vehicle 50a in step S101. The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searches for the travel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earch by taking into account traffic congestion situation information for each road when searching for a traveling route. Thereafter, when the travel route is set,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calculates the estimat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set travel route (S105).

이후,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107 단계에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주행 경로,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한다. The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ransmits the travel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user terminal 20 of the first vehicle 50a in step S107.

이후,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를 통해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해당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평상 시와 다른 상태일 경우, 제1 차량(50a)으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재전송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determines whether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road surface on the basis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 of the second vehicle 50b, In the case of a different state than normal, it is also possible to retransmit by adjus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50a.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에서의 도로 노면 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6 is a schemat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in a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S201 단계에서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6,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collects road surface information from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in step S201.

여기서, 안정적인 차량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주행 안정 장치,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등을 통해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Her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running stabilizing device for stable vehicle driving and the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s.

예컨대,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ABS 장치를 통해 ABS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를 수집하거나,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와 같이 안정적인 차량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주행 안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ABS operation is collected through an ABS device that prevents the wheel from being locked during braking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wheel sensor, pressure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the master cylinder is collected, The measured information from the running stabilizer for stable driving of the vehicle such as the angular velocit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can be collected and used as road surface information.

또한,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량 정보를 수집하거나,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같이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rain amount information detected through a rain sensor mounted on a windshield, to collect information on wiper operation detected through a wiper operation sensor, The information measured from a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various controls on the vehicle according to a weather condition can be used as road surface information.

이후,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S203 단계에서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 및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Thereafter,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transmit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ed at step S203 and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at the collected time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이하에서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에서의 도착 예정 시간 산출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alculating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를 위한 도착 예정 시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 이다.FIG. 7 is a specific flowchart for explaining a scheduled arrival time calculation method for traveling guid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301 단계에서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1 and 7,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receives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in step S301.

이후, 수신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노면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S303).Then, based on the received road surface information, the risk level is determined (S303) to determine whether the road surface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road surface condition.

위험도는 다양한 관점에서 판단될 수 있는 데, 예컨대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해당 지역의 도로 노면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risk can be judged from various viewpoint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0 that judge the risk by comparing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each road surfac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위험도 판단 결과, 해당 지역의 현재 도로 노면 상태가 운전자의 깊은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상" 또는 어느 정도의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중"과 같이 해당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경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 운전자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risk assessment, the current road surface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area can b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such as "dangerous" or "dangerous" It is possible to extract and provide the vehicle driver who is expected to pass through the area.

이때, 도로 노면 상태에 따라 적합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여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safe running speed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ransmit the same together.

즉, 위험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S305),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10)를 추출한 후(S307), 추출된 사용자 단말장치(10)의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상기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조정하여(S309), 사용자 단말장치(10)로 전송하게 된다(S309).That is, the predetermined safe running speed is confirmed in response to the risk (S305), the user terminal device 10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S307), and the extracted user terminal device 10 to the user terminal 10 (S309), based on the safe traveling speed (S30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따르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경우, 해당 도로 노면 상태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riv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ad surface condition differs from the normal road surface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expected arrival ti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riv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 이다.8 is a dat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driv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제1 차량(50a)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주행 안내를 요청한 차량이며, 제2 차량(50b)은 차량 운행 중에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차량(50a) 및 제2 차량(50b)의 기능 및 동작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8, the first vehicle 50a is a vehicle that requests travel guidance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and the second vehicle 50b is a vehicle that collects road surface information during vehicle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unctions and operation methods of the first vehicle 50a and the second vehicle 50b may be the same.

또한, 제1 차량(50a)은 차량 내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차량(50b)은 차량 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차량 모두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vehicle 50a includes the in-vehicle user terminal 20 and the second vehicle 50b includes the in-vehicl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for example, But each vehic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1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20. [

먼저, 제1 차량(50a)은 S401 단계에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03 단계에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05 단계에서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한 후, 제1 차량(10a)으로 주행 경로,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한다(S409).First, the first vehicle 50a transmits destination information and user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in step S401. In step S403,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sets the travel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Then,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calculates the estimated arrival time corresponding to the travel route in step S405, and then transmits the travel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to the first vehicle 10a (S409).

이후,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통해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출력(S409)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차량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driving route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information are output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20 of the first vehicle 50a (S409) and provided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perform the vehicle operation based on this.

제1 차량(50a)의 주행 경로 상의 도로를 먼저 운행하고 있는 제2 차량(50b)은 S411 단계에서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운행 중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한다. The second vehicle 50b, which is driving the road on the traveling path of the first vehicle 50a, collects road surface information during vehicle operation through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in step S411.

그리고, 제2 차량(50b)은 S413 단계에서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제2 차량(50b)의 차량 위치 정보와 함께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The second vehicle 50b transmits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413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together with the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vehicle 50b.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는 일정 기간, 일정 구간 단위로 전송되거나, 처음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에만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될 수 있다.Here,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only whe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이를 수신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15 단계에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receives the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risk level based on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in step S415.

여기서, 위험도는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하거나,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Here, the risk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road surface information, 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es 10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이후,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위험한 상태로 판단되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17 단계에서 해당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차량, 예컨대 제1 차량(50a)을 추출하게 된다.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oad surface condition is different from the normal condition,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extracts a vehicle, for example, the first vehicle 50a likely to pass through the area in step S417.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19 단계에서 제1 차량(50a)으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위험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한 후(S421), 조정된 도착 예정 시간을 제1 차량(50a)으로 전송하게 된다(S423).In order to adjust the estimated arrival time previously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50a in step S419,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 confirms the predetermined safe travel speed in response to the risk, After adjusting the time (S421), the adjusted arrival scheduled tim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vehicle 50a (S423).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주행 안내 시 해당 주행 경로에 위치하는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more accurate estimated arrival time can be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road surfac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vehicle located on the traveling route in the case of driving guidance in response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user.

또한,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해당 도로를 운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을 추출하여 해당 차량으로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urrent road surface stat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rough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vehicle, to extract a vehicle expected to travel on the road, and to provide more accurate estimated time of arrival information to the vehicle .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The driving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 processor mounted on the road information collecting apparatus 10, the user terminal apparatus 20, and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program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implementation, the processor may be a single-threaded processor, and in other embodiments, the processor may be a multithreaded processor. Further, the processor is capable of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on a memory or storag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Further, a computer program (also known as a program, software, software application, script or code) that is loaded o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ich implements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 a priori or procedural language , And may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standalone programs or modules, components, subroutines, or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a computer environment. A computer program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a file in the file system.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single file provided to the requested program, or in multiple interactive files (e.g., a file storing one or more modules, subprograms, or portions of code) (E.g., one or more scripts stored in a markup language document).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run on multiple computers or on one computer, located on a singl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In addition, computer-readable media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EPROM, EEPROM, and flash memory devices, such as magnetic disks such as internal hard disks or external disks, Non-volatile memory, media and memory devices, including ROM and DVD-ROM disks.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orporat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s.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on the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have been described. Other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the operations recited in the claim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and still achieve desirable results. By way of example, the proces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particular illustrated or sequential order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In certain implement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description sets forth the best mode of the invention, and is provi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The written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inology presented. 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adapt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n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본 발명은 주행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다수의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네비게이션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guidanc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ing guidance method which adjusts a scheduled arrival time for a traveling route by using road road surfa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other vehicles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be improved, and ultimately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vigation industry. This is not only a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sales, but also a possibility of being industrially applicable since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carry out clearly.

10: 도로정보 수집장치 11: 도로정보 수집부 12: 제어부
13: 통신부 14: 차량 위치 확인부 20: 사용자 단말장치
21: 단말 통신부 22: 단말 제어부 23: 단말 저장부
24: 단말 입력부 25: 단말 출력부 26: 사용자 위치 확인부
30: 주행정보 제공장치 31: 서비스 통신부 32: 서비스 저장부
33: 서비스 제어부 40: 통신망 100: 주행 안내 시스템
10: Road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11: Road information collecting part 12:
13: communication unit 14: vehicl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
21: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2: terminal control unit 23:
24: terminal input unit 25: terminal output unit 26:
30: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1: service communication section 32: service storage section
33: service control unit 40: communication network 100:

Claims (12)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 상에서의 제한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와,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입력받고, 상기 주행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에게 제공하며,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로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가 반영된 제한 속도 정보를 상기 주행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하여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주행 안내 시스템.
A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storing the speed limit information on the road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 method of driving a vehicle, comprising: inputting a driving destination of the vehicle; providing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with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destination; apply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road to the driving destination, And a user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speed limit information reflecting the state from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Driving guidance system.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말 입력부와,
상기 주행 목적지를 주행정보 제공장치에게 송신하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로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가 반영된 제한 속도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 속도 정보는,
상기 주행 목적지를 수신한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것인
사용자 단말 장치.
A terminal input unit receiving a driving destination of the vehicle,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ravel destination to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terminal output section for outputting limit speed information reflecting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which is appl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road to the driving destination,
The speed limit information may include:
Where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from the travel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hat has received the travel destination through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User terminal.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도로 상에서의 제한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서비스 저장부와,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와,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로의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는,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가 반영된 제한 속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저장부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한 속도 정보가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A service storage unit for storing speed limit information on a road that varies depending on a weather condition or a road surface condition,
A servic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travel destin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user terminal;
From the service storage unit, restriction speed information reflecting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which is applied to at least a part of the road to the driving destination, And a servic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to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를 기초로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로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위험도에 대응되는 제한 속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저장부로부터 획득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ice control unit,
Determining a risk of at least a part of the road to the driving destination based on a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a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and acquiring restriction spe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risk from the service storage unit doing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서비스 통신부가 상기 차량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것인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is,
Wherein the service communication unit receives from the plurality of vehicles including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는,
차량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센서,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BS), 마스터 실린더 압력센서 및 조향 휠 각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하는 것인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is,
A wheel sensor that senses the speed of the vehicle wheels, an anti-lock brake system (ABS), a master cylinder pressure sensor, and a steering wheel angular velocity sensor.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는,
차량의 레인 센서, 와이퍼 작동 센서 및 외기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하는 것인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is,
A wiper operating sensor, and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vehicle's rain sensor,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제한 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ice control unit,
And calculates a scheduled arrival time to the driving destination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limited speed information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가 업데이트된 것을 반영하여서 상기 서비스 저장부로부터 제한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업데이트가 반영된 제한 속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rvic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acquire the speed limit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storage unit in accordance with the update of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To calculate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변의 기상 상황 또는 상기 차량 주변의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는,
소정의 주기로 수집된 것이거나 상기 도로 상에서 소정의 거리마다 수집된 것인
주행정보 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around the vehicle is,
The data is collected in a predetermined cycle or collected every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road
Driving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차량의 주행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말 입력부와,
상기 입력받은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로 상에서의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를 상기 차량에 설치된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제공받는 단말 통신부와,
상기 제공받은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를 반영하여서 길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A terminal input unit receiving a driving destination of the vehicle,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weather condition or a road surface condition on a road leading to the input travel destination from a road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A terminal control unit for generat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 provided weather condition or road surface condition,
And a terminal output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User terminal.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통신부로부터 제공받은 도로 상에서의 기상 상황 또는 도로 노면 상태가 업데이트되면 상기 주행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terminal control unit,
When the weather condition or the road surface condition on the road provided from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is updated, the expected arrival time to the driving destination is adjusted
The user terminal device
KR1020180071963A 2018-06-22 2018-06-22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800754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63A KR20180075457A (en) 2018-06-22 2018-06-22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63A KR20180075457A (en) 2018-06-22 2018-06-22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096A Division KR20140013747A (en) 2012-07-27 2012-07-27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457A true KR20180075457A (en) 2018-07-04

Family

ID=6291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63A KR20180075457A (en) 2018-06-22 2018-06-22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45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3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friction data for a response action
US99332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accuracy of digital map data utilized by a vehicle
EP30515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ggregated notifications for dangerous curves
US202001744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utonomous vehicle
US9786172B2 (en) Warning guidance system, method, and program that provide information to vehicle navigation systems
JP5796740B2 (en) Traffic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traffic information notification program, and traffic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CN105096199B (en) Vehicle generated social network updates
JPWO20182255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1316759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1928961B2 (en) Phantom traffic jam detection and avoidance
KR20140112171A (en) Display system of vehicle information based on the position
US20200166941A1 (en) Vehicle crowd sensing system and method
US10703366B2 (en) Inhibiting highway assist mode
US9000950B2 (en) Managing vehicle detection
KR20140013747A (en)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KR102002583B1 (en) System and vehicle for providing precise position information of road landmarks
US108838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lizing vehicle
JP2011232271A (en) Navigation device, accuracy estimation method for on-vehicle sensor, and program
KR20180075457A (en) 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30000754A (en) A method for correcting errors in road data of the navigation map
US116052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ate of visibility for a road object in real time
US10088322B2 (en) Traffic control device detection
KR20230061607A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on of autonomous vehicle
CN1145966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20240101127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1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13

Effective date: 2021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