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446A - A bubble coffee apparatus - Google Patents

A bubble coffe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446A
KR20180075446A KR1020180067969A KR20180067969A KR20180075446A KR 20180075446 A KR20180075446 A KR 20180075446A KR 1020180067969 A KR1020180067969 A KR 1020180067969A KR 20180067969 A KR20180067969 A KR 20180067969A KR 20180075446 A KR20180075446 A KR 20180075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air
nozzle
pump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3057B1 (en
Inventor
노 웅 송
Original Assignee
노 웅 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 웅 송 filed Critical 노 웅 송
Priority to KR102018006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057B1/en
Publication of KR20180075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 producing device capable of turning coffee and drinks into foamed drinks, comprising a pump driven by a direct current motor and a plurality of other parts. Liquid coffee (ice coffee, hot coffee, other drinks, etc.) is drawn into the device through a preparation cup (110 in Figure 1) and a suction hole (111) while a fixed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herein at the same time through an air injector (120), so as to permit the liquid coffee and the air to be evenly mixed in a high-speed rotation pressure pump (130), wherein by compressing the mixture and thereby increasing an internal pressure thereof, the mixture is sprayed toward a collection cup (160) on the side of an outlet outside through a fine nozzle (140) and the housing (150), to generate fine micro nanobubbles inside the coffee, thereby turning the coffee or drink into foamed coffee or foamed drink. The foamed coffee or drink prepared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has pleasant flavors and thick soft aromas that were completely absent in the previous non-foamed coffee or drink. In additio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urn all kinds of water-based liquid drinks into foamed drinks without being limited to coffee or milk described herein. Although other drinks not specified and described herein are not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foamed coffee as a representative drink, are described herein.

Description

거품 커피 제조 장치 {A bubble coffee apparatus} A bubble coffee apparatus < RTI ID = 0.0 >

(0001) 본 발명은 액상의 커피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만들어서 거품이 가득한 커피를 만드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커피가 채워진 잔을 거품 제조 장치의 흡입부에 세트하고 원터치 버턴 작동으로 장치가 구동하여 반대편 모음잔에 거품이 가득찬 완성된 거품 커피가 만들어지는 거품 커피 제조 장치.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making a liquid coffee in a micro-nano bubble to make a coffee with a lot of bubbles, more specifically, a cup filled with liquid coffee is set in a suction part of a bubble manufacturing apparatus, A bubble coffee making device that is driven to produce a finished foam coffee filled with bubbles in the other side of the bar.

(0002) 본 발명의 제품은 물로 만들어진 음료수는 모두 거품 음료수로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 커피라고 지칭한다고 하여 꼭 커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고, 커피라 하면 "커피 및 모든 음료수"를 함축한 단어임을 미리 선언해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든 음료수를 거품 음료수로 제조하는 거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all kinds of beverages made of water, such as foam drinks. Therefore, it is not limited to coffee only because it is referred to as coffee here, and if it is coffee, it is declared that it is a word implicating "coffee and all drink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oam in which all beverages are manufactured into foam beverages.

(0003) 냉 커피나 음료수 혹은 뜨거운 커피나 음료수에 미세한 거품을 내어 마시면 거품의 부드러운 느낌과 고소한 맛과 향으로 일층 품격있는 음료수를 마실수가 있다.(0003) If you drink fine bubbles in cold coffee or beverage or hot coffee or beverage, you can drink a premium beverage with soft feeling of bubble and sweet flavor and fragrance.

(0004) 우리 주변에는 커피나 음료수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업소가 많이 있고 우리는 자주 이용하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많은 가맹점 형태의 커피 전문업소나 편의점에서는 많은 종류의 커피류와 음료수를 판매하고 있다.(0004) There are a lot of shops selling specialty coffee and drinks around us, and we use it frequently. Coffee shops and convenience stores sell many types of coffee and beverages in the form of many merchants.

이들 업소는 한결같이 판매량을 극대화 하기 위해 새로운 맛의 커피나 음료수를 판매하려고 노력하고 있다.These businesses are constantly trying to sell new flavors of coffee and beverages to maximize sales volume.

(0005) 커피 및 음료수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시중의 스타벅스나 엔제리너스, 이디야 혹은 카페베네 등의 대형 커피 가맹점은 신규 아이템으로 질소를 첨가한 니트로 커피를 판매하고 있다. 니트로 커피는 고압의 저장통에 찬물로 우려 만든 더치커피를 넣고 여기에 고압의 질소를 주입하고 냉각시킨 후 저장통의 오픈 밸브를 열면 고압의 질소 가스가 대기중으로 분출되는데 이 때 함께 분출된 더치커피가 미세 노즐을 통과 하면서 질소와 섞여나와 거품 커피로 만들어진다.(0005) Large coffee merchants such as Starbucks and Energizer, Yiddiyya, and Cafe Vene, which specialize in coffee and beverages, sell Nitro coffee with nitrogen as a new item. Nitro coffee is a high-pressure reservoir made of cold water made of hot coffee made by making a hot put a high-pressure nitrogen into it, and after cooling the open valve of the reservoir to open the high-pressure nitrogen gas into the atmosphere is ejected at this time, It mixes with nitrogen while passing through the nozzle and is made of foam coffee.

(0006) 특히 고압의 질소로 니트로 커피를 만드는 경우, 뜨거운 거품 커피는 기본적으로 제조가 불가능하고, 고압의 질소 탱크로 부터 고압의 질소를 공급받아 압력 탱크를 채워야 하므로 향상 고압가스의 위험이 있고 숙달이 안된 일반인은 그 제조가 어렵다.(0006) In the case of making nitroform coffee with high pressure nitrogen, hot froth coffee is basically impossible to manufacture, and since high-pressure nitrogen is supplied from a high-pressure nitrogen tank to fill the pressure tank, there is a risk of improved high-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manufacture.

(0007) 일반적으로는 우유에 거품을 낸 제품인 카페라떼, 카푸치노,마키야또 등의 우유 음료는 보편적으로 오래전부터 이미 판매가 되고 있는 제품으로 숙달된 바리스타가 우유 표면에 증기를 가하여 거품 우유 거피를 제조한다.(0007) Milk drinks such as caffe latte, cappuccino, and makiatto, which are generally products that have been bubbled into milk, have been commercially available for a long time, and the skilled barista has steamed the milk surface to produce bubble milk peas do.

이 또한 뜨거운 증기에 의한 안전사고의 염려가 있어 숙달된 사람만이 제조가 가능하고 이 방법 또한 냉 거품 우유는 제조 자체가 불가능하다.In addition, there is a concern about safety accidents caused by hot steam, so that only a skilled person can manufacture it, and this method is also impossible to manufacture cold froth milk.

(0008) 또 다른 방법으로는 얼음과 커피를 믹서기에 넣고 함께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얼음이 분쇄되면서 커피와 섞여 냉각되고 상부측에서 고속회전에 의한 힘으로 내부로 공기가 빨려 들어가면서 냉 거품 커피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0008) Another method is to mix ice and coffee in a blender and rotate it at high speed to mix the ice with the coffee and cool it down. While the air is sucked in from the upper side by the high-speed rotation, There is

(0009)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니트로 커피나 우유는 어느 정도의 거품 층을 가지고는 있지만, 단순히 음료속에 공기를 섞어주는 것이기 때문에 거품량이 현저하게 부족하고 긴 시간 거품 상태로 유지가 어렵기도 하지만, 맛이 밋밋하고 향이 적어서 획기적인 상품이 되지 못하여 인기있는 음료는 아니다.(0009) Nitro coffee or milk produced by this method has a certain degree of foam layer, bu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foam state for a long time because the amount of foam is remarkably insufficient because it merely mixes air in the beverage, It is not a popular drink because it is flat and fragrant and can not be a breakthrough product.

(0010) 본 고안은 위의 여러 어려움을 일괄 해소하여 음료 종류나 온도에 상관없이 다른 부가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찬 음료,더운 음료를 아주 간단하게 원터치 버턴 작동 만으로 찐하고 거품이 풍부한 거품 음료를 만들고자 이 발명을 하게 된것이다.(001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various difficultie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imple and simple one-touch button operation for cold beverages and hot beverages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method regardless of beverage type or temperature, I made this invention to make it.

(0011) 본 발명은 사전에 커피에 어떤 첨가물을 넣거나 부가적인 작업을 하지않고 커피나 음료에 거품을 만들기 위해 단순히 장치를 통과만 해도 규칙적이고 일정한 거품이 다량 포함된 음료수를 만들수 있고, 별도의 기능을 보유한 사람이 아닌 일반인도 쉽게 제조가 가능한 안전한 거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a bevera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regular and uniform bubbles even if it is simply passed through the apparatus in order to make bubbles in coffee or beverage without adding any additives to the coffee in advance or performing additional work,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 foam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a general public,

(0012)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거품 커피 제조 장치는 장치 뒷편에 거품으로 제조해야 될 준비 잔이 위치하고 그 상단에는 액상 커피와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흡입관이 배치되고 또 장치의 내부에는 고압력으로 펌핑하는 고압 펌프가 내장되어, 여기서 고압으로 압축된 액상 커피를 미세 노즐을 통해 외부로 강하게 분사하는 배출구가 마련되고 그 하단에는 모음 잔이 배치되어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oamed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preparation cup to be made of foam is placed in the rear of the apparatus, and a suction pipe And a high-pressure pump for pumping high-pressure liquid is installed inside the apparatus. Here, an outlet for strongly jetting the liquid coffee compressed at high pressure through the fine nozzles to the outside is provided, and a vowel cup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thereof.

(0013) 고압으로 분사된 액상 커피속의 압축되었던 공기는 대기압에서 압축되기 전의 본래의 체적을 갖기 위해 커피속에서 평창되면서 발생되는것이 마이크로 나노 버블이며 본 발명은 이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특성을 이용하여 거품 커피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mpressed air in the liquid coffee sprayed at a high pressure is micro-nano bubbles generated in the coffee in order to have the original volume before being compressed at atmospheric pressu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 Making coffee.

(0014) 본 발명품인 거품 커피 발생기는 업소에서나 가정에서 가격이 저렴하고 기능이 단순한 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부르럽고 고소하고 향이 좋은 거품 음료를 만들수가 있다.(0014) The inventive foam coffee maker can easily produce a bubbly, sodgy and fragrant frothy drink by using a simple and low-cost device at home or at home.

(0015) 특히 본 장치는 음료의 종류나 그 온도에 상관 없이 냉온 거품 커피나 냉온 거품 음료수로 간단히 원 터치 버턴 작동만으로 그 제조가 가능하여 음료 판매 전문 업소에서는 거품을 내기 위한 전문 기술자의 고용이 반듯이 필수적이지 않아도 되고 가정에서도 간단하게 커피,우유 녹차 등 다양한 음료를 거품 음료로 만들어 즐길 수가 있는것이다.(0015) Especially, regardless of the type of beverage or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everage by simply operating the one-touch button with cold-frothed coffee or cold-frothed beverage, so that the beverage sales professional employs professional technicians for bubble- It is not essential, it can easily enjoy various drinks such as coffee, milk and green tea at home, as foam drinks.

(0016) 전문 판매 업소에서는 이 장치로 제조할 수 있는 거품 음료의 품목이 다양해져서 업소의 판매 메뉴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많은 손님을 호객하는 좋은 장비가 될것이다.(0016) In specialty shops, various kinds of foam drinks that can be manufactured with this device are diversified, and the sales menu of the business can be diversified, and it will be a good equipment to attract many customers.

(0017) 또한 24시간 영업하는 편의점의 경우 이 장치와 연동되는 대용량 디스펜스 장치를 구비하여 판매하면 매출 신장에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0017) In the case of a convenience store that operates 24 hours, if a large-capacity dispensing device interlocked with this device is sold,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sales growth.

(0018) 대표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구성도 이다
(0019) 도1는 본 발명의 발생 모듈 내의 액상 커피의 흐름을 보여 주는 장치의 흐름도 이며
(0020) 도2는 본 발명의 노즐부 상세도 이다.
(0021) 도3은 본 발명품과 대용량 디스펜스를 결합 할 경우의 배치도 이며
(0022) 도4는 본 발명의 기본 알고리즘인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음이온화와 커피속 지방 성분의 이온 결합을 도식화 한 이미지 도이다.
(0023) 도5은 본 발명 장치의 1구형의 기본 구성도 이다.
(0018) A representative diagram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0019] Figure 1 is a flow diagram of an apparatus for the flow of liquid coffee in a gene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of the nozzl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layout diagram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large capacity dispense
FIG. 4 is an image diagram showing anionization of a micro-nano bubble and ionic bonding of a coffee component in a coffee, which is a basic algorith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as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ngle-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apparatus.

(0024) 본 발명은 물을 기반으로 하는 모든 음료의 그 원천이 되는 물과 공기를 아주 미세하게 쪼개는 기술을 이용하여 우선 일반 커피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만들고 이렇게 생성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음 이온화 특성을 이용하여 거품에 커피의 고소한 성분이 많이 엉겨붙게 하여 맛있고 고소하며 향이 많은 부드러운 거품 커피를 제조할 수 있도록 고안 되었다.(0024)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nano bubbles are made into general coffee by using a technique of finely dividing water and air, which are sources of all beverages based on water, and the negative io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cro- It is designed to produce a soft, bubbly coffee with a lot of fragrant components of coffee in the bubbles.

(0025) 커피나 음료는 우리가 흔히 마시는 시중의 커피나 음료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로 다른 처리를 할 필요는 없고,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세분하여 재 정의하면,(0025) A coffee or a drink refers to a coffee or a drink commonly consumed by us, and does not need to be subjected to any other treatment separately for use in the apparatus, and is redefined in more detail.

(0026) 커피는 업소용 아메리카노 스타일의 커피를 말하며 이는 증기와 고 압력으로 추출한 커피 원액(에소프레소)에 뜨거운 물을 첨가한 뜨거운 커피와, 차거운 물을 첨가한 냉 커피,(0026) Coffee refers to american style coffee for business use, which is a coffee extract (espresso) extracted with steam and high pressure, hot coffee added with hot water, cold coffee added with cold water,

(0027) 또한 찬물로 장 시간 우려내어 만든 더치커피(콜드부류)원액에 뜨거운 물을 첨가한 뜨거운 커피와 찬물을 첨가한 냉 커피,(0027) In addition, hot coffee and cold water added with hot water added to the crude coffee (cold class) solution made by worrying for a long time with cold water,

(0028) 또한 잘게 간 커피 원두에 종이 필터가 장착된 드립퍼에 담고 위에서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만든 드롭 커피를 포함하며,(0028) Also included is a drop coffee made by putting a chopped coffee bean in a dripper equipped with a paper filter and slowly pouring hot water from above,

(0029) 그리고 시중에 판매하는 우유를 데운 뜨거운 우유, 차게 만든 냉 우유, 혹은 적당량의 커피를 첨가한 뜨거운 우유 혼합물, 차게 한 냉 우유 혼합물,(0029) and hot milk sold on the market, cold milk made cold, or a hot milk mixture added an appropriate amount of coffee, a cold cold milk mixture,

(0030) 딸기우유,바나나 우유, 두유, 녹차, 과일차,매실액, 기타 제조 음료, 막걸리, 맥주, 소수 등 모든 마시는 음료는 그 대상이 되고 거품 음료로 만들 수가 있다. 따라서 거품 음료라 함은 물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된 큰 찌꺼기 없는 모든 음료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0030) All drinking beverages such as strawberry milk, banana milk, soy milk, green tea, fruit tea, plum juice, other manufactured drinks, rice wine, beer, and small water can be made into bubble drinks. Thus, the term beverage refers to any large, non-dehydrated beverage made on the basis of water

(0031)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거품 음료 제조 방법의 실시의 예로 커피를 기준으로 기술하도록 한다(0031) Here, coffee is specifically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rothy beverage

(0032) 커피나 음료는 온도나 그 종류에 따라 마이크로 버블로 만들어지는 거품 량이 다르다. 이는 물온도에 따른 공기의 용해도가 틀리고 또한 커피나 음료 속에 양 이온인 미세 미립자의 많고 적음 그 수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그 수가 많으면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음 이온에 많은 양의 양이온이 부착하기 때문에 거품의 층이 두터워지고 적으면 상대적으로 얇아진다(0032) The amount of bubbles made by microbubbles differ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nd type of coffee or beverage.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olubility of the air depending on the water temperature and also on the number of microparticles in the coffee or beverage. If the number of microparticles is large, a large amount of cation adheres to the microanode bubbles. The layer becomes thick and relatively thin when it is small

그리고 온도가 낮아지면 거품 발생이 많아지고 온도가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거품 발생량이 적게 된다.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more bubbles are generated and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lower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0033) 그리고 커피나 음료 흡입 시 함께 흡입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도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발생량에 큰 차이가 있어 장치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아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가변 니들 밸브가 적당하다. (0033) Also,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icro-nano bubbles generat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air sucked together when the coffee or drink is sucked, so that a variable needle valv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in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is suitable.

(0034) 공기의 유입량은 대체로 커피 유입 체적의 2∼5%가 바람직하지만 대체로 거품 커피로 만들어 지는 형태나 각 개인의 취향에 따른 맛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는 고정된 량은 아니고 가,감 할 수가 있다. 이는 대체로 시뮬레이션을 해 보았을 때 공기 유입량의 실험치이다. (0034) The amount of air to be introduced is preferably 2 to 5% of the coffee inflow volume, but since there is usually a difference in flavo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oam coffee or the taste of each individual, this is not a fixed amount, have. This is usually an experimental value of the air flow when simulated.

(0035) 또 맛있는 거품 커피를 만들기 위한 본 발명 장치의 중요 기능으로 노즐의 구조와 분사 기능도 주요한 부분이다. 흡입된 커피와 공기를 빠른 속도로 미세하게 서로 고루 섞이게 하여 고압으로 만들고 이 고압의 기액 혼합물을 미세한 노즐로 통과시킬 때 적당한 크기의 미세 틈새에서 서로 부딪치고 산란시켜야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잘 분화가 된다.The main function of the inventive apparatus for making delicious frothy coffee is also the structure of the nozzle and the spraying function. When the high-pressure gas-liquid mixture is passed through a fine nozzle, it collides with a fine gap of a proper size and is scattered, so that the micro-nano bubbles are well differentiated.

(0036)그러므로 노즐 부는 기액 혼합물의 압력과 그 종류 그리고 그 온도에 따라 구멍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어야 함으로 정밀 가변형 니들 밸브형 노즐이 바람직하다.(0036) Therefore, the nozzle part should be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size of the hole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gas-liquid mixture, the kind thereof, and the temperature thereof, so that the precision variable needle valve type nozzle is preferable.

(0037) 본 발명의 제품은 대표도의 100처럼 플라스틱 외관으로 된 케이스에 2구의 거품 발생 모듈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foam generating modules are installed in a case having a plastic outer appearance as shown in a representative figure 100.

이것은 대표도의 102 구는 뜨거운 커피, 또 다른 구 103구는 냉커피를 제조할 수 있게 하고,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102 cups of hot coffee and another 103 cups of cold cupcake,

(0038) 또 다르게는 102구는 커피 전용구, 또 다른 103구는 우유 제품 전용구로 하여 복합 거품 음료 제조가 되게 할 수가 있다.(0038)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make a composite froth beverage by using a special portion of 102 for coffee and a special portion for 103 of milk.

(0039) 또 이 제품은 기본 2구의 제품 외 도5의 105처럼 상대적으로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가정용으로 공급하기 위한 1구 모듈의 제품 제작도 가능하다. (0039)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one module for supplying the home appliance for relatively low price as in 105 of FIG.

(0040) 1구형과 2구형의 기본 모듈의 구조는 도-1 처럼 똑 같은 구조로 되어 있고 다만 모듈의 조합 수에 따라 다를 뿐이다. (0040) The structure of the basic modules of one spherical shape and two spherical shapes has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but differ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mbinations of modules.

따라서 1구형과 2구형은 서로 같은 개념의 본 발명품으로 배열된 구의 조합에 관계없이 똑 같은 개념의 제품임을 강조해 둔다.Therefore, it is emphasized that one spherical shape and two spherical shapes are the same concept regardless of the combination of spheres arranged with the sam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0041) 장치 내부에는 대표도의 132의 아연 도금 강판으로 제작된 지지판에 펌프와 부속품들이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구조로 되고, 또한 본 장치의 전면부에는 대표도의 160처럼 거품 커피 모음잔이 놓이게 배치하고 거품 커피 준비 잔은 대표도의 110처럼 장치의 뒷쪽에 놓이게 하여 장치의 크기를 작게하고,(0041) Inside the apparatus,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a pump and accessories are integrally attached to a support plate made of a galvanized steel plate of a representative figure of 132, and a bubble coffee bar is placed on the front part of the apparatus And the bubble coffee preparation glass is placed on the back side of the device as in the case of the representative 110,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device,

(0042) 또 업소에서 같은 음료의 다량 판매를 위한 커피 대용량 저장통 도3(0042) Coffee large capacity reservoir for large quantity sale of same drink in business

의 201이 있는 대용량 커피 온냉 공급장치인 도3의 200 흡입구가 직접 연결 할 수 있게 본 장치의 흡입부를 장치 뒤쪽에 배치함으로 상호 연결을 쉽게하고 그 설치 장소를 좁게 할수가 있으며 거품 커피의 다량 제조에 적합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3, which is a large-capacity coffee hot-water supply device 201 of FIG. 3,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apparatus so that the suction port of the apparatus can be directly connected, the mutual connection can be made easy and the installation site can be narrowed. A suitable structure can be used.

(0043) 다음은 이 장치를 이용한 거품 커피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0043) The following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ubble coffee using this device.

먼저 100ml∼150ml 정도의 1잔의 냉커피를 제조하여 준비잔을 장치의 뒷편 대표도의 110처럼 위치하고 흡입관 대표도의 111을 준비잔에 담근다. 이는 대체로 국내의 전문 업소는 커피의 양을 100ml∼150ml 정도로 한다. 이양은 얼마든지 가.감할수가 있다.First, prepare a cup of about 100ml ~ 150ml of ice cream, place the prepared glass like 110 on the back of the device, and immerse 111 of the aspiration tube into the glass. In general, the amount of coffee in domestic specialty shops is about 100ml ~ 150ml. I can appreciate it.

(0044) 대표도의 112의 흡입관은 스텐 파이프나 무독성 실리콘 튜브를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고 그 선단에는 커피 찌꺼기가 장치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대표도의 111처럼 필터장치를 설치한다. 필터는 대체로 스텐망 200메시 정도를 사용하면 무난하고 또 청소를 쉽게하는 구조로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 피팅 구조로 한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uction pipe 112 is preferably a stainless pipe or a non-toxic silicone tube, and a filter device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suction pipe so as to prevent coffee residue from entering the device. The filter is generally made of stainless steel mesh of about 200 mesh, and is easy to clean. It has a one-touch fitt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remove.

또한 흡입관은 펌프의 흡입력을 감안하여 내경이 최소 4mm 이상이 되도록 하며 그 구조는 탈 부착이 용이한 원터치 피팅 연결 구조로 한다.In addition, considering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the suction pipe should have an inner diameter of at least 4mm and its structure shall be a one-touch fitting connection structure which is easy to remove.

(0045) 그리고 모음잔을 대표도의 160 처럼 위치하고 공기 유입 니들 밸브의 손잡이를 돌려 다이알의 숫자가 2가 나오게 조절하고 손잡이를 로크한다.(0045) and the vowel is located as in the figure 160. Turn the knob of the air inlet needle valve to adjust the number of the dial to 2 and lock the knob.

(0046) 이 후 대표도의 140 노즐의 틈새 조정 손잡이를 (-)표시방향(시계방향) 으로 회전하지 않을때 까지 돌리면 그 지점이 원점이 된다. 이 후 (+) 반시계 방향으로 4회전 정도 회전하여 틈새 조정하면 표준 상태의 틈새 조정이 된다. (0046) is turned until the gap adjustment knob of the 140 nozzle of the representative is not rotated in the negative (-) display direction (clockwise), that point becomes the origin. Thereafter, it rotates about 4 rotations in the (+)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adjust the clearance, and it becomes the standard state clearance adjustment.

(0047) 이때 제조되는 거품의 상태를 보면서 회전수를 가,감하여 커피의 거품 상태를 재 조정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while observing the state of the foam to be manufactured, the number of revolutions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to re-adjust the foam state of the coffee.

이는 본 장치에 체용된 60W급 직류형 기어 펌프로 약 30초간 200ml의 거품 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노즐은 반 시계 방향의 약 4회전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produce 200 ml of frothy coffee for about 30 seconds with a 60-watt DC-type gear pump employed in the present apparatus, it is preferable that the nozzle is fixed by about 4 rotations counterclockwise

(0048) 장치의 흡입 측에 준비 커피잔의 세트가 완료되면,When the set of preparation coffee cups is complet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apparatus,

이 후 대표도의 101 시작 버턴을 누르면 버턴에는 전원 장치 대표도의 133에서 공급된 전원으로 131 모터가 회전을 하고 연동하여 130 펌프가 고속으로 회전을 하면서 펌프 내부로 흡입관 111,112를 통하여 커피는 흡입되고 그 때 대표도의 120 "공기밸브"를 통하해 설정된 양의 공기가 커피와 함께 펌프실 내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Then, when the start button 101 of the representative is pressed, the motor 131 rotates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3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offee is sucked into the pump through the suction pipes 111 and 112 while the pump 130 rotates at high speed Then, through the representative 120 "air valve", a set amount of air is sucked into the pump chamber together with the coffee

이 때 흡입하는 펌프의 흡입 양정은 대체로 50cm 이상의 흡입 능력을 가지는 펌프가 되어야 원료의 다량 공급 장치인 디스펜스의 위치에 관계없이 커피를 흡입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sucking head of the pump sucking the coffee can suck the coffe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dispenser, which is a mass supply device of the raw material.

(0049) 흡입된 커피와 공기는 펌프의 듀얼 헬리컬 기어의 고속 회전에 의해 서로 섞이고 순차적으로 압축되면서 대표도의 140 "노즐"을 통과 할 때에는 대체로 2.5kg/㎠의 압력으로 상승되고 이를 노즐로 부채꼴 형상으로 뿜어지게 하면 미세한 물 방울로 산란되고 분산된다. 이를 다시 상세하게 그 구성을 살펴보면,(0049) The sucked coffee and air are mixed with each other by the high-speed rotation of the pump's dual helical gears, and sequentially compressed. When passing through the representative 140 "nozzle", the pressure is increased to about 2.5 kg / When it is blown into shape, it is scattered and dispersed with a fine water droplet. Looking back at its composition in detail,

(0050) 도2의 "노즐"부 상세 140처럼 141 방향에서 고압 형성된 커피가 142의 관을 통해서 유입되고 노즐 조정 손잡이 143으로 노즐 변 144의 틈새 간격이 조정된 미세 통로를 커피가 통과하면서 약 30°정도의 분사각을 유지하면서 분사한다2, the high-pressure coffee in the 141 direction is introduced through the pipe 142 and the micro-passage in which the clearance between the nozzle sides 144 is adjusted by the nozzle adjustment knob 143 is adjusted to about 30 Lt; RTI ID = 0.0 > of < / RTI >

(0051) 이 때 "노즐" 전면 약 10∼15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고 약 100메시 정도의 스텐 그물망 145를 설치하면, "노즐"에서 고압 분사된 기.액 혼합물인 커피가 그물 망 도3의 145에 부딪치면서 커피와 압축되었던 공기는 산산 조각이 나면서 커피는 도1의 150 하우징을 거쳐 107의 입구를 통하여 도1의 160 모음잔으로 낙하하여 모이게 된다.(0051) At this time, when a stencil network 145 of approximately 100 meshes is provided at a distance of about 10 to 15 mm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nozzle", the coffee as a mixture of gas and liquid sprayed from the "nozzle" 145, the coffee and the compressed air are shattered, and the coffee is collected through the 150 housing of Fig. 1 through the entrance of the 107 and falls to the vowel 160 of Fig.

(0052) 이 때 모음잔으로 떨어진 커피는 고 압력으로 수축되었던 커피 속의 공기 입자가 본래의 체적으로 되돌아가면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이 생성되는 것이다.(0052) At this time, the coffee that has fallen into the vowel pool is returned to the original volume of the air particles in the coffee which has been contracted at high pressure, and micro-nano bubbles are produced.

(0053) 고속 분사 시 커피와 공기는 스텐 그물망에 고속으로 부딪쳐 물과 공기는 전리 현상으로 양 전하를 잃고 음 이온으로 전리된다. 이때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표면은 음 이온으로 전리되서 서로 같은 극끼리는 반발하면서 일정 거리를 유지 하면서 물속을 부유하며 떠 다닌다.(0053) During high-speed spraying, coffee and air hit the sten mesh at high speed, causing water and air to lose ionic charge due to ionization and become ionized. At this time, the surfaces of the micro nano bubbles are transferred to negative ions so that the same polarity repels each other while floating at a constant distance while floating in water.

(0054) 이렇게 떠 다니던 마이크로 나노 버블 도4의 300은 도4의 A 거품의 이온 결합 그림처럼 커피 속의 양 이온인 단백질과 지방 미립자 310을 만나면 서로 이온 결합을 하여 160 처럼 모음잔 속 상측 부에서 거품 층을 이루게 된다.(0054) The floating micro-nano bubble FIG. 4 shows that the ion-binding protein 300 of FIG. 4 is ion-bonded to the protein 310 and the lipid fine particle 310 in the coffee, Layer.

(0055) 지속적으로 내부에서 부유하는 거품은 그 직경이 대체로 마이크로 나노 크기로 (20μ∼100nm) 1분당 약 2∼3mm의 부상 속도로 상승하여 긴 시간 커피 잔 속에서 존재하면서 끊임없이 이온 결합을 하여 지속적으로 표면 상부로 상승하 여 두터운 거품 층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0055) The bubbles that continuously float in the inside rise in the micro-nano size (20 to 100 nm) at a lifting speed of about 2 to 3 mm per minute, and continuously exist in the coffee cup for a long time, To rise above the surface to create a thick foam layer.

더욱 시간이 경과하면 커피 전체에 골고루 퍼져있든 거품들이 부력으로 계속 위로 모이게 되어 커피 잔에 쌓이게 되고 그 하부에는 거품이 상승하고 남은 커피물이 존재하게 된다.More over time, evenly spreading throughout the coffee, the bubbles continue to gather up in buoyancy and accumulate in the coffee cup, bubbles rise up to the bottom and the coffee remains.

(0056) 우리는 커피잔의 상층에 있는 거품 커피를 다 마시고 나서 잔류해 있는 커피를 다시 저어주면 움직임없이 내부에 정적으로 있던 마이크로 버블들이 저어주는 회전력으로 다시 유동하면서 이온 결합을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커품 커피를 마실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0056) We drink the coffee at the top of the coffee cup and then pour the remaining coffee again. Then we move back to the static force of static microbubbles in the room without motion, You will be able to drink coffee.

(0057) 커피 원두에는 여러 성분들이 있지만 특히 고소한 맛과 향을 내는것은 지방이다. 문헌에 의하면 지방은 대체로 커피에 12∼16% 정도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0057) There are many ingredients in the coffee bean, but it is especially fat that gives off the flavor and aroma. According to the literature, the fat is usually found in about 12 to 16 percent of the coffee.

커피속의 지방 미립자들은 거품의 음 이온에 이끌러 거품 표면에 부착되어 커피 표면을 도포하게 된다. 이 지방이 그냥 물에 녹아서 커피속에 있을 때 우리 혀에 닿는 면적과 거품 표면에 응집되어 도포된 상태로 우리 혀에 닿을 때의 그 표면에는 큰 차이가 있다.Fat microparticles in coffee are attracted to the foam's anion and attached to the foam surface to apply the coffee surface.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area of contact with our tongue when this fat is just dissolved in water and in the coffee, and its surface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our tongue, as it is flocculated on the foam surface.

(0058) 대체로 20μ의 거품을 기준으로 그 체적과 표면적을 단순 비교해 보면 원의 체적 공식=4/3πr^3에서 4/3×3.14×(0.02)^3=0.0000335 이고 거품의 표면적은= 4πr^2 에서 0.005이고 0.005/0.0000335≒150, 따라서 표면적이 체적보다는 약 150배 정도 넓은 것을 알수가 있다.(0058) A simple comparison of the volume and surface area based on 20μ bubbles is 4/3 × 3.14 × (0.02) ^ 3 = 0.0000335 at the original volume formula = 4 / 3πr ^ 3 and the surface area of bubbles = 4πr ^ 2 to 0.005 and 0.005 / 0.0000335 150, so that the surface area is about 150 times larger than the volume.

(0059) 이것은 그냥 커피 물을 마실 때보다 거품을 내어 마시면 혀에 닿는 거품의 면적이 넓어져서 더욱 고소한 맛을 느끼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되므로 우리는 고소한 맛이 증대되는 느낌을 갖는것이다.(0059)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bubble that touches the tongue is widened by drinking the bubbles rather than just drinking the coffee water, so that the area where the taste is felt becomes more wider becomes relatively wider, so that we have a feeling of increased flavor.

커피에 고소한 맛을 내는 어떤 첨가물도 넣지 않았는데 똑 같은 커피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거품으로 변환만 시켜도 우리는 더욱 고소한 맛을 많이 느끼게 되는것이다.We did not add any additives that would make the coffee taste like a coffee.

또한 커피의 향도 지방의 일종으로 커피의 물 표면에서 기화하여 우리의 코로 흡입될 때 향기로 인식되는 것이다.It is also a kind of fat that is perceived as a flavor when it is inhaled into our nose by vaporizing from the water surface of coffee.

(0060) 액체가 기화하기 위해서는 액체의 표면 온도를 높여 표면 장력을 약하게 하여 액체의 증발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것이 핵심이지만 그 표면적을 넓게해서 기화하는 공기량을 많게 해주는것도 찐한 커피 향이 많이 나게 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특히 냉 커피의 경우 그 온도가 5°∼8°가 적당하다면 일반 커피에서는 기화가 힘들지만 거품 커피에서는 쉽게 기화가 되서 우리는 냉커피에서도 찐한 커피 향을 즐길수 있게 되는 것이다.(0060) In order for the liquid to vaporize, it is essential to rais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liquid to weaken the surface tension to activate the evaporation of the liquid. However, the surface area is widen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to be vaporized, Do. Especially in the case of cold coffee, if the temperature is between 5 ° and 8 °, it is difficult to vaporize in ordinary coffee, but in case of frothy coffee, it is easy to vaporize, so we can enjoy steamy coffee aroma in the frozen coffee.

(0061) 이처럼 커피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의 거품으로 만들면 1잔의 커피로 아주 부드럽고 향이 찐하고 맛이 고소한 커피를 만들 수가 있다.(0061) If you make coffee with micro-nano bubble bubbles, you can make a coffee that is very soft, fragrant and flavorful with a cup of coffee.

(0062) 그러나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니트로 커피처럼 단순히 공기를 미세하게 넣어 제조되는 커피는 거품 층이 얇고 금방 표면으로 상승하여 소멸되므로 거품량이 현저히 부족하고 또 맛도 부드러운 느낌은 낼수 있지만 고소한 맛을 내는 지방의 응결 포집이 없기 때문에 고소하거나 향이 많이 나지 않아 밋밋하다.(0062) However, coffee, which is produced by simply putting fine air into the air like a generally manufactured nitro coffee, is so thin that the foam layer is lifted up to the surface, so that the amount of foam is considerably short and the taste is also soft. However, Because there is no condensation collecting, it does not complain or smell much and is plain.

(0063) 대표도의 160 모움잔에 설정된 양의 커피가 다 차면 버턴 101을 눌러 작동을 중지시키면 펌프의 기동이 중지되어 거품 발생장치는 작동이 중단되고 1회 거품화 작업이 종료되는 것이다.(0063) When the amount of coffee set in the cup 160 of the representative cup is full, if the operation is stopped by pressing the button 101, the operation of the pump is stopped, the operation of the foam generator is stopped and the bubbling operation is completed once.

(0064) 본 발명풍의 내부 청소는 대표도의 110 준비잔에 혹은 그보다 더 큰 물통을 준비하여 60°정도의 따스한 물을 부어 장치를 가동시키면 물이 장치 내부를 순환 하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0064) In the internal cl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prepared in 110 preparations of a representative figure or larger, and water is poured into the apparatus by pouring about 60 ° of warm water,

이런 과정을 몇번 반복하면 내부는 깨끗이 청소가 되는 것이다.Repeat this process a few times to clean the inside.

(0065) 우유와 같이 지방분이 많은 음료는 사용이 끝난 다음 청소는 식용장비 세척제를 이용하여 적당한 희석물로 청소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0065) After using the beverage, such as milk, which has a lot of fat, you can repeat the cleaning process with the appropriate dilution with the edible equipment cleanser.

(0066)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내용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형적인 내용의 제시가 가능하여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concept thereof. It belongs to the scope.

(0067)
대표도 및 (도1-5)
100 : 장치의 외관 케이스 101 : 작동 버턴
102 : 토출구 1 103 : 토출구 2
110 : 준비 잔 111 : 미세 필터 망
112 : 흡입 관 120 : 공기 유입기
130 : 메인펌프 131 : 펌프모터
132 : 지지판 133 : 전원공급장치
140 : 스텐 니들 밸브 노즐 엘보형 141 : 고압측 입구
142 : 고압유입관 143 : 니들 밸브 조절 손잡이
144 : 니들 밸브 변 145 : 스텐 금속 그물 망
150 : 하우징 160 : 모음잔
200 : 대용량 냉 온 커피 공급장치 201 : 저장통
(0067)
Representative figures (Figs. 1-5)
100: Appearance of the apparatus Case 101: Operation button
102: Discharge port 1 103: Discharge port 2
110: preparation cup 111: fine filter mesh
112: Suction tube 120: Air inlet
130: main pump 131: pump motor
132: Support plate 133: Power supply unit
140: Stainless needle valve nozzle Elbow type 141: High pressure side inlet
142: High pressure inlet pipe 143: Needle valve adjustment handle
144: needle valve side 145: stainless steel mesh net
150: housing 160:
200: large capacity hot / cold coffee supply device 201: reservoir

Claims (7)

커피 및 음료수를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만들어서 미세한 기포가 다량 함유된 거품 커피 및 거품 음료수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

준비 잔의 온.냉 커피 혹은 온.냉 음료수를 장치내로 흡입하는 튜브의 선단에 필터가 부착된 흡입 부

흡입관과 동일 배관에 위치하여 장치가 구동하여 커피나 음류수를 흡입할 때 일정량의 공기가 함께 장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가변형 니들 밸브 공기조절 장치가 구비된 흡입부

흡입관으로 부터 흡입된 커피와 공기를 고속 회전시켜 미세한 기.액 혼합물을 만들고 동시에 2.0kg/㎠ 이상 고압으로 압축하는 직류 모터 형 기어 펌프부.

펌프의 후단 부에 배치되어서 펌프에서 압축된 고압의 기.액 혼합물을 부채꼴로 강하게 분사할 때 커피는 노즐의 미세 틈새를 빠져 나오면서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생성되어지도록 노즐 틈새의 미세 조정이 가능한 가변 조정 니들 밸브 형 노즐부.

고압의 기.액 혼합물이 노즐 부에서 부채꼴로 분사되는 노즐의 선단 전면에 금속 그물 망을 배치하고 이 그물 망에 강하게 부딪치면서 노즐에서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생성되지 못한 잔량의 커피가 다시 한 번 더 마이크로 나노 버블로 만들어 지면서 커피를 커피 모음 잔으로 모일 수 있게 유도하는 출구가 있는 하우징 부
In a device for making coffee and beverages with micro-nano bubbles to produce foam coffee and foam drink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ine bubbles

A suction cup having a filter attached to the tip of the tube for drawing hot or cold coffee or hot or cold beverage into the apparatus,

The suction pipe is located in the same pipe as the suction pipe and is driven by the devic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device when the coffee or the fresh water is sucked.

A DC motor type gear pump part that makes a fine mixture of air and air by rotating the coffee and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ipe at a high speed and compresses it at a high pressure of 2.0kg / ㎠ or more.

When the pump is arranged at the rear end of the pump and pressurizes and pressurizes the high-pressure gas / liquid mixture compressed by the pump, the coffee can be finely adjusted through fine adjustment of the nozzle gap so as to be generated as micro- Valve type nozzle part.

A metal net is arranged at the front end of a nozzle in which a high-pressure gas / liquid mixture is injected in a fan shape in a nozzle portion. When the metal net is struck strongly against the net, a remaining amount of coffee that has not been produced by micro- A housing part having an outlet for inducing the coffee to be collected into a cup of coffee while being made of nano bubbles
제1항에 있어서 흡입부의 선단에는 커피 찌꺼기가 유입되어 장치의 노즐 구멍을 막지 않도록 100∼200 메시의 스텐 그물 망 형 미세 필터를 설치하고,
이는 교환이 용이하게 원터치 분리가 되는 전용 부품에 격납되어 있는 구조의 거품 커피 제조 장치
A stencil net-type fine filter of 100 to 200 meshes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suction part to prevent coffee residue from flowing into the nozzle hole of the apparatus,
This is because the foamed coffee making apparatus having the structure in which it is stored in a dedicated part for easy one-
제1항에 있어서 커피와 함께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된 니들 밸브형 공기 조절기는 그 조절 범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회전 손잡이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다이얼 형식의 숫자 판이 부착된 거품 커피 제조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edle valve type air condition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coffee machine includes a dial type numerical plate rotating cooperating with a rotary knob 제1항에 있어 펌프는 직류 모터로 구동되며 상대적으로 펌프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흡입 력이 우수한 듀얼 헬리컬 기어로 된 펌프를 사용하며 최대 2.0kg/㎠ 이상의 압력을 낼 수 있는 직류 모터형 기어 펌프로 구성된 거품 커피 제조 장치.The pump of claim 1 is a DC motor type gear pump which is driven by a DC motor and uses a pump of a dual helical gear having a relatively small pump size and a high suction force and capable of generating a pressure of 2.0 kg / A bubble coffee manufacturing device configured. 제1항에 있어서 노즐은 물에 녹슬지 않는 스텐 재질이며 노즐 구멍 조절은 노즐 상부 손잡이로 쉽게 크기를 조정 할 수있고 구멍에 찌거기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에는 손잡이을 최대 구멍이 되게 조절해서 장치 내부에 물을 순환시켜 찌꺼기 등을 제거하고 이 후 다시 노즐 구멍을 줄여 고압의 분사가 가능하게 하는 가변형 니들 밸브로 구성된 거품 커피 제조 장치.The nozz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is a stainless steel material that does not rust off the water, and the nozzle hole can be easily adjusted in size with the nozzle upper handle, and when the hole is clogged by scraping or the like, And a variable needle valve for removing high-pressure air by reducing the nozzle hole after removing the residue. 제1항에 있어서 금속 그물 망은 100∼200 메시의 스텐 재질의 그물 망으로 하고 원형으로 제조된 매시의 외부 테두리는 고무 재질로 포장한 거품 커피 제조 장치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oam coffee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mesh net is made of a mesh net made of stainless steel of 100 mesh to 200 mesh, and the outer edge of the mesh, 제1항에 있어서 본 장치는 1대의 금형 외관 제품에 1구형 거품 커피 제조 모듈을 탑제한 제품과, 2조의 거품 제조 모듈을 탑제한 2종류의 제품을 선택적으로 만들 수 있게 준비된 거품 커피 제조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a product having one spherical foam coffee manufacturing module mounted on one mold external appearance product and a foam coffee making device prepared to selectively produce two kinds of products having two sets of foam manufacturing module
KR1020180067969A 2018-06-14 2018-06-14 A bubble coffee apparatus KR1022730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69A KR102273057B1 (en) 2018-06-14 2018-06-14 A bubble coffe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969A KR102273057B1 (en) 2018-06-14 2018-06-14 A bubble coffe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446A true KR20180075446A (en) 2018-07-04
KR102273057B1 KR102273057B1 (en) 2021-07-05

Family

ID=6291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69A KR102273057B1 (en) 2018-06-14 2018-06-14 A bubble coffe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05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48B1 (en) 2018-08-21 2019-04-10 권민지 Bubble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CN115519876A (en) * 2022-10-19 2022-12-27 安徽紫江喷铝环保材料有限公司 Bubble counting device of compound machine
EP3970574A4 (en) * 2019-05-17 2023-01-25 Severin Asia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components in solid by using nanobubb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093A (en) * 2002-11-28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Milk former and coffee beverage make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4093A (en) * 2002-11-28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Milk former and coffee beverage maker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48B1 (en) 2018-08-21 2019-04-10 권민지 Bubble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EP3970574A4 (en) * 2019-05-17 2023-01-25 Severin Asia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components in solid by using nanobubbles
CN115519876A (en) * 2022-10-19 2022-12-27 安徽紫江喷铝环保材料有限公司 Bubble counting device of compound machine
CN115519876B (en) * 2022-10-19 2024-04-16 安徽紫江喷铝环保材料有限公司 Bubble point device of compound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057B1 (en)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7403B (en) Dairy-based beverage dispenser, method for dispensing hot, dairy-based beverages and disposable container for dairy-based liquids
KR20180075446A (en) A bubble coffee apparatus
CN101370412B (en) Automatic flavoring dispenser for automated espresso machine
US7922382B2 (en) Apparatus for consumable powder reconstitution and frothing
TWI306394B (en)
US5423245A (en) Milk foaming device
US6192785B1 (en) Automatic dispenser of frothed milk and pre-made liquid coffee
CA2869509C (en) Mixing device for frothing beverages
US7927642B2 (en) Method for making coffee with a crema layer
CN202283200U (en) Coffee maker
US20040071841A1 (en) Froth showering
JP2008225743A (en) Coffee brewer
WO2015132135A1 (en) Device for preparing beverages
WO20050137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milk in berverage dispenser,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milk processing steam, and laying structure for tube-like member
WO20151321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US3998144A (en) Coffee urn
KR102415809B1 (en) Small household cold brew extractor
TWM425614U (en) Coffee maker
US2564852A (en) Beverage mixer and dispenser
TWM605712U (en) Combined portable coffee device
KR202200248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as-concentrated beverage supplied from a gas compression container
KR20160032738A (en) The method of manufacture for Ice coffee composition using foam generating device
Racineux et al. Coffee Isn't Rocket Science: A Quick and Easy Guide to Buying, Brewing, Serving, Roasting, and Tasting Coffee
TW201347711A (en) Mixing device for frothing beverages
TWM267982U (en) Milk bubbl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