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834A -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 Google Patents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834A
KR20180074834A KR1020160177482A KR20160177482A KR20180074834A KR 20180074834 A KR20180074834 A KR 20180074834A KR 1020160177482 A KR1020160177482 A KR 1020160177482A KR 20160177482 A KR20160177482 A KR 20160177482A KR 20180074834 A KR20180074834 A KR 2018007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arch
location
librar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준
권영빈
홍원길
박현도
조성민
안재신
임재현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834A/en
Publication of KR2018007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8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06F16/9554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by using bar codes
    • G06F17/3087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lend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instant lending system that utilizes possession data location search and a barcode rea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possession data can be easily checked using a smartphone, and a lending procedure can be processed at a location where the data is found by using a camera of the smartphone. The book lending system includes a library server and a smartphone.

Description

도서 대출 시스템{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borrowing system,

본 발명은 도서 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 대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ok borrow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tant borrowing system utilizing a library bookmarking location search and a barcode reader.

도서관에서, 소장자료는 부여된 고유한 청구기호에 의해 관리된다. 청구기호를 이용하면, 찾고자 하는 자료가 어느 위치에 소장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으나, 소장 자료가 방대한 도서관에서는 청구기호만으로 원하는 자료를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어렵게 찾은 자료를 대출하기 위해서는 다시 도서대출창구에 가서 대출절차를 거쳐야 한다. 시간이 없고 바쁜 와중에도 도서 대출 창구를 이용해야 한다는 점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는 법칙처럼 받아들여져 왔고, 사용자가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절차의 복잡함은 지속되고 있다. At the library, the collection data is governed by the unique claim number assigned. Using the billing symbol, it is possible to know in which location the data to be searched is located, but in large libraries, it is often difficult to find the desired data only with the billing symbol. In particular, in order to borrow the hard-to-find materials, you must go to the book loan counter and go through the loan procedure. The complexity of this process continues, despite the fact that the use of the book loan window during times of no-load and busy is accepted as a rule to be followed and users feel a lot of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장 자료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자료를 찾은 위치에서 대출절차를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venient system that can easily handle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data using the smartphone and process the rental procedure at the location where the data is found by using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은, 검색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소장자료 고육식별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선택 정보에 따라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며,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를 수신하면 대출을 승인하는 도서관 서버, 및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창,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창, 상기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 표시창, 및 바코드 표시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바코드 표시창에 표시된 영상에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tant lending system that utilizes a library location data search and a barcode reader. The instant lending system using the location search and barcode reader of the library retrieves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identification data of the identification data from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search request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and generates the image data of the identif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A library server for approving the loan, a search window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 search result window for displaying search results, a loc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collection location image, and a barcode display window And a smart phone for recognizing the barcode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barcode display window and extrac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ibrary server.

한편,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대출이력을 표시하는 이력정보 표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interface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history inform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 history of a lo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장 자료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고,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함으로써, 자료를 찾은 위치에서 대출절차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data using the smart phone and to process the rental procedure at the location where the data is found by using the camera of the smart phone.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전체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할당되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구현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서관 서버의 물리적인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의 물리적인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의 처리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larity, throughout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elements have been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FIG. 1 schematically shows a physical constituent part of a library server constituting an instant loan system using a bar code reader and a location search of a library possess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hysical part of a smart phone constituting an instant lending system utilizing a bar code reader and a location search of a library possessing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brary location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ing procedure of a library holding location search and an instant lending system using a barcode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IPTV의 제어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 IPTV control system using a sm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서관 서버의 물리적인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physical constituent part of a library server constituting an instant loan system using a bar code reader and a location search of a library possessed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서관 서버(100)는 하나의 서버 또는 복수의 서버로 구성되며, 서버는 각각의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도서관 서버(100)는 내장 또는 외장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장치는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서관 서버(100)는 같은 시스템에 속한 다른 도서관 서버(100) 또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시스템에 속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 또는 작업을 처리하는 주체를 시스템으로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모든 처리는 도서관 서버(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한 명령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ibrary server 100 is composed of one server or a plurality of servers, and the server has one or more processors 110 and a memory 120 for executing programs corresponding to respective purposes. In addition, the library server 100 may include internal or external storage devices, which may record and reproduce information electronically, magnetically, or optically. Meanwhile, the library server 100 can communicate with other library servers 100 belonging to the same system or a server belonging to another system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l the processes are represented by the system as a system that processes each step or task. However, in practice, all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110 and the memory 120, which execute commands by programs installed in the library server 100, Lt; / RTI >

도 1에 도시된 기본적인 구성을 가진 도서관 서버(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데이터 저장 장치(130), 입출력 장치(140), 및 네트워크 장치(150)를 포함한다. The library server 100 having the basic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ncludes a processor 110, a memory 120, a data storage device 130, an input / output device 140, and a network device 150.

프로세서(110)는 데이터 연산 기능을 구비하며 서버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세하게, 프로세서(110)는 도서관 서버(100)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른 구성부를 제어하며,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다른 구성부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프로세서(110)는 탑재된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The processor 110 has a data operation func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rver as a whole. In detail, 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other components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s of the library server 100, and controls the other components to execute the programs. To this end, the processor 110 executes the program in cooperation with the mounted operating system.

서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메모리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이며, 비휘발성 메모리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Flash memory 등이다. 메모리(120)는 서버의 기본적인 기능 수행에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미들웨어, API 등과 프로세서(11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 등을 저장하며, 프로그램의 실행 중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Depending on the type of server, the memory 120 may include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The memory 120 is controlled in operation by a memory controller (not shown). The volatile memory is, for example, a RAM (Random Access Memory) or the like, and the nonvolatile memory is, for example, a ROM (Read Only Memory) The memory 120 stores an operating system, middleware, API, and the like necessary for performing a basic function of the server, one or more files constituting programs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 and the like, and stores necessary data during execution of the program.

도서관 서버(100)는 추가적으로 데이터 저장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착탈식 또는 고정식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그네틱 디스크, 옵티컬 디스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저장 장치(130)는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The library server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data storage device 130. The data storage device 130 may be removable or fixed and may be,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a magnetic disk, an optical disk, and the like. The data storage device 130 may store a program for supporting a location search and an instant loan application of a library storage location, data for executing a program, a database, and the like.

도서관 서버(100)는 추가적으로 입출력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이나, 역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ibrary server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n input / output device 140. The input devic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keyboard, a mouse, a touchpad, and the like. The output device may be a display, a speaker, a printer,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서관 서버(100)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50)는 도서관 서버(100)가 통신망을 통해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한다. 도서관 서버(10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컴퓨터 관련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장치(150)는 도서관 서버(10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통신규약에 따라 전기/광 신호 또는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서(110)에 전달한다. The library server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network device 150. The network device 150 allows the library server 1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 from an external device via a communication network.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library server 100 may be,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computer-related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and the like. The network device 150 converts the data output from the library server 100 into an electric / optical signal or a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s the electric / optical signal or the wireless signal to the processor 1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폰의 물리적인 구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physical part of a smart phone constituting an instant lending system utilizing a bar code reader and a location search of a library possessing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폰(200)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 무선 트랜시버(220), 디스플레이(23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35), 메모리(270), 메모리 컨트롤러(275), 입출력 장치(260), 보조 통신 모듈(225), 카메라 모듈(240) 및 전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스마트폰(200)의 구성부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하나 이상의 구성부의 추가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반드시 도 2에 도시된 구성부를 갖는 스마트폰(200)에서만 구현 가능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2, the smartphone 200 includes a processor 210, a wireless transceiver 220, a display 230, a display controller 235, a memory 270, a memory controller 275, Output device 260, an auxiliary communication module 225, a camera module 240, and a power source 250. The input / For reference, the components of the smartphone 200 shown in FIG. 2 are only one example, and one or more components may be added or omitt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implementable only in the smart phone 200 hav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스마트폰(200)은 무선 트랜시버(220), 보조 통신 모듈(225) 및/또는 커넥터를 통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한다. 외부 통신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다른 스마트폰(200), 컴퓨터 또는 서버를 포함한다. 통신망은 인터넷이나 무선 LAN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뿐만이 아니라 둘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USB와 같은 케이블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martphone 20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via a wireless transceiver 220, an ancillary communication module 225, and / or a connector.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nother smart phone 200, a computer or a server that can communicat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network should be interpreted not only as a wired or wireless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wireless LAN, but also as a cable such as USB to connect two or more devices or a local area network such as Bluetooth.

프로세서(210)는 데이터 연산 기능을 구비한 프로세서(210)로서 스마트폰(20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세하게, 프로세서(210)는 사용자의 입력 유무와 상관없이 스마트폰(200)이 기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부를 제어하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명령을 수행하도록 구성부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프로세서(210)는 탑재된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협력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칭함)을 실행한다. 여기서, 앱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외부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뿐 아니라 단말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선택과 상관없이 실행되는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상세하게, 프로세서(210)는 무선 트랜시버(220) 및/또는 보조 통신 모듈(225) 등을 통해 전기 신호의 형태로 입력된 음성/음향/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음향/데이터는 디스플레이(230) 또는 입출력 장치(260)를 통해 출력된다. 스마트폰(200)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앱을 표시하고 선택된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230)에 표시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는 앱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 phone 200 as a processor 210 having a data operation function as a whole. In detail, the processor 210 controls the configuration unit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s of the smartphone 200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inputs or not, and controls the configuration unit to execute a comman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To this end, the processor 210 executes an application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 in cooperation with the mounted operating system. Here, the app includes not only a program that is selectively executed by a user or an external device but also a program that is executed regardless of the user's selection to perform basic functions of the terminal. In particular, the processor 210 processes voice / sound / data entered in the form of an electrical signal via a wireless transceiver 220 and / or an auxiliary communication module 225, or the like. The processed voice / sound / data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230 or the input / output device 260. The smartphone 200 displays on the display 230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one or more apps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launches the selected apps to make available to the user. The user interface allows the user to select and run an app and perform the necessary tasks.

무선 트랜시버(22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트랜시버(220)는 예를 들어 W-CDMA, LTE 등과 같은 이동통신표준에 따른 기지국 등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220)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며,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무선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210)에 입력한다. 무선 트랜시버(220)가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텍스트/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일 수 있다.The wireless transceiver 220 transmits or receives radio signals in accordance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schemes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 Here, the wireless transceiver 220 may communicate with a base sta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W-CDMA, LTE, and the like. The wireless transceiver 220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processor 210 into a wireless signal, transmits the wireless signal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onverts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to an electric signal, . The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y wireless transceiver 220 may be, for example, voice calls, data, text / multimedia messages, and the like.

보조 통신 모듈(225)은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보조 통신 모듈(225)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무선 랜 등과 단거리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지그비, Wifi-Direct, NFC 등을 지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선 통신 방식인 LAN, USB 등도 지원할 수 있다. The auxiliary communication module 225 transmits or receives a wired or wireless signal according to one or more communication method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 [ The auxiliary communication module 225 can support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it can support Bluetooth, ZigBee, Wifi-Direct, NFC, etc., which a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LAN, USB, etc., which are communication methods, can also be supported.

스마트폰(200)은 디스플레이(230)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3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30)는 예를 들어,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30)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가 둘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230)는 스마트폰(200)의 전면과 후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35)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프로세서(210)로부터 출력된 화면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230)에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230)를 제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2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은 입력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235)는 디스플레이(230)상에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에 상응하는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좌표는 프로세서(210)에 입력된다. 여기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지점에 대한 터치인 경우 좌표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드래그한 경우에는 좌표는 둘 이상일 수 있다.The smartphone 200 includes a display 230 and a display controller 235. The display 23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n LCD, an OLED, or the like. Meanwhile, the display 230 may be one or mor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230 is two, each display 23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mart phone 200. [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 the display controller 235 processes the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output from the processor 210 and controls the display 230 to be output to the display 230. Meanwhile, the display 230 may be a touch screen capable of receiving a touch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can operate as an input device. If the display 230 is a touch screen, the display controller 235 may generate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sensed on the display 230. [ The generated coordinates are input to the processor 210. Here, the coordinates may be one or more in the case of a touch to one or more points at the same time, and the coordinates may be two or more in the case of dragging by the user.

카메라 모듈(240)은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정지 영상과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촬영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240)이 촬영한 정지 영상 및/또는 동영상은 메모리(270)에 저장된다. 카메라가 둘 이상일 경우, 복수의 카메라 중 하나는 스마트폰(200)의 전면에 배치되며, 나머지는 스마트폰(2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240)은 바코드리더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일차원 및 이차원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이 촬영한 바코드는 이하에서 설명될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240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that captures at least one of a still image and a moving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 The still image and / or moving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240 is stored in the memory 270. When there are two or more cameras,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s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mart phone 200,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mart phone 200. Meanwhile, the camera module 240 can operate as a barcode reader. Here, the barcode may include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bar codes. The barcode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240 can be recognized by the library possessing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described below.

전원(250)은 내장된 하나 또는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하거나 스마트폰(200)의 외부에 위치한 상용 전원(250)일 수 있으며,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폰(200)의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상용 전원(250)을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스마트폰(200)은 커넥터를 통해서 외부에 위치한 상용 전원(250)에 연결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250 may be a commercial power supply 250 that includes one or more batteries or is located outside the smartphone 200 and may be powered by the processor 210 to provide power . Meanwhile, when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ommercial power supply 250, the smartphon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upply 250 located outside through the connector.

입출력 장치(260)는 예를 들어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 모터,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입출력 장치(260)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200)에 실질적으로 공통으로 구비되는 장치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입출력 장치(260)가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input / output device 260 may include, for example, a button, a microphone, a speaker, a vibration motor, a connector, and the like. The input / output device 260 shown in FIG. 2 is an example of devices that are substantially common to various types of smartphones 200, and various input / output devices 26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or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버튼은 스마트폰(200)의 외부 표면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기능을 선택 및/또는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버튼은, 예를 들어, 온/오프 버튼, 홈 버튼, 볼륨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버튼을 누르면, 버튼은 전기 신호를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Buttons ar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martphone 200 and are used by the user to input commands for selecting and / or executing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200. [ The button may include, for example, an on / off button, a home button, a volume button, and the like. When the user presses any button, the button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rocessor 210. [

마이크는 음성이나 음향을 수신하여 이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The microphone receives voice or sound and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스피커는 입력된 전기 신호를 음성이나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피커는 음성이나 음향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프로세서(21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음성이나 음향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프로세서(21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특정 기능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때 상응하는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speaker converts the input electric signal into voice or sound and outputs it. The speaker receives voice or sound from an external device or converts an electric signal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10 into voice or sound. Here, the processor 210 may output a correspond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when the user selects or executes a specific function of the smart phone 200. [

햅틱 장치는 입력된 전기 신호를 햅틱 모션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대표적인 햅틱 장치로 진동 모터가 있다. 진동 모터는 입력된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을 출력한다. 햅틱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거나 프로세서(210)로부터 수신한 전기 신호를 햅틱 모션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프로세서(21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특정 기능을 선택하거나 실행할 때 상응하는 햅틱 모션을 햅틱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경우, 버튼이 눌려질 때마다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The haptic device converts the input electric signal into a haptic motion and outputs it. A typical haptic device is a vibration motor. The vibration motor outputs a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electric signal. The haptic device converts electric signals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d from the processor 210 into haptic motion. Here, the processor 210 may output the corresponding haptic motion through the haptic device when the user selects or executes a specific function of the smartphone 2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he vibration can be outputted each time the button is pressed.

커넥터는 스마트폰(200)과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가장 단순한 예로, 커넥터는 스마트폰(200)을 외부 전원(250)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커넥터 또는 스피커에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이어폰 잭일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USB와 같은 직렬 고속 인터페이스의 경우, 커넥터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서 데이터와 전력이 동시에 스마트폰(200)에 공급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200)은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선 LAN 커넥터의 경우, 커넥터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서, 스마트폰(200)은 인터넷에 연결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nnector i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martphone 200 and an external device. In the simplest example, the connector may be a power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martphone 200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250 or a speaker / earphone jack for connecting to the speak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erial high-speed interface such as USB, for example, data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martphone 200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smartphone 200 can transmit data to the external device . Fur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ired LAN connector, the smart phone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스마트폰(200)은 메모리 컨트롤러(275)와 메모리(270)를 포함한다. 메모리(270)는 휘발성 메모리(270)와 비휘발성 메모리(270)를 포함한다. 휘발성 메모리(270)는 예를 들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이며, 비휘발성 메모리(270)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Flash memory 등이다. 메모리(270)는 스마트폰(200)의 기본적인 기능 수행에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미들웨어, API 등과 프로세서(210)에 의해 수행되는 앱 등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파일 등을 저장하며, 앱의 실행 중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7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앱의 이미지, 앱의 속성, 처리 루틴 등도 저장한다. 메모리 컨트롤러(275)는 메모리(2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컨트롤러(275)는 프로세서(210)가 출력한 데이터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를 메모리(270)가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프로세서(210)가 요구한 데이터를 메모리(270)가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smart phone 200 includes a memory controller 275 and a memory 270. The memory 270 includes a volatile memory 270 and a non-volatile memory 270. Volatile memory 270 is, for example, a RAM (Random Access Memory) or the like, and the nonvolatile memory 270 is, for example, a ROM (Read Only Memory) The memory 270 stores an operating system, middleware, API, and the like necessary for performing basic functions of the smart phone 200 and one or more files constituting an application executed by the processor 210. The memory 270 stores necessary data / RTI > The memory 270 also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figuring the user interface, for example, an image of an app, an attribute of an app, and a processing routine. The memory controller 27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emory 270. For example, the memory controller 275 controls the memory 270 to stor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ta output by the processor 210, and causes the memory 270 to output the data requested by the processor 210 .

상술한 예시적인 구성을 갖는 스마트폰(200)은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을 설명할 때 함께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물리적인 구성부를 명시적으로 인용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이 물리적인 구성 없이 단순한 데이터 처리에 의해서만 구현되고 실행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smart phone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 description of a library storage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hysical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xplicitly cited,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library storage location searching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nd executed only by simple data processing without physical configuration Can not be don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ibrary location dat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을 이용하여 소장자료의 위치검색 및 대출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메모리(270)에 저장된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이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된다. 실행 결과,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이 디스플레이(270)에 표시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은, 소장자료의 위치검색, 즉석대출, 및 대출이력조회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영역(310, 330, 34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선택 영역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선택된 영역에 연관된 기능(소장자료의 위치검색, 즉석대출, 및 대출이력조회)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된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can perform a location search and a lending process of the collection data using the library storage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When the user selects an icon of the library possession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ending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smartphone 200, the library possessing data location searching and instant lending applic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or 210 Lt; / RTI >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the user interface screen 300 of the library possessed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270. The user interface screen 300 includes selection areas 310, 330, and 340 for selecting location search, instant loan, and loan history inquiry of the collection data. When the user touches any one of the selection areas, one of the function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area (location search, instant loan, and loan history inquiry) is executed.

소장자료의 위치검색(310)이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의 소정 영역에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311)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 내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검색창(311)을 터치하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312)가 검색창(311)의 아래쪽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키패드(312)를 이용하여 찾고자 하는 소장자료의 제목, 청구기호, 저자, ISBN 등과 같이 소장자료를 특정할 수 있는 검색어 또는 둘 이상의 검색어와 연산자를 포함하는 검색식을 입력할 수 있다.A search window 311 for inputting a search wor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300 is displayed in the user interface screen 300. [ When the user touches the search window 311, a keypad 312 for inputting a search word is displayed below the search window 311. A user can input a search word specifying the collection data such as a title, a billing symbol, an author, an ISBN, and the like of the desired collection data to be searched using the keypad 312, or a search expression including two or more search words and an operator.

검색어 또는 검색식 입력을 완료하면, 검색 결과가 검색 결과창(313)에 표시된다. 도 3에서, 검색 결과창(313)은 검색창(311)의 상부에 표시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검색 결과창(313)은, 검색어 또는 검색식에 따른 검색결과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검색결과 정보는, 소장자료의 제목과 청구기호가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소장자료의 위치가 텍스트 형태로 더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소장자료가 검색된 경우, 목록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input of the search term or the search expression is completed, the search result is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window 313. In FIG. 3, the search result window 313 is display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arch window 311, bu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The search result window 313 displays search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arch word or a search expression. Here,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may display the title and the billing symbol of the collection data, and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data may be further displayed in a text form.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collections data are searched, they can be displayed in a list format.

사용자가 검색 결과창(313)에 표시된 하나의 소장자료 정보 또는 복수의 소장자료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가 위치 표시창(321)에 표시된다. 이 때 선택된 소장자료 정보는 선택결과창(320)에 표시된다. 여기서, 위치 표시창(321)은 선택결과창(320)의 하부에 표시되나,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이용하여 소장자료가 실제로 수납되어 있는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ossession information information or the plurality of possession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window 313, the possession document location image is displayed on the location display window 321. At this time, the selected collection data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result window 320. Here, the position display window 321 is displayed below the selection result window 320, but its position can be changed.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where the collection data is actually stored using the collection location image.

소장자료가 실제로 수납된 위치로 이동한 후, 사용자는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을 이용하여 소장자료에 부착된 바코드를 촬영한다. 사용자가 즉석대출(330)을 선택하면, 카메라 모듈(240)이 활성화된다. 카메라 모듈(240)이 촬영한 영상(332)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의 소정 영역에 위치한 바코드 표시창(331)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바코드 표시창(331)을 터치하거나 촬영 버튼(미도시)을 선택하면,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바코드 표시창(331)에 표시된 영상(332)에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바코드를 이용한 대출절차가 완료되면, 처리 결과 표시창(333)에 대출완료 정보가 표시된다.After mov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collection data is actually stored, the user takes a picture of the barcode attached to the collection data using the library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instant loan 330, the camera module 240 is activated. The image 332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240 is displayed on the barcode display window 331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300. [ When the user touches the barcode display window 331 or selects a photographing button (not shown), the library possessed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can recognize the barcode from the image 332 displayed on the barcode display window 331. [ When the borrowing procedure using the recognized barcode is completed, the borrow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processing result display window 333.

한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사용자의 대출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출이력조회(340)를 선택하면, 메모리(270)에 저장된 대출이력을 이력정보 표시창(341)에 표시한다. 표시된 대출이력 정보는 소장자료 명칭, 대출일, 반납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ation retrieval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of the library possession can display the lending history of the user. When the user selects the loan history inquiry 340, the loan history stored in the memory 270 is displayed on the history information display window 341. [ The displayed loan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name of the collection item, the date of the loan, and the return dat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바코드리더를 활용한 즉석대출 시스템의 처리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FIG. 4 schematically shows a processing procedure of a library holding location search and an instant lending system using a barcode re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400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270)에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300)이 표시된다. 여기서, 소장자료 위치검색이 선택되면,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입력된 검색어 또는 검색식을 포함한 검색 요청을 도서관 서버(100)로 전송한다. If the user selects an icon of the library possession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230 of the smartphone 200 in step 400, the display 270 displays the library possession data location search and the user interface The screen 300 is displayed. Here, if retrieval of the possession data location is selected, the possession data location retrieval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transmits a retrieval request including the inputted retrieval word or the retrieval expression to the library server 100.

단계 405에서,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도서관 서버(100)는 검색어 또는 검색식을 이용하여 소장자료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도서관 서버(10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는 소장자료 명칭 및/또는 청구기호 등과 같은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 소장자료의 위치 정보, 대출가능정보 등을 포함한다. 소장자료의 위치 정보는, 도서관내 서가의 위치, 서가별로 수납된 소장자료 명칭 또는 청구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출가능정보는, 소장자료별 총 보유수량과 현재 대출중인 수량을 포함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대출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In step 405, upon receiving a search request from the smartphon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library server 100 searches the database using the search word or search expression. Here, the database connected to the library server 100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collection name and / or a billing symbo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llec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loanabl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llection data may include the location of the bookshelf in the library, the name of the collection data contained in the library, or a billing symbol. The loanable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loan can be made by including the total quantity of the items held by the item and the quantity currently borrowed.

단계 410에서, 도서관 서버(100)는 검색 결과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검색 결과는,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텍스트 형태의 소장자료 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step 410, the library server 100 transmits the search result to the smartphone 200. The search result include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ossession data, and additionally, the location of the collection data in the form of the text may be further included.

단계 415에서,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검색 결과를 검색결과창(313)에 표시한다. 이후 단계 420에서, 사용자가 표시된 검색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선택 정보를 도서관 서버(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선택 정보는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step 415, the library possessed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displays the search results in the search results window 313. In step 420, 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displayed search results, the library possessed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transmits the selection information to the library server 100. Here, 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ll intestinal material.

단계 425에서, 도서관 서버(100)는 선택 정보에 상응하는 소장자료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In step 425, the library server 100 searches the database for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lle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단계 430에서, 도서관 서버(100)는 검색된 소장자료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장자료가 위치한 층의 평면도에 소장자료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추가하여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서관 서버(100)는 생성된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In operation 430, the library server 100 generates an image of the location of the small object by adding an indication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small object on the floor plan of the floor where the small object is locat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ll object. The library server 100 transmits the generated small object location image to the smartphone 200. [

단계 435에서,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위치 표시창(321)에 표시한다.In step 435, the library possessed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displays the possession data location image on the location display window 321. [

단계 440에서, 사용자가 즉석대출(330)을 선택하면,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카메라 모듈(240)을 활성화하고, 카메라 모듈(240)이 출력한 영상을 바코드 표시창(331)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바코드 표시창(331)을 터치하거나 촬영 버튼(미도시)을 선택하면,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바코드 표시창(331)에 표시된 영상(332)에서 바코드를 추출한다.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추출한 바코드를 텍스트 형식의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로 변환하여 도서관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추출한 바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도서관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도서관 소장자료 위치검색 및 즉석대출 앱은,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또는 학번 등과 같은 사용자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instant loan 330 in step 440, the library possessed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activates the camera module 240 and displays the image output by the camera module 240 on the barcode display window 331 Display. When the user touches the barcode display window 331 or selects the photographing button (not shown), the library possessing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extracts the barcode from the image 332 displayed on the barcode display window 331. The library possessed data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can convert the extracted barcode in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xt form and transmit it to the library server 100 or transmit the extracted barcode to the library server 100 in an image form. At this time, the library possessing location search and instant loan application transmit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for example, user name or student number.

단계 445에서,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도서관 서버(100)는 소장자료 고육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소장자료에 대한 대출을 승인하고, 데이터베이스의 대출가능정보를 갱신한다. 대출 승인 결과는 스마트폰(200)에 전송되어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다.In step 445, upon receipt of the collection identification data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ibrary server 100 approves the receipt of the collec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on identification data of the collection identification data and updates the receivable information of the database. The loan approval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200 and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0: 사용자 단말
200: 도서관 서버
100: user terminal
200: Library server

Claims (2)

도서 대출 시스템에 있어서,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창, 검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검색 결과창, 소장자료 위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 표시창, 및 바코드 표시창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바코드 표시창에 표시된 영상에서 바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소장자료 고유식별정보를 추출하여 도서관 서버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도서 대출 시스템.
In a book borrowing system,
A user interface screen including a search window for inputting a search word, a search result window for displaying a search result, a loc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 small resource location image, and a barcode display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 smart phone for extrac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llected identification data and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ibrary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대출이력을 표시하는 이력정보 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도서 대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screen further comprises a history information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 loan history.
KR1020160177482A 2016-12-23 2016-12-23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KR201800748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82A KR20180074834A (en) 2016-12-23 2016-12-23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82A KR20180074834A (en) 2016-12-23 2016-12-23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834A true KR20180074834A (en) 2018-07-04

Family

ID=6291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82A KR20180074834A (en) 2016-12-23 2016-12-23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83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0980A (en) * 2020-10-19 2020-12-11 长春工程学院 Shared r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18563A (en) 2019-08-05 2021-02-18 인천광역시 Book drive-in system
KR102344934B1 (en) 2021-07-12 2021-12-31 이창직 System for applying books to digital librar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8563A (en) 2019-08-05 2021-02-18 인천광역시 Book drive-in system
CN112070980A (en) * 2020-10-19 2020-12-11 长春工程学院 Shared read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4934B1 (en) 2021-07-12 2021-12-31 이창직 System for applying books to digital librar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3561B2 (en) Pen-based content transfer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6896932B (en) A kind of candidate's words recommending method and device
KR1013743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hort-cut icon and portable device including the apparatus
US20170171035A1 (en) Easy wi-fi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EP3182651B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ataloged smart devices
CN104303181B (en) The network browsing of camera guiding
EP2784666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s for executing applications
KR20160144665A (en) User equipment for recognizing object and displaying database matching result,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CN104662577A (en) Apparatus for uploading contents, user terminal apparatus for downloading contents, server, contents sharing system and their contents sharing method
CN104067270A (en) People presence detection in a multidocument knowledge base
CN103369390A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CN106126018A (en) Desktop icons sort method and device
CN105068976A (en) Ticket information exhibition method and device
KR20180074834A (en) System of renting out by using barcode reader
CN106095236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arranging desktop icons
CN104391878A (en) Book search method and book search device
CN104182780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ining comments and terminal equipment
CN105786944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turning pages of browser
CN103678441A (en)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1218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f service
CN106547705A (en) USB (universal serial bus) operating mode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5425936B (en) Method and device for adapting terminal to external device and terminal
KR20110032148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machine using external device
US10031965B2 (en) Data object classification using feature generation through crowdsourcing
CN103927334B (en) Webpage acquisition methods and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