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030A -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030A
KR20180074030A KR1020160177686A KR20160177686A KR20180074030A KR 20180074030 A KR20180074030 A KR 20180074030A KR 1020160177686 A KR1020160177686 A KR 1020160177686A KR 20160177686 A KR20160177686 A KR 20160177686A KR 20180074030 A KR20180074030 A KR 20180074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ata
sensor
host
data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영
민경원
손행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7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030A/ko
Publication of KR2018007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7/3028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6/1794Details of file format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7/30179
    • G06F17/30182

Abstract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센서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에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이 가능하고, 이종의 고속 및 저속 센서에 대한 효과적인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Heterogeneous Multi-Sensor Data Acquisition and Resampl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다양한 센서를 활용한 신호처리 알고리즘 및 시스템 개발에 활용되는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한 이종의 다중 센서의 데이터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실 환경에서 신호처리 알고리즘과 시스템을 개발 및 테스트하기 위한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종의 다중 센서 기반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개발 및 테스트하기 위해 기존에는 센서 데이터를 데이터 취득 장비를 이용하여 파일 형태로 저장한 후, 컴퓨터에서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에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얻게 되는 센서 데이터는 파일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컴퓨터 상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다.
만약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이 필요하면 센서 데이터를 JTAG과 같은 디버깅 채널을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에 전송하고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포팅된 알고리즘의 기능 및 성능을 검증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용량의 센서 데이터를 매번 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 검증이 불가능하며 이종 센서 데이터를 공급해야 하는 경우에 데이터 간의 동기화 문제 또는 원래 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 영상 센서 데이터의 경우, 모니터 화면에 영상을 출력하고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검증이 가능하지만 모니터와 카메라의 특성 때문에 실제 환경을 제대로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다른 방법으로 센서 기반의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하기 위해 센서에서 획득한 정보를 LAN과 같은 원격 제어 가능한 통신을 이용해 데이터 전송 및 제어를 수행하는데 이 경우 데이터 전송 지연이 발생하고 각 센서의 데이터 간의 동기화가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알고리즘을 개발하거나 검증할 때 컴퓨터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도 실시간으로 알고리즘 개발 및 검증이 가능한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조와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를 취득할 때와 동일한 환경에서 출력하는 센서 간의 동기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센서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에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는, 다수의 이종 센서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송부는, 다수의 이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각기 다른 포맷의 센서 데이터들을 공통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부는, 호스트에 저장된 공통 데이터 포맷의 센서 데이터를 원래 포맷의 센서 데이터들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부가하는 관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기는,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에 따라 출력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버퍼에 임시 저장하고, 일정 크기가 되면 호스트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는,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여 버퍼에 임시 저장하고, 일정 크기가 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차량에 장착되는 센서이고,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방법은,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에 저장하도록 전달하는 단계;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시스템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센서에서 생성되어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방법은, 센서에서 생성되어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이 가능하고, 이종의 고속 및 저속 센서에 대한 효과적인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중 센서 간의 타임스탬프 기반 동기화 기능을 추가하여 센서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동작할 때 취득할 때와 동일한 시간 환경에서 데이터 재생이 가능하다.
도 1은,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성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조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타임스탬프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영상 센서 데이터의 예, 그리고,
도 6은 리시뮬레이션 모드에서의 타임스탬프 기반 센서 정보 출력 관리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컴퓨터 및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센서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을 개발 및 검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다중 센서 인터페이스, 다중 채널 데이터 전송,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고속 직렬 통신 기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인터페이스부(110) 및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를 구비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는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 외에, 센서(10), 임베디드 시스템(20), 호스트(30) 및 대용량 저장장치(40)를 더 표기/도시하였다.
센서 인터페이스부(110)에는 센서(10)와 임베디드 시스템(20)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인터페이스부(110)에는, 데이터 취득 시에는 센서(10)가 연결되고, 리시뮬레이션 시에는 임베디드 시스템(20)이 연결된다.
센서(10)에는 다수의 센서들이 포함되며, 이 센서들의 종류는 동종일 수도 있고 이종일 수도 있다.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버러핑된 데이터를 임베디드 시스템(20)과 호스트(30)에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는, 데이터 취득 시에는 호스트(3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리시뮬레이션 시에는 임베디드 시스템(2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와 호스트(30)는 고속 직렬 통신을 수행한다. 호스트(30)는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대용량 저장장치(40)에 저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인터페이스부(110)와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의 상세 블럭도이다.
센서 인터페이스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다. 각각의 센서 인터페이스들에는 고속/저속의 이종 센서(10)들이 연결되어, 이 센서(10)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센서 인터페이스부(110)에는, 임베디드 시스템(20)이 연결, 구체적으로는 임베디드 시스템(20)의 센서 입력 단자들이 연결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임베디드 시스템(20)에는 센서 데이터들을 제공한다.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 저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2), 타임 스탬프 관리기(123), 버스 중재기(124), 버퍼 제어기(125), 버퍼(126), 코댁(127) 및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128)를 구비한다.
센서 종류 마다 데이터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센서 종류가 바뀔 때 데이터 규격이 바뀌게 되면 초기 시스템을 구성한 후에 유지, 보수가 어려우므로 공통 데이터 규격을 정의하여 고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와 저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2)에서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는 공통규격으로 변환한다.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센서 인터페이스 부(110)는 m개의 고속 센서 인터페이스와 n개의 저속 센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고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는 대용량의 고속 센서들을 고속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하고 시스템 내부 공용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하며 호스트와의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 제어를 위해 인터럽트 기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저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2)는 낮은 데이터 전송 성능을 갖는 저속 센서들을 저속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하고 시스템 내부에서 공용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한다.
저속 센서 인터페이스의 경우 데이터 포맷 변환 및 데이터 전송 제어를 저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122) 내의 임베디드 프로세서에서 담당하여 각종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센서 종류에 맞게 지원하여 다양한 포맷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며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럽트 신호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122)는 센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들을 공통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역변환도 가능하다. 즉,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122)는 입력되는 공통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들을 원래의 데이터 포맷들로 역변환하여 센서 인터페이스들에 인가할 수 있다.
타임 스탬프 관리기(123)는 실제로 데이터를 취득한 환경과 동일한 리시뮬레이션을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부가한다. 취득된 다양한 데이터들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것이다.
타임 스탬프 관리기(123)는 리시뮬레이션 시에 타임 스탬프에 따라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122)에서 출력되도록 한다.
타임 스탬프 관리기(123)에 의해, 임베디드 시스템(30)은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센서 데이터들을 취득할 당시의 환경(타이밍)과 동일하게 센서 데이터들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버퍼 제어기(125)는 인가되는 데이터들을 버퍼(126)에 임시 저장하고, 버퍼(126)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병합하여, 코덱(127)으로 인가한다. 코덱(127)은 영상 등의 고속 센서 데이터는 영상 압축을, 저속 센서 데이터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을, 각각 수행한다.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128)는 코덱(127)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호스트(30)로 전달한다.
리시뮬레이션 시에는 반대 방향으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즉,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128)는 호스트(3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코덱(127)에서 압축을 해제하여 버스 중재기(124)를 통해 버퍼 제어기(125)로 인가한다.
버퍼 제어기(125)는 데이터를 버퍼(126)에 임시 저장하고, 버퍼(126)에 저장된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병합하여 버스 중재기(124)를 통해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122)에 인가한다.
이하에서,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한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인터페이스들에 센서 데이터들이 수신되면(S210),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122)에 의해 공통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고 타임 스탬프 관리기(123)에 의해 타임 스탬프가 부가된 후에 버퍼 제어기(125)에 의해 버퍼(126)에 저장된다(S220).
버퍼(126)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정 크기가 되면(S230-Y), 버퍼 제어기(125)는 코덱(127)에서의 압축을 거쳐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128)에 데이터 전송 준비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S240), 이를 수신한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128)는 압축된 데이터를 호스트(30)로 전송한다(S250).
그러면, 호스트(30)는 S250단계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대용량 저장장치(40)에 저장한다(S260).
이하에서는,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의한 리시뮬레이션 과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센서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뮬레이션 시에는,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128)가 호스트(3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S310), 버퍼 제어기(125)는 S310단계에서 수신되어 코덱(127)에서 압축 해제된 데이터를 버퍼(126)에 저장한다(S320).
버퍼(126)에 저장된 데이터가 일정 크기가 되면(S330-Y), 타임 스탬프 관리기(123)에 의해 데이터들이 타임 스탬프에 따라 타이밍 조절되고, 데이터 포맷 변환부(121,122)에 의해 원래의 센서 데이터 포맷들로 역변환되어, 센서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20)으로 전달된다(S340).
이후,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호스트(30)에 데이터 송신 완료 신호를 전송하여(S350),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결과를 알린다.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실제와 동일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리시뮬레이션 동작을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센서 데이터 저장과 관련한 시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동기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타임스탬프 관리기(123)를 탑재하고 있으며 특히 이종 센서 데이터를 출력할 때 원래 데이터 취득 환경과 동일한 시간 간격 및 환경에서 데이터 출력이 가능하다.
타임스탬프 관리기(123)는 8바이트(64비트)의 시간정보로 구성되는 100ns 단위의 정보를 사용한다. 이 시간 정보는 1601-01-01부터 100ns 단위로 시간 측정이 가능하여 센서 데이터의 저장 시간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센서 데이터 저장과 관련한 효율적인 시간 정보 관리 및 동기화와 관련하여 타임스탬프 관리의 예를 영상 센서의 경우에 대해 나타낸 것이다. 8바이트의 타임스탬프 정보는 그림에서와 같이 모든 영상(매 프레임)의 맨 처음 8바이트에 저장하여 모든 영상이 시간 정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시스템이 사용되는 응용에 따라서 각 프레임의 마지막 8바이트 위치에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매 프레임 마다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록하면 정보 관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다른 정보 파일간의 매칭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스템 동작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관리가 효율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리시뮬레이션 모드 사용시 데이터 취득시 센서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타임스탬프 정보를 기반으로 다른 센서와 어떻게 동기화하여 센서 정보가 정확한 시간에 출력되는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시스템 초기화 단계에서는 고속 센서 데이터와 저속 센서 데이터의 시스템 내부 메모리 내의 저장 공간 주소, 어떤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고속 또는 저속 센서 정보인지 여부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시스템이 시작되면 먼저 고속 및 저속 센서 데이터를 확정하고 고속 센서 데이터에서 타임스탬프 정보(TShs)를 찾아 입수한다. 이 정보는 시스템 내부의 '타임스탬프 관리기' 내의 현재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RTS 레지스터의 값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모든 준비가 완료되면 고속 센서 데이터와 저속 센서 데이터가 병렬로 출력되게 된다. 도 6에서는 이를 고속 센서의 경우 왼편과 같이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저속 센서는 오른편과 같이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저속(고속) 센서 데이터에서 TSls(TShs)를 입수하여 RTS의 시간 정보와 비교하고 RTS ≤ TSls(TShs)를 만족하면 저속(고속) 센서 데이터를 출력한다.
현재 출력 데이터가 마지막이면 시스템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음 프레임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동작하여 리시뮬레이션 모드에서의 센서 데이터 출력이 이종 센서 간에 동기화하여 출력되게 된다.
지금까지,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센서(10)는 차량에 장착되는 센서로, 임베디드 시스템(20)은 차량에 구비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현 가능한데, 그 밖의 다른 응용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센서 인터페이스부
120 : 데이터 버퍼 및 전송부
121 : 고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
122 : 저속 IF 데이터 포맷 변환부
123 : 타임 스탬프 관리기
125 : 버퍼 제어기
126 : 버퍼
127 : 고속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12)

  1. 센서와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에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는,
    다수의 이종 센서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전송부는,
    다수의 이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각기 다른 포맷의 센서 데이터들을 공통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변환부는,
    호스트에 저장된 공통 데이터 포맷의 센서 데이터를 원래 포맷의 센서 데이터들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송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타임 스탬프를 부가하는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관리기는,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스탬프에 따라 출력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송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버퍼에 임시 저장하고, 일정 크기가 되면 호스트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어기는,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여 버퍼에 임시 저장하고, 일정 크기가 되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서는,
    차량에 장착되는 센서이고,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는 임베디드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10.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에 저장하도록 전달하는 단계;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센서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방법.
  11. 시스템이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센서에서 생성되어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12. 센서에서 생성되어 호스트에 저장된 센서 데이터를 호스트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센서 데이터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리시뮬레이션 방법.
KR1020160177686A 2016-12-23 2016-12-23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4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86A KR20180074030A (ko) 2016-12-23 2016-12-23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86A KR20180074030A (ko) 2016-12-23 2016-12-23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030A true KR20180074030A (ko) 2018-07-03

Family

ID=6291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86A KR20180074030A (ko) 2016-12-23 2016-12-23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0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93B1 (ko) * 2019-09-06 2021-01-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타임라인 파일 기반 실시간 다중 센서 데이터 통합저장/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9476A (ko) * 2019-09-06 2021-03-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다중 센서 데이터 저장/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오류 예측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893B1 (ko) * 2019-09-06 2021-01-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타임라인 파일 기반 실시간 다중 센서 데이터 통합저장/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9476A (ko) * 2019-09-06 2021-03-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다중 센서 데이터 저장/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오류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792A (ko)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US927499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optical navigation device
US854745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amera system
WO2022252488A1 (zh) 一种图像压缩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6931459B2 (en) Duplicator for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duplicating recording medium
KR20180074030A (ko) 이종의 다중 센서 데이터 취득 및 리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N111182306B (zh) 用于视频压缩的视频提取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2511839A (zh) 一种视频传输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641823B (zh) 一种基于mipi接口的图像算法验证系统
US20080288233A1 (en) Simulator and simulation method
US734899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lementing picture format conversion to X, Y plot
CN111859630A (zh) 一种图像压缩仿真验证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349078A (zh) 一种物理区域页数据指针转换管理装置及方法
JP6717008B2 (ja) 情報生成プログラム、情報生成方法及び情報生成装置
US20080281576A1 (en) Interface board, simulator,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nchronization program
CN107144751B (zh) 一种多信道矢量网络参数分析系统及方法
KR20170085213A (ko) 채널별 이종 동작을 위한 멀티채널 초고해상도 영상 획득/재생 시스템 및 방법
CN112422835B (zh) 图像的高速采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3402115B (zh) 基于片上系统的高速图像压缩码流验证系统
CN113934396A (zh) 一种同屏显示方法、装置及系统
JP2020197857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737155A (zh) 一种芯片调试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498492B1 (ko) 데이타 형태에 따른 데이타 처리 방법 및 장치
JP7048776B1 (ja) プログラマブルデバイス、システム、検証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455799A (zh) 一种测试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