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759A -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Baby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759A
KR20180073759A KR1020160176656A KR20160176656A KR20180073759A KR 20180073759 A KR20180073759 A KR 20180073759A KR 1020160176656 A KR1020160176656 A KR 1020160176656A KR 20160176656 A KR20160176656 A KR 20160176656A KR 20180073759 A KR20180073759 A KR 20180073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accommodation space
baby carri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유술
박봉균
정해융
정연우
김재희
김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3759A/en
Publication of KR2018007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carriage that can provide a boarding infant with clean air and comfortable inner temperature. The baby carriage includes: a carriage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an infant therein, and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infant comes in or out; a frame enga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rriage body and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and an air cleaner for purifying external air to supply it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arriage body. The air cleaner has an air channel penetrating the carriage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utside, the air channel having an inlet port for sucking the external air and an outlet port for discharging the air, a filter positioned in the air channel to purify the air sucked by the inlet port, and a fan positioned in the air channel to feed the air to the outlet port.

Description

유모차 {BABY CARRIAG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5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strollers are widely used in most households as essential supplies for infants under 5 years of age or in child care.

특히, 유아를 데리고 옥외로 여행하거나 외출하는 경우, 유모차는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유아의 안전이 가장 먼저 보장되어야 하고 동행자의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모차는 유아의 안전을 고려한 구성과 동행자의 편리함을 고려한 구성에 있어서 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In particular, when a baby is traveling outdoors or out of the house with a baby, the baby carriage is widely used as a means for moving an infant. In addition, the stroller is a device that carries and transports the infant, so that the safety of the infant should be ensured first and the use of the companion should be simplified. Therefore, the baby stroller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figuration considering safety of the infant and the configuration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companion.

종래의 유모차는 단순히 유아의 탑승과 이동을 도울 뿐 유아가 탑승하고 있는 탑승공간 내부의 공기질이나 온도를 유아에게 최적으로 맞추어 주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서, 영유아가 추위나 미세먼지 등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re is a system in which a baby stroller simply serves to carry and move infants and does not have a system that optimally adjusts the air quality or temperature inside a boarding space on which the infant is being carried to an infant, thereby exposing infants to cold or fine dust do.

또한, 종래에는 영유아의 보호자는 유모차 내부의 상태를 전혀 알수 없어서, 영유아에 대한 케어를 선제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past, the caregiver of infants and toddlers has no knowledge of the state of the inside of the baby carriag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care for infants and toddlers can not be preemptively perform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과제는 유모차에 탑승한 영유아에게 깨끗한 공기와 안락한 내부온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lean air and comfortable internal temperature to infants on a stroller.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영유아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유모차본체에 유모차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정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ier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infants and an outside air inlet to the stroller body, .

또한 본 발명은 공기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유닛이 출입하는 필터출입구가 형성되고, 필터출입구를 통해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outlet is communicated with the air flow passage, and the filter outlet is formed in and out of the filter unit, and the filter can be replaced through the filter outl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영유아를 감지하는 인식센서 및 상기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quality sensor for sensing air quality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recognition sensor for sensing infants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를 안전하게 탑승시키고 영유아에게 쾌적한 주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fant can safely be carried and the pleasant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infant.

보호자는 필터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유모차를 분리하지 않고, 필터출입구에 결합된 필터본체를 분리하고, 필터본체 내의 필터부를 교체하고 다시 필터본체를 필터출입구에 삽입하여서, 소모품인 필터부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unit needs to be replaced, the protector removes the filter body coupled to the filter door without removing the baby carriage, replaces the filter unit in the filter body, and inserts the filter body into the filter doorway again to easily replace the consumable filter unit .

보호자는 단말기를 통해 유아의 상태 및 수용공간 내부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단말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수용공간 내의 온도 및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tector can know the state of the infant an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terminal, and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he air quality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5는 에어커튼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유모차본체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공기유로 주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분해된 상태의 공기유로 주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body taken along the line A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aby carriage body taken along BB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body for explaining the air curtain airflow,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n air flow path in a state where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cinity of an air passag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ntrol block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내부에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04)을 형성하고, 영유아가 출입되는 출입구(102)를 구비하는 유모차본체(100), 유모차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210) 및 후륜(220)으로 구성되는 차체(200) 및 유모차본체(100)의 수용공간(104)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정화기(500)를 포함한다.1 and 2,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space 104 for housing infants and a baby carriage body 100 having an entrance 102 through which infants and young children enter and exit, A body 200 constituted by a front wheel 210 and a rear wheel 2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an air supplying unit 300 for purifying and supplying the outside air to the receiving space 104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a purifier 500.

유모차본체(100)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04)을 정의하고, 일측에 영유아가 출입되는 출입구(102)가 구비된다. 또한, 유모차본체(100)는 후술하는 차제가 연결되고, 공기정화기(500)가 내장되는 공간을 정의한다.,The baby carriage body 100 defines a receiving space 104 for accommoda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has an entrance 102 through which infants and young children enter and exit. Further, the baby carriage body 100 defines a space to which a car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and in which the air cleaner 500 is housed.

구체적으로, 유모차본체(100)는 일측이 개방된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충격을 해소하고, 아크 형태로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함이다. 다만, 유모자 본체는 도면에 구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계란, 타원구 또는 직육면체 등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by carriage body 100 may have a spherical shape whose one side is open. This is to dissipate the external impact and effectively disperse the external impact in the form of an arc. However, although the oil cap main body is shown as spherical in the figure, it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egg, elliptic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출입구(102)는 개구형태로 유모차본체(100)의 수용공간(104)과 외부를 연통한다.The entrance 102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104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in the form of an opening.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입구(102)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door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02 may be provid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유모차몸체(120)는 종래의 직물로 만든 일반적인 유모차와 달리, 오토바이 헬멧과 같이 고강도의 단단한 재질로 만들며, 예시로서 합성수지, 카본계열의 탄소섬유, 금속 또는 나무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 들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료를 부착시켜서 외부 충격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유모차몸체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For this, the baby carriage bod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 motorcycle helmet, unlike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made of a conventional fabric, and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carbon fiber, metal, Or more,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of external impact by attaching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to the insid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baby carriage body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차제는 유모차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210) 및 후륜(220)으로 구성된다.The baby carriage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includes a front wheel 210 and a rear wheel 220.

차체(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체(200)는, 크게 전륜(210)이 양단에 결합되는 제1 차체(201)와, 전륜(210)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후륜(220)이 양 단에 결합되는 제2 차체(202)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vehicle body 200 includes a first body 201 to which the front wheel 210 is coupled at both ends, and a second body 201 to which the rear wheel 220 is attached at a rear end portion opposite to the front wheel 210 And a second body 202 coupled to the end.

차체는 중간에 유모차본체(100)와 연결되는 연결부(20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차제(201)는 1개가 구비되고, 제2 차체(202)는 2개가 구비되어서 삼발이 형태로 연결부(203)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The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03 which is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100 in the middle. Specifically, the first main body 201 is provided with one, and the second main body 202 is provided with two, connected in a trivet form by the connecting portion 203.

또한, 전륜(210) 또는/및 후륜(22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는 후륜(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 휠 방식(In-Wheel)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구동력으로 변환한다.Further, a driving motor for supplying a driving force to the front wheel 210 and / or the rear wheel 220 may be further provided. Specifically, the driving motor may be provided as an in-wheel provided inside the rear wheel 220. The drive motor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driving force.

한편, 후륜(220)의 후륜(220)축(미도시)는 보호자가 유모차 이동 시 갑작스런 멈춤 또는 정차 시 사용될 수 있는 풋브레이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ar wheel 220 axis (not shown) of the rear wheel 220 may further include a foot brake (not shown) that can be used when the car is suddenly stopped or stopped when the baby carriage is moved.

한편, 차체(200)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01)를 포함한 프레임(3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프레임(300)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프레임은 차제의 연결부(203)에 연결된다.A frame 300 including a handle 301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200 so that the protector can be gripped by the hand. Here, the frame 300 may be configured to be drawn in and out to adjust the height. The fram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03 of the next generation.

프레임(300)은 도면에 각기 다른 외경의 파이프가 2단으로 구성되어 서로 인출입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3단 이상의 다단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frame 300 is shown to have two oute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drawing, the pipes 300 may be configured to have three or more stages.

또한, 손잡이(301)는,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모차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는 회전각도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여서, 유모차를 수동 또는 자동운전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handle 301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of rotation so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rotector using the baby carriage. The handle may function as a user command input unit that can control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so as to convert the baby carriage into manual or automatic operation.

보호자가 손잡이(301)를 손쉽게 회전시키고 그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10)는 탄원 형상의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31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so as to allow the protector to easily rotate the handle 301 and to recognize the direction easily.

유모차본체(100) 및 차체(200) 사이에 결합되어 유모차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00)가 더 구비된다. And a height adjusting unit 400 coupled between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the vehicle body 20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높이조절부(400)는 유압실린더 또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식 높이조절부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eight adjuster 400 may be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or an actuator. The height adjuster 400 is a generally used hydraulic height adjus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유모차본체(100)는 높이조절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유모차본체(100)를 카시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body 10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height adjusting portion 400. Therefore, the guardian can use the baby carriage body 100 for hous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as a substitute for a car seat.

높이조절부(400)와 유모차본체(100) 사이에는 스윙모션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윙모션부(400)는 유모차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높이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유모차 본체에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한다.The swing motion unit 400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height adjusting unit 40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00. The swing motion part 4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to provide various movements to the baby carriage body.

구체적으로, 스윙모션부(400)는 복수개의 캠 축을 사용하여 1축 내지 3축으로 입체적이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wing motion unit 400 can provide three-dimensional and smooth motion in one to three axes using a plurality of cam shafts.

또한, 본 발명의 유모차는 유모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9)가 더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09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roller.

전원공급부(209)는 제어부(6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09)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700)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0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1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The power supply unit 209 includes a battery, the battery may be an internal battery configured to be 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of the terminal 700 for charging or the like.

또한, 전원공급부(209)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through which an external charger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209)는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209)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n a wireless manner without using a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use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Power can be delivered.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209)의 차제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9)는 차체(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i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wer supply 209.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body 2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100)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100)의 B-B선을 취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본체(100)는 아우터 케이싱(110)과, 이너 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baby carriag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uter casing 110 and an inner casing 120. [

유모차본체(100)는, 일측에 출입구(102)가 형성되고 유모차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싱(110),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수용공간(104)과 공기정화공간으로 구획하는 이너 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body 100 includes an outer casing 110 formed with a doorway 102 at one side thereof and defin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an inner casing 110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air- And may include a casing 120.

아우터 케이싱(110)은 일측에 출입구(102)를 가지는 구 형상이고, 유모차 본체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outer casing 110 is in the form of a sphere having an entrance 102 at one side and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baby carriage body.

이너 케이싱(120)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수용공간(104)과 공기정화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너 케이싱(120)은 출입구(102) 마주보게 배치되어서, 이너 케이싱(120)의 상부 공간은 수용공간(104)이 되고, 이너 케이싱(120)의 하부와 아우터 케이싱(110) 사이의 공간은 공기정화공간으로 정의된다.The inner casing 120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cas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air purification space. The inner casing 120 is arranged so as to face the entrance 102 so that the upper space of the inner casing 120 becomes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spa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ing 120 and the outer casing 110 becomes air It is defined as a purification space.

아우터 케이싱(110)과, 이너 케이싱(120)은 고강도의 합성수지, 탄소섬유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공간(104) 내에 탑승하는 영유아에게 부드러운 탑승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용공간(104)의 내면에는 이루어지는 시트(125)가 구비된다.The outer casing 110 and the inner casing 120 are made of high-strength synthetic resin and carbon fiber. At this time, a seat 125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to provide a smooth ride feeling to the infant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시트(125)는 아우터 케이싱(110) 및 이너 케이싱(120) 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고무, 발포수지, 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t 125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er than the outer casing 110 and the inner casing 120. Preferably, the sheet may be made of rubber, foamed resin, cloth or the like.

유모차본체(100)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방을 커버하는 로어 케이싱(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케이싱(130)은 높이조절부, 차제 및 스윙모션부(4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로어 케이싱(130)은 아우터 케이싱(110)과 높이조절부, 차제 및 스윙모션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고, 아우터 케이싱(110)이 쉽게 착탈 가능하게 한다.The baby carriage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casing 130 that covers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asing 110. The lower casing 1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height adjuster, the main body and the swing motion unit 400. The lower casing 130 connects at least one of the outer casing 110 with the height adjuster, the refrigerator, and the swing motion unit 400 so that the outer casing 110 is easily detachable.

공기정화기(500)는 유모차본체(100)의 수용공간(104)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제공한다. The air purifier 500 purifies and supplies the outside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104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공기정화기(500)는 유모차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와 수용공간(104)을 연통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503)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02)를 포함하는 공기유로(501), 공기유로(501)의 내부에 위치되어 흡입구(503)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 공기유로(501)의 내부에 위치되어 흡입구(503)로부터 토출구(502)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510)을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500 is formed to penetrate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has an inlet 503 communicating the outsid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having external air sucked therein and a discharge port 502 discharging air therein A filter unit which is located inside the air passage 501 and which purifies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503 and a filter unit which is located inside the air passage 501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502 And an air blowing unit 510 that provides a flow force to cause air to flow.

공기유로(501)는 유모차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와 수용공간(104)을 연통한다. 공기유로(501)는 공기정화공간에 배치된다. 공기유로(501)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다.The air passage 501 is formed through the baby carriage body 100 and communicates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04 from the outside. The air passage 501 is disposed in the air purifying space. The air passage 501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공기유로(501)는 일측에 흡입구(503)가 배치되고 타측에 토출구(502)가 배치된 하나의 유로이다.The air flow path 501 is one flow path in which a suction port 503 is disposed at one side and a discharge port 502 is disposed at the other side.

흡입구(503)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공기유로(501)와 연결된다. 흡입구(503)는 아우터 케이싱(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The suction port 503 sucks outside air and is connected to the air flow path 501. The suction port 503 is formed through the outer casing 110.

토출구(502)는 공기유로(501)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고, 공기유로(501)와 연결된다. 토출구(502)는 이너 케이싱(12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토출구(502)는 이너 케이싱(120)과 시트(12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discharge port 502 discharges air inside the air passage 501 and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501. The discharge port 502 is formed through the inner casing 120. Specifically, the discharge port 502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inner casing 120 and the seat 125.

토출구(502)는 공기유로(501)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장소이다. 토출구(502)는 수용공간(104)의 내부에 위치된 공기가 내부에서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502 is a place where purified air is discharged in the air flow path 501. The discharge port 502 can be formed so that the air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4 can stay in the inside for a long time.

예를 들면,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502)는 수용공간(104) 내부의 공기가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도록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4, the discharge port 502 is formed so as to form a centrifugal circulation flow R in which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4 is rotated about the center point C1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ir can be discharged.

수용공간(104) 내부의 공기가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기 위해, 토출구(502)는 적어도 서로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토출구(502a)와, 제2 토출구(502b)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s 502 are provided with a first discharge port 502a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C1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so as to form the centrifugal circulation flow 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a second discharge port 502b.

제1 토출구(502a) 및 제 2 토출구(502b)는 기준면(D1)에서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에서 반경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따라서, 기준면(D1)에서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의 원호의 접선 방향으로 공기유로(501) 내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The first discharge port 502a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502b are arranged lo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radial direction in an arbitrary circle centered on the center point C1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in the reference plane D1. Therefore, the air in the air passage 501 can be discharg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an arbitrary circular arc centered on the center point C1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t the reference plane D1.

여기서, 기준면(D1)은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과 출입구(102)의 중심(C2)을 연결한 가상은 선에 교차되는 임의의 면이다.The reference plane D1 is an arbitrary plane intersecting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point C1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center C2 of the entrance 102. [

따라서, 수용공간(104)의 내의 공기가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가 쉽게 혼합되지 않으므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질과 온도가 오래도록 유지된다.Therefore, 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forms the centrifugal circulation flow R, the external air and the internal air are not easily mixed, so that the quality and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re maintained for a long time .

공기유로(501) 내에는 공기유로(50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600)는 공기유로(50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600)를 통해 수용공간(104)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air flow path 501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600 for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501. The heater 600 heats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501. The temperat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4 through the heater 600 can be adjusted.

도 5는 에어커튼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유모차본체(100)의 일부 단면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by carriage body 100 for explaining the air curtain airflow.

다른 예로, 토출구(502)의 일부는 상술한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고, 토출구(502)의 다른 일부는 에어커튼기류(A)를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part of the discharge port 502 may form the centrifugal circulation flow R described above, and another part of the discharge port 502 may form the air curtain airflow A.

에어커튼기류(A)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와 출입구(102) 외부의 공기가 교환되는 것을 제한한다. 에어커튼기류(A)는 수용공간(104)의 중심과 출입구(102)의 중심(C2)을 연결한 중심축(Ax)과 교차되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기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에어커튼기류(A)는 수용공간(104)과 외부의 공기 사이의 벽을 형성한다. The air curtain airflow A restricts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air outside the entrance 102 from being exchanged. The air curtain airflow A may mean an air current travel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lane intersecting the center axis Ax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space 104 and the center C2 of the entrance 102. That is, the air curtain airflow A forms a wall betwee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outside air.

토출구(502)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와 출입구(102) 외부의 공기가 교환되는 것을 제한하는 에어커튼기류를 형성하도록 공기를 배출한다. The discharge port 502 discharges the air to form an air curtain airflow that restricts the exchange of air in the receiving space 104 and air outside the outlet port 102.

구체적으로, 토출구(502)는 수용공간(104)의 중심과 출입구(102)의 중심(C2)을 연결한 중심축(Ax)과 교차되는 면(D2)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기류를 배출하는 제3 토출구(50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port 502 discharges the airflow travel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ne D2 intersecting the central axis Ax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104 and the center C2 of the entrance 102 And a third discharge port 502c.

제3 토출구(502c)는 수용공간(104)의 중심과 출입구(102)의 중심(C2)을 연결한 중심축과 교차되는 면(D2)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토출구(502c)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discharge port 502c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plane D2 intersecting the center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space 104 and the center C2 of the entrance 102. [ A plurality of third discharge ports 502c may be disposed.

이 때, 수용공간(104)의 중심과 출입구(102)의 중심(C2)을 연결한 중심축과 교차되는 면(D2)은 상술한 기준면(D1)과 출입구(102) 사이에 배치된다.At this time, a plane D2 intersecting the central axi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ng space 104 and the center C2 of the entrance 102 is disposed between the reference plane D1 and the entrance 102.

이하, 공기정화기(500)의 상세 구성과, 필터유닛의 상세구성에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50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공기유로(501) 주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이 분해된 상태의 공기유로(501) 주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air passage 501 in a state where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assage 501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송풍유닛(510)은 공기유로(501) 상에 배치되어 공기 유동력을 제공한다. 송풍유닛(510)은 흡입구(503)에서 토출구(502)로 공기를 유동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blowing unit 510 is disposed on the air passage 501 to provide an air flow force. The air blowing unit 510 flows air from the suction port 503 to the discharge port 502.

공기유로(501)에는 필터유닛의 교체를 위한 필터출입구(540)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출입구(540)는 공기유로(501)와 연통되고 필터유닛이 출입하는 공간을 정의한다.The air channel 501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inlet / outlet 540 for replacement of the filter unit. The filter inlet / outlet 540 communicates with the air passage 501 and defines a space through which the filter unit enters and exits.

구체적으로, 필터출입구(540)는 일측은 외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공기유로(501)와 연결된 홀 형상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필터출입구(540)는 필터유닛의 필터면이 공기유로(501) 내의 공기유동방향과 교차되게 설치되기 위해, 필터출입구(540)의 방향은 공기유로(501)내의 공기유동방향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출입구(540)는 필터출입구(540)가 연결되는 공기유로(501)의 일부 영역과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로(501)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필터출입구(54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lter outlet 5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t one side and has a hole shape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501 at the other side.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entrance 540 is provided so that the fil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crosses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air flow path 501,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ilter entrance 540 corresponds to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air flow path 501 Can be arranged in a crossed manner. The filter inlet 540 may be disposed to intersect with a portion of the air passage 501 to which the filter outlet 540 is 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air flow path 501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ter entrance 540 may b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또한, 공기유로(501)에는 후술하는 필터유닛의 일부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삽입부(55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550)는 필터출입구(540)와 동일높이에 형성되고, 공기유로(501)가 외측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assage 501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portion 550 into which a part of a filter unit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stored. The inserting portion 55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lter inlet / outlet 540, and the air flow path 501 may be recessed in the outward direction.

삽입부(550)는 후술하는 필터부(530)가 공기유로(501)가 중첩되게 배치될 때, 필터부(530) 주변의 필터본체(52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필터출입구(540)는 후술하는 필터본체(52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The insertion portion 550 is a space into which the filter main body 520 around the filter portion 530 is inserted when the filter portion 53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air flow path 501. The filter inlet 540 is a space into which a filter body 52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즉, 필터유닛이 필터출입구(54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본체(520)는 필터출입구(540)와, 삽입부(550)에 삽입되고, 필터부(530)는 공기유로(501) 내부에 위치된다.The filter unit 520 is inserted into the filter entrance 540 and the insertion unit 550 while the filter unit 530 is inserted into the air passage 501 .

특히, 도 8을 참조하면, 필터유닛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530)와, 일부 영역은 필터부(530)를 수용하고, 다른 일부 영역은 필터출입구(540)에 삽입되는 필터본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8,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unit 530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filter unit 530 that receives a part of the filter unit 530, and another part of the filter unit 530 that is inserted into the filter outlet 540 520).

필터본체(520)의 일부 영역에는 필터부(530)가 수용되는 필터홀(521)이 형성된다. 필터홀(521)은 필터본체(52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필터부(530)가 수용된다. 필터홀(521)은 필터본체(520)가 필터출입구(540)에 결합될 때, 공기유로(501) 내에 위치된다.A filter hole 521 is formed in a part of the filter body 520 to receive the filter part 530. The filter hole 521 is formed through the filter body 520, and the filter portion 530 is accommodated. The filter hole 521 is located in the air passage 501 when the filter body 520 is coupled to the filter entrance 540.

필터본체(520)는 필터홀(521)에 위치되는 필터부(530)를 지지하는 서포터(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523)는 필터본체(520)에서 필터홀(52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 body 52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er 523 for supporting the filter portion 530 located in the filter hole 521. [ The supporter 523 may protrude from the filter body 520 toward the inside of the filter hole 521.

필터부(530)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른다. 필터부(530)의 필터면은 공기유로(501) 상의 공기의 흐름방향과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필터부(530)의 필터면은 필터본체(52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일 수 있다.The filter portion 530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he filter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530 is arranged so as to intersect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on the air flow path 501. The filter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530 may b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520.

필터부(530)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531),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532) 및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533, 5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530 may include a pre-filter 531 that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 HEPA filter 532 that collects contaminants in the air, and deodorization filters 533 and 534 that deodorize odors in the air. have.

프리필터(531)는 그릴이 형성되어 흡입구(5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거른다. 프리필터(531)는 서포터(523)에 지지될 수 있다.The pre-filter 531 is formed with a grill and primarily filter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03. The pre-filter 531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er 523.

헤파필터(532)는 흡입구(5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물질을 집진한다. 헤파필터(532)는 프리필터(531)에 적층된다.The HEPA filter 532 collects contaminants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03. The HEPA filter 532 is stacked on the pre-filter 531.

탈취필터(533, 534)는 헤파필터(532)에 적층된다. 탈취필터(533, 534)(147, 148)는 흡입구(5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한다.The deodorization filters 533 and 534 are stacked on the HEPA filter 532. The deodorization filters 533 and 534 (147 and 148) deodorize the odor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503.

공기유동방향이 하부에서 상부로 형성되면, 가장 하부에 프리필터(531)가 배치되고, 프리필터(531)의 상에 헤파필터(532)가 배치되고, 헤파필터(532) 상에 탈취필터(533, 534)가 배치되는 것이 공기 정화 효율이 면에서 유리하다.When the air flow direction is form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prefilter 531 is disposed at the bottom, a HEPA filter 532 is disposed on the prefilter 531, and a deodorizing filter 533, and 534 are advantageously disposed in terms of air purification efficiency.

보호자는 필터부(5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유모차를 분리하지 않고, 필터출입구(540)에 결합된 필터본체(520)를 분리하고, 필터본체(520) 내의 필터부(530)를 교체하고 다시 필터본체(520)를 필터출입구(540)에 삽입하여서, 소모품인 필터부(53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The protector removes the filter body 520 coupled to the filter entrance 540 without removing the baby carriage when the filter unit 530 needs to be replaced and the filter unit 530 in the filter body 520 is replaced The filter main body 520 is again inserted into the filter entrance 540, so that the filter part 530, which is a consumable item, can be easily replac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ontrol block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유모차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630),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40), 수용공간(104) 내의 영유아를 감지하는 인식센서(620),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9, the baby carriage includes an air quality sensor 630 for sensing the quality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 temperature sensor 64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 recognition sensor 620 that senses infants in the baby carriage, and a controller 610 that control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인식센서(620)는 수용공간(104) 내에 존재하는 영유아를 감지하여서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인식센서(620)는 수용공간(104)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또는/및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The recognition sensor 620 detects infants present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provides the detected infants to the control unit 610. The recognition sensor 620 is composed of an infrared sensor or a proximity sensor for sensing a user and / or an object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detection surface,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공기질 감지센서(63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질을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610)에 제공한다.The air quality sensor 630 senses the quality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provides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10.

공기질 감지센서(630)는 복수개의 센서군이 조합되어 각 기능부 주위의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단 1회의 동작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는 복합 센서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The air-quality sensor 630 may be a combined sensor module that can combine a plurality of sensor groups to sense different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air around each functional unit by a single operation.

복수의 센서군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nsor groups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air, a fine dust sensor for detecting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n the air, a carbon dioxide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air, ), Sulfur oxides (SOx),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온도센서(64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610)에 제공한다.The temperature sensor 640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provides sens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10.

제어부(610)는 입력되는 명령정보 또는/및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유모차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610)는 유모차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단말기(700)(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단말기(700)에서 입?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유모차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ased on the inputted command information and / or sens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610 may detec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baby carriage and provide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700 (not shown). The control unit 610 may control the stroller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terminal 700. [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논리적인 판단을 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10 may include a processor for making a logical decision and a memory for storing data.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제어유닛(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또한, 제어부(610)는 유모차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610 may stor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troller.

실시예의 유모차는 단말기(700)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6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baby carriage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0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700. [

무선 통신모듈(650)은 단말기(7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650)은 단말기(700)의 통신모듈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0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700.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0 is provided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terminal 700.

무선 통신모듈(650)은 단말기(7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61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610)로 부터 유모차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의 단말기(70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0 can receive the control signal of the terminal 700 and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610 and receiv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baby carriage from the control unit 610 and output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700 have.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65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0 may be implemen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And a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or the like)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다른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650)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As anothe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65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제어부(61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상태, 온도에 따라 공기정화기(500) 또는/및 히터(6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10 can control the air cleaner 500 and / or the heater 600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and the temperature.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인식센서(62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내에 영유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공기질 감지센서(63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가 기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기정화기(5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10)는 공기정화기(500)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송풍유닛(5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숭풍유닛을 작동시킨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10 determines that the infant is present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cognition sensor 62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air quality sensor 630, And controls the air purifier 500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in the space 104 exceeds the predetermined pollution degree. Specific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500 is necessary, the control unit 61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air blowing unit 510 to operate the wormhole unit.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인식센서(62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내에 영유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온도센서(64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가 기설정된 온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터(6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10)는 히터(600)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히터(6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히터(600)를 작동시킨다.The control unit 610 determines that infants are present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cognition sensor 62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640, And controls the heater 600 to opera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in the space 104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controller 61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heater 600 to operate the heater 6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heater 600 is required.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 온도 및 영유아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61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10)와 연결된 단말기(700)는 제어부(61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 온도,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디스플레이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1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ir condition, temperatur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ants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to the terminal 70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10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At this time, the terminal 70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10 display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ler 610 whether the air condition, temperature, and infant / child exist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여기서, 단말기(700)는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할 것이다. 물론, 단말기(700)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단말기(7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말기(7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Herein, the terminal 700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voice communication, photographing and video shooting through a camera, voice recording, music file playback through a speaker system, outputting an image or a video to a display unit, Quot; means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 multicast signal that it provides. Of course, the terminal 700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o provide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700 and the user, and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terminal 700 and the user.

제어부(610)는 단말기(70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공기정화기(500) 또는 히터(6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10 may control the air purifier 500 or the heater 600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terminal 700. [

보호자는 단말기(700)를 통해 유아의 상태 및 수용공간(104) 내부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단말기(7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수용공간(104) 내의 온도 및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tector can know the state of the infant and the state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04 through the terminal 700 and can control the temperature and the air quality in the accommodation space 104 by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terminal 700. [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and area of each component do not entirely reflect actual size or area.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Further, the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re based o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in the specification, reference points and positional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angles are not explicitly referred to, reference is made to the relevant drawing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내부에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영유아가 출입되는 출입구를 구비하는 유모차본체;
상기 유모차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 및 후륜으로 구성되는 차체; 및
상기 유모차본체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정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기는,
상기 유모차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유로;
상기 공기유로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공기유로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유모차.
A stroller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infants therein and having an entrance through which infants and young children enter and exit;
A bod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the body comprising front and rear wheels; And
And an air purifier for purifying and providing outside air 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baby carriage body,
The air purifier includes:
An air passage formed through the stroller body and including an intake port communicating the outsid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and having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sucked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filter unit located inside the air passage and purify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inlet; And
And an air blowing unit positioned inside the air flow path to provide a flow force to cause air to flow from the suction port to the discharge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본체는,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모차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상기 수용공간과 공기정화공간으로 구획하는 이너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과 송풍유닛은 상기 공기정화공간에 배치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by carriage body includes:
An outer casing having an entranc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baby carriage body;
And an inner casing that divides an internal space of the casing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ir purifying space,
Wherein the filter unit and the air blowing unit are disposed in the air clean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이너 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는 아우터 케이싱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모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through the inner casing, and the suction port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outer ca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원심순환기류를 형성하도록 공기를 배출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ort discharges air so as to form a centrifugal circulation flow in which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is rotated around a center point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와 상기 출입구 외부의 공기가 교환되는 것을 제한하는 에어커튼기류를 형성하도록 공기를 배출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ort discharges air so as to form an air curtain air flow which restricts exchange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ir outside the entr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유닛이 출입하는 필터출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유닛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와,
일부 영역은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고, 다른 일부 영역은 상기 필터출입구에 삽입되는 필터본체를 포함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ter inlet /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air flow passage and through which the filter unit enters and exits,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Wherein the filter body includes a filter body, and some of the area includes the filter body, and another part of the filter body is inserted into the filter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집진하는 헤파필터; 및
공기중의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lter unit includes:
A prefilter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A HEPA filter for collecting contaminants in the air; And
A stroller including a deodorizing filter for deodorizing odors in the ai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출입구는 상기 필터출입구가 연결되는 상기 공기유로의 일부 영역과 교차되게 배치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lter entrance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with a part of the air passage to which the filter entrance and exit is conn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가 상기 공기유로가 중첩되게 배치될 때, 상기 필터부 주변의 필터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 filter main body around the filter portion is inserted when the filter portion is arranged so that the air flow paths overlap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in the air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의 질을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영유아를 감지하는 인식센서; 및
상기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air quality sensor for sensing the quality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recognition sensor for sensing infants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영유아가 감지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기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정화기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모차.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rein the infant is detec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air purifier is operated when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exceeds a predetermined degree of contamin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상태, 온도 및 영유아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 송신하는 유모차.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temperature,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ants, to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공기정화기를 제어하는 유모차.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purifier based on a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terminal.
KR1020160176656A 2016-12-22 2016-12-22 Baby carriage KR201800737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56A KR20180073759A (en) 2016-12-22 2016-12-22 Baby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656A KR20180073759A (en) 2016-12-22 2016-12-22 Baby carri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59A true KR20180073759A (en) 2018-07-03

Family

ID=6291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656A KR20180073759A (en) 2016-12-22 2016-12-22 Baby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3759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625B1 (en) * 2018-08-24 2019-09-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stroller with air purifier
EP3889003A1 (en) * 2020-04-01 2021-10-06 LG Electronics Inc.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009056A1 (en) * 2020-07-06 2022-01-13 Cill Baby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nuggo™ portable thermo box
US20220135105A1 (en) * 2020-11-03 2022-05-05 Apryl Bell Stroller for Increasing Child Comfort
IT202000027555A1 (en) * 2020-11-17 2022-05-17 Torino Politecnico VENTILATION DEVICE TO AVOID CONTAGION FROM INFECTION, IN PARTICULAR OF THE RESPIRATORY TYPE, AND RELATED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625B1 (en) * 2018-08-24 2019-09-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stroller with air purifier
EP3889003A1 (en) * 2020-04-01 2021-10-06 LG Electronics Inc. Smart stroll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3492901A (en) * 2020-04-01 2021-10-12 Lg电子株式会社 Intelligent s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009056A1 (en) * 2020-07-06 2022-01-13 Cill Baby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snuggo™ portable thermo box
US20220135105A1 (en) * 2020-11-03 2022-05-05 Apryl Bell Stroller for Increasing Child Comfort
IT202000027555A1 (en) * 2020-11-17 2022-05-17 Torino Politecnico VENTILATION DEVICE TO AVOID CONTAGION FROM INFECTION, IN PARTICULAR OF THE RESPIRATORY TYPE, AND RELATED METHOD
WO2022106994A1 (en) * 2020-11-17 2022-05-27 Politecnico Di Torino Ventilation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3759A (en) Baby carriage
KR20180079597A (en) Control method for baby carriage
TWI454292B (en) Air purification system
CN106958873A (en) Air cleaner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air cleaner
KR102608622B1 (en) An air cleaning all-in-one that can control the inflow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to perform both ventil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TWI500890B (en) Air purification system
KR20160145405A (en) Baby Carriage with Air Cleaner
CN204629788U (en)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carried air cleaning unit
TWI460381B (en) Air purification system
KR101604777B1 (en) smoking booth
WO2012144336A1 (en) Air purifier
KR20230119100A (en) Air purifier for multiuse facility
TWI464351B (en) Air cleaner
CN203837192U (en) Air cleaner and ion generating unit
KR20180078914A (en) Baby carriage
CN211364218U (en) Automobile air conditioner filtering system and automobile
CN208170717U (en) A kind of empty integral structure and air conditioner only
KR102611904B1 (en) Stand-type variable flow path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and system
CN104154615A (en) Haze preventing device for infants
CN111228930A (en) Air purifier
KR20190074396A (en) Air purifier for stroller
US20220196261A1 (en) Air filter apparatus
CN106839188A (en) Incubator air adjustment cleaning system
KR20180073134A (en) Baby carriage
JP2014171671A (en) Deodoriz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