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319A -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319A
KR20180072319A KR1020160175763A KR20160175763A KR20180072319A KR 20180072319 A KR20180072319 A KR 20180072319A KR 1020160175763 A KR1020160175763 A KR 1020160175763A KR 20160175763 A KR20160175763 A KR 20160175763A KR 20180072319 A KR20180072319 A KR 2018007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way
packet
load
sensor nodes
re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5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319A/ko
Publication of KR2018007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4Server selection for load bala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노드에서 게이트웨이로 집중되는 데이터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되는 패킷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며,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게이트웨이로 부하가 집중되는 경우 특정 게이트웨이와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을 복제 게이트웨이로 선택하여 복제 게이트웨이로 패킷 부하를 분산시키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acket load of gateway in IoT network}
본 발명은 센서 노드에서 게이트웨이로 집중되는 데이터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되는 패킷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며,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게이트웨이로 부하가 집중되는 경우 특정 게이트웨이와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을 복제 게이트웨이로 선택하여 복제 게이트웨이로 패킷 부하를 분산시키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oT(Internet of Things) 또는 IoE(internet of Everything)로 불리는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는 1999년 MIT의 오토 아이디 센터(Auto-ID Center)소장인 애시 톤(Kevin Ashton)이 ‘RFID 및 기타 센서를 일상생활 속 사물에 탑재함으로써 사물인터넷이 구축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최초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르면 사물인터넷이란 일반적으로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 수집, 공유, 활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물인터넷은 기존 유선통신 기반의 인터넷 및 모바일 인터넷보다 한 단계 진화된 형태로, 사람 대 사람, 사람 대 사물, 사물 대 사물로 통신가능 범위가 확대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는 사물 간의 자율적 통신이 가능한 사물지능통신(M2M)2)의 구현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또한 사물인터넷은 M2M의 개념이 무선통신을 넘어 인터넷 구조 전반에 적용됨으로써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들이 상호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된 차세대 인터넷 환경을 의미하기도 한다. 여러 관점을 종합해보면 결국 사물인터넷은 인간과 사물, 서비스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의 인위적인 개입 없이 상호 협력적으로 센싱, 네트워킹, 정보 교환 및 처리 등의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의 공간 연결망이라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을 실현하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로써 Bluetooth, ZigBee, Z-Wave, Wi-Fi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이 많이 고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3GPP에서도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물인터넷 단말 및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화를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 노드들이 사용되어 사물인터넷의 단말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이들 사물인터넷 단말을 통해 수집되는 정보는 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사물인터넷 단말에서 수집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함에 있어서 게이트웨이에 극심한 부하를 주는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며 이는 단대단 데이터 송신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버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부하를 조절하는 부하 관리기능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요구에 호응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되는 패킷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게이트웨이로 부하가 집중되는 경우 특정 게이트웨이와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을 복제 게이트웨이로 선택하여 복제 게이트웨이로 패킷 부하를 분산시키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로 분산 정책 또는 복귀 정책을 송신하여 센서 노드가 특정 게이트웨이로 집중하여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하의 분산 제어 방법은 센서 노드들이 접속되어 있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센서 노드들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의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패킷의 부하 정보를 상한 임계값 또는 하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패킷의 부하 정보가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게이트웨이와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하는 단계와, 복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로 분산 정책을 송신하고 분산 정책에 따라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을 복제 게이트웨이로 분산 접속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패킷의 부하 정보는 게이트웨이에서 분산 제어 서버로 송신되는 패킷이 송신 전 대기열(quene)에 대기하는 시간 정보이며, 복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는 분산 정책을 센서 노드들로 송신하며, 센서 노드들은 분산 정책에 따라 복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로 분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제어 방법에서 센서 노드는 분산 제어 서버로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분산 정책에 따라 센서 노드가 게이트웨이와 복제 게이트웨이 중 접속할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을 분산 제어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은 분산 제어 서버에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기적으로 패킷의 부하 정보를 수신하며, 패킷의 부하 정보가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복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로 복귀 정책을 송신하고 복귀 정책에 따라 복제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을 게이트웨이로 접속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복제 게이트웨이와 게이트웨이는 복귀 정책을 센서 노드들로 송신하며, 센서 노드들은 복귀 정책에 따라 게이트웨이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서 패킷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은 게이트웨이로 송신되는 패킷의 패킷 부하 정보를 고려하여 특정 게이트웨이로 부하가 집중되는 경우 특정 게이트웨이와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을 복제 게이트웨이로 선택하여 복제 게이트웨이로 패킷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써, 특정 게이트웨이에 부하가 집중되어 패킷 송신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은 센서 노드로 분산 정책 또는 복귀 정책을 송신함으로써, 센서 노드가 특정 게이트웨이로 집중하여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로 집중되는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oneM2M 표준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제어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정책을 송신 후 게이트웨이의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성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로 집중되는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저전력 광역통신망(LPWAN)에는 다수의 센서 노드(10)이 존재하며, 센서 노드(10)들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센싱 데이터를 저전력 광역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20)로 송신한다. 게이트웨이(20)는 네트워크(50)를 통해 관리 서버(미도시)로 송신하거나 별도의 클라우드 서버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한다.
통상의 무선 광역통신망은 스마트 폰 등으로 사람이 음성, 영상,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얘기한다. 3G, 4G망 등이 그 주요 예이다. 그러나 저전력 광역통신망은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들을 위한 이동통신망이라 할 수 있다.
저전력 광영통신망은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등에 사용하는 BLE, 지그비 등 짧은 거리를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적용할 경우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스마트 홈 게이트웨이, 스마트 폰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나 저전력 광역통신망을 통할 경우에는 사용자 영역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할 수가 있다. 주로 많은 수의 디바이스들이 필요한 옥외 응용 분야에서 더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웨이(20)의 주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30)는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50)를 통해 분산 제어 서버(1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3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3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는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송수신되는 패킷의 부하 정보, 예를 들어 단위시간 당 트래픽 정보, 송수신 지연율 등을 네트워크(50)를 통해 분산 제어 서버(100)로 송신하는데, 분산 제어 서버(100)는 패킷의 부하 정보를 기설정된 하한 임계값 또는 상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게이트웨이(20)에 집중되어 송수신되는 센서 노드(10)들의 패킷 부하가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게이트웨이(20)에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30)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하고, 게이트웨이(20)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 중 일부를 복제 게이트웨이(30)로 이전 접속시키기 위한 분산 정책을 수행한다.
따라서 센서 노드들 중 일부는 게이트웨이(20)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하며, 나머지 센서 노드들은 복제 게이트웨이(20)로 센싱 데이터를 송신한다.
게이트웨이(20)는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 정보를 분산 제어 서버(100)로 송신하는데, 분산 제어 서버(100)는 패킷의 부하 정보를 하한 임계값 또는 상한 임계값과 비교하여 패킷의 부하가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게이트웨이(20)에 인접하고 있는 또 다른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추가한다. 그러나 패킷의 부하가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복제 게이트웨이(30)에 접속되어 있던 센서 노드와 복제 게이트웨이(30)의 접속을 해제하고 게이트웨이(20)로 접속시키기 위한 복귀 정책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노드, 게이트웨이, 복제 게이트웨이 및 분산 제어 서버는 oneM2M 표준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oneM2M 표준의 인터페이스를 따라 센서 노드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노드(ASN, application service node)으로 동작하며 게이트웨이 또는 복제 게이트웨이는 미들 노드(MN, middle node)로 동작하며, 분산 제어 서버는 인프라스트럭처 노드(IN, infrastructure node)로 동작할 수 있다.
oneM2M은 한국의 TTA를 비롯한 전 세계 7개 주요 표준화 기관(ETSI(유럽), TIA, ATIS(북미), ARIB, TTC(일본), CCSA(중국))들이 글로벌 사물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표준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2년 7월 결성된 파트너십 프로젝트(Partnership Project)이다.
2014년 8월 oneM2M에서는 전세계 사물인터넷(IoT/M2M: Internet of Things/Machine to Machine) 서비스 플랫폼 표준을 개발하였는데, 사물인터넷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평적(Horizontal)인 서비스 플랫폼을 지향하여, 산업분야에 특화된 서비스뿐만 아니라 산업분야 간(예, 스마트홈 & 스마트카) 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산 제어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게이트웨이로부터 패킷 부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거나 이동 통신사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 게이트웨이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부하 정보 또는 게이트웨이에 인접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70)에서 저장 관리된다.
비교부(130)는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와 기설정된 상한 임계값 또는 하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판단부(150)로 제공하는데, 판단부(15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가 상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인접한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하여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분산 정책을 수행하며,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가 다시 하한 임계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복제 게이트웨이로 분산 접속되었던 센서 노드들을 게이트웨이로 복귀 접속시키기 위한 복귀 정책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의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게이트웨이로부터 주기적으로 센서 노드들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의 부하 정보를 수신한다(S110). 패킷의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패킷의 부하가 상한 임계값보다 큰지를 판단하는데(S130), 패킷의 부하 정보가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게이트웨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중에서 1개의 이동 단말기를 선택하여 선택한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한다(S150). 바람직하게, 게이트웨이에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중 게이트웨이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게이트웨이에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 중 현재 아이들(idle) 상태인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할 수 있다.
복제 게이트웨이가 설정되는 경우,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던 센서 노드들 중 일부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이동 접속시키기 위한 분산 정책을 수행한다(S170). 바람직하게,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 중 복제 게이트웨이로 이동 접속되는 센서 노드들은 패킷 송신 우선도에 기초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패킷을 송신하거나 긴급 패킷을 송신하는 센서 노드들을 제외하고 우선도가 낮은 패킷을 송신하는 센서 노드들을 복제 게이트웨이로 이동 접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패킷 송신 우선도, 복제 게이트웨이로 이동 접속하여야 하는 센서 노드의 식별자 등의 정보는 분산 정책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분산 정책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로 송신된다. 분산 정책을 수신한 센서 노드들은 분산 정책에 따라 복제 게이트웨이로 이동 접속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정책을 송신 후 게이트웨이의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산 제어 서버는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로부터 패킷 부하 정보를 수신한다(S210).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의 실시간 패킷 부하가 설정된 기간 동안 계속해서 하한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하여(S230), 설정된 기간 동안 계속해서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가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복귀 정책을 수행한다(S250). 복귀 정책은 게이트웨이와 복제 게이트웨이로 송신되며, 게이트웨이와 복제 게이트웨이는 복귀 정책을 다시 각각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로 송신하는데, 복제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은 복귀 정책에 따라 게이트웨이로 재접속하게 된다. 여기서 복귀 정책에는 복제 게이트웨이에서 게이트웨이로 이동 접속하는 센서 노드들의 식별자가 저장되어 있다. 분산 제어 서버는 게이트웨이만을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접속 제어한다(S270).
한편, 설정된 기간 동안 계속해서 게이트웨이의 패킷 부하가 하한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 분산 정책을 그대로 유지한다(S290).
도 6(a)는 분산 제어 정책을 수행하지 않고 게이트웨이만을 통해 패킷을 송신하는 종래 발명에 따른 패킷 송신 지연율과 본원발명에 따른 패킷 송신 지연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6(b)는 분산 제어 정책을 수행하지 않고 게이트웨이만을 통해 패킷을 송신하는 종래 발명에 따른 패킷 처리율과 본원발명에 따른 패킷 처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그래프와 같이 본원발명은 종래 발명과 비교하여 패킷 송신 지연율과 처리율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센서 노드 20: 게이트웨이
30: 이동 단말기 50: 네트워크
100: 분산 제어 서버 110: 송수신부
130: 비교부 150: 판단부
170: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3)

  1. 분산 제어 서버에서 센서 노드들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 노드들이 접속되어 있는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센서 노드들이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송수신하는 패킷의 부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패킷의 부하 정보를 상한 임계값 또는 하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패킷의 부하 정보가 상기 상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와 인접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복제 게이트웨이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 분산 정책을 송신하고 상기 분산 정책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을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로 분산 접속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패킷의 부하 정보는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상기 분산 제어 서버로 송신되는 패킷이 송신 전 대기열(quene)에 대기하는 시간 정보이며,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분산 정책을 상기 센서 노드들로 송신하며,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기 분산 정책에 따라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 분산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산 제어 방법에서
    상기 센서 노드는 상기 분산 제어 서버로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분산 정책에 따라 상기 센서 노드가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 중 접속할 게이트웨이를 선택하고, 선택한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패킷을 상기 분산 제어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분산 제어 방법은
    상기 분산 제어 서버에서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주기적으로 패킷의 부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패킷의 부하 정보가 상기 하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로 복귀 정책을 송신하고 상기 복귀 정책에 따라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에 접속되어 있는 센서 노드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접속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제 게이트웨이와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복귀 정책을 상기 센서 노드들로 송신하며, 상기 센서 노드들은 상기 복귀 정책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분산 제어 방법.
KR1020160175763A 2016-12-21 2016-12-21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KR20180072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63A KR20180072319A (ko) 2016-12-21 2016-12-21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63A KR20180072319A (ko) 2016-12-21 2016-12-21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319A true KR20180072319A (ko) 2018-06-29

Family

ID=6278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63A KR20180072319A (ko) 2016-12-21 2016-12-21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3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0204A (zh) * 2018-07-17 2018-12-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用于网关的数据处理方法、网关组件和传感器网络
EP3869737A4 (en) * 2018-11-09 2021-11-24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GATEWAY COLLABORATION, IOT GATEWAYS AND STORAGE MEDIUM
KR20220049322A (ko) * 2020-10-14 2022-04-21 (주)성일이노텍 e-IoT 게이트웨이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0204A (zh) * 2018-07-17 2018-12-1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用于网关的数据处理方法、网关组件和传感器网络
EP3869737A4 (en) * 2018-11-09 2021-11-24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GATEWAY COLLABORATION, IOT GATEWAYS AND STORAGE MEDIUM
US11528167B2 (en) 2018-11-09 2022-12-13 Zte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gateway cooperation, IoT gateway and storage medium
KR20220049322A (ko) * 2020-10-14 2022-04-21 (주)성일이노텍 e-IoT 게이트웨이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422B2 (en) Adaptable radio access network
Panwar et al. A survey on 5G: The next gener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Hung et al. Architecture harmonization between cloud radio access networks and fog networks
US11223976B2 (en) Multiple-slice application delivery based on network slice associations
US11445515B2 (en) Network slice selection based on requested service
WO2016184273A1 (zh) 中继选择及发现的方法、装置及系统
JP747765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ービス品質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071984B1 (en) Modifying a data flow mechanism variabl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8282821B (zh) 一种物联网通信中面向巨连接的基于分组的拥塞控制接入方法
US1110269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over with dynamic quality of service (QoS) in a 5th generation (5G) network
KR20220044341A (ko) 보안 보호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Liu et al. QoS-aware resource management for multimedia traffic report systems over LTE-A
EP292233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adio bearer control
Lottermann et al. LTE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KR20180072319A (ko)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의 부하를 분산 제어하는 방법
CN116112946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KR20140117830A (ko) 중첩된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향상하기 위한 복수개 셀 선택 및 데이터 분산 전송 방법
Huq et al. On the benefits of clustered capillary networks for congestion control in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ver LTE
Zhao et al. Dynamic and non-centric networking approach using virtual gateway platforms for low power wide area systems
JP2007028234A (ja) 無線lanシステム
US924681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traffic flow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22151431A1 (zh) 通信方法及装置
EP3114868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connectivity for a service
JP2017515322A (ja) Epsベアラ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無線装置、無線基地局および第2の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9307471B1 (en) Selecting an access node for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