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204A -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204A
KR20180072204A KR1020160175522A KR20160175522A KR20180072204A KR 20180072204 A KR20180072204 A KR 20180072204A KR 1020160175522 A KR1020160175522 A KR 1020160175522A KR 20160175522 A KR20160175522 A KR 20160175522A KR 20180072204 A KR20180072204 A KR 2018007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lity
quality measurement
measurement result
measuring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지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지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지에스피
Priority to KR102016017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204A/ko
Publication of KR2018007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개체의 외관이나 물성을 기준으로 해당 개체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해당 곡물 개체가 속하는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를 그 개체의 선별 기준을 조정하는데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별 대상물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1 측정 수단과, 그 선별 대상물 각각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2 측정 수단과, 제1 측정수단으로부터 대상물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고, 제 2 측정 수단으로부터 선별 대상물 각각의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여, 그 대상물 각각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개별 대상물에 외력을 가하여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색채선별기에 대한 제어가 좀 더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출하되는 쌀의 품질 등급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거나 생산 수율이 불필요하게 하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쌀의 품질 등급 표시를 좀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A method and an apparatus using the result of collective quality measurement as selection criteria of a bulk of grains}
본 발명은 카메라 영상이나 적외선 반응 신호 등을 입력하여 대상 곡물의 품질을 판정하여 선별하는 선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곡물 개체의 외관이나 물성을 기준으로 해당 개체를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해당 곡물 개체가 속하는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를 그 개체의 선별 기준을 조정하는데 사용하도록 하여 과도하게 수율이 떨어지지 않게 하면서 원하는 품질 등급의 곡물 군집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입쌀에 대한 관세화 유예가 종료된 이후에는 관세화를 통한 쌀시장의 전면 개방이 불가피하여, 쌀 시장에서 국내 및 수입쌀이 함께 유통됨에 따라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쌀 생산량의 약 2/3을 가공하는 미곡종합처리장들은 수입쌀과 차별화되는 고품질의 쌀을 생산하여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품질이 좋고 나쁨을 판별하는 측정 장치의 신뢰도가 낮아 생산자는 품질 등급 표시를 꺼리게 되고, 소비자들은 품질 표시 또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하지 못하게 되어 품질에 따른 가격 차등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 현재 쌀 유통시장의 현실이다.
고품질 쌀은 낟알이 충실하고 이물이 없고 적당한 함수율과 껍질 층을 완전히 제거하여 투명도와 윤기가 뛰어나며, 고유 향미가 많은 나는 쌀 또는 성분 기준이 적정한 쌀로 정의할 수 있다. 쌀의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는 외형 및 성분으로, 투명도, 윤기(광택), 백도, 함수율, 성분(단백질, 아밀로스 등), 외형(정립, 싸라기, 피해립 등)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 인자는 밥맛과의 상관관계도 매우 높다.
정부 당국은 쌀의 품질에 대하여 기준을 정하고 기준에 따라 판정된 품질 등급을 쌀 용기나 포장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표 1은 현재 고시되고 있는 쌀 등급 표시 기준이다.
항목 수분 싸라기 분상질립 피해립 열손립 기타이물
16% 3% 2% 1% 0% 0.1%
16% 7% 6% 2% 0% 0.3%
보통 16% 20% 10% 4% 0.1% 0.6%
현재의 표시 기준을 보면, 성분관련 표시는 수분 함량 이외에는 의무사항이 아니며 외형에 관련된 4개의 기준과 이물질 관련 1개의 기준이 있는데 이 기준에 따라 쌀 용기나 포장에 특, 상, 보통, 등외 4가지 가운데 어느 하나를 반드시 표시하도록 하게 되었다.
기존의 색채선별기가 외형과 관련된 판별을 하고 있고, 미곡종합처리장(Rice Processing Complex)에서 포장 공정 직전에 색채선별기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색채선별기에 품질 판정과 관련된 기능을 부가하게 된다면 출하되는 쌀에 대한 등급표시를 좀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색채선별장치는 낙하 배출되는 쌀, 현미, 찹쌀, 흑미, 기장, 보리, 밀, 콩 등의 곡물에 포함된 이물질, 이를테면 불량 곡물, 뉘, 썩은 것, 풀씨, 검불, 착색립, 모래, 합성수지나 유리 등을 판별해 분리하는 미곡종합처리장(Rice Processing Complex) 기기로, 곡물 또는 곡립(穀粒)을 CCD 카메라로 이미지 촬영한 후 색채 및/또는 명암 판별을 통해 양품과 이물질(불량품을 포함한다)로 구분한 다음 이물질은 고압공기를 순간적으로 분사시켜 분리 제거함으로써 양품과 불량품으로 선별처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색채선별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선별대상 곡물 또는 곡립(穀粒)이 투입되는 투입호퍼(2)와, 상기 투입호퍼(2)로부터 배출되는 곡물(10)을 진동시켜 소정 폭의 배출 슈트(3) 전체면으로 골고루 펼쳐주는 진동부 및 진동자(4)와, 상기 배출 슈트(3)를 따라 투명유리(14)(15) 사이로 자유 낙하(활강)하는 곡물(10)로 빛을 투과 및 반사시키는 광원(5)과, 상기 광원(5)에 의해 반사되는 곡립을 고속으로 라인 스캔하여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좌우 한 쌍의 CCD 카메라(CCD Camera)(6)(6a)와, 상기 CCD 카메라(6)(6a)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비교 판단하여 양품과 이물질(불량곡물을 포함한다)을 판정한 다음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신호를 출력하면서 전체 시스템을 제어(곡물, 운전조건, 환경)하는 제어기(7)와, 상기 제어기(7)로부터 출력되는 이물질 제거신호에 의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순간적으로 분사시켜 이물질을 분리 배출시키는 분사노즐(8) 및 매니폴더(9)와, 선별 배출되는 양품(10a)과 이물질(10b) 및 선별과정에서 발생되는 낙곡(落穀)(10c)의 배출 및 이동을 각각 안내하는 안내슈트(11)(12)(13)와, 이물질을 분사시켜 선별할 수 있게 상기 매니폴더(9)와 분사노즐(8)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17)로 구성되며, 상기 매니폴더(9)에 설치되는 이젝터 밸브(16)는 고압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기로(氣路)를 순간적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즉, 이물질 제거신호에 따라, 상기 이젝터 밸브(16)가 순간적으로 개방되면 압축공기가 분사노즐(8)로 공급되어 순간적으로 고압 분사되면서 해당 이물질(10b)을 정상 배출로 로부터 분리 이탈시키게 되며, 분리 이탈된 상기 이물질(10b)은 자유 낙하하여 안내슈트(11)로 배출되고, 양품(10a)은 다른 안내슈트(12)로 배출되고, 배출슈트(3)를 이탈하여 낙하하는 낙곡(落穀)(10c)은 또 다른 안내슈트(13)로 배출되어 버킷 컨베이어 또는 고속 공기관 등의 이송수단을 통하여 투입호퍼(2)로 회수된 다음 재차 색채 선별된다.
그러나 영상이나 적외선 반응 신호 등을 기준으로 개별 곡물의 선별을 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선별기준으로 선별장치가 작동되므로 상기 개별 곡물들이 모여 군집을 이루는 최종 상품이 원하는 품질 등급을 가지지 못하여 상품 가치가 떨어지는 경우나, 너무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 불량품으로 판정되어 제거되는 양이 증가하여 수율이 떨어지는 경우 이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선별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경제적으로 품질 판정을 할 수 있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특허 제10-1249472호 일본특허 제55908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종래의 색채선별기는 슈트를 통과하여 낙하하는 소형 입상물의 영상을 스캔하여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하고, 불량품인 경우 즉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선별하여 냄으로써 기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종래의 색채선별기에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품질 기준에 따라 개별 곡물을 선별하므로 그 설정 기준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수율이 떨어지거나 최종 상품의 품질 등급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그 기준을 조정하는 것은 번거롭고 정확하지도 않은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색채선별기에서 선별 대상물의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선별 대상물 각각의 양품 불량품 판정의 기준을 수정하도록 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발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 장치는 선별 대상물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1 측정 수단과, 그 선별 대상물 각각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2 측정 수단과, 제1 측정수단으로부터 대상물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고, 제 2 측정 수단으로부터 선별 대상물 각각의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여, 그 대상물 각각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개별 대상물에 외력을 가하여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제 1 측정 수단이 상기 제어부와 동일한 하우징 안에 설치되도록 하고, 특히 상기 제2 측정 수단이 대상물이 낙하하는 제2 슈트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정 수단은 상기 제2 슈트와 병렬로 설치되는 제 1 슈트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제1 측정 수단이 적외선 센서와 적외선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제2 측정 수단이 카메라와 영상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대상물 군집 품질 측정 결과가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을 종합한 품질 판정 결과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선별 장치는 상기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선별 대상물 각각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물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은 대상물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1 측정 수단 및 개별 대상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2 측정 수단과 신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정수단 및 제2 측정 수단으로부터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대상물을 제거하라는 명령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측정 수단과의 신호 연결은 무선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대상물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의 입력을 2 이상의 항목으로 하도록 하고, 상기 2 이상의 항목에 대한 종합 판정을 포함하여 입력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 방법은 제1 측정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기준 조정에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제2 품질 측정 수단의 품질 측정 결과와 그 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대부분의 미곡종합처리장(RPC)에서 최종 포장단계 이전에 사용되고 있는 색채선별기에 대한 제어가 좀 더 정교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출하되는 쌀의 품질 등급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거나 생산 수율이 불필요하게 하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쌀의 품질 등급 표시를 좀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선별 대상물인 미곡 일정량의 군집 품질을 측정하여 이 측정 결과를 가지고 색채선별기의 선별기준을 조정하고, 표 1에서 나타낸 싸라기, 분상질립, 피해립, 열손립의 비율과 같은 군집 품질의 각 항목에 대하여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항목에 대하여 그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기준을 상향 조정하여 품질을 관리하고, 한도에 훨씬 못 미치는 항목에 대하여는 그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기준을 하향 조정하여 수율을 높이는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색채선별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별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대상 곡물(10) 각각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6) 또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22)와 그 영상 또는 적외선 신호를 입력받아 그 대상물(10)의 개별 품질을 측정하는 제2 품질측정수단(31)과 그 측정 결과를 입력받아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그 대상물이 양품(10a)인지 불량(10b)인지를 판별하여 불량인 경우 노즐(8)을 가동하여 불량 곡물을 솎아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와 상기 선별 대상 곡물(10) 알갱이가 모인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1 품질측정수단(30)과 그 측정 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정해진 기준을 조정하도록 하는 제어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품질측정수단(30)은 선별 대상물(10)의 무더기를 측정하거나 각각을 측정하여 누적하거나 평균을 산정하여 대상물 군집의 품질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양품(10a)으로 선별된 대상물(10)을 측정하거나 색채 선별기의 슈트(3)에 투입되기 전의 대상물을 각각 또는 무더기로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품질측정수단(31)으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똑같이 받아서 각각의 대상물에 대하여 품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누적하거나 평균을 내거나 하는 연산을 하여 군집 품질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개별 선별 대상물(10)이 슈트(3)의 끝에서 낙하하여 카메라(6) 또는 적외선 센서(22)로 포착되는 때로부터 노즐(8)앞을 통과하기 전까지의 굉장히 짧은 시간 동안 양품인지 불량인지 판정되고 노즐이 동작되어 불량품이 제거 될 수 있게 굉장히 빠르게 측정하는 속성을 가진 제2 품질측정수단(31)과 그런 선별 대상물을 모아서 포장하기 전까지 조금은 시간 여유를 가지고 그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1 품질측정수단(30)은 동일한 입력신호를 받더라도 그 신호 처리 방식이 다를 수밖에 없다.
제1 품질측정수단(30)은 표 1에서 나타낸 싸라기, 분상질립, 피해립, 열손립의 백분율과 같은 항목은 통상 카메라(6)과 같은 영상 장비를 통하여 영상신호를 입력하고 이미지 프로세싱을 함으로써 측정하고, 수분함량이나 기타이물 함유 정도와 같은 항목은 통상 적외선 센서(22)와 같은 측정 장비를 통하여 적외선의 투과 또는 반사의 양이나, 파형의 위상 변화 등의 신호 변화 정도를 관측하여 측정함으로써, 군집 품질의 각 항목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 표 1에서 나타낸 특, 상, 보통 과 같은 종합 품질 판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품질측정수단(30)은 제어부(7)로 군집 품질 측정결과를 보낼 때 종합 품질 판정 결과만 보내는 것이 아니라, 수분함량이나, 싸라기, 분상질립의 함유 비율과 같은 항목별 품질 측정 결과를 일부 또는 전부 보낼 수 있다.
제어부(7)는 제1 품질측정수단(30)으로부터 상기 군집 품질 측정결과를 받게 되면, 이를 그 대상물(10) 각각의 선별에 사용되는 품질 기준을 올리거나 내리는 조정을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사용하지 않게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선별장치 제어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선별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제1 품질측정수단(30) 또는 상기 제2 품질측정수단(31)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신호 연결 단계(S120)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제1 품질측정수단(30)으로부터 군집 품질 측정결과를 입력하는 단계(S210)와, 그 군집 품질 측정결과가 원하는 품질인지 판정하는 단계(S220)와, 그 군집 품질 측정결과가 원하는 품질이 아닌 경우 선별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단계(S230)와, 상기 제2 품질측정수단(31)으로부터 개별 품질 측정결과를 입력하는 단계(S310)와, 그 개별 품질 측정결과가 선별 기준을 통과하는지 판정하는 단계(S320)와, 그 개별 품질 측정결과가 선별 기준을 통과하는지 못하는 경우 상기 노즐(8)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해당 대상물의 제거를 명령하는 단계(S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계들 가운데 설정이나 연결 단계(S110, S120)는 선별장치가 작동을 시작하는 단계에 한번 수행되는 것이고, 군집 품질 측정결과를 입력한 다음 선별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단계까지(S210, S220, S230)는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며, 개별 품질 측정결과를 입력한 다음 해당 대상물의 제거를 명령하는 단계까지(S310, S320, S330)는 슈트를 통과하는 곡물(10)의 수만큼 많이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 품질 측정 수단(30)과 상기 제어부(7)이 하나의 선별장치 안에 함께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신호연결을 유선으로 할 경우 회선 연결이 복잡해질 수 있고, 상기 제2 품질 측정 수단(30)과 상기 제어부(7) 사이처럼 하나의 선별장치 안에 함께 설치되어 있고 많은 신호가 손실 없이 전달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므로, 그 신호 연결은 무선랜(wireless LAN)이나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 연결로 되어도 좋을 것이다.
상기 제1 품질측정수단(30)으로부터 군집 품질 측정결과를 입력하는 단계(S210)에서, 수분함량이나, 싸라기, 분상질립의 함유 비율과 같은 항목별 품질 측정 결과를 하나 또는 여러 항목을 입력 하도록 하고, 그 항목별로 개별 대상물 선별 기준을 조정하도록 하면 편리할 것이다. 예를 들면, 수분 함량이 16% 이상으로 종합 품질 등급이 '등외'가 될 경우에는 선별기의 선별 기준 보다는 대상물을 별도로 건조시키는 조치를 하는 것이고, 싸라기나 분상질립의 함유 비율이 높아서 종합 품질 등급이 낮아진 경우에는 외관 품질의 양품 판정 기준을 높이거나 쌀알의 크기 기준을 더 엄격하게 적용하여 선별하면 해당 항목의 품질이 개선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항목의 품질이 기준보다 월등히 우수하다면 그 항목에 대한 선별 기준을 하향 조정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조절하면 양품 수율이 올라가게 되어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 방법은 제1 품질 측정 수단(30)으로부터 입력된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기준 조정에 사용하지 않고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제2 품질 측정 수단(31)의 품질 측정 결과와 그 기준을 비교하여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선별 대상물인 미곡 일정량의 군집 품질을 측정하여 이 측정 결과를 가지고 색채선별기의 선별 대상물의 개별 품질에 대한 선별기준을 조정하여 선별 결과물의 품질을 높이거나, 양품의 수율을 높이는 품질관리가 될 수 있게 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곡물 색채선별기
(2)--호퍼 (3)--슈트
(4)--진동부 (5)--광원
(6)--CCD 카메라 (7)--제어부
(8)--노즐 (9)--매니폴더
(10)--곡물 (10a)--양품
(10b)--불량품 (10c)--낙곡
(11)(12)(13)--하부 슈트 (14)(15)--투명창
(16)--이젝터 밸브 (17)--공기압축기
(18)(19)--케이스 (20)--피더
(22)--적외선 센서
(30)--제1 품질측정수단 (31)--제2 품질측정수단

Claims (15)

  1. 선별 대상물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1 측정 수단과,
    상기 선별 대상물 각각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 2 측정 수단과,
    상기 제1 측정수단으로부터 대상물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고, 상기 제 2 측정 수단으로부터 개별 대상물의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개별 대상물에 외력을 가하여 선별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 수단은 상기 제어부와 동일한 하우징 안에 설치되는 선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수단은 대상물이 낙하하는 제2 슈트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측정 수단은 상기 제2 슈트와 병렬로 설치되는 제 1슈트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는 선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수단은 적외선 센서와 적외선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수단은 카메라와 영상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군집 품질 측정 결과는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군집 품질 측정 결과는 상기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을 종합한 품질 판정 결과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
  9. 대상물 군집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1 측정 수단 및 개별 대상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제2 측정 수단과 신호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측정수단 및 제2 측정 수단으로부터 품질 측정 결과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대상물을 제거하라는 명령을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수단과의 신호 연결은 무선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의 입력은 2 이상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의 입력은 상기 2 이상의 항목에 대한 종합 판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품질 측정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품질 측정 수단의 품질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상기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품질 측정 수단의 대상물 군집의 품질 측정 결과에 따라 개별 대상물이 선별 대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기준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별장치에서의 제어 방법.
KR1020160175522A 2016-12-21 2016-12-21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KR20180072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22A KR20180072204A (ko) 2016-12-21 2016-12-21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22A KR20180072204A (ko) 2016-12-21 2016-12-21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04A true KR20180072204A (ko) 2018-06-29

Family

ID=6278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522A KR20180072204A (ko) 2016-12-21 2016-12-21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829A (zh) * 2018-12-26 2019-04-26 安徽宏实光机电高科有限公司 一种转接布料装置及其藻类色选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861A (en) 1978-12-28 1980-07-09 Fujitsu Ltd High-frequency coaxial probe
KR101249472B1 (ko) 2011-07-12 2013-04-01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풀 컬러 엘이디를 이용한 곡물 색채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0861A (en) 1978-12-28 1980-07-09 Fujitsu Ltd High-frequency coaxial probe
KR101249472B1 (ko) 2011-07-12 2013-04-01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풀 컬러 엘이디를 이용한 곡물 색채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829A (zh) * 2018-12-26 2019-04-26 安徽宏实光机电高科有限公司 一种转接布料装置及其藻类色选机
CN109675829B (zh) * 2018-12-26 2021-07-27 安徽宏实光机电高科有限公司 一种转接布料装置及其藻类色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7015B (zh) 色彩甄选机
US4513868A (en) Sorting machine
CA2140185C (en) Integrated food sorting and analysis apparatus
CN100580433C (zh) 具有显示控制设备的颗粒颜色分选装置
US20090050540A1 (en) Optical grain sorter
US9446434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pattern recognition
CN201229307Y (zh) 一种新型烟包装智能检测装置
JP2013515248A (ja) 揺動可能な生成物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180072204A (ko) 곡물의 군집 품질 측정 결과를 선별 기준으로 하는 선별 장치 및 방법
KR20180072211A (ko) 적외선을 이용하는 곡물 선별 및 품질 측정 장치
CN203426068U (zh) 一种中药材色选机
KR20180072195A (ko) 수평 이송 후 낙하하는 곡물의 영상을 이용한 품질 판정 장치
GB2091415A (en) Sorting Objects
KR101919748B1 (ko) 품위판정유닛이 구비된 색채선별장치
CN211463969U (zh) 新鲜带皮莲子色选机
KR102198917B1 (ko) 곡립 등급 판정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72218A (ko) 곡물 군집의 품질판정을 겸하는 선별장치
JP2013017918A (ja) 光学式選別機
WO2021121314A1 (zh) 用于食品自动贩卖机的控制装置及方法
US5407082A (en) Automatic ejector rate normalizer using multiple trip levels established in a master channel
JPH10216650A (ja) 粒状物色彩選別機および粒状物色彩選別機の制御方法
WO2022254936A1 (ja) 光学式選別機、選別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光学式選別機を用いた被選別物の選別について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H07290542A (ja) 成形品の自動制御システム
JP2006231110A (ja) 粒状物色彩選別機の選別結果保存機構
WO2021124664A1 (ja) 粒状物の検出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光学式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