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431A - Earphone unit - Google Patents

Earphon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431A
KR20180071431A KR1020160159262A KR20160159262A KR20180071431A KR 20180071431 A KR20180071431 A KR 20180071431A KR 1020160159262 A KR1020160159262 A KR 1020160159262A KR 20160159262 A KR20160159262 A KR 20160159262A KR 20180071431 A KR20180071431 A KR 2018007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ain body
microphone
louver
loud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92263B1 (en
Inventor
성현모
이광일
최성일
김종두
김재근
안용훈
Original Assignee
이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63B1/en
Publication of KR2018007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4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uni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arphone unit capable of preventing an external noise from entering through a speaker and a microphone by shield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earphone unit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nd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 speaker shielding member shielding the speaker while wrapping from the outside, transmitting a signal outputted from the speaker in a desired direction, and having one side thereof open to allow the speaker to be inserted; a microphon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and configured to convert a voice signal of a user to an electric signal; a main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on of the speaker,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and the microphone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and configured to shield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from the outside; a louv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the ear of a user, and configured to hold the main body to be in close contact inside the ear of a user;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configured to prevent the speaker and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which ar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from escaping the insertion groov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ous effect in that external noise entering through the speaker is double-shielded by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and the main body, and the microphone is shielded by the main body, and thus the external noise entering through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is blocked to protect sound quality from being degraded by the external noise.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nefit in miniaturizing the earphone unit by modularizing the speaker, the microphone, the main body, the louver, and the cover member.

Description

이어폰 유닛{Earphone unit}Earphone unit

본 발명은 이어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와 마이크를 차폐시킴으로써 외부 소음이 스피커와 마이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와 이어폰을 포함하는 이어폰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arphone unit including a microphone and an earphone that can prevent external noises from being introduced into a microphone by shield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9981호에 기재된 배경기술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이어마이크로폰은 일반적인 이어폰과 같이 음향의 청취와 통신을 위해 음향기기나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에 결합된 형태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0002] Referring to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149981, an ear ear microphone is generally used as an earphone in the form of being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ound device or a mobile phone for listening and communicating with a sound, will be.

도 1에는 종래 이어마이크로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어마이크로폰은 외부 기기(1)와 결합되는 커넥터(10) 및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는 본체(20)로 구성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ventional microphone.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includes a connector 10 to be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1 and a main body 20 to be worn on a user's ear .

상기 본체(20)는 사용자의 귀속으로 들어가도록 된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귀와 대향되는 면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2)와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커넥터(10)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23)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20 has a shape adapted to be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a speaker 22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a voi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user's ear canal are converted into electric signals on a surface facing the user's ear, And a microphone (23) for outputting the signal to the microphone (10).

그러나, 종래의 이어마이크로폰의 경우 외부 잡음이 이어마이크로폰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외부 잡음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음성 신호에 포함되어 음질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ear microphone,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earphone microphone, so that the external noise is included in a voice signal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reby deteriorating sound qua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스피커를 스피커 차폐부재와 메인 바디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차폐시키고 마이크를 메인 바디를 이용하여 차폐시켜 외부 잡음에 의해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crophone and a microphone which are shielded by using a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and a main body and shielded by a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차폐시키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며, 일측은 개구되고 개구된 일측으로 상기 스피커가 삽입되는 스피커 차폐부재;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 및 상기 마이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를 외측에서 차폐시키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타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귀 속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바디를 사용자의 귀 속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루버;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가 상기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이어폰 유닛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aker apparatus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nd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the loudspeaker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udspeaker in a desired direction, the loudspeaker being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udspeaker; A microphon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 main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the speaker shield member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microphone is inserted, and shield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from the outside; A louve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fixing the main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preventing the speaker and the speaker shield membe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스피커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스피커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ear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loudspeaker is inserted may be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udspeaker .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스피커 차페부재의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는 상기 전달홀의 일단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speaker shielding member may include a transmis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and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helical member, and one end of the transmis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It can be formed obliquely.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밀폐된 일측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피커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개구된 타측의 둘레면 내측에는 상기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speaker is passed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aled one side and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peaker passes may be formed, A thread mounted on the main body may be formed.

상기 메인 바디의 삽입홈 둘레면 외측에는 상기 나사산이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바디의 타측에는 상기 루버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루버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uver may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otrude outwardly. The louver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 mounting groove on which the louver is mounted may be formed.

상기 루버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루버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루버는 실리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루버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돌기가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louver may have a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louver. The louver may have a silicone material. At one end of the louver, a mounting protrusion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유닛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의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피커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ear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peaker and the cover member to buffer one end of the speaker from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connected electric wire penetrates can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유닛은 스피커로 유입되는 외부 잡음을 스피커 차폐부재와 메인 바디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차폐시키고, 마이크를 메인 바디를 이용하여 차폐시킴으로써 외부 잡음이 스피커와 마이크로 유입되는 차단하여 외부 잡음에 의해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피커, 마이크, 메인 바디, 루버, 커버부재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earphon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ields the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speaker by using the speaker shield member and the main body and shields the microphone by us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external noise is blocked by the micr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 quality from being lowered and to miniaturize the speaker, the microphone, the main body, the louver and the cover member by modularizing them.

도 1은 종래 이어마이크로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메인 바디에 커버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커버부재가 메인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루버가 메인 바디의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icrophon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arpho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Fig. 2.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ver membe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FIG. 2. FI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shown in FIG. 2 is coupled to the main body.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uver shown in FIG. 2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 유닛(100)은 스피커(110)와, 스피커 차폐부재(120)와, 마이크(130)와, 메인 바디(140)와, 루버(150)와, 커버부재(160)를 포함하며, 완충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7, an earphon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110, a speaker shield member 120, a microphone 130, a main body 140, (150), and a cover member (160), and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170).

상기 스피커(110)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110)에는 외부의 PCB 및 배터리와 연결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무선방식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선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11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peaker 110 outputs an acoustic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The speaker 1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CB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battery. However, when a wireless system is used, the electric wire may be omitted, and the speaker 110 is generally and not described in detail do.

상기 스피커(110)는 스피커 차폐부재(120)에 의해 1차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는 상기 스피커(110)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상기 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loudspeaker 110 is primarily shielded by a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120.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120 surrounds the loudspeaker 110 and shields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udspeaker 110 in a desired direction .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스피커(110)가 삽입되는 삽입부(12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는 상기 스피커(110)를 외부에서 감싸 상기 스피커(110)를 차폐시키고, 상기 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11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122)의 둘레면에는 상기 삽입부(122)로 삽입된 상기 스피커(1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돌기(124)가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sertion portion 122 through which the loudspeaker 110 is inser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120.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120 surrounds the loudspeaker 110, Shields the speaker 110 and transmits a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110 in a desire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the insertion part 122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part 122 to prevent the speaker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part 122 .

상기 방지돌기(124)가 상기 삽입부(122)의 둘레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삽입부(122)로 삽입되는 상기 스피커(110)의 일단이 상기 방지돌기(124)에 걸림으로써 상기 스피커(110)가 상기 삽입부(1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는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게 된다.The protrusion 124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22 so that one end of the speaker 1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2 is caught by the protrusion 124, The insertion portion 122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122.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120 preferably has a polycarbonate (PC) material. The polycarbonate is a kind of thermoplastic plastic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self-extinguishing property and transparency,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formed of the polycarbonate material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workability.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122)와 연통되는 절달홀(126)이 구비되고, 상기 전달홀(126)은 상기 삽입부(122)로 삽입된 상기 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의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삽입부(122)와 연통되는 상기 전달홀(126)의 일단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달홀(126)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응집시킨 후 상기 스피커 차페부재(120)의 외측으로 연결된 상기 전달홀(126)의 타측을 통해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includes a folding hole 126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122 and the transmission hole 126 is formed in the speaker 11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22 And transmits the output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One end of the transmission hole 126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122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The transmission hole 126 is inclined to one side so that th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110 is concentrat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transmission hole 126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cage member 120 do.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의 타측에는 마이크(130)가 구비되며, 상기 마이크(13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의 타측에는 상기 마이크(130)가 장착되는 별도의 장착홈(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의 둘레면 일측에는 상기 마이크(130)에 연결된 전선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140)는 일반적인 것인 것인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마이크(140)가 무선방식인 경우 전선은 생략될 수 있다.A microphone 1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The microphone 130 converts a voice signal of a user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he other side of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130. [ (Not shown) on which the microphone 130 is to be mounted. In addition, a separate fixing groove (not shown) for fixing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microphone 1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is formed. The microphone 140 is a general on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case where the microphone 140 is a wireless type, wires may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피커(110)와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 및 상기 마이크(130)는 메인 바디(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142)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바디(140)는 상기 삽입홈(142)에 삽입된 상기 스피커(110)와 상기 마이크(130)를 외측에서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 바디(140)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emperature polyurethane;TPU)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일반적인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4, the speaker 110, the speaker shield 120, and the microphone 130 are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142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40, and the main body 140 Shields the speaker 110 and the microphone 130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142 from the outside. The main body 140 preferably has a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polyurethane is generally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스피커(110)와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 및 상기 마이크(130)가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142)의 둘레면 외측에는 나사홈(142a)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142a)은 후술되는 커버부재(160)의 나사산(164)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바디(140)와 후술되는 커버부재(160)가 결합되게 된다.A screw groove 142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142 into which the speaker 110, the speaker shield member 120 and the microphone 130 are inserted, The main body 140 and the cover membe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engaged with the threads 164 of the cover member 160.

상기 메인 바디(140)의 타측에는 장착부(14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장착부(144)에는 후술되는 루버(150)가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144)에는 후술되는 루버(150)가 장착되는 장착홈(14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144)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홈(142)와 연통된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미도시)를 통해 상기 스피커(11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 및 음성신호가 상기 메인 바디(140)의 외부로 전달되거나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상기 마이크(130)로 전달되게 된다.A mounting portion 144 protrudes outwar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40. A louver 150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4 and a louver 150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4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groove 144a is formed. A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groove 142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44 and an acoustic signal and a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e main body 140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 or a voice signal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130.

상기 메인 바디(140)의 타측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144)에는 루버(150)가 장착되고, 상기 루버(150)는 사용자의 귀 속에 삽입되며, 상기 루버(150)는 상기 메인 바디(140)를 사용자의 귀 속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ouver 150 is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the louver 150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40. The louver 1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44 of the main body 140, To the user's ear.

상기 루버(150)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루버(150)를 관통하는 관통홀(152)이 형성되고, 상기 루버(150)는 실리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루버(150)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부(144)에 형성된 장착홈(144a)에 장착되는 장착돌기(154)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돌기(154)는 상기 관통홀(152)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uver 150 may have a through hole 152 passing through the louver 150. The louver 150 may be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 mounting protrusion 15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uver 150 and is mounted to a mounting groove 144a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44. The mounting protrusion 154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52 .

상기 루버(150)의 관통홀(152)에 형성된 장착돌기(154)가 상기 메인 바디(140)의 장착부(144)에 형성된 장착홈(144a)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루버(150)가 상기 메인 바디(140)에 간편하게 결합되고, 상기 루버(150)가 실리콘 재질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귀 속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되면서 상기 메인 바디(140)를 사용자의 귀에 장착시키게 된다.A mounting protrusion 154 formed in the through hole 152 of the louver 150 is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44a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44 of the main body 140 so that the louver 150 is fitted to the main body 140 and the louver 150 has a silicone material to firmly attach to the user's ear and attach the main body 140 to the user's ear.

상기 메인 바디(140)의 일측에는 커버부재(160)가 결합되며,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부재(160)는 상기 메인 바디(140)의 삽입홈(14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부재(160)는 상기 메인 바디(140)에 삽입된 상기 스피커(110) 및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가 상기 삽입홈(14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부재(160)는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와 동일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member 16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40 and the cover member 160 may be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142 of the main body 140, The speaker 160 prevents the speaker 110 and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4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42.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member 160 has the same polycarbonate (PC) material as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상기 커버부재(160)의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밀폐된 일측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피커(110)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1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구된 타측의 둘레면 내측에는 상기 메인 바디(140)의 나사홈(142a)에 장착되는 나사산(16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of the cover member 160 is closed and the other side is open. The first through hole 162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speaker 110 is passed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losed side of the cover member 160 And a thread 164 mounted on the threaded groove 142a of the main body 140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pened peripheral surface.

상기 스피커(110)와 상기 커버부재(160)의 사이에는 완충부재(170)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스피커(110)의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16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부재(17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피커(110)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17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부재(170)의 일측 둘레면에는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의 방지돌기(124)에 걸리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재(170)는 상기 스피커(110)의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160)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지만 상기 스피커(110)가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A cushioning member 170 is provided between the speaker 110 and the cover member 160. The cushioning member 170 prevents the one end of the speaker 110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member 160, . A second through hole 172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speaker 110 is formed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170. On one side of the cushioning member 170, (Not shown) to be caught by the preventing protrusion 124 of the base member 120 is formed. The cushioning member 170 may prevent one end of the speaker 110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member 160 but may prevent the speaker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120 .

따라서, 스피커로 유입되는 외부 잡음을 스피커 차폐부재와 메인 바디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차폐시키고, 마이크를 메인 바디를 이용하여 차폐시킴으로써 외부 잡음이 스피커와 마이크로 유입되는 차단하여 외부 잡음에 의해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피커, 마이크, 메인 바디, 루버, 커버부재를 모듈화시킴으로써 소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external noise introduced into the speaker is shielded by using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and the main body, and the microphone is shielded by using the main body, so that the external noise is cut off by the microphone and the sound is reduced by external noise And can be miniaturized by modularizing the speaker, microphone, main body, louver, and cover memb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이어폰 유닛 110 : 스피커
120 : 스피커 차폐부재 130 : 마이크
140 : 메인 바디 150 : 루버
160 : 커버부재 170 : 완충부재
100: earphone unit 110: speaker
120: speaker shielding member 130: microphone
140: main body 150: louver
160: cover member 170: buffer member

Claims (7)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피커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차폐시키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하는 방향으로 전달하며, 일측은 개구되고 개구된 일측으로 상기 스피커가 삽입되는 스피커 차폐부재;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상기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 및 상기 마이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 및 상기 마이크를 외측에서 차폐시키는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타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귀 속에 삽입되며, 상기 메인 바디를 사용자의 귀 속에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루버; 및
상기 메인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바디에 삽입된 상기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가 상기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이어폰 유닛.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and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the loudspeaker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udspeaker in a desired direction, the loudspeaker being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loudspeaker;
A microphon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for converting a user's voice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 main bod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the speaker shield member and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microphone is inserted, and shielding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from the outside;
A louver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a user's ear and fixing the main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ear; And
And a cover memb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preventing the speaker and the speaker shield membe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스피커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스피커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udspeaker shielding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speaker is inserted,
Wherein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prevent the speaker from being detach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차폐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스피커 차페부재의 외부로 전달하는 전달홀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는 상기 전달홀의 일단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유닛.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eaker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and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to the outside of the speaker helical member,
And one end of the transmis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 on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은 밀폐되고 타측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밀폐된 일측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피커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하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개구된 타측의 둘레면 내측에는 상기 메인 바디에 장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어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cover member has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closed and the other side is opened,
Wherein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speaker passes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ealed one side and a thread mounted on the main body is formed inside a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pen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의 삽입홈 둘레면 외측에는 상기 나사산이 결합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타측에는 상기 루버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의 둘레면에는 상기 루버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유닛.
The method of claim 4,
A screw groove to which the thread is coupled is formed out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body,
Wherein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louver is mounted is protruded outwar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mounting groove on which the louver is mounted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내측 중앙부에는 상기 루버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루버는 실리콘 재질을 가지며, 상기 루버의 일단에는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장착돌기가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유닛.
The method of claim 5,
The louver has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louver. The louver has a silicone material. A mounting protrusion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t one end of the louver.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피커의 일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밀착되는 것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피커에 연결된 전선이 관통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어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uf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peaker and the cover member to buffer the one end of the speaker from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member,
And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ire connected to the speaker passes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KR1020160159262A 2016-11-28 2016-11-28 Earphone unit KR1018922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62A KR101892263B1 (en) 2016-11-28 2016-11-28 Earphon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262A KR101892263B1 (en) 2016-11-28 2016-11-28 Earphon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431A true KR20180071431A (en) 2018-06-28
KR101892263B1 KR101892263B1 (en) 2018-10-01

Family

ID=6278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262A KR101892263B1 (en) 2016-11-28 2016-11-28 Earphon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6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263B1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3042C1 (en) Method of modification of device for protection of hearing organs and device for protection of hearing organs
JP5695703B2 (en) Earphone with acoustic tuning mechanism
US9219953B2 (en) Earphone microphone
US9451357B2 (en) Bone transmission earphone
US20090141923A1 (en) Earpiece with attached speaker
US10178464B2 (en) Earpiece
US20100177904A1 (en) Noise Reducing Earphone
KR20200143707A (en) Audio enhancement hearing protection system
US11882408B2 (en) Earpiece with canal microphone, ambient microphone and receiver
ATE530033T1 (en) TWO-PIECE CONNECTOR ASSEMBLY
JP2006517760A (en) Bidirectional au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ffect of reducing external acoustic noise
CN108702560B (en) Sound output device
CN111801950A (en) Wireless earphone
JP6754075B2 (en) earphone
KR20160135473A (en) Earset
KR101892263B1 (en) Earphone unit
JP6863687B2 (en) earphone
CN209845238U (en) Novel bone conduction earphone
CN103069845B (en) Microphone protective device, microphone unit and hearing aids
JP2020043547A (en) Earphone speaker
US11019436B2 (en) Earpiece for a hearing device and a hearing device
CN215871790U (en) IR window assembly and earphone
KR102002529B1 (en) An earphone with a nozzle-integrated speaker unit
JP7239152B2 (en) Insertable Passive Noise Canceling Earbuds
KR200204436Y1 (en) E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