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197A -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197A
KR20180071197A KR1020177027015A KR20177027015A KR20180071197A KR 20180071197 A KR20180071197 A KR 20180071197A KR 1020177027015 A KR1020177027015 A KR 1020177027015A KR 20177027015 A KR20177027015 A KR 20177027015A KR 20180071197 A KR20180071197 A KR 2018007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output
wireless charging
tr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0765B1 (en
Inventor
고소영
유나연
Original Assignee
고소영
유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소영, 유나연 filed Critical 고소영
Publication of KR2018007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1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Abstract

모듈화된 다수의 무선충전 장치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배치 및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기적으로 올바른 연결을 유도하고, 잘못된 연결의 가능성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하나의 입력측면과 복수의 출력측면을 갖는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variously arranging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modularized wireless recharging apparatuses by users and guiding electrically correct connection and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erroneous connection in advance to improve safety and convenience A wireless charging system is disclosed. A wireless recharge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having one input side and a plurality of output sides, a permanent magnet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Wherein whe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one of the two wireless charging tray units and the other one of the output connector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ttract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unting metal,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rts is guided.

Description

다중결합이 가능한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충전 가능한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과 이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 power source of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ireless rechargeable smart phone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ized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nd a wireless re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modular recharging tray unit.

통상적으로 모바일기기 등 충전식 소형 전자기기는 배터리와 연결된 충전용 전원 입력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여기에 충전기 케이블 말단의 출력 단자를 접속시켜 충전기로부터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원 입력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면, 먼지나 수분 등의 외부 이물질이 기기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가 되어 기기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고, 전원 입력 단자 자체도 오염되어 접촉상태가 쉽게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외부로 노출된 전원 입력 단자가 기기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도 많다.Generally, in a rechargeable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device, a charging power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battery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output terminal of the charger cable end is connected to receive power from the charger to the battery. However, when the power in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moisture ar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apparatus, thereby de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Also, the power input terminal itself is contaminated, hav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power input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damages the beauty of the device.

이러한 단자 접촉에 의한 유선 충전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 충전 기술이 제안되었다. 무선 충전 기술(wireless charging technology)은 충전기의 전원 케이블을 전자기기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다. 과거에는 전동 칫솔이나 가정용 무선 전화, 전동 공구 등의 한정적인 용도에 적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기술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A wireless charging technique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wire charging method by the terminal contact.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charges the battery by supplying power wirelessly without connecting the power cable of the charger directly to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past, it has been applied to limited use of electric toothbrushes, home wireless telephones, power tools, and the like, but recently it has become a technology capable of conveniently charging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있는 무선 충전 기술로는 전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충전기 내부의 송전 코일로 전력을 공급하고, 그와 수mm 이내의 근거리에 있는 배터리측 수전 코일에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의 중심이 정렬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으나 그 충전 효율이 유선 충전 방식 대비 90% 수준에 이른다. 자기 공명 방식은 자기장의 공진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나 발생되는 전자기파의 인체 유해성에 관한 논란이 있다.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magnetic resonance techniques are known as wireless charging technologies currently in commercializatio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a method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transmission coil inside the charger and charging the battery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side receiving coil within a few millimeters within a few millimeters. The center of the transmission coil and the receiving coil must be aligned However, the charging efficiency is about 90% of the wired charging method.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utilizes the resonance phenomenon of the magnetic field. Although it can be charged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human harmfulness of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wave.

전술한 전자기 유도 방식 무선 충전 기술의 한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976호를 들 수 있다. 이는 자동 위치조정 무선충전기 및 그를 이용한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휴대 단말의 수전 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송전 코일을 포함하는 송전 코일부; 상기 송전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는 송전 회로부; 상기 송전 코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송전 코일과 상기 수전 코일이 정렬되어 상기 송전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하면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이는 수전 코일의 위치에 따라 송전 코일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이동시켜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으나, 여러 기기를 동시에 충전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An example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charging technique described above i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1597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positioning wireless charger and a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positioning wireless charger and a charging method using the automatic charging wireless charger, including a transmission coil part including a transmission coil for generating an induction current in a receiving coil of a portable terminal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transmission coil; A driving unit for moving a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coil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the power reception coil are aligned and a voltag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decreases.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mproving the charging efficiency by actively moving the posi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coil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ower receiving coil,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impossible to simultaneously charge various devices.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500692호에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복수의 무선 급전기 모듈을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배열되어 활용될 수 있어서, 무선 충전 기능이 탑재된 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질수록 활용 형태의 다양성과 확장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모듈의 배치와 연결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안전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모듈과 모듈 사이의 연결이 잘못되거나 모듈의 출력 커넥터에 도체가 접촉되어 쇼트(short)가 발생하면, 과전류가 흘러 장치가 파손되거나 발열, 스파크 발생 등으로 더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Kokai) No. 2013-500692 discloses a wireless charging technique using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which a plurality of wireless power supply modu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harg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Such a configuration can be variously arr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as the types of devices equipped with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are diversified,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diversity and expansion of utilization forms. However, the fact that the user can freely change the placement and connection of the module can be a factor that lowers safety. If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the module and the output connector of the module, or if there is a short circuit between the module and the output connector of the module, overcurrent may flow causing damage to the device, resulting in more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heat or spark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모듈화된 다수의 무선충전 장치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배치 및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기적으로 잘못된 연결의 가능성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n prevent a possibility of an electrically erroneous conn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다각형 모양의 상면 및 다수의 측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해 상기 케이스 상면 부근에 소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인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 공급될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 및,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having a polygonal top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casing, A radio recharge tray unit for generating a magnetic field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the vicinity of an upper surface of a radio recharge tray unit and configured to protrude from an input side of any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to receive power to be supplied to the transmission coil from outside An input connector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the input / output connector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to the outside except for the transmission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Wherein the permanent magnet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and an attachment meta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o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id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 portions is guided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unting metal when one output connector por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입력 커넥터부는, 접촉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는, 접촉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출력측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input connector section includes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and a part of the case protrudes from the input side, the output connector section includes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and a part of the case is inserted from the output side And may include an embedded structure.

이 경우, 상기 입력 커넥터부는, 상기 돌출 구조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는, 상기 함입 구조의 전방을 향해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부착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put connector section includes a permanent magnet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output connector section includes an attached metal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toward the front of the recessed structure .

또한, 상기 입력 커넥터부는, 상기 돌출 구조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한 쌍의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이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력 커넥터부는,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정상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영구 자석 중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함입 구조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connector portion may include a pair of permanent magnet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protruding structure, wherein the pair of permanent magnets are disposed so that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directed to the front, And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recessed structure so that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ermanent magnets when normally engaged with the input connector portion.

한편, 상기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가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에 정상 접속된 때에만 상기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해당 출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portions, and only whe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the other rechargeable tray unit, And a safety switch for supplying power to the output connector unit.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출력측면의 부착 금속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상기 입력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영구자석이 상기 부착 금속과 근접 부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자기 센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afety switch comprises a magnetic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mounting metal on the output side and detecting and operating a state in which a permanent magnet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side surface of the other wireless charging tray unit is disposed close to the mounting metal, Device.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다각형 모양의 상면 및 다수의 측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해 상기 케이스 상면 부근에 소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인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 공급될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 및,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제 1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력 커넥터부에서 상기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돌출된 돌출 구조에 전방을 향해 배치된 제 2 영구자석과, 상기 출력 커넥터부에서 상기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함입된 함입 구조에 상기 제 2 영구자석에 대응되게 배치된 제 2 부착 금속을 더 포함한다. Meanwhile,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having a polygonal top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casing,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from an external source, the power supply unit comprising: part; An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the input / output connector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to the outside except for the transmission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Wherein a first mounting meta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o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ide surfaces, and one of the two wireless charging tray units Wherein whe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and the other output connector portion of the input connector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 portions is guided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first attachment metal, A second permanent magnet disposed forwardly of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case; and a second attachment metal, which is disposed in a recessed structure in which the case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

여기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가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에 정상 접속된 때에만 상기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해당 출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connecto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input connector uni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units, and only when the output connector unit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unit of the other rechargeable tray unit, The safety switch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제 2 부착 금속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영구자석이 상기 제 2 부착 금속과 근접 부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자기 센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afety switch includes a magnetic sensing element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ounting metal and operable by sens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other wireless charging tray units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tal .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다각형 모양의 상면 및 다수의 측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해 상기 케이스 상면 부근에 소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인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 공급될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 및,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도록 구성된다.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harging system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wirelessly charg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And a power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generating a magnetic field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near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to transmit power, An input connector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put side of any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receiving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each of the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 output connectors, the input / output connector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maining power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to the outside except for the transmission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Wherein the permanent magnet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and an attachment meta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o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id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 portions is guided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mounting metal when one output connector por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과 분리된 상태에서 충전된 전력을 상기 송전 코일 또는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제공하는 보조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겸용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일 수 있다.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is charged with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nector unit in the case and discharges the charged electric power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other recharge tray unit via the transmission coil or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The battery charger may further comprise a supplementary battery unit for providing supplementary batteries.

또한, 상기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상기 다각형 모양의 꼭지점 부근에 배치된 표시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램프는 각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입력될 때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서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외부 전자기기가 감지될 때까지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tray unit may include a display lamp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ex of the polygonal shape, and the display lamp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from the transmission coil when electric power is input to the input connector unit of each wireless recharge tray unit And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until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receiving power is detected.

한편,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다른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출력 커넥터부, 그리고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출력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내부 배선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연결 트레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n input connector unit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an output connector unit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And a connection tray unit for transferring power between two different wireless charging tray units, including an internal wiring for connecting the output connector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화된 다수의 무선충전 장치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배치 및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기적으로 올바른 연결을 유도하고, 잘못된 연결의 가능성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을 다양한 형태의 조합으로 배열함에 있어서, 열쇠, 동전 등 외부 도전체와의 의도되지 않은 접촉이 일어나거나, 잘못된 방향의 결합시에 발생하는 고장이나 발열 등의 위험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dulariz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es can be arranged and connected in various ways by users, and also an effect of inducing correct connection electrically and preventing the possibility of erroneous connection in advance to improve safety and convenience have. 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arranges a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s in various combinations, unintentional contact with an external conductor such as a key, a coin, or the like occur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risk of heat genera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의 활용예를 보인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을 보인다.
도 3은 보조 배터리 겸용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구성을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출력 커넥터부 및 입력 커넥터부를 상세히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에서 출력 커넥터부와 입력 커넥터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상세히 보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출력 커넥터부 및 입력 커넥터부를 상세히 보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의 점등 방식을 보인다.
FIG. 1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3 shows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serving as an auxiliary battery.
4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and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details of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output connector unit and the input connector unit in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and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lighting system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구분될 수 있는 구성요소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한 도면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by way of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components that are identically identifiable.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may be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의 활용예를 보인다. FIG. 1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210, 220)을 포함한다.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용도에 따라 메인 트레이 유닛(210)과 서브 트레이 유닛(220)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은 스마트폰(410) 등 비교적 크기가 크고 대용량의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직류 어댑터 같은 외부의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폰(410) 등에 무선충전 방식으로 전력을 송출하고, 다수의 서브 트레이 유닛(220)에도 유선 연결 방식으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s (210, 220).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s may be divided into a main tray unit 210 and a sub tray unit 220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main tray unit 210 is configured to charge a large-capacity and large-capacity battery charg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410. The main tray unit 210 receives power directly from external power supply means such as a DC adapter, The power can be transmitted in a wireless charging manner to the plurality of sub tray units 410 and the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sub tray units 220 in a wired connection manner.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은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과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서브 트레이 유닛(220)과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은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 또는 인접 연결된 서브 트레이 유닛(2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내장된 송전 코일을 통해 무선충전 방식으로 전력을 송출함으로써, 역시 무선충전 방식에 따른 수전 코일이 탑재된 무선 스피커(420), 미니 선풍기(430), 탁상용 조명(440), 및 대용량 보조배터리(450) 등에 충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The sub tray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tray unit 210 or may be connected to another sub tray unit 220. The sub tray unit 220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tray unit 210 or the adjoining sub tray unit 220 and transmits power through a built-in power transmission coil in a wireless charging mode, The mini fan 420, the desk lamp 440, and the large capacity auxiliary battery 450, which are equipped with the receiving co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에는 유닛 내부에 무선충전을 위한 송전 코일이 탑재되지 않고 단지 그 위에 필기구나 클립 등의 작은 물건들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제작된 더미 트레이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송전 코일은 없으나 입력 및 출력 커넥터와 내부 배선을 구비하여 메인 트레이 유닛(210)과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사이 또는 서브 트레이 유닛(22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트레이 유닛도 포함될 수 있다. In the meantime,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ummy tray unit which is not mounted with a transmission coil for wireless charging inside the unit, but is designed to mount small objects such as a writing instrument or a clip thereon. Also included is a connection tray unit that does not have a power transmission coil but has input and output connectors and internal wiring to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the main tray unit 210 and the sub tray unit 220 or between the sub tray units 220 .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을 보인다.FIG. 2 shows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본 도면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인 하나의 메인 트레이 유닛(210)과 다수의 서브 트레이 유닛(220), 이들 사이에서 내부 배선을 통해 전력을 전달하는 연결 트레이 유닛(230), 그리고 더미 트레이 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충전 시스템을 보인다. 여기서는 각 유닛들의 구성상의 특징이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무선충전 전력 송출을 위한 송전 코일(212, 222)과, 유닛 외부로부터 내부로 전력이 유선 입력되는 입력 커넥터부(221, 231)와 유닛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력이 유선 출력되는 출력 커넥터부(213, 223, 233)를 대략적 위치를 나타내는 점선이나 입출력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This figure shows one main tray unit 210 and a plurality of sub tray units 220 as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 connection tray unit 230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through internal wiring between them, and a dummy tray unit 240 ). ≪ / RTI > Here,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transmission coils 212 and 222 for transmitting wireless charging power, input connector units 221 and 231 for inputting electric power into the unit from outside the unit, The output connector portions 213, 223, and 233 to which electric power is wired out to the outside are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dicating an approximate position and an arrow indicating an input / output direction.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인 메인 트레이 유닛(210)과 서브 트레이 유닛(220)은 평면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유닛이 다양한 형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그 상면이 평면 다각형을 이루고, 각각 그 측면에 입력 커넥터부(221) 및 출력 커넥터부(213, 223)가 배치된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은 상면이 정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은 상면이 직사각형 모양으로서 그 단변의 길이(D1)가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한 변의 길이와 같고, 그 장변의 길이(D2)가 상기 한 변의 두 배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송전 코일을 포함하지 않는 연결 트레이 유닛(230)이나 더미 트레이 유닛(240)도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들과 어울려 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변이 상기 단변 또는 상기 장변과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tray unit 210 and the sub tray unit 220, which ar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s, have a top surface formed in a plane polygonal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units arranged in a plane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forms, 221 and output connector portions 213, 223 are disposed.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tray unit 220 is squar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tray unit 210 is rectangular. The length D1 of the short side of the main tray unit 21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ub tray unit 220 And the length D2 of the long side may be formed to be twice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side. At least two sides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hort side or the long side so that the connection tray unit 230 or the dummy tray unit 240 that does not include the power transmission coils can be arranged so as to coexist with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

전력의 이동 관점에서 보면, 먼저 외부 전원 공급 수단, 예컨대 직류 어댑터(미도시)로부터 전원 케이블(110)을 통해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 케이블(110)을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에 연결하는 커넥터는 표준화된 전원 커넥터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 내의 전력 공급회로(211)는 우선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에 탑재된 송전 코일(212)에 스마트폰 등을 무선충전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하고, 다수의 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출력 커넥터부(213)에도 연결 여부에 따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From the viewpoint of power transfer, electric power is first supplied to the main tray unit 210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means, for example, a DC adapter (not shown) through a power cable 110. At this time, the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ower cable 110 to the main tray unit 210 may conform to a standardized power connector standard. The power supply circuit 211 in the main tray unit 210 first supplies electric power for wirelessly charging a smart phone or the like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12 mounted on the main tray unit 210, And also maintains a state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plurality of disposed output connector portions 213 depending on the connection.

도시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은 입력측면을 제외한 세 개의 출력측면에 배치된 다섯 개의 출력 커넥터부(213) 중 세 개가 각각 세 개의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입력 커넥터부(221)에 연결되고, 한 개는 왼쪽의 연결 트레이 유닛(230)의 입력 커넥터부(231)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 트레이 유닛(230)의 두 개의 출력 커넥터부(233) 중 하나는 도면에서 가장 왼쪽에 배치된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입력 커넥터부(221)와 연결된다. 그 결과,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에 공급된 전력은 상기 송전 코일(212) 외에도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네 개의 서브 트레이 유닛(220) 내의 송전 코일(222)에 공급되어 스마트폰을 포함한 5 개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충전 할 수 있게 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ain tray unit 210 includes three of the five output connector portions 213 disposed on the three output sides except the input side, respectively, of the three sub tray units 220, 221, and one of them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31 of the connection tray unit 230 on the left side. One of the two output connector portions 233 of the connection tray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 of the leftmost arranged sub tray unit 220 in the drawing. As a resul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main tray unit 21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oil 212 in the four sub tray units 220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tray unit 210 222 to wirelessly charge fiv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smart phone at the same time.

한편, 상기 연결 트레이 유닛(230)은 그 상면에 그루브(groove)(232)가 형성되어 필기구을 거치하는 용도를 겸할 수 있고, 도면의 오른쪽 상부에 배치된 것과 같은 더미 트레이 유닛(240)은 목재로 제작되어 전체적인 시스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상면에 수납홈(242)이 형성되어 클립 등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The connection tray unit 23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232 on the top surface thereof to hold the writing instrument and the dummy tray unit 240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drawing may be made of wood So that not only the appearance of the whole system can be improved but also the receiving groove 24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be utilized a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lip or the like.

도 3은 보조 배터리 겸용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을 보인다.3 shows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serving as an auxiliary battery.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에는 보조 배터리 겸용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25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배터리 겸용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250)은 전술한 서브 트레이 유닛의 구성요소들, 즉 입력 커넥터부(251)와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253), 그리고 송전 코일(252)을 포함함은 물론,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25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과 분리된 상태에서 충전된 전력을 상기 송전 코일(252) 또는 외부 출력 단자(255)를 통해 제공하는 보조 배터리부(2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recharge tray unit 250 serving as an auxiliary battery. The auxiliary rechargeable battery recharge tray unit 250 includes the components of the sub tray unit, that is, the input connector unit 251,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units 253, and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52, A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nector unit 251 in the case and charged through the transmission coil 252 or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255, And a supplementary battery unit 254.

이하에서는 전술한 서브 트레이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과, 다수의 서브 트레이 유닛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 커넥터부와 출력 커넥터부의 구조, 그리고 이들의 정확하고 안전한 연결을 위한 구성에 관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sub tray unit, the structure of the input connector unit and the output connector unit, which are configur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ub tray units, and the structure for the accurate and safe connec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do.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구성을 보인다.4 shows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도면의 오른쪽 부분은 한 실시예에 따른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고, 도면의 왼쪽 부분은 이와 연결될 인접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출력 커넥터부(223)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보인다. The right part of the figure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b-tray unit 2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left part of the figure shows a part including the output connector part 223 of the adjacent sub-tray unit 220 to be connected thereto .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한쪽 측면인 입력측면(312M)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221) 및, 상기 케이스의 여러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312M)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312F)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의 입력 단자부(3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송전 코일(212)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223)는 각각 출력 단자부(323)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sub tray unit 220 includes a case having a square shape as a whole, and an input connector portion (not shown)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put side 312M, which is one side of the case, 221) and a plurality of output side surfaces (312F) excluding the input side surface (312M) among the various side surfaces of the case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ded shape of the input connector part (221)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put connector unit 22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unit 321 of the input connector unit 221 except for the transmission power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12, And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portions 223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input /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portions 223 has an output terminal portion 323.

여기서, 상기 입력측면(312M)에는 영구자석(314)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312F)에는 각각 상기 영구자석(3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금속(315)이 배치되어, 두 개의 서브 트레이 유닛 중 오른쪽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221)와 왼쪽 유닛의 한 출력 커넥터부(223)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영구자석(314)과 상기 부착 금속(315)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221, 223)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된다. A permanent magnet 314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312M and an attachment metal 315 is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output sides 312F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s 314, Whe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 of the right unit and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 of the left unit of the sub tray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314 and the attachment metal 315,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rtions 221 and 223 is guided.

상기 영구자석(314)는 N극 또는 S극이 상기 입력측면(312M)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부착 금속(315)은 상기 입력측면(312M)과 상기 출력측면(312F)이 면과면을 정확히 맞댔을 때 상기 출력측면(312F) 쪽에서 상기 영구자석(314)에 가장 가깝게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 금속(315)이란 영구자석에 붙는 성질의 금속, 예컨대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The permanent magnet 314 may be disposed so that an N pole or an S pole is dir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put side 312M and the attachment metal 315 is connected to the input side 312M and the output side 312F.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permanent magnet 314 at the output side 312F side when the surface is exact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Here, the attachment metal 315 is a concept including a metal member made of a metal that is attached to a permanent magnet, for example, iron, nickel, cobalt, or an alloy containing them.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는 접촉 단자 전극을 갖는 입력 단자부(321)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입력측면(312M)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3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 커넥터부(223)는 접촉 단자 전극을 갖는 출력 단자부(323)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출력측면(312F)으로부터 함입된 함입 구조(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 단자부(3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핀 형태의 접촉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 단자부(323)는 그에 대응되는 패드 형태의 접촉 단자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 includes an input terminal portion 321 having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and a portion of the case includes a protruding structure 311 projecting from the input side 312M.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 includes an output terminal portion 323 having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and a portion of the case includes an embedded structure 313 embedded from the output side 312F. Here, the input terminal portion 321 may include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in the form of a pogo pin, and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23 may have a pad-type contact terminal electrode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입력 단자부(321)는 유닛 내부 배선을 통해서 송전 코일(212)에 인가될 전력 송출 신호를 생성하는 송전 회로(322)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 단자부(321)와 다른 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 단자부(323)와도 연결된다. The input terminal portion 321 is connected to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322 for generating a power transmission signal to be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212 through an internal wiring of the unit and a plurality of outputs And is also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323.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과 상기 출력 커넥터부(213)는 유닛 측면의 중심부를 비롯하여 어떤 위치에든 배치될 수 있으나, 중심에서 벗어나 어느 한 꼭지점 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이들의 정확한 연결을 가이드 하는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서로 연결할 두 유닛 중 어느 하나가 뒤집힌 경우 상기 두 커넥터부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게 되어, 상기 입력 단자부(321)와 상기 출력 단자부(323)의 접촉 단자 전극들이 잘못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314)과 상기 부착 금속(315)이 각 측면 내에서 배치되는 위치는 어디라도 가능하다. 다만, 중심부 또는 상기 두 커넥터부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것이 사용자 편의성이나 안정적인 전기적 접속 확보에 유리하다.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 and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13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includ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unit side surface, but offset from the center and biased toward one of the vertexes guides the user to their precise connection It is more advantageous from the side. When any one of the two unit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s inverted, the positions of the two connector portions are not matched with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contact terminal electrodes of the input terminal portion 321 and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23 from being connected incorrectly.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where the permanent magnet 314 and the attachment metal 315 are disposed in each side can be anywhere. However,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r near the two connector portions for user convenience and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상기 영구자석(314)이 상기 입력측면(312M)에 배치되고, 그에 대응되는 출력측면(312F)에 반대극성의 영구자석이 아닌 부착 금속(315)가 배치된 구성은,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을 배열하여 무선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때 다양한 형태의 배열을 가능하게 하는 데에 크게 기여한다. 만약 입력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출력측면들에 모두 영구자석이 배치된다면 서로 인접한 출력측면들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여 배열에 지장을 초래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ermanent magnet 314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312M and the attachment metal 315 is disposed on the output side 312F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314 instead of the permanent magnet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Which greatly contributes to enabling various types of arrangements when configuring a wireless charging system. If the permanent magnets are disposed on all of the output sides except the input side, a repulsive force may be applied between adjacent output sides to cause a problem in the arrangement.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출력 커넥터부 및 입력 커넥터부를 상세히 보인다.5 illustrates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and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커넥터부(221A)의 입력 단자부(321) 양측에 한 쌍의 영구자석(334)이 배치되고, 출력 커넥터부(223A)의 출력 단자부(323) 양측에 한 쌍의 부착 금속(3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334)과 한 쌍의 부착 금속(335)는 상기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영구자석(314) 및 부착 금속(315)을 대체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이들과 함께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pair of permanent magnets 334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put terminal portion 321 of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A, and a pair of attachments (not show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23 of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A Metal 335 may be disposed. The pair of permanent magnets 334 and the pair of attachment metals 335 may be provided in place of the permanent magnet 314 and the attachment metal 315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에서 출력 커넥터부와 입력 커넥터부의 결합 및 분리 상태를 상세히 보인다.6 shows details of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output connector unit and the input connector unit in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커넥터부(223B)마다 안전 스위치(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스위치(340)는 상기 출력 커넥터부(223B)가 인접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221B)와 정상적으로 접속되었을 때만 상기 출력 커넥터부(223B)의 출력 단자부(323)에 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 스위치(340)는 상기 출력측면의 부착 금속(335)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상기 입력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영구자석(334)이 상기 부착 금속(335)과 근접 부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자기 센싱 소자(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센싱 소자(341)로는 자기장 변화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홀(Hall)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안전 스위치(340)는 상기 자기 센싱 소자(341)와 함께 상기 자기 센싱 소자(341)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출력 커넥터부로 전달되는 전력을 온(ON)/오프(OFF)하는 디지털 스위치(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fety switch 340 may be provided for each output connector portion 223B. The safety switch 34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electric power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23 of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B only whe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B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B of the adjacent unit have. To this end, the safety switch 3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mounting metal 335 on the output side so that a permanent magnet 334, which is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put side of the other wireless charging tray unit, And a magnetic sensing element 341 sensing and operating in close proximity to the sensing elements 341 and 335. As the magnetic sensing element 341, a Hall element for generating a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magnetic field may be used. The safety switch 340 turns on / off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input connector portion to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generated by the magnetic sensing element 341 together with the magnetic sensing element 341 A digital switch 342, and the like.

상기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출력 단자부(323)의 양측에 한 쌍의 부착 금속(335)이 배치된 경우, 상기 자기 센싱 소자(341)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배면 또는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5, when a pair of attachment metals 335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23, the magnetic sensing element 34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back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any one of them .

도 6에서 (a)는 출력 커넥터부(223B)가 인접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221B)와 접속되기 전이라 상기 출력 단자부(323)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보이고, (b)는 상기 두 커넥터부(223B, 221B)가 서로 기구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영구자석(334)과 부착 금속(335) 사이의 부착을 수반하는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다. 여기서 부착은 서로 직접 접촉된 상태뿐만 아니라 케이스 등의 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근접한 채로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포함한다. 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to the output terminal unit 323 is cut off before the output connector unit 223B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unit 221B of the adjacent unit, The two connectors 223B and 221B are mech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 normal connection is made with the attachment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334 and the attachment metal 335 to provide power. Here, the attachment includes not only a state in which they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fixed while being close to each other with a structure such as a case interposed therebetween.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출력 커넥터부 및 입력 커넥터부를 상세히 보인다.7 shows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and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the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 in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출력 커넥터부(223C)와 입력 커넥터부(221C)의 구성은 안전 스위치(34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도 6의 실시예와 공통되나, 상기 출력 커넥터부(223C)의 출력 단자부(323) 양측 중 상기 자기 센싱 소자(341)이 배치된 쪽에는 부착 금속(335)이 배치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영구자석(335N)이 배치된 점에 차이가 있다. 상기 출력 커넥터부측의 영구자석(335N)은 그에 대응되는 입력 커넥터부측의 영구자석(334S)와 서로 반대 극성끼리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C and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C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mon to the embodiment of FIG. 6 described above in that it includes the safety switch 34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attachment metal 335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portion 323 where the magnetic sensing element 341 is disposed and the permanent magnet 335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permanent magnets 335N on the output connector side are disposed so as to face the permanent magnets 334S on the input connector sid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polarities.

이 경우, 상기 출력 커넥터부(223C)에 인접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221C)가 정상적으로 접근하면 마주보는 두 영구자석(335N, 334S)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두 단자부(323, 321)의 접속이 유도되는 한편, 예를 들어 인접 유닛의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C)가 뒤집어진 채로 접근하면, 출력 커넥터부(223C)의 영구자석(335N)이 상기 입력 커넥터부(221C)과 영구자석(334N)과 서로 동일한 극성끼리 마주보게 되어 서로 배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잘못된 결합 방향임을 알려주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C of the adjacent unit normally approaches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C, a force acts between the two permanent magnets 335N and 334S facing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of the two terminal portions 323 and 321 The permanent magnet 335N of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223C is in contact with the input connector portion 221C and the permanent magnet 334N )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wrong direction of coupling.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시스템의 점등 방식을 보인다.8 shows a lighting system of a wireless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즉, 메인 트레이 유닛(210) 또는 서브 트레이 유닛(220)에는 각각 전원 입력 상태 또는 전력 송출 상태 등을 나타내는 표시 램프(217, 227)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램프(217, 227)는 다각형 모양인 각 유닛의 꼭지점 부근에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꼭지점 마다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wireless recharge tray unit, that is, the main tray unit 210 or the sub tray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display lamps 217 and 227 indicating power supply input states or power delivery states, respectively . The display lamps 217 and 227 may be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exes of each unit having a polygonal shape, and may be disposed at each vertex as shown.

상기 표시 램프(217, 227)의 점등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표시 램프(217, 227)는 각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210, 220)의 입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입력될 때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서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외부 전자기기(400)가 감지될 때까지 점등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display lamps 217 and 227 are turned on when power is input to the input connector unit of each of the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210 and 220, And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until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400 receiving power is detected.

도면을 참조하면, (a)와 같이 메인 트레이 유닛(210)이 전원 케이블(110)과 연결되기 전에는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의 표시 램프(217)가 점등되지 않는다. (b)와 같이 전원 케이블(110)이 연결되어 메인 트레이 유닛(210)에 전력이 공급되면 그의 네 꼭지점 부근에 각각 배치된 표시 램프(217)가 점등된다. 꼭지점 마다 점등된 다수의 표시 램프(217)는 스마트폰 등 충전이 필요한 기기가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 위에 놓일 때 송전 코일과 수전 코일이 정렬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display lamp 217 of the main tray unit 210 is not turned on until the main tray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110 as shown in FIG. when the power cable 110 is connected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tray unit 210, the display lamps 217 disposed near the four vertices of the main tray unit 210 are turned on. The plurality of display lamps 217, which are turned on for each vertex, serve to guide the power transmission coils and the power reception coils to be aligned when a device requiring charging such as a smart phone is placed on the main tray unit 210.

상기 메인 트레이 유닛(210)에 서브 트레이 유닛(220)을 추가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c)와 같이 서브 트레이 유닛(220)에 전력이 공급되기 전에는 그 표시 램프(227)도 꺼진 상태이나, (d)와 같이 유닛과 유닛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져 서브 트레이 유닛(220)에도 전력이 공급되면 해당 유닛의 표시 램프(227)도 점등된다. When the sub tray unit 220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main tray unit 210, the display lamp 227 is also turned off before power is supplied to the sub tray unit 220 as shown in (c) And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sub tray unit 220, the indicator lamp 227 of the corresponding unit also lights up.

그 상태에서 (e)와 같이 무선충전 대상인 전자기기(400)를 준비한다. 상기 전자기기(400)에도 표시 램프(40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충전 개시 전 상기 표시 램프(407)는 점등되지 않는다. 이후 (f)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자기기(400)가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에 안착 되면, 예컨대 상기 (e)와 같이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네 꼭지점에 배치되어 점등된 표시 램프(227)의 유도를 받아 상기 전자기기(400)의 수전 코일이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송전 코일에 대해서 충전 가능 범위 내로 정렬되면, 충전이 개시되면서 상기 서브 트레이 유닛(220)의 표시 램프(227)는 꺼지고 상기 전자기기(400)의 표시 램프(407)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기기(400)는 표시 램프 이외에도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다양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electronic device 400 to be wirelessly charged is prepared as shown in (e). The electronic device 40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display lamp 407, and the display lamp 407 is not turned on before charging is started.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400 is mounted on the sub tray unit 220 as shown in (f) of FIG. 5, for example,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400 is placed on four vertexes of the sub tray unit 220, When the receiver coil of the electronic apparatus 400 is aligned with the transmission coil of the sub tray unit 220 in response to the guidance of the lamp 227, the display of the sub tray unit 220 The lamp 227 is turned off and the display lamp 407 of the electronic device 400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400 may include various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e of charge in addition to the display lamp.

본 발명은 무선충전 가능한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을 무선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PC 등 모바일기기는 물론 사무실 또는 가정을 비롯한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되는 스피커, 조명, 가습기 등 여러 가지 소형 전자기기 관련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harging a power source of a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ireless rechargeable smart phone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e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wearable device, It can be used in various small electronic equipment related industries such as a speaker, a lighting, a humidifier, etc. used in various places including the home.

Claims (13)

다각형 모양의 상면 및 다수의 측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해 상기 케이스 상면 부근에 소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인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 공급될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 및,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including a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casing, the casing having a polygonal top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s a result,
An input connector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put side of any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receiving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A plurality of outpu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excluding the input side surface are form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protruding shape of the input connector part, and the input connector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art in the case,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outside the remainder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Lt; / RTI >
Wherein a permanent magnet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surface and an attachment meta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ermanent magnet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ides so that any one of the two input recharge tray units and the other output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 portions is guided by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attachment metal when the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는, 접촉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는, 접촉 단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일부가 상기 출력측면으로부터 함입된 함입 구조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includes a projecting structure including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and a part of the case protruding from the input side,
Wherei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includes a contact terminal electrode and a portion of the case includes a recessed structure embedded from the output side,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는, 상기 돌출 구조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는, 상기 함입 구조의 전방을 향해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부착 금속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connector portion includes a permanent magnet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protruding structure,
Wherei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includes an attachment metal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manent magnet toward the front of the insertion structure,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는, 상기 돌출 구조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한 쌍의 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영구자석은 서로 다른 극성이 상기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력 커넥터부는,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정상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한 쌍의 영구 자석 중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서 인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함입 구조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put connector section includes a pair of permanent magnet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protruding structure, the pair of permanent magnets are disposed so that polarit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directed to the front,
Wherei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recessed structure so that attraction force acts between the output connector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permanent magnets when normally engaged with the input connector portion.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가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에 정상 접속된 때에만 상기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해당 출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input connector uni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units,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put connector unit to the output connector unit only when the output connector unit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unit of the other rechargeable tray unit. Further comprising a safety switch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출력측면의 부착 금속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상기 입력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배치된 영구자석이 상기 부착 금속과 근접 부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자기 센싱 소자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afety switch includes:
And a magnetic sensing element disposed adjacent to the mounting metal on the output side and sensing and operating a state in which a permanent magnet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side of the other wireless charging tray unit is disposed close to the mounting metal.
Wireless charging tray unit.
다각형 모양의 상면 및 다수의 측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해 상기 케이스 상면 부근에 소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인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 공급될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 및,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제 1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 영구자석과 상기 제 1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며,
상기 입력 커넥터부에서 상기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돌출된 돌출 구조에 전방을 향해 배치된 제 2 영구자석과, 상기 출력 커넥터부에서 상기 케이스가 부분적으로 함입된 함입 구조에 상기 제 2 영구자석에 대응되게 배치된 제 2 부착 금속을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including a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casing, the casing having a polygonal top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s a result,
An input connector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put side of any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receiving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A plurality of outpu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excluding the input side surface are form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protruding shape of the input connector part, and the input connector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art in the case,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outside the remainder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Lt; / RTI >
Wherein a first attachment meta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permanent magnet o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ide surfaces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 portions is guided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first attachment metal when the other output connector portion is coupled to each other,
A second permanent magnet disposed forward of the protruding structure of the case partially protruding from the input connector section;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disposed in the output connector 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n a recessed structure in which the case is partially embedde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ttached metal,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부가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에 정상 접속된 때에만 상기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해당 출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input connector unit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 units, and power is supplied from the input connector unit to the output connector unit only when the output connector unit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unit of the other rechargeable tray unit. Further comprising a safety switch
Wireless charging tray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제 2 부착 금속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제 2 영구자석이 상기 제 2 부착 금속과 근접 부착된 상태를 감지하여 작동하는 자기 센싱 소자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afety switch includes:
And a magnetic sensing element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mounting metal to sense and operate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other wireless charging tray units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cond mounting metal.
Wireless charging tray unit.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다수의 전자기기를 동시에 무선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무선충전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다각형 모양의 상면 및 다수의 측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해 상기 케이스 상면 부근에 소정 주파수의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으로서,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인 입력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 공급될 전력을 입력받는 입력 커넥터부; 및,
상기 다수의 측면 중 상기 입력측면을 제외한 복수의 출력측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의 상기 돌출된 형태에 대응되도록 함입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 커넥터부를 통해 공급된 전력 중 상기 송전 코일을 통한 송출 전력을 제외한 나머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출력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면에는 영구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출력측면에는 각각 상기 영구자석에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 금속이 배치되어,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다른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영구자석과 상기 부착 금속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두 커넥터부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가이드 되는,
무선충전 시스템.
A wireless charging system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wirelessly charg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simultaneously,
The wireless recharge tray unit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for transmitting electric power by generating a magnetic field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including a transmission coil disposed inside the casing, the casing having a polygonal top surface and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As a result,
An input connector portion formed to protrude from an input side of any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and receiving power to b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And
A plurality of output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excluding the input side surface are form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protruding shape of the input connector part, and the input connector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art in the case, A plurality of output connector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outside the remainder o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Lt; / RTI >
Wherein a permanent magnet is disposed on the input side surface and an attachment meta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ermanent magnet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sides so that any one of the two input recharge tray units and the other output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connector portions is guided by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attachment metal when the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Wireless charging syste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입력 커넥터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되고, 타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과 분리된 상태에서 충전된 전력을 상기 송전 코일 또는 외부 출력 단자를 통해 제공하는 보조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겸용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인,
무선충전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is charged with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input connector unit in the case and discharges the charged electric power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other recharge tray unit via the transmission coil or the external output terminal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unit further comprises:
Wireless charging syste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은,
상기 다각형 모양의 꼭지점 부근에 배치된 표시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램프는 각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의 입력 커넥터부에 전력이 입력될 때부터 상기 송전 코일에서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외부 전자기기가 감지될 때까지 점등되는,
무선충전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wireless recharge tray unit includes:
And a display lamp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ex of the polygonal shape,
Wherein the display lamp is turned on until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detected when power is inputted to the input connector portion of each wireless recharge tray unit,
Wireless charging syste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출력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다수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중 다른 하나의 입력 커넥터부와 연결되는 출력 커넥터부, 그리고 상기 입력 커넥터부와 상기 출력 커넥터부를 연결하는 내부 배선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무선충전 트레이 유닛 사이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연결 트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input connector unit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an output connector unit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recharge tray unit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tray unit for transferring power between two different wireless recharging tray units, including an internal wiring for connecting an output connector unit,
Wireless charging system.
KR1020177027015A 2016-11-21 2017-08-29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9507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6766 2016-11-21
KR2020160006766 2016-11-21
PCT/KR2017/009409 WO2018093022A1 (en) 2016-11-21 2017-08-29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compri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97A true KR20180071197A (en) 2018-06-27
KR101950765B1 KR101950765B1 (en) 2019-02-22

Family

ID=6214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015A KR101950765B1 (en) 2016-11-21 2017-08-29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0765B1 (en)
WO (1) WO2018093022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119A (en)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Wireless Charging System
CN114746228A (en) * 2019-12-16 2022-07-12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Wireless connector mounting/dismounting method, robot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or
KR20220117654A (en) * 2021-02-17 2022-08-24 김희선 Antefix type wireless charging cra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9149B2 (en) * 2018-12-27 2022-11-22 Scosche Industries, Inc. Modular device charging station
WO2021034977A1 (en) * 2019-08-19 2021-02-25 Global Trade & Technology Corp. Modular charg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m
USD1006010S1 (en) 2021-12-30 2023-11-28 Scosche Industries, Inc. Magnetic device mounting hea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57A (en) * 1993-06-14 1995-03-17 Sony Corp Non-contact power supplying apparatus
JP2008295297A (en) * 2003-06-13 2008-12-04 Seiko Epson Corp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JP2013500692A (en) * 2009-07-24 2013-01-07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Power supply
KR20160028537A (en) *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The Wireless Charg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022B1 (en) * 2009-08-10 2016-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with multi battery
KR20150142215A (en)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Auxiliary battery having removable disk with transmitter-receiver wireless charg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and data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57A (en) * 1993-06-14 1995-03-17 Sony Corp Non-contact power supplying apparatus
JP2008295297A (en) * 2003-06-13 2008-12-04 Seiko Epson Corp Contactless power transmitter
JP2013500692A (en) * 2009-07-24 2013-01-07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Power supply
KR20160028537A (en) * 2014-09-03 2016-03-14 주식회사 케이더파워 The Wireless Charg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6228A (en) * 2019-12-16 2022-07-12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Wireless connector mounting/dismounting method, robot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or
CN114746228B (en) * 2019-12-16 2024-03-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Wireless connector mounting/dismounting method, robot device and wireless connector
KR20220030119A (en) *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220117654A (en) * 2021-02-17 2022-08-24 김희선 Antefix type wireless charging cr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765B1 (en) 2019-02-22
WO2018093022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765B1 (en) A wireless charging tray unit capable of multi-coupling and a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8072183B2 (en) Multiple interface device charger with removable battery pack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48025B2 (en)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US8237401B2 (en)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8894419B1 (en) Magnetically connected universal computer power adapter
EP2736127B1 (e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connector port and a cable connector device
JP4774439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magnetic connector
CN102738531A (en) Battery pack with output connectors
JP2015502128A (en) Mobile device charger
KR102080435B1 (en) Multpurpose electrical charging structure
EP2752957A1 (en) Wireless transmitting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KR20170028137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JP2014138432A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unit
US11689038B2 (en) Dual electronic device wireless charger
WO2017061789A1 (en) Portable battery and charging device
KR101571552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uxiliary battery device
KR20170020058A (en) Cup shaped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KR20210008619A (en) Cover for Electronic Cigarette
CN214380140U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620450B1 (en) Wire and wireless recharging apparatus
KR101658200B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CN219659483U (en) Magic cube device, intelligent magic cube and intelligent magic cube center shaft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CN220172894U (en) Combined charging device
CN219717951U (en) Wireless charging main part, accessory an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