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153A - Cushion mat molding device for uniformizing edge adhesion - Google Patents

Cushion mat molding device for uniformizing edge adhe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153A
KR20180071153A KR1020170068887A KR20170068887A KR20180071153A KR 20180071153 A KR20180071153 A KR 20180071153A KR 1020170068887 A KR1020170068887 A KR 1020170068887A KR 20170068887 A KR20170068887 A KR 20170068887A KR 20180071153 A KR20180071153 A KR 20180071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eating
cushion mat
heating uni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7574B1 (en
Inventor
박봉용
박봉진
송현기
전서우
석 영 정
정진화
정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리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리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리라인
Publication of KR2018007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5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7Producing floor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1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junction of material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B29L2031/732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associated with a mold device for uniformizing and reinforcing adhesion quality of a cushion ma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mold device technology for improving adhesion quality of edges of the cushion mat, improving manufacturing efficiency per unit hour, improving adhesive force at a bending point on a lower end portion of the cushion mat, and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such as trimming or the like. A cushion mat mol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 supporting a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a second member; a first heating unit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ds to heat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nd a mold control unit vertically pressing the first and second molds to fuse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The mold control unit is interlocked with the molds and the first heating unit to control the same, thereby fusing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nd the first heat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molds after applying heat to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As a result, adhesion quality of the edges of the cushion mat is uniformized, particularly regardless of weather, location and the like, through structure and sequential operation of a new heating plate. Further,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per unit hour is greatly improved, and adhesive quality at the bending point 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ushion mat is improved.

Description

엣지 융착력을 균일화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CUSHION MAT MOLDING DEVICE FOR UNIFORMIZING EDGE ADHESIO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mat mold apparatus,

본 발명은 쿠션매트의 접착품질을 균일화 및 강화하는 금형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특히 엣지의 융착을 균일화 하는 기술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apparatus for uniformizing and enhancing the bonding quality of a cushion mat, and in particular, a technique for homogenizing the fusion of edges.

실내에 설치되는 쿠션매트는 아이들의 놀이에서 안전을 확보하거나 층간 소음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특성상 화학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제조 방법이 선호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발포성형체가 이에 해당된다. 환경친화형 쿠션매트는 쿠션 기능인 내부충전재(제1부재)를 외부시트재(제2부재)로 상하좌우의 외곽에서 감싸서 열 또는 고주파로 융착하는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즉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가열부를 통해 가열된 후 상판 및 하판으로 된 금형의 내부에서 압착되는 형태로 열융착됨으로써 일정한 쿠션매트의 모양과 성질이 만들어진다.The necessity of the cushion mat installed inside the room is secured as a means for securing safety in children's play or mitigating interlayer noise. Especially,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ufacturing method which does not use a chemical adhesive is prefer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xamples include polyethylene foamed forms.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cushion mat is manufactured by a method of wrapping an inner filling material (first member), which is a cushioning function, with outer sheet material (second member) at upper and lower and left and right outer sides and fusing with heat or high frequency. That is,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heated by the heating unit, and then thermally fused in a form of being pressed inside the mold mad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that the shape and properties of the certain cushion mat are made.

최근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접이식 매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는 상판과 하판의 금형에 진공흡착 방식으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흡착시키고 그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가열부를 위치시켜서 상기 진공흡착된 각 부재를 가열한 후 가열부를 외부로 이송한 다음 상판과 하판을 압착하여 융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Recent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led a " method for manufacturing a foldable mat and a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 adsorb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on a mold of a top plate and a bottom plate by a vacuum adsorption method, And heating the vacuum-adsorbed member, transferring the heating unit to the outside, and then fus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가열부의 이송과 관련하여 새로운 개념을 개시하는 발명이다. 즉, 상판, 하판 및 가열부를 자동화 기능으로 작동시킬 때는 다음과 같은 현상으로 말미암아 생산성 및 품질 저하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착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disclose a new concept related to the transfer of the heating unit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at is, when the upper plate, the lower plate, and the heating unit are operated by the automation function, productivity and quality deteriorate easily due to the following phenomen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1) 통상적으로 가열부가 슬라이딩 작동으로 외곽 이송되는 시간은 대략 5초 정도가 소요되는데 이 기간 중에 이미 가열된 제2부재, 특히 엣지(테두리, 모서리를 포함하는 용어이며, 이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부위에서 온도저하가 일어나며, 이것이 쿠션매트 사각형 전체로 보아 엣지 부분의 융착 불균일을 일으키게 된다. 슬라이딩에 소요되는 시간적 지연을 감안하여 일정 온도만큼 가열온도를 더 높인다 하더라도 계절의 차이, 특히 웃풍으로 공장 내부의 대기온도 차이가 날 때는 1일 중이라도 정밀성 측면에서 오전과 오후에 품질의 수준이 달라진다. 특히 이송을 위해 가열부가 빠져 나오는 쪽의 위치와 가열부가 밀려들어가는 쪽의 위치는 온도 차이가 발생하므로, 가열부가 위치한 반대쪽의 매트 테두리 융착력은 그 온도 차이만큼 품질이 달라진다. 이 현상은 겨울과 같은 대기온도가 낮아질 때 심화될 수 있다.1) Normally, it takes about 5 seconds for the heating part to be transported to the outside by the sliding operation, and the second member, especially the edge (including the frame and the edge) already heated during this period is used. ) Portion of the cushion mat, which causes uneven fusion of the edge portion as viewed from the whole cushion mat square. Even if we increase the heating temperature by a certain temperature considering the time delay for sliding, the quality level changes in morning and afternoon in terms of precision even during the day when the difference of seasons,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atmospheric temperature inside the factory due to a rush. Particularly, since the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heating part exits and the position where the heating part is pushed in for transferring, the quality of the mat edge fusion force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heating part is located is different in quality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is phenomenon can be exacerbated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such as winter, is lowered.

2) 가열부를 평판으로 구성하고 이를 슬라이딩으로 삽입 및 슬라이딩 제거할 때는 슬라이딩 작동으로 삽입과 제거를 하는 시간이 제조 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된다. 이 수율 저하는 제조하고자 하는 쿠션매트의 면적이 크면 클수록 영향이 크다. 면적이 크면 이송이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더 길게 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삽입에 5초, 제거에 5초가 소요된다면 단위 수율은 그 시간을 합한 10초만큼 손실로 되는 것이며, 매트의 크기가 클수록 그 손실 시간은 더 길어지게 된다.2) When the heating part is formed as a flat plate and it is inserted and removed by sliding, the time for inserting and removing by the sliding operation is a factor that lowers the manufacturing yield. This decrease in yield is more significant when the area of the cushion mat to be produced is larger. If the area is large, the time required until the transport is completed becomes longer. For example, if it takes 5 seconds to insert and 5 seconds to remove, the unit yield will be a loss by 10 seconds of the time, and the larger the size of the mat, the longer the loss time.

따라서 위 1)과 2)의 미흡점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가열된 부재가 미처 식을 여유가 없도록 가열부를 신속히 제거하면서 바로 융착을 하거나 일정한 기간 동안 가열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착상에는 이러한 2가지 개념의 해결책이 포함된 것으로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제조 수율까지 향상시킨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deficiencies of the above 1) and 2),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means for allowing the heated member to be immediately removed while quickly removing the heating unit so that the heated member does not have a margin, or to maintain the heated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The conce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olutions of these two concepts, thereby improving manufacturing yield per unit time.

3) 자동화 설비를 통해 오랫동안 같은 작업을 하게 되면 금형 설비의 기본 골격에서 변형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것은 대기온도 변화 내지는 금형설비로부터 대지면의 기초에 가해지는 무게와 충격에 의한 것으로 이러한 영향은 특히 정밀한 두께로 사각면에 고르게 융착하여야 하는 엣지 부위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물성이 부드러운 부재의 두께를 압력에 의존하여 균일하게 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이므로 이를 위한 새로운 기술을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3) If the same operation is done for a long time through automation equipment, there is a possibility of deformation 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mold equipment. This is due to changes in atmospheric temperature or the weight and impact applied to the base of the surface from the mold equipment, and this effect can cause problems especially at edge areas where the thickness must be evenly welded to the square surface with a precise thickness. However, it is a difficult problem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soft material uniform depending on the pressure,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a new technique for this.

4) 또한 다단 접이식 쿠션매트를 융착으로 제조한 후 절선으로 접히는 부위를 트리밍 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접촉 되는 융착 미흡부분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하판 금형으로의 수직 압착뿐만 아니라 측판 금형을 이용한 수평 압착도 필요하므로, 본 발명은 이에 대한 착상을 포함하여 개시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트리밍 하던 작업을 이 측판 금형을 통해 간소화 하는 기술도 병행 개시한다.4) In addition, when the multi-end folding type cushion mat is manufactured by fusion welding and then the folded portion is trimmed, a non-contact welded insufficient portion may be generated as described lat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not only vertical pressing to the upper and lower molds,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horizontal compression using the above-mentioned method.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technique for simplifying the operation of trimming by using a separate tool through the side plate mold.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80132(2015.12.16.)호; 접이식 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접이식 매트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80132 (Dec. 16, 2015); METHOD FOR MANUFACTURING FOLDING M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81909(2015.12.18.)호; 쿠션매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션매트2)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181909 (Dec. 18, 2015); Cushion mat manufacturing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and cushion mat manufactured by the same 3)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12685(2016.02.02.)호; 안전 쿠션매트 및 이 안전 쿠션매트의 제조용 금형3)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12685 (Feb. Safety mold cushion mat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is safety cushion mat 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062047(2016.05.20.); 중력을 이용하는 매트용 융착 금형4)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62047 (May 20, 2016); Fusion mold for matting using gravity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매트 엣지 부위의 접착 품질을 향상시키고, 단위시간당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며, 쿠션매트의 하단부 절곡점에서의 접착력 향상 및 트리밍 등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금형장치 기술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mold apparatus technology which improves the bonding quality of the cushion mat edge portion, improves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per unit time, improves the adhesion at the lower end bending point of the cushion mat, and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such as trimming. It is in the c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 금형 장치는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금형;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금형;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수직 압착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하는 금형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금형 제어부는 상기 금형들과 상기 제1가열부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하며,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로 열을 가한 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의 외부로 배출된다. A cushion mat mol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 supporting a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A first heating unit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mold control unit for vertically compress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Here, the mold control unit controls the molds and the first heating unit by interlocking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the first heating unit applies heat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 금형 장치는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금형;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금형;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엣지 부분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가열부들에 의해 가열된 후 융착된다. A cushion mat mold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 supporting a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A first heat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 second heating unit for heating an edg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Her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used after being heated by the heating por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 금형 장치는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금형;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며, 복수의 부재들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가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열부의 부재들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로 삽입시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부재들로 분리된 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부재들이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융착된다. A cushion mat mold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ld supporting a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And a first heating part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to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the plurality of members. Here, the member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are inserted and join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at the time of insertion in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members and the second member,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used after the member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 제조 방법은 제1금형과 제2금형에 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지지시키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제1가열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 후 상기 제1가열부를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압착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pporting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on a first mold and a second mold, respectively; Hea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by placing a first heating unit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Discharging the first hea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fter the heating; Press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return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가열판의 구조와 시켄스적 작동을 통하여 특히 일기, 위치 등에 무관하게 쿠션매트의 테두리 접착 품질이 균일화 된다. 또한 단위시간당 제조 효율이 대폭 향상되며, 하단부 절곡점에서의 접착 품질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quality of the edge bonding of the cushion mat is made uniform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new heating plate and the sequential operation, irrespective of the weather and the location. In addition, the production efficiency per unit time is greatly improved, and the bonding quality at the lower end bending point is improved.

도 1은 쿠션매트의 제조에 투입되는 부재와 융착된 제조 후의 모습을 상하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다단으로 접히는 쿠션매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실험 과정의 실물을 예시한 사진.
도 3은 도 2의 쿠션매트가 다단으로 접히는 원리를 순차적으로 도시 설명한 도면.
도 4a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다단 쿠션매트를 융착 성형하기 위한 상판 금형과 하판 금형 및 제1가열부를 구조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b는 상기 도 4a에서 제1가열부가 외부로 제거되고 그 내부 공간을 통해 상판 금형과 하판 금형이 결합되는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하판 금형의 테두리면에 제2가열부를 장착하고 이를 제어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a는 상판 금형 및 하판 금형만으로는 쿠션매트를 다단으로 접기 위한 절선 면에서 융착 품질이 불균일한 사례를 나타낸 사진과 도면.
도 7b 및 도 7c는 도 7a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판 금형을 구성하는 제3실시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d는 측판 금형의 구성일례인 솔레노이드 제어를 전기적인 회로 기능으로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7e는 본 발명에서 금형의 자세를 제어하는 원리를 단면도로 도시한 도면.
도 8는 도 5 및 도 7a, 7b, 7, c, 7d로서 예시한 금형 장치를 통해 쿠션매트가 제조되는 원리를 제조방법 시켄스도로 설명하는 제1실시일례의 방법적 흐름도.
도 9은 도 6a, 6b, 6c 및 도 7a, 7b, 7, c, 7d로서 예시한 금형 장치를 통해 쿠션매트가 제조되는 원리를 제조방법 시켄스도로 설명하는 제2실시일례의 방법적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mber put into the manufacture of a cushion mat and a state after fusion-bonded manufacturing in a vertical direc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cushion mat folded in multiple stages and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actual process of an experimental process. FIG.
Fig. 3 is a view for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folding the cushion mat of Fig. 2 into multiple stages. Fig.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tructurally showing a top mold, a bottom mold and a first heating unit for fusion-molding the multi-stage cushion mat of FIGS. 2 and 3;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inciple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is remov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coupled through the inner space in FIG. 4A.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econd heating part is mounted on a rim surface of a lower mold and controlled.
6A, 6B and 6C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photograph and an illustration showing a case where the quality of fusion is uneven in the line-cut surface for folding the cushion mat at multiple stages with only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FIGS. 7B and 7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side plate mold for solving the problem shown in FIG. 7A. FIG.
7D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solenoid control, which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plate mold, with an electric circuit function.
Fig. 7E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posture of a mol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methodatic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principle of manufacturing a cushion mat through the mold apparatus exemplified in FIG. 5 and FIGS. 7A, 7B, 7C,
Fig. 9 is a methodatic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llustrates the principle of manufacturing the cushion mat through the mold apparatus illustrated as Figs. 6a, 6b, 6c and 7a, 7b, 7c,

본 발명은 이하 설명하는 외에도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lthough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t will be understood that, for exampl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first, second, etc. terms. The term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 the same principle,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특히 상세한 설명에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로 구별 설명한 후, 독립청구항에서 제1 구성요소만 기재하고 종속청구항에서 제2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결합 기재할 경우에는, 당해 독립청구항은 ‘제1’이라는 기호는 무의미하고 그 뒤에 붙은 ‘구성요소’만이 그 기능을 발휘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관련 종속청구항으로 제2 구성요소가 결합될 때 비로소 ‘제1’, ‘제2’라는 차별적 지칭으로서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are separately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only the first component is described in the independent claim and the second component is additionally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 Is interpreted in the sense that it is meaningless and the 'component' attached to it after it merely serves its function, and when the second component is combined with the relevant dependent claim, it is regarded as a discriminative designation of 'first' and 'secon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들은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먼저, 본 발명의 금형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금형 장치를 통해 제조될 쿠션매트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에 관한 도 1은 쿠션매트의 제조에 투입되는 부재와 융착된 쿠션매트 제조 후의 모습을 상하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First, before explaining the mol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cushion mat to be manufactured through the mold apparatus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mber put into the manufacture of the cushion mat and a state after manufacturing the fused cushion mat in the vertical direction.

즉, 도 1에서 (a1)과 (b1)은 개별 부재가 투입되는 상황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a2)와 (b2)는 융착된 상측면 및 하측면의 모습을 사시도로 나타내며, (a3)와 (b3)는 융착된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a1), (a2), (a3)는 (b1, b2, b3)를 뒤집어서 본 모습인데 본 발명에서는 (b3)를 기준으로 제2부재(30)의 엣지부(31)를 포함하여 평편하게 된 면을 상면부라 하고, 그 반대측(10)을 하면부라고 칭하여 이하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a1) and (b1) in FIG. 1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tate in which individual members are inserted, (a2) and (b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welded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3)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welded state. (b1, b2, b3) are rever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s 31 of the second member 30 are flatly formed on the basis of (b3) The opposite side 10 will be referred to as a bottom por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요컨대, 도 1에서 (10)과 (30)은 외부시트부재로서 내부충전재(20)를 감싸서 융착되어 있다. (11) 또는 (31)은 융착 후의 테두리 부위인 엣지부로 된다.That is, in FIG. 1, (10) and (30) are fused with the inner filler 20 wrapped around as an outer sheet member. (11) or (31) is an edge portion which is a rim portion after fusion bonding.

도 2는 다단으로 접히는 쿠션매트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실험 과정의 실물을 예시한 사진이다. 도 2에 있어서 (a)사시도의 (12)와 (b)사시도의 (32)는 쿠션매트를 다단으로 접어서 포갤 때, 뒤쪽으로 꺾여서 넘어가는 절선을 나타낸다(도 3 참조). 이 부분이 (c)실물사진에서는 각각 (12)와 (32)로 나타나 있다. 도 2에서 (40)은 모서리 부위이다.FIG. 2 is a photograph conceptually showing a cushion mat folded in multiple stages and illustrating an actual example of an experimental procedure. 2 (a), (b) and (b) of FIG. 2 (a) and 32 (b) show broken lines which are folded backward when the cushion mat is folded in multiple stages. This part is shown as (12) and (32) respectively in (c) real photographs. In Fig. 2, (40) is a corner portion.

이에 대하여 도 3은 도 2의 쿠션매트가 다단으로 접히는 원리를 순차적으로 도시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 (a), (b), (c), (d)는 포개는 과정이 순차 도시된 것이다. 즉, 쿠션매트의 상면부(30)와 하면부(10)는 최종적으로 (d)의 단면도와 같이 포개지되, 각각은 (12)와 (32)의 절선을 경계면으로 하여 꺾이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된다. 이 꺾이는 방향에 대한 특성은 후술하는 도 7a에서 설명하듯이 상하 단순 융착으로는 미흡하며, 이를 보완할 수 있게끔 완전한 융착을 하기 위해서는 측면부, 즉 엣지부의 한 부분인 모서리부(40)의 융착도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FIG. 3 is a view for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folding the cushion mat of FIG. 2 into multiple stages. In FIG. 3, (a), (b), (c) . That is, the upper surface portion 30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0 of the cushion mat are finally superimposed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d), and the directions of break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7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and lower simple fusion is insufficient, and in order to complete the fusion, it is necessary to weld the corner portion 40, which is a part of the edge portion, It should be done.

이제부터는 상기 쿠션매트를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ol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orming the above-described cushion mat will be described.

도 4a는 상기 도 2 및 도 3의 다단 쿠션매트를 융착 성형하기 위한 상판 금형(a1)과 하판 금형(a3) 및 제1가열부(a2)를 구조적 골격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b는 상기 도 4a에서 제1가열부(a2)가 외부로 제거되고 그 내부 공간을 통해 상판 금형과 하판 금형이 결합되는 작용 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4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mold metal a1, the lower mold metal a3, and the first heating unit a2 for structural fusion of the multistage cushion mat of Figs. 2 and 3, 4A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in which the upper heating mold a2 is remov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coupled through the inner space.

즉 본 발명의 금형 장치는, That is, in the mol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충전재인 제1부재를 수용함과 아울러 외부 시트부재인 제2부재로 제1부재를 감싸서 융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판(100) 및 하판(300) 금형;An upper plate (100) and a lower plate (300)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irst member as an inner filler and to fuse the first member with a second member as an outer sheet member;

상판(100) 및 하판(300)의 수직 공간 사이에서 슬라이딩으로 수평 삽입되어 상기 각 부재를 가열하고 가열이 완료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제1가열부(200);A first heating unit 200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vertical space of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300 by sliding so as to heat the respective members and return to the home position after heating is completed;

상판(100) 및 하판(300)을 수직으로 압착하여 상기 각 부재를 융착하는 금형제어부(700);A mold control unit 700 for vertically pressing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300 to fuse the respective members;

상기 금형제어부가 상판(100), 하판(300) 및 제1가열부(200)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각 부재를 융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ld control unit controls the upper plate 100, the lower plate 3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200 to be interlocked and fusing the respective members.

도면 중 (b1), (b2), (b3)는 (a1), (a2), (a3) 각각에 대응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drawing, (b1), (b2) and (b3) show cross-sectional views corresponding to (a1), (a2) and (a3), respectively.

작용에 있어서, 제 1 금형 장치는,In operation, the first mold apparatus includes: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0)은 진공흡착 방식으로 각기 제 1 외부시트부재(10) 및 내부충진재(20)를 흡착하고,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8) 사이로 제1가열부(200)를 수평으로 삽입시켜서 제 1 외부시트부재(10)와 내부충진재(20)를 가열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mold 100 and the lower plate mold 300 adsorb the first outer sheet member 10 and the inner filler 20 in a vacuum adsorption manner and are heated to a first heating The first outer sheet member 10 and the inner filler 20 can be heated by inserting the part 200 horizontal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200)는 제 1 외부시트부재(10)로 열 침투력이 높은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제 1 외부시트부재(10)를 녹이고, 내부충진재(20)로 열 침투력이 낮은 일반 적외선(IR)을 출력하여 내부충진재(20)를 녹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충진재(20)의 표면만이 녹는 반면에, 제 1 외부시트부재(10)는 표면뿐만 아니라 일부 내부면도 녹는다. 결과적으로, 제 1 외부시트부재(10)와 내부충진재(20)의 접착력이 견고해지며, 그 결과 대형 매트 제조에 상당히 유리하게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heating unit 200 dissipates the first outer sheet member 10 by outputting a far-infrared ray having a high heat penetration capability with the first outer sheet member 10, And can output the low general infrared (IR) to melt the internal filler 20. In this case, only the surface of the inner filler 20 is melted, while the first outer sheet member 10 melts not only the surface but also some inner surface. As a resul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outer sheet member 10 and the inner filler 20 becomes strong, and as a result, it becomes considerably advantageous to manufacture a large mat.

제1가열부(200)를 수평적으로 이동시켜서 외부로 빼낸 후 제 1 외부시트부재(10)와 내부충진재(20)가 접착하여 구조체가 형성된다. The first heating part 200 is horizontally moved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external sheet member 10 and the internal filler 20 adhere to each other to form a structure.

이어서, 상기 구조체와 제 2 외부시트부재(30)의 접착이 수행된다. 이러한 접착은 제 1 금형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 2 금형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금형 장치로 가정하나, 실제적으로는 서로 다른 금형 장치에 의해 각기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n, adhes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outer sheet member 30 is performed. Such adhesion may be achieved by the first mold apparatus or by the second mold apparatu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same mold apparatus is used, but each process can be actually performed by different mold apparatuses.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0)은 진공흡착 방식으로 각기 구조체 및 제 2 외부시트부재(30)를 흡착하고, 상판(100)과 하판(308) 사이로 제1가열부(200)를 수평으로 삽입시켜서 상기 구조체와 제 2 외부시트부재(30)를 가열할 수 있다.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absorb the respective structures and the second outer sheet member 30 by vacuum suction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200 is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100 and the lower plate 308, So that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outer sheet member 30 can be he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200)는 제 2 외부시트부재(30)로 열 침투력이 높은 원적외선을 출력하여 제 2 외부시트부재(30)를 녹이고, 상기 구조체 중의 내부충진재(20)로 열 침투력이 낮은 일반 적외선(IR)을 출력하여 내부충진재(20)를 녹일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충진재(20)의 표면만이 녹는 반면에, 제 2 외부시트부재(30)는 표면뿐만 아니라 일부 내부면도 녹는다. 결과적으로, 제 2 외부시트부재(30)와 상기 구조체의 접착력이 견고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heating unit 200 outputs the far-infrared ray having high heat penetration capability to the second external sheet member 30 to melt the second external sheet member 30, and the internal filler 20, It is possible to melt the internal filler 20 by outputting a general infrared ray (IR) having a low thermal penetration capability. In this case, only the surface of the inner filler 20 is melted, while the second outer sheet member 30 melts not only the surface but also some inner surface. As a result, the adhesion between the second outer sheet member 30 and the structure becomes strong.

한편, 제1가열부(200)는 시트부재(10 또는 30)와 내부충전재(20)를 동시에 가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제1가열부(200)는 내부충전재(20)의 모서리를 별도 내지는 보충적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heating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heat the sheet member 10 or 30 and the internal filler 20, or may be sequentially heated. The first heating portion 200 may separately or additionally heat the edge of the inner filler 20. [

본 발명의 기본 구성에서의 핵심은 수직면상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0)의 사이로 제1가열부(200)가 슬라이딩 되어 수평으로 삽입(도 4a의 a2)된 후 부재를 가열하고 가열이 완료된 때에 다시 슬라이딩으로 외부로 제거(도 4b의 a2)되면서 그 제거된 공간으로 상판 금형(100) 또는 하판 금형(300)이 수직으로 이동하여 치합(도 4b의 a4 참조) 된다는 것이다. The essential point in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heating portion 200 is slid between the vertical plat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plate mold 300 to heat the rear member horizontally inserted (a2 in FIG. 4A) The upper mold 100 or the lower mold 300 is vertically moved to the removed space (refer to a4 in FIG. 4B), as shown in FIG. 4B.

상기 구조에서 금형제어부(700)은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일례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mold control unit 7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미설명부호 (101)은 상판 금형(100)에서 엣지부를 압착하기 위한 테두리부, (102)는 절선(32)를 성형하기 위한 격벽부이다. 미설명부호 (301)은 하판 금형(300)에서 엣지부를 압착하기 위한 테두리부, (302)는 절선(12)를 성형하기 위한 격벽부이다.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rim portion for pressing an edge portion of the upper mold 100 and 102 denotes a partition portion for forming the rupture 32. [ Reference numeral 301 denotes a rim portion for pressing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mold 300 and 302 denotes a partition portion for forming the rupture 12.

특히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에 형성되는 격벽부(102, 302)는 쿠션매트의 절곡면을 성형하기 위하여 제2부재(외부시트부재)를 수직으로 절선하는 구성요소이다. 격벽부는 외부시트부재와 내부충전재의 사이에서 시트부재를 융착하여 절선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므로 완전한 격벽부가 아니라 외부시트부재들(10 및 30)이 융착 접촉될 공간, 예를 들면 1~3mm 정도의 간극을 두는 구조로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partition walls 102 and 302 formed in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are components for vertically cutting the second member (outer sheet member) to form a curved surface of the cushion mat. Since the partition wall is for fusing the sheet member by fusing the sheet member between the outer sheet member and the inner filler,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heet members 10 and 30 are formed in a space in which the outer sheet members 10 and 30 are to be fused and contacted, As shown in FIG.

도 5a, 도 5b는 하판 금형(300)의 테두리면에 제2가열부를 장착한 일례를 도시한 본 발명 제1실시일례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이제까지 설명한 도 4a, 4b의 기본 구성을 포함하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이 추가된다. 5A and 5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hea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rim surface of the lower mold 300. As shown in Figs. 4A and 4B, Is added.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는,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충전재인 제1부재를 수용함과 아울러 외부시트부재인 제2부재로 제1부재를 감싸서 융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An upper plate mold 100 and a lower plate mold 300 configured to house a first member as an inner filler and to fuse the first member with a second member that is an outer sheet member;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0) 사이로 슬라이딩으로 수평 삽입되어 상기 각 부재를 가열하고 가열이 완료된 후 원위치로 복귀되는 제1가열부(200);A first heating unit 200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to heat the respective members and return to the home position after the heating is completed;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엣지 부위 온도를 보충적으로 가열하도록 구성된 제2가열부(400);A second heating part (400) configured to supplementally heat the edge portion temperatur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제1가열부(200) 및 제2가열부(400)가 각 부재를 가열하면서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을 수직으로 압착하여 상기 각 부재를 융착하는 금형제어부(700);A mold controller 700 for vertically compressing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while the first heating unit 2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400 heat each member and fusing the respective members;

상기 금형제어부가 금형들(100 및 300), 제1가열부(200)와 제2가열부(400)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각 부재를 융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Wherein the mold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heating unit 2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400 by interlocking the molds 100 and 300 and fusing the respective members. .

여기서,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과 제1가열부(200)의 작용은 이미 도 4a, 4b에서 설명한 것에 갈음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나머지 제2가열부(400)와 금형제어부(7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4a and 4b,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upper mold 100, the lower mold 3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200 will be omitted. In the remaining second heating unit 400, And the mold control unit 700 will be described.

**

상기 제1실시일례에서의 제2가열부(400)는 그 첫 번 째 작용으로서 제1가열부(200)가 가열을 완료하고 슬라이딩을 통해 외부로 제거되는 기간 동안의 온도 손실을 보상한다. 이를 위해 제2가열부(400)는 하판 금형(300)의 테두리(301) 부위를 둘러 싼 형태의 가열코일(400)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2가열부(400)는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에 연동 작동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The second heating unit 400 in the first embodiment compensates for the temperature loss during the period when the first heating unit 200 completes the heating and is re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ding as a first operation. For this, the second heat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as a heating coil 400 surrounding the edge 301 of the lower mold 300. The second heating unit 400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unit 750.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은 도 5b에서 보듯이 센서부(752)로서 감지되는 온도 변화에 따라 CPU(753)가 4방향으로 독립된 각각의 가열코일(400)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각형 테두리 모두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열코일의 제어에 대한 설정은 모니터부 및 조작부(751)를 통해서 가능하며,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은 복수의 출력포트로서 독립적으로 설치된 각각의 가열코일을 작동시킬 수 있다.5B,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unit 750 controls each of the heating coils 400 independent of the four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hange sensed as the sensor unit 752 by the CPU 753, And maintains all of them at a constant temperature. The setting of the control of the heating coil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 unit and the operating unit 751.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unit 750 can operate each heating coil independently provided as a plurality of output ports.

가열코일은 하나의 통합적 연결 구성도 가능하지만, 그 보다는 적어도 2방향 이상의 독립적 제어 구성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heating coils may have one integrated connection configuration, but more preferably at least two independent control configurations are preferred because:

도 4b에서 제1가열부(200)가 외부로 제거 되면 그 제1가열부가 위치(도 4b에서 왼쪽 부근)한 아래 부분의 대기 온도는 올라가므로 그 부근의 테두리 온도는 서서히 하강하는 반면 그 반대쪽의 테두리 온도는 급속히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열코일(400)과 이를 작동 제어하는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이 적어도 2방향, 바람직하게는 4방향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4B, when the first heating part 200 is removed to the outside, the ambient temperature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eating part (near the left side in FIG. 4B) rises, so that the rim temperature near the first heating part gradually falls. On the other hand, The frame temperature is rapidly lowered. Therefore, if the heating coil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means 7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independently control the temperature in at least two directions, preferably four directions, a uniform temperature environment can be created as a whole It is.

그러나 공장 내부의 온도 차이가 심각하지 않다면 온도가 낮은 쪽으로 하나의 가열코일만 설치하여 제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However,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the factory is not serious,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only one heating coil to control the temperature to the lower side.

도 5a에서 금형제어부(700)는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0)을 작동시키면서 제2가열부(400)가 작동되는 시점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상판 금형(100)과 하판 금형(300)을 구동하기 위한 유공압 및 제2가열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 스위칭 기능을 담당한다. 금형제어부(700)와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의 담당 역할에 대하여는, 금형제어부(7000가 제2가열부(400)의 작동을 지시(즉 스위칭 ON)하면 그 지시를 받은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은 구체적인 센서와 가열코일의 전력제어 등 세부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5A, the mold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timing at which the second heating unit 400 is operated while operating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And an electric switch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second heating unit 400. [0050] Regarding the roles of the mold control unit 7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unit 750, when the mold control unit 7000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eating unit 400 (i.e., turns on) The secondary control means 750 performs detailed functions such as the power control of the specific sensor and the heating coil.

상기 설명으로 상기 제2가열부(400)는 가열코일을 전후좌우의 방향 중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배치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각각의 온도 설정은 센서를 포함하는 작동이거나 센서를 배제한 채 완전 수동 또는 제어함수를 이용한 동작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온도센서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구조에서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구성으로 작동되는 반면, 제어함수로 작동시키는 경우는 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여 가열코일의 전력을 단속 내지 증감 제어한다. 즉, 제어함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온도가 자동적으로 더 높게 설정하는 등의 가변적인 듀티비(duty rate) 제어를 통해 다양한 온도 커브의 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It will be appreciat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second heating unit 400 preferably operates by arranging the heating coil in at least two directions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 each temperature setting may be an operation involving a sensor or a fully manual operation without a sensor, or an operation using a control function.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is interlocked and operated, the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function is operated, the power of the heating coil is controlled by the time interval. That is, according to the control func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various temperature curves through a variable duty ratio control such that the temperature is automatically set higher as time passes.

제어함수를 이용한 작동에서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그래픽 제어로 온도설정 조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지 컴퓨터에 연결된 복수의 출력포트를 통한 다수 채널로서 가열코일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peration using the control func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temperature setting operation by a graphic control in a computer monitor, and it is preferable to electrically control the heating coil as a plurality of channels through a plurality of output ports connected to one microprocessor or a computer.

더 나아가서는 상기 제어함수 또는 제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 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큰 규모의 금형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생산 구조에서는 매 작동되는 상황을 인력으로 관찰하기에는 안전 측면에서의 곤란한 점도 있기 때문에 이 경우 통신망을 통한 원격제어 내지 모니터링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function or control device preferably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ontrolled and monitored remotel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particular, in a production structure in which a large-sized metal mold is automatically operated, it is difficult to observe every operating situation by personnel. Therefore, remote control or monitor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very useful in this case.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일례에서 제1가열부(200)는 이미 설명한 바로서 알 수 있듯이 수평면상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평판 구조로 슬라이딩 삽입 및 복귀되는 것일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eating unit 200 has a flat plate structur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upper plate mold 100 and the lower plate mold 300 Sliding insertion and return.

또한 제1가열부(200)는 수평면상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이상에서 롤러 구조로 슬라이딩 전개 및 복귀되는 것일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이하 제2실시일례의 제1가열부(500) 설명으로 더욱 구체적인 원리를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이 정도로 개념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생략하기로 한다.The first heating part 200 may be slidably expanded and returned to the roller structure in at least one of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directions of the horizontal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Since a more specific principle can be know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heating part 500 in an example, only the concept will be explained to this extent and the rest will be omitted.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6A, 6B and 6C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는,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충전재인 제1부재를 수용함과 아울러 시트부재인 제2부재로서 제1부재를 감싸서 융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An upper plate mold 100 and a lower plate mold 300 configured to accommodate a first member as an inner filler and to fuse the first member as a second member that is a sheet member;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의 수직 공간 사이에서 중앙을 향해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삽입되어 상기 각 부재를 가열하고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어하되, 삽입 시에는 평판상으로 형상 조립(200)되고, 복귀 시에는 형상 분해(501, 502)되어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구조의 제1가열부(500);The upper and lower molds 100 and 300 are inser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toward the center between the vertical spaces of the upper and lower molds 100 and 300 so that the respective members are heated and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 first heating part 500 having a structure that the shape is decomposed (501, 502) to move to the edge at the time of returning;

제1가열부(500)를 제어하면서 제1가열부(500)가 복귀된 공간을 통해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을 수직으로 압착하여 상기 각 부재를 융착하는 금형제어부(700);A mold control unit 700 for vertically compressing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through the space where the first heating unit 500 is returned while controlling the first heating unit 500, ;

금형제어부(700)가 금형들(100 및 300) 및 제1가열부(500)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각 부재를 융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를 개시한다.And the mold control unit 700 interlockingly controls the molds 100 and 3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500 to fuse the respective members.

우선 본 발명 제2실시일례의 특징부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feature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tensively described.

이에 관한 설명을 좀 더 자세하게 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 6a는, 본 발명 제2실시일례에서 제1가열부(500)가 조립되어 각 부재를 가열할 때의 형상을 다른 표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이 도면은 상기 제1가열부(500)가 형상 조립되면 앞에서 설명한 제1가열부(200)와 같은 모양 및 기능이 됨을 나타낸다. 도 6a에서 (c2)는 예를 들어 쿠션매트의 단위면적이 정사각형일 때 제1가열부(500)도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됨을 나타낸다. FIG. 6A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first heating part 500 when the first heating part 500 is assembl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is figure shows that when the first heating part 500 is shaped and assembled, it has the same shape and function as the first heating part 200 described above. In FIG. 6A, (c2) shows that, for example, when the unit area of the cushion mat is square, the first heating part 500 also has the same square.

즉 제1가열부(500)가 가열을 위한 기능을 구성할 때는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의 수직 공간 사이에서 쿠션매트와 동일한 면적의 형상(200)으로 조립되고, 가열이 완료되면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의 수직 공간 사이로부터 제거되면서 상기 형상(200)을 해체하는 구성이 본 발명 제2실시일례의 요지이다.That is, when the first heating part 500 forms a function for heating, the first heating part 500 is assembled into the shape 200 having the same area as the cushion mat between the vertical spaces of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Is removed from between the vertical spaces of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and the shape 200 is disassembled is a gis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제1가열부(500)가 분해된 형상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즉 제1가열부(500)가 조립될 때는 중앙을 향해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삽입되어 평판(200)을 형성하지만, 가열 작동이 완료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때는 중앙에서 분리되어 도 6b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평판(200)이 분해되어 가장자리(501, 502)로 위치하게 됨을 나타낸다. 도 6b에서 (501a)와 (502a)는 중앙으로 모이거나 중앙으로부터 해체되는 면적을 나타내는데, 도 6b에서는 롤러(501, 502) 형태로 제1가열부가 말려서 가장자리로 이동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다만 이 구성은 평판(200)이 예컨대 2조각이나 4조각으로 분해되면서 가장자리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6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hape of the first heating par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first heating part 500 is assembled, the flat plate 200 is inser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toward the center to form the flat plate 200. However, when the heat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So that the flat plate 200 is disassembled and positioned at the edges 501 and 502. In FIG. 6B, 501a and 502a show areas that converge or disintegrate from the center, and in FIG. 6b, the first heating portion in the form of rollers 501 and 502 is disclosed to be curled and moved to the edge. However, this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lat plate 200 is slid to the edge while being divided into two pieces or four pieces, for example.

제1가열부(500)가 형상 분해되면서 (501a)와 (502a)에 대응되는 면적이 제1롤러(501) 및 제2롤러(502)로 흡수(슬라이딩)되면 평면상에서 당초 조립상태였던 공간(200)이 공백으로 되므로 이 공백 공간을 통해 상판 금형(100)이 내려와서 하판 금형(300)과 치합될 수 있게 된다. (또는 하판 금형이 올라가서 상판 금형과 치합될 수 있게 된다.) 도 6c는 이와 같이 공백 공간(-200-)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상판 금형(100)이 하판 금형(300)으로 이동 치합된 상태를 나타낸다.Whe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ing portion 500 is shaped and the first roller 501 and the second roller 502 are absorbed by the first roller 501 and the second roller 502, 200 are blank, so that the top mold 100 is lowered through the blank space and can be engaged with the bottom mold 300. (Or the lower mold can be raised and engaged with the upper mold). FIG. 6C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100 is moved to the lower mold 300 by using the blank space -200- .

이와 같은 본 발명 제2실시일례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1가열부(500)가 슬라이딩을 통해 외부로 제거되는 시간을 적어도 1/2로 축소하는 시간 단축 효과를 얻고 이를 통해 결국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 time shortening effect of reducing the time taken for the first heating unit 500 to be removed to the outside through sliding to be reduced to at least 1/2, Effect is obtained.

상기와 같은 신속한 제1가열부의 조립 및 분해 작용에 따라 쿠션매트의 테두리 부위의 융착 품질은 강화되지만, 더욱 더 정밀한 품질의 유지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일례의 구성에서도 제2가열부의 구성은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가열부가 가장자리 위치로 이동 복귀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2부재의 테두리 부위를 보충적으로 가열하도록 제2가열부(400)을 구성하고 이를 금형제어부(700)에서 연동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quality of fusion at the edges of the cushion mat is enhanced by the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action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order to maintain a more accurate quality,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eating portion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hat is, the second heating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supplementively heat the edge of the second member during a time period during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returns to the edge position, and may be controlled by the mold control unit 700 You can do it.

이에 대한 제2가열부(400)의 구성으로서 구체화 된 가열기구인 가열코일(400), 가열코일을 제어하기 위한 제2가열부제어수단(750), 센서부(752), CPU(753), 모니터부 및 조작부(751), 온도설정을 위한 수동조작 내지 제어함수 설정, 원격제어 및 원격 모니터링, 그리고 이와 연동되는 금형제어부(700)와 제2가열부제어수단(750)의 담당 역할 등에 대하여는 이미 상술한 본 발명 제1실시일례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필요시에는 이를 인용하기로 하고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A heating coil 400 which is a heating mechanism specifie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heating unit 400 for this, a second heating unit control unit 750 for controlling the heating coil, a sensor unit 752, a CPU 753, And the functions of the mold control unit 7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unit 750 that are linked to the monitor unit and the operation unit 751, manual operation or control function setting for temperature setting, remote control and remote monitoring, It is redundant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will be referred to when necessary and fur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이제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일례로부터 쿠션매트의 테두리 부위 융착력을 강화하고 수율이 향상되는 금형 장치의 작동 원리가 이해되었을 테지만, 이것만으로 완전한 쿠션매트의 융착을 기대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From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old apparatus improving the fusing force at the edge of the cushion mat and improving the yield has been understood. However, the fusing of the complete cushion mat is insufficient .

이에 관하여 도 7a는 상판 금형 및 하판 금형만으로는 쿠션매트를 다단으로 접기 위한 절선 면에서 융착 품질이 불균일한 사례를 사진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FIG. 7A is a photograph and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quality of fusion is uneven in the cut surface for folding the cushion mat at multiple stages with only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즉, 완성된 다단접이식 쿠션매트는 도 7a의 (b)에서처럼 절선 (12)와 (32)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꺾이면서 (a)와 같은 겹침 단면을 형성하여 보관 등이 쉽도록 하는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금형의 상판(100) 또는 하판(300)에는 제2부재를 수직으로 절선하는 수직 격벽부(102, 302)를 더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만들어진 일례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 (c) 및 (d)이다. (c)는 하판(300)에 설치된 격벽부(302)를 통하여 성형된 절선이고, (d)는 상판(100)에 설치된 격벽부(102)를 통하여 성형된 절선이다.That is, the completed multi-stage foldable cushion mat is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in the lines 12 and 32 as shown in FIG. 7 (a) to form the overlapping section as shown in (a) need. To this end, the upper plate 100 or the lower plate 300 of the metal mold further includes vertical partition walls 102 and 302 for vertically cutting out the second member, wherein (c) and (d )to be. (c) is a broken lin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302 provided in the lower plate 300, and (d) is a broken lin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102 provided in the upper plate 100.

그런데 이와 같이 만들어진 쿠션매트에서 절선(32)를 꺾으면 사진(e) 및 사진(f)처럼 내부충전재와 외부시트재 간에 미융착된 부분이 나타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사진(d)에서 엣지 부분을 트리밍하면서 발견되는 문제인데, 요컨대 상하로 융착된 부분을 트리밍으로 절단하면 측면 모서리(40)가 융착되어 있어야 전체적인 쿠션매트로서의 미융착 부분이 없게 되지만, 상기 제1, 제2실시일례의 발명만으로는 측면 모서리의 융착을 완성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금형을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금형틀을 고착하는 금형 설비 전체의 기초가 변형되거나 금형틀 그 자체의 온도가 변화됨에 따라 쿠션매트의 사각 전체의 엣지(테두리) 융착이 고르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However, when the line 32 is bent in the thus formed cushion mat, unfused portions appear between the inner filler and the outer sheet material as shown in photographs (e) and (f). This is a problem that is found by trimming the edge portion in the photograph (d). In other words, 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ut by trimming, the side edges 40 must be fused to form an unfused portion as an overall cushion mat. However, , The fusion of the side edges can not be completed by the inven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lone, and this problem is not solved. Further, when the mold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base of the entire mold apparatus for fixing the mold frame may be deformed, or the temperature of the mold frame itself may change, which may lead to uneven edge fusion of the entire square of the cushion ma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선부를 마무리 융착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부의 축방향에서 제2부재를 수평으로 압착하는 측판 금형을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여 개시한다. 나아가 상기 측판 금형 등을 추가적으로 가열하는 제3가열부 및 제4가열부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상기 금형의 엣지부 간극을 일정하게 하는 금형자세제어부(700)의 구성을 개시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means for constituting a side plate mold for horizontally compressing the secon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to finely fuse the cut-out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third heating unit and a fourth heating unit for further heating the side plate mold, and further, the structure of the mold posture control unit 700 for making the interval between the edges of the mold constant.

도 7b 및 도 7c는 도 7a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판 금형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일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7B and 7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a side plate mold to solve the problem shown in FIG. 7A,

앞에서 설명한 상판 금형(100) 또는 하판 금형(300)에는 쿠션매트의 절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부재를 수직으로 절선(12, 32)하는 수직 격벽부(102, 302)를 더 포함하고, 상판 금형(100) 또는 하판 금형(300)의 측방에는 절선부(12 또는 32)를 마무리 융착하기 위하여 격벽부(102, 302)의 축방향에서 제2부재를 수평으로 압착하는 측판 금형(600)을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를 개시한 것이다.The upper plate mold 100 or the lower plate mold 300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vertical partition walls 102 and 302 for vertically cutting out the second member 12 and 32 to form a curved surface of the cushion mat, A side plate mold 600 for horizontally pressing the secon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s 102 and 302 to finely fuse the cutout 12 or 32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mold 100 or the lower plate 300 Wherein the cushion mat mold apparatus further comprises means for forming a cushion mat.

도 7b의 (a)로서 측판 금형(600)은 상판 금형(100) 및 하판 금형(300)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압착하는 구성요소인지를 알 수 있게 되며, 구체적인 구성으로 측판 금형(600)은 그 설치되는 위치가 상판 또는 하판의 측벽부(310)이고, 그 작용 요소로서는 상판의 압착에서 모멘트를 얻는 수직형 핀(620)과, 상기 수직형 핀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수평으로 전환하여 제2부재를 수평 압착 및 해제하는 수평부재(610)로 결합 연동되는 구성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7 (b), the side plate mold 600 can be seen in which direction the components are pressed against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300. In a specific configuration, A vertical pin 620 for obtaining a moment in the pressing of the upper plate and a second pin 630 for switching the moment applied to the vertical pin to horizontal, The horizontal member 610 horizontally pressing and releasing the horizontal force.

또한 도 7c에서 수직형 핀(620)의 상부에 돌출되는 헤드(621)는 상판의 테두리면(101)이 하강 압착되는 작동을 감지하고 그 하강 압착 모멘트를 수평부재(610)에 전달하여 결국 수평부재(610)가 상기 격벽부(예를 들면 102)를 측방에서 압착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격벽부(102)와 수평부재(610)의 사이에는 상기 제2부재(10, 30)가 압착되는 것이다.7C, the head 621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in 620 senses an operation in which the edge face 101 of the upper plate is downwardly pressed and transmits the lowered pressing force moment to the horizontal member 610,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member 6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rtition wall portion (for example, 102) is squeezed from the side. At this time, the second member (10, 30) is pressed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02) and the horizontal member (610).

상기 측판 금형을 구성하는 수직형 핀(620)과 수평부재(610)의 결합은 기하학적으로 20도 내지 70도 사이의 어느 하나의 각도로 미끌어지도록 경사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부재들에는 탄성부재를 첨가하여 금형이 본래 위치로 복귀될 때마다 연동되어 제자리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 도 7b의 (c) 및 도 7c의 (b)는 측판 금형이 제자리로 복귀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의 (d)는 측판 금형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vertical pin 620 and the horizontal member 610 constituting the side plate mold is coupled at an oblique angle so as to be slid at any angle between 20 degrees and 70 degrees, It is preferable to add a member so as to be interlocked and return to the home position each time the mol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7 (c) and 7 (b) of FIG. 7 show a state in which the side plate mol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FIG. 7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plate mold is operated.

한편 측판 금형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측판 금형의 선단부 중앙부위는 칼 또는 레이저 커터가 투사 될 수 있는 소정 간격의 홈을 형성하는 수단(630)을 구성하면 이를 통해 트리밍 작업까지 가능하게 되면서 동시에 트리밍 될 부분의 마무리 융착까지도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품질 향상 및 작업 공정상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f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mold or a means 630 for forming a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which the knife or the laser cutter is projected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mold, And at the same time the finish welding of the portion to be trimmed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quality can be improved and the yield rate in the working process can be increased.

도 7b의 (d)에서 (630) 및 도 7c의 (e)에서 (630)은 이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격벽부(102, 302)의 축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7B to 6C illustrate th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s 102 and 302. As shown in FIGS.

이러한 돌기 등은 완성된 쿠션매트를 하단부 절곡점의 위치에서 하단부로부터 상단부까지 절개하기 쉽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se protrusions or the like serve to facilitate the incision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end bending point of the finished cushion mat.

한편, 본 발명의 측판 금형(610, 620)은 센서와 솔레노이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수평부재(610)를 솔레노이드에 의한 무빙 축으로 대체하고 수직형 핀(620)을 근접센서 혹은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대체하면 상판의 압착 여부를 스위치가 감지하고 그 결과로 전력을 제어하여 솔레노이드를 압착 및 해제하는 작동을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적어도 동일 이상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Meanwhile, the side plate molds 610 and 6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as a sensor and a solenoid type. That is, if the horizontal member 610 is replaced with a moving shaft by a solenoid and the vertical pin 620 is replaced with a proximity sensor or a microswitch, the switch senses whether or not the upper plate is squeezed. As a result, And relea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at least the same operation can be obtained.

이에 대한 구성이 도 7d이다. 즉, 도 7d는 측판 금형의 구성일례인 솔레노이드 제어를 전기적인 회로 기능으로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800)으로서, 센서부(810), 즉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상판의 압착을 감지하고 그 결과로서 솔레노이드 금형부(830)를 CPU(820)가 제어하도록 연동 구성하고 있다. 물론 CPU 없이 직접 연결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for this is shown in Fig. 7D is a block diagram 800 explaining solenoid control, which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ide plate mold, as an electric circuit function. The sensor unit 810, that is, a micro switch or the like detects the pressing of the upper plate, 830 is controlled by the CPU 820. As shown in FIG. Of course, you can also configure a direct connection without a CPU.

여기서 (840)은 모니터 및 조작부인데, 이것이 CPU와 연동되면서 단속 스위치 타입의 디지털 스위칭으로 측판 금형을 작동시키거나, 서서히 압착력을 증가하는 아날로그 작용으로 측판 금형을 작동시킬 수 있다. 아날로그 작용은 전력을 서서히 증가하여 솔레노이드의 구동력, 즉 압착력을 시간 계수로 조절하는 수단(예를 들면 시간적으로 듀티비를 증가하는 제어방식)으로 달성된다.Here, (840) is a monitor and an operation unit, which can operate the side plate mold by digital switching of the intermittent switch type in conjunction with the CPU, or can operate the side plate mold by the analog action gradually increasing the pressing force. The analog action is achieved with a gradual increase in power and a means for adjus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olenoid, i. E. The pressing force, with a time factor (e. G., A control scheme that increases the duty ratio in time).

한편 이제까지 설명한 상기 상판 및 하판 금형에는 상기 쿠션매트의 형체를 성형하는 형틀을 포함하는데, 이 형틀은 쿠션매트의 모양을 음각으로 조각한 형상으로서 수명이 있으므로 일정한 시기바다 분해 교체를 하여야 하며, 조립 시에는 기초설비인 금형설비에 안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판 및 하판의 금형은 가열상태에서 물성이 매우 무른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대상으로 압착하였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원리로 작동되므로 부재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상판과 하판 사이의 간극을 정밀하게 사방으로 유지하는 특징을 지녀야 한다. 이러한 자세제어는 쿠션매트의 융착성형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제안을 본 발명에서는 아울러 제공한다. 도 7e에 도시한 금형자세제어부(2000)가 그에 관한 제안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and lower molds described above include a mold for molding the cushion mat. The mold is a shape formed by engraving the shape of the cushion mat at an engraved angle. Therefore, Which is a basic equipment. However, since the mol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operated by the principle th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ich have very high physical properties in a heated state, are pressed and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It should have features that keep it fine everywhere. Since the attitude control significantly affects the quality of fusion-molding of the cushion ma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posal for this. The mold posture control unit 2000 shown in Fig. 7E is a proposal thereof.

즉 도 7e는 상기 형틀을 포함하는 상판 또는 하판 금형(100, 101, 301, 302)이 복수의 피스톤 수단(2001)을 통해 금형설비 본체와 연동 제어되되, 상기 피스톤 수단(2001)은 유압, 공압 또는 전동 설비로서 전후 및 좌우로 2개이거나 전후좌우의 독립된 4개로서 상하 형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틀 간 간극이 제어하고, 더 나아가 상기 금형의 수평면을 유지하는 제어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 수단은 상판과 하판을 작동시키는 금형설비 본체이거나 여기에 보조적으로 부가되는 설비로서 구성될 수 있다.7E, the upper or lower molds 100, 101, 301, 302 including the mold are controll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mold equipment body through a plurality of piston means 2001, Or a transmission mechanism, and a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gap between the molds so as to keep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constant, and furth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plane of the mold. . The piston means may be a mold equipment main body for operat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or may be constituted as a supplementary equipment added thereto.

이때 형틀의 수평면상 자세는 자이로센서 등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2002)로 측정하고, 상기 상하 형틀 간의 간극은 적어도 2개 이상 위치에서의 근접센서(2003)로 측정하며, 상기 피스톤 수단은 유압, 공압 또는 전동 장치로 구성되면서 금형자세제어수단(2004)에 연계되어서, 상기 금형자세제어수단이 상기 기울기센서와 근접센서와 상기 피스톤 수단을 연동 제어하여 구션매트 엣지부의 융착을 고르게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plane position of the mold is measured by a sensor 2002 for detecting the inclination of a gyro sensor,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measured by a proximity sensor 2003 at at least two positions, The mold posture control means controls the inclination sensor,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piston means in conjunction with the mold posture control means 2004 while being constructed of a pneumatic or electric device.

여기서 기울기센서(2002)는 수평면의 자세가 일정한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구체적으로는 X, Y, Z의 3축 경사도를 측정하여 이를 정밀하게 출력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이로센서가 가장 바람직하다. 근접센서(2003)는 정전용량, 자력, 레이저, 마이크로스위치, 리드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 간의 간극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 센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상하판 간 주변 4개소의 간극을 측정하면 그 내부에 든 융착 대상물의 물성이 물렁물렁한지 여부에 불구하고 마치 단단한 물성을 대상으로 프레스 가공을 하는 것처럼 일정한 간극이 주어지므로 이를 통해 높은 품질의 균일한 융착을 이루어낼 수 있다. 이 센서들의 출력은 금형자세제어수단(2004)으로 입력되고, 금형자세제어수단(2004)이 이러한 입력을 인력 또는 자동으로 설정하는 기준(미 도시)과 비교하여 피스톤 수단을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결국은 반복되는 자동화 설비에서 자동적으로 자세를 제어하면서 일정한 규격으로 금형 장치의 상판과 하판 간 결합 및 복귀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Here, the tilt sensor 2002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posture of the horizontal plane is constant. More specifically,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a digital gyro sensor which measures the three-axis inclination of X, Y and Z and outputs it accurately. The proximity sensor 2003 is a sensor that measures the gap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using capacitive, magnetic, laser, microswitches, reed switches, and the like. For example, if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measured by using this sensor, it is possible to obtain a uniform gap as if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object to be fused in the inside thereof are soft and hard, So that a uniform fusion of high quality can be achieved. The outputs of these sensors are input to the mold attitude control means 2004. The mold attitude control means 2004 compares these inputs with a reference force (not shown) for setting the force or automatically, thereby feedback-controlling the piston means,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posture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the repeated automation equipment, and the combination and return oper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of the mold apparatus are performed with a certain standard.

이때 쿠션매트의 모서리(40)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수직 격벽부(102 또는 302) 내지 상기 금형의 측벽부에는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보충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제3가열부를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측판 금형(610)에는 상기 격벽부(102)의 축방향에서 제2부재를 수평으로 압착하면서 가열하기 위한 제4가열부를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제3가열부 및 제4가열부를 구성하는 목적은 엣지부의 모서리(40, 32)를 보충적으로 융착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가열코일(400)을 위치와 제어의 원리를 채용하여 응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ertical partition wall 102 or 302 corresponding to the corner 40 of the cushion mat or the sidewall of the metal mold may be provided with a means for constituting a third heating unit for supplementarily hea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Further, the side plate mold 610 may further include means for constituting a fourth heating unit for heating while pressing the second member horizontall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102.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heating part and the fourth heating part are configured to fuse the edges 40 and 32 of the edge part in a complementary manner. The construction of the heating coil 400 is similar to that of the heating coil 400, And therefore,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3가열부와 제4가열부를 활용하는 일례로서 상기 각 실시일례에서 상기 금형의 내부로 수용 융착되는 상기 내부충전재는 가열되지 않은 원시재료를 기준으로 상기 금형의 내부 크기와 적어도 같은 사이즈 이상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형틀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충전재가 금형틀의 사이즈와 같거나 5% 정도의 길이 범위로 약간 큰 것이라면 적어도 시트부재 만큼의 두께가 모서리(40)를 측방에서 압착하는 모멘트로 작용하여 모서리를 측방에서 융착하게 되므로 도 7a의 (f)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모서리 융착 미흡(32)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As an example of utilizing the third heating part and the fourth heating part, the inner filling material that is received and fused into the inside of the mold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formed of at least the same size as the inner size of the mold, Or more. That is, if the inner filling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mold frame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old, or at least about 5%, the thickness of at least the sheet member acts as a moment for squeezing the corner 40 laterally, The problem of edge fusion failure 32 as shown in (f) of FIG. 7A can be solved.

특히 이러한 원리로서 제조된 쿠션매트는 내부충전재에 포함된 기포의 압력과 외부 시트재의 재질상 견고성이 서로 균형을 잡아서 형체를 갖게 되므로, 쿠션매트가 제조된 후에 대기온도가 낮아지더라도 발포성형재 내부 기포의 체적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압력만 낮아지게 되며, 대기온도가 높아져 발포성형재 내부의 기포 팽창이 일어나더라도 부피가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외부시트재의 견고성으로 기포의 압력만 올라가게 되는, 상호 밸런스 상태로 제품이 유지된다. 요컨대 대기온도 변화에도 쿠션매트의 신축변화가 최소화 되는, 체적변화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cushion mat manufactured by such a principle has a shape that is balanced by the pressure of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inner filler and the rigidity of the material of the outer sheet member, so that even if the atmospheric temperature becomes low after the cushion mat is manufactured, The volume is not changed and the pressure is lowered. As the atmospheric temperature rises, the bubble expansion of the foamed shape member causes the product to be maintained in a mutually balanced state in which only the pressure of the bubble increases due to the rigidity of the outer sheet member, do.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volume change,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ushion mat is minimized even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changes.

더 나아가 상기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금형의 테두리 부위를 커터로 절단하면 쿠션매트의 테두리 엣지까지 깔끔하게 마무리 지을 수 있는 바, 본 발명에는 상기 상판과 하판 금형이 압착되었을 때 그 테두리를 회전하면서 상기 각 부재의 엣지를 마무리 트리밍하는 커터 수단을 포함한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e edge of the mold is cut with a cutter to neatly finish the edges of the cushion ma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and lower molds are compressed, And a cutter means for finishing trim the edges of the respective members while rotating.

도 8은 도 5 및 도 7a, 7b, 7, c, 7d로 예시한 금형 장치를 통해 쿠션매트가 제조되는 원리를 제조방법 시켄스도로 설명하는 제1실시일례의 방법적 흐름도로서, FIG. 8 is a method flow chart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e principle of manufacturing the cushion mat through the mold apparatus exemplified in FIG. 5 and FIGS. 7A, 7B, 7C,

내부충전재인 제1부재를 수용함과 아울러 시트부재인 제2부재로서 제1부재를 감싸서 융착할 수 있도록 제1가열부, 제2가열부를 포함하는 금형 장치에 있어서,A mold apparatus including a first heating member and a second heating member to house a first member as an inner filler and to fuse the first member as a second member as a sheet member,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제1가열부를 슬라이딩으로 삽입하는 과정(902);(902) sliding the first heating par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가열부를 작동시키는 과정(903);Operating the first heating unit (903)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상기 가열 완료 후 제1가열부를 슬라이딩으로 제거하는 과정(904);A step (904) of sliding the first heating part after completion of the heating;

상기 제1가열부가 제거된 후 상기 부재의 테두리 온도변화를 보상하는 제2가열부를 작동시키면서 상기 상판과 하판을 압착하여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융착하는 과정(905, 906);A step (905, 906) of fus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by press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hile operating a second heating unit for compensating for a change in the edge temperature of the member after the first heating unit is removed;

융착 완료 후 상기 상판과 하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910);A process (910) of return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the fusion is completed;

으로 쿠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As a key feature.

상기 상판과 하판이 압착되어 융착하는 과정에서는 제1부재의 측면 테두리에 상기 제2부재가 융착되도록 측판 금형을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 금형의 복귀와 더불어 측판 금형의 압착을 해제하는 시켄스적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tep of pressing the side plate mold so that the second member is fused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member whil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fused and fused together and releasing the compression of the side plate mold together with the return of the upper plate mold, .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을 압착 제어하는 융착 과정에는 엣지 부위의 융착을 균일하게 하는, 앞에서 설명한 금형자세제어(2000) 구성이 시켄스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금형의 테두리 부위를 커터로 절단함으로써 쿠션매트의 테두리 엣지까지 깔끔하게 마무리 지을 수도 있다. Also, the above-described mold posture control (2000) configuration for uniformly welding the edge portions can be included in a fusion process for controll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by com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dges of the mold are cut with a cutter so that the edges of the cushion mat can be neatly finished.

기타 부분은 도 8의 도면에서 설명된 것만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만약 미흡하여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할 때는 해당되는 부분의 장치적인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Other portions will be understood only as described in the drawing of FIG. 8, and if there is a need for further understanding, please refer to the devic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도 9은 도 6a, 6b, 6c 및 도 7a, 7b, 7, c, 7d로서 예시한 금형 장치를 통해 쿠션매트가 제조되는 원리를 제조방법 시켄스도로 설명하는 제2실시일례의 방법적 흐름도로서, Fig. 9 is a schematic flow chart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principle of manufacturing the cushion mat through the mold apparatus exemplified in Figs. 6A, 6B, 6C and Figs. 7A, 7B, 7C,

내부충전재인 제1부재를 수용함과 아울러 시트부재인 제2부재로서 제1부재를 감싸서 융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금형 장치에 있어서,A mol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a first member, which is an internal filler, and a second member which is a sheet member,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제1가열부를 구성하는 제1가열부 조립 과정(1002);A first heating part assembling step (1002) constituting a first heating par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상기 제1가열부가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가열하도록 제1가열부를 작동 제어하는 과정(1003);(1003)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heats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가열 완료 후 상기 제1가열부를 분해하여 제거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을 압착하여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융착하는 과정(1005, 1006);A step (1005, 1006) of disassembling and removing the first heating part after completion of heating and fus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by squeezing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융착 완료 후 상기 상판과 하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1008, 1010);A process (1008, 1010)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completion of fusion;

으로서 쿠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 mat as a key feature.

여기서도, 상기 상판과 하판이 압착된 후 상기 제1부재의 측면 테두리에 상기 제2부재가 융착되도록 측판 금형을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상판 금형의 복귀와 더불어 측판 금형의 압착을 해제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Also,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ide plate mold is compressed so that the second member is fused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member after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re compressed, and the compression of the side plate mold is released along with the return of the top plate mold In addition,

나아가 상기 제1가열부와 연동하여 제2부재의 테두리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제2가열부의 작동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과 하판을 압착 제어하는 융착 과정에 금형자세제어(2000) 구성을 시켄스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판과 하판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금형의 테두리 부위를 커터로 절단함으로써 쿠션매트의 테두리 엣지까지 깔끔하게 마무리 지을 수도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operating the second heating unit to maintain the edge temperature of the second member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heating unit. Also, the mold posture control (2000)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welding process in which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ntrolled to be crimped.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dges of the mold are cut with a cutter so that the edges of the cushion mat can be neatly finished.

기타 부분은 도 9의 도면에서 설명된 것만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만약 미흡하여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할 때는 해당되는 부분의 장치적인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Other portions will be understood only as described in the drawing of FIG. 9, and if there is a need for further understanding, please refer to the devic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권리화 청구함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쿠션매트용 금형 장치 내지 쿠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쿠션매트 제품을 포함한다.Claims for claim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ushion mat produc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old apparatus for a cushion mat or a cushion mat.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following claims.

제1부재(20)
제2부재(10, 30)
모서리부(40)
엣지부(11, 31)
절선(12, 32)
상판(100)
하판(300)
제1가열부(200);
금형제어부(700);
상부시트부재(30)
하부시트부재(10)
내부충전재(20)
제2가열부(400);
금형 하판의 테두리(301)
제2가열부제어수단(750)
센서부(752)
CPU(753)
모니터부 및 조작부(751)
제1가열부(500)
평판상으로 형상 조립(200)
형상 분해(501, 502)
제1가열부의 가장자리, 롤러(501, 502)
제1가열부가 위치하던 공백 공간(-200-)
수직 격벽부(102, 302)
측판 금형(600)
상판 또는 하판의 측벽부(310)
수직형 핀(620)
수평부재(610)
수직형 핀(620)의 상부에 돌출되는 헤드(621)
엣지(101)
돌기부 내지 레이저 투사 홈(630)
센서부(810)
솔레노이드 금형부(830)
CPU(820)
모니터 및 조작부(840)
금형자세제어부(2000)
피스톤 수단(2001)
기울기감지센서(2002)
근접센서(2003)
금형자세제어수단(2004)
제1가열부를 슬라이딩으로 삽입하는 과정(902);
제1가열부를 작동시키는 과정(903);
제1가열부를 슬라이딩으로 제거하는 과정(904);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융착하는 과정(905, 906);
상판과 하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910);
제1가열부 조립 과정(1002);
제1가열부를 작동 제어하는 과정(1003);
제1부재 및 제2부재를 융착하는 과정(1005, 1006);
상판과 하판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과정(1008, 1010)
The first member (20)
The second member (10, 30)
The corner portion (40)
The edge portions (11, 31)
The lines 12 and 32,
The upper plate (100)
The lower plate (300)
A first heating unit 200;
A mold control unit 700;
The upper sheet member 30,
The lower sheet member 10,
The internal filler (20)
A second heating unit 400;
The edge of the mold bottom plate (301)
The second heating unit control means 750,
The sensor unit 752,
The CPU 753
The monitor unit and operation unit 751
The first heating part 500,
A flat plate shape assembly (200)
Shape decomposition (501, 502)
The edge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the rollers 501 and 502,
The blank space (-200-) where the first heating part is located
The vertical partition walls 102 and 302,
The side plate mold (600)
The side wall portion 310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Vertical pin 620
The horizontal member 610,
A head 621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in 620,
Edge 101
The protrusion or laser projection groove 630
The sensor unit 810,
The solenoid mold portion 830
The CPU 820
Monitors and controls (840)
The mold posture control unit 2000,
Piston means (2001)
Tilt detection sensor (2002)
Proximity Sensors (2003)
The mold posture control means (2004)
A step (902) of inserting the first heating part by sliding;
Operating the first heating unit (903);
A step 904 of sliding the first heating part;
Fus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905, 906);
A process (910) of return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 first heating subassembly process 1002;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1003);
Fus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1005, 1006);
In the processes 1008 and 1010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lates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Claims (27)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금형;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금형;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수직 압착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하는 금형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금형 제어부는 상기 금형들과 상기 제1가열부를 연동 제어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하며,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로 열을 가한 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A first mold supporting the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A first heating unit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nd a mold control unit for vertically compress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mold control unit controls the molds and the first heating unit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the first heating unit applies heat to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the second mol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1부재로 원적외선을 출력하고, 상기 제2부재로 일반 적외선을 출력하되,
상기 제2부재에 에어 배출로가 형성되어 상기 융착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ing unit outputs far-infrared rays to the first member, and the general infrared rays are output to the second member,
Wherein an air discharge path is formed in the second member so that air existing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uring the f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엣지 부분을 보충적으로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금형제어부는 상기 금형들과 상기 가열부들을 연동 제어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eating unit for supplementarily heating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mold control unit interlockingly controls the molds and the heating units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제2금형 상에 전기적인 독립 구조를 가지는 가열 코일들로 형성되되,
상기 가열 코일들은 적어도 2개의 방향에 배열되어 독립적으로 열의 출력 가능하며 상기 제1가열부가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제1가열부의 이동에 맞춰서 개별적으로 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heating unit is formed of heating coils having an electrically independent structure on the second mold,
Wherein the heating coils are arrang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to independently output heat, and when the first heat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eat is outputted indivi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heating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코일들은 온도센서와 연동되거나 제어함수로서 개별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5. The cushion mat mold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heating coils are interlocked with a control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temperature sensor or controls to be individually operated as a control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함수는 주기적인 시간 작동으로 온도가 설정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전기적인 독립 구조는 복수의 출력포트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function is configured to set the temperature at a periodic time operation and the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in a microprocessor,
Wherein the electrically independent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made through a plurality of output por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함수 또는 제어장치는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 될 수 있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function or control device can be controlled and monitored remotely via a communication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평판 구조로 수평적으로 슬라이딩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cushion mat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ing unit is horizontally slidably inserted and discharged in a flat plate structure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수평면상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롤러 구조로 슬라이딩 삽입 및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cushion mat mold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ing unit is slidably inserted and discharged in a roller structure in at least one direction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복수의 부재들로 분리되고 결합 가능하되,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로 삽입시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상기 부재들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배출시 상기 부재들로 분리된 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ing portion is separable and engageable with a plurality of members,
The members are inserted and join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when inserted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fter being separated by the members at the time of discharge Features a cushion mat mold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금형에는 쿠션매트의 형상을 성형하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형틀은 복수의 피스톤 수단으로 금형설비 본체와 연동 제어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The cushion mat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ld for molding a shape of a cushion mat on at least one of the molds, wherein the mold is controll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mold equipment body by a plurality of piston means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수단은 전후좌우로 독립된 구조로서 수평면상 자세를 유지하면서 전후좌우 형틀 간의 상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틀 간 간극이 제어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iston means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molds is controlled so as to maintain a vertical gap betwee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molds while maintaining a horizontal plane posture independent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형틀의 수평면상 자세는 기울기센서로 측정하고, 상기 상하 형틀 간의 간극은 적어도 2개 이상 위치에서의 근접센서로 측정하며, 상기 피스톤 수단은 유압, 공압 또는 전동 장치로 구성되면서 금형자세제어수단에 연계되어서, 상기 금형자세제어수단이 상기 기울기센서와 근접센서와 상기 피스톤 수단을 연동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horizontal plane position of the mold is measured by a tilt sensor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lds is measured by a proximity sensor at at least two positions and the piston means is constituted by a hydraulic pressure, Wherein the mold posture control means controls the tilt sensor,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piston means to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 또는 상기 제2금형에는 쿠션매트의 절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부재를 수직으로 절선하는 수직 격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금형 또는 상기 제2금형의 측방에는 상기 절선을 마무리 융착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격벽부의 축방향에서 상기 제2부재를 수평으로 압착하는 측판 금형을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old or the second mold further includes a vertical partition wall portion for vertically cutting out the second member to form a curved surface of the cushion mat, and the side wall of the first mold or the second mold has the cut-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constructing a side plate mold for horizontally compressing the second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portion for finishing weld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금형은 상판의 압착에서 모멘트를 얻는 수직형 핀과, 상기 수직형 핀에 가해지는 모멘트를 수평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부재를 수평 압착 및 해제하는 수평부재로 결합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ide plate mold includes a vertical pin for obtaining a moment in the compression of the upper plate and a horizontal member for horizontally pressing and releasing the second member by switching a moment applied to the vertical pin horizontally Features a cushion mat mold devi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금형은 상판의 압착 작용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결과로 상기 제2부재를 수평 압착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형 수평부재로 결합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ide plate mold includes a sensor for sensing the pressing action of the upper plate and a structure for being engaged and disengaged by a solenoid type horizontal member for horizontally pressing and releasing the second member as a result of the sens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금형의 선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tip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mol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금형의 선단부 중앙부위는 소정의 간격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레이저 커터가 투사 되도록 연동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a central portion of a front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mold is formed with a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laser cutter is interlocked with the groove to project the groov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매트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수직 격벽부 또는 상기 금형의 측벽부에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보충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제3가열부를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측판 금형에는 상기 격벽부의 축방향에서 제2부재를 수평으로 압착하면서 가열하기 위한 제4가열부를 구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means for constructing a third heating portion for supplementarily hea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to the vertical partition wall portion or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metal mold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ushion mat,
Wherein the side plate mold further comprises means for constituting a fourth heating section for heating while pressing the second member horizontall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융착 결합되었을 때 엣지 테두리를 트리밍 절단하는 커터 수단과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olds is interlocked with cutter means for trimming the edge of the edge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usion-bonded.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금형;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금형;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 및
상기 제1부재 또는 상기 제2부재의 엣지 부분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가열부들에 의해 가열된 후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A first mold supporting the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A first heating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nd a second heating portion for heating an edge portion of the first member or the second member,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heated and fused by the heating portion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상기 제1금형 또는 상기 제2금형 상에 전기적인 독립 구조를 가지는 가열 코일들로 형성되되,
상기 가열 코일들은 적어도 2개의 방향에 배열되어 독립적으로 열의 출력 가능하며 상기 제1가열부가 외부로 배출될 때 상기 제1가열부의 이동에 맞춰서 개별적으로 열을 출력하여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의 엣지의 온도를 고르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22. The apparatus of claim 21, wherein the second heating unit is formed of heating coils having an electrically independent structure on the first mold or the second mold,
The heating coils are arrang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so that heat can be output independently and when the first heating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heat is individually output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heating par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dge of the cushion mat is uniformly maintained.
제1부재를 지지하는 제1금형;
제2부재를 지지하는 제2금형; 및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며, 복수의 부재들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제1가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가열부의 부재들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로 삽입시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부재들로 분리된 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부재들이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가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금형 장치.
A first mold supporting the first member;
A second mold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And
And a first heating unit inserted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heat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embers,
The members of the first heating portion are inserted and joined at least two directions when inserting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separated by the member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fusion-bonded after the member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금형과 제2금형에 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지지시키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사이에 제1가열부를 위치시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 후 상기 제1가열부를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의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압착하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를 융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을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제조 방법.
Supporting each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o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Heating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by placing a first heating unit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Discharging the first hea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fter the heating;
Press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fuse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And return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제24항에 있어서,
제2가열부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엣지 부분을 보충적으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엣지 부분이 가열된 후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제조 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upplementally heating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with the second hea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welded after the edge portion is heate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과 상기제2금형이 압착된 후 상기 제1부재의 측면 엣지에 상기 제2부재가 융착되도록 측판 금형을 압착함과 아울러 상기 제1금형의 배출과 더불어 측판 금형의 압착을 해제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제조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side plate mold is compressed so that the second member is fused to the side edge of the first member after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re pressed together, and the compression of the side plate mold is released together with the discharge of the first mold ≪ / RTI > further comprising a configuration.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완료 후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엣지 테두리를 커팅 트리밍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제조방법.


25. The method of claim 2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utting and trimming the edge of the edge before performing the step of returning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to the original position after completion of the fusion.


KR1020170068887A 2016-12-19 2017-06-02 Cushion mat molding device for uniformizing edge adhesion KR1019575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879 2016-12-19
KR20160173879 2016-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153A true KR20180071153A (en) 2018-06-27
KR101957574B1 KR101957574B1 (en) 2019-03-13

Family

ID=6278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887A KR101957574B1 (en) 2016-12-19 2017-06-02 Cushion mat molding device for uniformizing edge adhe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57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899A (en) * 2019-04-10 2019-12-24 胡镕博 Body-building cushion
KR102327268B1 (en) * 2020-10-28 2021-11-17 (주)신화테크 Apparatus for forming floor carpet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801B1 (en) * 2021-05-18 2021-10-26 손가윤 Floor mat manufacturing method
KR102316796B1 (en) * 2021-05-18 2021-10-26 손가윤 Lawn mat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4899A (en) * 2019-04-10 2019-12-24 胡镕博 Body-building cushion
CN110604899B (en) * 2019-04-10 2021-04-20 胡镕博 Body-building cushion
KR102327268B1 (en) * 2020-10-28 2021-11-17 (주)신화테크 Apparatus for forming floor carpet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574B1 (en)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574B1 (en) Cushion mat molding device for uniformizing edge adhesion
JP654379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ed body and press molding apparatus
KR200414503Y1 (en) The heat melt jig
US8177935B2 (en) Laminated plate and end treatment method of the laminated plate
JP201215818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duct
WO2004108396A1 (en) Fusion splicer
KR101264842B1 (en) vacuum multi-layer glass and assembling device of the glass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510020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uct for automobile
JP6143962B2 (en) Three-dimensional bellows welding method, welding apparatus and bellows thereof
JP2010001066A (en) Plastic sheet-made box body, its production method, production device and corner member for stacking plastic sheet-made box body
KR1017941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 bonding for side portion of the bonded preform
EP1922208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lveolar panel element particularly for coverings, packagings, supporting surfaces
JP468921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molded product
JP2002145247A (en) Folding box,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o be used for this method
JP4166722B2 (en) Thermo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rmoforming apparatus
JP2011011794A (en) Connecting member, box body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649465B2 (en) Panel structure
CN208180281U (en) A kind of impulse heat-pressing plastic riveting machine
US6821367B1 (en) Ultrasonic tool and method for securing a covering to a frame
JPS591743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t-up container
JP531288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resin hollow plate and synthetic resin hollow plat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JPH0976381A (en) Edge structure of laminated board and treatment of the edge
JPH0825227B2 (en) Equipment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with nozzles
JP3575786B2 (en) Superplastic forming equipment
JPH07115406B2 (en) Lower mold for assembly container manufactur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