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180A -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180A
KR20180070180A KR1020160172583A KR20160172583A KR20180070180A KR 20180070180 A KR20180070180 A KR 20180070180A KR 1020160172583 A KR1020160172583 A KR 1020160172583A KR 20160172583 A KR20160172583 A KR 20160172583A KR 20180070180 A KR20180070180 A KR 2018007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mart
information
password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613B1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160172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6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06Q50/32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2Mail or newspaper receptacles, e.g. letter-boxes; Openings in doors or the like for delivering mail or newspa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은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스마트 우체통;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코드를 스캔하여 구매 정보를 독출하고, 구매 정보 및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결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우편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SMART MAIL ACCEPTANCE SYSTEM AND METHOD USING IOT TECHNOLOG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편 접수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과 같은 온라인 거래의 폭발적인 증가로 택배 수화물의 물동량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현실적으로 택배회사의 업무 흐름은 신속한 물품발송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만큼 신속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택배 수화물을 발송하기 위해, 사용자는 택배회사를 선정하여, 상기 택배회사에 유선 또는 온라인으로 수화물 집화(集貨)를 요청하고, 택배 기사의 방문을 통해 수화물을 발송하게 된다.
택배 기사의 방문은 택배 회사별로 차이는 있지만, 수 시간에서 하루 가까운 시간이 허비되기도 한다. 또한, 택배 기사 방문 시, 발송될 주소와 같은 택배 정보는 PDA와 같은 개인 단말기로 입력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택배 기사가 수기로 작성하고, 이후 수화물이 모이는 집화 터미널에서 전산으로 재차 입력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택배 기사 또는 전산 입력 과정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수화물이 엉뚱한 곳으로 발송될 수도 있으며, 전산 입력 등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배송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사용자가 직접 수화물을 발송할 수 있는 무인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우체국에서 운용하는 무인 우편 창구가 있다. 상기 무인 우편 창구는 우편물(택배물 포함)을 무인으로 접수하는 무인 접수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우편 관리 서버와 연계되어 운영되고 있다.
즉, 상기 무인 접수기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직접 발송인 및 수취인의 배송 주소를 입력하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우편 관리 서버로 배송 주소를 전달하여 접수하고, 우편물의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해당 요금을 결제한 후 우편증지(라벨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출력된 우편증지를 해당 우편물에 부착하여 접수함에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존 무인 접수기는 상기 우편 관리 서버와 연동하기 위해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복잡한 통신선을 연결해야 하므로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선납 소포 상자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전국 어디로 소포를 부치더라도 배송 지역과 상관없이 동일한 요금이 적용되는 소포 상자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선납 소포 상자는 전국 모든 우편관서(우편취급국 포함)에서 번호표 발급 없이 선납 소포 접수대에서 접수 가능하고, 또한 요금을 미리 납부했기 때문에 대기 시간 없이 간편하게 접수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선납 소포 상자는 우체국에서만 판매하기 때문에 우체국을 필히 방문하여 결제 후 접수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길거리에 있는 우체통에 우편물을 접수하려고 할 때에는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선납 소포 상자를 포함한 포장 박스가 없는 경우 포장 박스를 구하는 데에 많은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25253호(발명의 명칭: 무인 택배 및 배송 물류 시스템, 등록일자: 2006.09.11)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적인 우편물 접수는 물론이고, 우편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박스(선납 소포 상자)를 현장에서 구매하여 접수 보관할 수 있으며, 전기/통신공사 없이 우체통의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은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스마트 우체통;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코드를 인지하여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우편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키를 구비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한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된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포장 박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제2 고유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 조작을 통해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우편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 상기 입력된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포장 박스의 우편물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우편물의 접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 우편물 회수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이 설정 수량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체통은 복수의 포장 박스를 보관하기 위한 박스 보관함; 상기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 및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키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코드의 인식 및 상기 포장 박스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하는 도어락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락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 비밀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된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우체통은 우편 접수 시 상기 포장 박스를 올려 놓고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드 인출 및 반입되는 투입구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비밀번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는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이 설정 수량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박스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은 스마트 우체통에서,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우편 관리 서버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서,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편물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박스를 현장에서 구매하여 접수 보관할 수 있으므로 포장 박스의 이용률 증대와 우편 서비스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통신공사 없이 우체통의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우체통에 비해 추가로 들어가는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거의 zero에 가까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편물 회수, 포장 박스의 보충, 배터리 교체 등의 필요성을 원경으로 지역 담당자(관리자)에게 통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우체통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우체통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우편 관리 서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스마트 우체통에서 도어락이 잠금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스마트 우체통에서 도어락의 잠금 해제 후 포장 박스를 발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우편 접수 시 투입구 선반이 스마트 우체통의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포장 박스가 놓인 투입구 선반이 스마트 우체통의 본체부 내부로 반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로서, 우편물의 포장을 위한 포장 박스를 구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로서, 포장 박스에 대한 우편 접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100)은 스마트 우체통(110), 어플리케이션(120), 우편 관리 서버(130), 및 관리자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100)은 우편물의 포장을 위한 포장 박스를 구매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박스 구매(결제) 기능, 및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우편 접수 과정을 포함하는 우편 접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100)을 상기 박스 구매 기능과 상기 우편 접수 기능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100)의 박스 구매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을 구비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눌리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생성된 코드를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 박스는 일반적으로 우편물의 포장을 위해 사용되는 박스뿐만 아니라, 우편물의 요금을 미리 납부할 수 있는 선납 소포 상자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후술하는 우편 접수 기능과 관련하여 우편 접수 시 상기 선납 소포 상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우편물의 결제 관련 프로세스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정보는 상기 포장 박스의 수량, 사이즈, 가격 등과 같이 구매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용자 단말기(122)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는 스마트폰 등의 개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와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코드의 스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통신 설비가 구축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가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와의 통신을 위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통신 설비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통신 공사 없이도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기존의 우체통에 비해 추가로 들어가는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거의 zero에 가까움).
이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중 하나인 코드 스캔 기능을 통해 상기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화면에 표시된 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드는 QR 코드, NFC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입력된 제1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제1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코드로부터 독출된 구매 정보 중 상기 포장 박스의 결제와 관련한 정보(포장 박스의 사이즈, 가격, 수량 등)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포장 박스의 결제 수단, 결제 인증 등에 관한 정보(제1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결제 정보를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에 전송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제1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포장 박스의 결제 승인 요청(제1 결제 승인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제1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제1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1 결제 정보를 토대로 제휴 결제 서버(미도시)와 연계하여 상기 제1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제1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도 2의 "210" 참조)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제1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의 표시와 관련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고유 식별번호와 위치 정보 등을 포함)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1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의 운영자는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저장되어 있는 매칭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 내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미리 저장된 테이블, 즉 상기 매칭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도어락 비밀번호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 비밀번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코드에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관리자는 상기 포장 박스의 구매 시에 생성되는 코드에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해당 도어락 비밀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 비밀번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는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수신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을 보고서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내부에 구비된 매칭 테이블에 서로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된 도어락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면,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100)의 우편 접수 기능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우편 접수 시 상기 포장 박스를 올려 놓고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본체부(도 2의 "205" 참조)로부터 슬라이드 인출 및 반입되는 투입구 선반(도 2의 "250 참조)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투입구 선반 위에 상기 포장 박스를 올려 놓고 포장을 모두 완료하면, 상기 포장 박스에 포장된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는 상기 포장 박스의 포장에 사용되는 포장 도구들(예: 접착 테이프, 가위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우편 접수를 위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우편 접수 버튼(미도시)을 클릭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우편 접수 버튼의 클릭에 응답하여, 상기 투입구 선반을 상기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드 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드 인출된 투입구 선반 위에 상기 포장 박스를 올려 놓고 상기 포장 도구들을 이용하여 포장을 할 수 있다. 포장이 모두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포장 박스에 포장된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우편물의 무게와 부피 중 필요한 어느 하나만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투입구 선반이 슬라이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또 달리 상기 투입구 선반이 슬라이드 반입된 상태에서 상기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포장 박스로서 선납 소포 상자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포장 박스가 상기 투입구 선반 위에 놓이면 상기 포장 박스에 기재된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제2 고유 식별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입력 조작을 통해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 상기 무게 및 부피의 측정 값과 함께 제2 결제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여 상기 우편물에 대한 제2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우편물에 대한 제2 결제 승인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상기 제2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에 대한 제2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2 결제 승인의 처리 결과에 따른 우편 접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우편 접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스캔, 결제, 인쇄 등의 각종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별도의 결제 단말이나 인쇄 장비, 스캐너 등의 부가 장비가 필요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100)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따른 추가 비용을 최소화(거의 zero에 가까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장 박스로서 선납 소포 상자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입력 조작을 통해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 상기 입력된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포장 박스의 우편물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우편물에 대한 우편 접수가 완료되면(제2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 또는 선납 소포 상자의 접수가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마트 우체통(110)을 관리하는 관리자(142)의 관리자 단말기(140)에 우편물 회수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142)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40)에 전송된 우편물 회수에 관한 명령을 통해 해당 스마트 우체통(110)에 방문하여 우편물을 회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추출된 잔량 정보에 따라 포장 박스의 잔량을 확인한 결과 포장 박스의 잔량이 설정 수량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140)에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142)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확인하고, 해당 스마트 우체통(110)에 방문하여 포장 박스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추출된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140)에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142)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140)를 통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배터리 교체에 관한 명령을 확인하고, 해당 스마트 우체통(110)에 방문하여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코드로부터 각종 정보들(포장 박스 잔량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독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각종 정보들을 획득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코드의 직접적인 수신 없이,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의 코드 인식(스캔)을 통해 독출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우체통(11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박스 보관함(210), 입력부(220), 코드 생성부(230), 도어락 제어부(240), 투입구 선반(250), 무게/부피 측정부(260), 우편물 투입구(270), 및 수거함(2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스 보관함(210)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몸체부(205)의 상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는 우편물의 포장을 위한 포장 박스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박스 보관함(210)에는 도어락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락의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통해 포장 박스의 보관 및 판매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상기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 및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입력부(220)는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화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드 생성부(230)는 상기 입력부(220)에 구비된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여 화면(235)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드는 QR 코드, RFID, NFC 태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화면(235)에 표시된 코드를 스캔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스캔 정보를 이용해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에 결제 요청을 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처럼 결제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락 제어부(24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20) 및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와의 연계를 통해 상기 코드의 스캔 및 상기 포장 박스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부(240)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210)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락 제어부(240)는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박스 보관함(210)의 도어락 비밀번호와 매칭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락 제어부(240)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된 도어락 비밀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상기 도어락 제어부(240)는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 보관함(210)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제어부(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 선반(25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 접수 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본체부(205)로부터 슬라이드 인출될 수 있으며, 그 위에 포장 박스가 놓이면 상기 본체부(205) 내부로 반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입구 선반(250)의 인출 및/또는 반입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무게/부피 측정부(260)는 상기 투입구 선반(250) 위에 상기 포장 박스가 놓이면, 상기 포장 박스에 포장된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투입구 선반(250) 내부에 중량 센서,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의 센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게/부피 측정부(260)는 상기 중량 센서를 이용하여 우편물의 무게(중량)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우편물의 부피(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우편물 투입구(270)는 부피가 작은 우편물, 예컨대 편지 봉투 등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거함(280)은 상기 투입구 선반(250) 또는 상기 우편물 투입구(270)를 통해 투입된 우편물이 수납 및 보관되는 공간이다. 관리자는 상기 수거함(280)의 도어를 오픈하여 우편물을 수거해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포장 박스의 구매 기능만을 제외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의 접수를 위한 구성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우편 관리 서버(13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정보 획득부(410), 결제 처리부(420), 비밀번호 생성부(430), 박스 관리부(440), 배터리 관리부(450), 및 제어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획득부(410)는 사용자 단말기(1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획득부(410)는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입력된 제1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420)는 상기 제1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제1 결제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430)는 상기 제1 결제 승인의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430)는 상기 제1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박스 관리부(440)는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이 설정 수량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140)에 상기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부(450)는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140)에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60)는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 즉 상기 정보 획득부(410), 상기 결제 처리부(420),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430), 상기 박스 관리부(440), 상기 배터리 관리부(45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로서, 우편물의 포장을 위한 포장 박스를 구매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박스 구매 버튼을 클릭한다.
상기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단계(920)에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단계(930)에서 사용자 단말기(1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를 독출한다.
다음으로, 단계(94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입력된 제1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제1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단계(950)에서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제1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 결제 승인을 처리한다.
상기 제1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960의 "예" 방향), 단계(97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제1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960의 "아니오" 방향),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승인 미처리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계(940)로 리턴한다.
다음으로, 단계(98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단계(985)에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자신의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도어락 비밀번호를 찾아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면(985의 "예" 방향), 단계(990)에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단계(995)에서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한다. 반면,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985의 "아니오" 방향),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단계(980)으로 리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로서, 포장 박스에 대한 우편 접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1010)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우체통(110)에 구비된 우편 접수 버튼을 클릭하여 우편 접수를 신청한다.
다음으로, 단계(1020)에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우편 접수의 신청에 따라 투입구 선반을 슬라이드 인출한다.
상기 투입구 선반 위에 우편 접수를 위한 포장 박스가 놓이면, 단계(1030)에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110)은 상기 포장 박스에 포장된 우편물의 무게 및 부피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단계(1040)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2)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상기 포장 박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제2 고유 식별정보를 독출한다.
다음으로, 단계(1050)에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입력 조작을 통해 주소를 입력한다.
다음으로, 단계(1060)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 상기 무게 및 부피의 측정 값과 함께 제2 결제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여 상기 우편물에 대한 제2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단계(1070)에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우편물에 대한 제2 결제 승인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로부터 상기 제2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편물에 대한 제2 결제 승인을 처리한다.
상기 제2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1080의 "예" 방향), 단계(1090)에서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우편 접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전송한다. 반면, 상기 제2 결제 승인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1080의 "아니오" 방향), 상기 우편 관리 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에 승인 미처리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계(1060)로 리턴한다.
다음으로, 단계(1095)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우편 접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22)의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스마트 우체통
120: APP
122: 사용자 단말기
130: 우편 관리 서버
140: 관리자 단말기
210: 박스 보관함
220: 입력부
230: 코드 생성부
240: 도어락 제어부
250: 투입구 선반
260: 무게/부피 측정부
270: 우편물 투입구
280: 수거함
410: 정보 획득부
420: 결제 처리부
430: 비밀번호 생성부
440: 박스 관리부
450: 배터리 관리부
460: 제어부

Claims (16)

  1.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스마트 우체통;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우편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키를 구비하고,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포장 박스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바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제2 고유 식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 조작을 통해 주소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주소를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우편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고유 식별정보, 상기 입력된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포장 박스의 우편물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우편물의 접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기에 우편물 회수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 또는 상기 구매 정보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이 설정 수량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우체통은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우편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9. 복수의 포장 박스를 보관하기 위한 박스 보관함;
    상기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 및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키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 및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코드의 인식 및 상기 포장 박스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하는 도어락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체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생성부는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코드에 포함하여 생성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독출하고,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우편 접수 시 상기 포장 박스를 올려 놓고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본체부로부터 슬라이드 인출 및 반입되는 투입구 선반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우체통.
  12.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코드로부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 결과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비밀번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관리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 생성부는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미리 설정된 제1 고유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관리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포장 박스의 잔량이 설정 수량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상기 포장 박스의 보충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박스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관리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배터리 잔량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우체통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한 결과 상기 배터리 잔량이 설정치 미만인 경우, 상기 스마트 우체통을 관리하는 관리자 단말기에 배터리의 교체에 관한 명령을 전송하는 배터리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 관리 서버.
  16. 스마트 우체통에서, 포장 박스의 구매를 위한 박스 구매 버튼이 클릭되면, 상기 포장 박스에 관한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로부터 상기 구매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구매 정보 및 상기 구매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포장 박스에 대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우편 관리 서버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결제 승인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결제 승인의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 구비된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도어락 비밀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우체통에서, 비밀번호 입력 키를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상기 도어락 비밀번호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하여 상기 박스 보관함의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고 상기 포장 박스를 발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방법.
KR1020160172583A 2016-12-16 2016-12-16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884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83A KR101884613B1 (ko) 2016-12-16 2016-12-16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583A KR101884613B1 (ko) 2016-12-16 2016-12-16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64A Division KR20180088358A (ko) 2018-07-26 2018-07-26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180A true KR20180070180A (ko) 2018-06-26
KR101884613B1 KR101884613B1 (ko) 2018-08-30

Family

ID=6278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583A KR101884613B1 (ko) 2016-12-16 2016-12-16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1251A (zh) * 2018-12-10 2019-03-12 于荣光 一种快递包装物的智能销售及回收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74U (ko) * 1999-04-17 2000-11-25 김양호 우편용품 자동판매기를 구비한 우체통
KR20030014930A (ko) * 2001-08-13 2003-02-20 권혁진 벤딩코인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KR20090046743A (ko) * 2007-11-06 2009-05-11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 택배/우편 발송 및 수령방법
KR20120091486A (ko) * 2010-12-22 2012-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통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674U (ko) * 1999-04-17 2000-11-25 김양호 우편용품 자동판매기를 구비한 우체통
KR20030014930A (ko) * 2001-08-13 2003-02-20 권혁진 벤딩코인을 이용한 자동판매기
KR20090046743A (ko) * 2007-11-06 2009-05-11 주식회사 포스트큐브 무인 택배/우편 접수 배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인 택배/우편 발송 및 수령방법
KR20120091486A (ko) * 2010-12-22 2012-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통신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020926A (ko) * 2013-08-19 2015-02-27 (주)성원라커시스템 무인택배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1251A (zh) * 2018-12-10 2019-03-12 于荣光 一种快递包装物的智能销售及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613B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9174B2 (en) Multifunctional self-service shipping and mail processing system
CN102973116B (zh) 智能邮箱系统以及控制方法
JP3748790B2 (ja) 宅配便集配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524601B2 (ja) 無人郵便/宅配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51561B1 (ko) 무인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WO2018028333A1 (zh) 用于跨国出行用户的服务提供方法和电子设备
US10909496B2 (en) Smartphone-controlled mailbox system
CN103729749A (zh) 自助式物品收发系统、方法及移动终端
JP2002117455A (ja) ロッカ型商品引き渡しシステム
JP2010523430A (ja) 配達物を輸送するための方法、発送ステーション物流システム
KR20160053681A (ko) 무인 택배 보관 방법 및 그 시스템
JP5934941B2 (ja) 宅配物発送受付装置
JP4556545B2 (ja) 物流認証システム
KR101884613B1 (ko)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26861B1 (ko)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및 방법
JP4340059B2 (ja) 宅配ボックスユニット及び宅配便集配システム
KR20180088358A (ko)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우편 접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2249A (ko) 무인 우편물 배달 방법 및 시스템
KR102310621B1 (ko) 무인 우편/택배 접수 시스템
CA271519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shipping process within a logistics system
JP2003132278A (ja) 電子商取引方法、装置、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959639B1 (ko) 우편/소포 접수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0127A1 (ja) 収納システム
JP2006143342A (ja) 物流認証システム
JP2014090914A (ja) 配達物受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