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051A -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 Google Patents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051A
KR20180070051A KR1020160172270A KR20160172270A KR20180070051A KR 20180070051 A KR20180070051 A KR 20180070051A KR 1020160172270 A KR1020160172270 A KR 1020160172270A KR 20160172270 A KR20160172270 A KR 20160172270A KR 20180070051 A KR20180070051 A KR 20180070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assembly
jig
dispenser
inner panel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상우
황규한
김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051A/en
Priority to US15/839,296 priority patent/US20180168424A1/en
Priority to EP17206984.1A priority patent/EP3335614A1/en
Publication of KR2018007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0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45Detachabl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47L15/4409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by tipping containers or opening their lids, e.g. with the help of a program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The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for separating the dispens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on a door inner panel of the dishwasher from an inner panel comprises: a plate-shaped handle; and an insertion unit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nd insert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dispenser assembly to separate the inner panel from the dispenser assembly.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분리 지그{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분리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의 도어 내측에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된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eparation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used for coupling a dispenser assembly inside a door of a dishwasher or for separating a coupled dispenser assembly.

식기 세척기는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제거하는 기기이다.The dishwasher is a device that removes dirt such as food waste by spraying washing water on a dishware or cooking utensi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ashing object').

이때, 세척력을 증가시키고 식기 세척기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세제나 린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제나 린스는 도어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수용되며, 세척 행정의 진행 경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식기 세척기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a detergent or a rinse may be used to increase the cleaning force and shorten the operation time of the dishwasher. The detergent or rinse is accommodated in a dispenser assemb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and can be selectively provided inside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washing stroke.

한편, 디스펜서 어셈블리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는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 하여야 한다. 그런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분리, 결합을 위한 전용 공구가 없어, 디스펜서 어셈블리 교체 과정에서 도어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dispenser assembly,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new one. However, since there is no dedicated tool for separating and coupling the dispenser assembly, the door may be damaged in the process of replacing the dispenser assembly.

본 발명의 과제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손상 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분리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that can easily couple and separate dispenser assemblies without damaging the door of the dishwasher.

본 발명의 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기 세척기의 도어 내측 판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상기 내측 판넬에서 분리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는, 판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연장하며 도어의 내측 판넬과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 판넬을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삽입부를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for separating a dispens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on a door inner panel of a dishwasher from the inner panel to sol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the dishwasher includes a plate-shaped handle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nd inserted between the inner panel of the door and the dispenser assembly to separate the inner panel from the dispenser assembly .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말단에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lates spaced from one an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may be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with a non-slip part formed in a negative or angled sha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on-skid portion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insertion position or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삽입부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the dishwasher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portion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handle and the insertion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latching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insertion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atching portion may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assemb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내측 판넬과 대향하며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판넬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주변에서 상기 외측 판넬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파지하는 복수개의 플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panel facing the inner panel and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The inner panel may include an opening for mounting the dispenser assembly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uter panel and holding the dispenser assem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inser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assembly and the flan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분리 지그, 및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측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분리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the dishwash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eparation jig inserted in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and at least one second separation Jig. ≪ / RTI >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기 세척기의 도어 내측 판넬에 형성된 개구에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는, 상기 내측 판넬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내측 판넬의 후면에 접촉하는 측벽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other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for detachably mounting a dispenser assembly in an opening formed in a door inner panel of a dishwasher is provided. The coupl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the dishwasher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ispenser assembly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inner panel through the opening and a sidewall bent at the support and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pane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 observing the dispenser assembly with the naked ey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개구로 삽입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감쌀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dewall may wrap around the dispenser assem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분리 지그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손상 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The mating / separat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uple or detach the dispenser assembly without damaging the door of the dishwasher.

도 1 및 도 2는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 내측 판넬과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의 외측 판넬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디스펜서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를 사용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도어의 내측판넬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를 사용하여 도어의 내측판넬에서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ishwasher.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oor inner panel and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panel of the door is removed in the dish washer of FIG. 1. FI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ure 4;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assembly is removed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dispenser assembly to the inner panel of the door using the coupl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penser assembly from the inner panel of the door using the separation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sh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ishwash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 하우징(1)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공간(21)을 형성하는 세척조(2),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세척조(2)를 지지하는 베이스(4), 세척조(2)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랙(5),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도시되지 않음), 세척조(2)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암(6), 및 세척조(2)와 도어(3)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수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9)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dishwasher includes a housing 1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washing tank 2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 and forming a washing space 21, a washing space 21, A base 4 for supporting the washing tub 2, a rack 5 provided inside the washing tub 2 for receiving the washing object, a sump (not shown)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a washing tub (not shown) 2 and a sealing member 9 provided between the washing tank 2 and the door 3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out.

세척조(2)는 내부에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일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washing tub 2 forms a washing space 21 therein and may have an open shape on one side. The opened one surface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3.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세척조(2)의 개방된 일면이 위치한 방향을 세척조(2)의 '전방'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전방'은 X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X축의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세척조(2)의 '측방'은 Y축 방향을 의미하고, '상방'은 Z축의 양의 방향을 의미하며, '하방'은 Z축의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ed one side of the washing tub 2 is located will be defined as the 'front' of the washing tub 2. That is, 'forward' mean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X-axis, and 'rear' means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X-axis. The 'side' of the washing tank 2 means the Y axis direction, the 'upper' mean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 axis, and the 'downward' means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세척조(2)는 세척공간(21)의 바닥을 형성하는 세척조 바닥(23), 한 쌍의 측벽, 후벽, 및 천장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 바닥(23)에는 상기 섬프에 삽입되는 필터(7), 및 분사 암(6)이 결합될 수 있다. 분사 암(6)에서 세척대상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조 바닥(23)으로 낙하하며, 필터(7)를 거쳐 상기 섬프로 회수될 수 있다.The washing tub 2 may include a washing tub bottom 23 forming a bottom of the washing space 21, a pair of side walls, a rear wall, and a ceiling. A filter 7 and an injection arm 6, which are inserted into the sump, may be coupled to the washing tub bottom 23. The washing water injected toward the object to be cleaned in the injection arm 6 falls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23 and can be recovered to the sump via the filter 7.

도어(3)는 하우징(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의 하부가 하우징(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척조(2)를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shing space 2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3 can be hinged to the housing 1. [ In this case, the door 3 can be rotated about the lower part to open / close the washing tub 2.

한편, 도어(3)는 회동 가능해야 하므로 회전축 주변에 어느 정도 여유 공간이 필요하고 세척조(2)와 도어(3) 사이는 완전히 밀폐되지 못할 수도 있다. 즉, 세척조 바닥(23)과 도어(3)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간극을 통하여 세척수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9)가 세척조 바닥(23)과 도어(3) 사이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간극을 통한 세척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oor 3 must be rotatable, a certain amount of space is required around the rotation axis, and the space between the washing tub 2 and the door 3 may not be completely sealed. That is,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washing tub bottom 23 and the door 3, and the washing water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9 shields the gap between the washing tub bottom 23 and the door 3, thereby preventing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gap.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3)는 세척공간(21) 측에 구비되는 내측 판넬(31), 내측 판넬(31)과 대향하며 도어(3)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판넬(33), 및 내측 판넬(31)에 장착되어 세척공간(21)으로 세제 등을 공급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를 닫으면(도 1 참조) 외측 판넬(33)이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3)를 개방하면(도 2 참조) 내측 판넬(3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door 3 includes an inner panel 31 provided at the side of the cleaning space 21 and an outer panel 33 facing the inner panel 31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3, And a dispenser assembly 35 mounted on the inner panel 31 to supply detergent or the like to the cleaning space 21. When the door 3 is closed (see Fig. 1), the outer panel 33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door 3 is opened (see Fig. 2), the inner panel 3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내측 판넬(31)에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장착되는 결합부(32)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32)는 내측 판넬(31)의 일부가 외측 판넬(33)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내측 판넬(3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내부에 세제 및 린스 등을 저장하며, 세척공간(21)을 향하도록 결합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결합부(32) 및 디스펜서 어셈블리(35)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inner panel 31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32 on which the dispenser assembly 35 is mounted. The coupling part 32 is formed by a part of the inner panel 31 being embedd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33 to fix the dispenser assembly 35 to the inner panel 31. The dispenser assembly 35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coupling portion 32 so as to store detergent, rinse, or the like therein and face the washing space 21. The engaging portion 32 and the dispenser assembly 35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외측 판넬(33)에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판넬(8)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판넬(8)은 식기 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81),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83), 식기 세척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anel 33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panel 8 for controlling the dishwasher. The control panel 8 includes a power switch 81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dishwasher, an operation unit 83 for the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hwasher, a display unit 85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hwasher, And the like.

한편, 도 1에는 컨트롤 판넬(8)이 외측 판넬(33)의 일부로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컨트롤 판넬(8)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판넬(8)이 외측 판넬(33)과 별개로 형성되어 하우징(1)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3) 개방 시에도 컨트롤 판넬(8)은 도어(3)와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1, the control panel 8 is formed as a part of the outer panel 3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trol panel 8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control panel 8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outer panel 33 and fixed to the housing 1. In this case, the control panel 8 may not rotate together with the door 3 even when the door 3 is opened.

베이스(4)는 하우징(1)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조(2)가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4)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섬프, 및 스팀 발생 장치 등의 각종 기계 장치들이 수용될 수 있다. The base 4 is provided under the housing 1 and can support the washing tub 2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base 4, and various mechanical devices such as the sump and the steam generator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랙(5)은 세척대상을 수용하며, 세척조(2) 내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에는 세척조(2)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의 랙(5)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 세척기는 상하로 이격된 2개 이상의 랙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rack 5 accommodates the object to be cleaned, and at least one inside the washer 2 can be provided. That is, only one rack 5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2 is shown in FIG. 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hwasher may include two or more racks spaced up and down.

랙(5)은 세척조(2)의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세척조(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랙(5)을 세척조(2)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세척대상을 랙(5)에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세척대상을 랙(5)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The rack 5 can be taken out of the washing tub 2 through the opened one side of the washing tub 2. The user can draw the rack 5 out of the washing tub 2 to accommodate the object to be cleaned in the rack 5 or to remove the object to be cleaned from the rack 5 after the washing has been completed.

상기 섬프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물을 식기 세척기 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물은 분사 암(6)을 통해 랙(5)에 수납된 세척대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분사된 물은 세척조 바닥(23)으로 낙하하고, 필터(7)를 거쳐 상기 섬프로 회수될 수 있다.The sump can receive and store water from the outside, and circulate the stored water in the dishwasher. Specifically,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can be injected into the clean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rack 5 through the injection arm 6. [ The sprayed water falls to the bottom of the washing tank 23 and can be recovered to the sump via the filter 7.

분사 암(6)은 세척조 바닥(2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랙(5)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 때, 분사 암(6)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정지한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경우에 비하여 세척수의 분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기 세척기의 세척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The spray arm 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ashing tub bottom 23 and is capable of spraying wash water toward a clean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rack 5. At this time, since the injection arm 6 injects the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the injection rang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in a stopped state. Thus, the washing effect of the dishwasher can be increased.

한편, 분사 암(6)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랙(5)에 수용된 세척대상과 충돌한 후 세척조 바닥(23)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런데, 세척수가 다양한 방향으로 분사되고 세척대상의 형상도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낙하한 세척수는 다양한 방향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필터(7)를 향해 흐르는 세척수는 상기 섬프로 곧바로 회수될 수 있고, 세척조(2)의 측벽이나 후벽을 향해 흐르는 세척수는 식기 세척기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거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arm 6 collides with the wash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rack 5, and then falls into the washing tub bottom 23. However, since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 various directions and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cleaned is not constant, the dropped washing water can form flows in various directions. The washing water flowing toward the filter 7 can be immediately recovered to the sump and the washing water flowing toward the side wall or the rear wall of the washing tub 2 is hard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그러나, 도어(3)와 세척조 바닥(23) 사이는 완전히 밀폐되지 못하고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세척조(2)의 개방된 일면을 향하여 흐르는 세척수는 식기 세척기 외부로 유출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3)의 내측 판넬(31)과 세척조 바닥(23) 사이에는 실링부재(9)가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9)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도어(3)의 반복적인 개폐에도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조 바닥(23)에 밀착함으로써 세척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gap between the door 3 and the washing tub bottom 23 is not completely sealed and a slight gap is formed, the washing water flowing toward one open side of the washing tub 2 may flow out of the dishwasher. To prevent this, a sealing member 9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panel 31 of the door 3 and the washing tub bottom 23. The sealing member 9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can maintain its shape even when the door 3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Further, the washing water can be effectively blocked by bringing i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shing tub bottom 23.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디스펜서 어셈블리(35) 및 그 결합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ispenser assembly 35 and its coup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3은 도 1의 도어 내측 판넬과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에서 도어의 외측 판넬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디스펜서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A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door inner panel and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panel of the door is removed in the dish washer of FIG. 1. FI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ure 4;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assembly is removed in Fig.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3)의 내측 판넬(31)에는 결합부(32)가 구비되고,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상기 결합부(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3 to 6, the inner panel 31 of the door 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32, and the dispenser assembly 35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2.

결합부(32)는 내측 판넬(31)의 일부가 외측 판넬(33) 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되며, 외측 판넬(3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즉,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결합부(32)는 외측 판넬(33)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32 is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inner panel 31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33 and can be shielded by the outer panel 33. That is, when the door is closed, the engaging portion 32 may be covered by the outer panel 33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결합부(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소모품으로써, 필요에 따라 내측 판넬(31)의 결합부(32)에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부(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dispenser assembly 3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32. That is, the dispenser assembly 35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2 of the inner panel 31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ortion 32 as a consumable item, if necessary.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내측 판넬(31)의 결합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펜서 바디(351), 디스펜서 바디(351)에 결합되어 세척공간(21)으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공급부(353), 및 디스펜서 바디(351)에 결합되어 세척공간(21)으로 린스를 공급하는 린스 공급부(35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바디(351)가 내측 판넬(31)의 결합부(32)에 삽입됨으로써 세제 공급부(353)와 린스 공급부(355)는 세척공간(21)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5, the dispenser assembly 35 includes a dispenser body 351 detachably mounted on the coupling portion 32 of the inner panel 31, a cleaning space 21 coupled to the dispenser body 351, A detergent supply unit 353 for supplying the detergent to the dispenser body 351 and a rinsing supply unit 355 for supplying the rinsing to the cleaning space 21 by being connected to the dispenser body 351. The dispenser body 351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portion 32 of the inner panel 31 so that the detergent supply portion 353 and the rinsing supply portion 355 can be installed to face the cleaning space 21.

디스펜서 바디(351) 내부에는 세제 공급부(353) 및 린스 공급부(355)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etergent supply unit 353 and the rinse supply unit 355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may be provided in the dispenser body 351. [

세제 공급부(353)는 세제가 수용되는 챔버(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는 세제함(3531), 세제함(35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세제함 커버(3533), 및 세제함 커버(3533)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개방부(35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unit 353 includes a detergent case 3531 that forms a chamber (not shown) in which detergent is received, a detergent compartment cover 3533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detergent compartment 3531, and a detergent compartment cover 3533 And an opening 3535 for manually opening.

도어(3)가 개방되면, 세제함 커버(3533)는 상방을 향하게 된다. 이때 개방부(3535)를 누르면, 세제함 커버(3533)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세제함(3531) 내부가 노출되며, 세제를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세제 투입 후 세제함 커버(3533)를 원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세제함(3531)을 다시 폐쇄할 수 있다.When the door 3 is opened, the detergent compartment cover 3533 faces upward. At this time, when the opening 3535 is pushed, the detergent compartment cover 3533 slides to expose the inside of the detergent container 3531, and the detergent can be put in. The user can close the detergent box 3531 again by sliding the detergent compartment cover 3533 back into place after the detergent has been charged.

이후,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척 행정이 진행되며, 디스펜서 바디(351) 내부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세제함 커버(3533)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reafter, the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ed course, and the detergent cover 3533 can be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in the dispenser body 351.

린스 공급부(355)는 내부에 린스가 수용되는 린스함(3551), 린스함(355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린스함(355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린스함 커버(3553), 및 린스함 커버(3553)에 형성된 다수개의 린스 토출구들(355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린스함 커버(3553)를 열어 린스함(3551) 내부에 린스를 보충할 수 있으며, 상기 린스는 린스 토출구(3555)를 통해 세척 공간(21)으로 공급될 수 있다.The rinse feeder 355 includes a rinse case 3551 in which the rinse is received, a rinse case cover 3553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nse case 355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rinse case 3551, And a plurality of rinse outlets 3555 formed in the discharge port 3553. The user can open the rinse case cover 3553 and replenish the rinse inside the rinse case 3551. The rinse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space 21 through the rinse outlet 3555. [

한편, 도 5에는 린스함 커버(3553)가 린스함(355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린스함 커버(3553) 역시 세제함 커버(3533)와 유사하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5, the rinsing cover 355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insing box 355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insing compartment cover 3553 may also b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similarly to the detergent compartment cover 353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는 내측 판넬(31)의 일부가 외측 판넬(33) 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세척 공간(21)을 향해 지나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어(3)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2 참조)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내측 판넬(33) 상부로 너무 많이 돌출되면, 랙(5)의 인출이 원활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6, the engaging portion 32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inner panel 31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33. As shown in FIG. This is to prevent the dispenser assembly 35 from being excessively projected toward the cleaning space 21. [ This is because, if the dispenser assembly 35 protrudes too much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anel 33 in a state where the door 3 is opened (see FIG. 2), the draw-out of the rack 5 may not be smooth.

결합부(32)는 디스펜서 바디(351)가 삽입되는 개구(321), 및 개구(321)에 삽입된 디스펜서 바디(351)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플랜지들(3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32 may include an opening 321 into which the dispenser body 351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flanges 322 that fasten the dispenser body 351 inserted into the opening 321.

개구(321)는 디스펜서 바디(35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디스펜서 바디(351)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펜서 바디(351), 및 결합부(32)의 개구(321)가 모두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ning 3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enser body 351 and may have a siz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the dispenser body 351. Hereinafter, only the case where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opening 321 of the engaging portion 32 have a rectangular shape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플랜지(322)는 개구(321)의 주변에서 외측 판넬(33) 방향으로 돌출되어, 개구(321)로 삽입되는 디스펜서 바디(351)와 접촉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321)가 사각형 형상인 경우, 개구(321)의 네 변으로부터 외측 판넬(33) 방향(X축의 양의 방향)으로 4개의 플랜지(322)가 각각 돌출될 수 있다.The flange 322 may protrude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321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33 and may contact the dispenser body 351 inserted into the opening 321. [ 6, four flanges 322 project from the four sides of the opening 321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33 (positive direction of the X axis) .

이와 달리, 플랜지(322)는 내측 판넬(31)로부터 세척공간(21)을 향해 돌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돌출된 플랜지(322)로 인해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개구(321)로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는, 플랜지(322)가 외측 판넬(33)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flange 322 may protrude from the inner panel 31 toward the cleaning space 21. However,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to insert the dispenser assembly 35 into the opening 321 due to the protruding flange 322. Therefore, in order to easily insert or separate the dispenser assembly 35,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322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anel 33.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322)는 내측 판넬(31)에서 외측 판넬(33) 방향으로 연장하되, 반대편 플랜지(32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플랜지(322)의 말단이 개구(321)의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322)는 디스펜서 바디(351)를 압박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개구(3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lange 322 may extend from the inner panel 31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er panel 33 and may extend obliquely toward the opposite flange 322. In one embodiment, That is, the distal end of the flange 322 can extend obliquely toward the inside of the opening 321. In this case, the flange 322 may press the dispenser body 351 to prevent the dispenser assembly 35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ing 321.

또한, 플랜지(322)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322)들은 반대편 플랜지(322)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대향하는 플랜지(322)들의 말단부 사이의 간격은 개구(321)의 폭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 바디(351)는 플랜지들(322)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개구(321)에 삽입될 수 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플랜지들(322)은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디스펜서 바디(351)의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랜지들(322)이 디스펜서 바디(351)의 외측을 강하게 압박하고, 이 힘을 통해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내측 판넬(3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22)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flange 32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pecifically, since the flanges 322 extend obliquely toward the opposite flange 322, the spacing between the distal ends of the opposing flanges 322 may be less than the width of the openings 321. Accordingly, the dispenser body 351 has to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21 while pushing the flanges 322 outward, and in this process, the flanges 322 are elastically deformed. After the insertion of the dispenser body 351 is completed, the flange 322 strongly presses the outer side of the dispenser body 35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nd the dispenser assembly 35 is moved to the inner panel 31 It can be firmly fix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nge 32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322)는 말단의 일부가 주변보다 더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말단 일부만이 디스펜서 바디(351)와 접촉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flange 322 projects more than the periphery,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projected distal end may contact the dispenser body 351.

구체적으로, 도 6에서 개구(321)의 상부와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22)는 그 폭이 일정한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6에서 개구(321)의 양 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322)의 말단 일부가 주변보다 더 돌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돌출된 말단 부분만 디스펜서 바디(351)와 접촉하게 되고, 플랜지(322) 전체가 디스펜서 바디(351)와 접촉하는 경우보다 더 쉽게 디스펜서 바디를 결합부(32)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6, the flanges 322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constant width,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321. Alternatively, a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flange 322 may project more than the periphery, as shown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321 in FIG. In this case, only the protruding end po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enser body 351, so that the dispenser body can be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ortion 32 more easily than when the entire flange 322 contacts the dispenser body 351 do.

한편, 디스펜서 바디(351)는 결합부(32)의 개구(321)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어야 한다. 이는 디스펜서 바디(351)가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지 못하면 플랜지(322)가 파손되거나 또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penser body 351 should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depth into the opening 321 of the engaging portion 32. This is because if the dispenser body 351 is not inserted at an appropriate depth, the flange 322 may be broken or the dispenser assembly 35 may not be smoothly operated.

구체적으로, 디스펜서 바디(351)를 너무 얕은 깊이로 삽입하면 디스펜서 바디(351)가 플랜지(322)와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므로,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펜서 바디(351)를 너무 깊이 삽입하면 플랜지(322)가 손상(소성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펜서 어셈블리(35)와 내측 판넬(31) 사이의 간섭에 의해 세제 공급부(353)나 린스 공급부(355)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Specifically, when the dispenser body 351 is inserted at a too shallow depth, the dispenser body 351 may not sufficiently contact the flange 322, so that the dispenser assembly 35 may not be firmly fixed. Alternatively, if the dispenser body 351 is inserted too deeply, the flange 322 may be damaged (plastically deformed). In addition, the detergent supply unit 353 and the rinse supply unit 355 may not operate normally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dispenser assembly 35 and the inner panel 31.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결합부(32)의 개구(321)에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적절한 깊이’의 기준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숙련공의 경험적 노하우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모든 설치기사가 숙련공일 수는 없으며, 기종에 따라 적절한 삽입 깊이가 다를 수도 있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00)를 사용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결합 지그(100)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enser assembly 35 should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depth into the opening 321 of the engaging portion 32. However, since the criterion of the 'adequate depth' is unclear, it is a reality that it relies on the expert know-how of skilled workers. However, not all installers can be skilled, and depending on the model, the proper insertion depth may va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enser assembly 35 can be inserted at an appropriate depth by using the coupling jig 100 for the dispenser assembly, thereby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joining jig 1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한편, 디스펜서 어셈블리(35)는 플랜지(322)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플랜지(322)를 디스펜서 어셈블리(35)와 이격시켜야 한다. 그러나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위한 전용 분리 장치가 없기 때문에 일자 드라이버나 끌 등의 공구를 디스펜서 어셈블리(35)와 플랜지(322) 사이에 삽입하여 플랜지(322)를 디스펜서 어셈블리(35)로부터 강제로 이격시키고 있다. 이 경우 드라이버 삽입에 의해 플랜지(322)가 파손될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322)가 파손되지 않도록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를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since the dispenser assembly 35 is fixed by the flange 322, the flange 322 must be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assembly 35 in order to separate the dispenser assembly 35. However, since there is no dedicated separation device for the dispenser assembly 35, a tool such as a flat screwdriver or a chisel is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assembly 35 and the flange 322 to force the flange 322 apart from the dispenser assembly 35 I have to.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that the flange 322 is broken by the driver insertion is considerably lar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ng jig 200 for a dispenser assembly that can easily separate the dispenser assembly 35 so that the flange 322 is not broke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를 사용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도어의 내측판넬에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dispenser assembly to the inner panel of the door using the coupl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00)는 디스펜서 바디(351)를 지지하는 지지부(110), 및 내측 판넬(31)에 접촉하여 디스펜서 바디(35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측벽(120)을 포함한다.7 and 8, the joining jig 100 for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a support 110 for supporting the dispenser body 351,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dispenser body 351 in contact with the inner panel 31, (Not shown).

이때,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00)는 디스펜서 바디(351)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 바디(351)가 육면체 형상인 경우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00)도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00)는 결합부(32)에 접촉하여 개구(321)로 삽입된 디스펜서 바디(351)를 수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jig 100 for the dispenser assembly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penser body 35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dispenser body 351 has a hexahedral shape, the coupling jig 100 for a dispenser assembly may have a hexahedral box shape with one side open. The engaging jig 100 for the dispenser assembly contacts the engaging portion 32 to receive the dispenser body 351 inserted into the opening 321. [

결합부(32)에 삽입된 디스펜서 바디(351)는 지지부(110)와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110)는 디스펜서 바디(351)를 지지함으로써,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ispenser body 351 inserted into the coupling part 32 can contact the support part 110. [ The support 110 supports the dispenser body 351 so that the dispenser assembly 35 is no longer inser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110)에는 관통홀(1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11)은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결합되는 과정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11. The through hole 111 allows the user to observe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dispenser assembly 35 with the naked eye, thereby improving ease of operation.

측벽(120)은 지지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지지부(110)를 둘러쌀 수 있다. 측벽(120)은 결합부(32)의 개구(321)로 삽입된 디스펜서 바디(351)를 감싸며, 그 말단은 내측 판넬(31)의 결합부(32)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측벽(120)은 내측 판넬(31)의 결합부(32)와 지지부(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ide wall 120 may be bent upward from the support 110 to surround the support 110. The side wall 120 surrounds the dispenser body 351 inserted into the opening 321 of the engaging portion 32 and the end of the dispenser body 351 can contact the engaging portion 32 of the inner panel 31. That is, the side wall 120 can adjust the insertion depth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by keeping the interval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32 of the inner panel 31 and the supporting portion 110 constant.

이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110)의 크기 및 측벽(120)의 높이는 식기 세척기나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식기 세척기나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종류에 맞는 결합 지그(100)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적절한 깊이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판넬(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height of the side wall 12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hwasher or dispenser assembly. The operator can insert the dispenser assembly 35 at an appropriate depth by simply selecting the coupling jig 100 that matches the type of dishwasher or dispenser assembly. As a result, breakage of the inner panel 31 can be prevented an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9(b)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의 저면을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를 사용하여 도어의 내측판넬에서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shows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and Fig. 9 (b) shows the bottom surface of the separat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penser assembly from the inner panel of the door using the separation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FIG.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와 플랜지(322) 사이에 삽입되어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플랜지(322)와 이격시킬 수 있다.9 to 11, a separation jig 200 for a dispenser assembly may be inserted between a dispenser assembly 35 and a flange 322 to separate the dispenser assembly 35 from the flange 322.

구체적으로,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되는 제1 분리 지그(210), 및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측부에 삽입되는 제2 분리 지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parating jig 200 for the dispenser assembly includes a first separating jig 210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and a second separating jig 220 inserted into a side por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 . ≪ / RTI >

이때,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상부’, ‘하부’ 및 ‘측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가 닫히고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장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 방향이다. 즉,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Z축의 양의 방향을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상부’로 정의하고, Z축의 음의 방향은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하부’로 정의한다. 또한, Y축의 양의 방향 및 음의 방향은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측부’가 된다. 한편, 도 10에는 제1 분리 지그(210)가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하부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분리 지그(210)가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상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upper', 'lower' and 'sides'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are directions defined by reference to a state in which the door 3 is closed and the dispenser assembly 35 is mounte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Z axis is defined as the 'upper'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while the door 3 is closed, and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Z axis is defined as the 'lower'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directions of the Y-axis are the 'sides'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10, the first separating jig 21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However, the first separating jig 210 is not inserted into the dispenser assembly 35, .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의 개구(321)가 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개의 분리 지그(210, 220)가 필요하다. 즉, 4개의 플랜지들(322) 중에서 적어도 3개의 플랜지(322)가 디스펜서 바디(351)로부터 이격되어야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가 1개의 제1 분리 지그(210)와 2개의 제2 분리 지그(220)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분리 지그(200)는 2개의 제1 분리 지그(210)와 1개의 제2 분리 지그(220)로 구성될 수도 있다.6, when the opening 321 of the coupling part 32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least three separation jigs 210 and 220 are provided to easily separate the dispenser assembly 35 need. That is, at least three flanges 322 out of the four flanges 322 must be spaced from the dispenser body 351 so that the dispenser assembly 35 can be easily sepa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a case where the separating jig 200 for a dispenser assembly is composed of one first separating jig 210 and two second separating jig 220 will be described below.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paration jig 200 may include two first separation jigs 210 and one second separation jig 220.

도 9(a) 및 도 9(b)를 다시 참조하면, 제1 분리 지그(210)는 제1 손잡이(211), 제1 손잡이(21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 삽입부(213), 및 제1 손잡이(211)와 제1 삽입부(213)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1 걸림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9A and 9B, the first separating jig 210 includes a first handle 211, a first insert 213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handle 211, And a first latching part 215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handle 211 and the first insertion part 213.

제1 손잡이(211)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손잡이(211)를 파지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제1 삽입부(213)를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로 삽입할 수 있다.The first handle 211 may have a plate shap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grasp it. The operator can insert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flange 322 by applying a force while holding the first handle 211.

제1 손잡이(211)의 일면에는 제1 미끄럼 방지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미끄럼 방지부(212)는 제1 손잡이(211)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새겨진 글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미끄럼 방지부(212)는 작업자의 손과 제1 손잡이(211)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손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 first non-slip portion 212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handle 211. For example, the first non-skid portion 212 may include engraved engraved or embossed character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handle 211. In this case, the first non-slip portion 212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operator's hand and the first grip 211,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by hand slip.

또한, 제1 미끄럼 방지부(212)는 작업자에게 분리 지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미끄럼 방지부(212)는 분리 지그의 삽입 위치(Bottom) 및 삽입 방향(Outside)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삽입 방향에 대한 정보는 후술할 경사면(214)의 위치와 관계된다.In addition, the first non-slip prevention part 212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paration jig to the operat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 the first non-slip portion 212 may provide information on an insertion position (Bottom) and an insertion direction (Outside) of the separation jig.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about the insertion direction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slope 214 described later.

제1 삽입부(213)는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1 삽입부(213)는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를 이격시켜, 디스펜서 어셈블리(35)가 결합부(3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is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and the flange 322.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separates the dispenser body 351 from the flange 322 so that the dispenser assembly 35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ortion 32.

한편, 제1 삽입부(213)는 얇고 긴 하나의 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강도가 약해 쉽게 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삽입부(213)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짧은 판들로 구성(도 9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may have a thin and long plate shape, but in this cas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is weak in strength and can be easily broke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insertion portions 213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hort plates spaced from each other (see FIG. 9).

제1 삽입부(213)의 말단에는 제1 경사면(2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214)은 제1 삽입부(213)의 두께가 말단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부(213)가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surface 214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The first inclined surface 214 allows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to be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distal end. Accordingly,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flange 322. [

제1 걸림부(215)의 두께는 제1 삽입부(213)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제1 걸림부(215)는 작업자의 손이 제1 삽입부(213)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latching portion 215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 The first latching portion 215 prevents the operator's hand from slipp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3,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또한, 제1 걸림부(215)는 디스펜서 바디(351)의 후면 또는 플랜지(322)와 접촉하여 스탑퍼(stopp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215)는 제1 삽입부(213)보다 두껍기 때문에, 제1 걸림부(215)는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로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걸림부(215)가 디스펜서 바디(351)의 후면 또는 플랜지(322)의 말단과 접촉하면, 제1 삽입부(213)는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215)는 제1 삽입부(213)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latching part 215 may contact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351 or the flange 322 to serve as a stopper. That is, since the first latching portion 215 is thicker tha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the first latching portion 215 is not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flange 322. Therefore, when the first latching portion 2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body 351 or the end of the flange 322,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can not be inserted any more. According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5 can limit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3.

제2 분리 지그(220)의 형상 및 구성은 제1 분리 지그(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제2 분리 지그(220)에 대해서는 구성만을 간략히 설명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separation jig 210. Accordingly,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다만, 제1 분리 지그(210)와 제2 분리 지그(220)의 삽입 위치가 상이하기 때문에, 그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는 제2 분리 지그(220)가 제1 분리 지그(210)보다 더 작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분리 지그(220)의 크기가 제1 분리 지그(210)보다 더 클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insertion positions of the first separation jig 210 and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are different, the siz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IGS. 9 to 10 show a case where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is smaller than the first separation jig 210. FIG. Alternatively, the size of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separation jig 210.

제2 분리 지그(220)는 제2 손잡이(221), 제2 손잡이(221)로부터 연장되는 제2 삽입부(223), 및 제2 손잡이(221)와 제2 삽입부(223)의 경계를 형성하는 제2 걸림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손잡이(221)의 일면에는 제2 미끄럼 방지부(222)가 구비되고, 제2 삽입부(223)의 말단에는 제2 경사면(224)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eparating jig 220 includes a second handle 221, a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extending from the second handle 221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extending from the second handle 221 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215 for forming the latching portion. A second slip prevention part 222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handle 221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224 may be provided o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art 223.

한편,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는 복수개의 분리 지그들(210, 220)을 연결하는 결합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230)는 분리 지그들(210, 220)을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분리 지그들(210, 220) 중의 일부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parating jig 200 for the dispense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member 2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eparating jigs 210 and 220. The coupling member 230 can prevent a part of the separation jigs 210 and 220 from being lost by connecting the separation jigs 210 and 220 together.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를 사용하여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내측 판넬(31)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penser assembly 35 from the inner panel 31 using the separation jig 200 for dispense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펜서 어셈블리(35)와 플랜지(322) 사이에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200)를 삽입하여 플랜지(322)를 디스펜서 어셈블리(35)와 이격시킨다.10 and 11, a separating jig 200 for a dispenser assembly is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assembly 35 and the flange 322 to separate the flange 322 from the dispenser assembly 35.

구체적으로, 제1 분리 지그(210)의 제1 삽입부(213)와 제2 분리 지그(220)의 제2 삽입부(223)가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로 삽입되어 이들을 서로 이격시킨다. 이 경우, 분리 지그들(210, 220)의 삽입 위치 및 삽입 방향은 제1 및 제2 미끄럼 방지부(212, 222)에 표시된 내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3 of the first separation jig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of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are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flange 322, It is separated. In this case, the inserting position and inserting direction of the separating jigs 210 and 22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ents indicated on the first and second non-slip parts 212 and 222.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리 지그(220)를 디스펜서 어셈블리(35)의 측부에 제2 미끄럼 방지부(222)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이어서 제2 분리 지그(220)를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에 비스듬히 삽입한다. 이때 제2 경사면(224)이 디스펜서 바디(351)에 접촉하게 되는데, 제2 경사면(224)은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디스펜서 바디(351)와 플랜지(322)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제2 손잡이(221)를 회전시켜 제2 삽입부(223) 전체가 디스펜서 바디(351)와 접촉하도록 한다. 제2 삽입부(223)의 두께는 제2 경사면(224)의 두께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제2 삽입부(223)의 두께만큼 플랜지(322)가 디스펜서 바디(351)에서 이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penser assembly 35 so that the second non-slip part 222 faces outward. The second separation jig 220 is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flange 322 at an angle. At this tim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4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body 351 and the flange 322 since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24 is relatively thin. Thereafter, the second handle 221 is rotated so that the entire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enser body 351. The flange 322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dispenser body 351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sin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3 is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loping surface 224. [

복수개의 분리 지그들(210, 220)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이후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잡아당겨 디스펜서 바디(351)를 결합부(3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for the plurality of separation jigs 210 and 220. Thereafter, the dispenser body 35 is pulled out in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X-axis to separate the dispenser body 351 from the engaging portion 32.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분리 지그를 사용하면 도어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디스펜서 어셈블리(35)를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dispenser assembly 35 to be easily engaged or disassembled without damaging the door.

1: 하우징 2: 세척조
21: 세척공간 23: 세척조 바닥
3: 도어 31: 내측 판넬
32: 결합부 321: 개구
322: 플랜지 33: 외측 판넬
35: 디스펜서 어셈블리 351: 디스펜서 바디
353: 세제 공급부 355: 린스 공급부
4: 베이스 5: 랙
6: 분사 암 7: 필터
8: 컨트롤 판넬 9: 실링부재
100: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
110: 지지부 120: 측벽
200: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
210, 220: 제1, 제2 분리 지그 211, 221: 제1, 제2 손잡이
212, 222: 제1, 제2 미끄럼 방지부 213, 223: 제1, 제2 삽입부
214: 224: 제1, 제2 경사면 215, 225: 제1, 제2 걸림부
230: 결합부재
1: Housing 2: Washing tank
21: washing space 23: washing tub bottom
3: Door 31: Inner panel
32: engaging portion 321: opening
322: Flange 33: Outer panel
35: dispenser assembly 351: dispenser body
353: Detergent supply part 355: Rinse supply part
4: Base 5: Rack
6: injection arm 7: filter
8: Control panel 9: Sealing member
100: Coupling jig for dispenser assembly
110: support part 120: side wall
200: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210, 220: first and second separation jigs 211, 221: first and second grips
212, 222: first and second non-slip portions 213, 223: first and second insertion portions
214: 224: first and second inclined surfaces 215, 225: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30:

Claims (14)

식기 세척기의 도어 내측 판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상기 내측 판넬에서 분리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에 있어서,
판 형상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서 연장하며, 상기 내측 판넬과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내측 판넬을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
A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for separating a dispenser assembly detachably mounted on a door inner panel of a dishwasher from the inner panel,
Handle in plate form; And
And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handle and inserted between the inner panel and the dispenser assembly to separate the inner panel from the dispenser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말단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dispensing jig for dispenser assemblie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 comprises a plurality of plates spaced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일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handle has a non-slip part formed on a side of the hand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dispensing jig for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non-skid portion displays information on an insertion position or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삽입부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separat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part forming a boundary between the handle and the insert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두께는 상기 삽입부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dispensing jig for dispens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thickness of the latching part is larger than a thickness of the insertion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후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dispensing jig for dispenser assemblie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atch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dispenser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내측 판넬과 대향하며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 판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판넬은,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 및
상기 개구의 주변에서 상기 외측 판넬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개구에 삽입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파지하는 복수개의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or further comprises an outer panel facing the inner panel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Wherein the inner panel comprises:
An opening for mounting the dispenser assembly; And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ward the outer panel and holding the dispenser assem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The dispensing jig of claim 9, wherein the insert is inserted between the dispenser assembly and the fla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분리 지그; 및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의 측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분리 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분리 지그.
The dispens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ng jig for the dispenser assembly of the dishwash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separation jig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And
And at least one second separation jig inserted into a side portion of the dispenser assembly.
식기 세척기의 도어 내측 판넬에 형성된 개구에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내측 판넬의 후방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내측 판넬의 후면에 접촉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
A coupling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for detachably mounting a dispenser assembly in an opening formed in a door inner panel of a dishwasher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dispenser assembly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inner panel through the opening; And
And a sidewall bent at the support portion and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pane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3. The combination jig for a dispenser assembly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observing the dispenser assembly with the naked ey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개구로 삽입된 상기 디스펜서 어셈블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디스펜서 어셈블리용 결합 지그.13. The combination jig of claim 12, wherein the side walls enclose the dispenser assembly inserted into the opening.
KR1020160172270A 2016-12-16 2016-12-16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KR20180070051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70A KR20180070051A (en) 2016-12-16 2016-12-16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US15/839,296 US20180168424A1 (en) 2016-12-16 2017-12-12 Coupling and decoupling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washer
EP17206984.1A EP3335614A1 (en) 2016-12-16 2017-12-13 Coupling and decoupling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70A KR20180070051A (en) 2016-12-16 2016-12-16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51A true KR20180070051A (en) 2018-06-26

Family

ID=6067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70A KR20180070051A (en) 2016-12-16 2016-12-16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68424A1 (en)
EP (1) EP3335614A1 (en)
KR (1) KR201800700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74U (en) 2018-08-21 2020-03-03 경수 예 Dishwasher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430997A (en) * 1997-03-27 1998-10-22 Littelfuse, Inc. Resettable automotive circuit protection device
KR20070008806A (en) * 2005-07-12 200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h washer
KR200469343Y1 (en) * 2012-02-09 2013-10-08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Jig for sperating case having the looking lib
US9155446B2 (en) * 2012-07-12 2015-10-1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door mounted dispenser assembly
BR202013008791Y1 (en) * 2013-04-11 2018-12-26 Alessandro José De Oliveira lever kit
US20140357106A1 (en) * 2013-05-30 2014-12-04 Mellanox Technologies Ltd. Connector extraction tool
KR200473870Y1 (en) * 2013-11-18 2014-08-06 (주)리젠아이 Disassembling tool for electron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474U (en) 2018-08-21 2020-03-03 경수 예 Dishwasher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8424A1 (en) 2018-06-21
EP3335614A1 (en)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88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dispensing drawer
EP3037582A1 (en) An accessory applicable to a household appliance for washing laundry and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the accessory
EP2160127B1 (en) Dish washing machine
CN112135935A (en) Ultrasonic cleaning device
KR20180070051A (en) Coupling and separation jig for dispenser assembly of dish washer
MX2007004668A (en) Dispenser rinse system for a drawer-type dishwasher.
KR20080077980A (en) Dishwasher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the feed device in the door
CN111093455B (en) Dish-washing machine
CN112118916A (en) Ultrasonic cleaning device
KR102491972B1 (en) Dish Washer
KR100892672B1 (en) Dispenser for dish washer
JP4653349B2 (en) Dishwasher
JP2014235983A (en) Plug socket device
JP6621007B2 (en) Cooktop
KR20070089720A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CN109072532B (en) Laundry treating machine with drawer assembly
JP2002051959A (en) Draw out type dishwasher
CN217052746U (en) Liquid storage box, feeding assembly and washing equipment
US20220233049A1 (en) Dosing unit, water-bearin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KR20060120925A (en) Detergent providing apparatus of drum washing machine
KR100707429B1 (en) Dish washer
JP2005080783A (en) Game machine
EP3739107A1 (en) Water-bearin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ter-bearing household appliance
KR20170025986A (en) Dishwasher
KR20170021600A (en) Dishwas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