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045A -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045A
KR20180070045A KR1020160172259A KR20160172259A KR20180070045A KR 20180070045 A KR20180070045 A KR 20180070045A KR 1020160172259 A KR1020160172259 A KR 1020160172259A KR 20160172259 A KR20160172259 A KR 20160172259A KR 20180070045 A KR20180070045 A KR 2018007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lant
main body
filter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444B1 (ko
Inventor
김학수
강현식
정민우
이병찬
쿠니유키 토쿠나가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2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4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 공간이 구비되고 내부로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본체부,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청정 필터부를 포함하여 식물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고, 공기 청정 효과를 향상시키며, 소형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광촉매 활성탄필터를 사용하여 필터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켜 필터 교체에 따른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절감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AIR CLEANER USING PLANT}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발명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필터의 교체 주기를 증대시키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사람의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데, 자동차의 배기가스나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인해 도심의 공기는 심각한 오염상태에 있다. 도심의 공기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오존을 비롯한 각종 산화제, 미세먼지 등 다양한 오염물질들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미세먼지 등의 공기가 오염되면서 각광받고 있는 가전제품이 공기청정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가 유입된 후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종 유해물질이 걸러지고, 깨끗한 공기만 실내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기 위해 다양한 필터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필터를 통한 여과기능 외에도 음이온을 생성하여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3509호 ‘음이온 발생 및 회전 집진판을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음이온 발생 및 회전 집진판을 이용한 습식 공기청정기’는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점은 있으나 다른 통상의 공기 청정기와 동일하게 필터를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의 효율과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 필터의 크기를 일정크기 이상으로 제조하고 있어 공기 청정기의 전체 크기를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없고, 공기 청정기의 크기에 비해 효율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의 공기 청정기는 높은 제조 비용으로 판매가가 비싸고, 잦은 필터 교체로 인해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필터 교체의 주기가 증대되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며, 식물을 통한 인테리어 효과와 공기 청정 효과 증대를 얻을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부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 공간이 구비되고 내부로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본체부,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청정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은 에어플랜트이고, 상기 공기 청정 필터부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필터 및 상기 공기 정화필터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광촉매 활성탄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식물 및 광촉매 활성탄필터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는 송풍기가 수납되는 제1서랍부재, 제1서랍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기 정화필터가 수납되는 제2서랍부재, 제2서랍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광촉매 활성탄필터가 수납되는 제3서랍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체는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바닥면 상부에 장착되어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제1LED; 및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광촉매 활성탄필터에 빛을 조사하는 제2LED를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광원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태엽구조의 태엽 권취부를 더 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체는 식물재배 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에 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식물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체는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식물 삽입부와 마주보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광원체의 빛을 공기 배출구 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반사부재는 경사면이 식물재배 공간의 바닥면과 마주볼 수 있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내부로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본체부,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촉매 활성탄필터,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광촉매 활성탄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고, 공기 청정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형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광촉매 활성탄필터를 사용하여 필터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켜 필터 교체에 따른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절감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필터와 팬을 서랍식으로 수납하여 교체 및 정비가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상부에 식물(1)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 공간(110)이 구비된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는 내부에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 청정 필터부(300) 및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에는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102a)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01a)가 구비된다.
식물재배 공간(110)은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함몰된 형태로 혀성되고,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에 다수의 공기 배출구(101a)가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식물(1)은 키우는 데 흙이 필요없는 에어 플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플랜트는 땅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잎을 통해 영양분을 섭취하는 식물로 대표적으로 틸란드시아 이오난사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틸란드시아 이오난사와 같은 에어 플랜트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것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되어 공기 정화 능력을 향상시킨다.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는 공기 청정 필터부(300)와 송풍기(200)를 수납하며 인출할 수 있는 복수의 서랍부재(120)를 구비한다.
서랍부재(120)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면부(102)에 공기가 통과되는 제1공기 통과공(120a)이 구비된다.
또한,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에는 서랍부재(120)를 구분하고 서랍부재(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서랍구획판(130)이 구비되고, 서랍구획판(130)에는 제1공기 통과공(120a)과 연통되는 제2공기 통과공(130a)이 구비된다.
공기 청정 필터부(300)는 송풍기(20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필터(310) 및 공기 정화필터(31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필터(310)는 공지의 공기 정화필터(310)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는 활성탄 필터의 표면에 광촉매 코팅액을 도포하여 경화시킨 것을 일 예로 한다.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냄새, 습기 등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즉,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하면부(102) 상에 송풍기(200)가 위치되고, 송풍기(200) 상에 공기 정화필터(310)와 광촉매 활성탄필터(320)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하면부(102)에는 공기 유입구(102a)가 형성되고,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부면 즉,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 상에 공기 배출구(101a)가 형성된다.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는 송풍기(200)가 수납되는 제1서랍부재(121), 제1서랍부재(121)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기 정화필터(310)가 수납되는 제2서랍부재(122), 제2서랍부재(122)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광촉매 활성탄필터(320)가 수납되는 제3서랍부재(12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서랍부재(121), 제2서랍부재(122), 제3서랍부재(123)의 하면부(102)에는 각각 제1공기 통과공(120a)이 구비된다. 제1공기 통과공(120a)은 공기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 및 개수로 형성되며 그 형상 및 크기,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공기 정화필터(310),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는 제1서랍부재(121)와 제2서랍부재(122) 내에 수납되어 제1서랍부재(121)와 제2서랍부재(122)를 빼낸 상태에서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송풍기(200)의 팬은 제3서랍부재(123) 내에 수납되어 제3서랍부재(123)를 빼낸 상태에서 먼지 등을 간단하게 청소할 수 있고, 보수 또는 정비가 간편하게 가능하다.
송풍기(200)의 팬이 회전하면서 공기 청정기 본체의 하면부(102)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02a)를 통해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제1공기 통과공(120a)과 제2공기 통과공(130a)을 통해 공기가 하부에서 상부 측으로 이동하면서 공기 정화필터(310)와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면부(101)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01a)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식물 및 광촉매 활성탄필터(320)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체(400)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LED인 것을 일 예로 한다.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인 장점이 있다.
광원체(400)는 식물(1)로 빛을 조사하여 식물(1)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과 동시에 광촉매 활성탄필터(320)에 자외선을 조시하여 광촉매를 활성화여 필터를 재생한다.
즉,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는 유해물질이 흡착되어도 자외선에 의한 광촉매가 활성되어 재생되고, 이에 따라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이 증가하고 필터의 수명이 증가하여 필터의 교체 주기가 크게 증가 되어 필터의 소모를 최소화한다.
광원체(400)는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는 제1LED(410)를 포함하고, 공기 배출구(101a)를 통해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 내에서 최상층에 위치하는 광촉매 활성탄필터(32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광원체(400)는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 상부에 장착되는 제1LED(410) 및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 내에 장착되어 광촉매 활성탄필터(320)에 빛을 조사하는 제2LED(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LED(420)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면부(101)의 하면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하부 측의 광촉매 활성탄필터(320)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LED(410) 및 제2LED(420)는 기판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의 LED 광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광원체(400)는 제1LED(410)를 통해 식물재배 공간(110) 내 식물(1)로 빛을 조사하여 식물(1)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 제2LED(420)를 통해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활성탄필터(320)가 원활하게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 내에 구비되며 송풍기(200) 및 광원체(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및 제어부(50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600)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지인 것을 일 예로 하며,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충전용 단자(610)가 노출된다.
전원공급부(600)는 충전용 단자(610)를 통해 충전 케이블(611)이 연결됨으로써 충전되어 사용될 수 있고, 실내의 전원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제어부(5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송풍기(200) 및 광원체(400)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고, 하나의 온오프 스위치를 통해 송풍기(200) 및 광원체(400)의 작동을 동시에 온오프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송풍기(200)와 제어부(500)를 연결하는 전선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태엽구조의 태엽 권취부(700)를 더 포함하여 제3서랍부재(123)가 빼내어지거나 삽입될 때 송풍기(200)와 제어부(500)를 연결하는 전선이 태엽 권취부(700)를 통해 인출되거나 다시 감겨지도록 한다.
태엽 권취부(700)의 구조는 공지의 전선을 자동으로 감는 태엽구조의 권취구를 선택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태엽 권취부(700)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식물(1)을 배치시키고, 복수의 공기구멍(810)이 형성된 캡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캡부(8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캡부(800)는 공기구멍(810)을 통해 빛이 통과되어 밤에 스탠드 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독특한 장식미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식물재배 공간(110)을 둘러 싸는 외벽에는 캡부(80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캡삽입홈부(110a)가 구비될 수 있고, 캡부(800)의 하단부에는 캡삽입홈부(11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캡결합용 돌기부(820)가 구비될 수 있다.
캡부(800)는 캡결합용 돌기부(820)를 캡삽입홈부(110a)에 결합시킴으로써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부로 간단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4를 참고하면 광원체(400)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식물재배 공간(11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에 식물(1)을 위치시킬 수 있는 식물 삽입부(1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식물 삽입부(111)는 내부에 에어 플랜트를 삽입하여 키울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된다.
광원체(400)는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식물재배 공간(11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식물 삽입부(111)와 마주보며 식물 삽입부(111) 내에 삽입된 식물(1)과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빛을 동시에 조사하게 된다.
광원체(400)는 식물재배 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광원체(400)는 식물(1) 둘레를 감싸도록 복수의 LED를 배치하여 복수의 LED를 통해 식물(1) 전체에 고르게 빛을 조사함과 동시에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101a)를 통해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 내에 위치되는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101a)는 공기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광원체(400) 즉, LED의 빛이 원활히 통과될 수 있는 크기와 개수를 가지고 식물 삽입부(111)의 둘레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는 LED의 개수 및 장착 위치, 공기 청정기 본체부(1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식물 삽입부(111)의 외측면에는 광원체(400)의 빛을 공기 배출구(101a) 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140)가 구비되며, 반사부재(140)는 경사면이 식물재배 공간(110)의 바닥면과 마주볼 수 있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식물 삽입부(111)는 외측면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반사부재(140)는 경사면 상에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식물재배 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공기 배출구(101a) 측으로 반사하여 공기 배출구(101a)를 통해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게 한다.
광원체(400) 즉, 식물재배 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LED에서 조사되는 빛은 공기 배출구(101a)를 통해 직접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조사되고, 식물 삽입부(111)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반사부재(140)로 반사된 후 공기 배출구(101a)를 통해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로 조사되어 광촉매 활성탄필터(320)의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고, 공기 청정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사용 시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소형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광촉매 활성탄필터(320)를 사용하여 필터의 사용 수명을 증대시켜 필터 교체에 따른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절감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은 필터와 팬을 서랍식으로 수납하여 교체 및 정비가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 : 식물 100 : 공기 청정기 본체부
101 : 상면부 101a: 공기 배출구
102 : 하면부 102a : 공기 유입구
110 : 식물재배 공간 110a : 캡삽입홈부
111 : 식물 삽입부 120 : 서랍부재
120a : 제1공기 통과공 121 : 제1서랍부재
122 : 제2서랍부재 123 : 제3서랍부재
130 : 서랍구획판 130a : 제2공기 통과공
140 : 반사부재 200 : 송풍기
300 : 공기 청정 필터부 310 : 공기 정화필터
320 : 광촉매 활성탄필터 400 : 광원체
410 : 제1LED 420 : 제2LED
500 : 제어부 600 : 전원공급부
610 : 충전용 단자 611 : 충전 케이블
700 : 태엽 권취부 800 : 캡부
810 : 공기구멍 820 : 캡결합용 돌기부

Claims (9)

  1. 상부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 공간이 구비되고 내부로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본체부,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청정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에어플랜트이고,
    상기 공기 청정 필터부는 상기 송풍기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공기 정화필터; 및
    상기 공기 정화필터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광촉매 활성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식물 및 광촉매 활성탄필터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는 송풍기가 수납되는 제1서랍부재, 제1서랍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공기 정화필터가 수납되는 제2서랍부재, 제2서랍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광촉매 활성탄필터가 수납되는 제3서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원체는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바닥면 상부에 장착되어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제1LED; 및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광촉매 활성탄필터에 빛을 조사하는 제2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 및 상기 광원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풍기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전선을 감아 보관할 수 있는 태엽구조의 태엽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원체는 식물재배 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바닥면 중앙에는 내부에 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는 식물 삽입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광원체는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식물재배 공간의 내측면에 상기 식물 삽입부와 마주보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식물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광원체의 빛을 공기 배출구 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반사부재는 경사면이 식물재배 공간의 바닥면과 마주볼 수 있도록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9. 내부로 공기 유입구와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공기 청정기 본체부;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송풍기;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 내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광촉매 활성탄필터; 및
    상기 공기 청정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광촉매 활성탄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20160172259A 2016-12-16 2016-12-16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191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59A KR101912444B1 (ko) 2016-12-16 2016-12-16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259A KR101912444B1 (ko) 2016-12-16 2016-12-16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45A true KR20180070045A (ko) 2018-06-26
KR101912444B1 KR101912444B1 (ko) 2018-10-26

Family

ID=6278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259A KR101912444B1 (ko) 2016-12-16 2016-12-16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4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217A (zh) * 2018-10-22 2019-04-16 皇家动力(武汉)有限公司 一种实验室通排风系统
KR102230202B1 (ko) * 2019-11-18 2021-03-1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저감 및 안전을 위한 도로 설치용 그린월 시공물
CN113357738A (zh) * 2021-05-31 2021-09-07 北京成威科灵实验室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装潢工程用气体净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560A (ko) 2020-04-03 2021-10-15 농업회사법인 에버플랜트주식회사 복합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705A (ja) * 2002-06-20 2004-01-22 Keiko Okabe 空気浄化装置
KR20040056139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00010682U (ko) * 2009-04-22 2010-11-01 김도경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6705A (ja) * 2002-06-20 2004-01-22 Keiko Okabe 空気浄化装置
KR20040056139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00010682U (ko) * 2009-04-22 2010-11-01 김도경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홈페이지.2013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1217A (zh) * 2018-10-22 2019-04-16 皇家动力(武汉)有限公司 一种实验室通排风系统
KR102230202B1 (ko) * 2019-11-18 2021-03-1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저감 및 안전을 위한 도로 설치용 그린월 시공물
CN113357738A (zh) * 2021-05-31 2021-09-07 北京成威科灵实验室科技有限公司 一种实验室装潢工程用气体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444B1 (ko)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3404B2 (ja) Uv led及びフィルター部を使用した小型空気清浄機
KR101912444B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0834585B1 (ko) 공기청정기
US20110033346A1 (en) Air cleaner with photo-catalytic oxidizer
US20110030560A1 (en) Air cleaner with multiple orientations
KR101207365B1 (ko) 엘이디 램프 기능을 겸하는 공기 청정기
KR20160054731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KR20160054730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102464930B1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공기 정화기
CA2783866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ell with removable corona unit
KR20160054734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60054732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0388479Y1 (ko) 공기정화살균기
KR20160054729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0493292Y1 (ko) 휴대용 카트리지타입 공기 청정기
KR100534531B1 (ko) 공기 정화 유니트
KR100598320B1 (ko) 광촉매 필터 모듈과 이를 장착한 공기청정기
KR20160054733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100725156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및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필터링방법
KR20200002647U (ko) 조명겸용 공기청정기
KR20210023124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050011056A (ko) 공기정화 및 방향용 조화화분
KR100566330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0312720Y1 (ko) 광촉매를 구비한 공기정화용 조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