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485A -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 Google Patents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485A
KR20180069485A KR1020160171711A KR20160171711A KR20180069485A KR 20180069485 A KR20180069485 A KR 20180069485A KR 1020160171711 A KR1020160171711 A KR 1020160171711A KR 20160171711 A KR20160171711 A KR 20160171711A KR 20180069485 A KR20180069485 A KR 20180069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earing
press
hub bearing
weight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7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485A/en
Publication of KR20180069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8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B60B27/0089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caulking to fix outer r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16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press-fitting, shrink-f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80/00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fit structure for a hub and a hub bearing to maintain coupling relations with the hub even though being thermally expanded by heating d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fit structure for a hub and a hub bearing comprises: a hub bearing (12) coupled to an axle in a portion in which a wheel is connected to the axle of a vehicle; and a hub (11) of which the hub bearing (12) is coupled with press-fit at one end thereof,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heel. In the press-fit structure for the hub and the hub bearing, on an internal side surface of one end of the hub (11), a plurality of coupling surface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nd on an external side surface of an outer ring of the hub bearing (12), flat surfaces are continuously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upling surfaces (11a).

Description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0001]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0002]

본 발명은 차량의 차륜을 차축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허브에 장착되는 허브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 발열에 의해 열팽창이 되더라도 허브와 체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bearing mounted on a hub used for fixing a wheel of a vehicle to an ax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bearing capable of maintaining a fastening relationship with a hub even when thermal expansion occurs due to heat generation during running, .

차량에는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구비된다.The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components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from a power source such as an engine or a motor to wheels.

그 중에서, 상기 차륜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차륜과 결합되는 허브(111)와, 상기 허브(111)에 압입되고 차축에 연결되는 허브 베어링(112)이 구비된다.A hub 111 coupled to the wheel and a hub bearing 112 press-fitted into the hub 111 and connected to the axle are provided at a portion to which the wheel is connected.

상기 허브(111)는 상기 허브 베어링(112)이 압입되는 내경부와, 상기 허브(111)의 외측에 상기 허브(111)의 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량 저감부(111c)(111d)와, 상기 차륜과 체결을 위한 체결볼트를 구비한다.The hub 111 has an inner diameter portion into which the hub bearing 112 is inserted and a weight reducing portion 111c formed inside the hub 111 to reduce the mass of the hub 111, (111d), and a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wheel.

상기 허브 베어링(112)은 외륜(112a)과 내륜 사이에 볼 또는 롤러가 구비되는 구조로서, 상기 외륜(112a)은 상기 허브(111)에 압입된다.The hub bearing 112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ll or a roller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ring 112a and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112a is press-fitted into the hub 111. [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허브(111)와 허브 베어링(112)의 압입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허브(111)의 내경부의 직경과 상기 허브 베어링(112)의 외륜(112a)의 외경은 원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주행에 따라 발생한 열이 상기 허브(1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12)이 압입된 부분으로 전달되면, 상기 허브(111)로부터 상기 허브 베어링(112)이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허브 베어링(12a)를 허브(11)에 억지끼워 맞춤으로 압입한다.The diameter of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hub 11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ring 112a of the hub bearing 112 are formed as a circle in the press-fit structure of the hub 111 and the hub bearing 112,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ub bearing 112 is disengaged from the hub 111 when the heat generated by the traveling is transmitted to the portion where the hub 111 and the hub bearing 112 are press- The bearing 12a is press-fitted into the hub 11 by interference fit.

상기 허브(1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12)이 동일 재질이라 하더라도, 억지끼워맞춤으로 조립되지 않으면, 온도상승에 따라 상기 허브(1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12)의 연결부위가 느슨해질 수 있다. 상기 허브(111)는 주로 철강을 소재로 단조 또는 주조 공법으로 제작되지만 최근 경량화를 목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상기 허브 베어링(112)은 베어링강을 재질로 하는데, 상기 알루미늄 합금과 상기 베어링강의 열 팽창 계수가 서로 상이하여, 상기 허브(1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12)가 분리되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Even if the hub 111 and the hub bearing 112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if the hub 111 and the hub bearing 112 are not assembled by interference fi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hub 111 and the hub bearing 112 may be loosened . The hub 111 is mainly made of steel by forging or casting. However, in recent years, aluminum alloy has been used for the purpose of weight reduction. The hub bearing 112 is made of a bearing steel, and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aluminum alloy and the bearing stee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ub 111 and the hub bearing 11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휠 허브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조립'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technology relating to a wheel hub and a wheel bearing assembly including the wheel hub.

KR 10-2016-0087701 AKR 10-2016-008770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주행중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팽창하더라도,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fit structure for a hub and a hub bearing, which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rmal expansion occurs due to heat generated during travel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하면서도,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fit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capable of reducing weight while exhibiting the same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는, 차량의 차륜과 차축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차축이 체결되는 허브 베어링과, 일단은 상기 허브 베어링이 압입되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륜이 체결되는 허브를 포함하는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허브 일단의 내측면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어링의 외륜의 외측면은 상기 체결면에 대응하도록 평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fit structure for a hub and a hub bearing, including a hub bearing to which an axle is coupled at a portion where a wheel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an axle, And the other end is a hub and a hub bearing including a hub to which the wheel is fastened. In the press-fit structure of the hub bearing, a plurality of fastening surfaces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ub, And a plane is continuous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ngagement surface.

상기 체결면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허브의 내측면은 정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어링의 외륜의 외측면도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surfaces are form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ub is formed in a regular polygonal sha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of the hub bearing is also formed in a polygonal shape.

상기 허브의 외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량 저감부는 상기 체결면과 상기 허브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각도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weight reducing portion formed concavely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is disposed at the same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surface and the hub.

상기 중량 저감부의 중심과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산의 선은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dditiv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eight reduction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hub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ub.

상기 중량 저감부는, 상기 허브와 상기 차륜을 체결시키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외측 중량 저감부와, 상기 허브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를 향하면서, 상기 허브의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측 중량 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weight reducing portion includes an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a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hub and the wheel penetrates and an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ub from the center of the hub toward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And an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that is formed in the inner weight portion.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는 그 사이에 차륜의 체결시 사용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bolt used for fastening the wheel passes.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들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과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들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ngular interval at which the outer weight reducers are formed and the angular interval at which the inner weight reducers are formed are equal to each other.

상기 허브 베어링의 상기 허브의 일단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s press-fitted to one end of the hub of the hub bearing.

상기 허브를 가열시킨 후, 상기 허브의 일단에 상기 허브 베어링을 프레스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ub bearing is press-fitted into one end of the hub after heating the hub.

상기 허브와 상기 허브 베어링은 서로 열팽창 계수다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ub and the hub bearing are made of a metal having a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에 따르면, 상기 허브의 내측면과 상기 허브베어링의 외측면이 서로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압입되므로, 열팽차되더라도 상기 허브와 상기 허브베어링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s-fit structure of the hub and the hub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hub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bearing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re press-fitted into each other, The separ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질량감소부의 위치가 상기 허브(11)의 내경부에서 면이 형성된 부분과 일치하므로, 상기 허브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position of the mass-reducing portion coincides with the portion where the surface is formed at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hub 11, the weight of the hub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ss-fit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fit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ss-fit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press-fit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ss-fitting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구조는, 차량의 차륜과 차축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차축이 체결되는 허브 베어링(12)과, 일단은 상기 허브 베어링(12)이 압입되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륜이 체결되는 허브(11)를 포함하는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 구조에서, 상기 허브(11) 일단의 내측면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면(1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어링(12)의 외륜의 외측면은 상기 체결면(11a)에 대응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된다.A press-fit structure of a hub and a hub b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ub bearing (12) to which an axle is coupled at a portion where a wheel of an automobile is connected to an axle, a hub bearing (12) In the press-fit structure of the hub and the hub bearing including the hub (11) to which the wheel is fastened, a plurality of fastening surface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ide of the hub (11)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of the outer ring 12 is formed to be flat in correspondence with the engaging surface 11a.

허브(11)는 차축에 연결되는 일단의 직경은 작고, 차륜에 연결되는 타단의 직경은 크게 형성된다. 상기 허브(11)는 알루미늄 합금을 소재로 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hub 11 connected to the axle is small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heel is large. The hub 11 may be integrally made of an aluminum alloy.

상기 허브(11)의 일단은 내부에 상기 차축에 고정되는 허브 베어링(12)이 압입되는데, 이를 위해서 내부에 중공부로 형성된다. One end of the hub 11 is press-fitted into the hub bearing 12, which is fixed to the axle.

특히, 상기 허브(11)의 일단의 내측면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면(1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허브(11)의 일단의 내측면은 상기 체결면(11a)이 상기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되, 서로 동일한 모양을 갖는 체결면이 갖도록 하여, 상기 허브(11)의 일단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이 정다각형이 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astening surfaces 11a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hub 11 along the periphery.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hub 11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surfaces 11a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and has a fastening surface having the same shape, So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s a regular polygon.

상기 허브(11)의 타단은 플랜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형상을 갖는 부위에 상기 허브(11)와 상기 차륜과 체결에 사용되는 체결볼트가 장착된다.The other end of the hub 11 is formed to have a flange shape, and the hub 11 and a fastening bolt used for fastening the wheel to the flange-shaped portion are mounted.

상기 허브(11)는 일단의 직경은 작고 타단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The hub 11 is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of one end thereof is small and becomes larger toward the other end.

또한, 상기 허브(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상기 허브(11)의 질량을 감소하고자 중량 저감부(11c)(11d)가 형성된다. 상기 중량 저감부(11c)(11d)는 상기 허브(11)의 표면에 오목한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허브(11)의 중량이 감소되도록 하여, 회전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감소되도록 한다.The weight reducing portions 11c and 11d are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hub 11 and the other end to reduce the mass of the hub 11. The weight reducing portions 11c and 11d reduce the weight of the hub 11 by forming a concave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hub 11 so that energy required for rotation is reduced.

상기 중량 저감부(11c)(11d)는 상기 차륜과 체결을 위한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의 사이에 형성되는 외측 중량 저감부(11c)와, 상기 허브(11)의 중간부위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허브(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 중량 저감부(11d)로 각각 이루어진다.The weight reducing portions 11c and 11d are provided with an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fastening bolts for fastening with the wheels pass, And an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b 11, respectively.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와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는 서로 같은 수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들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과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들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nd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nd the angular interval at which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s 11c are formed and the angle at which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s 11d are formed The intervals are formed to be equ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 및 상기 체결면(11a)은 같은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 및 상기 체결면(11a)이 각각 10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nd the fastening surface 11a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nd the fastening surface 11a are each formed of ten pieces.

이때, 상기 중량 저감부(11c)(11d)는 상기 체결면(11a)과 동일한 각도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허브(11)의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면(11a)이 형성된 각도 상에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와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 및 상기 체결면(11a)는 평면도에서 상기 허브(11)의 중심에서 반경방향을 따르는 가상의 직선상에 함께 배치된다. 이는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의 중심과 상기 허브(11)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의 중심과 상기 허브(11)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및 상기 체결면(11a)의 중심과 상기 허브(11)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모두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또한, 상기 중량 저감부(11c)(11d)의 중심과 상기 체결면(11a)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허브(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weight reducing portions 11c and 11d are disposed at the same angle as the engaging surface 11a.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nd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re formed at an angl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hub 11 at an angle formed by the coupling surface 11a. Therefore,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nd the fastening surface 11a are arranged together on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hub 11 in a plan view.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nd the center of the hub 11 and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nd the center of the hub 11, And virtual lines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engaging surface 11a and the center of the hub 11 substanti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imagina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eight reducing portions 11c and 11d and the center of the engaging surface 11a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ub 11.

이는 상기 허브(11)의 중량 배분을 고려한 배치로서, 만약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와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가 상기 체결면(11a) 사이의 모서리부(11b)와 같은 각도상에 배치된다면, 상기 허브(11)의 중량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와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가 A구간이 아니라 B구간에 형성되어 있다면, A구간에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상기 허브(11)의 중량이 증대되는 결과를 얻는다. 따라서,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11c)와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11d)가 상기 체결면(11a)과 동일한 각도 상에 배치되도록 한다.This is an arrangement in which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hub 11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if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nd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re formed in the same angular shape as the corner portion 11b between the engaging faces 11a The weight of the hub 11 is increased. 3 and 4, when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nd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re formed in the section B instead of the section A, the hub 11 ) Is increased. Therefore,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c and the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are arranged at the same angle as the engaging surface 11a.

허브 베어링(12)은 외륜(12a)과 내륜 사이에 볼 또는 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내륜은 차축이 체결되고, 상기 외륜(12a)은 상기 허브(11)의 일단에 압입된다.In the hub bearing 12, a ball or a roller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ring 12a and the inner ring, the axle is fastened to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12a is press-fitted into one end of the hub 11.

상기 허브(11)의 일단에는 복수의 체결면(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외륜(12a)의 외측면도 둘레를 따라 평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허브(11)의 외륜(12a)도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정다각형의 형태를 갖도록 한다.A plurality of fastening surfaces 11a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hub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2a is formed to have a plane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so as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That is, the outer ring 12a of the hub 11 also has a polygonal shape, preferably a regular polygonal shape.

상기 허브 베어링(12)은 상기 허브(11)와 열팽창계수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상기 허브 베어링(12)은 베어링강을 재질로 하고, 상기 허브(11)는 알루미늄 합금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의 열팽창계수가 더 높기 때문에, 상기 허브(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2)의 결합면이 원으로 되어 있다면, 주행시 발생한 열에 의해 허브(11)가 더 팽창하여 서로 분리되어 헛바퀴가 돌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팽창하더라도 분리되는 현상 또는 헛바퀴가 발생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The hub bearing 1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hub 11. For example, the hub bearing 12 may be made of a bearing steel, and the hub 11 may be made of an aluminum alloy. Since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aluminum alloy is higher than that of the hub 11, If the coupling surface of the bearing 12 is a circle, the hub 11 is further expanded due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traveling, so that the tumbler can be separated from the tumbler. However, since the polygon i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duced.

상기 허브 베어링(12)은 상기 허브(11)의 일단에 억지끼워맞춤된다. 이때, 상기 허브(11)를 가열한 후, 상기 허브 베어링(12)를 프레스로 압입시킨 후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허브(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2)을 체결시킬 수 있다.The hub bearing (12) is press-fitted to one end of the hub (11). At this time, the hub 11 and the hub bearing 12 can be fastened by heating the hub 11, press-fitting the hub bearing 12 with a press, and then cooling the hub 11.

상기 허브(11)의 일단의 내측면과 상기 허브 베어링(12)의 외륜(12a)의 외측면이 각각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허브(11)에 상기 허브 베어링(12)이 압입된 후에는 주행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열팽창하더라도, 다각형 구조에 의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hub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2a of the hub bearing 12 are each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o that after the hub bearing 12 is pressed into the hub 11 Even if thermal expansion occurs due to heat generated by running, the phenomenon of being separated by the polygonal structure does not occur.

종래에는 상기 허브(11)의 일단의 내측면과 상기 허브 베어링(12)의 외륜(12a)의 외측면이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었다. 하지만, 열팽창시 분리될 수 있으므로, 공차관리를 정밀하게 관리하여, 억지 끼워 ?춤으로 공차를 최소화하여 관리하였다. Since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hub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2a of the hub bearing 12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related art, However, since the thermal expansion can be separated, the tolerance management is precisely managed and the tolerance is minimized by the interference fit.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허브(11)의 일단의 내측면과 상기 허브 베어링(12)의 외륜(12a)의 외측면이 각각 다각형으로 함으로써, 억지 끼워 맞춤으로 상기 허브 베어링(12)을 상기 허브(11)에 압입할 때, 공차 관리를 종래기술에 비하여 덜 엄격히 관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열팽창시 상기 허브(11)와 상기 허브 베어링(12)이 분리되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hub 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12a of the hub bearing 12 are polygona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ub bearing 12 can be held in the hu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ub 11 and the hub bearing 12 at the time of thermal expans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tolerance management can be more strictly controlled than the prior art when press-fitting in the hub 11.

11 : 허브
11a : 체결면
11b : 모서리부
11c : 외측 중량 저감부
11d : 내측 중량 저감부
12 : 허브베어링
12a : 외륜
111 : 허브
111a : 내경부
111c : 외측 중량 저감부
111c : 내측 중량 저감부
112 : 허브
112a : 외륜
11: Hub
11a: fastening surface
11b:
11c: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11d: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2: Hub bearing
12a: Outer ring
111: Hub
111a:
111c: outer weight reducing section
111c: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112: Hub
112a: outer ring

Claims (10)

차량의 차륜과 차축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차축이 체결되는 허브 베어링과, 일단은 상기 허브 베어링이 압입되어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륜이 체결되는 허브를 포함하는 허브와 허브베어링의 압입 구조에 있어서,
상기 허브 일단의 내측면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어링의 외륜의 외측면은 상기 체결면에 대응하도록 평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A press-fit structure for a hub and a hub bearing, which includes a hub bearing to which an axle is coupled and a hub to which the hub bearing is press-fitted and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wheel,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hub is continuous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surfaces along the circumference,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of the hub bearing is continuously formed in a plan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면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허브의 내측면은 정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허브 베어링의 외륜의 외측면도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surfaces are formed to be ident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hub is formed in a regular polygonal shap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ring of the hub bearing is also formed in a polygon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측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중량 저감부는 상기 체결면과 상기 허브의 둘레방향을 따라 동일한 각도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reducing portion formed concavely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ub is disposed at the same angl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surface and the hu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저감부의 중심과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산의 선은 상기 허브의 중심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And a line of addi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eight reduction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hub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hub.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저감부는,
상기 허브와 상기 차륜을 체결시키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외측 중량 저감부와,
상기 허브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를 향하면서, 상기 허브의 축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측 중량 저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weight-
An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formed at a portion through which a fastening bolt for fastening the hub and the wheel passes,
And an inner weight reducing portion formed concavel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ub from the center of the hub toward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는 그 사이에 차륜의 체결시 사용되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uter weight reduc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bolt used for fastening the wheel pas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량 저감부들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과 상기 내측 중량 저감부들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ngular spacing in which the outer weight reducers are formed is equal to the angular spacing in which the inner weight reducers are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베어링의 상기 허브의 일단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b and the hub bearing are press-fit to one end of the hub of the hub bear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를 가열시킨 후, 상기 허브의 일단에 상기 허브 베어링을 프레스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ub is heated, and then the hub bearing is press-fitted into one end of the hub by a pr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허브 베어링은 서로 열팽창 계수다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와 허브 베어링의 압입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ub and the hub bearing are made of a metal having a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rom each other.

KR1020160171711A 2016-12-15 2016-12-15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KR2018006948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11A KR20180069485A (en) 2016-12-15 2016-12-15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711A KR20180069485A (en) 2016-12-15 2016-12-15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85A true KR20180069485A (en) 2018-06-25

Family

ID=6280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711A KR20180069485A (en) 2016-12-15 2016-12-15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48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6853A (en) * 2023-10-13 2023-11-17 广州市普丰科技有限公司 Press-fitting equipment for hub bearing of booster bicy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66853A (en) * 2023-10-13 2023-11-17 广州市普丰科技有限公司 Press-fitting equipment for hub bearing of booster bicycle
CN117066853B (en) * 2023-10-13 2023-12-22 广州市普丰科技有限公司 Press-fitting equipment for hub bearing of booster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2758B2 (en) Wheel bearing device
KR101699710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a wheel bearing
JP5269347B2 (en) Wheel bearing device
JP2007062647A (en) Bearing device for driving wheel
KR20180043966A (en) Hub built-in type constant velocity joint apparatus
JP2014231869A (en) Propeller shaft and universal joint yoke structure for propeller shaft
JP2007046703A (en) Bearing device for driving wheel
JP5143455B2 (en) Drive wheel bearing device
KR20180069485A (en) Press-fit structure for hub and hub bearing
KR101609828B1 (en) Nuckle and driving wheel bearing assembly
JP2010047042A (en) Bearing device for driving wheel
WO2014069578A1 (en) Bearing device for wheel
US10948059B2 (en) Input drum for transmissions for motor vehicles
US9500272B2 (en) Axle carrier housing with structural features
JP2007326473A (en) Bearing device for wheel
KR101826201B1 (en) Knuckle and driving wheel bearing assembly
KR20150049727A (en) Axle device for vehlcle
CN104875545A (en) Assembled wheel connected by involute splines
JP5323338B2 (en) Wheel bearing device
CN212499711U (en) Wheel hub for aerial work platform and aerial work platform comprising wheel hub
US8961027B1 (en) Hub bearing
KR20140055751A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drive shaft to hun for vehicle
JP2011220351A (en) Power transmission shaft
CN212564040U (en) Crankshaft assembly and engine
JP2003148526A (en) Wheel support bearing unit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