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78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782A
KR20180068782A KR1020160170775A KR20160170775A KR20180068782A KR 20180068782 A KR20180068782 A KR 20180068782A KR 1020160170775 A KR1020160170775 A KR 1020160170775A KR 20160170775 A KR20160170775 A KR 20160170775A KR 20180068782 A KR20180068782 A KR 2018006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value
prb pair
terminal
downlink control
de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269B1 (ko
Inventor
김태형
곽용준
김동한
이주호
김영범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269B1/ko
Priority to CN201711339491.2A priority patent/CN108235418B/zh
Priority to US15/841,949 priority patent/US10462777B2/en
Priority to EP17207330.6A priority patent/EP3337081B1/en
Publication of KR2018006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ther detection of signalling, e.g. detection of TFCI ex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코딩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PRB 페어(physical resource block pair)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상관 연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PRB 페어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 채널들의 전송을 지원하려면 이와 관련된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가 필요하다. 종래의 LTE에서 DCI는 하향링크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별도의 물리채널인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데 PDCCH는 시스템 전체 대역에 걸쳐서 매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전송된다.
하나의 PDCCH는 하나의 DCI 메시지를 운반하고,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다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스케쥴링될 수 있으므로, 각 셀 내에서는 다수개의 PDCCH의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PDCCH의 디코딩(decoding)을 위한 레퍼런스신호(Reference Signal, RS)로는 셀 공통 레퍼런스 신호인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가 사용된다. CRS는 전대역에 걸쳐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는 always-on 신호로써, 셀 ID(Identity)에 따라 스크램블링 및 자원 매핑(mapping)이 달라진다. PDCCH를 모니터링(monitoring)하는 모든 단말들은 C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PDCCH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CRS는 모든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전송되는 레퍼런스 신호이기 때문에 단말-특정(UE-specific) 빔포밍(beamforming)이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LTE의 PDCCH에 대한 다중안테나 송신기법은 개루프(Open-loop) 송신 다이버시티(divsersity)로 한정된다.
종래의 LTE에 CA(Carrier Aggregation)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지원되면서 기존에 사용되던 PDCCH만으로는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충분한 전송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에 LTE Release 11에서는 DCI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채널로 EPDCCH(Enhanced PDCCH)가 추가되었다. EPDCCH는 제어채널 전송 용량 증대, 주파수 축 인접 셀 간섭 제어, 주파수-선택적 스케쥴링, 기존 LTE 단말과의 공존 등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설계 되었다.
EPDCCH의 디코딩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는 단말-특정 레퍼런스 신호인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사용되기 때문에 EPDCCH의 경우 단말-특정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EPDCCH의 경우, 프리코딩(Precoding)을 이용한 다중안테나 송신기법을 지원하며, 자원할당 방식에 따라 프리코더(precoder) 싸이클링(cycling)을 이용한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과 MU-MIMO(Multiuser MIMO) 전송 기법을 지원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포맷은 단말에게 미리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탐색 공간(search space)으로 정의된 시간/주파수 자원의 집합 내의 임의의 자원에서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정확한 시간/주파수 자원이 단말에게 미리 알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디코딩은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에 기반한다.
즉, 블라인드 디코딩이란 단말이 가능한 모든 하향링크 제어채널 포맷과 주어진 탐색공간 내의 가능한 모든 시간/주파수 자원 조합에 대하여 하향링크 제어 채널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동작을 일컫는다.
LTE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매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즉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해야 한다. 일 예로 LTE PDCCH에 대하여, 단말은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당 최대 44회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블라인드 디코딩은 단말의 전력 소모 관점에서 큰 부담이 된다. 따라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에 의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기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기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모니터링 기법은 RS 시퀀스(sequence)에 대한 상관(correlation) 값에 기반하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실제로 전송되지 않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게 함으로써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크게 줄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디코딩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와, 각각의 PRB 페어(physical resource block pair)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상관 연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PRB 페어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단말-특정 시퀀스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 연산에 따른 상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PRB 페어에 존재하는 상기 탐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임계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는 단계와, 감소된 제1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과 상기 감소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상관값이 상기 감소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PRB 페어에 존재하는 상기 탐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코딩 방법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결과에 따른 상태값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의 디코딩 방법은, 상기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른 잔여 배터리 량과 제3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다수의 PRB 페어를 번들링하여 PRB 페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PRB 페어 세트 내에서 수신된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신호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일 수 있다.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PRB 페어(physical resource block pair)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상관 연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PRB 페어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저전력 모니터링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와 EPDCC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의 자원 매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의 탐색 공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탐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의 탐색 공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탐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E-UTRA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 (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혹은 MS(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혹은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 (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이하 LTE 및 LTE-A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가로축은 시간 영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nb (102)개의 OFDM 심벌이 모여 하나의 슬롯(106)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서브프레임(105)을 구성한다. 이때, 슬롯의 길이는 0.5ms 이고,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 이다. 또한, 라디오 프레임(114)은 10개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간영역 단위이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 (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 (104)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1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블록(108, Resource Block, RB 혹은 Physical Resource Block, P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 (102)개의 연속된 OFDM 심벌과 주파수 영역에서 NRB (110)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PRB(108)는 Nsymb * NRB 개의 RE(112)로 구성된다.
PRB pair란 시간 축으로 두 개의 PRB를 연접한 단위로 Nsymb * 2NRB 개의 RE(112)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단위는 PRB 단위이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Nsymb = 7, NRB =12 이고, NBW 및 NRB는 시스템 전송 대역의 대역폭에 비례한다.
다음으로 LTE 및 LTE-A 시스템에서의 하향링크 제어정보(DCI)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게 전달된다. DCI는 여러가지 포맷을 정의하여,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인지 여부, 제어정보의 크기가 작은 컴팩트 DCI 인지 여부, 다중안테나를 사용한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을 적용하는지 여부, 전력제어 용 DCI 인지 여부 등에 따라 정해진 DCI 포맷을 적용하여 운용한다. 예컨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제어정보인 DCI format 1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제어정보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 자원 할당 유형 0/1 플래그(Resource allocation type0/1 flag): 리소스 할당 방식이 유형 0 인지 유형 1 인지 통지한다. 유형 0 은 비트맵 방식을 적용하여 RBG (resource block group) 단위로 리소스를 할당한다. LTE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는 시간 및 주파수 영역 리소스로 표현되는 RB(resource block)이고, RBG 는 복수개의 RB로 구성되어 유형 0 방식에서의 스케줄링의 기본 단위가 된다. 유형 1 은 RBG 내에서 특정 RB를 할당하도록 한다.
- 자원 블록 할당(Resource block assignment): 데이터 전송에 할당된 RB를 통지한다. 시스템 대역폭 및 리소스 할당 방식에 따라 표현하는 리소스가 결정된다.
-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변조방식과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인 transport block 의 크기를 통지한다.
- HARQ 프로세스 번호(HARQ process number): HARQ 의 프로세스 번호를 통지한다.
- 새로운 데이터 지시자(New data indicator): HARQ 초기전송인지 재전송인지를 통지한다.
-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HARQ 의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 을 통지한다.
- PUCCH를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 for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PUCCH 에 대한 전송 전력제어명령을 통지한다.
상기 DCI는 채널코딩 및 변조과정을 거쳐 하향링크 물리제어채널인 PDCCH 혹은 EPDCCH (Enhanced PDCCH)를 통해 전송된다.
DCI 메시지 payload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붙으며, CRC는 단말의 신원에 해당하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로 스크램블링(scrambling) 된다. DCI 메시지의 목적, 예를 들어 단말-특정(UE-specific)의 데이터 전송, 전력제어 명령 혹은 랜덤 엑세스 응답 등에 따라 서로 다른 RNTI 들이 사용된다. 곧, RNTI가 명시적으로 전송되지 않고 CRC 계산과정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DCI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할당 받은 RNTI를 사용하여 CRC를 확인하여 CRC 확인 결과가 맞으면 해당 메시지는 그 단말에게 전송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LTE 및 LTE-A에서 상기 DCI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와 EPDCC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PDCCH(201)는 데이터 전송 채널인 PDSCH(203)와 시간 다중화 되고, 전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전송된다. PDCCH(201) 영역은 OFDM 심볼 개수로 표현이 되며 이는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을 통해 전송되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로 단말에게 지시된다.
PDCCH(201)를 서브프레임의 앞부분에 오는 OFDM 심볼에 할당함으로써, 단말이 최대한 빨리 하향링크 스케쥴링 할당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디코딩 지연, 즉 전체적인 하향링크 전송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PDCCH는 하나의 DCI 메시지를 운반하고, 하향링크와 상향링크에 다수의 단말들이 동시에 스케쥴링될 수 있으므로, 각 셀 내에서는 다수개의 PDCCH의 전송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PDCCH(201)의 디코딩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로는 CRS(204)가 사용된다. CRS(204)는 전대역에 걸쳐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되고 셀 ID(Identity)에 따라 스크램블링 및 자원 매핑이 달라진다. CRS(204)는 모든 단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레퍼런스 신호이기 때문에 단말-특정 빔포밍이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LTE의 PDCCH에 대한 다중안테나 송신기법은 개루프 송신 다이버시티로 한정된다. CRS의 포트 수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디코딩으로부터 암묵적으로 단말에게 알려진다.
PDCCH(201)의 자원 할당은 CCE(Control-Channel Element)를 기반으로 하며, 하나의 CCE는 9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 즉 총 36개의 RE(Resource Element)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 PDCCH(201)를 위해 필요한 CCE의 개수는 1, 2, 4, 8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DCI 메시지 payload의 채널 코딩율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CCE 개수는 PDCCH(201)의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은 PDCCH(201)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상태에서 신호를 검출해야 하는데, LTE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위해 CCE들의 집합을 나타내는 탐색공간(search space)를 정의하였다. 탐색공간은 각 CCE의 aggregation level(AL)에 복수 개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고 단말 신원에 의한 함수 및 서브프레임 번호를 통해 암묵적으로 정의된다. 각 서브프레임 내에서 단말은 설정된 탐색공간 내의 CCE들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자원 후보군(candidate)에 대하여 PDCCH(201)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CRC 확인을 통해 해당 단말에게 유효하다고 선언된 정보를 처리한다.
탐색공간은 단말-특정 탐색공간과 공통(Common) 탐색 공간으로 분류된다. 일정 그룹의 단말들 혹은 모든 단말들이 시스템 정보에 대한 동적인 스케줄링이나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셀 공통의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PDCCH(201)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의 사업자 정보 등을 포함하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의 전송을 위한 DL-SCH의 스케줄링 할당 정보는 PDCCH(201)의 공통 탐색 공간을 조사하여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와 같은 단말-특정의 DCI는 모드 단말-특정 탐색공간을 통해 전송된다.
종래의 LTE에 CA(Carrier Aggregation)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지원되면서 기존에 사용되던 PDCCH만으로는 하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충분한 전송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에 LTE Release 11에서는 하향링크 DCI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채널로 EPDCCH(202)가 추가되었다. EPDCCH는 다음과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 제어채널 전송 용량 증대
- 주파수 축 인접 셀 간섭 제어
- 주파수-선택적 스케줄링
- MBSFN 서브프레임 지원
- 기존 LTE 단말과의 공존
도 2를 참조하면, EPDCCH(202)는 PDSCH(203)와 주파수 다중화되어 전송된다. 기지국에서는 스케줄링을 통해 EPDCCH(202)와 PDSCH(203)의 자원을 적절히 할당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존 LTE 단말을 위한 데이터 전송과의 공존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EPDCCH(202)는 시간 축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전체에 할당되어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지연 시간 관점에서 손해가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다수의 EPDCCH(202)는 하나의 EPDCCH set(206)을 구성하게 되고 EPDCCH(202) set의 할당은 PRB(Physical Resource Block) pair 단위로 이루어 진다. EPDCCH set(206)에 대한 위치 정보는 단말-특정적으로 설정되며 이는 RRC(Remote Radio Control)를 통해 시그널링된다. 각 단말에게는 최대 두 개의 EPDCCH set(206)이 설정될 수 있고, 하나의 EPDCCH set(206)은 서로 다른 단말에게 동시에 다중화되어 설정될 수 있다.
EPDCCH(202)에서는 디코딩을 위한 RS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205)가 사용된다. EPDCCH(202)의 DMRS(205)는 PDSCH(203)와 동일한 패턴을 사용한다. 하지만 PDSCH(203)와는 다르게 EPDCCH(202)에서의 DMRS(205)는 최대 4개의 안테나 포트, {107, 108, 109, 110}을 지원한다. EPDCCH(202)의 DMRS(205)는 EPDCCH(202)가 전송되는 해당 PRB에서만 전송된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PRB에서 EPDCCH(202)가 매핑되어 전송되지 않는다면 해당 PRB에서 해당 EPDCCH(202)를 디코딩하기 위한 DMRS(205)는 전송되지 않는다.
EPDCCH(202)의 DMRS(205)에 대한 RS 시퀀스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pseudo-random 시퀀스 c(n)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초기 시퀀스는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03
는 하기와 같이 단말-특정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dmrs-ScramblingSequenceInt-r11 INTEGER (0..503)").
Figure pat00004
각 단말에게 설정될 수 있는 두 개의 EPDCCH set(206)에 대하여 두 개의
Figure pat00005
값(즉, i={0, 1})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DMRS(205)는 단말-특정의 시퀀스가 사용되고, 이를 통해 단말 별 DMRS(205)를 구별할 수 있다. EPDCCH(202)에 대한 프리코딩은 기지국이 설정할 수 있고, 단말-특정 빔포밍을 사용할 수 있다. DMRS(205)를 통해 단말들은 어떠한 프리코딩이 사용되었는지 알지 못해도 EPDCCH(202)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DMRS(205)의 포트 설정 정보는 EPDCCH(202) 전송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Localized 전송 방식의 경우, 하나의 EPDCCH(202)에 해당하는 안테나 포트는 단말의 ID에 기반하여 랜덤(random)하게 선택된다. 서로 다른 단말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즉 다중사용자 MIMO (Multiuser MIMO) 전송이 사용될 경우, DMRS 안테나 포트가 각 단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혹은 DMRS(205)를 공유하여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signaling)으로 설정되는 DMRS(205) 스크램블링(scrambling) 시퀀스(sequence)로 구분할 수 있다. Distributed 전송 방식의 경우, DMRS(205)의 안테나 포트는 두 개까지 지원되며, 프리코더(precoder) 싸이클링(cycling) 방식의 다이버시티 기법이 지원된다. 하나의 PRB pair내에서 전송되는 모든 RE들에 대하여 DMRS(205)가 공유될 수 있다.
다음으로 EPDCCH의 자원 매핑 방식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의 자원 매핑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하나의 PRB pair가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PRB 내에는 16개의 EREG(Enhanced REG, 301)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PRB pair 내의 RE들은 {0,1,2,…,15}에 해당하는 EREG(301) 인덱스로 매핑이 될 수 있다. 이때, DMRS(303)이 매핑된 RE는 넘버링(numbering)에서 제외한다.
각 인덱스에 해당하는 RE의 집합이 하나의 EREG(301)를 구성하게 된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PRB pair에서 인덱스 0으로 매핑 된 RE(307)는 총 9개가 있으며, 이 9개의 RE들이 ERGE0(304)을 구성하게 된다. 곧, 각 인덱스 x(x={0,1,2,…,15})로 넘버링 된 RE들은 각각 EREGx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한 PRB pair내에 존재하는 EREG(301)에 대하여 도 3의 305와 같이 논리적 매핑 방식으로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EPDCCH의 자원할당은 ECCE(Enhanced CCE, 302)를 기반으로 하며, 하나의 ECCE(302)는 4개 또는 8개의 EREG(301)로 구성될 수 있다. ECCE(302) 당 EREG(301)의 개수는 CP 길이와 서브프레임 설정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의 도면에서는 4개의 EREG(301)가 하나의 ECCE(302)를 구성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의 305에서 EREG0, EREG4, EREG8, EREG12는 ECCE0으로, EREG1, EREG5, EREG9, EREG13는 ECCE1로, EREG2, EREG6, EREG10, EREG14는 ECCE2로, EREG3, EREG7, EREG11, EREG15는 ECCE3으로 각각 매핑된다.
따라서 4개의 EREG(301)가 하나의 ECCE(302)를 구성할 경우, 하나의 PRB pair 내에는 총 4개의 ECCE(302)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해 한 PRB pair내에 존재하는 ECCE(302)에 대하여 도 3의 306과 같이 논리적 매핑 방식으로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EPDCCH 전송 방식은 ECCE(302)와 EREG(301) 사이의 매핑 방식에 따라 localized 혹은 distributed 전송으로 구분된다. Localized 전송 방식에서 ECCE(302)를 구성하는 EREG(301)들은 모두 동일한 PRB pair 내에 존재한다. 반면에 distributed 전송 방식에서 ECCE(302)를 구성하는 EREG(301)들은 EPDCCH 전송에 설정된 다수의 PRB pair에서 서로 다른 PRB pair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EPDCCH에서의 탐색공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EPDCCH는 오직 단말-특정 탐색 공간만을 지원한다. EPDCCH에 대한 탐색공간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6
상기에 기술된 EPDCCH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르면, 탐색공간은 주어진 aggregation level 상에서 단말이 디코딩을 시도해야 하는 ECCE들로 이루어진 후보 제어채널들의 집합이며, EPDCCH는 1, 2, 4, 8, 16, 32의 aggregation level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ECCE를 하나의 묶음을 만드는 여러 가지 aggregation level이 있으므로 단말은 aggregation level에 따라 복수개의 탐색공간을 갖는다. EPDCCH의 aggregation level은 1, 2, 4, 8, 16, 32가 될 수 있으며, 이는 CP 길이, 서브프레임 설정, EPDCCH 포맷, localized/distributed 전송 방식, ECCE의 총 개 수 등의 시스템 파라미터(paramete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EPDCCH에서 aggregation level에 따라 정의되는 탐색공간 내의 단말이 모니터링해야 하는 PDCCH 후보군들(candidates)의 수에 대한 일 예를 하기의 표로 기술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7
상기의 표 1에서
Figure pat00008
는 EPDCCH set p에 대해 설정된 PRB pair의 수를 의미한다. 상기 표 1의 Case 3은 각각 서브프레임 구조, DCI 포맷, 시스템 대역폭 등의 시스템 파라미터로 결정되는 시나리오를 의미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본 발명의 설명함에 있어서 불필요함으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표 1에 대해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EPDCCH set이 4개의 PRB pair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aggregation level 1, 2, 4, 8에 대 각각 6, 6, 2, 2개의 EPDCCH 후보군들이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단말은 전체 탐색공간에서 하나의 DCI 포맷에 대하여 총 14번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만약 해당 탐색공간에서 두 개의 DCI 포맷에 대한 탐색을 수행할 경우, 28번의 블라인드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LTE 및 LTE-A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PDCCH 혹은 EPDCCH에 대해 설명하였다.
LTE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매 서브프레임 간격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해야 한다. 일 예로 LTE PDCCH에 대하여, 단말은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당 최대 44회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의 전력 소모 관점에서 이는 매우 큰 burden이 된다. 특히 블라인드 디코딩에서 대부분의 전력 소모는 채널 디코딩 동작 예컨대 컨볼루셔널 코딩(Convolutional Coding)에 대한 디코딩 동작 burden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에 따른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는 채널 디코딩을 수행하기 전에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탐색공간을 미리 제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기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모니터링 기법은 RS 시퀀스(sequence)에 대한 상관(correlation) 값에 기반하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실제로 전송되지 않는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해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게 함으로써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크게 줄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LTE 시스템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의 탐색 공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하나의 EPDCCH set(401)이 4개의 PRB pair(402)로 구성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PRB pair(402) 내에는 4개의 ECCE(410)이 존재하며,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도 3의 ECCE에 대한 논리적인 매핑 방식(306)으로 표현하였다.
도 4에는 aggregation level 1(403), aggregation level 2(404), aggregation level 4(405)에 대한 탐색공간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라, aggregation level 1(403)에서는 하나의 EPDCCH 후보(406)가 1개의 ECCE(410)에 매핑될 수 있고, aggregation level 2(404)에서는 하나의 EPDCCH 후보(406)가 2개의 ECCE(410)에 매핑될 수 있고, aggregation level 4(405)에서는 하나의 EPDCCH 후보(408)가 4개의 ECCE(410)에 매핑될 수 있다.
도 4의 일 예에서는 aggregation level 1(403)의 경우엔 EPDCCH 후보(406)들이 4개가 존재하고, aggregation level 2(404)의 경우엔 EPDCCH 후보(407)들이 4개가 존재하고, aggregation level 4(403)의 경우엔 EPDCCH 후보(408)들이 2개가 존재한다.
도 4에 도시된 EPDCCH의 탐색공간의 일 예에 따르면, 하나의 EPDCCH가 특정 aggregation level에 대하여 하나의 PRB pair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EPDCCH가 aggregation level 1(403)로 전송될 경우, aggregation level 1(403)에 해당하는 탐색공간, 즉 EPDCCH 후보(406) 집합 {ECCE0, ECCE4, ECCE8, ECCE12} 중 하나의 자원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는데, 각 EPDCCH 후보(406)들은 EPDCCH set(401)을 구성하는 총 4개의 PRB pair(402) 내에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EPDCCH가 하나의 PRB pair에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EPDCCH 가 aggregation level 1(403)에서 ECCE0에 매핑되어 전송된다면, PRB pair#0(411)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ECCE8에 매핑되어 전송된다면, PRB pair#2(413)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탐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하나의 EPDCCH set(501)이 4개의 PRB pair(PRB pair#0(502), PRB pair#1(503), PRB pair#2(504), PRB pair#3(505))로 설정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PRB pair 내에는 E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한 DMRS(506)가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PRB pair 내의 DMRS(506)는 실제로 EPDCCH가 매핑되어 전송되는 PRB pair 내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5에서 어떤 단말(예컨대 단말#0)의 EPDCCH는 PRB pair#1(503)의 자원에 매핑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0의 단말-특정 DMRS는 PRB pair #1(503)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특정 DMR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1과 상기 수학식 2로 정의된 해당 단말에게 설정된 단말-특정의 시퀀스가 사용된 DMRS로 정의된다.
곧, 단말#0은 RRC 시그널링으로 상기 수학식 2의 값을 설정 받을 수 있고, 이로부터 기지국이 단말#0의 DMRS(506)로 사용하기 위한 고유의 시퀀스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0의 EPDCCH가 전송되지 않는 나머지 PRB pair들(PRB pair#0(502), PRB pair#2(504), PRB pair#4(505))에서는 단말#0의 DMRS(506)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 경우, EPDCCH가 전송되지 않는 나머지 PRB pair내에 존재하는 DMRS(506)는 다른 단말의 EPDCCH 할당 여부에 따라 아예 전송되지 않거나 다른 단말을 위한 DMRS(506)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PRB pair#0(502)를 통해 다른 단말들의 EPDCCH가 전송되지 않는다면 PRB pair #0(502)의 DMRS(506)는 off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만약 PRB pair #2(504)로 단말#1의 EPDCCH가 전송된다면 PRB pair #2(504)에는 단말#1에 대한 단말-특정 DMRS(506)가 전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단말은 EPDCCH set(501)에 해당하는 PRB pair들(502, 503, 504, 505)을 수신한 후, PRB pair로부터 수신된 DMRS 시퀀스(507, 508, 509, 510)와 기 설정된 DMRS 시퀀스(511, 512, 513, 514)에 대하여 상관 연산(Correlation Operation, 520)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설정된 DMRS 시퀀스(511, 512, 513, 514)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EPDCCH 디코딩을 위한 DMRS로 사용되는 시퀀스는 상기 수학식 1과 상기 수학식 2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말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수학식 2로 정의되는 단말-특정의 랜덤 시퀀스를 설정 받을 수 있고, 이로부터 DMRS에 사용되는 랜덤 시퀀스를 상기 수학식 1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단말-특정 DMRS 시퀀스는 자원 매핑 과정을 거쳐 EPDCCH set(501)을 구성하는 각 PRB pair(502, 503, 504, 505)내의 기 약속된 DMRS 위치에서 전송되게 된다. 도 5의 예에서는 각 PRB pair 내의 12개 RE가 DMRS 전송에 사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각 PRB pair 당 길이 12의 단말-특정 시퀀스를 기 약속된 매핑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단말은 설정을 통해 해당 DMRS 시퀀스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DMRS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단말-특정 DMRS는 해당 단말의 EPDCCH가 전송되는 PRB pair내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도 5의 일 예에서는 PRB pair #0(502), PRB pair #1(503), PRB pair #2(504), PRB pair #3(505)로 전송될 수 있는 단말-특정 DMRS 시퀀스를 각각 설정 DMRS 시퀀스 #0(511), 설정 DMRS 시퀀스 #1(512), 설정 DMRS 시퀀스 #2(513), 설정 DMRS 시퀀스 #3(514)로 정의하였다.
도 5에서 도시된 수신된 DMRS 시퀀스(507, 508, 509, 5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한 DMRS를 논리적인 매핑으로 표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어떤 PRB pair(502)내의 DMRS(506)는 총 12개의 RE에 매핑될 수 있고 이는 곧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길이 12의 시퀀스가 매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된 DMRS를 길이 12의 시퀀스로 도시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507, 508, 509, 510). 이를 하기와 같이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수학식 3에서 rK(m)은 k번째 PRB pair로 전송되는 DMRS 시퀀스의 m번째 element를 의미하고, 상기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된다. hK(m)은 rK(m)이 통과한 effective 채널 계수를 의미하고, 여기서 effective 채널 계수란 송신 신호가 수신단에 도착할 때까지 겪은 모든 왜곡을 포함하며, 이는 실제 물리적인 채널 뿐만 아니라 송신 프리코딩에 의한 왜곡까지 포함할 수 있다. yK(m)은 단말이 k번째 PRB pair에서 수신한 DMRS 시퀀스이다.
상기 일 예에서는 길이 12의 시퀀스를 고려하였기 때문에 L=12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예에서 단말은 총 4개의 PRB pair(502, 503, 504, 505)로부터 DMRS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총 4개의 수신된 DMRS 시퀀스를 각각 507, 508, 509, 510으로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상관 연산(5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길이 L의 두 개의 복소수 시퀀스, yK와 rK에 대한 상관 연산(520)의 일 예를 하기와 같이 수학식 4로 정의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10
상기 수학식 4에서 conj(x)는 x에 대한 켤례(conjugate) 복소수를 의미하고, |x|는 x에 대한 절대값(absolute value)를 의미한다. α는 정규화를 위한 상수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도 5의 수신 DMRS 시퀀스(507, 508, 509, 510)에 대한 상관 연산(520)이라 함은 PRB pair #k에 대하여, 단말은 원래의 DMRS 시퀀스 rk와 수신된 DMRS 시퀀스 yk 사이의 상관 연산(520)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식 4에서 k 인덱스를 PRB pair #k로 정의할 수 있으며, Corrk는 PRB pair #k의 상관연산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총 4개의 PRB pair (502, 503, 504, 505)가 존재하기 때문에 총 4개의 상관연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따르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단말#0의 EPDCCH가 PRB pair #1(503)으로 전송되는 상황을 가정하도록 한다.
단말#0은 EPDCCH set(501)으로 설정된 PRB pair #0(502), #1(503), #2(504), #3(505)을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0는 기 설정된 단말-특정 탐색공간에 대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단말은 단말-특정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기에 앞 서 각 PRB pair(502, 503, 504, 505)로부터 수신한 DMRS 시퀀스들(507, 508, 509, 510)에 대하여 상기에서 정의한 상관 연산(520)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PRB pair #0(502), #1(503), #2(504), #3(505)에서 수신한 DMRS 시퀀스는 각각 수신 DMRS 시퀀스 #0(507), 수신 DMRS 시퀀스 #1(508), 수신 DMRS 시퀀스 #2(509), 수신 DMRS 시퀀스 #3(510)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말#0은 각 PRB pair에서 수신된 DMRS 시퀀스와 설정된 DMRS 시퀀스에 대하여 각각 상관 연산(520)을 수행하여 상기 수학식 4에서 정의되어 있는 상관값(correlation value)을 산출할 수 있다.
도 5의 일 예에서 PRB pair #0(502), #1(503), #2(504), #3(505)에서 산출된 상관값이 각각 상관값#0(516), 상관값#1(517), 상관값#2(518), 상관값#3(519)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0의 DMRS(506)를 PRB pair #1(503)에서만 전송하기 때문에 오직 수신 DMRS 시퀀스 #1(508)만 단말#0에게 기 설정된 DMRS 시퀀스(DMRS 시퀀스#1(512))로 전송이 된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PRB pair #0, #2, #3에서는 다른 단말의 DMRS가 전송되거나 혹은 DMRS 전송이 off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DMRS 시퀀스 #0(507), 수신 DMRS 시퀀스 #2(509), 수신 DMRS 시퀀스 #3(510)은 모두 단말#0에게 기 설정된 DMRS 시퀀스(설정 DMRS 시퀀스#0(511), 설정 DMRS 시퀀스#2(513), 설정 DMRS 시퀀스#3(511))과 무관한 시퀀스이다.
따라서 상관연산(520) 후 산출된 상관값 중 PRB pair #1(503)에서의 상관값의 크기(magnitude)가 가장 클 수 있다. 도 5의 도시된 일 예에서는 상관값#1(517)이 다른 상관값(상관값#0(516), 상관값#2(518), 상관값#3(519))와 비교하여 가장 큰 값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단말#0은 산출된 상관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실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PRB pair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말#0은 기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value, 515)과 산출된 상관값 사이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예에서 상관값#0(516), 상관값#2(518), 상관값#3(519)은 모두 기 설정된 임계값(515)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관값#1(517)은 기 설정된 임계값(515)보다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단말#0은 임계값(515)보다 큰 상관값을 갖는 PRB pair #1(503)에 자신의 DMRS가 전송됐음을 가정할 수 있다. 이는 곧 단말#0의 EPDCCH가 PRB pair #1(503)로 전송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단말#0은 PRB pair #1(503)에 존재하는 탐색공간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말은 설정된 EPDCCH set(501)에 해당하는 모든 PRB pair들에 대해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상관값 연산 및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선택된 PRB pair들(도 5의 예에서는 PRB pair #1(503))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단계 601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예컨대 EPDCCH set)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602에서 EPDCCH set으로 설정된 각 PRB pair에 대하여, 수신된 DMRS 시퀀스와 설정된 DMRS 시퀀스 사이의 상관 연산을 수행한다.
단말은 단계 603에서 각 PRB pair에서 연산된 상관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산출된 상관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PRB pair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산출된 상관값이 임계값보다 큰 PRB pair가 존재한다면, 단말은 단계 604에서 해당 PRB pair에 존재하는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말은 단계 605에서 EPDCCH에 대한 디코딩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약 디코딩에 성공했다면 단말은 단계 606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디코딩에 실패했다면, 단말은 단계 607로 넘어가 임계값을 낮추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어서 단말은 단계 608에서 새로운 임계값과 최소 임계값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임계값이란 시스템 파라미터로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이 가질 수 있는 최소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계 608에서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이 되면, 단말은 그대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만약 단계 608에서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이 되면, 단말은 단계 603으로 넘어가 낮아진 임계값과 각 PRB pair에서 연산된 상관값과 크기를 다시 비교하고, 이후의 단말 동작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단계 603을 다시 거친 후 단계 604를 재수행할 경우에 한하여, 이전에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했던 PRB pair에 대해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다시 수행하지 않고 새롭게 선택된 PRB pair들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단계 603에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상관값이 산출된 PRB pair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 단말은 단계 607에서 임계값을 다시 조정할 수 있으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PDCCH의 탐색 공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하나의 EPDCCH set(701)이 4개의 PRB pair(711, 712, 713, 714)로 구성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PRB pair 내에는 4개의 ECCE(704)이 존재하며, 본 발명을 기술함에 있어서 편의를 위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도 3의 ECCE에 대한 논리적인 매핑 방식(306)으로 표현하였음에 유의하도록 한다.
도 7에는 aggregation level 8(702)에 대한 탐색공간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탐색공간의 정의에 따라, aggregation level 8(703)에서는 하나의 EPDCCH 후보(703)가 8개의 ECCE(예컨대, ECCE0, ECCE1, ECCE2, ECCE3, ECCE4 ECCE5, ECCE6, ECCE7)에 매핑될 수 있다. 도 7의 일 예에서는 aggregation level 8(703)의 경우, 주어진 EPDCC set(701)에서 EPDCCH 후보(703)가 1개 존재한다. 도 7에 도시된 EPDCCH의 탐색공간의 일 예에 따르면, 하나의 EPDCCH가 특정 aggregation level 8(702)에 대하여 두 개의 PRB pair(예컨대, PRB pair #0(711)과 PRB pair #1(712))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탐색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하나의 EPDCCH set(801)이 4개의 PRB pair(PRB pair#0(802), PRB pair#1(803), PRB pair#2(804), PRB pair#3(805))로 설정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PRB pair 내에는 EPDCCH를 디코딩하기 위한 DMRS(806)가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PRB pair 내의 DMRS(806)는 실제로 EPDCCH가 매핑되어 전송되는 PRB pair내에서만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8에서 어떤 단말(예컨대 단말#0)의 하나의 EPDCCH는 PRB pair#0(802)과 PRB pair#1(803)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0의 단말-특정 DMRS(806)는 PRB pair #0(802)과 PRB pair #1(803)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0의 EPDCCH가 전송되지 않는 나머지 PRB pair들, 즉 PRB pair#2(804), PRB pair#3(805)에서는 단말#0의 DMRS(806)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 경우, EPDCCH가 전송되지 않는 나머지 PRB pair내에 존재하는 DMRS(806)는 다른 단말의 EPDCCH 할당 여부에 따라 아예 전송되지 않거나 다른 단말을 위한 DMRS(806)가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만약 PRB pair#2(804)를 통해 다른 단말들의 EPDCCH가 전송되지 않는다면 PRB pair #2(804)의 DMRS(806)는 off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만약 PRB pair #3(805)로 단말#1의 EPDCCH가 전송된다면 PRB pair #3(805)에는 단말#1에 대한 단말-특정 DMRS(806)가 전송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단말은 EPDCCH set(801)에 해당하는 PRB pair들(802, 803, 804, 805)을 수신한 후, 다수개의 PRB pair로부터 수신된 DMRS 시퀀스와 기 설정된 DMRS 시퀀스에 대하여 상관 연산(82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일 예에서는 2개의 PRB pair로부터 수신된 DMRS 시퀀스(808, 809)와 이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DMRS 시퀀스(810, 811)에 대하여 상관 연산(820)을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의 일 예에서는 각 PRB pair 내의 12개 RE가 DMRS 전송에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2개의 PRB pair에서는 총 24개의 RE가 DMRS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각 PRB pair 당 길이 12의 단말-특정 시퀀스를 기 약속된 매핑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2개의 PRB pair에는 총 길이 24의 단말-특정시퀀스가 매핑될 수 있다.
도 8의 일 예에서는 PRB pair #0(802)과 PRB pair #1(803)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길이 24의 단말-특정 시퀀스를 설정된 DMRS 시퀀스#0(810)으로 정의하였고, PRB pair #2(804)와 PRB pair #3(803)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길이 24의 단말-특정 시퀀스를 설정된 DMRS 시퀀스#1(811)로 정의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8의 일 예에서는 PRB pair #0(802)과 PRB pair #1(803)를 통해 수신한 DMRS 시퀀스를 수신된 DMRS 시퀀스#0(808)으로 정의하였고, PRB pair #2(804)와 PRB pair #3(803)을 통해 수신한 DMRS 시퀀스를 수신된 DMRS 시퀀스#1(811)로 정의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따르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단말#0의 하나의 EPDCCH가 PRB pair #0(802)와 PRB pair #1(803)으로 전송되는 상황을 가정하도록 한다.
단말#0은 EPDCCH set(801)으로 설정된 PRB pair #0(802), #1(803), #2(804), #3(805)을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단말은 단말-특정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기에 앞 서 각 PRB pair(802, 803, 804, 805)로부터 수신한 DMRS 시퀀스들(808, 809)에 대하여 상기에서 정의한 상관 연산(820)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단말#0은 다수개의 PRB pair에서 수신된 DMRS 시퀀스와 설정된 DMRS 시퀀스에 대하여 각각 상관 연산(820)을 수행하여 상기 수학식 4에서 정의되어 있는 상관값(correlation value)을 산출할 수 있다. 도 8의 일 예에서 PRB pair #0(802), #1(803)과 PRB pair #2(804), #3(805)에서 산출된 상관값이 각각 상관값#0(813), 상관값#1(814)로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기지국은 단말#0의 DMRS(806)를 두개의 PRB pair #0(802), #1(803)에서만 전송하기 때문에 오직 수신 DMRS 시퀀스 #0(808)만 단말#0에게 기 설정된 DMRS 시퀀스(DMRS 시퀀스#0(810))로 전송이 된다.
반면, 나머지 두 개의 PRB pair #2(804), #3(805)에서는 다른 단말의 DMRS가 전송되거나 혹은 DMRS 전송이 off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DMRS 시퀀스 #1(809)는 단말#0에게 기 설정된 DMRS 시퀀스(설정 DMRS 시퀀스#1(811))과 무관한 시퀀스이다. 따라서 상관연산(820) 후 산출된 상관값 중 PRB pair #0(802), #1(803)에서의 상관값의 크기가 가장 클 수 있다. 도 8의 도시된 일 예에서는 상관값#0(813)이 상관값#1(814)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단말#0은 산출된 상관값의 크기에 기반하여 실제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번들링된 PRB pair set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말#0은 기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value, 815)과 산출된 상관값 사이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일 예에서 상관값#1(814)는 기 설정된 임계값(815)보다 작은 크기를 갖고, 상관값#0(813)은 기 설정된 임계값(815)보다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단말#0은 임계값(815)보다 큰 상관값을 갖는 PRB pair set인 PRB pair #0(802), #1(803)로 자신의 DMRS가 전송됐음을 가정할 수 있다. 이는 곧 단말#0의 EPDCCH가 PRB pair set인 PRB pair #0(802), #1(803)로 전송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단말#0은 PRB pair #0(802), #1(803)에 존재하는 탐색공간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단계 901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예컨대 EPDCCH set)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902에서 EPDCCH set으로 설정된 각 PRB pair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PRB pair를 번들링 하여 PRB pair set을 만들 수 있다. 단계 903에서 단말은 수신된 DMRS 시퀀스와 설정된 DMRS 시퀀스 사이의 상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904에서 각 PRB pair set에서 연산된 상관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산출된 상관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PRB pair set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산출된 상관값이 임계값보다 큰 PRB pair set이 존재한다면, 단말은 단계 905에서 해당 PRB pair set에 존재하는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말은 단계 906에서 EPDCCH에 대한 디코딩에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만약 디코딩에 성공했다면 단말은 단계 907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디코딩에 실패했다면, 단말은 단계 908로 넘어가 임계값을 낮추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은 단계 909에서 새로운 임계값과 최소 임계값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임계값이란 시스템 파라미터로 기 설정되어 있는 임계값이 가질 수 있는 최소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계 909에서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고 판단이 되면, 단말은 그대로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만약 단계 909에서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이 되면, 단말은 단계 903으로 넘어가 낮아진 임계값과 각 PRB pair set에서 연산된 상관값과 크기를 다시 비교하고, 이후의 단말 동작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이 단계 904을 다시 거쳐 단계 905를 재수행할 경우에 한하여, 이전에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했던 PRB pair set에 대해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다시 수행하지 않고 새롭게 선택된 PRB pair set들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단계 904에서 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상관값이 산출된 PRB pair set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 단말은 단계 908에서 임계값을 다시 조정할 수 있으며, 이후의 동작은 상기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임계값에 대한 값 설정은 단말 동작 및 디코딩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 예로 임계값의 크기에 따라 하향링크 제어채널 디코딩에 대한 성공적인 획득과 단말의 전력 소모 사이의 trade-off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계값의 크기가 낮을수록 상관 연산을 통해 산출된 상관값들이 임계값보다 클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는 곧 더 많은 PRB pair 내의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임계값의 크기가 낮을수록 전체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성공적으로 획득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반면에 증가된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에 의해 단말의 전력 소모는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임계값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관 연산을 통해 산출된 상관값들이 임계값보다 클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에, 이는 곧 더 적은 PRB pair 내의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임계값의 크기가 커질수록 부분적인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반면에 부분적인 탐색공간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하기 때문에,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성공적으로 획득할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수행함에 있어서 알맞은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적의 임계값은 다양한 시스템 파라미터(예컨대 무선 링크 품질, 단말의 전력량, 트래픽 량, 지연시간 등)에 기반하여 그 값이 산출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기술한다.
상기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링크 품질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무선 링크 품질이 좋다는 것은 송신 신호 대비 수신 신호의 왜곡이 작은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무선 링크의 품질이 좋을 경우 상관 연산을 통해 얻은 RS 상관값이 더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RS 상관값이 더 정확하게 측정될수록 임계값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도 실제로 EPDCCH가 전송되는 PRB pair에 대한 검출을 더 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무선 링크의 품질이 좋을수록 임계값을 크게하여 부분적인 탐색공간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이 단말 동작 및 전력 소모 관점에서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단계 1001에서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측정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채널 상태라 함은 예컨대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 등 있을 수 있고, 단말은 다양한 RS, 예컨대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등을 이용하여 채널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1002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품질과 기 설정되어 있는 제2임계값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값이라 함은 수신 신호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신 신호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크다는 것은 수신 신호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의미하고, 수신 신호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은 수신 신호 품질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단계 1002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크다면, 단말은 단계 1003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상관값 비교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단계 1002에서 측정된 수신 신호 품질이 제2 임계값보다 작다면, 단말은 단계 1004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상관값 비교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배터리 상태에 따라 임계값을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단말의 배터리 상태라 함은 배터리 잔여량, 배터리 발열량, 배터리 충전량 등 배터리와 관련한 모든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상태로 배터리 잔여량을 고려하여 기술하며, 다른 배터리 상태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작을수록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에 있어서 전력 효율적인 단말 동작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의 배터리 잔여량이 작을수록 최소한의 탐색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를 위해서 임계값을 크게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6 또는 도 9에 도시된 임계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단계 1101에서 현재 단말의 배터리 상태(예컨대 배터리 잔여량)을 측정한다. 단말은 단계 1102에서 측정된 배터리 잔여량과 기 설정되어 있는 제3 임계값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임계값이라 함은 배터리 잔여량이 상대적으로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배터리 잔여량이 제3임계값보다 크다는 것은 배터리 잔여량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의미하고, 배터리 잔여량이 제3 임계값보다 작다는 것은 배터리 잔여량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단계 1102에서 측정된 배터리 잔여량이 제3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단계 1103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상관값 비교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단계 1102에서 측정된 배터리 잔여량이 제3 임계값보다 작다면, 단말은 단계 1104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서 상관값 비교에 사용되는 임계값을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들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처리부(1201), 단말 수신부(1202), 및 단말 송신부(1203)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 처리부(1201)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단말이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단말기 처리부(1201)는 제어부로 칭할 수도 있다.
단말기 처리부(1201)는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RS 상관 값을 판별하기 위한 임계값 설정 정보, 탐색공간 설정 정보, 수신 채널 품질 정보, 단말 배터리 양 정보 등에 따라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동작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단말 수신부(1202)와 단말 송신부(1203)를 통칭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 처리부(1201)로 출력하고, 단말기 처리부(120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501, 801: EPDCCH 세트
502, 503, 504, 505, 802, 803, 804, 805: PRB 페어
507, 508, 509, 510, 808, 809: 수신된 DMRS 시퀀스
511, 512, 513, 514, 810, 811: 설정된 DMRS 시퀀스
1201: 단말 처리부
1202: 단말 수신부
1203: 단말 송신부

Claims (20)

  1. 단말의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각각의 PRB 페어(physical resource block pair)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상관 연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PRB 페어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단말-특정 시퀀스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 연산에 따른 상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PRB 페어에 존재하는 상기 탐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임계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는 단계;
    감소된 제1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과 상기 감소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상관값이 상기 감소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PRB 페어에 존재하는 상기 탐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 결과에 따른 상태값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른 잔여 배터리 량과 제3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는,
    다수의 PRB 페어를 번들링하여 PRB 페어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RB 페어 세트 내에서 수신된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각각의 PRB 페어(physical resource block pair)에서 기준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에 대한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상관 연산의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PRB 페어에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퀀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되는 단말-특정 시퀀스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준 신호와 동일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 연산에 따른 상관값과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PRB 페어에 존재하는 상기 탐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2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이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임계값을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고, 감소된 제1 임계값이 최소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PRB 페어에서 상기 상관값과 상기 감소된 제1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상관값이 상기 감소된 제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2 PRB 페어에 존재하는 상기 탐색 공간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결과에 따른 상태값과 제2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른 잔여 배터리 량과 제3 임계값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임계값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PRB 페어를 번들링하여 PRB 페어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PRB 페어 세트 내에서 수신된 기준 신호에 대한 상기 제1 시퀀스와, 미리 설정된 상기 제2 시퀀스의 상관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60170775A 2016-12-14 2016-1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653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75A KR102653269B1 (ko) 2016-12-14 2016-1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201711339491.2A CN108235418B (zh) 2016-12-14 2017-12-14 在无线通信系统中监视下行链路控制信道的方法和装置
US15/841,949 US10462777B2 (en) 2016-12-14 2017-12-1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7207330.6A EP3337081B1 (en) 2016-12-14 2017-12-14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downlink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75A KR102653269B1 (ko) 2016-12-14 2016-1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82A true KR20180068782A (ko) 2018-06-22
KR102653269B1 KR102653269B1 (ko) 2024-04-02

Family

ID=60923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775A KR102653269B1 (ko) 2016-12-14 2016-12-1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62777B2 (ko)
EP (1) EP3337081B1 (ko)
KR (1) KR102653269B1 (ko)
CN (1) CN1082354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0441B (zh) * 2017-06-16 2021-05-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dmrs的发送方法、接收方法、相关设备和系统
KR102616557B1 (ko) * 2018-02-13 2023-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432798B1 (en) 2018-05-25 2019-10-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grouping of users to different speed ti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0419943B1 (en) * 2018-06-15 2019-09-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verlay of millimeter wave (mmWave) on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CBRS) for next generation fixed wireless (NGFW) deployment
US10798537B2 (en) 2018-07-09 2020-10-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xt generation fixed wireless qualification tool for speed-tier based subscription
GB201820177D0 (en) * 2018-12-11 2019-01-23 Nordic Semiconductor Asa Radio communications
CN112312548A (zh) * 2019-07-26 2021-02-0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接收物理下行控制信道的方法和设备
WO2023178633A1 (en) * 2022-03-25 2023-09-28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co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403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접 통신 네트워크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6070B2 (en) * 2003-10-09 2008-07-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aptive threshold for HS-SCCH part 1 decoding
KR20130079597A (ko) * 2007-10-29 2013-07-10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지국 장치, 집적 회로 및 제어 채널 할당 방법
US8238475B2 (en) * 2007-10-30 2012-08-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DCCH blind decoding in mobile communications
US8937906B2 (en) * 2011-11-04 2015-01-20 Qualcomm Incorporated Structure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 in long term evolution (LTE)
WO2013129802A1 (ko) * 2012-02-2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장치
JP5726819B2 (ja) * 2012-05-11 2015-06-03 株式会社Nttドコモ 復号方法、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191943B2 (en) * 2012-09-13 2015-11-17 Kt Corporation Reception and configuration of downlink control channel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WO2014051293A1 (ko) * 2012-09-28 2014-04-03 주식회사 케이티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EP3047593B1 (en) * 2013-09-17 2020-09-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uplink resource assignment
CN103780343B (zh) * 2014-01-13 2017-02-15 重庆邮电大学 Td‑lte系统中sib1译码中的phich资源盲检测装置及方法
US20160014812A1 (en) * 2014-07-11 2016-01-1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d2d network
CN104639492B (zh) * 2015-02-03 2018-02-27 重庆邮电大学 一种td‑lte上下行子帧配置的快速检测系统及方法
US10111216B2 (en) 2015-04-02 2018-10-23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blind decoding in enhanced carrier aggregation
US10085158B2 (en) * 2015-05-14 2018-09-2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403A (ko) * 2014-07-11 2016-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접 통신 네트워크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2087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62777B2 (en) 2019-10-29
CN108235418A (zh) 2018-06-29
EP3337081A1 (en) 2018-06-20
EP3337081B1 (en) 2021-06-02
CN108235418B (zh) 2022-07-26
US20180167919A1 (en) 2018-06-14
KR102653269B1 (ko)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4510B2 (en) Apparatus and medium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coreset
USRE48742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data information messages on a downlink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24080B2 (en) Aggregation of resources in enhanced control channels
US105425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8706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figuring a control resource s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532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N116647315A (zh) 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和基站及其执行的方法
US10645711B2 (en) Multi-user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11109406B2 (en)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broadband service
US119176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by using variable band width in communication system
US9510338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device
US20220312452A1 (en) Rate matching for non-coherent joint-transmission with dynamic spectrum sharing
US9735939B2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KR101690851B1 (ko) 기지국 장치, 단말 장치, 통신 방법, 집적 회로 및 통신 시스템
US9647814B2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signals
EP279737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JP2016529745A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20140133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transcei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660078B2 (en) Control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receiving method, sender and receiver
WO2020144626A1 (en)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resource mapping for multi-transmission point (trp)
US1147780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ation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1986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800561B2 (en) Collision avoidance between EPDCCH and aperiodic CSI-RS
WO2013164026A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signals
KR10259808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자원요소 매핑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