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722A -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722A
KR20180068722A KR1020160170688A KR20160170688A KR20180068722A KR 20180068722 A KR20180068722 A KR 20180068722A KR 1020160170688 A KR1020160170688 A KR 1020160170688A KR 20160170688 A KR20160170688 A KR 20160170688A KR 20180068722 A KR20180068722 A KR 2018006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rtificial tears
artificial
present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4857B1 (en
Inventor
최종옥
Original Assignee
최종옥
엄영주
박선종
정희지
송유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옥, 엄영주, 박선종, 정희지, 송유엽 filed Critical 최종옥
Priority to KR102016017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857B1/en
Publication of KR2018006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7Flexible ampoules, the contents of which are expelled by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which comprises: a body part having a bending part disposed across the body part and in which artificial tears are contained; and an auxiliary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having a reflection film attach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accurately drop the artificial tears contained in the container for the artificial tear into his/her eyes. Therefore, users who are new to the container for the artificial tear can easily inject the artificial tears into their eyes.

Description

인공눈물 용기{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본 발명은 인공눈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안구 건조증이 있거나, 또는 눈이 건조하다는 느낌을 받는 사용자는 인공눈물을 자신의 눈에 주입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Users who have dry eye syndrome or feel dry with their eyes can reduce eye fatigue by injecting artificial tears into their eyes.

그러나, 인공눈물이 담겨져 있는 인공눈물 용기에서 인공눈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매우 작기 때문에, 사용자는 인공눈물 용기의 배출구를 자신의 눈에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인공눈물이 정확하게 눈에 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outlet for discharging artificial tears in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containing artificial tears is very small,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precisely match the outlet of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to his / her eyes. As a result, artificial tears can not fall accurately into the eyes.

따라서, 사용자는 거울 등을 이용하여 배출구의 위치를 확인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Therefore, the user is attempting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by using a mirror or the like

그러나, 사용자가 별도로 구비된 거울을 이용하더라도, 사용자는 배출구 및 자신의 눈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인공눈물이 정확히 눈에 떨어지지 못하고, 눈 주변에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user uses a separately provided mirro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check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eyes of the user. As a result, the artificial tears do not fall on the eyes exactly, and fall into the vicinity of the eyes.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인공눈물 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매우 큰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the user who uses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has a great inconvenience.

일본공개번호 2012-000243: 스스로 정확하게 점안할 수 있는 안약 용기Japan Publication No. 2012-000243: Eyewash containers that can be used for self-correct eye drop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곡부를 사이에 두고 인공눈물이 담겨져 있는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부에, 반사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인공눈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in which a reflecting film is attached to a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rtificial tears are contained with a bent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는, 인공눈물이 담겨지는 본체; 반사필름이 정면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부;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보조부를 연결시키는 절곡부; 및 상기 본체에 담겨진 인공눈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절곡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반사필름이 상기 본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comprising: a main body containing artificial tears; A supporting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A bending por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portion; And a discharge pa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rtificial tears contained in the main body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uxiliary part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film approaches the main body with the bending part as a rotation axis.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인공눈물 용기에 담겨진 인공눈물을 자신의 눈에 정확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인공눈물 용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도 간편하게 인공눈물을 자신의 눈에 주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ccurately drop artificial tears contained in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into his / her eyes. Therefore, a user who uses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for the first time can easily inject artificial tears into his / her eyes.

본 발명에 의하면, 깨질 염려가 없는 반사필름이 인공눈물 용기에 부착됨으로써, 누구라도 안전하게 인공눈물 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flective film without any fear of breaking is attached to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so that anyone can safely use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또한, 절곡될 수 있도록 제조된 용기에, 반사필름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가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의 제조 비용이 크게 상승되지 않으며, 제조 공정 역시 크게 복잡해 지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ttaching a reflective film to a container manufactured to be ben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t also does not get much complic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의 일실시예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에 인공눈물이 주입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jecting artificial tears into a user's eye using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의 일실시예 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an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눈물(190)이 담겨지는 본체(110), 반사필름(130)이 정면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부(120), 상기 본체(110)의 일측과 상기 보조부(120)를 연결시키는 절곡부(140), 상기 본체(110)에 담겨진 인공눈물(190)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출부(150) 및 상기 본체를 밀봉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있는 커버(16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containing an artificial tear 190, a supplementary portion 120 having a reflective film 130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bending part 140 connec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the auxiliary part 120 and a discharge part 130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o discharge the artificial tears 190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 to the outside, (150) and a cover (160) mounted to the discharge to seal the body.

우선, 상기 본체(110)의 속은 비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일측은 상기 절곡부(140)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110)의 타측은 상기 배출부(150)와 연결된다.Firs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s empty.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bending part 140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art 150.

상기 본체(110)의 용량이 인공눈물(190)을 담기에 충분한 경우, 상기 본체(110)의 일측은 막혀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에 담겨진 인공눈물(190)은 상기 절곡부(140)를 통해 상기 보조부(120)로 이동될 수 없다.If the volume of the body 110 is sufficient to contain the artificial tears 190, one side of the body 110 may be blocked. Therefore, the artificial tears 190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 can not be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part 120 through the bending part 140.

그러나, 상기 본체(110)의 용량이 인공눈물(190)을 담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본체(110) 및 상기 보조부(120)와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 상기 절곡부(140) 및 상기 보조부(120)에는 인공눈물(190)이 충전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main body 110 is not sufficiently filled with the artificial tears 190, the bending portion 140 may penetrate the main body 110 and the auxiliary portion 120. Therefore, the artificial tears 190 may be filled in the main body 110, the bending portion 140, and the auxiliary portion 120.

상기 본체(110)와 상기 배출부(150)는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에 담겨진 인공눈물(190)은 상기 배출부(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and the discharge unit 150 pass through. Accordingly, the artificial tears 190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unit 150.

상기 본체(110)는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be made of various kinds of synthetic resin. The main body 110 may have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pressed by a user.

사용자가 상기 본체(110)에 담겨진 인공눈물(190)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The body 1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so that the user can identify the artificial tears 190 contained in the body 110.

상기 본체(110)의 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0 may be variously formed in addition to the shapes shown in FIGS.

다음, 상기 보조부(120)의 속은 비어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부(120)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Next, the inner part of the auxiliary part 120 may be empty, and the auxiliary part 12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상기 보조부(120)와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본체(110)를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The auxiliary part 120 and the bending part 1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main body 110.

상기 보조부(120)와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part 120 and the bending part 1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10.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는 상기 반사필름(130)이 구비된다.The reflective film 13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120.

상기 반사필름(130)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필름(130)은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반사필름(13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 부착될 수 있다. The reflection film 13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120 with an adhesive. Also, the reflective film 13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120 by a thermocompression bonding method. In addition, the reflective film 130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120 by various methods.

상기 보조부(120)는, 상기 절곡부(1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반사필름(130)이 상기 본체(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The auxiliary part 120 may be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film 130 is brought close to the main body 110 with the bending part 140 as a rotation axis.

다음, 상기 반사필름(13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Next, the reflective film 130 is formed in a film form and has a function of reflecting light.

따라서, 상기 반사필름(130)에 사용자의 눈을 비치면, 상기 반사필름(130)을 통해 사용자의 눈이 보여질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s eyes are reflected on the reflective film 130, the user's eyes can be seen through the reflective film 130.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필름(130)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 부착되거나, 열압착 방식에 의해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 부착되거나,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보조부(120)의 정면에 부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eflective film 130 may be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120 by an adhesiv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120 by a thermocompression bonding method, 120, respectively.

다음,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보조부(120)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Next, the bending part 140 connects the main body 110 and the auxiliary part 120.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본체(110)와 관통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0)와 막혀 있을 수도 있으며, 상기 본체(110) 및 상기 보조부(120)와 모두 관통될 수도 있다.The bending part 140 may be pierced through the main body 110 or may be blocked with the main body 110 or both the main body 110 and the auxiliary part 120.

상기 절곡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두께 및 상기 보조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bent portion 140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portion.

따라서, 상기 보조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반사필름(130)이 상기 본체(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2, the auxiliary part 120 may be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film 130 approaches the main body 110 with the bending part 140 as a rotation axis.

이를 위해, 상기 절곡부(140)의 두께뿐만 아니라, 상기 절곡부(140)의 폭은, 상기 본체(110)의 폭 및 상기 보조부(12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width of the bending portion 14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width of the auxiliary portion 120. [

다음, 상기 배출부(150)는 상기 본체(110)에 담겨진 인공눈물(19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Next, the discharging unit 150 discharges the artificial tears 190 contained in the body 110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상기 배출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타측, 즉, 상기 본체(110)의 끝단에 구비된다. For this, the discharge unit 150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at the end of the main body 110.

상기 배출부(150)는 상기 본체(1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15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10.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은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10)에 담겨진 인공눈물(190)이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150 is opened. Accordingly, the artificial tears 190 contained in the main body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50.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160)는 상기 본체(110)를 밀봉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부(150)에 장착되어 있다.Finally, the cover 160 is attached to the discharge unit 150 to seal the body 110.

즉, 상기 본체(110)는 상기 배출부(150)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160)에 의해 밀봉된다.That is, the main body 110 is sealed by the cover 160 covering the discharge unit 150.

상기 커버(160)는 상기 배출부(150)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에 장착된다. The cover 160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50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discharge unit 15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가 절곡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눈물 용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에 인공눈물이 주입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injecting artificial tears into a user's eye using the artificial tear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보조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반사필름(130)이 상기 본체(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3, the auxiliary part 120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film 130 approaches the main body 110 with the bending part 140 as a rotation axis.

즉, 상기 절곡부(140)는 상기 보조부(120) 및 상기 본체(110)의 폭 또는 두께보다 작은 폭 또는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보조부(120)는 상기 절곡부(14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절곡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bent portion 140 has a width or thickness smaller than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auxiliary portion 120 and the main body 110, the auxiliary portion 120 can be formed by using the bent portion 140 as a rotation axis It can be bent.

특히, 사용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필름(130)이 상기 본체(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보조부(120)를 회전시킨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user rotates the auxiliary part 120 such that the reflective film 130 is b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main body 110.

사용자가 상기 보조부(120)를, 상기 반사필름(130)이 상기 본체(1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시킨 후, 상기 배출부(150)를 자신의 눈(200) 가까이에 배치시키면, 상기 반사필름(130)을 통해, 자신의 눈(200) 및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이 보여진다.When the user bends the auxiliary part 12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on film 130 is brought close to the main body 110 and then places the discharge part 150 near the eye 200, Through the film 130, the eye 200 and the end of the discharge portion 150 are show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이 자신의 눈(200)에 정확히 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반사필름(130)을 통해 확인한다.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이 자신의 눈(200)에 정확히 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110)를 눌러, 상기 본체(110)로부터 인공눈물(190)을 배출시킨다.Accordingly, the user confirms whether or not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50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eye 200 through the reflective film 130. [ The user presses the main body 110 and discharges the artificial tears 190 from the main body 1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part 150 is correctly positioned in the eye 200 itself.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배출부(150)의 끝단이 자신의 눈(200)에 정확히 배치되었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인공눈물(190)은 사용자의 눈에 정확하게 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ser has confirmed that the end of the discharge unit 150 is correctly positioned in the eye 200, the artificial tear 190 can fall accurately to the user's eyes.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인공눈물(190)을 자신의 눈에 주입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inject the artificial tears 190 into his / her ey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본체 120: 보조부
130: 반사필름 140: 절곡부
150: 배출부 160: 커버
190: 인공눈물 200: 눈
110: main body 120:
130: reflection film 140:
150: discharge part 160: cover
190: artificial tears 200: eyes

Claims (4)

인공눈물이 담겨지는 본체;
반사필름이 정면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부;
상기 본체의 일측과 상기 보조부를 연결시키는 절곡부; 및
상기 본체에 담겨진 인공눈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부는, 상기 절곡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반사필름이 상기 본체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인공눈물 용기.
A body containing artificial tears;
A supporting par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A bending portion connecting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portion; And
And a discharge uni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so that artificial tears contained in the main body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auxiliary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eflective film is brought close to the main body with the bent portion as a rotation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및 상기 보조부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인공눈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nt portion has a width smaller than a width of the main body and a width of the auxiliar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부를 커버하는 커버에 의해 밀봉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부에 장착되어 있는 인공눈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is sealed by a cover covering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cover is mounted to the discharge portion so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discharg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필름은 접착제에 의해 상기 보조부의 정면에 부착되는 인공눈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ve film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auxiliary part by an adhesive.
KR1020160170688A 2016-12-14 2016-12-14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KR101904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88A KR101904857B1 (en) 2016-12-14 2016-12-14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688A KR101904857B1 (en) 2016-12-14 2016-12-14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22A true KR20180068722A (en) 2018-06-22
KR101904857B1 KR101904857B1 (en) 2018-10-08

Family

ID=6276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688A KR101904857B1 (en) 2016-12-14 2016-12-14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8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834B1 (en) 2018-10-05 2019-03-19 주식회사 아이피아 Eye drops container with improved cohesive force by nano pattern structure
KR20200039532A (en) 2019-03-07 2020-04-16 주식회사 아이피아 Nano patterned eye drops container with convenient administration of eye drops or artificial tea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0243A (en) 2010-06-16 2012-01-05 Daito Giken:Kk Game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0243A (en) 2010-06-16 2012-01-05 Daito Giken:Kk Game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834B1 (en) 2018-10-05 2019-03-19 주식회사 아이피아 Eye drops container with improved cohesive force by nano pattern structure
KR20200039532A (en) 2019-03-07 2020-04-16 주식회사 아이피아 Nano patterned eye drops container with convenient administration of eye drops or artificial te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857B1 (en)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2421B1 (en) Method for selectively powering a batery-operated drug-delivery device and device therefor
USD623291S1 (en) Liquid dispensing syringe
KR101904857B1 (en) Container for artificial tears
KR20150096527A (en) Electro-optical display with a transparent cover
BRPI0710037A2 (en) liquid dispensing container and eyewash container
EP3020332A1 (en) Light detection unit and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USD608656S1 (en) Gusseted flexible bottle
USD1004085S1 (en) Syringe housing of a syringe injection safety device
JP7450777B2 (en) sealed container
US8603033B2 (en) Medical device and related assembly having an offset element for a piezoelectric speaker
US20160207683A1 (en) Oral care implement package and kit therefor
CA2712920C (en) Label for placing on a syringe body, and syringe body
KR20180022678A (en) Container
JP5349702B1 (en) Face mask
CN110225163A (en) Electronic equipment
US20170119976A1 (en) Syringe and injection needle safety instrument
KR20190107878A (en) Mask pack
KR101699403B1 (en) Sticking cover for a wet-tissue packing case
KR102261570B1 (en) Pouch for spraying cosmetic liquid
CN111542926B (en)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KR101181302B1 (en) Resealable blister package
KR102048499B1 (en) A container of cosmetic solution
KR102085269B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fixed amount discharge
CN208054024U (en) Beauty liquid container
JP2004083120A (en) Individually packaged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