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562A -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 Google Patents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562A
KR20180068562A KR1020160170367A KR20160170367A KR20180068562A KR 20180068562 A KR20180068562 A KR 20180068562A KR 1020160170367 A KR1020160170367 A KR 1020160170367A KR 20160170367 A KR20160170367 A KR 20160170367A KR 20180068562 A KR20180068562 A KR 2018006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pva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이병걸
김승현
한성준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562A/ko
Publication of KR2018006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41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04B16/061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16/0625Polyalkenes, e.g. polyethylene
    • C04B16/0633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4Sea wate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PVA 섬유와 PP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하여, 전단파괴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였을 때,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트리트 {Organic 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flexural toughness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properties}
본 발명은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압축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하고 형태와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연성능력으로 대표되는 인장강도와 휨강도가 낮고 소성수축, 건조수축 등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철근이나 PS강재로 보강한 보강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다.
근래에는 콘크리트의 연성능력을 개선하고 균열을 제어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섬유를 보강한 섬유보강콘크리트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콘크리트의 취성적 거동을 연성적으로 유도하고 인장 저항능력의 증대, 국부적인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는 등 역학적 성질의 개선을 통해 종래의 시멘트 복합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불연속적이고 단상인 섬유재료를 시멘크 복합체 속에 불규칙하게 분산시켜 넣은 섬유보강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FRC)에 대해 1960년대부터 연구되어 1970년대에는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는 물리/역학적 특성이 다른 두 가지 이상 타입의 섬유를 조합시키는 하이브리드섬유보강콘크리트(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이하 HFRC) 에 대한 연구가 개발되고 있다.
이는 하이브리드 섬유가 콘크리트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효과적이며, 특히 길이가 다른 섬유의 하이브리드는 미세균열(microcrack)과 거시균열(macrocrack)제어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혼입된 섬유 체적비가 2% 이상인 고인성 콘크리트에 집중되어 경제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섬유 체적비가 1% 미만인 일반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아울러, 하이브리드 섬유로 사용되고 있는 섬유들은 무기계 섬유로는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를 사용하고 유기계 섬유로는 아라마이드, 폴리프로필렌, 비닐론, 나일론 등을 사용한다.
이 중 한국 등록특허 제10-1433650호(탄소섬유 고강도 콘크리트)는 탄소 섬유를 혼합하여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휨강도 등의 물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고가인 탄소 섬유를 사용하여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섬유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부식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자중 증가로 구조물에 부담을 주어 구조물 내하력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섬유 체적비가 1% 미만인 일반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해양현장에서는 구조부재의 염분노출 및 노후화로 인해 내하력(휨, 전단 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14336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친수성이며 분산성이 우수한 PVA 섬유와 고내구성이며 내수성인 PP 섬유를 하이브리드 보강하여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트리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PVA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 및 PP 섬유(polypropylene)를 포함하는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 전체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부피부로 혼입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PVA 섬유를 포함하여 강섬유에 비해 콘크리트 유동성 저하가 심하지 않고 강성이 낮아 콘크리트 배합 시 분산성이 좋고 미세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PP 섬유는 기하학적 굴곡이 있어 콘크리트와이 부착 메트릭스를 좋게하고, 내수성으로 부식발생이 없고,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PVA 섬유와 PP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하여, 전단파괴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였을 때,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섬유들을 나타낸 도면이다((a) Polypropylene(PP) 섬유, (b) Polyvinyl alchohol(PVA) 섬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휨강도(flexural strength)를 실험하기 위하여 실험방법을 설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ASTM C1018에서 제시하고 있는 휨 인성지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세서 등가 휨 강도 산출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기영동시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염화물 침투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험한 콘크리트의 강도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 쪼갬 인장강도, (b) 휨 강도)).
도 8은 대조구 콘크리트와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휨강도시험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a) 대조구, (b) PP 0.33%, Vol, (c) PP 0.55%, Vol)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휨 인성지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a) 섬유 체적비에 따른 휨 인성지수, (b) 휨 인성지수사이의 비교)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등가휨강도를 섬유혼입 타입별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휨 인성지수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염분침투저항성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a)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NT BUILD 492(1999) 전기영동시험방법에 의한 염분침투시험 결과, (b) 섬유성분과 확산계수 사이의 관련성)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PVA 섬유를 포함하여 강섬유에 비해 콘크리트 유동성 저하가 심하지 않고 강성이 낮아 콘크리트 배합 시 분산성이 좋고 미세균열 제어에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PP 섬유는 기하학적 굴곡이 있어 콘크리트와이 부착 메트릭스를 좋게하고, 내수성으로 부식발생이 없고,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PVA 섬유와 PP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하여, 전단파괴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였을 때,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HFRC)" 란, 콘크리트 제조시 재료특성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섬유를 혼입하여 인장 강도, 굽힘 강도, 내충격성, 인성 등의 대폭적인 개선을 꾀한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염분침투저항성" 이란, 염소 이온에 대한 침투 저항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내구 성능 중 주요한 검토인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소이온(Cl-)이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부로 침투되면 그 구성 재료의 일부인 철근을 부식시켜 해당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염소 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되는 것에 대하여 콘크리트가 견디는 힘을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인성(toughness)"이란 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의 파괴 시에 나타나는 에너지 소진 특성을 의미하며, 휨 파괴에 대한 인성을 휨 인성(flexural toughness) 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PVA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 및 PP 섬유(polypropylene)를 포함하는 섬유 보강재를 포함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를 제공하며, 이때, 상기 섬유 보강재는 콘크리트 전체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부피부로 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부피부"란 각 성분간의 혼합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합 부피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섬유 보강재의 함량이 콘크리트 전체 부피의 100부피부에 대하여 0.1 부피부 미만이면 등가휨강도비 등 구조적 내구성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며 이와 더불어 균열제어 측면에서도 불리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섬유가 1.0 부피부를 초과하면 콘크리트 시공 시 섬유 뭉침(Fiber ball) 현상 등이 발생하여 보강섬유의 분산성이 저하되며, 강도면에서 불리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가 섬유 보강재로 PVA 섬유와 PP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전단파괴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양환경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였을 때,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 보강재는
PVA 섬유 7 내지 30 부피부; 및
PP 섬유 30 내지 55 부피부 ;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콘크리트의 전체부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PVA 섬유는 0.07 내지 0.33 부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PP 섬유는 0.30 내지 0.55 부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VA 섬유가 7, PP 섬유가 30 부피부 미만인 경우, 내하력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PVA 섬유가 33, PP 섬유가 55를 초과하는 경우, 특히, 상기 섬유 보강재의 첨가량이 전체 콘크리트 부피부의 1 부피부 이상이 되면 배합설계 시 무시할 수 없을 정도가 되어 매 배합마다 배합설계를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크기가 다른 섬유를 적용하 여 콘크리트의 강도 및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경과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섬유를 사용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고 크기와 직경이 큰 매크로섬유를 사용하여 최고 응력 후 연성(post peak ductility)을 확보하기 위한 섬유의 조합과 재료특성이 다른 섬유를 조합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강성의 섬유를 사용하고,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성의 특성을 가지는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PVA 섬유를 안정상태 균열이론을 바탕으로 재료가 1축 인장 하에서 변형율 경화거동을 하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하중을 받아 소성변형이 생긴 후 변형경화(strain hardening) 가 시작되는데 이때, 재료는 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되고, 강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PVA 섬유가 혼입됨에 따라 균열 분산효과를 통해 강성을 증가시키고, 콘크리트의 건조나 동결에 의해 수축 시 발생되는 인장응력 및 균열을 억제되며,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이 증대되는 등 성능이 뛰어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성의 특성을 가지는 PP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PP 섬유는 170℃로 낮은 용융점으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 마이크로 채널(공극)을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수증기압 및 공극압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데 도움을 주어 폭렬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내수성이고 고내구성 섬유로 분산성이 우수하며, 기하학적 굴곡을 가지고 있어 부착성능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내에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일반균열에서 건조수축균열까지 균열저감효과가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PVA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는 직경이 0.5 내지 20㎛이고 길이가 0.1 내지 15mm일 수 있으며, PP 섬유는 직경이 0.1 내지 2mm이며, 길이가 10 내지 70mm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의 길이와 직경은 활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물 150 내지 190 중량부;
시멘트 300 내지 400 중량부;
잔골재 750 내지 1000 중량부;
굵은 골재 700 내지 940 중량부;
PVA 섬유 0.7 내지 5 중량부; 및
PP 섬유 2 내지 8 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부"란 각 성분간의 혼합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합 중량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잔골재"라 함은 모래와 같이 세립한 골재로 5mm 체에 중량으로 85% 이상 통과하는 골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잔골재로는 KS F 2526 규격에 준하는 입경 0.15내지 2.5mm, 절대건조밀도 2.5 g/cm3 이상, 흡수율 3%이하, 안정성 1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굵은골재"라 함은 천연 자갈과 인공 쇄석으로 5mm 체에 90% 이상 남는 콘크리트용 골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굵은 골재로는 KS F 2526 규격에 준하는 입경 2.5 내지 40mm, 절대건조밀도 2.5 g/cm3 이상, 흡수율 3% 이하, 안정성 10% 이하, 마모율 4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잔골재율(S/a)이 50 내지 54%일 수 있으며, 52%일 수 있다.
여기서, "잔골재율" 이라 함은 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단위중량의 합에 대한 잔골재 단위중량의 백분율을 잔골재율이라 한다.
굵은 골재의 비율이 커지면 콘크리트 내의 공극이 커지고 시멘트와 부착면적이 줄어들어 콘크리트 부착강도가 감소하며, 잔골재 비율이 커지면 부착면적은 증가하나 굵은 골재의 비율이 감소하여 콘크리트이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와 골재와의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기면서 콘크리트내의 공극을 최소하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굵은 골재와 잔골재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시멘트비(W/C)는 45 내지 55% 또는 48 내지 52%일 수 있으며, 50%일 수 있다.
여기서, 물시멘트비(W/C)는 시멘트 중량에 대한 물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시멘트비(W/C)가 45 미만인 경우에는 워커빌리티(workability)가 부족할 수 있으며, 55%를 초과하게 되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고성능 감수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2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성능 감수제"는 섬유의 혼입에 따른 공기량 증가 및 슬럼프 저하를 고려하여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쪼갬인장강도가 2 내지 2.5MPa 이고, 휨 강도가 2.54 내지 2.9MPa일 수 있으며, 등가 휨 강도는 0.7 내지 1.6MPa 일 수 있다
여기서, "쪼갬인장강도"는 콘크리트의 인장 시험에 있어서 시험편이 파단까지의 최대 인장하중(Wmax)을 전 시험편의 단면적(A0)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휨 강도"라 함은 굽힘 모멘트를 부하하였을 때 파손에 이르기까지의 최대응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동일계 섬유인 PVA 섬유와 PP섬유의 체적비 변화에 따른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HFRC 의 쪼갬인장강도와 휨강도시험을 통한 하중-변위관계로부터 휨 인성지수를 평가하였고, 하이브리드 섬유의 체적비가 염분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준비 및 실험방법
실시예 1-1. 실험계획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섬유 중 친수성이며 분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PVA(polyvinyl acetate) 섬유 6mm 를 마이크로 섬유로 합성섬유 중 고내구성이며 내수성인 PP(polypropylene) 섬유 50mm 를 매크로섬유로 하이브리드하여 체적비가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염분침투저항성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4배합과 섬유가 없는 대조구 1배합을 설계하였으며, 각 재료에 대한 기본물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Hybrid Fiber Reinforced Concrete, HFRC)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쪼갬인장강도시험과 휨강도시험을 수행하고, 휨강도시험에서 얻은 하중변위 관계로부터 등가휨강도(equivalence flexural strength)와 휨 인성지수(toughness index)를 구하여 연성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GFRC 4배합과 대조구 1배합에 대한 염분침투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기영동시험방법에 의해 얻어진 비정상상태에서의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염분침투저항성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2. 사용재료 및 배합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는 다음과 같다.
시멘트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잔골재는 EEZ 지역에서 채취한 모래의 세척사이고, 굵은 골재는 제주서부지역에서 생상된 골재를 사용하였다. 물리적 성질은 표 1과 같이 단위중량이 굵은 골재는 15.20KN/m3, 잔골재는 15.51KN/m3이다.
종류 밀도(KN/m3) 흡수율(%) 단위 중량(KN/m3) 입도분포
잔골재 25.38 0.83 15.51 1.87
굵은 골재 25.97 2.66 15.20 6.82
그리고, 실시예에서 사용된 섬유들은 도 1(a), (b) 와 같고, 제조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물리적 특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PVA 섬유(polyvinyl acetate fiber) 는 국내 나이콘소재㈜에서 제조한 것으로, 직경 11㎛, 길이 6..로 형상비가 545이고, OH-Group을 가지고 있는 친수성 물질로 내알칼리성이며, 인장강도는 890MPa이다.
PP 섬유(polypropylene fiber)도 국내 나이콘소재㈜에서 제조된 것으로 직경 1mm, 길이 50mm 로 형상비가 50이고, 내수성으로 강섬유의 최대 단점인 부식의 우려가 없으며, 시멘트 메트릭스와의 부착과 정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에 기하학적 굴곡을 갖는 형상으로 인장강도는 450Mpa 이상, 탄성계수는 5.6GPa 이상이다.
섬유 길이 (mm) 직경 (mm) 인장강도(MPa) 탄성률(GPa)
PP 50 1 450 and over 5.6 and over
PVA 6 0.011 890 14.7
섬유의 혼입율을 상술한대로 체적비의 1% 미만이 되도록 하였으며, PVA 섬유의 혼입량 0.9kg/m3, 체적비 0.07%와 기초 연구를 통해 확인한 혼입량 3.86kg/m3 체적비 0.30%로 두 가지와 PP 섬유는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범위 내에서 PVA 섬유와의 혼합률을 고려하여 0.33%와 0.55%로 두 가지를 결정하여 네 가지 배합의 PVA 섬유와 PP 섬유 혼입률을 고려하였다.
섬유가 없는 콘크리트 배합(대조구)과 섬유가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배합 A: PVA(0.07%)+PP(0.33%), B: PVA(0.07%)+PP(0.55%), C: PVA(0.30%) +PP(0.33%), D: PVA(0.30%)+PP(0.55%)로 섬유의 하이브리드 혼입률 및 체적비 변화에 따른 영향을 섬유가 없는 대조구 배합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 배합은 종래 연구들에 대한 고찰과 기초연구를 통한 충분한 예비실험을 통해 섬유의 혼입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섬유의 분산성을 확인하였으며, 콘크리트 배합은 섬유 혼입율을 변화가 HFRC 의 역학적 특성 및 염분침투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과 시멘트비(W/C=50%), 잔골재율(s/a=52%) 을 고정하고, 섬유의 혼입에 따른 공기량 증가 및 슬럼프 저하를 고려하여 고성능 감수제(super plasticizer, SP)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공기량과 슬럼프를 조절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하이브리드섬유보강콘크리트의 배합은 표 3과 같다.
기준 섬유(Vol. %) 섬유(kg/m3) 혼합물(kg/m3)
PVA PP PVA PP 시멘트 굵은
골재
잔골재 고성능감수제
대조구 0 0 0 0 175 350 876 835 0.70
A 0.07 0.33 90 3.00 175 350 876 835 0.84
B 0.07 0.55 90 5.00 175 350 876 835 0.97
C 0.3 0.33 3.90 3.00 175 350 876 835 0.97
D 0.3 0.55 3.90 5.00 175 350 876 835 1.10
실시예 1-3. 시험체 제적 및 측정방법
쪼갬인장강도시험(KS F 2423)은 Ф100mm×200mm 의 원주형공시체를 이용하여 재령 28일에 실시하였으며, 휨강도시험(KS F 2566)은 150mm×150mm×550mm의 각주형공시체를 제작하여 재령 28일에 도 2와 같이 3등분점 하중재하시험 방법으로 가력하면서 중앙점의 처짐을 측정하여 하중-처짐 관계로부터 휨 인성을 평가하고, 휨강도는 최대 하중에서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하였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휨강도(MPa)를 나타내고, P는 최대하중(N)과 l 은 지간(mm)을 나타낸다. 또한, b는 파괴 단면의 폭(mm)을 나타내며, h는 파괴 단면의 높이(mm)를 나타낸다.
아울러, 휨 인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첫째, ASTM C1018에서 제시하고 있는 휨 인성지수(I5, I10, I20)를 구하여 도 3과 같이 평가하였다. 즉, 초기 하중-처짐 곡선을 직선화한 뒤 초기 균열하중(A 점)의 접선이 X축과 만나는 O' 점을 처짐 원점으로 잡아 O'AB 에 의한 삼각형 면적을 초기 균열처짐 δLOP 의 면적으로 간주하였다.
이때, O'B 를 δ로 하여 3δ, 5.5δ, 10.5δ인 D, F, H 점을 잡아 각각의 면적을 δLOP의 면적으로 나누어 준 값을 수학식 2와 같이 인성지수로 평가하였다.
둘째, KS F 2566(2014)에 제시한 등가휨 강도를 구하여 평가하였는데 등가휨강도는 휨성능 시험을 통해 얻은 하중-처짐 곡선에서 주어진 처짐(지간의 1/150)에서 평균 휨강도로 정의하고 있으며, 계산은 수학식 3과 같고, 도 4는 등과휨 강도 산출개념을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여기서, f′는 등가휨강도(MPa), δtb는 지간의 1/150의 처짐(mm), Ab는 도 5의 δtb까지의 면적, l은 지간(mm), b는 파괴 단면의 폭(mm), h는 파괴 단면의 높이(mm)를 나타낸다.
실시예 1-4. 염분침투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의 하이브리드가 콘크리트의 염분침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NT BUILD 492(1999) 전기영동시험방법으로 염분침투시험을 실시하였다.
염분침투시험법은 콘크리트 양단에 10V~60V 의 직류전압을 24시간이상 가하여 염소이온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평가항목이 염소이온 침투깊이를 측정하여 이를 반경험적인 관계식으로부터 전기적 이동계수를 산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관계식으로부터 전기적 이동계수를 산정하는 것으로, 비정상상태의 전기이동실험에 의한 콘크리트,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계 보수재료의염소이온 전기이동계수의 결정을 위한 것이다.
시험을 위한 전처리는 Ф100mm×200mm 의 원주형공시체 위아래를 제거한 공시체를 Ф100mm×50mm 로 3등분 절단하여 3개/조로 준비하고 침투면 이외의 염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공시체 측면을 에폭시계 접착제로 표면처리를 한 후 위아래양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데시케이터(desiccator)를 이용하여 3시간 진공처리(1kPa~5kPa) 를 실시한 후 진공펌프를 가동한 상태에서 Ca(OH)2 수용액을 데시케이터 내에 주입하여 공시체가 완전히 잠길 때까지 채우고 추가로 1시간 동안 진공을 유지한 후 대기압상태로 만들어 18±2 시간 정도 Ca(OH)2 수용액에 추가로 침지하는데, 이 과정은 공시체 중의 공기를 제거하고 콘크리트의 염분침투를 촉진시키기 위해 실시하였다.
아울러, 전기영동시험의 개요는 도 5와 같고, 전처리 후 시험은 음극용액 수돗물 질량비로 10% NaCl(약 2N NaCl) 수용액과 양극용액 0.3N NaOH 수용액을 준비한 후, 초기가압전압 30V 에 대응하는 초기전류에 의해 가압전압과 가압시간이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공시체가 초기 전류 190mA 를 넘어 가압전압 10V 에 24시간으로 고정하여 염분침투시험을 실시하였다.
염분침투시험이 완료된 후 공시체의 정중앙을 할렬하여 할렬면에 0.1M AgNO3 수용액을 적당량 분사한 후 백색으로 변색된 침투영역으로부터 침투깊이를 산정하는데 침투깊이는 도 6에서와 같이 양단 10mm 를 제외하고 임의로 15곳 이상을 측정한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또한, 염분침투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수학식 4에 의한 확산계수(Dnssm)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NT BUILD 492의 전기영동시험방법에 의한 비정상상태에서의 확산계수였다.
Figure pat00005
여기서, Dnssm 은 확산계수(비정상상태, ×10-12-12m2/s), T 는 용액의 평균온도(℃), U는 전압(V), L은 공시체두께(mm), xd는 염분침투깊이의 평균치(mm), t는: 시험시간(hour)을 나타낸다.
<실험예>
실험예 1. 실험결과 및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유기계 섬유의 하이브리드 혼입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기계 섬유가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4배합 A: 0.40%, B: 0.62%, C: 0.63%, D: 0.85%과 섬유가 없는 대조군(Plain): 0% 에 대해 쪼갬인장강도, 휨강도에 대한 강도특성을 분석하였고, 휨강도 실험으로 얻은 하중-변위 관계를 이용해 하이브리드 보강으로 인한 콘크리트의 인성능력을 분석하였으며, 염투침투저항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예 1-1. 강도특성
섬유의 혼입률이 다른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와 섬유가 없는 대조구(Plain 콘크리트)의 강도시험 결과들은 표 4와 같다.
기준 섬유(Vol. %) 섬유(kg/m3) 쪼갬인장강도(MPa) 휨 강도 (MPa)
PVA PP PVA PP
대조구 0 0 0 0 1.99 2.51
A 0.07 0.33 90 3.00 2.00 2.54
B 0.07 0.55 90 5.00 2.03 2.56
C 0.3 0.33 3.90 3.00 1.96 2.67
D 0.3 0.55 3.90 5.00 2.06 2.71
아울러, 쪼갬인장강도 및 휨 강도의 시험 결과는 도 7(a)와 도 7(b)와 같다. 유기계 섬유의 하이브리드 혼입량의 변화에 따라 인장강도에서는 하이브리드 섬유의 혼입률이 PVA 섬유(0.30%) + PP섬유(0.55%)=0.85%, 체적에서 대조구 대비 약 4% 증가하였다.
그리고, 휨강도시험 결과는 도 7(b)에서와 같이 하이브리드 섬유의 체적비가 증가할수록 연구범위내에서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약 8%까지 증가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활용한 PVA 섬유와 PP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에서는 비교적 큰 강성의 개선효과는 발현되지 않았으나, 유기계 섬유들의 하이브리드 효과도 콘크리트의 전단파괴를 억제하는데 어느정도 유효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인장강도와 휨강도는 섬유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비록 증가 폭은 미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유기계 섬유의 하이브리드 보강이 콘크리트의 강도 개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실험예에서는 PP섬유를 0.55% 체적으로 혼입한 경우에 강도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실험예 1-2. 휨 거동
대조구 콘크리트와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휨강도시험에 의한 하중-변위 관계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가 없는 콘크리트는 도 8(a)에서 처럼 하중 가력이후 휨균열 발생과 동시에 급격한 취성파괴를 보여 최대내력 이후 변위가 없었다. 또한, PP 섬유의 체적비가 0.33% 인 A, C-type 의 경우 도 8(b) 에서와 같이 휨 균열발생 이후 급격한 내력저하가 발생하여 최대내력의 약 30% 까지 저하된 상태에서 일정변위까지 내력을 유지하다가 떨어져 변위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최대내력 이후의 거동에서는 PVA 섬유의 체적비에 대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PP 섬유의 체적비가 0.55%인 B, D-type 의 경우 도 8(c)에서와 같이 휨 균열발생 이후 최대내력의 40~60%까지 하중을 유지하거나 소폭 증가되는 양상을 보이다가 일정변위 이후에 급격히 내력이 저하되어 PP 섬유의 체적비가 0.33%인 A-type, C-type 의 거동과 유사한 진행을 보였다.
그리고, PP섬유의 체적비가 0.33% 인 경우보다 0.55% 에서 보다 큰 휨 거동을 보여주고 있으며, 최대내력 이후 일부구간에서 보이는 내력은 PP 섬유의 내력으로 보여지며, 일부 내력 증진은 휨 균열발생 이후 보이는 경화현상으로 PVA 섬유와 PP 섬유의 하이브리드 효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1-3. 연성 평가
섬유가 없는 대조구 콘크리트와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한 콘크리트의 휨 연성을 분석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기준 섬유(Vol. %) 휨 인성지수 등가 휨 강도
PVA PP I5 I10 I20 세기(MPa) 지수
대조구 0 0 1.00 1.00 1.00 0.33 1.00
A 0.07 0.33 2.22 3.51 4.88 0.90 2.73
B 0.07 0.55 2.72 4.40 6.14 1.15 3.48
C 0.3 0.33 2.23 3.58 5.49 0.96 2.91
D 0.3 0.55 3.14 5.21 7.64 1.42 4.30
보다 구체적으로, ASTM C1018(2006)의 휨 인성지수(I5, I10, I20)를 이용하여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한 콘크리트의 휨 연성을 확인한 결과 도 9와 같이 섬유의 체적비가 증가 할 수록 즉, 섬유보강지수가 커질수록 휨 인성지수가 증가하였고 PP 섬유 체적비 0.55% 인 B-type, D-type 은 변위가 커질수록 I20 인성지수에서와 같이 연성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도 9(b) 에서는 휨 인성지수사이의 차이를 확인할 결과 PP 섬유가 각각 0.33%, 0.55%, Vol. 이고, PVA 섬유가 0.07%, Vol. 혼입된 A-type, B-type 은 I20 - I10, I10 - I5 의 차이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분석되어 마이크로섬유 함량이 0.1% 이하인 경우 휨 인성지수의 단계별 증가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PVA 섬유가 0.33%, Vol. 혼입된 C-type, D-type 의 경우는 I5 ~ I10 보다 I10 ~ I20 사이의 인성지수가 큰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는 마이크로섬유의 혼입률이 5.5δ이후의 연성거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KS F 2566(2014)에서 제시하고 있는 등가휨강도를 도 10에서와 같이 섬유혼입 타입별로 비교하였고, 휨 인성지수와 비교하기 위해 대조구 콘크리트의 등가휨강도를 전단파괴가 일어난 최대내력까지의 면적(Ab)으로 계산하여 대조구 콘크리트의 등가휨강도로 다시 나누어서 무차원 지수화 시켜 도 11과 같이 휨 인성지수와 비교하였다.
등가휨강도는 주어진 처짐(지간 l의 1/150)에서의 평균 휨강도로 정의되어 있어 대조구 콘크리트와 같이 최대내력이후 취성거동을 보이는 경우 상대비교가 어려웠으나 본 실험예에서 무차원 지수화를 통해 연성에 대한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연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수들의 증가기울기는 I20 이 가장 크고 I5 가 가장 작으며, I10 과 등가휨강도 지수가 중간으로 유사한 증가기울기를 보였다.
인성지수 I20 의 기울기는 섬유 체적비가 증가할수록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1-4. 염분침투저항성
유기계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NT BUILD 492(1999) 전기영동시험방법에 의한 염분침투시험 결과는 Fig. 12(a)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가 하이브리드 혼입된 경우 섬유가 없는 대조구(Plain) 콘크리트 대비 섬유의 혼입률 즉, 체적비 가 커질수록 염분침투 지표인 확산계수(Dnssm)가 전반적으로 낮아져 콘크리트에 유기계 섬유의 하이브리드 보강 이 염분침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우선적으로 대조구(Plain) 콘크리트와 동일한 배합에서 친수성 섬유인 PVA가 추가적으로 더 혼입되어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높이고, 표면에 기하구조를 갖는 PP섬유가 시멘트 메트 릭스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킨 결과로 보여진다.
결과를 정리해 보면 대조군(Plain)콘크리트의 확산계수는 34.3×10-2 m2/s이고 PVA섬유와 PP섬유의 체적비가 0.40%, 0.62%, 0.63%, Vol.인 A-type, B-type, C-type은 약 2%내외로 확산계수가 감소하여 감소폭이 미미한 수준이나 체적비가 PVA섬유(0.30%)+PP섬유(0.55%)=0.85%, Vol.인 D-type 은 약 6%수준으로 감소하여 유효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Fig. 12(b)에서는 비록 실험 개체수가 부족하여 섬유 체적 비와 확산계수의 관계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지만 연구범위 내에서 둘의 관계를 선형적으로 추정해본 일차방적식의 R2=0.66% 이다.
본 실험예에서는 유기계+유기계 섬유의 하이브리드 보강도 콘크리트의 염분침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PVA 섬유(polyvinyl alcohol) 및 PP 섬유(polypropylene)를 포함하는 섬유 보강재가 콘크리트 전체 100 부피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부피부로 혼입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보강재는
    PVA 섬유 7 내지 30 부피부; 및
    PP 섬유 30 내지 55 부피부;를 포함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3. 제1항에 있어서,
    물 150 내지 190 중량부;
    시멘트 300 내지 400 중량부;
    잔골재 750 내지 1000 중량부;
    굵은 골재 700 내지 940 중량부;
    PVA 섬유 0.7 내지 5 중량부; 및
    PP 섬유 2 내지 8 중량부; 를 포함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4. 제3항에 있어서,
    고성능 감수제 0.5 내지 1.2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A 섬유(polyvinyl alcohol fiber)는
    직경이 0.5 내지 20㎛이고 길이가 0.1 내지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P 섬유(polypropylene)는
    직경이 0.1 내지 2mm이며, 길이가 10 내지 7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쪼갬인장강도가 2 내지 2.5MPa 이고, 휨 강도가 2.54 내지 2.9MPa, 등가 휨 강도가 0.9 내지 1.6MPa인 것 특징으로 하는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KR1020160170367A 2016-12-14 2016-12-14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KR20180068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67A KR20180068562A (ko) 2016-12-14 2016-12-14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367A KR20180068562A (ko) 2016-12-14 2016-12-14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62A true KR20180068562A (ko) 2018-06-22

Family

ID=6276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367A KR20180068562A (ko) 2016-12-14 2016-12-14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5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8096A (zh) * 2020-12-05 2021-04-06 中建西部建设贵州有限公司 一种高抗折耐磨混杂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438751B1 (ko) * 2022-06-10 2022-08-31 김찬수 신축이음부의 후타 보수 및 교면 포장 보수를 위한 고내구성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5893954A (zh) * 2022-10-31 2023-04-04 重庆云天化天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残余抗弯强度的聚甲醛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5893954B (zh) * 2022-10-31 2024-05-07 重庆云天化天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残余抗弯强度的聚甲醛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0B1 (ko) 2012-07-17 2014-08-25 유한회사 콘원 탄소섬유 고강도 콘크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650B1 (ko) 2012-07-17 2014-08-25 유한회사 콘원 탄소섬유 고강도 콘크리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8096A (zh) * 2020-12-05 2021-04-06 中建西部建设贵州有限公司 一种高抗折耐磨混杂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438751B1 (ko) * 2022-06-10 2022-08-31 김찬수 신축이음부의 후타 보수 및 교면 포장 보수를 위한 고내구성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5893954A (zh) * 2022-10-31 2023-04-04 重庆云天化天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残余抗弯强度的聚甲醛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5893954B (zh) * 2022-10-31 2024-05-07 重庆云天化天聚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残余抗弯强度的聚甲醛纤维混凝土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shrei et al. Flexural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using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sheets with grooves
Li et al. Experimental research on mechanical performance of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with polyvinyl alcohol short fiber and carbon textile
Naghibdehi et al. Behaviour of functionally graded reinforced-concrete beams under cyclic loading
Siad et al. Effect of combined pre-cracking and corrosion on the method of repair of concrete beams
Holschemacher et al. Strengthening of RC beams using lightweight self-compacting cementitious composite
KR20180068562A (ko) 염분침투저항성과 휨 인성이 강화된 유기계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
KR20170076146A (ko) 그래핀부산물이 혼입된 시멘트-모르타르 복합체
Abu-Lebdeh et al. Flexural and tensile characteristics of microfiber-reinforced very high strength concrete thin panels
US20140190113A1 (en)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reinforcement bars
Abdulrahman et al. Repairing of reactive powder concrete T-beams containing web opening by CFRP Strips
Fantilli et al. Two-Stage Cementitious Composites Containing Recycled Steel Fibers.
Chen et al. Effects of basalt fiber reinforced polymer minibar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cracked UHPC after chloride induced corrosion
Zamir et al. Fabric cement-based composites with nanoparticles filler, interfacial characteristics
Balamuralikrishnan Cyclic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retrofitted with externally bonded SIFCON laminates
JP6214393B2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
Dong et al. Failure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repaired with CFRP composites
Yin et al. Properties and calculation of normal section bearing capacity of RC flexural beam with skin textile reinforcement
Oh et al. Cracking, ductility and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HPFRCC with various mixture proportions and fibers
Kumar et al. Acrylic rubber latex in ferrocement for strengthening reinforced concrete beams
Gop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oncrete with basalt fibre
Sharbatdar et al. Flexural retrofitting of the damaged reinforced concrete beams by using HPFRCC
Monier et al. External flexural strengthening of rc beams using BFRP grids and PCM
M Njeman et al. Ductility and toughness of unsymmetrical CFRP strengthen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Kamal et al. EXPERIMENTS ON STRENGTHENED CONCRETE BEAMS WITH HYBRID STEEL-GRFP REBARS
Al-Thairy et al. Strengthening of RC columns under eccentric loads using NSM steel and GFRP 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