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798A -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 Google Patents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798A
KR20180067798A KR1020160169122A KR20160169122A KR20180067798A KR 20180067798 A KR20180067798 A KR 20180067798A KR 1020160169122 A KR1020160169122 A KR 1020160169122A KR 20160169122 A KR20160169122 A KR 20160169122A KR 20180067798 A KR20180067798 A KR 2018006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ouch
application
pressure
attribut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594B1 (ko
Inventor
홍문기
김세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6016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59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379 priority patent/WO2018110910A1/ko
Publication of KR2018006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은,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오브젝트 표시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된 속성값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속성값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를 상이하게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OBJECT DISPLAYING METHOD FOR DISTINGUISHING APPLACATIONS HAVING A TOUCH PRESSURE FUNCTION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의 쉽고 간편한 조작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시 터치 스크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터치 스크린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및 터치 위치를 인식하고 이러한 터치를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 스크린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제3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고, 이를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는 터치 압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임을 나타내는 별도의 표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에 기초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는지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할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은,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오브젝트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된 속성값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속성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의 형상, 크기,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와 함께 별도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이한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된 속성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속성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의 형상, 크기,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와 함께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이한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 의하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를 상이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 패널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f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f는 전극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전극시트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6c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압력 전극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에 있어 압력 전극 형성의 다양한 방식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흐름도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 주체별로 나누어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에 이용되는 각 속성값을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이 모바일 단말에 구현된 경우의 터치 스크린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상이하지만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아울러,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에 대한 언급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모바일 단말(mobile terminal)」은 디스플레이와 터치 입력부, 또는 양자를 결합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를 비롯하여,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을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모바일 단말은 통신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이동식 단말을 의미한다. 즉, 통신 기능이 갖춰진 핸드폰 등의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통신 기능이 갖춰지지 않았지만,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카메라, 캠코더 등의 장치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전자사전 등과 같은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을 비롯하여 가정용 PC, TV, DVD, 냉장고,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자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은 산업용 제어장치, 의료장치 등 디스플레이와 입력을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제품에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을 먼저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압력 검출 모듈(400)을 예시하지만 임의의 방식으로 터치 위치 및/또는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센서 패널(100) 및 압력 검출 모듈(40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 패널(100), 디스플레이패널(200), 기판(300), 압력검출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손가락과 같은 객체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정전 용량 변화량을 이용해 위치 또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상기 각 구성 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 중 일부만 포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 패널(100)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 방식과 관련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에 포함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패널(100)의 개략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패널(100)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한 터치 센서(10), 상기 터치 센서(10)의 동작을 위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12), 및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으로부터 터치 표면에 대한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감지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10)는 복수의 구동 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 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터치 센서(10)의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직교 어레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이 대각선, 동심원 및 3차원 랜덤 배열 등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차원 및 이의 응용 배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n 및 m은 양의 정수로서 서로 같거나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동전극(TX)은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을 포함하고 수신전극(RX)은 제1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후술하게 될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술하게 될 커버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ver) 및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는 메탈 메쉬(metal mesh)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2)는 구동신호를 구동전극(TX1 내지 TXn)에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신호는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구동전극에 대해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신호의 인가는 재차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구동전극에 구동신호가 동시에 인가될 수도 있다.
감지부(11)는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수신전극(RX1 내지 RXm)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4)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신호는 구동전극(TX)에 인가된 구동신호가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사이에 생성된 정전용량(Cm: 14)에 의해 커플링된 신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구동전극(TX1)부터 제n구동전극(TXn)까지 인가된 구동신호를 수신전극(RX1 내지 RXm)을 통해 감지하는 과정은 터치 센서(10)를 스캔(scan)한다고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는 각각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해당 수신전극(RX)의 신호를 감지하는 시간구간에 온(on)되어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가 수신기에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수신기는 증폭기(미도시) 및 증폭기의 부(-)입력단과 증폭기의 출력단 사이, 즉 궤환 경로에 결합된 궤환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증폭기의 정(+)입력단은 그라운드(ground)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는 궤환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리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셋 스위치는 수신기에 의해 수행되는 전류에서 전압으로의 변환을 리셋할 수 있다. 증폭기의 부입력단은 해당 수신전극(RX)과 연결되어 정전용량(Cm: 1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류 신호를 수신한 후 적분하여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를 통해 적분된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C(미도시: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후,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입력되어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감지부(11)는 수신기와 더불어, ADC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구동부(12)와 감지부(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구동부(12)에 전달하여 구동신호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구동전극(TX)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는 감지제어신호를 생성한 후 감지부(11)에 전달하여 감지부(11)가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수신전극(RX)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a에서 구동부(12) 및 감지부(11)는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터치 검출 장치(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제어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장치는 터치 센서(10)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센싱 회로인 터치 센싱 IC(touch sensing Integrated Circuit) 상에 집적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10)에 포함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예컨대 전도성 트레이스(conductive trace) 및/또는 회로 기판상에 인쇄된 전도성 패턴(conductive pattern)등을 통해서 터치 센싱 IC에 포함된 구동부(12) 및 감지부(11)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싱 IC는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회로 기판, 예컨대 제1인쇄 회로 기판(이하에서, 제1PCB로 지칭)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싱 IC는 터치 스크린의 작동을 위한 메인보드 상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교차 지점마다 소정 값의 정전용량(Cm)이 생성되며, 손가락과 같은 객체가 터치 센서(10)에 근접하는 경우 이러한 정전용량의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a에서 상기 정전용량은 상호 정전용량(Cm, mutual capacitance)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을 감지부(11)에서 감지하여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축과 제2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으로 이루어진 터치 센서(10)의 표면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가 일어날 때 구동신호가 인가된 구동전극(TX)을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2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시 수신전극(RX)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로부터 정전용량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의 제1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에서는 구동 전극(TX)과 수신 전극(RX)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10)의 동작 방식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 정전용량(self capacitance)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일구성인 터치 센서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와 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터치 센서(10)는 복수의 터치 전극(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30)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 구동제어신호는 구동부(12)에 전달되고, 구동부(12)는 구동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제어부(13)에 의해 생성된 감지제어신호는 감지부(11)에 전달되고, 감지부(11)는 감지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터치 전극(3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감지신호는 터치 전극(30)에 형성된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이때, 감지부(11)가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하여, 터치 센서(10)에 대한 터치 여부 및/또는 터치 위치가 검출된다. 예컨대, 터치 전극(30)의 좌표를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터치 센서(10)의 표면에 대한 객체의 터치의 여부 및/또는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편의상 구동부(12)와 감지부(11)가 별개의 블록으로 나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터치 전극(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터치 전극(30)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동작을 하나의 구동 및 감지부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a 내지 도 3f는 터치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대한 디스플레이 전극의 상대적인 위치를 예시하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은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을 포함하는 액정층(250), 액정층(250)의 양단에 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층(261)과 제2기판층(262), 그리고 상기 액정층(25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기판층(261)의 일면에 제1편광층(271) 및 상기 제2기판층(262)의 일면에 제2편광층(2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층(261)은 컬러필터 글라스(color filter glass)일 수 있고, 제2기판층(262)은 TFT 글라스(TFT glass)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기판층(261) 및 제2기판층(262)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과 같은 벤딩(bending)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제2기판층(262)은, 데이터 라인(data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TFT, 공통 전극(Vcom: common electrode) 및 픽셀 전극(pixel electrod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전기적 구성요소들은, 제어된 전기장을 생성하여 액정층(250)에 위치한 액정들을 배향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3d 내지 도 3f는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d 내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OLED 패널은 OLED를 포함하는 유기물층(280), 유기물층(280)의 양단에 전극을 포함하는 제1기판층(281)과 제2기판층(283), 그리고 상기 액정층(280)과 대향하는 방향으로서 상기 제1기판층(281)의 일면에 제1편광층(2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층(281)은 인캡 글라스(Encapsulation glass)일 수 있고, 제2기판층(283)은 TFT 글라스(TFT glass)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기판층(281) 및 제2기판층(283)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과 같은 벤딩(bending) 가능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OLED 패널의 경우,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제1전원라인(ELVDD), 제2전원라인(ELVSS)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패널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층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질이 빛의 색깔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OLED는 유리나 플라스틱 위에 유기물을 도포해 전기를 흘리면, 유기물이 광을 발산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즉, 유기물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정공과 전자를 주입하여 발광층에 재결합시키면 에너지가 높은 상태인 여기자(excitati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떨어지면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특정한 파장의 빛이 생성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발광층의 유기물에 따라 빛의 색깔이 달라진다.
OLED는 픽셀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동작특성에 따라 라인 구동 방식의 PM-OLED(Pass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개별 구동 방식의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가 존재한다. 양자 모두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매우 얇게 구현할 수 있고, 각도에 따라 명암비가 일정하고, 온도에 따른 색 재현성이 좋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미구동 픽셀은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동작 면에서 PM-OLED는 높은 전류로 스캐닝 시간(scanning time) 동안만 발광을 하고, AM-OLED는 낮은 전류로 프레임 시간(frame time)동안 계속 발광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AM-OLED는 PM-OLED에 비해서 해상도가 좋고, 대면적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이 유리하며,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내장하여 각 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화면을 구현하기 쉽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LCD 패널 또는 OLED 패널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변형시켜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도 3a 및 3d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외부에 배치된 구조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에는 터치 센서 패널이 배치될 수 있고,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이 터치 센서 패널에 포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표면은 터치 센서 패널의 표면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제2기판층(262, 28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3b, 도 3c, 도 3e 및 3f는,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센서(1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도 3b 및 3e에서는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이 제1기판층(261,281)과 제1편광층(271,28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외면으로서 도 3b 및 3e에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제2기판층(262, 28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c 및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제2기판층(262, 28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표면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외면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될 수 있다. 이때, 도 3a 내지 도 3f에서, 터치 표면이 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보호하기 위해서 커버층(미도시)으로 덮여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TFT, 공통 전극(Vcom: common electrode) 및 픽셀 전극(pixel electr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OLED 패널인 경우,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데이터 라인(data line), 게이트 라인(gate line), 제1전원라인(ELVDD) 및 제2전원라인(ELV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또한, 도 3a 내지 도 3f에서는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제2기판층(262, 283)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제1기판층(261, 281)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 중 어느 하나는 제2기판층(262, 283)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제1기판층(261, 281)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10)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터치 센서 중 적어도 나머지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 패널을 구성하는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전극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터치 센서(10)가 배치되는 경우, 터치 센서 동작을 위한 전극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으나,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위치하는 다양한 구성 및/또는 전극이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센서(10)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10)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포함된 제1기판층(261, 281)과 제2기판층(262, 28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중 상기 적어도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로서 제1기판층(261, 281)과 제2기판층(262, 283) 사이가 아닌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은,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제1 전극(620), 제2 전극(621),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 중 일부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3b, 3d 및 3e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10)는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이 도 1a에서 설명된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으로 동작하여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 사이의 상호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이 도 2b에서 설명된 단일 전극(30)으로 동작하여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 각각의 자기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b 및 3e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10)는 제3 전극(610)과 제1 전극(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전극(610) 및 제1 전극(620)이 도 2a에서 설명된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으로 동작하여 제3 전극(610)과 제1 전극(620) 사이의 상호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620)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일 경우, 제1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c 및 3f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10)는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도 2a에서 설명된 구동전극 및 수신전극으로 동작하여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사이의 상호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이 도 2b에서 설명된 단일 전극(30)으로 동작하여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 각각의 자기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620) 및/또는 제2 전극(621)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일 경우, 제1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제1 전극(620), 제2 전극(621),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 중 일부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3b, 3d 및 3e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압력 센서는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센서와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가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제1 전극(620) 및/또는 제2 전극(621)이 압력 센서인 제3 전극(610) 및 제4 전극(611)과 기준 전위층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간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시간구간 동안 제1 전극(620) 및/또는 제2 전극(621)이 플로팅될 수 있다.
또한, 도 3a, 3b, 3d 및 3e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압력 센서는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센서와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제3 전극(610)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제3 전극(610)의 자기 정전용량 및/또는 제4 전극(611)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제4 전극(611)의 자기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전극(610) 및/또는 제4 전극(611)의 자기 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10)가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제1 전극(620) 및/또는 제2 전극(621)이 압력 센서인 제3 전극(610) 및/또는 제4 전극(611)과 기준 전위층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간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시간구간 동안 제1 전극(620) 및/또는 제2 전극(621)이 플로팅될 수 있다.
도 3b 및 3e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압력 센서는 제3 전극(610)과 제1 전극(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센서와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제3 전극(610)과 제1 전극(62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전극(610)과 제1 전극(62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가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10)가 제3 전극(610)과 제4 전극(6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함과 동시에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 및 제2 시간구간과 다른 제3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제2 전극(621)이 압력 센서인 제3 전극(610)과 기준 전위층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간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시간구간동안 제2 전극(621)이 플로팅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압력 센서는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센서와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가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가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함과 동시에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 및 제2 시간구간과 다른 제3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내지 3f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압력 센서는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표면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센서와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하부 또는 내부에 위치한 기준 전위층(미도시)과 압력 센서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압력 센서와 기준 전위층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제1 전극(620)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제1 전극(620)의 자기 정전용량 및/또는 제2 전극(621)과 기준 전위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제2 전극(621)의 자기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620) 및/또는 제2 전극(621)의 자기 정전용량에 따라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10)가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10)가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구동에 사용되는 전극이 제1 전극(620)과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함과 동시에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구간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과 다른 제2 시간구간에 터치 압력을 검출하고, 제1 시간구간 및 제2 시간구간과 다른 제3 시간구간에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과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커버층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에 압력 인가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와의 거리가 변할 수 있어야하므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및 3d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에서 압력 센서가 제1 전극(620) 또는 제2 전극(62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기준 전위층이 압력 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200A)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압력 센서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은 에어갭(air ga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페이서층은 실시예에 따라 충격흡수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층은 실시예에 따라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은 압력의 인가에 따라 수축하고 압력의 해제시에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회복력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은 탄성폼(elastic foa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하부에 배치되는 후술하게될 기판에 형성되거나 기판 자체가 기준 전위층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은 기판 상부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커버에 형성되거나, 커버 자체가 기준 전위층 역할을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압력 인가시 디스플레이 패널(200A)가 휘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가 휘어짐에 따라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와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A)과 기준 전위층이 배치된 기판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과 기준 전위층이 배치된 커버 사이에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3d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에서 압력 센서가 제1 전극(620) 또는 제2 전극(62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제1기판층(261,281)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제2기판층(262,283)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준 전위층은 제1 전극(620) 및 제2 전극(6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에 압력 인가시 디스플레이 패널(200A)가 휘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200A)가 휘어짐에 따라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와의 거리가 변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센서 사이에는 스페이서층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a 및 3d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에서 압력 센서가 제1 전극(620) 또는 제2 전극(621)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3b, 3c, 3e 및 3f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의 경우,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층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스페이서층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시에 포함되는 에어갭(air gap)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또는 백라이트 유닛이 하나의 에어갭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하나의 에어갭이 스페이서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에어갭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복수개의 에어갭이 통합적으로 스페이서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센서(10) 및/또는 압력 센서가 제1 전극(620) 또는 제2 전극(6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데이터 라인, 게이트 라인, 공통 전극 및 픽셀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터치 센서(10) 및/또는 압력 센서로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OLED 패널인 경우,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제1전원라인(ELVDD), 제2전원라인(ELVSS)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터치 센서(10) 및/또는 압력 센서로 이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여기서 명시된 전극 이외에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터치 센서(10) 및/또는 압력 센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극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전극 및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극과는 다른, 별도의 전극을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에서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전극(450,460)은 전극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00) 및 기판(300)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이용되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A)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0A)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LCD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미도시: backlight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LCD패널의 작동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제어 IC, 그래픽 제어 IC 및 기타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전극시트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 패널(10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가 OCA(Optically Clear Adhesive)와 같은 접착제로 라미네이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의 터치 표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디스플레이 색상 선명도, 시인성 및 빛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한 설명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이 도 3a 및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접착제로 라미네이션되어 부착된 것을 예시하나, 터치 스크린은 도 3b 및 3e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4b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을 덮는 것이 도시되나, 터치 센서(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유리와 같은 커버층으로 덮인 터치 스크린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전극시트가 적용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에서 기판(300)은, 예컨대 터치 스크린의 최외곽 기구인 하우징(320)과 함께 터치 스크린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위치할 수 있는 실장공간 (310) 등을 감싸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에는 메인보드(main board)로서 중앙 처리 유닛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 등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300)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터치 스크린의 작동을 위한 회로기판 및/또는 배터리가 분리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가 차단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센서(10) 또는 터치 센서 패널(10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및 실장공간(310)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320)이 터치 센서(10)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및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하우징(320)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10)를 통해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에 전극시트(440)를 배치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10)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극시트(440)를 포함하는 압력 검출을 위한 구성을 총괄하여 압력 검출 유닛(400)로 지칭한다. 예컨대, 실시예에서 압력 검출 유닛(400)은 전극시트(440) 및/또는 스페이서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 검출 유닛(400)은 예컨대, 에어갭(airgap)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층(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4b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스페이서층(420)은 실시예에 따라 충격흡수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페이서층(420)은 실시예에 따라 유전 물질(dielectric 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시트(440)는 터치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은 전극시트(440)를 배치하기 위해서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기판(300)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센서(10)에 포함된 전극과 구분이 명확하도록,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전극(450 및 460)을 압력 전극(450,460)으로 지칭한다. 이때, 압력 전극(450,46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이 아닌 후면에 배치되므로 투명 물질뿐 아니라 불투명 물질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전극시트(440)가 배치되는 스페이서층(420)을 유지하기 위해서 기판(300) 상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높이를 갖는 프레임(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330)은 접착 테이프(미도시)로 터치 센서 패널(100)에 접착될 수 있다. 도 4b에서 프레임(330)은 기판(300)의 모든 테두리(예컨대, 4각형의 4면)에 형성된 것이 도시되나, 프레임(330)은 기판(300)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4각형의 3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330)은 기판(300)의 상부면에 기판(3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330)은 탄성이 없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 패널(10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과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질 수 있으므로 프레임(330)이 압력에 따라 형체의 변형이 없더라도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시트의 압력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4c 및 이하의 일부 도면에서 압력 전극(450,460)이 전극시트(440)와 분리되어 도시되나,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압력 전극(450,460)은 전극시트(4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450,460)을 포함하는 전극시트(440)는 스페이서층(420) 내로서 기판(300)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검출을 위한 압력 전극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구동전극일 수 있고 나머지 하나는 수신전극일 수 있다. 구동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수신전극을 통해 감지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되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이 생성될 수 있다.
도 4d는 도 4c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에 압력이 인가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은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ground) 전위를 가질 수 있다.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운드 전위면과 압력 전극(450,460) 사이의 거리(d)가 d'로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으로 프린징 정전용량이 흡수되므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감소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d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이 그라운드 전위, 즉 기준 전위층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기준 전위층이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된 기준 전위층과 압력 전극(450,460)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이에 따라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정전용량 변화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시트(440)가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압력을 인가하는 터치에 따라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터치에 따라 변형을 나타내도록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지거나 눌릴 때 가장 큰 변형을 나타내는 위치는 상기 터치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위치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테두리 및 가장자리 등에 근접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휘어지거나 눌리는 정도가 가장 큰 위치는 터치 위치와 다를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적어도 상기 터치 위치에서 휘어짐 또는 눌림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기판(300)의 상부면 또한 노이즈 차폐를 위해 그라운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시트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5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압력 전극(450,460)을 포함하는 전극시트(440)가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부착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이때, 전극시트(440)에서 압력 전극(450,460)은 제1절연층(470)과 제2절연층(471) 사이에 위치하므로, 압력 전극(450,460)이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단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종류 및/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압력 전극(450,460)이 부착되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지 않거나 약한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절연층(470)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ground electrode: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그라운드 전극과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에는 또 다른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그라운드 전극(미도시)은 압력 전극인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에 생성되는 정전용량의 크기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전극(450,460)을 포함하는 전극시트(440)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때, 기판(300)은 그라운드 전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패널(100)의 터치 표면을 터치함에 따라 기판(300)과 압력 전극(450, 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동일한 층에 형성된 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각각은 마름모꼴 형태의 복수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전극(450)은 제1축 방향으로 서로 이어진 형태이고, 복수의 제2전극(460)은 제1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축 방향으로 서로 이어진 형태이며, 제1전극(450) 및 제2전극(460)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복수의 마름모꼴 형태의 전극이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어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서로 절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도9b에 도시된 형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층에 구현되어 전극층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5의 (b)는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서로 다른 층에 구현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은 제1절연층(470) 상에 형성되고 제2전극(460)은 제1전극(450) 상에 위치하는 제2절연층(47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전극(460)은 제3절연층(472)으로 덮일 수 있다. 즉, 전극시트(440)는 제1절연층(470) 내지 제3절연층(472), 제1전극(450) 및 제2전극(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므로 서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XN의 구조로 배열된 구동전극(TX)과 수신전극(RX)의 패턴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M 및 N은 1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또는, 마름모꼴 형태의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이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터치 압력은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검출되는 것이 예시된다. 하지만, 전극시트(440)는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의 압력 전극만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압력 전극과 그라운드층(디스플레이 모듈(200),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내부에 배치되는 기준 전위층) 사이의 정전용량, 즉 자기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동신호는 상기 하나의 압력 전극에 인가되고, 압력 전극과 그라운드층 사이의 자기 정전용량 변화가 상기 압력 전극으로부터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c에서 전극시트(440)에 포함되는 압력 전극은 제1전극(450)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1전극(450)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야기되는 제1전극(450)과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의 정전용량 변화로부터 터치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압력이 커짐에 따라 거리(d)가 감소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1전극(450) 사이의 정전용량은 터치 압력이 증가할수록 커질 수 있다. 이는 도 4e와 관련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전극은,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빗살 형태 또는 삼지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제1전극(450) 및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하나의 판(예컨대,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다른 하나는 전극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c)는 전극시트(440)가 제1전극(450)만을 포함하여 구현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5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을 포함하는 전극시트(440)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f는 압력 전극(450, 460)이 스페이서층(420) 내로서 기판(300)의 상부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전극시트는 제1전극(450)을 포함하는 제1전극시트(440-1)와 제2전극(460)을 포함하는 제2전극시트(44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중 어느 하나는 기판(300) 상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f에서는 제1전극(450)이 기판(300) 상에 형성되고 제2전극(460)이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객체(500)를 통해 터치 센서 패널(100)의 표면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터치 센서 패널(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200)은 휘어지거나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거리(d)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리(d)의 감소에 따라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 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전극을 통해 획득되는 감지신호에서 상호 정전용량의 증가량을 획득하여 터치 압력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도 4f에서 제1전극(450)과 제2전극(460)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므로, 제1전극(450) 및 제2전극(460)은 빗살형상 또는 삼지창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각각 하나의 판(예컨대, 사각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전극(450) 및 복수의 제2전극(46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d)는 제1전극(450)을 포함하는 제1전극시트(440-1)가 기판(300) 상에 부착되고 제2전극(460)을 포함하는 제2전극시트(440-2)가 디스플레이 모듈(200)에 부착된 경우의 단면을 예시한다. 도 5의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전극(450)을 포함하는 제1전극시트(440-1)은 기판(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460)을 포함하는 제2전극시트(440-2)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a)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압력 전극(450, 460)이 부착되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이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지 않거나 약한 그라운드 전위를 나타내는 경우, 도 5의 (a) 내지 (d)에서 전극시트(440)는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과 제1절연층(470, 470-1, 470-2) 사이에 그라운드 전극(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시트(440)는 그라운드 전극(미도시)과 기판(300)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200) 사이에 추가의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서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전극(450,46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직접 형성된 압력 전극(450,46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6a는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형성된 압력 전극(450,46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전극(450,460)이 제2기판층(262)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a에서는 제2편광층(272)이 생략되었으나, 압력 전극(450,460)과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275) 사이 또는 압력전극(450,460)과 제2기판층(262) 사이에 제2편광층(272)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에 압력이 인가되면, 상호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구동전극(45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압력 전극(450,460)과 이격된 기준 전위층(300)과 압력 전극(450,460)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전극(460)으로부터 수신한다. 자기 정전용량 변화량에 기초하여 터치 압력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압력 전극(450,460)에 구동신호가 인가되고, 압력 전극(450,460)과 이격된 기준 전위층(300)과 압력 전극(450,460)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정전용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압력 전극(450,460)으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으로, 도 6b는 OLED 패널(특히, AM-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하부면에 형성된 압력 전극(450,46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전극(450,460)이 제2기판층(283)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6a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6c는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 내에 형성된 압력 전극(450,46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전극(450,460)이 제2기판층(283)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을 검출하는 방법은 도 6a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도 6c에서는 OLE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LCD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A)의 제2기판층(272) 상면에 압력 전극(450,460)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a 내지 6c에서는 압력 전극(450,460)이 제2기판층(272,283)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압력 전극(450,460)이 제1기판층(261,281)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에서 정전용량 변화량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전극(450,46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직접 형성되는 제1전극(450) 및 전극시트의 형태로 구성된 제2전극(4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450)은 도 6a 내지 6c에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A)에 직접 형성되고, 제2전극(460)은 도 4a 내지 4f, 및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시트의 형태로 구성되어 터치 스크린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0)에서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후술하게 될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은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RX1 내지 RXm) 중 어느 하나는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술하게될 커버의 하면에 형성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구동전극(TX1 내지 TXn)과 복수의 수신전극 (RX1 내지 RXm)은 투명 전도성 물질(예를 들면, 산화주석(SnO2) 및 산화인듐(In2O3) 등으로 이루어지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ATO(Antimony Tin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다른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은 은잉크(silver ink), 구리(copper), 은나노(nano silver) 및 탄소 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전극(TX) 및 수신전극(RX)는 메탈 메쉬(metal mesh)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에 의하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그렇지 않은 애플리케이션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압력 기능」이라 함은 위에서 설명한 터치 압력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 촬영 모드를 변경하거나, 사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 사진을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소정 크기 이상의 터치 압력이 인가된 경우 재생 모드를 다르게 하는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사진 및 음악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브젝트」란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그래픽 요소를 의미한다. 오브젝트는 구체적으로 아이콘(icon)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더(folder), 메뉴(menu), 섬네일(thumbnail) 등의 그래픽 요소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고(S1000), 획득된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한 속성값을 추출한다(S1010).
여기서,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한 속성값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성값이 2인 경우,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속성값 2 인 상태에서,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있다면 이를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S1030-1 내지 S1030-3, 하기 상술),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없다면, 제 1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1040). 여기서, 제1 오브젝트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에는 하나의 오브젝트만 포함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코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있다면,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고,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기본(제1)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S1030-1). 예를 들어, 기본(제1) 오브젝트의 형상, 크기,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짐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기본(제1) 오브젝트에 별도의 마크를 더 표시할 수 있다(S1030-2). 예를 들어, 기본(제1) 오브젝트의 우측 상단 또는 하단에 작은 글씨로 P라는 마크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짐을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기본(제1) 오브젝트와는 다른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S1030-3). 이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의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즉, 2개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8의 흐름도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 주체별로 나누어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10은 속성값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에 의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다(S1100).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유지 및 동작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Application info)를 가지며, 홈런처(home launcher)는 각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1110).
홈런처가 추출한 애플리케이션 정보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홈런처는 해당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여(S1130), 사용자로 하여금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한다.
이때, 홈런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을 찾고,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이 없다면(S1140-NO),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그대로 표시하고,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이 있으면(S1140-YES),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150). 그리고,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있다면(S1150-YES), 이를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S1160),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없다면(S1150-NO), 기본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1130).
이때,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 및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은 도 10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수(constant)(1200)는 none, splitActionBarwhenNarrow 및 hasExtra3dUI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속성값(value)(1210)은 각각 0, 1, 2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속성값 0은 별도의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이 없음을 나타내고, 속성값 1 및 속성값 2는 별도의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속성값 2는 별도의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이 있는 상태에서,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의 유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속성값 2 인 상태에서,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있다면(S1150-YES), 이를 표시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터치 압력 기능을 갖는 속성값이 없다면(S1150-NO), 기본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한편, 속성값 1은 별도의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이 있는 상태에서,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을 분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유저인터페이스 옵션 속성을 분할하여 터치스크린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분할 바(separate bar)의 형태로 배치하고, 생성된 분할 바(separate bar)를 또 다시 분할하여 상부 네비게이션 영역(top navigation area) 또는 하부 메뉴 영역(bottom menu area)을 생성할 수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이 모바일 단말(1300)에 구현된 경우의 터치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1300)은 터치 스크린(1310), 컨트롤러(1320), 저장부(1330), 입력부(1340), 출력부(1350) 및 통신부(1360)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300)은 위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작으로 사용자가 인가한 터치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을 검지한다.
저장부(1330)는 모바일 단말(1300)의 운영체제, 콘텐츠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한다. 입력부(13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는 마이크를 비롯하여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입력 모듈일 수 있고, 출력부(1350)는 상대방의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의 출력 모듈일 수 있다. 아울러, 통신부(1360)는 이동통신 모듈, 위성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또는 디지털 방송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20)는 터치 스크린(1310), 저장부(1330), 입력부(1340), 출력부(1350) 및 통신부(1360)를 비롯하여,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바일 단말(13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모듈을 컨트롤한다.
또한, 컨트롤러(1320)는 모바일 단말(1300)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된 속성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터치 스크린(1310)에 표시하도록 컨트롤한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320)는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터치 압력 기능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검출되지 않으면, 기본(제1) 오브젝트를 그대로 터치 스크린(1310)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제1) 오브젝트가 그대로 디스플레이된 것을 보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갖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짐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포함되지 않아, 기본(제1) 오브젝트가 그대로 디스플레이된 터치 스크린(1310) 화면을 나타낸다. 터치 스크린(1310)에 표시된 오브젝트(a1 내지 a11)은 각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기본(제1) 오브젝트이다. 이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갖지 않음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이를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짐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검출되면, 컨트롤러(132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본(제1) 오브젝트를 변경하여 터치 스크린(1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320)는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기본(제1) 오브젝트의 형상, 크기, 색상, 명도, 채도 및 깊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날씨 애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a2),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a4) 및 DMB 애플리케이션의 오브젝트(a9)는 기본(제1) 오브젝트의 깊이가 변경되어, 입체 형상으로 표시되었고, 사용자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a2, a4 및 a9의 애플리케이션만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러(1320)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더 크게 한다거나, 명도를 더 밝게 하는 방식으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터치 압력 기능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컨트롤러(1320)는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기본(제1) 오브젝트와 함께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인 a2, a4 및 a9는 오브젝트의 우측 상단에 ⓟ라는 별도의 마크(b1)가 표시되어 있다. 별도의 마크(b1)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1300)의 저장부(1330)에 기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별도의 마크(b1)가 표시된 a2, a4 및 a9의 애플리케이션만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을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컨트롤러(1320)는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컨트롤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기본(제1) 오브젝트와 함께 별도의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오브젝트는 기본(제1) 오브젝트와 상이하게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2 오브젝트는 기본(제1) 오브젝트와 모양, 형상, 크기, 색상, 명도, 채도 또는 깊이가 다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a2, a4 및 a9를 표시함에 있어, 기본(제1) 오브젝트(도 12 참조)와 모양이 상이한 제2 오브젝트가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는 기본(제1) 오브젝트와 구별되는 제2 오브젝트가 표시된 a2, a4 및 a9의 애플리케이션만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을 즉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은 속성값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상이한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이와 달리 해당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터치 압력 기능을 식별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하고 있고, 해당 플래그가 검출되면 홈런처가 오브젝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플래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혹은 유사한 방식으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지만, 반드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및 효과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조합, 수정, 변경, 전환, 대체, 부가, 수정, 변형 및 응용되어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합, 수정, 변경, 전환, 대체, 부가, 수정된 사항 역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1300‥‥‥‥‥‥‥‥모바일 단말
1310‥‥‥‥‥‥‥‥터치 스크린
1320‥‥‥‥‥‥‥‥컨트롤러
1330‥‥‥‥‥‥‥‥저장부
1340‥‥‥‥‥‥‥‥입력부
1350‥‥‥‥‥‥‥‥출력부
1360‥‥‥‥‥‥‥‥통신부

Claims (12)

  1.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오브젝트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로부터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된 속성값을 추출하는 추출 단계; 및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오브젝트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오브젝트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의 형상, 크기, 색상, 명도, 채도 및 깊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오브젝트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와 함께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는 오브젝트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이한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오브젝트 표시 방법.
  7.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터치 위치 및 터치 압력 검출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상기 모바일 단말에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 정보에서 터치 압력 기능과 관련된 속성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속성값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값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값을 갖는 모바일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바일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의 형상, 크기, 색상, 명도, 채도 및 깊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바일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1 오브젝트와 함께 별도의 마크를 표시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바일 단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오브젝트와 상이한 제2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터치 압력 기능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하는 속성값이 추출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포함된 제2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컨트롤하는 모바일 단말.
KR1020160169122A 2016-12-13 2016-12-13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KR10189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22A KR101895594B1 (ko) 2016-12-13 2016-12-13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PCT/KR2017/014379 WO2018110910A1 (ko) 2016-12-13 2017-12-08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22A KR101895594B1 (ko) 2016-12-13 2016-12-13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798A true KR20180067798A (ko) 2018-06-21
KR101895594B1 KR101895594B1 (ko) 2018-09-06

Family

ID=6255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22A KR101895594B1 (ko) 2016-12-13 2016-12-13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5594B1 (ko)
WO (1) WO20181109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9603A (zh) * 2020-04-22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354A (ko) * 2012-09-10 2014-03-20 인포뱅크 주식회사 무선단말 장치와 그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40105735A (ko) * 2011-12-08 2014-09-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확장형 통신 서비스를 위한 동적인 최소화된 내비게이션 바
KR20150129638A (ko) * 2015-11-09 2015-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실행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9616B2 (en) * 2004-12-21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controls
KR101668225B1 (ko) * 2015-06-01 2016-10-24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압력 센싱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735A (ko) * 2011-12-08 2014-09-02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확장형 통신 서비스를 위한 동적인 최소화된 내비게이션 바
KR20140034354A (ko) * 2012-09-10 2014-03-20 인포뱅크 주식회사 무선단말 장치와 그의 정보 처리 방법
KR20150129638A (ko) * 2015-11-09 2015-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 실행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9603A (zh) * 2020-04-22 2020-07-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910A1 (ko) 2018-06-21
KR101895594B1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765B1 (ko) 스마트폰
KR101727263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101908463B1 (ko) 터치 입력 장치
KR20160149030A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10185971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792525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20190089011A (ko) 디스플레이 노이즈 보상이 적용된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70025706A (ko) 압력 감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1958323B1 (ko)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US20200387279A1 (en) Touch input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6596183B2 (ja) タッチ入力装置
KR102044802B1 (ko) 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1865303B1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852413B1 (ko) 복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1649986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102084467B1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880434B1 (ko) 터치 입력 장치와 터치 입력 장치의 커패시턴스 측정 방법
KR101895594B1 (ko) 터치 압력 기능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기 위한 오브젝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KR2018006283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018155B1 (ko) 터치 입력 장치
KR20180057250A (ko) 압력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70042529A (ko)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터치 압력 검출 가능한 터치 입력 장치
KR20180055346A (ko) 터치 입력 장치에서의 전화 연결 방법
KR101939196B1 (ko) 압력 감도 조절이 가능한 압력 검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20180066582A (ko) 터치 입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객체에 메모를 삽입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