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241A -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 Google Patents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241A
KR20180067241A KR1020160168744A KR20160168744A KR20180067241A KR 20180067241 A KR20180067241 A KR 20180067241A KR 1020160168744 A KR1020160168744 A KR 1020160168744A KR 20160168744 A KR20160168744 A KR 20160168744A KR 20180067241 A KR20180067241 A KR 20180067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cube
displayed
constituent
mem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76275B1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2016016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75B1/en
Publication of KR20180067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09B19/025Counting; Calculating with electrically operated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2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actuated by a sound, e.g. using a micro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1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 A63F2009/2454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with 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7Output devices audible, e.g. using a loudspeaker
    • A63F2009/2476Speech or voice synthesisers, e.g. using a speech ch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92Pow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be in which a row and a line rotate to fit composition of a side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s a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which is provided with different colors in each side, and a multiplication table is written in each piece of composition of each side. Therefore, each side of the cube is fitted to learn multiplication tables.

Description

구구단 학습용 큐브{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본 발명은 구구단 학습용 큐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놀이를 통해 구구단을 암기 학습할 수 있는 구구단 학습용 큐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be for cue-ball lear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e ball for learning cueball through a play.

구구단은 수학공부에서 기본이 되는 지식으로 단순암기를 통해 학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단순암기형 학습법은 학습의욕을 현저히 감퇴시키므로,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해 놀이를 이용한 학습도구가 개발되고 있다.It is a common knowledge base that the basic knowledge in mathematics study is learned through simple memorization. However, the simple memorization type learning method significantly reduces the motivation to learn, so learning tools using play are being developed to generate interest and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educator.

한국공개특허 10-2003-0083932에는 구구단 암기용 유희용구로서, 수식과 답 및 배면에 점수가 인쇄된 카드를 1세트로 구성하여 구역구분표내에 배열하고, 이러한 구역구분표를 플레이트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며, 1 ~ 9까지 색인 된 주사위 2개를 구비하여 주사위 2개를 동시에 던져 상면에 나온 두 주사위의 숫자를 플레이트의 구역구분표에서 찾아 두 수를 곱하여 나오는 값을 답과 비교하면서 구구법을 암기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구역구분표에 있는 카드를 뽑아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즐길 수 있게 하는 구구단 암기용 유희용구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83932 discloses a game apparatus for memorizing a game table, comprising a set of cards in which a score is printed on a formula and an answer and a back face, and arranged in a zone division table, And two dice indexed from 1 to 9, two dice are thrown at the same time, and the number of the two dice on the top is found in the division table of the plate, and the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number is compared with the answer, And at the same time, a card in the zone division table is drawn and a score is given to the user.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의 흥미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고, 부품이 많아서 부품의 손/망실의 우려가 있었다.However, such a technique does not actively attract user's interest, and there are many parts and there is a fear of hand / loss of parts.

한국공개특허 10-2003-008393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8393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입방체로서 암기자의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tongue terminal which can draw the interest of a caster as a single c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과 행을 회전하여 면의 구성을 맞추는 큐브에 있어서, 상기 각 면에는 서로 다른 색이 구비되고, 상기 각 면의 구성각편에는 구구단이 표기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be for rotating a row and a column to match a configuration of a surface, wherein each of the cube has different colors, A cube for memorization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각편에 표시된 구구단은 1단에서 3단까지 제1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1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2면에도 상기 제1면과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2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3면에도 상기 제2면의 타단에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하여 표시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ends displayed on the constituent parts are sequentially display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end to the third end, and the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And a third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is continuously displayed from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other end.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면의 1단 표시 중 4,5,6이 표시된 행의 각 열방향으로 하단에 인접한 제4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4,5,6단이 연속하여 표시되고, 상기 제4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5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하여 표시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five, and six stages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adjacent to the bottom in the row direction of the rows 4, 5, And the fifth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is continuously display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남은 한 면에 7단 내지 9단의 7행 내지 9행을 표시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a tongu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venth to ninth lines of the seventh to ninth columns are displayed on the remaining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큐브의 구성각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자 장비를 구비하고, 상기 큐브의 중심에 배터리를 더 포함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cigarette having electronic equipments i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ube and further including a battery at the center of the c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구성각편 중 일부에 충전용 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a cigarette having another feature that the charging terminal is provided in a part of the constituent corner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용 단자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tongue terminal,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further includes a li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구성각편 중 하나 이상에 제어용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구성각편 중 다른 하나 이상에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큐브의 중심에는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button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corner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and a speaker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corners, The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the glov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버튼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utton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voic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성은 구구단이 낭송된 음성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cue phrase, wherein the cue for memorizing the cue phrase is another feature that the cue phrase is a speech reci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버튼은 연속으로 누르는 횟수에 따라 제어 내용이 결정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cigarette that further characterizes the control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continuous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버튼은 누르는 지속시간을 기준으로 서로 다르게 제어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button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pres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성각편 중 다른 하나에 마이크를 구비하고, 녹음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in the other of the constituent parts and a recor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소자가 LED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ube for memorizing a tip of a glove which is another feature that the electronic element is an 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큐브의 겉면에 구구단을 기재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흥미가 유발되어 구구단 학습효율을 증진시켜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learner's tongue by causing th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by listing the tongue sta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be.

도 1은 일반적인 3X3 큐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구구단을 나타낸 표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에서 1단 내지 6단을 읽는 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에서 구성각편의 구성과 큐브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에 구비된 충전용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에 스피커, 마이크, 버튼이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의 전자제어를 나타낸 모듈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에 구비된 버튼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시간 그래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3x3 cube,
FIG. 2 is a table showing a game e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cube for memorizing tip e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reading a first stage to a sixth stage in the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a tong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and a configuration of a cube in a cube for memorizing a tip of a tong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a cube for memorizing tip e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form in which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button are coupled to a cube for memorizing a tongu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module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control of a cube for memorizing tip e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nd FIG. 10 are current-time graph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button provided on a cube for memorizing tip e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기술하는 구현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이점들 및 효과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를 읽은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 다른 구현예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상세는 여러 주안점과 적용들을 기초로 할 수 있으며, 많은 수정들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정신을 탈피하지 않고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Implementation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benefits and advantages may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aving read the disclosure herein. Furthermore,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or embodied by other embodiments. The details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based on various teachings and applications, and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구성각편"은 큐브의 겉면을 구성하는 26개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stituent angles" means 26 element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be.

도 1은 일반적인 3X3 큐브의 사시도이다. 3X3 큐브는 각 열과 행에 따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할 수 있어 각각의 면의 그림 또는 색을 맞추는 퍼즐이다. 각각의 면을 맞추기 위하여 각 면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면에 상이한 문양을 표시하기도 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3x3 cube. A 3x3 cube is a puzzle that can rotate 90 degre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ccording to each row and row, so you can match the picture or color of each side. To match each side, each side is marked with a different color and a different pattern is displayed on each side.

본 발명은 이러한 큐브에 있어서, 구성각편의 외부로 돌출된 표면에 구구단을 기재하여 구구단을 암기하는 유아 또는 아동이 큐브를 맞추고 구구단을 암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 cube, an infant or a child memorizing a tip of a balloon is described on a surface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each of the constituent parts to provide a means for fitting the cube and memorizing the balloon tip.

도 2는 구구단을 나타낸 표이다. 3개 단을 3개 행씩 구분하면, 1단, 2단 및 3단이 1행, 2행 및 3행의 1개표와 같은 단의 4행, 5행 및 6행으로 구성된 1개표와 같은 단의 7행, 8행 및 9행으로 구성된 1개표로서 3개표로 구분되고, 4단, 5단 및 6단은 1행, 2행 및 3행의 1개표와 같은 단의 4행, 5행 및 6행의 1개표와 같은 단의 7행, 8행 및 9행의 1개표로서 3개표로 구분되고, 7단, 8단 및 9단은 1행, 2행 및 3행의 1개표와 같은 단의 4행, 5행 및 6행의 1개표와 같은 단의 7행, 8행 및 9행의 1개표로서 3개표로 구분된다. 따라서 구구단은 아홉개의 3X3표들로 구분될 수 있다. FIG. 2 is a table showing a game table. If the three stages are divided into three rows, one row of the first row,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are formed by one row of the first row,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and one row consisting of four rows, five rows and six rows of the same row 7 rows, 8 rows and 9 rows, and 4 rows, 5 rows and 6 columns are divided into 1 row, 2 rows and 3 rows and 1 row and 4 rows, 5 rows and 6 columns One row of the same row, and one row of the seventh row, the eighth row and the ninth row of the same row, and the seventh row, the eighth row and the ninth row are divided into one row of the first row,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And one table of 4th row, 5th row and 6th row, and one table of 7th row, 8th row and 9th row of the same stage. Thus, the game troupe can be divided into nine 3X3 tables.

이때 좌상단에서 우하단을 가로지르는 대각선에 걸친 3개 표를 기준으로 좌하단의 3개 표와 우상단의 3개 표가 행-열이 교환된 것을 제외하면 공통되므로 이를 생략할 수 있다. 여기서 좌하단의 3개 표는 1단, 2단 및 3단에서 4행, 5행 및 6행으로 구성된 표, 같은 단의 7행, 8행 및 9행으로 구성된 표, 및 4단, 5단 및 6단에서 7행, 8행 및 9행으로 구성된 표이다. 우상단의 3개 표는 4단, 5단 및 6단의 1행, 2행 및 3행으로 구성된 표, 7단, 8단 및 9단의 1행, 2행 및 3행으로 구성된 표, 같은 단의 4행, 5행, 6행으로 구성된 표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필수적으로 기재되어야 하는 표는 대각선을 가로지르는 3개 표와 중복되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한 3개 표로서, 6개 표이다. 따라서 정육면체의 6개 면에 전술한 6개 표를 기재하는 방법으로 구구단을 큐브에 모두 기재할 수 있다.In this case, three tables on the lower left and three tables on the upper left are common, except that the row-column is exchanged, based on the three tables across the diagonal line from the upper left corner to the lower right corner. Here, the three tables at the bottom left are tables consisting of the first row, the second row and the third row, the table composed of the fourth row, the fifth row and the sixth row, the table composed of the seventh row, the eighth row and the ninth row at the same stage, And 6 rows, 7 rows, 8 rows and 9 rows. The three tables on the upper right are tables consisting of one row, two rows and three rows of 4th, 5th and 6th columns, a table composed of 1 row, 2 rows and 3 rows of 7th, 8th and 9th columns, 5 rows and 6 rows. Thus, a table that is essentially required to be described is three tables, one of which overlaps with three tables across the diagonal, and the other is six. Therefore, the game table can be described on the cube in such a manner that the above six tables are described on the six sides of the cub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브의 전개도이다. 도 2에서 좌하단의 2개 표(210)와 우측 중간의 1개 표(220)를 생략하고, 우하단의 표를 우상단에 연결하면 정육면체의 전개도를 구성할 수 있다. 우하단의 7,8,9단의 7,8,9행은 회전된 상태로 배치한다. 회전한 이유는 도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때 (1) 방향으로 1단 내지 3단이, (2) 방향으로 4단 내지 6단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3 is an exploded view of a c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wo tables 210 at the lower left and a table 220 at the middle right may be omitted, and a table at the lower right end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end to form a developed view of the cube. The 7th, 8th, and 9th rows of the lower right, 7th, 8th, and 9th rows are arranged in a rotated state. The reason for the rot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B.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stages in the (1) direction and the fourth to sixth stages in the (2) direction are sequentially displayed.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큐브에서 1단 내지 6단이 기재된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전개도에서 이해를 돕기 위해 상하를 반전시킨 채 조립한 형태이다. 이렇듯 기재 순서만 일치하면, 1,2,3단을 위에서부터 기재하든, 아래에서부터 기재하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 sixth stages are described in the cu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in the developed view of FIG. 3,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inverted and assembled. If the order of description is the sam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whether to describe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s from above or from below.

도 3과 도 4a를 함께 참조하면, (1)방향으로 읽으면 1단, 2단 및 3단이 3면에 걸쳐서 기재되고, (2)방향으로 읽으면 4단, 5단 및 6단이 3면에 걸쳐서 기재된다. 다만, 7단, 8단 및 9단이 도면에 (3)에서 바라본 면과 도 4에 표시되지 못한 밑면과 뒷면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7단, 8단 및 9단의 글자체 또는 글자색을 각각의 단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쉽게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A together, when reading in the (1) directi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s are described on three sides, and when rea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ourth, fifth, . However, the 7th, 8th and 9th steps are shown on the plane as viewed in (3) of the drawing and on the underside and back as not shown in FIG. 4, which correspond to the 7th, 8th, I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a method of displaying different colors for each of the stages.

다시 말해서, 제1면을 지정하였을 때 제1면의 일단에 1단, 2단 및 3단까지의 시작점을 각각 두고 제1면의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각각의 단이 표시된다. 이때 제1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2면에도 제1면과 인접한 일단에서 제1면의 반대측인 제2면의 타단까지 제1면과 연속해서 나머지 1단에서 3단까지가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제2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3면에도 제2면의 타단에 인접한 일단에서 제3면의 타단까지 제2면과 연속하여 1단에서 3단까지의 내용이 각각 표시되면, 연속하는 3개 면에 1단에서 3단까지의 내용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surface is designated, respective ends are sequentially display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with the starting point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ges respectively at one end of the first su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is also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which is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to the third surface. When the contents on the third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are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to the third surface successively from the second surface, It is possible to display all the contents from the first stage to the third stage on the surface.

이때 1단의 4, 5, 및 6이 표시된 행의 열 방향으로도 같은 방법으로 제4면과 제5면에 걸쳐 한 방향으로 표시하면 1단에서 6단까지의 내용을 큐브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면에 기재된 1단 표시인 4, 5 및 6이 표시된 행을 상단으로 하였을 때 4, 5 및 6 기재의 열방향으로 하단에 인접한 제4면의 일단에서 제4면의 타단까지 제2면과 연속하여 4단, 5단 및 6단이 각각 표시되고, 제4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5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속하여 4단, 5단 및 6단이 각각 표시된다. 이 방식으로 제1면 내지 제5면에 1단에서 6단까지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column direction of the row indicated by 1, 4, 5, and 6 in the same way, the contents of the 1st to 6th stages can be displayed in the cube by being displayed in one direction across the 4th and 5th faces . In other words, when a row in which the first stage marks 4, 5, and 6 described on the second surface are indicated at the upper end, the fourth, fifth, and sixth substrates are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from the one end of the fourth surface adjacent to the lower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5th, and 6th stages are successively displayed on two sides, respectively. Fourth, fifth, and sixth stages are successively display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fth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In this way, the first to fifth faces may be display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ixth stage.

제1면, 제2면 및 제3면과 접하고, 제4면과 마주보는 제6면에 7단 내지 9단의 7행 내지 9행이 표시되면 구구단 전체가 3X3의 정육면체에 표시될 수 있다.If the seventh row to the ninth row of the seventh row to the ninth row are displayed on the sixth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surface, and the seventh row through the ninth row are displayed on the sixth surface facing the fourth surface,

도 4b는 도4a와 달리 1,2,3단을 위에서부터 기재한 경우의 구조에서 7,8,9단을 나타낸 면들을 도시한 큐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의 전개도를 그대로 조립한 형태이다. 도 3에서 7,8,9단의 7,8,9행을 회전시켰기 때문에 (5)방향과 (6)방향을 일치시켜서 단을 더욱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be showing surfaces 7, 8, and 9 in the structure of FIGS. The developed view of FIG. 3 is assembled as it is. In FIG. 3, since the rows 7, 8, and 9 of rows 7, 8, and 9 are rotated, the row (5) and row (6)

이러한 구조는 1단에서 6단까지 별다른 검색 없이도 순차적으로 구구단을 확인할 수 있고, 7단에서 9단까지는 인접한 3개 면에서 구구단을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이다. 7단에서 9단까지의 내용은 연속한 면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손쉽게 확인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7단, 8단 및 9단을 각각 다른 글자체나 글자색으로 표시하여 같은 단임을 나타낼 수 있다.This structure can identify the game blocks sequentially without searching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ixth stage, and the structure of the game blocks from the third to the ninth stages can be confirmed from the adjacent three sides. Since contents of 7th to 9th stages are not displayed on consecutive planes, it may be difficult to confirm easi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7th, 8th, and 9th stages can be represented by different fonts or letter colors to indicate the same single wor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각편의 구성과 큐브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inside the cube.

구성각편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전자소자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전자소자에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함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전자소자는 LED(510)일 수 있다. LED(510)는 낮은 전력으로도 구동될 수 있어, 자기장의 변화를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작은 코일(520)로도 쉽게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은 권선된 코일(520)일 수 있다. LED(510)와 코일(520)로 구성된 LED모듈로 무선 LED가 구비된 구성각편을 구성할 수 있다.An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in any one or more of the constituent parts, and a means for wirelessly receiving and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therein.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n LED 510. The LED 510 can be driven at a low power and can be easily driven to a small coil 520 capable of converting a change in magnetic field into electric power. Thus, the means by which power can be supplied wirelessly may be a coiled coil 520. An LED module composed of an LED 510 and a coil 520 may constitute a constitutional piece provided with a wireless LED.

구성각편은 아크릴과 같이 반투명 또는 투명하여 내부의 빛을 기재된 숫자 및 색상과 함께 외부로 나타낼 수 있다. 큐브의 내부에는 큐브의 구성각편을 고정할 수 있는 홀더(530)가 구비된다. 홀더(530)에는 배터리(540)와 전력송신장치(560)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전력송신장치(560)는 권선된 코일일 수 있다. 전력송신장치(560)가 계속하여 동작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스위치(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Constituent angles are translucent or transparent, such as acrylic, so that the interior light can be represented externally with the numbers and colors described. Inside the cube, a holder 530 is provided for fixing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ube. The holder 530 is provided with a battery 540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560, and can transmit power to a means capable of wirelessly receiving and supplying external power. The power transmitter 560 may be a coiled coil. And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550 to prevent the power transmitter 560 from continuing to operat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용 단자가 구구단 암기용 큐브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큐브는 홀더(530)에 6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만이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6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은 홀더(530)에 구비된 배터리(54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harg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cube for memorizing a tip end. Only the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six surfaces of the general cube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holder 530. Accordingly, the constituent piec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ix sides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540 provided in the holder 53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구구단 암기용 큐브의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 중 일부에 충전용 단자(6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충전용 단자(610)에 물 등이 들어갈 경우 고장의 우려가 있으므로, 충전용 단자(610)를 밀폐할 수 있는 덮개(620)를 구비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덮개(620)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덮개(620)은 충전할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충전용 단자(610)에 결합되어 있어야 하므로, 덮개(620)은 큐브에 일단이 고정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terminal 610 may be provided in a part of the constituent corner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the glove. In addition, when water or the like enters the charging terminal 610, there is a possibility of failure, so that the lid 620 that can seal the charging terminal 610 is provided, so that the safety can be improved. The cover 6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silicon material. Since the lid 620 is always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610 except for charg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lid 620 is provided in the form of one end fixed to the cub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마이크, 압력식 버튼이 구비된 큐브의 사시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홀더(530)와 스피커(720) 등이 결합될 수 있는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만을 표시하였다. 큐브를 구성하는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는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720), 음성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710),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은 스위치(550)로서 동작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be equipped with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pressure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to which the holder 530 and the speaker 720 can be coupled are shown. A speaker 720 capable of outputting voice information, a microphone 710 capable of inputting voice information, and a button capable of inputting contro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faces constituting the cube have. The button operates as a switch 550.

홀더(530)에는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음성정보는 버튼으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의해 스피커(720)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음성정보는 기저장된 구구단이 낭송된 음성일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종류에 따라 마이크(710)에 입력된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holder 530 may be provided with storage means to store voice information. This audio information can be outputted to the speaker 720 by the control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button. At this time,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a voice that has been previously recited. The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icrophone 710 can be sto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rol information.

홀더(530)에 직접 연결된 각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은 높은 전력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유선 LED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설명한 LED 모듈을 생략할 수 있다.Since the constituent cor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lder 530 can accommodate high power, the wired LED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LED module described in Fig. 5 can be omitted.

홀더(530)에 직접 연결된 각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은 홀더 방향으로 가해지는 수직압력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버튼은 압력식 버튼이 바람직하다. 버튼은 구성각편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550a)일 수 있다. 그러나, 버튼이 부착된 구성각편이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일 경우 홀더(530)와 연결된 바(550b)에 구비될 수 있다.Since the constituent piec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directly connected to the holder 530 can sustain the vertical pressure applied in the holder direction, the buttons are preferably pressure type buttons. The button may be in the form 550a that may be attached to the component legs. However, it may be provided on the bar 550b connected to the holder 530 when each component having the button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surface.

압력의 종류에 따른 제어 방법은 도 9,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pressur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구단 암기용 큐브의 전자제어를 나타낸 모듈도이다. 8 is a module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control of a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a ballo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구구단 암기용 큐브는 제어부(810), 스위치(550), 배터리(540)를 포함한다. 구구단 암기용 큐브에 구구단 암송내용을 출력하는 기능을 더하기 위하여, 저장부(820), 스피커(720), 마이크(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을 통해 전등으로 활용하거나, 학습 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해 LED(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be for memorizing the tip of the glove includes a control unit 810, a switch 550, and a battery 540. The storage unit 820, the speaker 720, and the microphone 710 may be further added to the cube for memorizing the game unit to add the function of outputting the game unit contents. And may further include an LED 510 to utilize it as a light source through light emission or induce learning interest.

배터리(540), 제어부(810), 저장부(820)는 홀더(53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battery 540, the control unit 810, and the storage unit 820 may be provided in the holder 530.

배터리(540)는 일회용 배터리(540)도 가능하나, 충전기능을 포함하기 위하여 2차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540 may be a disposable battery 540,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econdary battery to include a charging function.

제어부(810)는 스위치(550)로부터 압력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540)의 연결을 끊거나, 기저장된 음성신호를 스피커(720)로 출력하거나, 마이크(71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저장부(820)에 저장하는 하거나, LED(510)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제어부(810)는 저장부(820), 배터리(540)와 함께 홀더(53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810 receives a pressure signal from the switch 550 and disconnects the battery 540 or outputs a previously stor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720 or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710, (820), or provide power to the LED (510). The controller 810 may be included in the holder 530 together with the storage unit 820 and the battery 540.

저장부(820)는 음성파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820)는 고정 기억 장치(Read Only Memory)도 무방하다. 저장부(820)는 제어부(810), 배터리(540)와 함께 홀더(530)에 구비되며, 저장부(820)에 충격을 저감하기 위해 충격저감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820 stores voice files. The storage unit 820 may be a read only memory. The storage unit 820 may be provided in the holder 530 together with the control unit 810 and the battery 540 and may further include an impact reduction unit for reducing an impact to the storage unit 820. [

스위치(550)는 구성각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압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하는 스위치 형태일 수 있다. 스위치(550)가 구비된 구성각편은 수직 압력을 지탱할 수 있는 구성각편인,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스위치(5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위치(550)가 서로 다른 제어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각각의 스위치(550)가 서로 다른 구구단의 녹음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The switch 550 may be provided in any one or more of the structural members, and may be in the form of a switch having an elastic member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The constituent bars provided with the switch 550 are preferably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ane, which are constituent elements capable of supporting the vertical pressure. Two or more switches 55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switches 550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For example, each switch 550 may provide a signal that controls the recording of different outlets.

마이크(710)와 스피커(720)는 음성을 입출력한다. 마이크(710)와 스피커(720)는 구성각편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비교적 높은 전력을 사용하므로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crophone 710 and the speaker 720 input and output voice. The microphone 710 and the speaker 720 may be provided on the constituent parts and may be provided on the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urface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because relatively high power is used.

LED(510)는 제어부(810)의 신호에 따라 전력을 인가받아서 발광한다. LED(510)는 구성각편에 구비될 수 있다. 만일 LED(510)가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 구비되어 있다면, 직접 배터리(54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LED(510)에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코일(520)이 함께 구비된 경우, 제어부(810)에 송신 코일을 전력송신장치(560)로서 더 구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구성각편 중 어느 곳에나 LED(510)가 구비될 수 있다.The LED 510 emits light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810. The LED 510 may be provided in the constituent parts. If the LED 510 is provided in the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urface, power can be directly supplied from the battery 540. However, when the LED 510 is provided with a coil 520 capable of receiving power, the control unit 81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coil a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560 so that power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In this case, LEDs 510 may be provided in any of the constituent parts.

큐브는 전체의 무게가 대칭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피커(720), 배터리(540), 저장부(820)가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 구비되어 큐브의 무게를 균등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의 중심에 스피커(720), 배터리(540), 저장부(820)가 구비되고, 네 모서리에 LED(510)가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ube is preferably symmetrical in overall weight. Therefore, the speaker 720, the battery 540, and the storage unit 820 are provided on the respective sides of the center of each surface, so that the weight of the cube can be controlled evenl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peaker 720, the battery 540 and the storage unit 820 are provided at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surfaces and the LEDs 510 are added to the four corners.

큐브의 퍼즐이 맞춰진 상태에서 제어 및 심미감을 위하여, 1단을 표시한 제1면,제2면, 제3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과 1면과 마주보는 제5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6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 스피커(720) 및 마이크(710)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제4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구성각편에 충전용 단자(610)을 구비할 수 있다.For control and aesthetics in the state where the puzzle of the cube is aligned, the first and second sid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ides and the center of the fifth side facing the first side And a speaker 720 and a microphone 71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ixth surface. The charging terminal 61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ourth surface.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튼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전류-시간 그래프이다.9 and 10 are current-time graph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위치(550)의 동작은 단순히 On-Off 만을 지정할 수 있으나, 적분기 등을 이용하면, 스위치(550)가 On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550)가 오래 눌리는지, 짧게 눌리는지를 파악하여 서로 다른 신호로 입력받을 수 있다. 도 9는 시간이 임계치를 넘기는 경우 다른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t00에서 tth를 넘기는 시간까지 스위치(550)가 On된 경우 상이한 신호인 긴 스위칭으로 인식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550 can be set only on-off, but the time when the switch 550 is turned on can be measured using an integrator or the lik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asp whether the switch 550 is depressed for a long time or a short time, and receive different signals. FIG. 9 is a graph showing recognition of another signal when the time exceeds a threshold. When switch 550 is turned on from time t 00 to time t th , it is recognized as a long signal which is a different signal.

또한, 연속해서 스위칭한 경우를 다른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은 시간이 임계치를 넘기기 전에 후속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이한 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t01에서 tth2의 시간을 넘겨서 입력한 경우 같은 신호를 두번 입력한 것으로 인식하고, tth2를 넘기기 전에 입력한 경우 첫번째 스위칭을 무시하고 더블 스위칭 신호로 인식한다.In addition, the case of continuously switching can be recognized as another signal. Fig. 10 is a graph showing recognition of a different signal when a subsequent signal is input before the time exceeds a threshold value. at t 01 when the input, passing the time t th2 recognized as input the same signal twice, and ignores the first case the input switching before passing the t th2, and recognizes a double switching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구단이 각 면에 순차적으로 기재됨으로써, 큐브를 순차적으로 회전하며 1단 내지 6단을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be is sequentially rotated and the first to sixth stages can be learned by describing the tip in succession on each surface.

또한, 7단 내지 9단의 7행 내지 9행에 해당하는 내용을 1단 내지 6단이 기재되지 않은 면에 기재함으로써, 7단 내지 9단을 큐브의 각면에 기재된 내용을 통해 확인하고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lines 7 to 9 of the 7th to 9th steps are described on the surface not having the 1st to 6th steps so that the 7th to 9th step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ntents described on each side of the cube,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또한, 발광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구구단의 기재 표시가 발광하여 학습 흥미를 유발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play of the base of the game end luminesces to cause learning interest.

또한, 충전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발광을 위한 전력을 큐브 내에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charging device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electric power for light emission can be charged in the cube.

또한, 덮개가 충전단자에 구비됨으로써, 구비된 충전용 단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lid is provided in the charging termin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ging terminal can be protected.

또한, 스피커가 구비됨으로써, 학습 흥미를 유발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peaker is provided, there is an advantage of causing interest in learning.

또한, 마이크가 구비됨으로써, 구구단의 녹음 내용을 확인하여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phone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by confirming the recorded contents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스위칭의 제어방법이 설정됨으로써, 제어내용을 다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by setting the control method of switch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rol contents can be diversified.

또한, 제어내용에 따라 서로 다른 녹음 파일이 출력됨으로써,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 청취하여 학습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different recording files are outputt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control, so that it is possible to record and listen to the voice of the user, thereby stimulating learning.

상기 상술된 상세한 구현예들은 단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완성된 다수의 수정들 및 변형들은 첨부된 특허청구항들로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는 것이다.The above detail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preferred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hat are comple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510: LED 520: 코일
530: 홀더 540: 배터리
550: 스위치 560: 전력송신장치
610: 충전용 단자 620: 덮개
710: 마이크 720: 스피커
810: 제어부 820: 저장부
510: LED 520: coil
530: Holder 540: Battery
550: switch 560: power transmission device
610: Recharging terminal 620: Cover
710: Microphone 720: Speaker
810: Control unit 820:

Claims (14)

열 또는 행을 회전하여 각각의 면을 맞추는 큐브에 있어서,
6개의 상기 면에는 서로 다른 색이 구비되고,
6개의 상기 면을 구성하는 구성각편의 표면에 구구단이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A cube that rotates a row or a row to match each side,
The six surfaces are provided with different colors,
Wherein a cigar tip is marked on the surfaces of the constituent parts constituting the six surf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각편의 표면에 표시된 구구단은 1단, 2단 및 3단이 제1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각각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상기 제1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2면에도 상기 제1면과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1면과 연이어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제2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3면에도 상기 제2면의 타단에 인접한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2면과 연속하여 각각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ip ends of the tip portions of the constituent pieces are sequentially display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rface is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one end adjacent to the first surface to the other end,
Wherein the third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is continuously displayed from the one en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other end continuously with the second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1단 표시 중 4,5 및 6이 표시된 행을 초행(初行)으로 열방향으로 말행(末行)에 인접한 제4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4단, 5단 및 6단이 상기 제2면과 연이어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제4면의 타단에 인접한 제5면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제4면과 연이어 각각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3. The method of claim 2,
A row in which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columns of the second surface is displayed as a first row, a fourth surface adjacent to the column in the column direction, Is displayed sequentially with the second surface,
And a fifth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is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 상기 제2면, 상기 제3면과 접하고 상기 제4면과 마주보는 면에 위치한 제6면에 7단, 8단 및 9단의 7행, 8행 및 9행이 각각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The method of claim 3,
7th row, 8th row and 9th row of 7th row, 8th row and 9th row are displayed on the sixth surfac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rface, the second surface, the third surface, and the surface facing the fourth surface And a cube for memorizing the tong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의 구성각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자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구성각편을 체결하는 홀더에 배터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ube and further includes a battery in a holder for fastening the constituent pieces.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구성각편 중 어느 하나에 충전용 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harging terminal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constituent piec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surfac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단자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lid coupled to the charging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제어부 및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구성각편 중 하나 이상에 제어용 스위치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구성각편 중 하나 이상에 스피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holder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piec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surfaces has a control switch, and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piece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surfaces has a speaker And a cube for memorizing the leg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스위치는 외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switch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voic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an external oper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은 구구단이 낭송된 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voice is a voice in which a phrase is reci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스위치는 압력식 버튼이고, 상기 압력식 버튼이 연속으로 눌리는 횟수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스피커 또는 전자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switch is a pressure-type butto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peaker or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ressure-type button is continuously press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스위치는 압력식 버튼이고, 상기 압력식 버튼이 눌리는 지속시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스피커 또는 전자소자를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switch is a pressure type butto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peaker or the electronic elemen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pressing of the pressure type button.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면의 중심에 해당하는 상기 구성각편 중 하나 이상에 마이크가 구비되고, 녹음기능이 더 포함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microphone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constituent part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each of the surfaces, and further comprises a recording fun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구단 암기용 큐브.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an LED.
KR1020160168744A 2016-12-12 2016-12-12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KR101876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44A KR101876275B1 (en) 2016-12-12 2016-12-12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44A KR101876275B1 (en) 2016-12-12 2016-12-12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41A true KR20180067241A (en) 2018-06-20
KR101876275B1 KR101876275B1 (en) 2018-07-09

Family

ID=6277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744A KR101876275B1 (en) 2016-12-12 2016-12-12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7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78A (en) * 2018-09-21 2020-03-31 이태형 Smart cub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0071591A1 (en) * 2018-10-02 2020-04-09 주식회사 크레아큐브 Arithmetic learning device
CN111465969A (en) * 2018-10-02 2020-07-28 株式会社可力亚魔方 Arithmetic learning apparatus
US20220072414A1 (en) * 2019-01-18 2022-03-10 Fs Giiker Technology Co., Ltd. Smart spindle with replaceable battery, and smart rubik's cube
KR20220153719A (en) * 2021-05-11 2022-11-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ace-assembleable block cube
KR20240008728A (en) 2022-07-12 2024-01-19 윤정식 A Multiplication Table Board Game Set for Enhancing a Capability in Leaning a Mathematics to a Kindergarten or an Elementary School K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32A (en) 2002-04-23 2003-11-01 정병천 a toys for the rules of multiplication memoriz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668U (en) * 2009-06-12 2010-12-22 오종택 Apparatus of hyper-cube or hyper-sphere using sensors vibrator and light source
KR20130000134U (en) * 2012-10-26 2013-01-04 김성빈 Cube for edu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932A (en) 2002-04-23 2003-11-01 정병천 a toys for the rules of multiplication memoriz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4178A (en) * 2018-09-21 2020-03-31 이태형 Smart cub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20071591A1 (en) * 2018-10-02 2020-04-09 주식회사 크레아큐브 Arithmetic learning device
CN111465969A (en) * 2018-10-02 2020-07-28 株式会社可力亚魔方 Arithmetic learning apparatus
US20220072414A1 (en) * 2019-01-18 2022-03-10 Fs Giiker Technology Co., Ltd. Smart spindle with replaceable battery, and smart rubik's cube
US11957987B2 (en) * 2019-01-18 2024-04-16 Fs Giiker Technology Co., Ltd. Smart spindle with replaceable battery, and smart Rubik's cube
KR20220153719A (en) * 2021-05-11 2022-11-2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ace-assembleable block cube
KR20240008728A (en) 2022-07-12 2024-01-19 윤정식 A Multiplication Table Board Game Set for Enhancing a Capability in Leaning a Mathematics to a Kindergarten or an Elementary School K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275B1 (en)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275B1 (en) Cube for Learning Multiplication Tables
US8287338B2 (en) Game apparatus for learning
KR101526508B1 (en) puzzle system interlocked with external device
US20020197589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apparatus with number array
CA2333918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toy
CN109994005A (en) English study intelligence building blocks
KR20060114171A (en) Korean alphabet block for kids
CN203300063U (en) Story machine
KR100602591B1 (en) A toy using blocks
CN106781725A (en) Rotary assembled pinyin learning toy
CN111744164A (en) Falling piece guiding display device suitable for intelligent chess
CN102279644B (en) Interactive system
AU2017100226A4 (en) Braille slate to teach children with visual disabilities
KR200307011Y1 (en) Play Appliance Combine Learing for Portable of children's
KR20030066839A (en) Digital toy for education
Baqai et al. Optical Braille blocks for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education
KR20120053644A (en) Wood substance type puzzel for learning
KR200464385Y1 (en) The table toy
KR20140092598A (en) Education device using RFID
KR102274429B1 (en) Educational tools to improve child's empathy and method for improving child's empathy using the same
KR200274498Y1 (en) Digital toy for education
KR102416461B1 (en) Smart sensor puzzle for learning and play
CN200986750Y (en) Children teaching aid for mathematics and Chinese characters
CN101013530A (en) Infant demonstrator of mathematics and Chinese character
GB2562277A (en) Education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