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224A -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224A
KR20180067224A KR1020160168715A KR20160168715A KR20180067224A KR 20180067224 A KR20180067224 A KR 20180067224A KR 1020160168715 A KR1020160168715 A KR 1020160168715A KR 20160168715 A KR20160168715 A KR 20160168715A KR 20180067224 A KR20180067224 A KR 20180067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log
event log
user device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봉
박대일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224A/ko
Publication of KR20180067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은, 관심 영역 및 관심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로그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로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요청에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로그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로 접속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User device and method of log management thereof}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보안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와 같은 사용자 장치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카메라와 DVR/NVR 등의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라이브 영상을 보거나 저장되어있는 영상을 검색하고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온 라인(On-line)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이벤트 푸쉬 서버(Event-Push Server)를 통해서 모바일 기기에 이벤트를 보내고, 사용자는 이벤트를 수신하여 감시 시스템에 접속하여 실시간 영상을 보거나, 혹은 저장된 영상을 검색, 재생할 수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0369535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안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를 남길 필요없이 간단하게 로그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은, 관심 영역 및 관심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로그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로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요청에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로그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로 접속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는, 특정 영상의 재생 중에 특정 장면을 지정하는 신호가 수신될 때 설정된 상기 특정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 및 상기 특정 장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는, 상기 관심 영역 및 상기 관심 이벤트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보안기기들과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치는, 관심 영역 및 관심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로그관리부; 및 상기 이벤트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로그관리부는, 상기 이벤트 로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요청에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 로그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로 접속하여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안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를 남길 필요없이 사용자 단말에 로그를 작성 및 저장함으로써 간단하게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로그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로그를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로그를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0)와 보안관리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치(50)는 카메라(10) 및 보안관리장치(30)와 통신 네트워크(NW)를 통해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 및 3G, 4G(LT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및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특정 장소의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팬(Pan)/틸트(Tilt)/줌(Zoom) 기능을 갖는 PTZ 카메라일 수 있다. 카메라(10)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패닝 및/또는 틸팅 회전하거나, 줌 렌즈를 줌-인 또는 줌-아웃 하여 줌 배율을 조정하면서, 다양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사무실, 주택, 병원은 물론 은행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공공건물 등의 내외 또는 공원 등의 야외에 설치되며, 그 설치 장소 및 사용목적에 따라 일자형, 돔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10)는 자신에게 할당된 영역을 감시하면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0)에는 고유 식별 정보로서 ID가 부여될 수 있다. 카메라(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오디오 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획득한 영상 및/또는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보안관리장치(30) 및/또는 사용자 장치(5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10)는 센서 데이터로부터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벤트가 검출되면 사용자 장치(5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관리장치(30)는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또는 센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안관리장치(30)는 영상 및/또는 센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보안관리장치(30)는 이벤트가 검출되면 사용자 장치(50)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보안관리장치(30)는 사용자 장치(50)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또는 인증 절차 없이 사용자 장치(50)로 실시간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보안관리장치(30)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 DV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etwork Video Recorder, NVR), 이동 단말(Mobile Phone) 또는 PC(Personal Computer) 등 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미디어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백업(추출)할 수 있는 영상 저장 장치 및 영상 재생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카메라(10) 또는 보안관리장치(3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NW)를 통해 알람을 수신할 수 있다. 알람은 일정 주기로 또는 이벤트 발생시에 사용자 장치(50)로 전송될 수 있다. 알람은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은 텍스트 및/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알람 내 영상은 썸네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벤트 지정 정보 및/또는 알람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 즉, 카메라(10) 또는 보안관리장치(30)로 접속하여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최근 보급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 중에는 Event-Push 서버를 통해서 받은 메시지를 보안 시스템에 저장하는 기능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이벤트 메시지를 통한 데이터 저장이나 프로그램의 동작이 시스템의 성능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배터리의 소모를 촉진시키거나 또는 해킹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벤트 메시지는 보안 장치로부터 모바일 기기나 클라이언트(Client)에 전송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단방향 동작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50)는 사용자 장치에서 로그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뷰어(viewer) 및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윈도우 또는 아이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벤트 로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50)는 프로세서(501), 통신 모듈(503), 로그 관리부(505) 및 저장수단(50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사용자 장치(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들 구성 요소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거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501)는 마이크로 칩이나, 마이크로 칩을 구비하는 회로 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501)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프로세서(501)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통신 모듈(503)은 유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GPS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통신 모듈(503)을 통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이벤트 로그를 저장수단(507)에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 로그는 이벤트 명, 이벤트 내용,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내용은 시간, 장소, 이벤트 유형(예를 들어, 오디오 이벤트, 모션 이벤트 등) 등에 대한 정보이다. 채널 정보는 영상 소스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채널 정보는 영상을 획득 및/또는 저장하는 카메라(10) 또는 보안관리장치(30)일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알람을 수신하면, 알람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발생 이벤트는 미등록 객체의 출현, 얼굴 인식이 불가능한 얼굴 등장, 비정상적인 음원(예를 들어, 유리 깨지는 소리, 경보음, 충돌음, 고함, 비명, 울음소리 등) 발생, 임계값 이상의 음성 발생 등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벤트 지정 정보를 수신하면, 이벤트 지정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 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이벤트 로그를 기 정의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결과로 제공받고자 입력하는 검색 조건일 수 있다. 각 카테고리는 관계 및 의미가 기 정의되어있다. 관계 정의는 사용자의 검색 필요성을 분석한 후, 각 카테고리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는 시간, 채널, 물체의 종류(사람, 차량 등), 관심 영역(RO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테고리를 검색 조건으로 입력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검색 조건에 매칭하는 이벤트 로그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조건이 카테고리와 연동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하게 검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로그 관리부(505)는 사용자가 이벤트 로그를 선택하면 선택한 이벤트 로그의 로그 데이터에 따라 대응하는 보안기기(카메라(10) 또는 보안관리장치(30))로 접속하여 해당 채널의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저장수단(507)은 프로세서(501)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통신 모듈(503)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수단(507)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수단(507)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수단(507)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디스플레이(508) 및 입력 수단(5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8)는 시각적인 정보 및/또는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08)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508)는 사용자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비되어,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다.
입력 수단(509)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마우스, 리모컨,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입력 수단(509)을 이용하여 이벤트 로그를 수정,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로그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벤트 로그 관리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50)는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S301). 사용자 장치(50)는 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온 상태)에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로그는 이벤트 명, 이벤트 내용,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알람을 수신하면, 알람에 포함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알람은 텍스트 및/또는 영상(예를 들어, 썸네일)을 포함하는 메시지 형태로 수신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정보는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장소/위치) 및 시간, 영역에 지정된 카메라, 이벤트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입력 수단(509)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이벤트 지정 정보가 입력되면, 이벤트 지정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 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지정 정보는 관심 영역(장소/위치), 관심 시간, 관심 영역에 지정된 카메라, 관심 이벤트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지정 정보는 북마크 설정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에서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사용자는 북마크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은 카메라(10)로부터의 실시간 영상 및/또는 보안 관리 장치(30)로부터의 녹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의 재생 중에 북마크 툴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장면에 북마크를 설정하거나, 영상의 일 측에 제공되는 타임 라인의 일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장면에 북마크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북마크가 설정될 때 생성된 북마크 설정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북마크 설정 정보는 북마크가 설정된 영상의 소스, 특정 장면에 대한 정보(시간 및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50)에 북마크를 로그로 기록하기 때문에 북마크를 기록하기 위하여 보안 시스템(예를 들어, 보안관리장치)에 접속하여 보안 시스템에 로그를 생성해야 하는 제약 사항이 없다.
일 실시예에서, 이벤트 지정 정보는 사용자 입력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 영역 및/또는 관심 이벤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관심 영역에 할당된 카메라, 관심 시간 및 위치, 관심 이벤트 등을 적어도 하나 입력함으로써 확인을 희망하는 상황을 미리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이벤트 지정 정보를 로그 데이터로 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를 메모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S303).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보안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 사용자 장치에 원하는 시간과 내용을 로그로 남기고, 로그에 기록된 시점에 해당되는 보안 시스템에 접속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작성하는 로그는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 시스템에 기록되지 않고, 소유한 모바일 기기나 혹은 Client SW 가 설치되어 있는 시스템, 즉 사용자 장치에 기록 및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기록한 로그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시점에 보안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을 검색 및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S305).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벤트 로그를 카테고리별로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의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에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저장수단으로부터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리스트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체 이벤트 로그의 리스트를 출력하거나,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출력된 이벤트 로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의 선택을 수신하고,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카메라 또는 보안관리장치로 접속하여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기록된 시간이 과거인 경우, 사용자 장치(50)는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카메라 또는 보안관리장치로 접속하여 녹화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기록된 시간이 현재 또는 미래인 경우,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에 기록된 시간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또는 카메라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하는 보안관리장치에 접속하여 실시간 영상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의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로그의 다양한 편집 기능에 의해, 사용자는 간단하게 이벤트 로그를 추가, 삭제, 수정, 그룹화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의 추가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 데이터 입력을 위한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의 삭제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의 수정 요청이 수신되면, 로그 데이터 수정을 위한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의 그룹화 요청이 수신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그룹화하고, 그룹명을 할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50)는 저장수단(507)에 저장된 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설치 요청에 의해 사용자 장치(50)에 설치할 수 있다. 로그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508)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50)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및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50)는 통신 네트워크(NW)를 통해 로그 관리 서버(미도시)로 로그인 정보를 전달하고,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로그인이 승인되면, 로그 관리 서버로부터 인터페이스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508)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에는 재생되는 영상(201)과 함께 타임라인(202) 및 디스플레이 조정 툴(205)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201)이 재생되는 중에 북마크(BM) 툴(207)을 선택함으로써 특정 장면을 북마크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타임라인(202)에서 일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특정 장면을 북마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북마크 설정이 감지되면, 북마크 설정에 따른 정보, 즉, 영상 소스(특정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 또는 보안관리장치), 특정 장면의 시간 및 내용 등을 로그 데이터로서 추출하여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생성된 이벤트 로그를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로그를 제공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에는 이벤트 로그의 리스트(401) 및 이벤트 로그 분류 툴(403)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저장된 이벤트 로그를 선택된 분류 조건(전체, 시간, 채널 등)에 따라 분류하여 인터페이스에 출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이벤트 로그를 편집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에는 이벤트 로그의 리스트(601) 및 이벤트 로그 편집 툴(603)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 추가(611)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로그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는 윈도우를 제공하고, 입력된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 삭제(613)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 수정(615)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이벤트 로그의 로그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윈도우를 제공하고, 수정된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 그룹화(617)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50)는 이벤트 로그 그룹(605)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벤트 로그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이벤트 로그 그룹을 생성함으로써 자신의 선호 조건에 따라 간단하게 이벤트 로그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보안 시스템에 접속해서 시스템에 로그를 남기는 방식이 아니라, 사용자 클라이언트(Client) 또는 모바일 기기에서 이벤트 푸쉬 서버(Event Push Server)를 통해서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또는 그 외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해서 어떤 특정 로그를 작성할 수 있다. 로그는 시간 정보, 접속할 보안 기기 정보, 채널 정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작성한 로그를 시간 또는 문자열 검색을 통해 확인하고, 로그에 대응하는 보안기기에 접속하여 영상을 검색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보안 시스템에 접속하여 영상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보안 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를 남기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시스템, 즉, 모바일 뷰어나 client SW를 구비한 사용자 장치에 사용자 로그를 남긴다.
또한, 사용자 장치에서 여러 개의 채널이나 보안 시스템을 하나의 로그로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안 시스템에서 저장할 수 있는 로그의 개수는 제한적이고, 로그의 운영이 시스템의 시간 기반으로 동작하게 되나, 사용자 장치에 로그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저장할 수 있는 로그의 개수가 단말기 상황에 따라 원하는 만큼 저장할 수 있거나 확장할 수 있고, 따로 로그를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단말기에 저장된 로그에서 원하는 로그를 선택적으로 삭제 등 편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로그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관심 영역 및 관심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로그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로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요청에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로그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로 접속하여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는, 특정 영상의 재생 중에 특정 장면을 지정하는 신호가 수신될 때 설정된 상기 특정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 및 상기 특정 장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는, 상기 관심 영역 및 상기 관심 이벤트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인,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의 로그 관리 방법.
  6. 복수의 보안기기들과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사용자 장치에 있어서,
    관심 영역 및 관심 이벤트를 포함하는 이벤트 지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지정 정보를 기초로 이벤트 로그를 생성하는 로그관리부; 및
    상기 이벤트 로그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로그관리부는,
    상기 이벤트 로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요청에 매칭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로그를 출력하고,
    상기 이벤트 로그의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이벤트 로그에 대응하는 관심 영역의 영상을 제공하는 보안기기로 접속하여 영상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
KR1020160168715A 2016-12-12 2016-12-12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KR20180067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15A KR20180067224A (ko) 2016-12-12 2016-12-12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715A KR20180067224A (ko) 2016-12-12 2016-12-12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224A true KR20180067224A (ko) 2018-06-20

Family

ID=6276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715A KR20180067224A (ko) 2016-12-12 2016-12-12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2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535B1 (ko) 2000-04-07 2003-01-29 주식회사 디지털씨큐 통신망의 로그데이터 저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535B1 (ko) 2000-04-07 2003-01-29 주식회사 디지털씨큐 통신망의 로그데이터 저장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012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의 영상제공방법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US97495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and/or surveillance
US10116910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imaging information
US9270950B2 (en) Identifying a locale for controlling capture of data by a digital life recorder based on location
US11335097B1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US20150110459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hat allow security and security guard functions to be performed using an integrated system and mobile devices
US201701999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ummarization
US10650247B2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CN102542249A (zh) 视频内容中的脸部识别
KR20160097870A (ko) 요약 영상 브라우징 시스템 및 방법
CN102231820B (zh) 一种监控图像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323657B (zh) 提供视频摘要的成像设备和方法
US101572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image processing
US11153637B2 (en) Sharing video footage from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to smart TV devices
KR20180058019A (ko) 영상 검색 장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데이터 저장 장치
KR20120015998A (ko) 통합 플랫폼 설계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46964A1 (en) Speech interface for vision-based monitoring system
KR101212082B1 (ko) 영상인식장치 및 그 영상 감시방법
US201803743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cident sharing in a monitoring system
US11348367B2 (en)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storing and retrieving suspect information
KR20180019874A (ko) 이벤트 검색 장치 및 시스템
US1105082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suspicious object movements based on historical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information associated with internet-of-things devices
KR20180067224A (ko) 사용자 장치 및 그의 로그 관리 방법
CN112437270B (zh) 一种监控视频播放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