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137A - Electrochromism element - Google Patents

Electrochromism el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137A
KR20180067137A KR1020160168562A KR20160168562A KR20180067137A KR 20180067137 A KR20180067137 A KR 20180067137A KR 1020160168562 A KR1020160168562 A KR 1020160168562A KR 20160168562 A KR20160168562 A KR 20160168562A KR 20180067137 A KR20180067137 A KR 20180067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transparent
terminal portion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회
박진경
채윤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137A/en
Priority to PCT/KR2017/013679 priority patent/WO2018110861A1/en
Priority to CN201790001503.8U priority patent/CN209946605U/en
Publication of KR2018006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1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2Inner electrode, e.g. the electrochromic layer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support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5Counter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connection par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erminal part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terminal part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terminal part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are arranged in a first later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urability and secure a wide electrochromic region.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SM ELEMENT}ELECTROCHROMISM ELEMENT [0001]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변색소자에 포함되는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chrom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de structure included in an electrochromic device.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이란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방향에 의해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특성을 지닌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에 의해서 재료의 광특성이 가역적으로 변할 수 있는 물질을 전기변색물질이라고 한다.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외부에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지 않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색을 띠게 되거나, 반대로 외부에서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색을 띠고 있다가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색이 소멸하는 특성을 가진다.Electrochromism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color reversibly changes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field when a voltage is applied, and a substance capable of reversibly chang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by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having such characteristics is referred to as an electrochromic material . Such an electrochromic material is not colored when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s not applied, is colored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or is colored when an external signal is not applied. The color disappears.

전기변색소자는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에 의하여 전기변색물질의 광투과도가 변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건축용 창유리나 자동차 미러의 광투과도 또는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색변화뿐만 아니라 적외선 차단효과까지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에너지 절약형 제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The electrochromic device is a device us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light transmittance of an electrochromic material is changed by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and is used to control the light transmittance or reflectance of a window glass for a building or a car mirror. In recent years, It is known that it has not only the color change but also the infrared ray blocking effect, and it is receiving great interest abou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an energy saving product.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영역에 대한 단자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electrochromic device, and Figs. 2 to 4 show positions of terminal portions with respect to a color changing area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100)는 제1 투명기판(110), 제1 투명기판(110)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전극(120), 제1 투명전극(120)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130), 제1 전기변색층(130)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140), 전해질층(14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변색층(150), 제2 전기변색층(15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160), 그리고 제2 투명전극(16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170)을 포함한다.1,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0,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2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13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130, an electrolyte layer 14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130,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150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140,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6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60 and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70 dispos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60.

이때, 제1 투명전극(120)에는 제1 단자부(180)가 연결되고, 제2 투명전극(130)에는 제2 단자부(190)가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12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130.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단자부(180)는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측방향에 배치되고, 제2 단자부(190)는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1 and 2,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may be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is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e region A,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is disposed in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Lt; / RTI >

이와 같이,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가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면,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 간의 쇼트(short)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전기장(Electric Field)이 고르게 분포하므로, 전기변색소자(100)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As such, wh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are arrang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 short betwe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can be prevented, The electric field is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ty of the liquid crystal panel A, so that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can be stably driven.

다만, 일반적으로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는 육안으로 쉽게 관찰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를 가릴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가 차지하는 면적만큼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can be easi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field of view is blocked by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를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시키거나, 도 4와 같이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를 서로 수직하는 방향에 배치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may be arrang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or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그러나, 이에 따르면, 변색 영역(A) 중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가 가깝게 위치하는 영역에는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빠른 변색이 일어나고,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가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약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느린 변색이 일어나게 된다. 빠른 변색이 일어나는 영역은 느린 변색이 완료되는 동안 과반응이 일어나며, 이는 전기변색소자(100)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소자(100)의 저항이 높을 경우, 제1 단자부(180) 및 제2 단자부(190)가 멀리 위치하는 영역은 변색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a strong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are closely located in the color change region A, and fast discoloration occurs.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are located, A relatively weak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region where the light emitting layer 190 is located relatively far away, so that a slow color change occurs. In the region where fast discoloration occurs, excessive reaction takes place during the completion of slow discoloration, which may adversely affect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n addition, when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100 is high, the region where the first terminal portion 1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90 are far away may not be discolo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chromic devic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 상기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 상기 제3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부, 그리고 상기 제3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는 제1 측방향에 배치된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re arrang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facing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측면에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제1 단자부, 상기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투명전극은 제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3 투명전극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have a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have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Lt; / RTI >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1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3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2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is disposed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e.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4 투명전극, 그리고 상기 제3 투명전극 및 상기 제4 투명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4 투명전극 상에 배치된다.A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a part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electrode.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측면에 상기 제3 투명전극 및 상기 제4 투명전극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투명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1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4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2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is disposed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ace.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전해질층과 상기 제3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전기변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해질층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portion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 상기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 상기 제3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부, 그리고 상기 제3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는 제1 측방향에 배치된다.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An electrolyte layer,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re arrang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facing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의 측면에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on a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변색 속도가 높으며, 변색 영역 전체적으로 변색 속도가 균일한 전기변색소자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전기변색소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자부가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넓은 변색 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high color shift speed and a uniform color shift speed as a whole. Thus, an electrochromic device capable of stable driving and having excellent durability can be obta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ed area of the terminal portions can be minimized, and a wide color change area can be ensured.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영역에 대한 단자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영역에 대한 단자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기변색소자의 하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electrochromic device.
Figs. 2 to 4 show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 portions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ing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e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ectional views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describing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layer (film), area, pattern or structure may be referred to as being "on" or "under" a substrate, a layer, Includes all that is formed directly or via another layer. The criteria for top / bottom or bottom / bottom of each layer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전기변색소자의 변색 영역에 대한 단자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terminal portion with respect to a color changing region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of FIG. 5, and FIG. Sectional view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투명전극(210), 제1 투명전극(210)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기판(220), 제1 투명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212),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 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214), 제2 투명전극(212)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230), 제1 전기변색층(230)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240), 전해질층(24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변색층(250), 제2 전기변색층(250)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260), 그리고 제3 투명전극(26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270)을 포함한다. 5 to 6, an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 first connection part 21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12, an electrolyte layer 24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240,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 and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여기서, 제1 투명기판(220) 및 제2 투명기판(270)은 광 투과도(T%)가 98%이상이며, 유리, 플라스틱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have a light transmittance (T%) of 98% or more, and may be glass, plastic, o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그리고, 제1 전기변색층(230)은 유기물 및 무기물에서 선택된 전도성 고분자 및 비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산화/환원이 가능한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의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전도성 고분자 또는 단량체의 유도체일 수 있다.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may include a conductive polymer and a nonconductive material selected from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The conductive polymer may be a conductive polymer or a derivative of a monomer polymerized from monomers of polyaniline, polypyrrole, or polythiophene capable of oxidation / reduction.

비전도성 물질은 산화/환원 반응이 가능한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올로겐(viologen)을 포함한 비스테르피리딘(bisterpyridine) 유도체, 비페닐(biphenyl)유도체, 티오펜(thiophene) 유도체 등 내부 전자 이동이 가능하며, 산화/환원 상태에 따라 색변화가 가능한 유기물일 수 있다.Nonconductive materials may include aromatic compounds capable of oxidation / reduction reaction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transfer internal electrons such as bisterpyridine derivatives, biphenyl derivatives and thiophene derivatives including viologen,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lor depending on the oxidation / reduction state Organic material.

또는, 제1 전기변색층(230)은 텅스텐 옥사이드(tungsten oxide), 몰리브데늄 옥사이드(molybdenum oxide),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oxide) 및 바나듐 옥사이드(vanadium oxide)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전기변색층(230)은 다층 박막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may include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ungsten oxide, molybdenum oxide, titanium oxide, and vanadium ox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ultilayer thin film.

또한, 제2 전기변색층(250)은 이온 전도성 고분자,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도프로판 설포닉산(acrylamidopropane sulfonic acid) 및 아크릴산(acrylic acid)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제2 전기변색층(250)은 이온저장층과 혼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 may include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ion conductive polymer such as acrylamidopropane sulfonic acid and acrylic acid. However, .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 may be mixed with the ion storage layer.

여기서, 제1 전기변색층(230) 및 전해질층(240)이 서로 분리되는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해질층(240) 내에 변색물질이 분산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Here,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and the electrolyte layer 240 are shown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chromic layer 2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discoloring materials are dispersed in the electrolyte layer 240.

한편, 제1 투명전극(210), 제2 투명전극(212) 및 제3 투명전극(260)은 각각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투명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재료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 Tin Oxide), IZO(Indiun Zinc Oxide), 구리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투명 전도성 재료는,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CNT(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나노 파우더 합성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나노 파우더의 함량 제어를 통해 전기전도도를 확보하면서, 색 및 반사율 제어가 가능하다. 또는, 투명 전도성 재료는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늄(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may each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capable of flowing electricity without interfering with transmission of light.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O (Indium Tin Oxide), FTO (Fluorine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copper oxide, zinc oxide, Of a metal oxide.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comprise a nanofowder composition such as a nanowire, a photosensitive nanowire film, a carbon nanotube (CNT), a graphene, a conductive polymer, or a mixture thereof. Her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lor and reflectance while securing the electric conductivity through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nano powder. Alternatively,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r, Ni, Cu, Al, Ag, Mo, Au, Ti,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이때, 투명 전도성 재료는 투명기판 상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투명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to form the transparent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투명전극(210)에 연결되는 제1 단자부(280), 그리고 제3 투명전극(260)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290)를 더 포함하며,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는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측방향, 즉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된다. 여기서, 변색 영역(A)은 제1 전기변색층(230), 전해질층(240) 및 제2 전기변색층(250)이 적층되어 변색이 되는 영역으로 단자부와 겹쳐지지 않는 영역을 의미하며, 투과율 가변 영역과 혼용될 수 있다.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includes a first terminal portion 280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290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are arrang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that is, the sam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changing area A. Here, the color change region A means a region where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the electrolyte layer 240, and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 are laminated so as to be discolored and do not overlap with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transmittance And can be mixed with the variable region.

이와 같이,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가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되면,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are dispos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e region 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are closed The losing area can be minimized.

한편, 제1 단자부(280), 제1 투명전극(210), 제1 연결부(214) 및 제2 투명전극(212)은 제1 극성을 가지고, 제2 단자부(290) 및 제3 투명전극(260)은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가지며, 제1 연결부(214)는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가 배치되는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4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have a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4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in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lateral direction, .

이에 따르면,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가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되더라도, 제2 투명전극(212)을 통하여 제1 극성이 진행하는 방향과 제3 투명전극(260)을 통하여 제2 극성이 진행하는 방향이 서로 대향하므로, 전기장이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고른 변색 속도를 얻을 수 있다.Even if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are arrang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the first polarity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arity is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ic field can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whole color fading region A, and a uniform color fading speed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color fading region A.

여기서, 제1 연결부(214)는 제1 투명기판(220)의 측면에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on th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7(a)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4)는 제1 투명기판(22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기판(22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1 연결부(214)는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214)는 도전성 와이어이거나,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과 동일한 소재의 전극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For examp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rough the through hole .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may be a conductive wire or an electro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이때, 제1 연결부(214)가 하나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기판(220)에는 복수의 관통홀(h)이 형성되며, 복수의 연결부가 복수의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관통홀 및 연결부의 개수는 제1 단자부(280)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극성이 제1 단자부(280)로부터 제1 투명전극(210)을 거친 후, 제2 투명전극(212)의 측방향뿐만 아니라 제2 투명전극(212)의 중간 영역에서도 진행하기 시작하므로, 변색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is on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7 (b),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are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0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transparent electrode 2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and the connection portions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increases. Accordingly, after the first polarity passes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from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the transparent electrode 212 proceeds not only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but also in the middle region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e coloring speed can be increased.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부(280)는 제1 투명전극(210)의 양면 중 제1 투명기판(220)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S1)에 배치되고, 제2 단자부(290)는 제3 투명전극(260)의 양면 중 제2 투명기판(270)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S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가 서로 접촉하여 쇼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5 and 7, the first terminal unit 28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S1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10 o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disposed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S2 of the surface of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on whic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is dispos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hort-circuiting.

이상에서 설명한 제1 투명기판(220) 측의 전극 구조는 제2 투명기판(270) 측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electrode structure on the sid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the sid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as well.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7과 동일한 내용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will not be described again.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투명전극(210), 제1 투명전극(210)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기판(220), 제1 투명기판(22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212),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 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214), 제2 투명전극(212)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230), 제1 전기변색층(230)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240), 전해질층(24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변색층(250), 제2 전기변색층(250)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260), 제3 투명전극(26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270), 제2 투명기판(270) 상에 배치되는 제4 투명전극(262) 및 제3 투명전극(260)과 제4 투명전극(26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264)를 포함한다. 8A, an electrochromic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 first connection portion 21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disposed on the electrode 212, an electrolyte layer 24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40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240,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6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to each other.

제1 투명전극(210), 제2 투명전극(212), 제3 투명전극(260) 및 제4 투명전극(262)은 각각 투명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도성 재료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FTO(Fluorine Tin Oxide), IZO(Indiun Zinc Oxide), Ag(Silver), Al(Alluminium), AZO(Al-doped ZnO), 나노와이어, CNT(Carbon Nano Tub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may each include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O (Indium Tin Oxide), FTO (Fluorine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Ag (Silver), Al (Alluminium), AZO (Al- And CNT (Carbon Nano Tube).

이때, 투명 전도성 재료는 투명기판 상에 코팅되는 방식으로 투명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may be co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to form the transparent electr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4 투명전극(262)은 제2 투명기판(270)의 일부 상에 배치되며, 제2 단자부(290)는 제4 투명전극(26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는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연결부(264)는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측방향에 배치되며, 제4 투명전극(262)은 제2 투명기판(270)의 제1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부(280)는 제1 투명전극(210)의 양면 중 제1 투명기판(220)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S1)에 배치되고, 제2 단자부(290)는 제4 투명전극(262)의 양면 중 제2 투명기판(270)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S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단자부(280)가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단자부(290)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가 서로 접촉하여 쇼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미도시)를 간편하게 분리 또는 합체할 수 있다. 또한, 제2 투명전극(212)을 통하여 제1 극성이 진행하는 방향과 제3 투명전극(260)을 통하여 제2 극성이 진행하는 방향이 서로 대향하므로, 전기장이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고른 변색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가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동일한 측방향에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부(280) 및 제2 단자부(290)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may be disposed on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ing region A. [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64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ing region A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have.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S1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opposite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disposed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is disposed on the fourth transparent portion 210. [ And on the opposite surface S3 of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262 on whic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is disposed.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is arranged to face downward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is disposed to face upward so that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hort- (Not shown)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can be easily separated or incorporated.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larity advances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polarity advances through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re opposed to each other, Uniform distribution rate can be obtained for the entire color fading region (A). Since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can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e region A,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The area covered by the visual field can be minimized.

여기서, 제1 연결부(214)는 제1 투명기판(220)의 측면에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2 연결부(264)는 제2 투명기판(270)의 측면에 제3 투명전극(260) 및 제4 투명전극(26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64 is formed in the second transparent part 210. [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27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연결부(214)는 제1 투명기판(2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 연결부(264)는 제2 투명기판(27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기판(22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1 연결부(214)는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투명기판(27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2 연결부(264)는 관통홀을 통하여 제3 투명전극(260) 및 제4 투명전극(26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214) 및 제2 연결부(264)는 도전성 와이어이거나, 제3 투명전극(260) 및 제4 투명전극(262)과 동일한 소재의 전극일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may be form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64 may be form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For examp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rough the through ho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64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64 may be conductive wires or electrodes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

이때, 제1 연결부(214) 및 제2 연결부(264)는 각각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기판(220)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복수의 연결부가 복수의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관통홀 및 연결부의 개수는 제1 단자부(280)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투명기판(270)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복수의 연결부가 복수의 관통홀을 통하여 제3 투명전극(260) 및 제4 투명전극(26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관통홀 및 연결부의 개수는 제2 단자부(290)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214) 및 제2 연결부(264)가 제1 투명기판(220) 및 제2 투명 기판(270)의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가운데 영역에서도 연결되므로, 변색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64 may be singular or plural, respectively. 8 (b),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i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and the connection portions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terminal portion 280 increases. 8 (c),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are formed i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through holes and the connection portions may de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290 increases. Accordingly, sinc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4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64 are connected not only to the edges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but also to the middle region thereof, the coloring speed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투명전극(210) 및 제2 투명전극(212)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may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기변색소자의 하면도이다. 9 is a bottom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를 참조하면, 제1 투명전극(210)은 제1 단자부(280)에 연결되며, 제1 투명기판(220)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투명 전도성 재료를 제1 투명 기판(220)에 인쇄하는 방법으로 제1 투명전극(210)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A,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unit 280 an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For exampl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may be formed by print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소정 패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선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상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정 패턴은 격자 형상 또는 랜덤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투명전극(210)을 이루는 패턴의 간격 또는 두께에 따라 제1 투명전극(210)의 저항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턴의 간격 또는 두께를 조절하면, 변색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arranged in parallel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determined pattern may be a lattice shape or a random shape. The resistan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val or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coloration rate by adjusting the interval or the thickness of the pattern.

확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배선은 메쉬 형상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메쉬 형상의 각 배선은 메쉬선(LA) 및 메쉬선(LA) 사이의 메쉬 개구부(O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쉬선(LA)의 선폭은,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5㎛일 수 있다. 메쉬선(LA)의 선폭이 0.1㎛ 미만이면, 제조 공정 상 어려움이 있거나, 메쉬선의 단락이 발생하기 쉽다. 메쉬선(LA)의 선폭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메쉬선(LA)이 외부에서 시인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메쉬선(LA)의 두께는 100 내지 500nm,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00nm일 수 있다. 메쉬 개구부(O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쉬 개구부(OA)는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 또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메쉬 개구부(OA)는 규칙적인(regular) 형상 또는 랜덤한(random) 형상일 수 있다.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each of the wirings may have a mesh shape. More specifically, each wire of the mesh shape may include a mesh opening OA between the mesh wire LA and the mesh wire LA. At this time,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LA may be 0.1 탆 to 10 탆, preferably 0.5 탆 to 7 탆, and more preferably 1 탆 to 3.5 탆. If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LA is less than 0.1 mu m,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short-circuiting of the mesh line is likely to occur. If the line width of the mesh line LA exceeds 10 mu m, the mesh line LA may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and the visibility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mesh line LA may be 100 to 500 nm, preferably 150 to 250 nm, and more preferably 180 to 200 nm. The mesh openings OA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mesh opening OA may be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a diamond, a pentagon, a hexagon,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mesh opening OA can be a regular shape or a random shape.

이와 같이, 각 배선이 메쉬 형상을 가지면, 전기 변색 소자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저항을 낮출 수 있다.Thus, if each wiring has a mesh shape, the visibility of the electrochromic device can be improved and the resistance can be lowered.

한편, 메쉬 형상의 배선은 양각 또는 음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 기판(220)의 전면 상에 투명 전도성 재료를 배치한 후, 메쉬 형상으로 에칭하면, 양각의 메쉬 형상인 제1 투명 전극(210)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 기판(220)의 전면 상에 수지층을 배치한 후, 메쉬 형상의 음각 패턴(P)을 형성하고, 음각 패턴(P) 내에 투명 전도성 재료를 충전하면, 음각의 메쉬 형상인 제1 투명 전극(210)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수지층은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으며, 음각 패턴은 수지층 상에 양각 패턴을 가지는 몰드를 임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sh-shaped wiring can be formed in a relief or engraved manner. 9 (b), when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n etched in a mesh shap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which is a mesh shape of an embossed shape, is obtained It is possible. 9 (c), a resin layer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n a mesh-shaped engraved pattern P is formed. Then, a transparent When the conductive material is fill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having a mesh shape of a negative angle. At this time, the resin layer may be a photo-curing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and the engraved pattern may be formed by imprinting a mold having a relief pattern on the resin layer.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투명전극(210)이 소정 패턴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투명전극(212)뿐만 아니라, 제3 투명전극(260) 및 제4 투명전극(262)도 소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is illustrated as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Not only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but als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26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art.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9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10 and 11 are sectional views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will not be described agai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200)는 제1 투명기판(220) 및 제2 투명기판(270)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280)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electrochromic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280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70.

도 10과 같이 실링부(280)는 전해질층(24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거나, 도 11과 같이 실링부(280)는 제1 투명전극(210), 제1 투명기판(220), 제2 투명전극(212), 제1 전기변색층(230), 전해질층(240), 제2 전기변색층(2500 및 제3 투명전극(260)의 측면뿐만 아니라, 제1 투명전극(210)의 하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sealing portion 28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40 as shown in FIG. 10, or the sealing portion 28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electrolyte layer 240, such as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20, (Not shown)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s well as the side surfaces of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2,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230, the electrolyte layer 240,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500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60, And can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bottom surface.

실링부(280)가 전해질층(24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전해질층(240)은 공기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전해질층(240)에 포함된 전해질의 증발 및 산화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sealing portion 28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240, since the electrolyte layer 240 is not exposed to air, the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evaporation and oxidation of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layer 240 is prevented .

또한, 실링부(280)가 투명전극의 측면 및 하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투명전극의 재료 손상으로 인한 저항 증가 및 성능 저하를 막아주며, 투명전극이 외부에 노출되어 누전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sealing portion 28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istance increase and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the material damage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from being deteriorated and to prevent the transparent electrod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투명전극(210)의 하면 및 제1 연결부(214)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 투명전극(210)의 하면 및 제1 연결부(214)의 측면에는 절연층 또는 고분자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insulating layer or a polym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4 to prote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4. [ More layers may be disp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투명전극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may be configured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11과 동일한 내용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chrom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11 will not be described again.

도 12를 참조하면, 전기변색소자(300)는 제1 투명기판(310), 제1 투명기판(310)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전극(320), 제1 투명전극(320)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330), 절연층(33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322), 제1 투명전극(320) 및 제2 투명 전극(3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324), 제2 투명전극(322)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340), 제1 전기변색층(340)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350), 전해질층(350)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기변색층(360), 제2 전기변색층(360)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370), 그리고 제3 투명전극(370)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380)을 포함한다. 12, the electrochromic device 300 includes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10,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10,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2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330, a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340 dispos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an electrolyte layer 350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340,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340 disposed on the second electrochromic layer 340,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370 disposed on the electrochromic layer 360,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360, and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380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37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변색소자(300)는 제1 투명전극(320)에 연결되는 제1 단자부(390), 그리고 제3 투명전극(370)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395)를 더 포함하며, 제1 단자부(390) 및 제2 단자부(395)는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제1 측방향에 배치된다.The electrochromic device 300 includes a first terminal portion 390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395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370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are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e area A. [

이와 같이, 제1 단자부(390) 및 제2 단자부(395)가 변색 영역(A)을 기준으로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되면, 제1 단자부(390) 및 제2 단자부(395)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are dispos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lor change region 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are closed The losing area can be minimized.

한편, 제1 단자부(390), 제1 투명전극(320), 제1 연결부(324) 및 제2 투명전극(322)은 제1 극성을 가지고, 제2 단자부(395) 및 제3 투명전극(370)은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가지며, 제1 연결부(324)는 제1 단자부(390) 및 제2 단자부(395)가 배치되는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have the first polarity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322 370 have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in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

이에 따르면, 제1 단자부(390) 및 제2 단자부(395)가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되더라도, 제2 투명전극(322)을 통하여 제1 극성이 진행하는 방향과 제3 투명전극(370)을 통하여 제2 극성이 진행하는 방향이 서로 대향하므로, 전기장이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변색 영역(A) 전체에 대하여 고른 변색 속도를 얻을 수 있다.Even if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are arrang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the first polarity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370 The direction of the second polarity is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ic field can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whole color fading region A, and a uniform color fading speed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color fading region A.

여기서, 제1 연결부(324)는 절연층(330)의 측면에 제1 투명전극(320) 및 제2 투명전극(32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32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on the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3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324)는 절연층(33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연층(330)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1 연결부(324)는 관통홀을 통하여 제1 투명전극(320) 및 제2 투명전극(3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324)는 도전성 와이어이거나, 제1 투명전극(320) 및 제2 투명전극(322)과 동일한 소재의 전극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may be form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330. For example,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33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through the through hole.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may be a conductive wire or an electro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1 투명기판(310) 상에 제1 투명전극(320), 절연층(330) 및 제2 투명전극(322)이 배치되고, 제1 투명전극(320) 및 제2 투명전극(322)이 제1 연결부(324)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단자부(390) 및 제2 단자부(395)를 동일한 측방향에 배치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변색 영역 전체적으로 균일한 전기장 및 변색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로 제1 투명전극(320)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누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12 and 13,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an insulating layer 330, and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are disposed on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10, and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Whe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3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24, the first terminal portion 39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95 can be disposed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Can be minimized, and a uniform electric field and discoloration rate can be obtained over the entire discoloring area. In addition, since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3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lectric leakage can be prevented.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투명기판(380) 측도 제1 투명기판(310) 측과 동일한 전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380 side may have the same electrode structure as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310 side.

뿐만 아니라,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서도 투명 전극이 소정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실링부가 더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12 and 13, the transparent electrode may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ealing portion is further dispos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200: 전기변색소자
210: 제1 투명전극
212: 제2 투명전극
214: 제1 연결부
220: 제1 투명기판
230: 제1 전기변색층
240: 전해질층
250: 제2 전기변색층
260: 제3 투명전극
270: 제2 투명기판
280: 제1 단자부
290: 제2 단자부
200: electrochromic device
210: first transparent electrode
212: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214: first connection portion
220: first transparent substrate
230: first electrochromic layer
240: electrolyte layer
250: second electrochromic layer
260: third transparent electrode
270: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280: first terminal portion
290: second terminal portion

Claims (18)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
상기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
상기 제3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부, 그리고
상기 제3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는 제1 측방향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 RTI >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re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측면에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 상기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투명전극은 제1 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3 투명전극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제2 극성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have a first polarity,
Wherei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have a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1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3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2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both surfaces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a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on whic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is disposed, of both surfaces of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투명 기판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제4 투명전극, 그리고
상기 제3 투명전극 및 상기 제4 투명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4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투명기판의 측면에 상기 제3 투명전극 및 상기 제4 투명전극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투명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1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4 투명전극의 양면 중 상기 제2 투명기판이 배치되는 면의 반대 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both surfaces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ourth transparent electrode on which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투명기판의 적어도 일부에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과 상기 제3 투명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전기변색층을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between the electrolyte layer and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기판 및 상기 제2 투명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전해질층의 측면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the sealing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electrolyte layer.
제1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전극,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기변색층,
상기 제1 전기변색층 상에 배치되는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 상에 배치되는 제3 투명전극,
상기 제3 투명전극 상에 배치되는 제2 투명기판,
상기 제1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1 단자부, 그리고
상기 제3 투명 전극에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는 제1 측방향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 first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insulating layer,
A first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electrochromic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An electrolyt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chromic layer,
A third transparent electrode disposed on the electrolyte layer,
A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disposed on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third transparent electrode,
/ RTI >
And the first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re disposed in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측방향에 대향하는 제2 측방향에 배치되는 전기변색소자.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second later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lateral direc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의 측면에 상기 제1 투명전극 및 상기 제2 투명전극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ransparent electrode and the second transparent electrode on a sid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기변색소자.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KR1020160168562A 2016-12-12 2016-12-12 Electrochromism element KR20180067137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562A KR20180067137A (en) 2016-12-12 2016-12-12 Electrochromism element
PCT/KR2017/013679 WO2018110861A1 (en) 2016-12-12 2017-11-28 Electrochromic device
CN201790001503.8U CN209946605U (en) 2016-12-12 2017-11-28 Electrochrom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562A KR20180067137A (en) 2016-12-12 2016-12-12 Electrochromism e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137A true KR20180067137A (en) 2018-06-20

Family

ID=6255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562A KR20180067137A (en) 2016-12-12 2016-12-12 Electrochromism elem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067137A (en)
CN (1) CN209946605U (en)
WO (1) WO201811086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77B1 (en) * 2019-02-19 2019-12-04 (주)오리온엔이에스 Electrochromic device with single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6730B (en) * 2020-01-23 2022-07-19 青岛凯欧斯光电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chrom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799B1 (en) * 2009-01-19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ing electrochromism an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5952708B2 (en) * 2012-10-18 2016-07-13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Electrochromic mirror
KR20150031917A (en) * 2013-09-17 2015-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de Plate and Eletrochomic Plate, Electrochomic Mirr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535100B1 (en) * 2015-01-19 2015-07-09 준영 허 Electrochromic smart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57965B1 (en) * 2015-12-11 2016-09-30 애드크로 주식회사 Electrochromic device, electrode structure theref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77B1 (en) * 2019-02-19 2019-12-04 (주)오리온엔이에스 Electrochromic device with single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0861A1 (en) 2018-06-21
CN209946605U (en)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based on poly (3, 4-(2, 2-dimethylpropylenedioxy) thiophene)
US8233211B2 (en)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127277B1 (en)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75577B1 (en) Electrode Plate and Electrochomic Mirror Using the Same
US20080278792A1 (e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improved color properties
KR101761850B1 (en) Electrochemical device
WO2012138281A1 (en) Electrochromic device
JP7146417B2 (en) electrochromic device
KR102476116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102102204B1 (en) Switchable privacy protection device between wide wiewing mode and narrow viewing mode for displaying device
KR102666775B1 (en) Ligth transmittance variable panel implementable multi image mod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067137A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102108828B1 (en) Electrode Plate and Electrochomic Mirror Using the Same
KR102382322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70223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102351850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JP623584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2358896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apparatus
KR102705838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20190023522A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052077B1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single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KR20180136726A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20180077770A (en) Electrochromism element
KR102383563B1 (en) Electrochromism element and electrochromism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0622062A (en) Electrochrom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