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540A -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540A
KR20180065540A KR1020160166551A KR20160166551A KR20180065540A KR 20180065540 A KR20180065540 A KR 20180065540A KR 1020160166551 A KR1020160166551 A KR 1020160166551A KR 20160166551 A KR20160166551 A KR 20160166551A KR 20180065540 A KR20180065540 A KR 20180065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rush
container
cosmetic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787B1 (ko
Inventor
유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6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7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A46B2200/1053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 A46B2200/106Cosmetics applicator specifically for mascara including comb like element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하단에 브러시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는 하단부에 단차부와 간섭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것으로써, 브러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뽑을 때 솔대와 브러시가 와이퍼의 출입구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가 와이퍼의 간섭부와 간섭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간섭부는 탄력적으로 안으로 말리면서 간섭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훑어지며, 단차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조금만 훑어져서 브러시 내에 적량의 화장료가 남도록 함으로써, 속눈썹 화장 시 화장료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와이퍼와, 상기 용기본체에 체결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에 결합되는 브러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퍼는 하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단차부와 간섭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having a wiper}
본 발명은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하단에 브러시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는 하단부에 단차부와 간섭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것으로써, 브러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뽑을 때 솔대와 브러시가 와이퍼의 출입구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가 와이퍼의 간섭부와 간섭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간섭부는 탄력적으로 안으로 말리면서 간섭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훑어지며, 단차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조금만 훑어져서 브러시 내에 적량의 화장료가 남도록 함으로써, 속눈썹 화장 시 화장료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길게 보이게 하거나 눈썹 끝을 위로 올려주어 눈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품으로써, 속눈썹을 진하고 길게 보이게 하며 눈매에 입체감을 더해주는 화장품이다.
상기 마스카라의 일반적인 구조는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막아주며 브러시가 장착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의 마스카라는 브러시에 내용물을 적당량 묻힌 다음에 브러시를 돌려가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마스카라 내용물을 브러시에 묻혀 사용할 때에 그 브러시에 너무 많은 량의 마스카라 내용물이 묻어나오면 브러시를 갖는 솔대를 용기에서 뽑아 낼 때 브러시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흘러내리게 되고, 또한 속눈썹에 내용물을 묻힐 때 과다하게 묻어서 화장 속눈썹이 뭉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솔대를 용기로부터 뽑아 낼 때 솔대 하단의 브러시를 훑어 주는 와이퍼가 제안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브러시를 훑어 내기 위해 용기의 선단으로 삽입되는 별도의 와이퍼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결합되는 와이퍼(1)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에 의해 뚜껑과 결합된 솔대의 하단 브러시가 상기 와이퍼와 간섭을 일으키며 브러시 내에 과도하게 묻어있는 마스카라 내용물을 훑어 내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와이퍼는 브러시가 상기 와이퍼를 통과할 때 내용물을 과도하게 훑어주어 브러시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적기 때문에 브러시를 자주 용기본체에 넣어 내용물을 묻혀 화장을 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국특허공보 제08221015호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와이퍼(2) 내측에 와이퍼돌출부(3)를 형성하고, 상기 와이퍼돌출부(3)를 산(4)과 골(5)이 번갈아가며 물결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솔대를 용기로부터 뽑아낼 때 브러시가 와이퍼돌출부(3)와 간섭이 일어나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퍼돌출부(3)는 상부로 말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와이퍼돌출부(3)가 물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산(4) 부위는 브러시를 훑어 주고 골(5)부위는 브러시를 훑어 내지 않아 브러시 내에 적량의 내용물이 남아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속눈썹 화장을 마친 후 솔대를 용기 내로 투입할 때 상기 브러시는 와이퍼돌출부(3)와 간섭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브러시에 잔존하는 화장료가 와이퍼돌출부(3)에 의해 훑어지면서 내용물은 와이퍼의 내벽을 타고 용기 외부로 오버플로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 용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브러시부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주는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하단에 브러시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는 하단부에 단차부와 간섭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것으로써, 브러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뽑을 때 솔대와 브러시가 와이퍼의 출입구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가 와이퍼의 간섭부와 간섭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간섭부는 탄력적으로 안으로 말리면서 간섭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훑어지며, 단차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조금만 훑어져서 브러시 내에 적량의 화장료가 남도록 함으로써, 속눈썹 화장 시 화장료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속눈썹 화장을 마치고 브러시부를 용기본체 내로 투입할 때 와이퍼의 간섭부와 간섭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부에 잔존하는 화장료는 상기 와이퍼의 단차부를 통해 용기본체 내로 투입됨으로써, 화장료가 와이퍼의 내벽을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적량의 화장료를 훑어내는 와이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의 하단부 내주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내부골을 형성함으로써, 브러시부가 상기 내부골을 통과할 때 내부골의 깊이만큼 화장료를 덜 훑어내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뽑을 때 브러시가 와이퍼의 출입구를 통과하면서 브러시가 간섭부에 걸려 간섭부가 안으로 말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퍼의 내,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내,외부골로 인해 단차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간섭부만 용이하게 말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적량의 화장료를 훑어내는 와이퍼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와이퍼와;
상기 용기본체에 체결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에 결합되는 브러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퍼는 하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단차부와 간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는 상단에 제1걸림돌륜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걸림돌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의 단차부에는 사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의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의 외부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퍼의 내주면에는 세로 방향의 내부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는 솔대와 상기 솔대에 결합되는 브러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와이퍼 하단에 브러시부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는 하단부에 단차부와 간섭부가 번갈아가며 형성된 것으로써, 브러시부를 용기로부터 뽑을 때 솔대와 브러시가 와이퍼의 출입구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가 와이퍼의 간섭부와 간섭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간섭부는 탄력적으로 안으로 말리면서 간섭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훑어지며, 단차부를 통과한 브러시는 화장료가 조금만 훑어져서 브러시 내에 적량의 화장료가 남도록 함으로써, 속눈썹 화장 시 화장료 뭉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속눈썹 화장을 마치고 브러시부를 용기본체 내로 투입할 때 와이퍼의 간섭부와 간섭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브러시부에 잔존하는 화장료는 상기 와이퍼의 단차부를 통해 용기본체 내로 투입됨으로써, 화장료가 와이퍼의 내벽을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의 하단부 내주면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내부골을 형성함으로써, 브러시부가 상기 내부골을 통과할 때 내부골의 깊이만큼 화장료를 덜 훑어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를 용기본체로부터 뽑을 때 브러시가 와이퍼의 출입구를 통과하면서 브러시가 간섭부에 걸려 간섭부가 안으로 말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퍼의 내,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내,외부골로 인해 단차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간섭부만 용이하게 말려 들어갈 수 있도록 한 적량의 화장료를 훑어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와이퍼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와이퍼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와이퍼에 브러시가 훑어지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와이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와이퍼를 브러시부가 빠져 나오는 과정을 보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와이퍼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와이퍼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와이퍼를 브러시부가 빠져 나오는 과정을 보이는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와이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1)에 결합되는 와이퍼(20)와, 상기 용기본체(10)에 체결되는 용기뚜껑(30)과, 상기 용기뚜껑(30)에 결합되는 브러시부(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퍼(20)는 하측에 출입구(23)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단차부(24)와 간섭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에는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단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부 내주면에는 단턱(1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용기나사산(13)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에는 와이퍼(20)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단턱(12)에는 와이퍼(20)에 형성된 제2걸림돌륜(22)이 맞닿게 된다.
상기 용기나사산(13)은 용기뚜껑(30)과 나사 결합되어 용기본체(10)를 밀폐시킨다.
상기 와이퍼(20)는 탄성을 갖는 고무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에 제1걸림돌륜(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걸림돌륜(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돌륜(2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개구부(11)에 와이퍼(20)가 끼움 결합될 때, 개구부(11) 상단에 제1걸림돌륜(21)이 걸림 역할을 하여 상기 와이퍼(20)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걸림돌륜(22)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12)에 걸려서 와이퍼(20)가 용기본체(10)에서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퍼(20)는 하측에 출입구(23)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단차부(24)와 간섭부(25)가 번갈아가며 형성된다.
상기 출입구(23)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부(40)가 출입을 한다.
상기 단차부(24)는 간섭부(25)에 비해 길이가 짧으며, 단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차부(24)의 단부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부(24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4)는 브러시부(40)가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브러시부(40)에 적량의 화장료가 남도록 조금만 훑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간섭부(25)는 브러시부(40)가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될 때, 탄력적으로 안으로 말리면서 브러시부(40)에 묻은 화장료의 대부분을 훑어내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간섭부(25)는 브러시부(40)가 용기본체(10)에 결합될 때 상기 브러시부(40)와 간섭이 일어나서 브러시부(40)의 잔존하는 화장료를 많이 훑게 되며, 상기 훑어진 화장료는 단차부(24)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로 투입됨으로써, 화장료가 와이퍼(20)의 내벽을 타고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20)의 하부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외부골(26)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외부골(26)과 대응되는 내부골(27)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골(26)과 내부골(27)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브러시부(40)가 와이퍼(20)의 출입구(23)를 통과하여 용기본체(10)의 외부로 빠지거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와이퍼(20)의 간섭부(25)는 외부골(26)과 내부골(27)로 인해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지게 된다.
상기 외부골(26)과 내부골(27)은 와이퍼(20) 하부의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간섭부(25)가 탄력적으로 오므라들거나 벌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외부골(26)과 내부골(27)이 형성되기 때문에 브러시부(40)가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브러시부(40)가 와이퍼(20)의 출입구(23)를 통과하면서 브러시부(40)의 브러시(42)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섭부(25)에 걸려 상기 간섭부(25)가 화장료를 훑어낼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용기뚜껑(30)이 결합되며, 상기 용기뚜껑(30)은 내주면에 뚜껑나사산(31)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용기나사산(13)과 나사 결합된다.
상기 용기뚜껑(30)의 내측에는 브러시부(4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뚜껑(30)과 브러시부(4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브러시부(40)는 솔대(41)와 상기 솔대(41)의 아래쪽에 결합되는 브러시(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솔대(41)의 상단부는 용기뚜껑(30)에 끼움 결합되어 브러시부(40)를 용기뚜껑(30)에 고정시켜 준다.
상기 브러시(42)는 솔대(41)의 아래쪽에 결합되어 용기본체(10)에 수용된 화장료를 취하여 화장을 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42)는 스펀지 팁으로 형성되어 립글로스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모(毛) 형상의 브러시로 형성되어 메니큐어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마스카라 브러시로 형성되어 마스카라 화장품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용기의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부(40)가 와이퍼(20)를 통과하면서 용기본체(10)에서 분리된다.
상기 브러시부(40)가 와이퍼(20)의 출입구(23)를 통과하여 분리될 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시부(40)가 와이퍼(20)의 간섭부(25)와 간섭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간섭부(25)는 탄력적으로 안으로 말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간섭부(25)를 통과한 브러시부(40)는 화장료가 많이 훑어지며, 단차부(24)를 통과한 브러시부(40)는 화장료가 조금만 훑어져서 브러시부(40)의 브러시(42) 내에 적량의 화장료가 남도록 하여 사용자가 속눈썹 화장 시 화장료의 뭉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퍼(20)의 단차부(24) 단부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선으로 형성할 경우, 브러시부(40)가 와이퍼(20)를 통과할 때, 단차부(24)의 사선부(241)에 의해 단차부(24)의 길이가 짧은 쪽은 화장료를 덜 훑어내며 단차부(24)의 길이가 긴 쪽은 화장료를 더 훑어내어 브러시부(40)에 남은 화장료가 세로 층을 이루어 속눈썹 마스카라 화장을 특색있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20:와이퍼
30:용기뚜껑 40:브러시부

Claims (6)

  1. 화장료가 수용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와이퍼와;
    상기 용기본체에 체결되는 용기뚜껑과;
    상기 용기뚜껑에 결합되는 브러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와이퍼는 하측에 출입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단차부와 간섭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상단에 제1걸림돌륜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걸림돌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의 단차부에는 사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의 외주면에는 세로 방향의 외부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의 내주면에는 세로 방향의 내부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솔대와 상기 솔대에 결합되는 브러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0160166551A 2016-12-08 2016-12-08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02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551A KR102024787B1 (ko) 2016-12-08 2016-12-08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551A KR102024787B1 (ko) 2016-12-08 2016-12-08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40A true KR20180065540A (ko) 2018-06-18
KR102024787B1 KR102024787B1 (ko) 2019-09-24

Family

ID=6276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551A KR102024787B1 (ko) 2016-12-08 2016-12-08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5987B1 (en) * 2001-07-11 2009-02-11 Sinwa Corporation Liquid paint coater
KR20140006231U (ko) * 2013-06-03 2014-12-12 (주)아모레퍼시픽 내측 돌기가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KR200476610Y1 (ko) * 2013-12-12 2015-03-18 (주)아모레퍼시픽 숄더부재의 오버런 및 분리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JP5927446B2 (ja) * 2011-09-21 2016-06-01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5987B1 (en) * 2001-07-11 2009-02-11 Sinwa Corporation Liquid paint coater
JP5927446B2 (ja) * 2011-09-21 2016-06-01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KR20140006231U (ko) * 2013-06-03 2014-12-12 (주)아모레퍼시픽 내측 돌기가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KR200476610Y1 (ko) * 2013-12-12 2015-03-18 (주)아모레퍼시픽 숄더부재의 오버런 및 분리 방지 구조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787B1 (ko)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8798B1 (en) Wiper for cosmetics bottle
KR101775100B1 (ko) 이중 어플리케이터 립메이크업 용기
JP2004000710A (ja) 一方向性化粧品用ワイパ
KR20180101096A (ko) 화장료 뭉침을 방지하는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US20170318937A1 (en) Cap with applicator and packaging equipped with same
US10881187B2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provided with elastic slit part
KR20140006231U (ko) 내측 돌기가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마스카라 용기
JP2017510388A (ja) 二重ブラシスティックタイプマスカラ化粧容器
KR20170093674A (ko) 립글로스와 마스카라의 와이핑 장치
US10874194B2 (en) Article for cosmetic comprising a reservoir with a collar
KR20180065540A (ko)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JP5518451B2 (ja) 化粧料用容器の中蓋
KR101927048B1 (ko) 탄력절개선이 형성된 와이퍼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50003074U (ko) 엣지부를 갖는 솔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200475968Y1 (ko) 액상 화장품 용기의 용기패킹 구조
KR102116224B1 (ko) 잔량이 방지됨과 동시에 에어타이트 기능을 가지는 화장품 용기
KR20170027965A (ko) 내용물 감량방지를 위한 3중 마스카라 용기
KR200492684Y1 (ko) 화장품 용기
KR101453911B1 (ko) 화장품 용기
KR101765714B1 (ko) 세척부재가 구비된 마스카라브러시 세척용기
KR200492025Y1 (ko) 화장품 용기
KR101757388B1 (ko) 내용물 잔량 사용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KR10169170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3210Y1 (ko) 마스카라 용기의 스키니 브러시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4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11

Effective date: 201908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