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143A -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143A
KR20180065143A KR1020160165575A KR20160165575A KR20180065143A KR 20180065143 A KR20180065143 A KR 20180065143A KR 1020160165575 A KR1020160165575 A KR 1020160165575A KR 20160165575 A KR20160165575 A KR 20160165575A KR 20180065143 A KR20180065143 A KR 20180065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weight
plate
presen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남진
심순구
정영빈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6016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143A/en
Priority to PCT/KR2017/012926 priority patent/WO2018105916A1/en
Publication of KR20180065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1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having a separation preven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xture including a coi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 vibrating body which has a magnet opposing the coil, a weight body, and a plate coupled to both the magnet and the weight body and having an upper end protruding outwardly; and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ng body.

Description

이탈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및 플레이트{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and a plate,

본 발명은 선형진동 발생장치 또는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그네트 또는 중량체 등이 이탈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구조가 적용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r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o which a plate structure for preventing separation or separation of a magnet or a weight or the like is applied and a plate to which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applied.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에는 통화 착신 등의 인터페이싱은 물론, 키 입력, 이벤트 발생, 앱 실행 등을 사용자에게 피드백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진동 기능(햅틱, Haptic)이 구현된다. A vibration function (haptic, Haptic) is implement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for interfacing such as call incoming, as well as for key interfacing, event generation, and application execution.

이러한 진동 기능을 구현하는 진동 모터(진동 발생장치)는 전자기력를 기계적 구동력으로 변환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구동 방식과 형태에 따라 크게 선형(linear type) 진동모터와 편평형(flat/coin type) 진동모터로 구분된다.A vibration moto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implements such a vibration function is a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 by conver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into a mechanical driving force, and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linear type vibration motor and a flat / coin type vibration motor Respectively.

편평형 진동모터의 경우 회전에 의한 관성이 잔존하는 거동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빠른 응답 속도가 요구되는 사양에서는 회전 관성이 없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가 주로 이용된다.In the case of a flat vibration motor,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without rotation inertia is mainly used in specifications requiring a fast response speed since the inertia due to rotation remains.

이러한 종래 선형진동 발생장치(선형 진동 모터)(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521), 마그네트(521)를 외주 부분에서 둘러싸는 형태의 중량체(weight)(523)를 포함하는 진동체(520)와 이 진동체(520)를 상하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스프링 등)(540)를 포함한다. 이 진동체(520)에는 상기 마그네트(521)와 중량체(523)가 결합되며, 아래 방향으로 탄성체(540)와 결합되는 플레이트(525)가 포함된다.The conventional linear vibration generator 500 includes a magnet 521 and a weight 523 surrounding the magnet 521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magnet 521, And includes an oscillator 520 and an elastic body (spring or the like) 540 physically supporting the oscillator 5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ibrator 520 includes a plate 525 coupled to the magnet 521 and the weight 523 and coupled to the elastic body 540 in a downward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진동 발생장치(500)의 가운데 중심 축 부분에는 고정체(530)가 위치하는데 이 고정체(530)는 요크(533) 및 이 요크(533)에 구비되어 마그네트(521)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531)을 포함한다.1, a fixed body 530 is disposed at a central central axis porti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500. The fixed body 530 is provided on the yoke 533 and the yoke 533, 521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선형 진동 발생장치(500)는 코일(53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과 탄성체(540)가 제공하는 물리적 탄성력이 상호 공진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되는데 시변(time-variant) 특성을 가지는 특정 주파수의 전원이 코일(533)에 인가되어 전자기력이 발생되면 이 발생된 전자기력과 탄성체(540)의 탄성력이 상호 작용하여 진동체(520)가 상하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500 is designed such that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531 and the physical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ody 540 have mutual resonance characteristics. A power source of a specific frequency having a time-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540 interact with each other to cause the oscillating body 520 to linearl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진동 발생장치(500)는 외부 전원 또는 제어 신호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접속부(570) 및 회로기판(5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5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570 and a circuit board 560 for interfacing with external power or control signals.

도 1의 참조부호 550은 댐퍼로서 진동체(5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 내지 흡수하여 불필요한 소음 발생 등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Reference numeral 550 in FIG. 1 functions as a damper to mitigate or absorb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vibrating body 520 moves upward,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noise generation.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525)의 상부에는 중량체(523)와 마그네트(521)가 본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는데, 선형진동 발생장치(500)가 고속으로 빈번하게 상하 방향 이동하는 가혹한 물리적 환경에 의하여, 판상의 형상으로 구현되는 종래 플레이트(525) 상부에 접합된 중량체(523)와 마그네트(521)가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523 and the magnet 521 are bo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525 by bonding or the like.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500 is mounted on the plate 525 in a harsh physical environment A problem arises that the weight 523 bon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ntional plate 525, which is realized in a plate shape, and the magnet 521 are separated or separated.

특히, 플레이트(525)는 그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체(540)와의 물리적 간섭 내지 충격을 피하기 위하여 바깥 방향 즉, 중량체(523)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취할 수 없어 플레이트(525)와 중량체(523)가 접합되는 부위는 상당히 제한적이며, 나아가 중량체(523)는 마그네트(521)보다 상당히 큰 중량을 가지므로 중량체(523)가 마그네트(521) 또는 플레이트(525)에서 분리 내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In particular, the plate 525 can not take a shape elongat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weight 523, in order to avoid physical interference or impact with the elastic body 54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late 525, Since the weight 523 has a considerably larger weight than the magnet 521, the weight 523 is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magnet 521 or the plate 525 A phenomenon occu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중량체 및 마그네트와 결합되는 결합 부위를 본질적으로 확장시켜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중량체 또는 마그네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리적 구조가 적용된 플레이트 및 이러한 플레이트가 포함된 선형진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weight and the magnet, And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such a plat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combination of the constitution shown in the claims and the constitution there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탈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진동 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 중량체와,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중량체 모두와 결합되며 상단부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including a separation prevention plate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ixture including a coi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 vibrating body coupled to both the magnet and the weight body and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end protrudes outward; And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ng bod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는, 내측면이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하고 외측면이 상기 중량체와 결합하며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 상부와 결합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 및 상기 탄성체와 결합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inner surface coupled to the magnet and an outer surface coupled to the weight to form a columnar shape;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And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gnet and a support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elastic body.

이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중량체는 상기 이탈방지부와 결합되도록 상부 내주에 단턱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tep structure i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to be engaged with the departure-avoiding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 하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하부 이탈방지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지지결합부의 절개된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protruding out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further includes a lower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coupl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weight. In this case, An incise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 상부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상부 이탈방지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절개된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realize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agnet. In this case, The body or an incision portion of the departure-avoiding portion may be formed by be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마그네트 및 중량체와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부위가 확장되도록 그 구조를 본질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선형진동 발생장치가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중량체 또는 마그네트가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bstantiall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magnet and the plate coupled with the weight, the problem that the weight or the magnet is separated or separated even i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effectively overco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중량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리적 구조 또는 마그네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리적 구조를 플레이트에 추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중량체 또는 마그네트의 이탈 방지는 물론, 이러한 이탈 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성능 열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ally applying a physica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weight from being detached or a physica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magne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deviation of the weight or magne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phenomen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aused by the deviation phenomenon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는 마그네트와 중량체와 결합되는 영역의 확장은 물론, 마그네트 또는 중량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물리적 구조를 단일화된 하나의 객체를 통하여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제조 공정의 효율성은 물론,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동작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realize the physica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magnet or the weight from a unified object, as well as expanding the area to be combined with the magnet and the weight,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중량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플레이트와 다른 구성과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bett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such matters.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linear vibration generato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coupled to the plate and a weight,
4 to 7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plates and other structures according to oth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탈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진동 발생장치(이하 ‘선형진동 발생장치’라 지칭한다)(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near vibration generator') 100 having a release prevention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 진동 발생장치(100)는 하우징(110), 진동체(120), 고정체(130), 탄성체(140), 댐퍼(150), 브라켓(170), 회로기판(180) 및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2,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vibrating body 120, a fixing body 130, an elastic body 140, a damper 150, a bracket 170, A circuit board 180, and an interface unit 190.

상기 진동체(120)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정체(130)와의 상대적 관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를 의미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121), 중량체(123) 및 플레이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ibrator 120 is an object moving up and down relative to the fixed body 130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or 120 includes a magnet 121, a weight 123, and a plate (not shown) 160).

본 발명의 하우징(110)은 브라켓(170) 상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브라켓(170)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선형진동 발생장치(100)의 케이스를 이루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70)과 함께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The housing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racket 170 and forms a case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bracket 170. The bracket 170 ) To form an internal space for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자로 지칭되기도 하는 본 발명의 고정체(130)는 진동체(120)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진동체(120), 구체적으로 진동체(120)에 구비된 마그네트(121)와의 상호 작용으로 상기 진동체(120)를 선형 이동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131) 등을 포함한다. The fixed body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 stator, h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ng body 120, and the vibrating body 120,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ibrating body 120 and the magnet 121, A coil 131 for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for linearly moving the body 120, and the like.

이 고정체(130)는 본 발명의 브라켓(170)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 등으로 브라켓(170)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하우징(110) 및 브라켓(170)을 포함한 전체를 고정체(130)로 지칭할 수도 있다. The fixture 130 is fixed to the bracket 170 by being fitted into the bracket 17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tire structure including the housing 110 and the bracket 170 is fixed to the fixture 130 ).

본 발명의 고정체(130)는 구체적으로 코일(131)과 요크(133)를 포함한다. 코일(131)은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인가되면 인간된 전원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코일(131)은 전자기력의 상호 작용 및 선형 진동(이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우징(110)이 제공하는 내부 공간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tur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ncludes a coil 131 and a yoke 133. The coil 131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by a human power source when a power of a proper size and direction is applied. The coil 131 is connected to a housing 110 (not show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lectromagnetic interaction and linear vibratio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inner space provided by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요크(133)는 상기 코일(131)이 결합되는 구조물에 해당하며, 그 하단이 브라켓(170)에 압입 또는 삽입되는 구조로 브라켓(17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자기력 집중 내지 자계 누설 방지 등을 위하여 자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일(131) 및 요크(133)는 같은 중심 축을 기준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yoke 133 corresponds to a structure to which the coil 131 is coupl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yoke 133 is press-fitted or inserted into the bracket 170. The yoke 133 is detachably fixed to the bracket 170,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131 and the yoke 133 ar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same central axis.

본 발명의 진동체(120)는 고정체(13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객체로서 마그네트(121), 중량체(123) 및 플레이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vibrating body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 121, a weight 123 and a plate 160 as an object linearly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30.

마그네트(121)는 상술된 코일(131)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코일(131)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121)와 결합된 중량체(123) 등을 포함하는 진동체(120)가 탄성체(140)에 의한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magnet 121 is constituted corresponding to the coil 131 described above and is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131 and accordingly includes the weight 123 combined with the magnet 121, The vibrating body 1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receiving the elastic support by the elastic body 140.

전자기력의 집중과 상하 방향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마그네트(121)는 도넛 또는 트랙 형상과 같이 가운데 부분에 홀이 형성되며 상기 코일(131) 외주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마그네트(121)의 중심축은 앞서 상술된 코일(131) 및 요크(113)의 중심 축과 동축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e concentration and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121 has a hole formed at the center portion such as a donut or a track shape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il 131. 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axis of the magnet 121 is configured to be coaxial with the center axis of the coil 131 and the yoke 113 described above.

중량체(123)(weight)는 상기 마그네트(121) 외주 측에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트(121)와 함께 플레이트(160) 상면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이동에 의한 진동 편향을 높이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The weight 12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gnet 121 an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60 together with the magnet 121. The weight 123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increasing the vibration deflection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상술된 진동체(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140)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 이동이 탄성 지지되는데, 탄성체(140)의 무게, 탄성 계수, 길이, 두께 등의 속성은 코일(131)이 발생시키는 전자기력과 상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코일(131)의 사양, 진동체(120)의 중량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The vibration body 120 is connected to the elastic body 140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weight, elastic modulus, length, and thickness of the elastic body 140, Such as the specification of the coil 131, the weight of the vibrating body 120, etc., so as to have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the mutual resonance characteristic to be genera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진동 발생장치(100)는 외부 전원 인가 또는 제어 신호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싱부(19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브라켓(170) 상부에서는 코일(131)에 전원 등을 인가하기 위한 회로기판(180)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진동체(120)의 상부 방향의 충격을 완화하는 댐퍼(150)가 포함될 수 있다.2,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100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190 for external power supply or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signal.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70, a power source And a damper 150 for relieving the impact of the vibrating body 120 in the upward direction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는 종래 판상 형태의 플레이트와는 전혀 다른 형상적 내지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는 마그네트(121)와 중량체(123) 모두와 결합되는 벽부가 형성된 형상으로서 그 상단부가 바깥 방향 즉, 중량체(123)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The plat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eature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a conventional plate-shaped plate. 2, the plat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wall portion to be combined with both the magnet 121 and the weight 123 is form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는 마그네트(121)는 물론, 중량체(123)와 접합 내지 결합되는 영역이 확장됨은 물론, 중량체(123)의 상단으로 돌출된 형상에 의하여 중량체(123)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어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지는 중량체(123)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lat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enlarges the area where the plate 121 is joined to or joined to the weight 121 but also extends to the upper end of the weight 123, The body 123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weight 123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outsid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160)의 다양한 실시예와 플레이트(160)와 마그네트(121) 또는 중량체(123)의 결합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lat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e 160 and the magnet 121 or the weight 12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160)와 이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마그네트(121)와 중량체(123)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late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gnet 121 and a weight 123 coupled to the plate.

도 3 (a)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 마그네트(121) 및 중량체(12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b)는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 마그네트(121) 및 중량체(123)의 결합 전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3 (a) shows a state where the plate 160, the magnet 121 and the weight 12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 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late 160, the magnet 121 And the weight 12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fore couplin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몸체(161), 이탈방지부(163) 및 지지결합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lat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lumnar shape as a whole, and may include a body 161,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3, and a support coupling portion 165.

상기 플레이트(160)의 몸체(16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을 가지며, 몸체(161)의 내측면이 상기 마그네트(121)와 결합하며, 외측면이 상기 중량체(123)와 결합한다. The body 161 of the plate 160 has a vertically extending columnar shap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body 161 is engaged with the magnet 121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61 is engaged with the weight 123 .

도면에는 플레이트(160)가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중량체(123), 마그네트(121) 등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레이트(160)는 이에 상응하여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선형진동 발생장치(100)의 동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방향에서 대칭되는 구조가 되도록 플레이트(16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plate 160 is shown in the form of a cylinder in the figure, when the weight 123, the magnet 121 and the like ar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 plate 160 may correspond to a polygonal column,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100, the plate 16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so as to be symmetrical in all directions.

상기 플레이트(160)의 이탈방지부(163)는 몸체(16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바깥 방향 즉, 중량체(123)가 구비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중량체(123)의 상부와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3,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163 of the plate 160 protrudes outwar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dy 161, that 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123 is provided And is engag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weight 123.

이 플레이트(160)의 이탈방지부(163)와 적응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중량체(123)의 상부 내주 부분에는 단턱 구조(1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step structure 1231 is formed in the upper inner circumference portion of the weight 123 so as to be adaptively engaged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3 of the plate 160.

상기 플레이트(160)의 지지결합부(16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60)의 안쪽에 형성되는 바닥면으로서 상기 몸체(161) 하부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121)의 하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이 지지결합부(165)의 하면으로는 탄성체(140)가 결합된다.3, the supporting portion 165 of the plate 160 has a bottom surfac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ate 160 and protrudes i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61,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121 is seated and engaged. The elastic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165.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160)를 통하여, 마그네트(121)와 중량체(123)가 결합(접합)되는 넓은 영역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통하여 중량체(123)의 이탈 내지 분리를 방지하는 물리적 구조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접합되는 모든 부위는 접착제 등이 도포되어 접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rge area through which the magnet 121 and the weight 123 are joined (bonded) through the plate 160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at the same time. Although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ll the jointed parts can be bonded with adhesive or the like.

또한, 지지결합부(165)와 탄성체(14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탄성체(140) 중 지지결합부(165)의 하면과 대접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을 이용하여 탄성체(140)와 지지결합부(165)를 필렛(Fillet) 용접의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용접 여부에 대한 육안 확인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one or more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4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165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body 140 and the support coupling part 165 are joined by the fillet welding method using the groove in view of enhancing the bonding force and visuall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welding is performed.

도 4와 도 5는 하부 이탈방지부(167)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16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plate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7.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트(160)는 하부 이탈방지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하부 이탈방지부(167)는 플레이트(160)의 몸체(161) 하부에서 바깥 방향 즉, 중량체(123)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123)의 하부와 결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4, the plate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wer deviation preventing portion 167. The lower drop prevention portion 167 protrudes out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61 of the plate 16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ight 123 is provided, .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중량체(123)는 그 상부가 플레이트(160)의 이탈방지부(163)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 및 결합되며 그 하부가 플레이트(160)의 하부 이탈방지부(167)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지지 및 결합되므로 외부 이탈이나 분리 현상 또는 유격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123 is physically supported and coupled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3 of the plate 16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eight 123 is separated by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7 of the plate 160 And is physically supported and coupl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an outward departure, separation, or clearance phenomenon.

이탈방지부(163) 또는 하부 이탈방지부(167)를 수직 방향으로 접은 후, 중량체(123)를 플레이트(160)에 끼움 결합시키고 그 후 이탈방지부(163) 또는 하부 이탈방지부(167)를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폴딩(folding)시키는 방법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중량체(123)와 플레이트(160)를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paration member 163 or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67 is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the weight member 123 is fitted to the plate 160 and then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63 or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167 And a method of folding the weight 123 and the plate 160 in a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플레이트(160)의 하부 이탈방지부(167)와 중량체(123)가 효과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중량체(123)의 하부 내주면에도 이 하부 이탈방지부(167)와 상응하는 형상의 단턱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bottom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eight 123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lower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167 in order to effectively engage the bottom detent preventing portion 167 of the plate 160 and the weight 123 A stepped structure can be formed.

도 5는 플레이트(160)의 하부 이탈방지부(167)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60)의 하부 이탈방지부(167)는 몸체(161)의 절개된 일부를 절곡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지지결합부(165)의 절개된 일부를 바깥 방향으로 절곡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5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7 of the plate 160. The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7 of the plate 160 as shown in FIG. 161 and may be embodied in a manner that outwardly bends an incised portion of the support engagement portion 165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ure 5 (b) have.

도 6과 도 7은 상부 이탈방지부(167)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레이트(16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6 and 7 illustrate a plate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n upper deviation preventing portion 167.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는 상부 이탈방지부(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상부 이탈방지부(169)는 플레이트(160)의 몸체(161) 상부에서 안쪽 방향 즉, 마그네트(121)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마그네트(121)의 상부와 결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6, the plat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deviation preventing portion 169. The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9 has a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61 of the plate 16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agnet 121 is provided and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 121 .

이와 같이 상부 이탈방지부(169)가 마그네트(121)의 상부를 물리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결합되므로 마그네트(121)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은 물론, 유격이 발생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부 이탈방지부(169)와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마그네트(121)의 상부 외주에는 이 상부 이탈방지부(169)와 대응되는 형상의 단턱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Since the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9 physically supports and is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 1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magnet 121 is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outside, . In order to effectively realize coupling with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part 169, a step structur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departure prevention part 169 may be impleme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art of the magnet 121.

상부 이탈방지부(169)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이탈방지부(163)의 일부를 반대방향으로 폴딩시키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대칭적인 지지와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 이탈방지부(169)는 이탈방지부(163)의 가운데 부분이 안쪽으로 폴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p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169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nd one of the methods can be implemented by a method of folding a part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163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upper portion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9 folds the middle por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163 inward so that mutual symmetrical support and bonding can be achieved.

또한, 상부 이탈방지부(16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61) 상단부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절곡시키는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몸체(161) 상단의 절개된 일부를 절곡하는 경우 마그네트(121)와의 높이 단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2단으로 절곡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7, the upper release preventing portion 169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including cutt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161 and bending the incised portion, It is of course possible to use a method of bending two portions in order to solve the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magnet 121.

본 발명의 플레이트(16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161), 이탈방지부(163), 지지결합부(165), 하부 이탈방지부(167) 및 상부 이탈방지부(169) 전체의 구성을 절개, 절곡 등의 방법을 통하여 하나의 단일 객체로 구현할 수 있어 제품 적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The plat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161,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3, a supporting engagement portion 165, a low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7 and an entire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169 The configuration can be implemented as a single object through a method of incision, bending, etc., so that the convenience of application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선형진동 발생장치
110 : 하우징 120 : 진동체
121 : 마그네트 123 : 중량체
130 : 고정체 131 : 코일
133 : 요크 140 : 탄성체
150 : 댐퍼 160 : 플레이트
161 : 몸체 163 : 이탈방지부
165 : 지지결합부 167 : 하부 이탈방지부
169 : 상부 이탈방지부 170 : 브라켓
180 : 회로기판 190 : 인터페이스부
100: Linear vibration generator
110: housing 120: vibrating body
121: Magnet 123: Weight
130: Fixture 131: Coil
133: yoke 140: elastomer
150: damper 160: plate
161: Body 163:
165: support coupling portion 167:
169: upper departure prevention part 170: bracket
180: circuit board 190: interface

Claims (8)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 중량체와, 상기 마그네트 및 상기 중량체 모두와 결합되며 상단부가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fixture including a coi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 vibrating body coupled to both the magnet and the weight body and having a shape in which an upper end protrudes outward; And
And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ng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내측면이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하고 외측면이 상기 중량체와 결합하며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 상부와 결합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 및 상기 탄성체와 결합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진동 발생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 body having an inner side joined to the magnet and an outer side joined to the weight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And
And a support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 and the elastic body, the support port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이탈방지부와 결합되도록 상부 내주에 단턱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nd a stepped structur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 하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wer deviation preventiv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eight body.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탈방지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지지결합부의 절개된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4,
And an incision portion of the body or the support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제 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 상부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와 결합되는 상부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
5. The apparatus of claim 2 or 4,
Further comprising an upper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having a shape protruding i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coupl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agne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이탈방지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의 절개된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플레이트가 구비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an incision portion of the body or th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체, 상기 코일과 대향하는 마그네트와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로서,
내측면이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하고 외측면이 상기 중량체와 결합하며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 상부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량체 상부와 결합되는 이탈방지부; 및
상기 몸체 하부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마그네트의 하부 및 상기 탄성체와 결합하는 지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방지 구조가 구비된 플레이트.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fixed body including a coil provided in the inner space, a vibrating body including a magnet and a weight opposing to the coil, and an elastic body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vibrating body, As a plate,
A body having an inner side joined to the magnet and an outer side joined to the weight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weight; And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body, the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support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a lower portion of the magnet and the elastic body.
KR1020160165575A 2016-12-07 2016-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KR2018006514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575A KR20180065143A (en) 2016-12-07 2016-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PCT/KR2017/012926 WO2018105916A1 (en) 2016-12-07 2017-11-15 Release prevention plate-equipped linear vibration generator and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575A KR20180065143A (en) 2016-12-07 2016-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143A true KR20180065143A (en) 2018-06-18

Family

ID=6249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575A KR20180065143A (en) 2016-12-07 2016-12-07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5143A (en)
WO (1) WO201810591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67B1 (en) * 2020-03-31 2020-07-23 주식회사 와이제이엠게임즈 Vertical vibration using upper and lower magnetic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87B1 (en) * 2009-07-27 2012-06-18 삼성전기주식회사 Linear Vibrator
JP5496990B2 (en) * 2011-11-28 2014-05-21 株式会社永進ハイ−テック Linear vibration device
KR101451871B1 (en) * 2012-11-07 2014-10-17 (주)파트론 Linear motor
JP6262189B2 (en) * 2013-02-18 2018-01-17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Linear vibration actuator
KR20160000274A (en)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오리엔텍 Vibration mo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67B1 (en) * 2020-03-31 2020-07-23 주식회사 와이제이엠게임즈 Vertical vibration using upper and lower magnet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916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572B1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880337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9085013B2 (en) Linear vibrator
KR20180014261A (en) Linear Vibrator.
US9515540B2 (en) Linear vibrator
US874263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831930B1 (en) Linear Vibrator.
KR101506556B1 (en) Linear Motor
KR20150053106A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N210167938U (en) Linear vibration actuator
KR101461274B1 (en) Linear Motor
US10637340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20180065143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with plate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plate
KR102264328B1 (en) A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eof
KR101858969B1 (en) Apparatus with magnetic brake for generating vibration in portable device
CN110874138A (en) Sound vibration driver
KR20130031528A (en) Linear vibration motor
KR20160019584A (en) Linear vibrator
KR20130038328A (en) Linear motor
KR20160057772A (en) Stator assembly module for Linear Motor and Linear Motor having the same
KR20120138729A (en) Linear motor
KR102226311B1 (en) A vibr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eof
KR101132418B1 (en) Linear vibrating motor
KR102059102B1 (en) vibrator
KR20190038138A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