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43A - Prefabricated Windsurfing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Windsurf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43A
KR20180064943A KR1020160165427A KR20160165427A KR20180064943A KR 20180064943 A KR20180064943 A KR 20180064943A KR 1020160165427 A KR1020160165427 A KR 1020160165427A KR 20160165427 A KR20160165427 A KR 20160165427A KR 20180064943 A KR20180064943 A KR 2018006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auxiliary
fixing
windsurfing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영 filed Critical 이기영
Priority to KR102016016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943A/en
Priority to PCT/KR2017/011101 priority patent/WO2018105869A1/en
Publication of KR2018006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B35/79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windsurfing, comprising: a first hull installed with a sail so as to be able to sail with a wind; a second hull coupled to the first hull; and a third hull coupled to the second hull and installed with a selector lever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the direction of the sail, wherein a plurality of hulls, subsidiary hulls, buoyant bodies, and sails are assembled and disassembled for easy movement. By supplementing instability of conventional windsurfing, a ship can be safely sailed without a concern of capsizing by using the subsidiary hull and the buoyant body installed in both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Description

조립식 윈드서핑{Prefabricated Windsurfing}{Prefabricated windsurfing}

본 발명은 조립식 윈드서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윈드서핑의 선체를 조립식으로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고, 원드서핑의 항해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윈드서핑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windsurfing capable of easily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a windsurfing hull by a prefabricated method and securing safety at the time of navigation of a wad.

일반적으로 윈드서핑(보드 세일링)은 판(board) 위에 세워진 돛에 바람을 받으면서 파도를 타는 해양 레저 스포츠로 요트와 비슷하지만 날아오른다거나 회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좀 더 다이내믹한 스포츠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windsurfing (board sailing) is a marine leisure sport that takes the wind in the wind while sailing on a board, similar to a yacht, but is known as a more dynamic sport because it can fly or spin.

윈드서핑은 일정한 판 위에 돛대를 세우고 바람을 받으며 파도를 타는 스포츠이다. 돛대를 수직으로 고정시킨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움직이는 연결쇠를 사용하여 돛대가 움직이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요트와 서핑이 절묘하게 합쳐진 스포츠로, 오늘날에는 거의 세계 전지역에서 즐기고 있다.Windsurfing is a sport in which a mast is set on a constant plate and the wind is blown. It is characterized by moving the mast using a hinge that moves away from the stereotypes of fixing the mast vertically. In other words, yacht and surf are exquisitely combined, and today they are enjoying almost all over the world.

이러한 윈드서핑을 즐기기 위한 자연조건이 최소화된 상태에서라도 적당한 세기의 바람은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바람이 미약하거나 거의 없는 날에는 윈드 서핑을 즐길 수가 없으며, 또한 바람이 있더라도 윈드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바람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돛을 이용하는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여야만 한다.Even with minimal natural conditions to enjoy such windsurfing, there must be a wind of moderate intensity. Therefore, windsurfing can not be enjoyed on weak or rare winds. In order to enjoy windsurfing even in windy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learn the technique of using sails to adjust wind direction.

소형 요트나 보트, 카누나 카약, 서핑이나 윈드서핑과 같은 소형 선박 형태의 수상 스포츠는 그 동호인들이 특정한 한 종목만을 선호하기 보다는 다양한 수상스포츠를 폭넓게 즐기는 양상을 띈다.Small water sports such as small yachts, boats, canoe kayaks, surfing and windsurfing enjoy a wide variety of water sports rather than a particular sport.

이러한 특성에 따라 다양한 소형 선박을 이용하는 수상스포츠를 보다 편리하게 즐기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s, techniques for enjoying water sports using various small ships more conveniently are being developed.

조립식 보트에 관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8706호가 개시되어 있다. Prior art relating to a prefabricated boa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538706.

선행기술은 선체의 외부와 내부를 분리하여 내부를 공기주입식으로 3분할하고 그 외부에 외장부를 둘러싸는 형태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36378호와 같이 보트의 구조를 3분할하고 돌출부에 지지밴드를 통해 결합하는 형태를 띄고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보트를 분할하여 이동과 보관을 편리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들이다. 미국특허 번호 US2008/00041295 A1(Feb. 21, 2008)과 같이 선체를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조립하고 외부를 외피로 감싸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The prior art separ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ull, divides the inside into three parts by air injection type, and surrounds the outside part. Also,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36378, the structure of the boa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joined to the projections through support bands. These structures are about technologies that split the boat to make it easier to move and store. US Patent No. US2008 / 00041295 A1 (Feb. 21, 2008), a technique of constructing a hull as a frame and assembling it and enclosing the outside with an envelope is also being developed.

이러한 분리와 조립이 가능한 보트 선체에 관한 기술을 단지 보관과 이동의 편이성을 향상하는 측면뿐만 아니라, 다기능 다용도를 위한 구조로 적용하면 그 활용도는 보다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ology of the boat hull which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can be applied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storage and transportation but also in the structure for a multifunctional multipurpos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multi-purpose leisure boat hull structure of a block connection type.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는 레저 목적의 카약(kayak)이나 보트 또는 서핑보드(surfing board)에 있어서, 배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구조물에 연결부, 고정부, 상판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수부(船首部), 배의 뒷부분에 해당하는 구조물에 연결부, 고정부, 상판 절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미부(船尾部), 상기 선수부와 선미부의 사이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이 놓이도록 좌석연결홈과 선수부 및 선미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에 고정되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좌석 연결부(41)를 구비하는 좌석 및 배를 앞뒤로 나아가도록 젓기 위한 수단인 노 및 상기 선수부와 선미부 만을 연결하여 윈드서핑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수부(10)와 선미부(20)가 서로 연결되어, 선수부 상판 절개부와 선미부 상판 절개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요철(凹凸) 구조의 돛고정판을 구비하는 윈드서핑 키트를 포함한다.The multi-purpose leisure boat hull structure of the block connection typ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s a kayak, a boat or a surfing board for leisure purpose. Th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a fixing portion, A stern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a fixing portion, and a top plate cut-off portion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a rear portion of the ship, and a stern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forward portion and the stern portion, A seating portion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at connecting groove and the fore and aft portions so that the seat can be placed, and a fixing portion, a seat having a seat connecting portion 41 fixed to the boarding portion, And a furnace which is a means for pivoting the boat forward and backward, and a fore and aft portion, The tails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bow section and the stern top plate cut part windsurfing kit of the top plate section having a concave-convex portion is inserted (凹凸) structure of the sail to the fixed plate to be coupled.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조립식 보트'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a 'prefabricated boat' is disclosed.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조립식 보트는 결합 가능한 다수 개의 분체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외부를 감싸며 고정하는 외장부 및 상기 외장부의 내부면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며 공기가 주입되면 부피 팽창을 하는 에어튜브를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boat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have a body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powders that can be engaged, an enclosure enclosing the exterior of the body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body portion is integrally coupled, And an air tube that bulges when air is injected.

상기 외장부는 상기 몸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분체들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마련된 자루 형상이고, 방수코팅 처리가 된 강화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 둘레의 소정의 위치에서 연장되어 대면하는 둘레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outer portion is made of a reinforcing fiber having a shape of a bag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receiving the powders constituting the body portion and subjected to a waterproof coating treatment and is made of reinforcing fibers which are jo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opening, And a connecting portion.

상기 몸체부는 상호 결합되는 상기 분체의 일측에는 상향 경사면과 하향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볼록단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다른 분체의 일측에는 상기 볼록단부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단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호 결합되는 상기 분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볼록단부면 또는 오목단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부; 및,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다른 분체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수용부를 포함한다.The body portion has a convex end face formed by an upward sloping face and a downward sloping face at one side of the powder to be mutually coupled, and a concave end f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vex end fac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ther powder to be coupled thereto.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one of a convex end face or a concave end 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wder to be mutually coupled; And a projection receiving part formed in the other powder to be coupled thereto and accommodating the coupling projection part.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3-0007396호(2013년 12월 27일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7396 (published on December 27, 2013)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63252호(2005년 6월 28일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63252 (published on June 28, 2005)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10414호(2011년 11월 4일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10414 (published on November 4, 2011)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09531호(2009년 9월 23일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9531 (published on September 23, 2009)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블록 연결방식의 다목적 레저 보트 선체 구조는 선수부, 선미부 및 탑승부가 분리 및 결합되어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이점은 있으나, 노를 이용하므로 사용자에게 과도한 신체적인 무리가 따르게 되고, 바람을 이용한 윈드서핑을 할 수 없으며,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보트로써 보트가 뒤집히는 전복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multi-purpose leisure boat hull structure of the block connection type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the forward portion, the stern portion and the boarding portion are separated and combined so that they can be conveniently stored and mov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indsurfing using wind can not be carried out and a boat having a long length and a narrow width is frequently rolled up and rolled down frequently, and the passenger can not secure the passenger safely.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조립식 보트는 조립과 해체 및 보관과 운반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바람을 이용한 윈드서핑을 할 수 없으며,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보트로써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뒤집히는 전복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탑승자가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boa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have advantages of easy assembling, disassembl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but can not wind-surf using winds, and have a long and narrow bo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ssenger can safely ride the vehicle safe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을 이용하여 윈드서핑을 즐길 수 있는 조립식 윈드서핑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windsurfing capable of enjoying windsurfing using wi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윈드서핑을 보다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선체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보조몸체와 부력체에 의해 선체의 안정성을 높인 조립식 윈드서핑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windsurfing which improves the stability of a ship by an auxiliary body and a buoyant bod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ip so as to enjoy windsurfing more saf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람을 이용하는 돛의 방향을 자유로이 조절함은 물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조립식 윈드서핑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windsurfing which can freely adjust the direction of a sail using winds,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은 바람으로 항해가 가능하도록 돛이 설치된 제1 선체; 상기 제1 선체에 결합되는 제2 선체; 상기 제2 선체에 결합되고, 상기 돛의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하는 조정간이 설치되는 제3 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hull having a sail for sailing by wind; A second hull coupled to the first hull; And a third hull connected to the second hull and provided with an adjusting interval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ail.

상기 제1 선체 내지 제3 선체는 선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선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체는 제1 선체 내지 제3 선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hull to the third hull include auxiliary hul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ull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s are installed on the first hull to the third hull.

상기 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는 상기 선체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ull is installed so that the hull stably maintains a horizontal level.

상기 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는 인접한 다른 선체 또는 보조선체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1 고정수단; 상기 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는 인접한 다른 선체 또는 보조선체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are provided with first fixing means installed to be integrated with another adjacent hull or auxiliary hull; And the second hull and the second hull are installed so that the adjacent hull or the auxiliary hull ar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선체와 보조선체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선체와 보조선체의 타면에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고정부와 끼움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선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다른 선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a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to fit the fixing portion, And a fixing pin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fixing means comprises: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A first body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hull; 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a hinge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a hook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and hooked to the fixture.

상기 보조선체 사이에는 수면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net installed between the auxiliary hulls to prevent inflow of water from the water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에 의하면, 다수로 분할된 선체를 쉽게 분리, 결합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크기가 큰 돛 역시 접어서 분리,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vided hulls can be easily separated, combined and moved, and the sails of large size can be folded, separated, combined and moved.

기존 윈드서핑이 수평을 잡기가 어려운 단점을 보완하여 보조선체에 의해 윈드서핑을 보다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고, 선체의 선수 및 선미에 설치된 부력체와 좌우 양측에 설치된 부력체에 의해 전복의 우려없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e windsurfing can be operated more safely by the auxiliary hull since the existing windsurfing is difficult to level up and it is possible to safely operate the buoyant body installed on the bow and stern of the hull and the buoyant body install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out fear of overturning.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perate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도시한 분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선수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선미측에서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선미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제1 고정수단을 도시한 확대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제2 고정수단을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제2 고정수단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top view showing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ixing means of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econd fixing means of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ixing means of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도시한 입체도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도시한 분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선수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선미측에서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을 선미측에서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제1 고정수단을 도시한 확대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제2 고정수단을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제2 고정수단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fixing means of a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fixing means of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은 바람으로 항해가 가능하도록 돛(12)이 설치된 제1 선체(10), 상기 제1 선체10)에 결합되는 제2 선체(20), 상기 제2 선체(20)에 결합되면서 상기 돛(12)의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하는 조정간(31)이 설치되는 제3 선체(30)을 포함하며, 여기에 보조선체(40)를 더 구비하여 항해에 따른 운항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윈드서핑의 선체는 2개 또는 4개의 분할된 선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다.The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ull 10 provided with a sail 12 to be able to navigate with the wind, a second hull 20 connected to the first hull 10, And a third hull (30) provided with an adjustment section (31)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ail (12) while being coupled to the hull (20). The auxiliary hull (40) An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peration. Such windsurfing hulls can also be made of two or four divided hulls.

이때, 제1 선체(10)는 선수에 해당되고, 제3 선체(30)는 선미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first hull 10 corresponds to a bow and the third hull 30 corresponds to a stern.

상기 제1 선체(10)의 일단은 선수에 해당되게끔 일단을 비교적 뾰족하게 형성하고, 제1 선체(10)의 타단은 제2 선체(20)와 결합되게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hull 10 is formed to be coupled with the second hull 20. The other end of the first hull 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hull 20,

상기 제1 선체(10)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돛대(11)가 고정되고, 상기 돛대(11)에는 바람의 힘을 얻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돛(12)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돛대(11)는 제1 선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A mast 1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ixed to the first hull 10 and a sail 1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installed on the mast 11 to obtain wind force.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hull 10 and is detachably coupled.

또한 제1 선체(10)에는 선체(10, 20, 30)에 부력을 가하는 제1 부력체(13)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부력체(13)는 제1 선체(10)에 결합되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연결부(14)와 상기 연결부(14)의 하부에 일정 직경을 갖는 구(球) 또는 막대 형상의 부구(15)로 이루어진다.The first hull 10 is also provided with a first buoyant body 13 for applying buoyancy to the hulls 10, 20 and 30. The first buoyant body 13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1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 be coupled to the first hull 10 and a spherical or rod shaped portion 15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

아울러 제1 부력체(13)의 연결부(14)에는 부력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높이조절구멍(16)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부력체(13)는 높이조절구멍(16)에 핀(미도시) 등을 끼워 간편하게 높이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height adjusting hole 16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 of the first buoyant body 13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uoyant body. The height of the first buoyant body 13 can be easily adjusted by inserting a pin (not shown) or the like into the height adjusting hole 16.

상기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와 제3 선체(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선체(20)는 선체(10, 30)를 충분한 길이로 연장시키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hull 2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ull 10 and the third hull 30 and the second hull 20 is installed to extend the hulls 10 and 30 to a sufficient length.

상기 제2 선체(20)는 제1 선체(10)와 제3 선체(30)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제2 선체(20)는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다.When the length of the first hull 10 and the third hull 30 is made longer, the second hull 20 may not be provided if necessary.

상기 제2 선체(20)의 일단에는 제3 선체(30)가 설치되며, 제3 선체(30)에는 돛(12)의 높낮이 및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간(31)을 분리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조종간(31)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의자(33)가 설치된다.A third hull 3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hull 20 and a control 31 for controlling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ail 12 can be removably installed at the third hull 30, A chair 33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 space 3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조종간(31)과 돛(12) 사이에는 와이어(미도시)로 연결되고, 상기 조종간(31)은 양측에 손잡이(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는 손잡이(32)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돛(12)의 높낮이 또는 돛(12)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돛(12)에 연결된다.A wire (not shown) is connected between the control space 31 and the sail 12, and a knob 32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space 31.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sail 12 so as to rotate the sail 12 or the height of the sail 12 by winding or loosening the wire as the handle 32 rotates.

상기 의자(33)의 저면에는 제1 부력체(13)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 간격으로 높이조절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의자(33)의 높이를 탑승자의 신장에 맞게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의자(33)는 자전거의 안장처럼 탈부착이 가능하다.The height of the chair 33 is height-adjustabl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ir 33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occupant by a connecting portion having height-adjusting holes formed at intervals of a predetermined height as in the first buoyant body 13. The chair 33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like a saddle of a bicycle.

상기 의자(33)는 탑승자가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조종간(31)을 조작할 때 편하게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chair 33 is provided so that the occupant can sit comfortably and take a break, as well as sit comfortably when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31.

또한 제3 선체(30)의 저면에는 선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키를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모터에 의해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장치 또는 엔진 등이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 direction key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hull can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ull 30, and a power unit or an engine for rotating the propeller by a motor, if necessary, can be provided.

제3 선체(30)의 후미에는 선체(10, 20, 30)의 부력을 높이는 제2 부력체(34)가 설치된다. 상기 제2 부력체(34)는 전술한 제1 부력체(13)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At the rear of the third hull 30, a second buoyant body 34 for increasing the buoyancy of the hulls 10, 20, 30 is provided. Since the second buoyant body 34 is the same as the first buoyant body 13 described abov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 선체(10) 내지 제3 선체(30)는 선체(10, 20, 30)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선체(4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체(40)는 제1 선체(10) 내지 제3 선체(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선체(10)와 제3 선체(30)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보조선체(40)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다.The first hull 10 to the third hull 30 include auxiliary hulls 40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hulls 10, 20 and 30. The auxiliary hulls 40, Is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hull (10) to the third hull (30). In the drawing, auxiliary hulls 40 a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ull 10 and the third hull 30, respectively.

상기 보조선체(40)는 제1 선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보조선체(41)와 제2 보조선체(42) 및 상기 제3 선체(3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3 보조선체(43)와 제4 보조선체(44)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hull 4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uxiliary hull 41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42 and the third hull 30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ull 10 A third auxiliary hull 43 and a fourth auxiliary hull 44. [

이러한 보조선체(40)에는 각각 부력체(45)가 설치된다. 상기 부력체(45)는 전술한 제1 부력체(13)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Each of the auxiliary hulls (40) is provided with a buoyant body (45). Since the buoyant body 45 is the same as the first buoyant body 13 described above,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보조선체(41)와 제3 보조선체(43) 사이에는 수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방울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46)이 설치된다.A mesh network 4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hull 41 and the third auxiliary hull 43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rotruding from the water surface.

또 제2 보조선체(42)와 제4 보조선체(44) 사이에는 수면으로부터 튀어오르는 물방울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46)이 설치된다. 즉, 그물망(46)은 제1 선체(10) 및 제2 선체(2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다.A mesh network 46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hull 42 and the fourth auxiliary hull 44 to prevent water droplets from protruding from the water surface. That is, the mesh 46 is install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hull 10 and the second hull 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체(10,20.30)와 보조선체(40)는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은, 상기 선체(10, 20, 30) 및 상기 보조선체(40)를 인접한 다른 선체(10, 20, 30) 또는 보조선체(40)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1 고정수단(50)과, 상기 선체(10, 20, 30) 및 상기 보조선체(40)를 인접한 다른 선체(10, 20, 30) 또는 보조선체(4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수단(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수단(50)(60)은 선체(10, 20, 30)의 연결부위, 선체(10, 20, 30)와 보조선체(40)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The hull 10,20.30 and the auxiliary hull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by means of a fixing means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hull 10,20, 20 and 30 and the auxiliary hull 4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hull 10 and the auxiliary hull 40 are integrally joined to the adjacent hull 10, And the second fixing means 6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adjacent hulls 10, 20 and 30 or the auxiliary hull 40 are rigidly connected to each other. 20, and 30 and the auxiliary hull 4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상기 제1 고정수단(50)은 상기 선체(10, 20, 30)와 보조선체(4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51), 상기 선체(10, 20, 30)와 보조선체(40)의 타면에 상기 고정부(51)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부(52), 상기 고정부(51)와 끼움부(52)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55)을 포함한다.The first fixing means 50 includes a fixing portion 51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hull 10, 20 and 30 and the auxiliary hull 40, And a fixing pin 55 fitted to the fixing part 51 and fitted to the fitting part 52. The fitting part 52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51 so that the fixing part 51 is fitted.

상기 제2 고정수단(60)은 상기 선체(10, 20, 30)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구(61), 상기 고정구(6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다른 선체(10, 20, 3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본체(62), 상기 제1 본체(62)에 설치된 힌지(6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64), 상기 제2 본체(6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61)에 걸리는 후크(67)를 포함한다.The second fixing means 60 includes a fixture 6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10, 20 and 30 and a second fixture 61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hull 10, 20, A second body 64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6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63 provided on the first body 62, And a hook 67 engaged with the fastener 61.

상기 고정구(61)는 제2 선체(20)의 선수 부위, 제3 선체(30)의 선수 부위에 설치되며, 고정구(61)는 보조선체(4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제1 선체(10)의 양 측면, 제3 선체(30)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데, 제1 선체(10)의 선미 부위, 제2 선체(20)의 선미 부위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선체(10) 내지 제3 선체(30) 중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The fixture 61 is installed at the forward portion of the second hull 20 and the forward portion of the third hull 30 and the fixture 61 is fixed to the first hull 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hull 3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tern of the first hull 10 and the stern of the second hull 20. The first hull 10, It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third hull 30.

상기 제2 고정수단(60)의 제1 본체(62)와 제2 본체(64)는 상기 고정구(61)가 설치된 인접한 다른 선체(10, 20, 30) 또는 보조선체(40)에 각각 설치된다.The first main body 62 and the second main body 64 of the second fixing means 6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adjacent other hulls 10, 20 and 30 or the auxiliary hull 40 provided with the fixing holes 61 .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윈드서핑은 일정 길이를 갖는 선체(사각 막대 또는 원형막대)를 다수로 분할한다. 선체는 기본적으로 2~4개로 분할하거나 필요에 따라 4개 이상으로도 분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9, the prefabricated windsurf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a plurality of hulls (rectangular bar or round ba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hull basically can be divided into 2 ~ 4 or more than 4 as required.

한편, 선체는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 카본, 카본 파이버, 카본 복합재 등과 같은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hull is made of a light material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Preferably, the hull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light weight and sufficient rigidity such as carbon fiber, carbon, carbon fiber, and carbon composite material.

상기 제1 선체(10)에는 돛(12)을 설치하기 위한 돛대(11)를 설치하며, 돛대(11)에는 바람을 받을 수 있도록 돛(12)을 설치한다. 상기 돛대(11)는 제1 선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돛대(11)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The first hull 10 is provided with a mast 11 for installing the sail 12 and the sail 11 is provided with a sail 12 for receiving wind. The mast (1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hull (10), and the mast (11)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wind.

상기 제1 선체(10)에는 부력을 갖도록 제1 부력체(13)를 설치한다. 상기 제1 부력체(13)는 제1 선체(10)의 선수 부위에 설치하며, 제1 부력체(13)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14)의 하단에 부구(15)를 형성한다.A first buoyant body (13) is installed on the first hull (10) so as to have buoyancy. The first buoyant body 13 is installed at a bow of the first hull 10 and the first buoyant body 13 forms a buoy 15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연결부(14)에는 부구(15)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구멍(16)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부력체(13)는 높이조절구멍(16)에 핀(미도시) 등을 끼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holes 16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14 at regular interval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olt 15. The height of the first buoyant body 13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a pin (not shown) or the like into the height adjusting hole 16.

상기 제2 선체(20)는 선체의 선수 부위에 해당되는 제1 선체(10)와 선체의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제3 선체(30) 사이에 설치하도록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hull 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hull 10 corresponding to the bow of the hull and the third hull 30 corresponding to the stern of the hull.

상기 제3 선체(30)에는 돛대(11) 및 돛(12)을 회전시키거나 돛(12)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정간(31)을 설치하며, 상기 조정간(32)에는 탑승자가 돛대(11) 및 돛(12)을 조절하는 손잡이(32)를 설치하고,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32)를 설치한다.The third hull 30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interval 31 for rotating the mast 11 and the sail 12 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ail 12. The adjustment interval 32 includes a mast 11, And a handle 32 for adjusting the sail 12, and a chair 32 is installed so that the occupant can sit thereon.

상기 보조선체(40)에는 선체가 부력을 갖도록 각각 부력체(45)를 설치하며, 상기 부력체(45)는 제1 부력체(13)와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uxiliary body 40 is provided with a buoyant body 45 so that the hull has buoyancy. The buoyant body 45 is the same as the first buoyant body 13,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1 보조선체(41)와 제3 보조선체(43) 사이에는 수면에서 비산되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그물망(46)을 설치하며, 제2 보조선체(42)와 제4 보조선체(44) 사이에도 수면에서 비산되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그물망(46)을 설치한다.A net 46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hull 41 and the third auxiliary hull 43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scattered from the water surface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42 and the fourth auxiliary hull 44, A mesh network 46 is provided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scattered from the water surface.

상기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는 제1 고정수단(50)과 제2 고정수단(6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하며, 제2 선체(20)와 제3 선체(30)도 제1 고정수단(50)과 제2 고정수단(6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한다.The first hull 10 and the second hull 20 are rigid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ixing means 50 and the second fixing means 60 and the second hull 20 and the third hull 30, Is firmly coupled by the first fixing means (50) and the second fixing means (60).

상기 제2 선체(20)의 일면에는 제1 선체(10)를 향해 돌출되는 고정부(51)를 형성하며, 제1 선체(10)에는 고정부(51)에 대응되는 제1 끼움부(52)를 형성한다.The first hull 10 has a first fitting portion 52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51 and a second fitting portion 52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51. The first fitting portion 5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hull 20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hull 10, ).

상기 제1 끼움부(52)의 상부에는 고정핀(55)이 요입되도록 제2 끼움부(53)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51) 및 제1 끼움부(52)에 고정핀(55)을 끼워 결합하도록 고정구멍(54)을 형성한다.A second fitting portion 53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tting portion 52 so that the fixing pin 55 is inserted thereinto and a fixing pin 55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51 and the first fitting portion 52, A fixing hole 54 is formed so as to engage with each other.

또한 제2 선체(20)의 상면에는 제2 고정수단(60)의 고정구(61)를 고정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선체(10)의 상면에는 제2 고정수단(60)의 제1 본체(62)와 제2 본체(64)를 설치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본체(62)와 제2 본체(64) 및 후크(67)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져 있다.The fixing member 61 of the second fixing means 6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ull 20. The first main body 62 and the second main body 64 of the second fixing means 6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ull 10. 9, the first main body 62, the second main body 64, and the hooks 67 are formed of a single assembly.

아울러 상기 제2 선체(20)의 저면에도 고정구(61)를 고정하며, 상기 제1 선체(10)의 저면에도 제2 고정수단(60)의 제1 본체(62)와 제2 본체(64)를 설치한다.The fixture 6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ull 20 and the first main body 62 and the second main body 64 of the second fixing means 60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ull 10, .

즉, 상기 제1 고정수단(50)은 선체(10, 20)의 마주보는 면에 설치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0)은 선체(10, 20)의 상면과 하면에 한 쌍으로 설치한다.That is, the first fixing means 50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hulls 10, 20, and the second fixing means 6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ulls 10, 20 in pairs .

한편 상기 제1 선체(10)와 제1 보조선체(41), 제1 선체(10)와 제2 보조선체(42)는 제1 고정수단(50)과 제2 고정수단(60)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3 선체(30)와 제3 보조선체(43), 제3 선체(30)와 제4 보조선체(44)를 제1 고정수단(50)과 제2 고정수단(60)으로 결합한다.The first hull 10 and the first auxiliary hull 41, the first hull 10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42 are coupled by a first fixing means 50 and a second fixing means 60, The third hull 30 and the third auxiliary hull 43, the third hull 30 and the fourth auxiliary hull 44 are coupled by the first fixing means 50 and the second fixing means 60 .

상기 제1 고정수단(50)은 제1 선체(10)에 형성된 고정부(51)를 제2 선체(20)의 제1 끼움부(52)에 끼워 결합하고, 이들 고정부(51)와 제1 끼움부(52)에는 고정구멍(54)에 고정핀(55)을 끼워 결합한다.The first fixing means 50 is formed by fitting the fixing portions 51 formed on the first hull 10 to the first fitting portions 52 of the second hull 20 and fixing the fixing portions 51 In the first fitting portion 52, a fixing pin 55 is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54.

아울러 제1 선체(10)에는 제1 보조선체(41)와 제2 보조선체(42)를 제1 고정수단(50)으로 결합하고, 제3 선체(30)에는 제3 보조선체(43)와 제4 보조선체(44)를 제1 고정수단(50)으로 결합한다.The first auxiliary hull 41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42 are connected to the first hull 10 by the first fixing means 50 and the third auxiliary hull 43 and the third auxiliary hull 42 are connected to the first hull 10, And the fourth auxiliary hull 44 is joined by the first fixing means 50. [

상기 제1 고정수단(5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 고정수단(60)을 결합한다.And the second fixing means 60 is engaged in a state where the engagement of the first fixing means 50 is completed.

상기 제2 고정수단(60)의 제2 본체(64)는 힌지(63)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제2 본체(64)의 후크(67)를 고정구(61)에 걸리게 한다. 즉, 후크(67)는 고정구(61)에 걸림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second main body 64 of the second fixing means 60 rotates about the hinge 63 and hooks the hook 67 of the second main body 64 to the fixing tool 61. That is, the hook 67 is held in the fastener 61.

상기 후크(67)가 고정구(61)에 걸린 상태에서 제2 본체(64)를 제1 선체(10) 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본체(64)는 힌지(6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본체(62)에 밀착된다.When the second body 64 is rotated toward the first hull 10 in a state where the hook 67 is caught by the fastener 61, the second body 64 is rotated about the hinge 63,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62.

이와 같이 제2 본체(64)에 결합된 후크(67)는 고정구(61)에 걸림 상태로 유지되어 제1 선체(10)와 제2 선체(20)를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The hook 67 coupled to the second body 64 is retained in the fastener 61 so that the first hull 10 and the second hull 20 are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아울러 제1 선체(10)와 제1 보조선체(41), 제1 선체(10)와 제2 보조선체(42)를 제2 고정수단(6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며, 제3 선체(30)와 제3 보조선체(43), 제3 선체(30)와 제4 보조선체(44)를 제2 고정수단(6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first hull 10 and the first auxiliary hull 41 are rigidly coupled to the first hull 10 and the second auxiliary hull 42 by the second fixing means 60 and the third hull 30 The third auxiliary hull body 43, the third hull 30 and the fourth auxiliary hull body 44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fixing means 60.

한편 상기 제1 고정수단(50) 및 제2 고정수단(60)은 나사산에 의해 체결하거나 버클 등과 같은 결합수단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fastening means 50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60 may be fastened by screws or may be formed by coupling means such as a buckle or the lik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선체 11: 돛대
12: 돛 13: 제1 부력체
14: 연결부 15: 부구
16: 높이조절구멍
20: 제2 선체 30: 제3 선체
31: 조종간 32: 손잡이
33: 의자 34: 제2 부력체
40: 보조선체 41: 제1 보조선체
42: 제2 보조선체 43: 제3 보조선체
44: 제4 보조선체 45: 부력체
46: 그물망
50: 제1 고정수단 51: 고정부
52: 제1 끼움부 53: 제2 끼움부
54: 고정구멍 55: 고정핀
60: 제2 고정수단 61: 고정구
62: 제1 본체 63: 힌지
64: 제2 본체 65: 제1 회전구멍
66: 제2 회전구멍 67: 후크
10: First hull 11: Mast
12: sail 13: first buoyant body
14: connection 15:
16: Height adjustment hole
20: second hull 30: third hull
31: Handle 32: Handle
33: Chair 34: 2nd buoyant body
40: auxiliary hull 41: first auxiliary hull
42: second auxiliary hull 43: third auxiliary hull
44: fourth auxiliary hull 45: buoyant body
46: Network
50: first fixing means 51:
52: first fitting portion 53: second fitting portion
54: fixing hole 55: fixing pin
60: second fixing means 61: fixture
62: first main body 63: hinge
64: second body 65: first rotating hole
66: second rotation hole 67: hook

Claims (6)

바람으로 항해가 가능하도록 돛이 설치된 제1 선체;
상기 제1 선체에 결합되는 제2 선체;
상기 제2 선체에 결합되고, 상기 돛의 높이 및 방향을 조절하는 조정간이 설치되는 제3 선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윈드서핑.
A first hull equipped with sails to allow navigation by wind;
A second hull coupled to the first hull;
And a third hull connected to the second hull and provided with an interval adjusting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s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 내지 제3 선체는 선체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좌우 양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선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선체는 제1 선체 내지 제3 선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윈드서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hull to the third hull include auxiliary hul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ull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is installed on the first hull to the third hu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는 상기 선체가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윈드서핑.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comprise a buoyant body installed to stably maintain the horizontal of the hu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는 인접한 다른 선체 또는 보조선체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1 고정수단;
상기 선체 및 상기 보조선체는 인접한 다른 선체 또는 보조선체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윈드서핑.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are provided with first fixing means installed to be integrated with another adjacent hull or auxiliary hull;
Wherein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comprise second fixing means installed to be rigid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hull or the auxiliary hul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선체와 보조선체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 상기 선체와 보조선체의 타면에 상기 고정부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고정부와 끼움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선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다른 선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에 설치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본체; 상기 제2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윈드서핑.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a fitting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ull and the auxiliary hull to fit the fixing portion, And a fixing pin which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the fitting portion,
The second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ull; A first body separated from the fixture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hull; A second body rotatably coupled to a hinge provided on the first body; And a hook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and hooked to the fix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체 사이에는 수면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윈드서핑.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mesh installed between the auxiliary hulls to prevent inflow of water from the water surface.
KR1020160165427A 2016-12-06 2016-12-06 Prefabricated Windsurfing KR2018006494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27A KR20180064943A (en) 2016-12-06 2016-12-06 Prefabricated Windsurfing
PCT/KR2017/011101 WO2018105869A1 (en) 2016-12-06 2017-10-02 Prefabricated windsurf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27A KR20180064943A (en) 2016-12-06 2016-12-06 Prefabricated Windsurf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43A true KR20180064943A (en) 2018-06-15

Family

ID=6249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427A KR20180064943A (en) 2016-12-06 2016-12-06 Prefabricated Windsurf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64943A (en)
WO (1) WO201810586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193A (en) * 2021-05-21 2022-11-30 (유)이원마린 Floating Type Breakwater Safet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252A (en) 2003-12-22 2005-06-28 박선재 Built-up type boat
KR20090009531U (en) 2008-03-18 2009-09-23 박주강 Surfboard
KR20100007650U (en) * 2009-01-20 2010-07-29 박여웅 Foldup Boat
KR20100118250A (en) * 2009-04-28 2010-11-05 한국과학기술원 Rescue boat focused on rescue process
KR20110010414U (en) 2010-04-29 2011-11-04 (주)미래세움 Wind surfing experience apparatus
KR20130007396U (en) 2012-06-18 2013-12-27 허홍 Leisure boat structure for multi-purpose of block type connecti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7508A1 (en) * 2004-10-01 2005-12-29 Sekher Warrier Mini portable personal sailing device
KR20150019385A (en) * 2013-08-13 2015-02-25 주식회사 마이보트 Prefabricated small leisure bo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78489Y1 (en) * 2014-01-07 2015-10-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Leasure boat using solar energy and wind energy having the same
KR101688998B1 (en) * 2014-10-31 2016-12-22 (주)한스이엔지 block and assembly type Multipurpose leisure boat
KR101740365B1 (en) * 2014-12-09 2017-05-29 백윤강 Variable type trimaran boat using natural energy
KR101669852B1 (en) * 2014-12-24 2016-10-27 주식회사 라스테크 Apparatus for crushing and discharging jellyfis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252A (en) 2003-12-22 2005-06-28 박선재 Built-up type boat
KR20090009531U (en) 2008-03-18 2009-09-23 박주강 Surfboard
KR20100007650U (en) * 2009-01-20 2010-07-29 박여웅 Foldup Boat
KR20100118250A (en) * 2009-04-28 2010-11-05 한국과학기술원 Rescue boat focused on rescue process
KR20110010414U (en) 2010-04-29 2011-11-04 (주)미래세움 Wind surfing experience apparatus
KR20130007396U (en) 2012-06-18 2013-12-27 허홍 Leisure boat structure for multi-purpose of block type connec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193A (en) * 2021-05-21 2022-11-30 (유)이원마린 Floating Type Breakwater Safet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869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692A (en) Dual hull kayak
EP0713463B1 (en) Multi-use watercraft
US20050217555A1 (en) Marine propulsion attachment wirh removable frame structure for non-self-propelled marine vehicles
FR2742410A1 (en) MONOCOQUE NAUTICAL MACHINE
KR20150002472U (en) A kayak for leisure
US20140020612A1 (en) Personal watercraft
US3212109A (en) Water craft
US9517824B1 (en) Watercraft
US8336475B2 (en) Transformable, multifunctional and self-stowage watercraft
US7234404B2 (en) Water craft with a sail
US6135047A (en) Kit for non-permanently converting a stand up PWC into a sit down
US5904111A (en) Trimarans with removable beams configurations and steering wheel assemblies
US3371636A (en) Waterborne vessels
KR20180064943A (en) Prefabricated Windsurfing
CN200974607Y (en) Hand-operated leisure boat
US10065721B1 (en) Personal watercraft footrests
US6886488B2 (en) Wakeboard pulling apparatus
US4829925A (en) Multiple mode sail driven vehicle
US20120304910A1 (en) Water vehicle having a profiled element arranged on the bow side
US5505153A (en) Vehicle-transportable twin-hulled boats
US5617805A (en) Trimaran
JPH0872784A (en) Collapsible multipurpose boat
FR3069227B1 (en) NAUTICAL RECREATIONAL AND COMPETITIVE VEHICLE WITH INCLINABLE SHELLS AND MATURE
US20150033997A1 (en) Multipurpose Stabilized Water Board for Recreational Use
JP2009292236A (en) Towed-autogyro-type pla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