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749A -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749A
KR20180064749A KR1020160164996A KR20160164996A KR20180064749A KR 20180064749 A KR20180064749 A KR 20180064749A KR 1020160164996 A KR1020160164996 A KR 1020160164996A KR 20160164996 A KR20160164996 A KR 20160164996A KR 20180064749 A KR20180064749 A KR 20180064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social network
network servic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뮤지코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뮤지코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뮤지코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749A/en
Publication of KR2018006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7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3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of musical genre, i.e. analysing the style of musical pieces, usually for selection, filtering or classific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6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itch analysis as part of wider processing for musical purposes, e.g. transcription, musical performance evaluation; Pitch recognition, e.g. in polyphonic sounds; Estimation or use of missing fundament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which provide an investo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analysis and estimation for earnings from sound sources if the investor desires to invest in the sound sources so as to allow investors to rationally invest in the sound sources in accordance with tendencies of the investors. More specifically, the system includes: a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collect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genres and artists of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nd time series sound source chart rank information and time series copyright earn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s; a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to store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a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to predict future copyright earnings for a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The system can evaluate sound sources from the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Description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

본 발명은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상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수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매체 별 수입 정보를 수집하여 특정 음원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수입을 예측 및 분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문서에서 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입은 저작권료와 인접권료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revenue forecasting / analyzing system and method, which collects information on a genre of a sound source, an artist, a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 artist's past clock thermal fan club number information,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income expected to occur in a particular sound source. In this document, income from sound sources includes royalties and fares.

본 문서에서 음원이란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 등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음악들을 말한다. 대개의 경우 특정 음원의 창작을 위해서는 제작자의 자본, 작사가, 작곡가, 편곡자의 창작, 그리고 실연자들의 연주와 노래 등이 필요한 요소들로 각각의 참여자들이 저작권 혹은 인접권의 형태로 해당 음원에서 발생하는 수입에 일부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In this document, a sound recording refers to music created by a composer such as a composer, an arranger, and so on. Generally, in order to create a specific sound source, it is necessary to have the creator's capital, lyricist, composer, arranger's creative, performer's performance and song, You have a right to some on.

음원 소비자들은 단순히 듣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들이 선호하는 음원에 투자하여 수입을 공유하고 권리의 일부를 소유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음원 시장은 활성화 되지 않아, 투자자들은 취향과 수익률이 동시에 충족되는 음원투자에 접근성이 거의 없으며, 접근하는 경우에도 적정한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정보의 부재로 투자결정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Consumer consumers want to not only listen but also share their income by investing in their favorite music sources and own some of their rights. However, since the sound source market has not been activated yet, investors have difficulty i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that can be priced at reasonable prices even when they approach the sound source investment that satisfies both tastes and returns at the same time .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6415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음원주식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원을 다운받고 음원을 주식으로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사용자가 음원에 투자하기 원하는 경우 음원을 다운받고 음원을 주식으로 거래할 수 있는 구성만 포함하고 있고, 어떤 음원이 전망이 좋은지 또는 어떤 음원이 안정적인 수입을 올려줄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은 오로지 사용자 또는 투자자가 해야하며 여전히 투자자들이 음원에 투자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투자자가 음원에 투자하기 원하는 경우 투자자에게 음원의 수익에 대한 분석 및 추정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각각의 투자성향에 맞춰 합리적으로 음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46415 discloses a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a sound sour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ding sound source to a stoc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If a user wants to invest in a sound recording, it only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downloading a sound recording and trading the sound recording as a stock, and the judgment as to whether a sound recording source is a good prospect or a certain sound recording source Or investors, and still can not help investors make investment decisions in the sound recording. Therefore, if the investor wants to invest in the sound sour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investor wit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revenue of the sound source so that investors can reasonably invest in the sound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ir respective investment tendencies.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4641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46415

본 발명은 투자자가 음원에 투자하기 원하는 경우 투자자에게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음원의 수익에 대한 분석 및 추정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각각의 투자성향에 맞춰 합리적으로 음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allowing an investor to invest in a sound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ir investment propensity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nalysis and estimation of revenue of a sound source produced through a system to an investor when the investor desires to invest in a sound source And a method.

본 발명은 차트정보 및 장르정보 및 과거수입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 하고, 그루핑한 카테고리의 음원들과 평가대상 음원을 비교하여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음원수입에 대한 평가 및 예측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chart information, genre information, and past import information, and sound sources of the grouped categories are compared with sound sources to be evaluated, And to evaluate and predict imports.

본 발명은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음원을 평가함으로써, 시장 정보 자료를 반영하여 좀더 다양한 자료를 구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a song name or an artist of a sound source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evaluates the sound source by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d provides a more diverse data reflecting the market information data The purpose.

본 발명은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함으로써, 향후 음원이 긍정적인 이미지를 이어나갈 것인지 부정적인 이미지로 이어나갈 것인지의 여부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termine whether a sound source will continue to be a positive image or a negative image in the future by classifying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keywords associated with keywords related to music titles or artists of sound sources .

본 발명은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수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음원과 팬클럽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여 향후 음원의 수요자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a sound source and a fan club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ast fanatic fan club members of an artist so that the user of the sound source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in the futur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에 관하여 상기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상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매체 별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수집하는 음원 정보 수집부; 상기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음원 정보 저장부;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선정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음원 평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edicting and analyzing a sound source revenue includes a genre of an original sound source, an artist, a past time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import information; A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a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for estimating a value of a sound source by predicting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또한, 상기 음원 평가부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차트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고, 상기 평가대상 음원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상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may group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chart information and the gen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determine the time-series copyright revenue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of the category And estimating a futur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또한,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회망서비스로부터 상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상기 음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음원 평가부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음원을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usic titl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analyz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stores the resul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sis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unit, and 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analyz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unit And evaluating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rvice analysis.

또한,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에서 상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and analyze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keywords associated with keywords related to the music titl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또한, 상기 음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는 상기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원 평가부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past time thermal fan club members of the artist,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unit stores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and 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stores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And evaluating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본 발명은 투자자가 음원에 투자하기 원하는 경우 투자자에게 음원의 수익에 대한 분석 및 추정에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들이 각각의 투자성향에 맞춰 합리적으로 음원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트정보 및 장르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 하고, 그루핑한 카테고리의 음원들과 평가대상 음원을 비교하여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함으로써 음원에 대한 평가 및 예측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investor with information on analysis and estimation of the profit of the sound source when the investor wants to invest in the sound source so that the investors can invest in the sound source reasonably according to the investment tendency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on the basis of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and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a sound source are performed by comparing sound sources of the grouped categories with sound sources to be evaluated, can do.

본 발명은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음원을 평가함으로써, 시장 정보 자료를 반영하여 다양한 시장정보가 접목된 평가 및 예측을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a song name or an artist of a sound source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alyz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evaluates the sound source, And predictions.

본 발명은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함으로써, 향후 음원이 긍정적인 이미지를 이어나갈 것인지 부정적인 이미지로 이어나갈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the keywords of the music titl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so as to judge whether the sound source will continue with a positive image or a negative image in the future.

본 발명은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수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음원과 팬클럽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여 향후 음원의 수요자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예측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und source and the fan club can be measured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past time thermal fan club of the artist, so that the user of the sound source can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in the futur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는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대상 음원과 다른 음원들을 기초로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는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망서비스 정보에 대해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음원 수익 예측/분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ource revenue forecasting / analy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group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predicting copyright income on the basis of sound sources different from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re classified into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sound source revenue forecast / analysis metho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erical values are merely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sound source revenue prediction /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ver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memory (memory) and being connectable to other terminal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memory.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revenue prediction /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hysically composed of one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 plurality of devices. Or mor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ource revenue forecasting / analyz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다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은 음원 정보 수집부(110), 음원 정보 저장부(120), 음원 평가부(130),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140)를 포함한다.The sound source revenue prediction /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0, a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130,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unit 140.

음원 정보 수집부는 복수의 음원에 관하여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수집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a genre of a sound source, an artist, a past time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and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본 문서에서 음원이란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 등 창작자에 의해 창작된 음악들을 말하며, 현재 우리가 흔히 듣는 가요, 팝, 클래식, 연주곡 등 작사가, 작곡가, 편곡자의 창작, 그리고 실연자의 연주와 노래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음원의 장르는 여러 형식의 음악을 설명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 음원의 장르를 예로 들면, 록, 클래식,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R&B), 발라드, 댄스, 트로트, 힙합, 컨트리 음악, 팝, 전자 음악 등이 있다. 음원의 아티스트는 음원의 작곡가, 작사가, 편곡자, 연주자, 가수 등 음원의 제작에 참여한 사람 혹은 인공지능일 수 있다.In this document, a sound recording is a piece of music created by a composer such as a composer, an arranger, etc., and the lyrics, such as pop, classical, and musical compositions that we often hear, are composed by composers and arrangers, Lt; / RTI > The genre of a sound source is one of the ways of describing various types of music. For example, the genre of a sound source is rock, classical, jazz, blues, rhythm and blues, ballad, dance, trot, hip hop, country music, Music and so on. An artist of a sound source may be a person who participates in the production of a sound source such as a composer, a lyricist, an arranger, a player, a singer,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차트 순위 정보는 멜론(melon), 벅스(Bugs) 및 지니(Genie)와 같은 음원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음원이 인기 있는 순서로 순위를 매기는 정보이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는 음원 차트 순위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한 정보 일 수 있다. 저작권 수입 정보는 음원이 저작권으로 올린 수입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한 정보 일 수 있다.The chart rank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ranks the sound sources in the order of popularity in real time in the sound source sites such as melon, Bugs, and Genie, and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s is the sound source chart It may be information that regularly collects ranking information. Copyright revenu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regularly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income earned by the source.

음원 정보 수집부는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 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itle or artist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사회망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Social Network Site)일 수 있으며,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이며,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및 인스타그램(Instagram)일 수 있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can be a social network service or a social network site, and is an online service that establishes a network of people who share a particular interest or activity. (Twitter) and Instagram (Instagram).

사회망서비스에는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의견과 정보가 있을 수 있으며, 사회망서비스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의견과 정보는 긍정적일 수 있 도 있으며, 부정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정보와 연관되는 긍정적인 키워드와 부정적인 정보와 연관되는 부정적인 키워드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수집한다.Social network services may have comments and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itle or artist, and opin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itle or art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may be positive or negative. Collect all information, including positive keywords associated with this positive information and negative keywords associated with negative information.

음원 정보 수집부는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수집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ast fan club members in the past.

팬클럽 회원 수는 공식 팬클럽 수, 포털 사이트의 팬클럽 카페 또는 공식 팬클럽 사이트의 회원 수 일 수 있으며, 공식 팬클럽 수 포털 사이트 팬클럽 카페 또는 공식 팬클럽 사이트로부터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기적으로 수집한 팬클럽 회원 수 정보 일 수 있다.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can be the number of official fan clubs, the number of the members of the fan club cafe of the portal site or the official fan club site, the number of the fan club members information collected regularly from past to present from the official fan club portal site fan club cafe or official fan club site have.

음원 정보 저장부는 음원 정보를 저장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sound source information.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는 차트정보라 할 수 있으며, 음원의 장르는 장르 정보라 할 수 있다.The past time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genre of the sound source, the artist, the sound source, and the past time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section, the past time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can be referred to as chart information, Genre is genre information.

음원 정보 저장부는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에서 분석한 음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회망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alyzed by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unit.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음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회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사회망 서비스 분석부는 사회망서비스 정보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하여 분석할 수 있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Department analyzes the social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zing unit can classify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keywords related to the music title or art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또한 사회망서비스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노출 빈도가 다수인지의 여부와 어떤 주기로 노출 빈도가 다수인지의 여부도 포함하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음원의 곡명에 관한 노출 빈도가 높으면 음원 자체의 저작권 수입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으며, 아티스트에 관한 노출 빈도가 높으면 현재 나와있는 음원 뿐만 아니라 해당 아티스트가 향후에도 출시하는 음원에 대한 수익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아티스트에 대한 노출 빈도가 높고 긍정적인 키워드가 다수이면 음원에 대한 지속적인 저작권 수입 뿐만 아니라 향후 음원의 저작권을 팔 경우 수익률이 높을 수 있다고 예측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the information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cluding whethe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frequency of exposure to music titles or artists and whethe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frequency of exposure.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music title is high,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itself is high.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rtist is high, it can be predicted that not only the sound source presently present but also the profit rate of the sound source released by the artist in the future is high. Therefore,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rtist is high and there are a lot of positive keywords, it can be predicted that not only the continuous copyright income to the sound source but also the profit rate when the copyright of the sound source in the future is sold.

음원 정보 저장부는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한다.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음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팬클럽 수, 포털 사이트의 팬클럽 카페 또는 공식 팬클럽 사이트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한다.The number of fan clubs collect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e number of the fan club cafes of the portal site, or the number of the official fan club site members.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 중 선정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한다.The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evaluates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by predicting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평가대상 음원은 향후 저작권 및 인접권 수입을 포함한 수입을 예측할 음원이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중 하나일 수 있다. 평가대상 음원은 향후 전망과 투자 적정성에 대해 투자자 또는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음원이며 음원 평가부에서의 평가를 통해 향후 음원 수입을 예상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is a sound source for predicting the future income including the copyright and the neighboring rights, and may be one of the sound sources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that investors or users are interested in for future prospects and investment appropriateness, and can estimate the future sound source revenue through evaluation in the sound source evaluation department.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차트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고, 평가대상 음원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한다.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groups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chart information and the gen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calculates the time-series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Predict copyright income in the future.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장르와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를 기초로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can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genre of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예를 들면, 차트 정보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의 동향이 유사한 음원을 여러 카테고리로 그루핑을 할 수 있으며, 음원의 장르 정보인(예를 들면, 록, 클래식,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R&B), 발라드, 댄스, 트로트, 힙합, 컨트리 음악, 팝, 전자 음악 등)이 같고 차트 정보가 유사한 동향을 보이고 있는 음원을 여러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와 음원의 장르 정보를 함께 비교 분석하여 같은 장르이고 음원 차트 정보 동향이 유사하면 같은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roup sound sources having similar trends of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sound sources, which are chart information, into various categories, and to classify sound source genre information (for example, rock, classical, jazz, blues, rhythm You can group music sources that have the same trends of chart information, such as R & B, ballad, dance, trot, hip hop, country music, pop, electronic music etc. In addition, if the same genre and sound source chart information trends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group them into the same catego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the genr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평가대상 음원은 차트정보와 장르정보로 카테고리로 그루핑하여 어느 한 카테고리에 속해있으며, 속해있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한다.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to which the copyright revenues are to be predicted is classified into a category by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and is classified into one category and predicts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timely thermal import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in the category .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음원을 평가한다.The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evaluates the sound sour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작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can be evaluated by predicting futur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or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가치를 평가한다.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evaluates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수가 증가하는 패턴 또는 시기와 같은 동향을 분석할 수 있으며, 팬클럽 회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평가대상 음원의 아티스트의 향후 음원에 대한 저작권 수입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아티스트의 팬클럽 회원 수와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비교하여 음원의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수 있다. 즉 다른 아티스트의 팬클럽 회원 수 동향과 평가대상 음원 아티스트의 팬클럽 수의 동향이 유사할 경우 유사한 동향의 다른 아티스트 음원의 시계열적인 저작권 수입 정보를 분석하여 평가대상 음원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nalyze trends such as patterns or periods in which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section increases, and if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continuously increases, it is predictable tha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artist have. In addition,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of other artists can be compared with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nformation to predic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In other words, if the trends of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of other artists are similar to the number of fan clubs of the rated music artists, the value of the rated music sources can be evaluated by analyzing time-series copyright income information of other artist's music of similar trends.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는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groupi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차트 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한다.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group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장르와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를 기초로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can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genre of the sound sour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차트 정보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의 동향이 유사한 음원을 여러 카테고리로 그루핑을 할 수 있으며, 음원의 장르 정보인(예를 들면, 록, 클래식,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R&B), 발라드, 댄스, 트로트, 힙합, 컨트리 음악, 팝, 전자 음악 등)이 같고 차트 정보가 유사한 동향을 보이고 있는 음원을 여러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와 음원의 장르 정보를 함께 비교 분석하여 같은 장르이고 음원 차트 정보 동향이 유사하면 같은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group music sources having similar trends of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which is chart information, into various categories, and to classify the sound source genre information (such as rock, classical, jazz, blues, rhythm and blues ), Ballads, dances, trot, hip-hop, country music, pop, electronic music, etc.) and chart information shows similar trends. In addition, if the same genre and sound source chart information trends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group them into the same catego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the genr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예를 들면, 장르가 발라드이고 차트 정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동향인 음원들은 A 수익형으로 그루핑 할 수 있으며, 장르가 힙합이고 차트 정보가 초반에는 일정수준의 높은 순위를 유지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동향이면 D 수익형으로 그루핑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enre is a ballad, and the trends in which the chart information continuously grows can be grouped into the A profit type, and the genre is hip and the chart information has kept a certain high rank at the beginning, If it is trend, it can be grouped into D profit type.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가 대상 음원과 다른 음원들을 기초로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는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predicting copyright income on the basis of sound sources different from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차트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고, 평가대상 음원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한다.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groups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chart information and the gen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calculates the time-series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Predict copyright income in the future.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평가대상 음원은 차트정보와 장르정보로 카테고리로 그루핑하여 어느 한 카테고리에 속해있으며, 속해있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수 있다.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to which the copyright revenues are predicted belongs to one category by grouping them into the chart information and the genre information. The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 time-sensitive copyright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in the category have.

예를 들면, 음원 A는 다수의 음원 중 하나이며, 음원 A의 카테고리는 A 수익형, 음원 출시 경과연수는 4년, 장르는 발라드이다. 음원 A와 같은 카테고리에 속한 음원은 음원 C, 음원 E, 음원 F이며, 음원 A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기 위하여 음원 C, 음원 E, 음원 F와 비교 분석한다. 음원 A의 음원 출시 경과연수는 4년이므로 기초 자료가 되는 음원 C, 음원 E, 음원 F 음원들의 5년차 이후의 저작권 수입(302)을 기초로 음원 A의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수 있다. 음원 A, 음원 C, 음원 F는 음원 장르가 발라드이나 음원 E는 음원 장르가 힙합으로 음원 A와 비교할 경우 같은 장르보다 기초 자료의 비중이 낮을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ound source A is one of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the category of sound source A is A profit type, the number of years of sound source release is four years, and the genre is ballad. The sound sources C, E and F are compared with the sound source C, sound source E, and sound source F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copyright revenue of the sound source A. Since the duration of the sound source A is four years, the copyright revenue of the sound source A can be predicted based on the copyright income 302 of the sound source C, the sound source E, and the sound source F after the fifth year as the basic data. Sound source A, sound source C, sound source F is the sound source genre is ballad, sound source E is the sound source genre is hip hop, and the sound source A may have a lower proportion of the basic data than the same genre.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회망서비스 정보에 대해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re classified into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사회망서비스 분석부는 사회망서비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음원 정보 수집부는 사회망서비스로부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음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음원 평가부는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음원을 평가한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zing unit analy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collect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song name or artist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analyz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evaluates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sis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사회망서비스 정보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하여 분석을 한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classifies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the keywords related to the music title or art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사회망서비스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노출 빈도가 다수인지의 여부와 어떤 주기로 노출 빈도가 다수인지의 여부도 포함하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음원의 곡명에 관한 노출 빈도가 높으면 음원 자체의 저작권 수입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으며, 아티스트에 관한 노출 빈도가 높으면 현재 나와있는 음원 뿐만 아니라 해당 아티스트가 향후에도 출시하는 음원에 대한 수익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아티스트에 대한 노출 빈도가 높고 긍정적인 키워드가 다수이면 음원에 대한 지속적인 저작권 수입뿐만 아니라 향후 음원의 저작권을 팔 경우 수익률이 높을 수 있다고 예측 할 수 있다.In social network services, information can be analyzed including whethe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frequency of exposure to a song name or artist of a sound source, and whethe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frequency of exposure in a certain period.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music title is high,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itself is high.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rtist is high, it can be predicted that not only the sound source presently present but also the profit rate of the sound source released by the artist in the future is high. Therefore,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rtist is high and there are a lot of positive keywords, it can be predicted that not only the continuous copyright income to the sound source but also the profit rate when the copyright of the sound source in the future is sold.

사회망서비스에서 긍정적인 키워드는 세련, 새롭다, 특별하다, 즐겁다, 최고, 좋다, 얘쁘다, 기대이상, 즐기다 등일 수 있으며, 부정적인 키워드는 아쉽다, 못생겼다, 진부하다, 정신없다, 별로, 기대이하, 부족하다, 어렵다 등일 수 있다.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긍정적인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평가대상 음원의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대한 부정적인 노출 빈도가 높을수록 평가대상 음원 가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e positive keywords in social networking services are sophisticated, new, special, joyful, best, good, boyfriend, over expectation, enjoy, etc. Negative keywords are ugly, ugly, cliched, , Insufficient, difficult, and so on. The higher the frequency of positive exposure to a song name or artist in a sound source, the greater the positive impact on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negative exposure to a song name or artist in a sound source, Lt; / RTI >

예를 들면, 2008년에는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와 관련된 부정적인 키워드가 긍정적인 키워드보다 월등하게 많았으며, 2013년까지 부정적인 키워드는 일정수준을 유지하면서 긍정적인 키워드보다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2013년 이후 부정적인 키워드의 빈도수는 줄어들고 2008년 이후 꾸준히 긍정적인 키워드의 빈도수는 늘어나면서 2014년 부정적인 키워드보다 긍정적인 키워드가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향후 평가대상 음원의 가치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처럼 이러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사회망서비스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으며, 긍정적인 키워드와 부정적인 키워드를 통해 평가대상 음원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2008, negative keywords associated with music titles or arti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ositive keywords, and until 2013, negative keywords occupied more frequent than positive keywords, maintaining a certain level. However, since 2013, the frequency of negative keywords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positive keyword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8, resulting in more frequent positive keywords than negative keywords in 2014. Therefore,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in the future can be expected to increase. In this way, based 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keywords of social network service can be extracted, and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can be extracted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the value of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can be evaluated through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have.

도5는 음원 수익 예측/분석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sound source revenue forecast / analysis method.

단계S501는 복수의 음원에 관하여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수집한다.The step S501 collects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a genre of a sound source, an artist, a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and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음원은 어떤 음반을 예로 들었을 때 그 앨범에 실려있는 음악들을 말하며, 즉 음반을 제품화시키는 마스터 테이프일 수 있으며, 현재 우리가 흔히 듣는 가요, 팝, 클래식, 연주곡 등 작사가, 작곡가, 편곡자의 창작, 그리고 연주자들의 연주와 가수의 노래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음원의 장르는 여러 형식의 음악을 설명하는 방식 중의 하나로 음원의 장르를 예로 들면, 록, 클래식,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R&B), 발라드, 댄스, 트로트, 힙합, 컨트리 음악, 팝, 전자 음악 등이 있다. 음원의 아티스트는 음원의 작곡가, 작사가, 가수 등 음원의 제작에 참여한 사람일 수 있다.A sound recording can be a master tape, which is a product of making a record of the album, which is recorded on the album when a certain record is taken as an example. The lyrics of songs, pop, classical music, And it can be composed of performers 'performances and singers' songs. The genre of a sound source is one of the ways of describing various types of music. For example, the genre of a sound source is rock, classical, jazz, blues, rhythm and blues, ballad, dance, trot, hip hop, country music, Music and so on. An artist of a sound source may be a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a sound source such as a composer of a sound source, a lyricist, a singer.

차트 순위 정보는 멜론, 벅스 및 지니와 같은 음원 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음원이 인기 있는 순서로 순위를 매기는 정보이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는 음원 차트 순위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한 정보 일 수 있다. 저작권 수입 정보는 음원이 저작권으로 올린 수입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집한 정보 일 수 있다.The chart rank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ranks the sound sources in the order of popularity in real time in the sound source sites such as melon, bucks, and genie, and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s is the information collected periodically . Copyright revenu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that regularly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income earned by the source.

단계S501는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 한다.In step S501, the name of the music source or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is collected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사회망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Social Network Site)일 수 있으며,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이며,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및 인스타그램(Instagram)일 수 있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can be a social network service or a social network site, and is an online service that establishes a network of people who share a particular interest or activity. (Twitter) and Instagram (Instagram).

사회망서비스에는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의견과 정보가 있을 수 있으며, 사회망서비스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의견과 정보는 긍정적일 수 있 도 있으며, 부정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정보와 연관되는 긍정적인 키워드와 부정적인 정보와 연관되는 부정적인 키워드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수집한다.Social network services may have comments and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itle or artist, and opinions and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itle or art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may be positive or negative. Collect all information, including positive keywords associated with this positive information and negative keywords associated with negative information.

단계S501는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수집한다.Step S501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ast fanatic fan club members in the past.

팬클럽 회원 수는 공식 팬클럽 수, 포털 사이트의 팬클럽 카페 또는 공식 팬클럽 사이트의 회원 수 일 수 있으며, 공식 팬클럽 수 포털 사이트 팬클럽 카페 또는 공식 팬클럽 사이트로부터 과거부터 현재까지 정기적으로 수집한 팬클럽 회원 수 정보 일 수 있다.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can be the number of official fan clubs, the number of the members of the fan club cafe of the portal site or the official fan club site, the number of the fan club members information collected regularly from past to present from the official fan club portal site fan club cafe or official fan club site have.

단계S502는 음원 정보를 저장한다.Step S502 stor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단계S502에 저장하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는 차트정보라 할 수 있으며, 음원의 장르는 장르 정보라 할 수 있다.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genre of the sound source, the artist, the sound source, and the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are stored in step S502, and the historical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may be referred to as chart information, It is genre information.

단계S502는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 단계에서 분석한 단계S501에서 수집한 사회망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Step S502 stor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501 analyzed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step.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 단계는 단계S501에서 수집한 사회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또한 사회망 서비스 분석부는 사회망서비스 정보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하여 분석할 수 있다.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step analyzes the social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in step S501. In addition,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zing unit can classify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keywords related to the music title or artist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또한 사회망서비스에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노출 빈도가 다수인지의 여부와 어떤 주기로 노출 빈도가 다수인지의 여부도 포함하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음원의 곡명에 관한 노출 빈도가 높으면 음원 자체의 저작권 수입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으며, 아티스트에 관한 노출 빈도가 높으면 현재 나와있는 음원 뿐만 아니라 해당 아티스트가 향후에도 출시하는 음원에 대한 수익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아티스트에 대한 노출 빈도가 높고 긍정적인 키워드가 다수이면 음원에 대한 지속적인 저작권 수입뿐만 아니라 향후 음원의 저작권을 팔 경우 수익률이 높을 수 있다고 예측 할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the information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cluding whethe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frequency of exposure to music titles or artists and whether there are a large number of frequency of exposure.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music title is high,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itself is high.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rtist is high, it can be predicted that not only the sound source presently present but also the profit rate of the sound source released by the artist in the future is high. Therefore, if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the artist is high and there are a lot of positive keywords, it can be predicted that not only the continuous copyright income to the sound source but also the profit rate when the copyright of the sound source in the future is sold.

단계S502는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한다.Step S502 stores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단계S501에서 수집한 팬클럽 수, 포털 사이트의 팬클럽 카페 또는 공식 팬클럽 사이트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한다.The number of fan clubs collected in step S501, the fan club cafe of the portal site, or the number of members of the official fan club site.

단계S503는 단계S502에 저장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 중 선정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한다.In step S503,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is estimated by predicting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in step S502.

평가대상 음원은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음원이며, 단계S502에 저장된 음원 중 하나일 수 있다. 평가대상 음원은 향후 전망이 좋은지 또는 안정적인 수입을 올려 줄 수 있을지 투자자 또는 사용자가 관심이 있는 음원이며 단계S503에서의 평가를 통해 향후 전망이 좋은 음원인지 안정적인 수입을 올려줄 수 있는 음원인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may be one of the sound sources stored in step S502, which is a sound source for predicting future copyright imports.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that the investor or the user is interested in whether it is a good future prospect or can raise a stable income. Through the evaluation in step S503, it is evaluated whether it is a sound source capable of raising a good sound source or stable income in the future .

단계S503는 단계S502에 저장된 차트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고, 평가대상 음원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한다.In step S503,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stored in step S502, and based on the time-series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in the category to which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belongs, Predict income.

단계S502에 저장된 음원의 장르와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를 기초로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s can b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the genre of the sound source stored in step S502 and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s.

예를 들면, 차트 정보인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의 동향이 유사한 음원을 여러 카테고리로 그루핑을 할 수 있으며, 음원의 장르 정보인(예를 들면, 록, 클래식, 재즈, 블루스, 리듬 앤 블루스(R&B), 발라드, 댄스, 트로트, 힙합, 컨트리 음악, 팝, 전자 음악 등)이 같고 차트 정보가 유사한 동향을 보이고 있는 음원을 여러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 또한,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와 음원의 장르 정보를 함께 비교 분석하여 같은 장르이고 음원 차트 정보 동향이 유사하면 같은 카테고리로 그루핑 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roup sound sources having similar trends of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sound sources, which are chart information, into various categories, and to classify sound source genre information (for example, rock, classical, jazz, blues, rhythm You can group music sources that have the same trends of chart information, such as R & B, ballad, dance, trot, hip hop, country music, pop, electronic music etc. In addition, if the same genre and sound source chart information trends are similar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group them into the same categor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the genr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평가대상 음원은 차트정보와 장르정보로 카테고리로 그루핑하여 어느 한 카테고리에 속해있으며, 속해있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한다.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to which the copyright revenues are to be predicted is classified into a category by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and is classified into one category and predicts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timely thermal import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in the category .

단계S503는 단계S502에 저장된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음원을 평가한다.Step S503 evaluates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sis stored in step S502.

단계S502에 저작된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can be estimated by predicting the futur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to be evaluated based on the name of the music source or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in step S502.

단계S503는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가치를 평가한다.In step S503,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is evaluated based on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storage unit.

단계S502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수가 증가하는 패턴 또는 시기와 같은 동향을 분석할 수 있으며, 팬클럽 회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 평가대상 음원의 아티스트의 향후 음원에 대한 저작권 수입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아티스트의 팬클럽 회원 수와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비교하여 음원의 저작권 수입을 예측할 수 있다. 즉 다른 아티스트의 팬클럽 회원 수 동향과 평가대상 음원 아티스트의 팬클럽 수의 동향이 유사할 경우 유사한 동향의 다른 아티스트 음원의 시계열적인 저작권 수입 정보를 분석하여 평가대상 음원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analyze trends such as a pattern or a time period in which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stored in step S502 increases, and if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continuously increase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artist of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is likely to increase. In addition,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of other artists can be compared with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nformation to predict the copyright income of the sound source. In other words, if the trends of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of other artists are similar to the number of fan clubs of the rated music artists, the value of the rated music sources can be evaluated by analyzing time-series copyright income information of other artist's music of similar trend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원 수익 예측/분석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d analyzing a sound source revenu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10: 음원 정보 수집부
120: 음원 정보 저장부
130: 음원 평가부
140: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
110: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sound source evaluation unit
140: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Department

Claims (11)

복수의 음원에 관하여 상기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상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수집하는 음원 정보 수집부;
상기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음원 정보 저장부;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선정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음원 평가부를 포함하는 음원 평가 시스템.
A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a genre of the sound source, an artist, a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A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a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for estimating a value of a sound source by predicting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selected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평가부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차트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고,
상기 평가대상 음원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상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Groupi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predicts the future copyright income of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based on the time-series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of the category to which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belongs.
제1항에 있어서,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회망서비스로부터 상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상기 음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음원 평가부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음원을 평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bout the music titl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Where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analyz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stor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alysis result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Wherein 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evaluates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unit
And a sound source evalua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부는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에서 상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zing unit classifies and analyzes positive keywords and negative keywords among keywords associated with keywords related to the music titl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아티스트의 과거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는 상기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원 평가부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past fanatic fan club members of the artist,
Where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es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Wherein the sound source evaluating unit evaluates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sound source evaluation system.
복수의 음원에 관하여 상기 음원의 장르, 아티스트, 상기 음원의 과거 시계열적 음원 차트 순위 정보 및 과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수집하는 음원 정보 수집 단계;
상기 음원 정보를 저장하는 음원 정보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음원 정보 저장하는 단계에서 저장된 음원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원 중 선정된 평가대상 음원에 대한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여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음원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평가 방법.
A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of collec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a genre of the sound source, an artist, a past clock thermal sound source chart ranking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and past historical thermal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Storing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stor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evaluating a value of a sound source by predicting future copyright revenues of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based on the stor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 the step of storing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평가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된 차트정보, 장르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음원을 복수의 카테고리로 그루핑하고,
상기 평가대상 음원이 속하는 카테고리의 다른 음원들의 상기 시계열적 저작권 수입 정보를 기초로 상기 평가대상 음원의 향후 저작권 수입을 예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ound source evaluation step
Groupi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chart information and gen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step,
The future copyright income of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is predicted based on the time-series copyright import information of the other sound sources of the category to which the evaluation target sound source belongs
Wherein the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제6항에 있어서,
사회망서비스(SNS)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사회망서비스로부터 상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 수집 단계에서 수집한 사회망서비스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음원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하고,
상기 음원 평가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 단계에 저장된 사회망서비스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음원을 평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step for analyz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Where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collects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on the music nam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from the social network service,
Wherein the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toring the analysis result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step,
Wherein the sound source evaluating step includes evaluating a sound sourc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step
Wherein the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 분석 단계는 상기 사회망서비스 정보에서 상기 음원의 곡명 또는 아티스트에 관한 키워드와 연관되는 키워드 중 긍정적인 키워드 및 부정적인 키워드를 분류하여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classifying and analyzing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among the keywords associated with keywords related to the music name or artist of the sound source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 information
Wherein the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수집 단계는 상기 아티스트의 시계열적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음원 정보 저장 단계는 상기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원 평가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팬클럽 회원 수 정보를 기초로 음원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collec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eries fan club members of the artist,
Where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ing step stores the fan club member number information,
The sound source evaluation step may include evaluating the value of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number of fan club members stored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storage unit
Wherein the sound source is a sound source.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0 is recorded.
KR1020160164996A 2016-12-06 2016-12-06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KR201800647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96A KR20180064749A (en) 2016-12-06 2016-12-06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96A KR20180064749A (en) 2016-12-06 2016-12-06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49A true KR20180064749A (en) 2018-06-15

Family

ID=6262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996A KR20180064749A (en) 2016-12-06 2016-12-06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74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042A (en) * 2019-11-29 2021-06-08 김하미 System for sound revenue settlement forecasting using artificai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20210127480A (en) 2020-04-14 2021-10-22 에프알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sound source relation
KR102614220B1 (en) 2022-12-13 2023-12-20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del for predicting sound source us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063A (en) * 2000-07-25 2002-02-08 Namco Ltd Karaok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070046415A (en) 2005-10-31 2007-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sic stock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063A (en) * 2000-07-25 2002-02-08 Namco Ltd Karaoke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20070046415A (en) 2005-10-31 2007-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usic stock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042A (en) * 2019-11-29 2021-06-08 김하미 System for sound revenue settlement forecasting using artificai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20210127480A (en) 2020-04-14 2021-10-22 에프알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of sound source relation
KR102614220B1 (en) 2022-12-13 2023-12-20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del for predicting sound source us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gno et al. Inferring similarity between music objects with application to playlist generation
KR10199640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sound sources
US10504156B2 (en) Personalized media stations
JP5565374B2 (en) Device for changing the segmentation of audio works
WO2017165823A1 (en) Media content items sequencing
Fields Contextualize your listening: the playlist as recommendation engine
US20160070702A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user related content preferences intelligently on a headphone
JP20085150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ifying various segment classes
US11373200B2 (en) Current value estimation using machine learning
Dias et al. From manual to assisted playlist creation: a survey
KR20180064749A (en) System and method for forecasting and analysis of revenues from sound sources
Montoro‐Pons et al. From pirates to subscribers: 20 years of music consumption research
Sun Using factor decomposition machine learning method to music recommendation
Kostek Music information retrieval—The impact of technology, crowdsourcing, big data, and the cloud in art.
KR2019000622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ctioning sound sources
Jun et al. Social mix: automatic music recommendation and mixing scheme based on social network analysis
JP20201132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usic content based on music age
Ospitia-Medina et al. Music Recommender Systems: A Review Centered on Biases
Hu A model-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for individual users and implicit user groups
Oliveira et al. Musical success in the United States and Brazil: Novel datasets and temporal analyses
KR20190006224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sound sources
Xu et al. Prediction model of music popular trend based on NNS and DM technology
Volz The impact of online music services on the demand for stars in the music industry
Peechapat et al. Analysis of music industries and economics in Thailand
Kang Research on Music Recommendation Model with Limited Historical Data and User’s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