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949A - 커넥터용 방수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방수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949A
KR20180063949A KR1020160163774A KR20160163774A KR20180063949A KR 20180063949 A KR20180063949 A KR 20180063949A KR 1020160163774 A KR1020160163774 A KR 1020160163774A KR 20160163774 A KR20160163774 A KR 20160163774A KR 20180063949 A KR20180063949 A KR 2018006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eal
housing hole
connector
protrusio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706B1 (ko
Inventor
남기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7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홀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커넥터용 방수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홀에 삽입되고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밀봉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돌기는, 상기 몸체의 중단으로 갈수록 확장되고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돌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방수씰{WATERPROOF SEAL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방수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우징 홀과 와이어 사이에 개재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용 방수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 기구와 코드, 또는 코드와 코드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접속 기구로서, 자동차의 배선이나 전자장비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커넥터는, 외관 및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와이어는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단자에 결속된다. 와이어가 결속된 커넥터는 다른 커넥터 또는 기기에 상호 체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 중 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부분에는 방수 타입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3-0066447호(2013.06.20.)에는 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수 커넥터는, 하우징의 후단에 하우징 홀이 형성되고, 하우징 홀에 방수용 씰이 장착되며, 와이어가 방수용 씰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방수용 씰의 외주면에는 웨이브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밀봉돌기가 형성되어, 방수용 씰을 하우징 홀에 장착할 경우 밀봉돌기가 하우징 홀의 내벽에 밀착되며 하우징과 와이어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웨이브 형상의 방수용 씰은 하우징 홀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장점을 갖되, 하우징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즉, 자동차의 주행 시 인가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분리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3-0066447호(2013.06.2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홀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커넥터용 방수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방향성 밀봉돌기를 통해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킨 커넥터용 방수씰의 제공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방수씰은, 하우징 홀에 삽입되고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밀봉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돌기는, 상기 몸체의 중단으로 갈수록 확장되고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돌기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돌기는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제3경사면과, 상기 몸체의 중단을 기준으로 상기 제3경사면과 대칭되는 제4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은, 제1돌기가 몸체의 중단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되어 방수씰을 하우징 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더불어, 방수씰의 장착 시 제2돌기가 변형되며 하우징 홀에 밀착되므로 방수씰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밀봉돌기는 몸체의 중단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다방향성 밀봉돌기로서, 방수씰의 조립방향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의 설치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용 방수씰(100, 이하 '방수씰'이라고 함)은 커넥터 하우징(도 3의 10)의 후단에 형성된 하우징 홀(도 3의 12)에 장착되어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 홀(12)과 와이어(도 3의 14) 사이에 개재되어 밀봉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씰(100)은, 하우징 홀(12)에 장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와이어(14)가 관통되는 관통공(120)과, 몸체(110)의 외부에 형성되고 하우징 홀(12)에 밀착되는 밀봉돌기(130,14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조의 방수씰(100)은 하우징 홀(12)에 장착되어 하우징 홀(12)과 와이어(14)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 방수씰(100)의 외경(밀봉돌기(130,140)의 외경)은 하우징 홀(1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방수씰(100)을 하우징 홀(12)에 장착했을 때 밀봉돌기(130,140)가 하우징 홀(12)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방수씰(100)의 장착 시 밀봉돌기(130,140)가 하우징 홀(12)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방수씰(100)은 압축 또는 변형 가능한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110)는 내부에 관통공(120)이 형성된 원형 단면의 튜브 형상이며, 하우징 홀(12)에 삽입 가능한 길이와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0)를 원형 단면의 튜브 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몸체(110)의 단면 형상, 직경 및 길이 등은 커넥터에 형성된 하우징 홀(12)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밀봉돌기(130,140)는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밀봉돌기(130)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로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밀봉돌기(130,140)는, 몸체(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돌기(130)와, 한 쌍의 제1돌기(130) 사이에 형성된 제2돌기(14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130)는 몸체(110)의 중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갖는다. 좀 더 상세하게는,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제1경사면(132)과, 제1경사면(132)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제2경사면(134)으로 이루어진 테이퍼 형상이다. 이때, 제1경사면(13)은 30도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방수씰(100)이 하우징 홀(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경사면(130)은 90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방수씰(100)의 장착 시 제1돌기(130)가 압축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형상의 제1돌기(130)는 몸체(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몸체(110)의 중단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방수씰(100)의 양단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조립방향을 한정하지 않아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돌기(140)는 한 쌍의 제1돌기(130) 사이에 위치되며, 몸체(110)의 외측으로 볼록한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제2돌기(140)는 방수씰(100)의 장착 시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며 하우징 홀(12)의 내벽에 밀착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씰(100)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씰(100)은 커넥터 하우징(10)의 후방에서 하우징 홀(1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방수씰(100)의 장착 시 제1돌기(130)는 압축되어 하우징 홀(12)의 내벽에 밀착되고, 제2돌기(130)는 방수씰(100)의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며 하우징 홀(12)의 내벽에 밀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방수씰(100)은 하우징 홀(1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동시에 하우징 홀(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방수씰(100)의 양단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조립방향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씰(100)의 변형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씰(100)의 밀봉돌기(150,160)는, 몸체(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돌기(150)와, 한 쌍의 제1돌기(150) 사이에 형성된 제2돌기(160)로 구성된다. 이때, 제1경사면(152)은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30도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제2경사면(154)은 몸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90도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방수씰(100)은 그 장착 시 제1돌기(150)와 제2돌기(160)가 모두 방수씰(100)의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형되므로, 하우징 홀(12)에 장착된 방수씰(100)을 분리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씰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씰(200)은, 하우징 홀(도 6의 12)에 장착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와이어(도 6의 14)가 관통되는 관통공(220)과, 몸체(210)의 외부에 형성되고 하우징 홀(12)에 밀착되는 밀봉돌기(230,2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밀봉돌기(230)는, 몸체(2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돌기(230)와, 한 쌍의 제1돌기(230) 사이에 형성된 제2돌기(240)로 구성된다.
방수씰(200)의 구성 중 제2돌기(240)를 제외한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돌기(240)는 한 쌍의 제1돌기(230) 사이에 위치되며, 몸체(210)의 외측으로 뾰족한 주판알의 형상을 갖는다. 즉, 제1돌기(230)의 제1경사면(232)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제3경사면(242)과, 몸체(110)의 중단을 기준으로 제3경사면(242)과 대칭되는 제4경사면(24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2돌기(240)는 방수씰(200)의 장착 시 방수씰(100)의 삽입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변형 및 압착되므로, 하우징 홀(12)과 와이어(14) 사이의 더욱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으며, 하우징 홀(12)에 장착된 방수씰(20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수씰 110: 몸체
120: 관통공 130: 제1돌기
140: 제2돌기

Claims (5)

  1. 커넥터의 하우징 홀과 와이어 사이에 개재되는 방수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홀에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 형상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밀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돌기는, 상기 몸체의 중단으로 갈수록 확장되고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칭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사이에 형성된 제2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방수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제2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방수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방수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반원형의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방수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진 제3경사면과, 상기 몸체의 중단을 기준으로 상기 제3경사면과 대칭되는 제4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방수씰.
KR1020160163774A 2016-12-02 2016-12-02 커넥터용 방수씰 KR10265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74A KR102650706B1 (ko) 2016-12-02 2016-12-02 커넥터용 방수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74A KR102650706B1 (ko) 2016-12-02 2016-12-02 커넥터용 방수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49A true KR20180063949A (ko) 2018-06-14
KR102650706B1 KR102650706B1 (ko) 2024-03-26

Family

ID=6262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74A KR102650706B1 (ko) 2016-12-02 2016-12-02 커넥터용 방수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7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073U (ko) * 2008-03-31 2009-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KR20100000261U (ko) * 2008-06-30 2010-0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30066447A (ko)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수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20140125122A (ko) * 2013-04-18 2014-10-28 타이코에이엠피(유) 커넥터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20150236442A1 (en) * 2014-02-18 2015-08-20 Hyundai Motor Company Waterproof connecto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073U (ko) * 2008-03-31 2009-10-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시일
KR20100000261U (ko) * 2008-06-30 2010-01-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30066447A (ko)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방수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KR20140125122A (ko) * 2013-04-18 2014-10-28 타이코에이엠피(유) 커넥터용 실링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20150236442A1 (en) * 2014-02-18 2015-08-20 Hyundai Motor Company Waterproof connect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706B1 (ko)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75249B (zh) 保护件以及电线束
KR101031898B1 (ko) 커넥터, 잭 부품, 전자기기 및 플러그 부품
US8430696B2 (en) Connector having improved fitting properties
US898604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shield braided part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WO2012120831A1 (en) Connector with housing having spacer including a pair of projections
US20180351284A1 (en) Connector-mounting structure and terminal stage
CN107196112B (zh) 汽车高速连接器
US7338319B2 (en) Sealing system for multi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JP2021034153A5 (ja) コネクタ用シール構造及びコネクタ
KR102277839B1 (ko) 고전압 커넥터
JP4116939B2 (ja) 導電路
WO2015068674A1 (ja) コネクタの止水構造
EP3113293A1 (en) Peripheral wedge seal member
US10978822B2 (en) Connector
KR20180063949A (ko) 커넥터용 방수씰
JPH0317422Y2 (ko)
KR200449502Y1 (ko) 방수시일
KR102492966B1 (ko) 고전압 커넥터용 리어 홀더
KR20130066447A (ko) 방수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11469539B2 (en) Seals for a flat flexible conductor in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318842B2 (en) Connector
WO2011096590A1 (en) Waterproof connector
KR102673382B1 (ko) 커넥터용 와이어 씰
KR20090072232A (ko) 자동차용 차폐 커넥터, 차폐 커넥터의 실드 및 차폐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