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942A -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942A
KR20180063942A KR1020160163721A KR20160163721A KR20180063942A KR 20180063942 A KR20180063942 A KR 20180063942A KR 1020160163721 A KR1020160163721 A KR 1020160163721A KR 20160163721 A KR20160163721 A KR 20160163721A KR 20180063942 A KR20180063942 A KR 2018006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ap head
lower fla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0889B1 (en
Inventor
정성원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889B1/en
Publication of KR2018006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05B11/303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a discharge amount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a discharge amount of a liquid or gaseous phase content which has been unconsciously over consumed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ap head including: a lower flat portion;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t portion; and an upper concave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d is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discharge amount, the container including: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accommodated; a discharge pipe positioned in the container body as an intermediat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a cap head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a pressurizing head position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a nozzle formed by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pressurizing head and through which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re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cap head includes a lower flat portion;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t portion; and an upper concave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cave portion has a shape that is successively concave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an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tepped portions slantingl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flat portion.

Description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a discharge amount,

본 발명은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무의식적으로 과도하게 소모하고 있었던 액상 또는 기상 내용물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discharge and a container having the cap hea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liquid or gaseous contents which has been excessively consumed unintentionally, Lt; / RTI >

일반적으로 통상의 화장품, 다림질 풀, 손 세정제, 액상 비누, 샴푸 등과 같은 세제 액상 물질, 및 LPG 등과 같은 기포 형성 물질이 포함된 무스 등과 같이 용기 내에 담긴 내용물은 분사나 분출, 또는 펌핑(pumping)을 통해서 소비하고 있다.Generally, contents contained in a container such as ordinary cosmetics, ironing pads, detergent liquid substances such as hand cleaners, liquid soaps, shampoos, and mousse containing bubbling substances such as LPG are sprayed, pumped, or pumped .

이하, 본 명세서에서 내용물이라 함은 상술한 통상의 화장품, 다림질 풀, 손 세정제, 액상 비누, 샴푸나 무스 등과 같이 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것을 지칭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Here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refer to those contained in a container such as the above-mentioned ordinary cosmetics, ironing paste, hand cleaner, liquid soap, shampoo or mousse.

한편, 이와 같은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배출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정도로 나뉜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roughly two methods of using such contents by discharging them from the container.

첫번째는,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용기 중앙 부위에 형성된 헤드 부분을 눌러서,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이다.First, as in Patent Document 1, the head portion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ntainer is pressed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contents.

두번째는, 용기의 헤드 부분의 일 측면에 돌출하여 형성되고, 스프링이 내장된 조작 레버를 눌러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펌핑하는 방법(도시 및 설명 생략)이다.The second is a method (not shown and not shown) which is formed by projecting on one side of the head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which pushes the operation lever with the spring incorporated therein to pump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첫번째 방식의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형태의 용기가 알려져 있다.The container of the first type is known as the container shown in Fig.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 내용물 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1에 따르면, 내용물 배출 용기(10)는, 용기 본체(1); 이 용기 본체(1)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3); 내용물(3)을 용기 본체(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대략 수직관의 형태로 용기 본체(1) 내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는 배출관(2); 용기 본체(1)의 상부에 위치하는 캡(4); 및 선택적으로, 용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캡(4)의 상부에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는 캡 헤드(5); 및 용기 본체(1) 내의 내용물(3)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는 가압 헤드부(8);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s discharging contain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onventional method. According to Fig. 1, a contents discharging container 10 includes a container body 1; A contents (3)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 A discharge tube (2) installed at a central position in the container body (1)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straight tube formed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3)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 A cap 4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 And, optionally, a cap head 5, which may be formed on top of the container body 1 or otherwise additionally located on top of the cap 4; And a pressing head portion 8 that can be pressed by a user to discharge the contents 3 in the container body 1 to the outside.

여기에서, 캡 헤드(5)와 가압 헤드부(8) 사이에는 배출관(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캡 헤드(5)와 가압 헤드부(8)를 연결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가압 액션에 따라서, 내용물(3)을 노즐(7)로 전달하기 위한 중간 구성으로서의 축(6)이 형성될 수 있다.Here, between the cap head 5 and the pressurizing head portion 8, the cap head 5 and the pressurizing head portion 8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discharge pipe 2, The shaft 6 as an intermediate structure for delivering the contents 3 to the nozzle 7 can be formed.

이때, 축(6)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캡(4) 또는 캡 헤드(5) 내에 숨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haft 6 may have a sufficient length,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formed in a shape hidden in the cap 4 or cap head 5, as the case may be.

또한, 노즐(7)은 가압 헤드부(8)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용기 본체(1) 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3)이 최종적으로 용기 본체(1)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nozzle 7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head portion 8 and the contents 3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 may be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 .

이와 같은 종래의 용기(10)는 구체적인 펌핑 메커니즘이나 기타 구성에 대한 추가 설명이 없어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이라 판단되어, 이에 대한 기타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uch a conventional container 10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ypical technician") even if there is no further description of a specific pumping mechanism or other configuration , And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종래의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은 한번의 펌핑에 의해서 정해진 양만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었으며, 예컨대, 샴푸의 경우, 일회 사용량은, 성인의 경우 머리카락이 어깨 정도까지 긴 경우를 상정하여, 대략 3.5 ml 정도가 배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In such a conventional container,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tents be used by an amount determined by a single pump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shampoo, the amount used once is assumed to be approximately 3.5 ml is discharged.

이와 같은 경우에, 예를 들면, 가족 구성원 중에서, 머리카락의 길이가 짧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서 더 적은 양을 사용해도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압 헤드부(8)를 적당히 눌러서 원하는 양만큼 배출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감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양을 적절하게 배출하는 것이 꽤나 어려웠으며, 대부분의 경우에는 단순히 한번에 꾹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하고 있어 불필요한 양의 내용물의 소비가 일어나고 있었고, 이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과도한 세제의 사용으로 인한 내용물의 교체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환경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도 과도하게 배출되어 다 사용되지 않은 샴푸가 하천 등으로 흘러 들어가서 환경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In such a cas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length of the hair is short or a smaller amount may be used as needed among family members,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head portion 8 appropriately and discharges the desired amount, In such a case, it is quite difficult to discharge the desired amount properly. In most cases, the contents are discharged by simply pushing them in at once, which consumes an unnecessary amount of the conten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placement cost of the contents due to the use of excessive detergent is generated even when the detergent is used. Also, when viewed from the environmental standpoi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used shampoo is excessively discharged and flows into the river or the like to increase environmental pollu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특허문헌 1과 같이 길이가 다른 다수의 안내 홈을 형성한 가이드 부시를 사용하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onfiguration using a guide bush having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having different lengths as in the conventional patent document 1 is disclosed.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의 구성은 사용자의 적절한 양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사용하기 전에 또는 사용 중에 해당 가이드 부시 내의 안내 홈에 돌기를 정확하게 삽입하여 사용하여 하였기 때문에, 예컨대, 머리를 감거나 샤워 중에 각각의 안내 홈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맞춰서 돌기를 정확하게 삽입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Patent Document 1, since the projections ar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in the guide bushes before use or during use in order to discharge the user's proper amount of contents, It is often difficult to correctly recognize the respective guide grooves and accurately insert the proj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recognized guide grooves.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각고의 노력 끝에 기존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에 대해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면서, 소재 사용량을 줄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창출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proposed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which can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used while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creating a container equipped with th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78534 (1999년 11월 05일 공개, 발명의 명칭: 액체 분출 펌프의 분사 용량 조절 장치)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78534 (published on Nov. 05, 1999, entitled "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비해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고한,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 head capable of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and a container having the cap head, which improves the operational convenience,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비해서, 제조 과정이 단순한,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 head and a container having the cap head, which are simpler in manufacturing process and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emission,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ntain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discharged fu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에 비해서, 소재 사용량을 줄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p head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and reduc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and a contai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 and another problem (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각종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accommodated;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을 상기 용기 본체 내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간 통로로서의 배출관;A discharge pipe loc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serving as an intermediat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캡 헤드;A cap head positioned above the container body;

상기 배출관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압 헤드부; 및A pressure head position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상기 가압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노즐;을 포함하며,And a nozzle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head and in which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re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캡 헤드는,Wherein the cap head comprises:

하부 평탄부; A lower flat portion;

상기 하부 평탄부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단차부; 및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t portion; And

상기 단차부 사이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n upper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s and formed concavely.

또한, 상술한 각종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캡 헤드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p head having a discharge amount,

하부 평탄부;A lower flat portion;

상기 하부 평탄부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단차부; 및A stepp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t portion; And

상기 단차부 사이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upper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s and formed conca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오목부는 상기 단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concave portion has a shape that is continuously concave between the step portions.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차부는 상기 하부 평탄부로부터 경사지게 상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ped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r flat portion in an inclined manner.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구성은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 arrangement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는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서만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each embodi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n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not of limitati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캡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의 구성에 따르면, 조작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제조 과정이 단순해지면서, 소재 사용량을 줄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p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and the container hav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provided.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 내용물 배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상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상부의 후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onventional metho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n upper portion of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view of an upper portion of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erms and words u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unconditionally limit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best wa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terms and words may be properly defined and used, and that these terms and words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a defined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may include singular .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Where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another elem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comprises " does not exclude any other element, It can mean that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 when it is stated that an element is "inside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 contact with the other element,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when the componen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mponen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third component or means when an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Likewis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one side", "other side", "one sid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 표현에 그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는 상대적인 위치를 언급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to indicate relative positions in the draw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position related terms may refer to relative positions, unless the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in these express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도록 기재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in the various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like elements.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positions, coupling relations and the like of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a partially exaggerated or reduced or omitted form for the purpose of clearly conve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the proportions or scales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다.In the follow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ique, including the prior art, for example, a configuration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t is possible.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사시도이다.Firs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일부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 예컨대, 용기 본체(1), 내용물(3) 등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하였음을 알아야 한다.In Fig. 2,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constitution of the container body 1, the contents 3 and the like, is omitted.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100)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용기(10)에 비해서, 하부 평탄부(22)와 단차부(24) 및 오목한 형상의 상부 오목부(26)의 구성을 갖는 캡 헤드(20)의 형상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container 100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emiss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flat portion 22 and the step portion (not shown) 24 and the top recess 26 of the concave sha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hape.

이 캡 헤드(20)는 하부 평탄부(22)와 상부 오목부(26)의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가 평소와 같이 표준 사용량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가압 헤드부(8)의 노즐(7)을 해당 하부 평탄부(22) 측으로 회전시켜서 가압 헤드부(8)를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고, 반대로 평소와는 달리 표준 사용량의 절반 정도의 사용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압 헤드부(8)의 노즐(7)을 해당 하부 평탄부(22) 측으로 회전시켜서 가압 헤드부(8)를 눌러서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ap head 20 is structured such that the nozzle 7 of the pressing head portion 8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head 20 when the user needs to use a standard usage amount as usual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flat portion 22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nozzle toward the lower flat part 22 and press the pressing head part 8 to discharge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use is about half of the standard usage amount unlike usual,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upper flat plate portion 7 toward the lower flat portion 22 to push the pressing head portion 8 to discharge the contents.

즉, 종래의 용기(10)와는 달리, 정상적인 용량은 도면 좌측의 하부 평탄부(22)의 구성에 의해서 배출될 수 있고, 정상적인 용량의, 예를 들면, 절반의 용량은 도면 우측의 상부 오목부(26)의 구성에 의해서 배출될 수 있다. That is, unlike the conventional container 10, the normal capacity can be discharg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lower flat portion 22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half capacity of the normal capacity, for example, (26).

다음으로, 캡 헤드(20)의 하부 평탄부(22)와 상부 오목부(26)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lower flat portion 22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of the cap head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상부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의 상부를 후면에서 본 후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top portion of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view of a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And the upper portion is a rear view seen from the rear side.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캡 헤드(20)는 캡(4)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캡(4)의 구성에 대해서 바로 본 발명의 캡 헤드(20)의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잘 알 것이다.3 and 4, the cap hea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top of the cap 4, bu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cap 4,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tructure of the head 20 may be forme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캡(4)과 캡 헤드(2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4 and the cap head 20 may be integrated into one in one embodiment.

이하, 도 3 및 도 4는 따로 떼어서 설명하지 않고 집합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서 그 중의 어느 하나의 도면만을 선택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하다면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Hereinafter,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collectively without being separately described, and only one of them can be selected and described as necessary, and if necessar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FIG. 2 You should know that it is possible.

도면에 있어서, 통상의 캡 헤드(20)는 도면 부호 22, 즉 하부 평탄부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the figure, a typical cap head 20 may have the height 22 of the lower flat portion.

도 2에서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오목부(26)는 캡 헤드(20)의 절반(1/2)의 영역에 대해서, 캡 헤드(20)의 하부 평탄부(22)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돌출벽 형상의 양 단차부(24) 사이에서 이 양 단차부(24)의 높이로부터 아랫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3, the upper recess 26 is formed in the region of the half (1/2) of the cap head 20 with respec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head 20 Is formed concavely downward from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s (24) between the protruding wall-like stepped portions (24)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lat portion (22).

이때, 단차부(24)의 높이는 배출하고자 하는 내용물(3)의 양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24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the contents 3 to be discharged.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24)는 높은 단차부(예컨대, 1/4 용량 정도), 중간 높이의 단차부(예컨대, 1/2 용량 정도), 또는 낮은 단차부(예컨대, 3/4 용량 정도) 등의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ped portion 24 may be formed of a high step (for example, about 1/4 capacity), a middle step (for example, about 1/2 capacity) (For example, about 3/4 capacity), and the like.

이때, '정도'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단차부(24)의 높이에 따라서 내용물의 배출량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서 도면 부호로 지정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오목부(26)의 가장 깊은 곳에 가압 헤드부(8)의 노즐(7)이 위치하는 경우에, 최적의 내용물의 배출량이 결정되기 때문이며, 상부 오목부(26)의 오목한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에 대략적인 내용물의 배출량을 가늠하기 위해서 사용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The use of the word "degree" does not determine the amount of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stepped portion 24, but is not designa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Sinc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optimum contents is determined when the nozzle 7 of the head part 8 is located and the concave shape of the upper concave part 26 may be changed if necessary,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used to measure.

이와 같이, 단차부(24)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하여 두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 한번만 용기(100)를 구매해서 사용하기만 해도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물의 배출량을 알 수 있게 되고, 따라서, 후속 구매시에는 해당 높이의 단차부(24)를 갖는 용기(100)를 구입하는 것으로 충분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stepped portions 24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it is possible to know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user only by purchasing and using the container 100 only once according to the user, It is sufficient to purchase the container 100 having the stepped portion 24 of the height.

이는, 예를 들면, 청소년이 계속 성장하는 경우, 높은 단차부(24)를 갖는 용기(100)를 사용하고 있다가, 성인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단차부(24)를 갖는 용기(100)를 구매하는 패턴과 같이, 가족 내의 구성원의 변동 등에 따라서 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is is because, for example, when the adolescent continues to grow, the container 100 having the high stepped portion 24 is used, and when the adolescent is grown, the container 100 having the low stepped portion 24 is purchased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cope with changes in the members in the family, such as a pattern in which a person is in a family.

한편, 본 발명의 단차부(24)는 수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라면 하부 평탄부(22)로부터 경사지게 상향으로 돌출하는 경사진 단차부(24)의 구성 역시 가능하다.Although the stepped portion 2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being formed vertical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construct a tilted stepped portion 24 project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lower flat portion 22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이와 같이, 경사진 단차부(24)를 형성하여 두면, 사용자가 가압 헤드부(8)를 대략적인 위치로 이동시켜서 가압하는 경우에도 통상의 배출량을 보장하는, 즉 하부 평탄부(22)의 평탄한 위치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clined stepped portion 24 is formed, even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head portion 8 by moving it to the approximate pos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a normal discharge amount, that is, It is possible to expect an effect of moving quickly and accurately to the position.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상부 오목부(26)는 단차부(24)가 형성된 위치에서부터 바로 오목하게 형성되기 시작하여,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7)이 위치한 곳의 오목부의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될 수 있다.Similarly, the top recess 26 of the present invention begins to be recessed immediately from the position where the step 24 is formed, so that, as can be seen in FIG. 3, the recess 7 The depth can be most deeply formed.

이와 같이, 일부 경사진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소재 사용량은 현저하게 증가하지 않으면서도, 가압 헤드부(8)의 정확하고 신속한 이동은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dopting a partially inclined configuration, accurate and rapid movement of the pressing head portion 8 can be ensured, even when the amount of material used does not significantly increase.

다르게는, 상부 오목부(26)는 단차부(24)가 끝나는 부분에서 사실상 수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예를 들면, 凹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형 가공이 일부 수월해지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가압 헤드부(8)를 선회시킬 때 노즐(8)이 이 凹 형태의 오목부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하는 사소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Alternatively,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may have a concave shape, for example, concavely formed substantially vertically concave at the end of the step portion 24. In such a case, Although an effect that is easy to be expected can be expected, there may be a slight disadvantage that the nozzle 8 must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recessed concave portion when the user pivots the pressing head portion 8.

이와는 달리, 상부 오목부(26)가 양 단차부(24)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압 헤드부(8)를 선회시킬 때 노즐(8)이 상부 오목부(24) 내의 임의의 위치에 항상 깊은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노즐(8)이 다시 상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8)이 상부 오목부(26)의 가장 깊은 위치에 그대로 위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has a shape that is continuously concave between the both step portions 24, when the user pivots the pressing head portion 8, the nozzle 8 is positioned in the upper concave portion 24 The nozzle 8 can be positioned at the deepest position of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as shown in Fig. 3, even when the nozzle 8 is moved upward again, As shown in FIG.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압 헤드부(8)를 적당히, 예를 들면, 하부 평탄부(22) 위치에서 상부 오목부(26) 위치로 돌려서 임의의 적당한 위치에 회동시킨 경우에, 언제나 가장 깊은 곳의 상부 오목부(26)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3, when the user turns the pressure head portion 8 appropriately, for example, to the position of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at the position of the lower flat portion 22 and pivots it to any suitable position , It can always be positioned at the deepest top recess 26.

즉, 사용자가 도면에서 보아 상부 오목부(26)의 최좌측 위치에 근접하여 또는 상부 오목부(26)의 최우측 위치에 근접하여 가압 헤드부(8)를 위치시킨 경우에도, 이 가압 헤드부(8)는 언제라도 상부 오목부(26)의 가장 깊은 위치로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at is, even when the user places the pressure head portion 8 close to the leftmost position of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or near the rightmost position of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as viewed in the drawing, (8) can be moved to the deepest position of the top recess (26) at any time.

이때 노즐(7)은 이 가장 깊은 위치에 놓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부 평탄부(22)에서의 배출량의 1/2 정도로 적절하게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 역시 제고됨을 알아야 한다.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zzle 7 can be placed at the deepest position, for example, the content can be appropriately discharged to about 1/2 of the discharge amount at the lower flat portion 22,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오목부(26)를 하나만 형성하는 대신에 └∨┘의 형태와 같이, 두 개의 깊이를 갖는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캡 헤드(20)의 크기를 고려하였을 때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상부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은 공간의 제약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으며, 또한 내용물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제어하기가 다소 까다로울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forming only one upper concave portion 26, concave portions having two depths may be formed as in the form 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forming such two or more top recesses when considered is not desirable due to space constraints and that it may be rather difficult for the user to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contents discharged.

단차부(24) 및 상부 오목부(26)는 캡 헤드(20)를 형성하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캡 헤드(2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 충분하기 때문에 성형 가공의 난이도가 극단적으로 높아지지는 않는다.The stepped portion 24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can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terial forming the cap head 20. Since it is sufficient to extend upward from the cap head 20, Does not become extremely high.

또한, 캡 헤드(20) 전체의 외주에 걸쳐서 상부 오목부(26)를 형성하지 않고 절반 정도의 외주에 상부 오목부(26)를 형성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서는 캡 헤드(20) 외부의 1/3 정도에만 상부 오목부(26)를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그 소재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on the outer periphery of about half of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ap head 20 without forming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 3,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can be formed. Therefore, the amount of material used can b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더욱이 본 발명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는 캡 헤드(20)의 일부에 그 외주를 따라서 돌출부(24) 및 상부 오목부(26)를 형성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형 제작 및 캡 헤드(20)의 제작이 단순해진다.Furthermore, since the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24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a part of the cap head 20, ) Is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의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는, 디지털에서와 같이 두 가지 상태로만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라고 해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the emission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only in two states as in digital, it can be easily operated even as a child.

더 나아가서, 필요하다면, 캡 헤드(20)의 단차부(24) 및 상부 오목부(26)는 캡 헤드(20)의 색상과 다른 색상의 소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더욱 쉽게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f necessary, the stepped portion 24 and the upper recessed portion 26 of the cap head 20 can be made of a different color material from the color of the cap head 20,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control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tents .

다르게는, 캡 헤드(20) 자체를 단차부(24) 등의 구성을 감안하여 두 가지 색상으로 형성하여, 예컨대, 흰색은 통상의 사용량, 녹색은 1/2로 절약하는 사용량을 나타낼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cap head 20 itself may be formed in two colors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tepped portion 24 and the like. For example, white may represent a normal usage amount, and green may represent a usage amount that is reduced by half.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첫번째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구성을 두번째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of the two method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sec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second method.

예컨대, 본 발명의 일 변형례에 따르면, 조작 레버를 완전히 누르는 경우에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절반 정도로 조절하기 위해서, 조작 레버가 맞닿는 용기의, 예를 들면, 캡(4)의 외주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돌출부(24)를 형성하여 두고, 이 돌출부(24)의 내측에 오목부(본 발명의 상부 오목부(26)의 구성에 대응)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on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just the amount of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when the operation lever is completely presse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concave portion 26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rojecting portion 24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부 오목부(26)가 캡 헤드(20) 상향으로 형성된다면, 변형례의 오목부는 반경 방향으로 캡(4)의 외주를 따라서 일정 영역에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할 뿐이다.That is,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in that, if the upper recess 26 is formed upwardly of the cap head 20, the recess of the modification is formed in a certain region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p 4 in the radial direction Only.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실시예의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may be practiced or equivalent to t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서만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in the claim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other forms as such.

1 : 용기 본체
2 : 배출관
3 : 내용물
4 : 캡
5 : 캡 헤드
6 : 축
7 : 노즐
8 : 가압 헤드부
10 : 내용물 배출 용기
20 : 캡 헤드
22 : 하부 평탄부
24 : 단차부
26 : 상부 오목부
100 :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
1:
2: discharge pipe
3: Contents
4: Cap
5: cap head
6: Axis
7: Nozzle
8:
10: Contents discharging container
20: cap head
22: Lower flat part
24:
26: upper concave portion
100: a container with adjustable emissions

Claims (6)

하부 평탄부;
상기 하부 평탄부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 사이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헤드.
A lower flat portion;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t portion; And
And an upper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s and formed concavely.
Cap he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오목부는 상기 단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has a shape that is continuously concave between the step portions.
Cap he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하부 평탄부로부터 경사지게 상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헤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r flat portion in an inclined manner.
Cap head.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을 상기 용기 본체 내로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중간 통로로서의 배출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캡 헤드;
상기 배출관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압 헤드부; 및
상기 가압 헤드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 외부로 배출되는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캡 헤드는,
하부 평탄부;
상기 하부 평탄부의 일측에서 상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 사이에 형성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accommodated;
A discharge pipe located in the container body and serving as an intermediat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body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A cap head positioned above the container body;
A pressure head position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And a nozzle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one side of the pressing head and in which the content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re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cap head comprises:
A lower flat portion;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lower flat portion; And
And an upper conca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s and formed concavely.
Containers with adjustable emiss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오목부는 상기 단차부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오목해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upper concave portion has a shape that is continuously concave between the step portions.
Containers with adjustable emission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하부 평탄부로부터 경사지게 상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lower flat portion in an inclined manner.
Containers with adjustable emissions.
KR1020160163721A 2016-12-02 2016-12-02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101950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21A KR101950889B1 (en) 2016-12-02 2016-12-02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21A KR101950889B1 (en) 2016-12-02 2016-12-02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42A true KR20180063942A (en) 2018-06-14
KR101950889B1 KR101950889B1 (en) 2019-05-13

Family

ID=6262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21A KR101950889B1 (en) 2016-12-02 2016-12-02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88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03Y2 (en) * 1985-10-09 1995-03-08 特殊エアゾ−ル株式会社 Improved dispensing device with variable dispensing amount
KR19990078534A (en) 1999-02-24 1999-11-05 박형진 a spout quantity regulation equipment of liquid spouting pump
KR200423024Y1 (en) * 2006-02-28 2006-08-02 이인용 pumping tool
KR20160004101U (en) * 2015-05-22 2016-11-30 한미약품 주식회사 A Spray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803Y2 (en) * 1985-10-09 1995-03-08 特殊エアゾ−ル株式会社 Improved dispensing device with variable dispensing amount
KR19990078534A (en) 1999-02-24 1999-11-05 박형진 a spout quantity regulation equipment of liquid spouting pump
KR200423024Y1 (en) * 2006-02-28 2006-08-02 이인용 pumping tool
KR20160004101U (en) * 2015-05-22 2016-11-30 한미약품 주식회사 A Spray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889B1 (en)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1832B2 (en) Dispenser container
KR200438535Y1 (en) A spuit type cosmetic vessel capable of discharging standard capasity by up and sown button
US8083159B2 (en) Push-button nozzle for liquid product dispenser
KR101631827B1 (en) Pump type Compact case
JP4994392B2 (en) Ring for spray valve
KR101590865B1 (en) A Dispenser Vessel
CN100487292C (en) Fluid product spray head and distributing pump comprising this spray head
FR2809712B1 (en) METERING TIP FOR THE DELIVERY OF A VARIABLE VOLUME DOSE AND ASSEMBLY PROVIDED WITH SUCH A METERING TIP
US20190001545A1 (en) Discharge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onto discharge surface
JP2004293551A (en) Metering pump dispenser
KR20150010306A (en) A cosmetic case of cream type
KR101146999B1 (en) Cosmetic container of button type operate pump single silicone material
KR200439351Y1 (en) Dispenser receptacle
EP4079187A1 (en) Double container
KR101950889B1 (en) Cap head with discharge volume controlling,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US6405905B1 (en) Dosing dispenser for flowable media
CA2750289C (en) Container with folded-back bottom wall
WO2017111130A1 (en) Discharge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onto discharge surface
KR101663206B1 (en) Dispenser
KR101770553B1 (en) Dispenser with a dual pump
KR102356611B1 (en) Container for spraying liquid
US10239655B1 (en) Quantitative pressing structure
KR200311496Y1 (en) a dispenser vessel
KR101352541B1 (en) Pump for discharge
JP5586329B2 (en) Quantitative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