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06A -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06A
KR20180063506A KR1020160163296A KR20160163296A KR20180063506A KR 20180063506 A KR20180063506 A KR 20180063506A KR 1020160163296 A KR1020160163296 A KR 1020160163296A KR 20160163296 A KR20160163296 A KR 20160163296A KR 20180063506 A KR20180063506 A KR 2018006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elt
cable
electrode
bel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7500B1 (ko
Inventor
우응제
오동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랩
Priority to KR102016016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500B1/ko
Priority to PCT/KR2017/013988 priority patent/WO2018101786A1/ko
Priority to EP17875611.0A priority patent/EP3549515A4/en
Priority to CN201780074813.7A priority patent/CN110035694B/zh
Priority to JP2019529910A priority patent/JP6812033B2/ja
Priority to US16/465,964 priority patent/US20190298219A1/en
Publication of KR2018006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6Impedance imaging, e.g. by tomography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한 벨트유닛 및 벨트유닛과 결합되어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되 피험자와의 접촉에 의해 내부 전류분포를 형성하고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전극부가 마련되는 케이블유닛을 포함하며, 벨트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케이블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피험자의 부피 변화에 상관없이 전극부와 피험자의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어,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ELECTRODE CABLE APPARATUS FOR EIT}
본 발명은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부피 변화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접촉에 따른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지방은 진피와 근막 사이에 위치한 지방인 피하지방과 복강 안쪽의 내장 사이에 위치한 내장지방을 포함한다. 피하지방은 영양분의 저장 및 합성, 열의 차단, 충격 흡수 등의 역할을 가지나, 내장지방은 혈액에 녹아 혈관에 쌓이거나 인체에 해로운 물질을 분비하여 동맥경화, 당뇨병, 심장병, 고혈압 등과 같은 질환에 노출시킨다. 이렇게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음으로 인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정확한 측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인체 내부의 도전율 및 유전율 분포를 영상화하는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EIT,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에서는 여러 개의 전극을 인체의 특정 부위에 부착하여 2개 이상의 전극으로 전류를 주입하고 2개 이상의 전극들로 전압을 안정되게 측정한다. 이러한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에서, 인체에 부착한 다수의 전극들을 측정시스템에 기능별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신호선과 제어선이 사용된다. 이때, 다수의 전선과 전극 사이의 간편하고 안정된 연결이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주요 인자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기 임피던스 단층 촬영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9462호, "체지방 측정 장치"
본 발명은 안정적인 접촉을 통한 체지방 측정을 위한 전기 임피던스 단층 촬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피험자에 적용 가능함으로써 다양성 확보에 유리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한 벨트유닛 및 상기 벨트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되, 상기 피험자와의 접촉에 의해 내부 전류분포를 형성하고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극부가 마련되는 케이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거나, 섬유형 탄성 튜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의 신축 범위에 대응되도록 접철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유연 인쇄회로기판,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과 나란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험자로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극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도록 모듈화된 벨트 형상을 가지는 유연 인쇄회로기판,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에는 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유닛의 상기 전극부는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벨트유닛과 케이블유닛이 상호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유닛의 상기 전극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노출공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에 대해 상기 케이블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로 모듈화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유닛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유닛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는,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에 장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마련되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트유닛 및 상기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마련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험자와 접촉되어 내부 전류분포를 형성시키고,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극부가 마련되는 케이블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닛과 결합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은 실리콘 재질 또는 섬유형 탄성 튜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유닛에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비유연 인쇄회로기판 조각, 유연 인쇄회로기판 조각, 실리콘 기판 위에 전도성 도료로 인쇄된 조각 및 섬유형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 유연 인쇄회로기판,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을 관통하는 결합돌기가 상기 케이블유닛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벨트유닛과 케이블유닛의 기계적인 결합 및 전기적 결선시키는 섬유, 전도성 고분자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은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의 신축 범위에 대응되도록 접철 가능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벨트유닛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벨트유닛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유닛의 상기 전극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노출공이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로 모듈화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유닛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유닛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피험자의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 부위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피험자의 부피 변화에 상관없이 전극부가 항시 피험자에 대해 접촉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전극부와 피험자 사이의 접촉력 향상에 따른 측정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피험자의 부피 변화에 연동하여 벨트유닛의 신축과 함께, 접철 가능하도록 마련된 케이블유닛이 접히거나 펴짐으로써, 비유연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블유닛에 마련되는 전극부가 피험자에 대해 접촉됨에 있어서 안정적인 전류 인가가 가능해진다.
셋째, 다양한 피험자의 조건에 대응할 수 있어, 측정 다양성 확보에 따른 신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가 연장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에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제3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1)는 벨트유닛(10) 및 케이블유닛(20)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1)는 피험자(미도시)의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한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EIT,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이하, EIT로 지칭함)에 적용된다. 이러한 EIT는 피험자의 내부 도전율 및 유전율 분포를 영상화하는 장비로써,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전극 측정장치(1)와 연결되어 인체의 내부 도전율 및 유전율 분포를 측정하여 획득한다.
상기 벨트유닛(10)은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다. 이러한 벨트유닛(10)은 피험자의 복부 둘레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벨트유닛(1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신축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벨트유닛(10)의 전체가 신축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거나 섬유형 탄성 튜브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벨트유닛(10)은 피험자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에도 안전하며, 촉감이 좋은 탄성체인 것이 좋다.
이러한 벨트유닛(10)에는 후술할 케이블유닛(20)과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돌기(11)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돌기(11)는 후술할 케이블유닛(20)을 향해 돌출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됨이 좋다. 이러한 결합돌기(11)의 구성은 케이블유닛(20)의 구성과 함께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상기 케이블유닛(20)은 벨트유닛(10)과 결합되어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피험자의 내부 도전율 및 유전율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부(30)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블유닛(20)은 벨트유닛(10)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띠 형상을 가진다.
참고로, 상기 케이블유닛(20)의 길이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로 구획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유닛(2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전극부(30)에 의해 벨트유닛(10)과 연결된다. 상기 전극부(30)는 결합돌기(11)에 대응하여 복수개 마련되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결합돌기(1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11)에 대해 전극부(30)는 일종의 후크(Hook)와 같이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블유닛(20)은 신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며 제어라인이 마련되는 일종의 유연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유닛(20)에는 전극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회로부(40)가 마련된다. 이러한 전극부(30) 및 회로부(40)는 각각 복수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케이블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유닛(20)은 신축 가능한 벨트유닛(10)과 달리, 신축되지 않는 유연 인쇄회로기판으로 마련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다. 그로 인해, 상기 케이블유닛(20)은 도 2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벨트유닛(10)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됨에 연동하여 접히거나 펴짐으로써, 벨트유닛(1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케이블유닛(20)은 유연 인쇄회로기판을 비롯하여,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케이블유닛(20)이 유연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전극부(30)들 사이와 회로부(40) 사이에 신호 및 제어라인을 상호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전극부(30)는 적어도 한 쌍 즉, 2개 이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전극을 통해 인가된 전류로 인해 전류분포를 형성시킨다. 즉, 상기 복수의 전극부(30) 중 적어도 한 쌍으로부터 발생된 유도전압분포로 인해, 피험자 내부의 도전율 및 유전율 분포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로부(40)는 전극부(30)의 결합부위 인근에 마련되는 비유연 인쇄회로기판, 유연인쇄회로기판 조각, 실리콘 기판 위에 전도성 도료로 인쇄된 조각 및 섬유형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유연 인쇄회로기판 조각으로 마련되는 회로부(40)는 유연 인쇄회로기판인 케이블유닛(20)의 접히거나 펴지는 케이블유닛(20)에 마련된 전극부(30)로 안정된 전류 주입 및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초단회로이다.
참고로, 상기 유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케이블유닛(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전극부(30)는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벨트유닛(10)을 관통하여 피험자와 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부(30)와 피험자 사이의 접촉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1)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기 벨트유닛(10)의 결합돌기(11)와 케이블유닛(20)의 전극부(30)가 상호 결합됨으로써, 벨트유닛(10) 및 케이블유닛(20)은 모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벨트유닛(10)의 길이 보다 케이블유닛(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상호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유닛(20)은 길이 방향으로 일부가 접힌 상태로 벨트유닛(10)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유닛(10)의 내부에서 케이블유닛(20)의 전극부(30)만이 벨트유닛(1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이 후, 상기 피험자의 복부에 벨트유닛(10)과 케이블유닛(20)이 결합된 상태로 착용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복부의 둘레 길이 또는 피험자의 호흡과 같은 생체활동에 따른 복부의 부피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벨트유닛(10)과 케이블유닛(20)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재질로 형성되는 벨트유닛(10)은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에 연동하여, 상기 벨트유닛(10)에 연결된 케이블유닛(20)도 길이 방향으로 접힌 상태가 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유닛(20)에 마련된 전극부(30)는 피험자의 상태에 상관없이 피험자에 대해 항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피험자의 내부 지방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100)는 벨트유닛(110) 및 케이블유닛(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유닛(11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재질 예컨대, 실리콘 또는 섬유형 탄성 튜브 재질로 형성되며, 케이블유닛(120)은 일종의 유연 인쇄회로기판으로써 전극부(130)와 회로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벨트유닛(110) 및 케이블유닛(120)의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제2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100)는 벨트유닛(110)의 내부에 케이블유닛(120)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벨트유닛(11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내부가 비워진 공간(112)을 구비하며, 이 공간(112)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케이블유닛(12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유닛(120)은 유연 인쇄회로기판으로 마련되며, 이러한 유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극부(130)가 벨트유닛(110)에 마련된 노출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기 전극부(130)가 벨트유닛(110)의 노출공(111)을 통해 결합되는 일종의 결합돌기로 구성됨과 아울러, 전극이 인가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벨트유닛(110)의 외부로 노출된 전극부(130)가 피험자에 접촉됨으로써, 내부 전류분포를 형성시키고 유도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피험자에 대한 인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제2실시예에서는 유연 인쇄회로기판인 케이블유닛(120)의 일면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부(130)에 대응하여 비유연 인쇄회로기판 조각인 회로부(40)(도 1 내지 도 4 참고)가 마련되나,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구성임에 따라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2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벨트유닛(110)의 내부의 공간(11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케이블유닛(120)의 전극부(130)가 벨트유닛(110)의 노출공(111)을 통해 노출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유닛(120)은 벨트유닛(110)의 내부 공간(112)에서 접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벨트유닛(10)이 도 7의 도시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 내부에 삽입된 케이블유닛(120)은 접힌 상태에서 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벨트유닛(110)이 길이 방향으로 신축됨에 연동하여 케이블유닛(120)도 펴지게 됨으로써, 피험자의 복부 부피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전극부(130)의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2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제3실시예에 의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200)는 벨트유닛(210), 케이블유닛(220) 및 연결유닛(230)을 포함한다.
상기 벨트유닛(210)은 상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험자의 부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실리콘 또는 섬유형 탄성 튜브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유닛(220)도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극부(미도시)와 회로부(미도시)가 마련되는 유연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벨트유닛(210)의 내부로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유닛(220)은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벨트유닛(210) 또한, 비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유닛(210)에 결합되는 케이블유닛(220)은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로 모듈화된다. 도 8의 도시에서는 하나의 측정모듈로 마련되되 일단과 타단이 연결유닛(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닛(230)은 탄성재질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벨트유닛(210) 및 케이블유닛(2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피험자의 부피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케이블유닛(220')이 상호 결합된 2개의 측정모듈로 마련됨으로써, 2개의 연결유닛(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 케이블유닛(220")이 상호 결합된 4개의 측정모듈로 마련되고, 4개의 연결유닛(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
즉, 상기 모듈화된 측정모듈의 개수는 도 8 내지 도 10의 도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연결유닛(230)(230')(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00, 200: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0, 110, 210, 210', 210": 벨트유닛
20, 120, 220, 220', 220": 케이블유닛
230, 230', 230": 연결유닛

Claims (15)

  1.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한 벨트유닛; 및
    상기 벨트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되, 상기 피험자와의 접촉에 의해 내부 전류분포를 형성하고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복수의 전극부가 마련되는 케이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벨트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거나, 섬유형 탄성 튜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의 신축 범위에 대응되도록 접철 가능한 길이를 가지는 유연 인쇄회로기판,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과 나란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피험자로 접촉 가능한 복수의 전극부가 이격되어 마련되도록 모듈화된 벨트 형상을 가지는 유연 인쇄회로기판,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에는 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케이블유닛의 상기 전극부는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어, 상기 벨트유닛과 케이블유닛이 상호 결합 가능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유닛의 상기 전극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노출공이 복수개 마련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에 대해 상기 케이블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로 모듈화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유닛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9. 측정하고자 하는 피험자에 장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마련되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벨트유닛; 및
    상기 피험자의 둘레를 따라 장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마련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험자와 접촉되어 내부 전류분포를 형성시키고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전극부가 마련되는 케이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상기 벨트유닛과 결합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실리콘 재질 또는 섬유형 탄성 튜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유닛에는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비유연 인쇄회로기판 조각, 유연 인쇄회로기판 조각, 실리콘 기판 위에 전도성 도료로 인쇄된 조각 및 섬유형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회로부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 유연 인쇄회로기판, 전도사를 포함하는 섬유벨트 및 전도성 페인팅된 고분자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을 관통하는 결합돌기가 상기 케이블유닛에 적어도 하나 마련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벨트유닛과 케이블유닛의 기계적인 결합 및 전기적 결선시키는 섬유, 전도성 고분자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내부가 비워진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의 신축 범위에 대응되도록 접철 가능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벨트유닛의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유닛의 상기 전극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노출공이 복수개 마련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유닛은 상기 벨트유닛에 결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로 모듈화 가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모듈은 연결유닛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상호 연결 가능한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KR1020160163296A 2016-12-02 2016-12-02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KR10194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96A KR101947500B1 (ko) 2016-12-02 2016-12-02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PCT/KR2017/013988 WO2018101786A1 (ko) 2016-12-02 2017-12-01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전극 벨트 장치
EP17875611.0A EP3549515A4 (en) 2016-12-02 2017-12-01 ELECTRODE BELT DEVICE FOR MEASURING A BIOS SIGNAL
CN201780074813.7A CN110035694B (zh) 2016-12-02 2017-12-01 用于测量生物识别信号的电极带设备
JP2019529910A JP6812033B2 (ja) 2016-12-02 2017-12-01 生体信号測定のための電極ベルト装置
US16/465,964 US20190298219A1 (en) 2016-12-02 2017-12-01 Electrode Belt Device for Measuring Bio-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96A KR101947500B1 (ko) 2016-12-02 2016-12-02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06A true KR20180063506A (ko) 2018-06-12
KR101947500B1 KR101947500B1 (ko) 2019-02-13

Family

ID=6262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296A KR101947500B1 (ko) 2016-12-02 2016-12-02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50A (ko) * 2018-11-05 2020-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구조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분포 영상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9027A1 (en) * 2004-10-20 2010-02-25 Drager Medical Ag & Co. Kg Electrode belt for carrying out electrodiagnostic procedures on the human body
KR101079462B1 (ko) 2007-06-01 2011-11-03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체지방 측정 장치
KR20110128646A (ko) * 2010-05-24 2011-11-30 (주)휴레브 복대형 비만관리 장치
JP2015508314A (ja) * 2012-01-27 2015-03-19 スイストム・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Swisstom Ag 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のためのベルト、およびそのようなベルトを使用する方法
US9060705B2 (en) * 2005-12-20 2015-06-23 Autopoiese Participacoes, Ltda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546B2 (ja) * 2013-06-04 2017-11-01 学校法人北里研究所 電気インピーダンストモグラフィ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9027A1 (en) * 2004-10-20 2010-02-25 Drager Medical Ag & Co. Kg Electrode belt for carrying out electrodiagnostic procedures on the human body
US9060705B2 (en) * 2005-12-20 2015-06-23 Autopoiese Participacoes, Ltda Electrode assembly for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KR101079462B1 (ko) 2007-06-01 2011-11-03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체지방 측정 장치
KR20110128646A (ko) * 2010-05-24 2011-11-30 (주)휴레브 복대형 비만관리 장치
JP2015508314A (ja) * 2012-01-27 2015-03-19 スイストム・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Swisstom Ag 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のためのベルト、およびそのようなベルトを使用する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15-508314호(2015.03.19.)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350A (ko) * 2018-11-05 2020-05-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구조 압력 센서를 이용한 압력 분포 영상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500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35694B (zh) 用于测量生物识别信号的电极带设备
US10548497B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flexible capacitive electrodes for measuring biosignals
US7747303B2 (en) Electrode system
ES2543967T3 (es) Método para efectuar mediciones de impedancia en un sujeto
US11813064B2 (en) Apparatus and electronic circuitry for sensing biosignals
KR101947500B1 (ko) Eit를 위한 전극 측정장치
Packard et al. Two-point stretchable electrode array for endoluminal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measurements of lipid-laden atherosclerotic plaques
WO2008032291A2 (en) Multi-electrode patches for electrophysiological impedance measurements and devices for' positioning and/or alignment of electrode- patch assemblies
RU2593797C1 (ru) Блок датчиков
Kim et al. Wearable 3D lung ventilation monitoring system with multi frequency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CN110801219B (zh) 体表生物电电极支架、带形装置及心电测量装置
KR20150102176A (ko) 패치형 eit 장치
JP6731435B2 (ja) 生体信号検出モジュール
CN217244417U (zh) 信号测量电路和差分电压测量系统
US20170143224A1 (en) Module for detecting bodily signals
CN208926354U (zh) 生理信号采集装置
CN110139602A (zh) 电极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121292B (zh) 用于可穿戴设备的干扰指示器
KR101966516B1 (ko) 착용형 인터페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US11039756B2 (en) Functional disposable sheath
SU1680072A1 (ru) Электр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041983B1 (ko)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직물 전극 벨트
US20210290098A1 (en) Wearable body composition analyzer
WO20151339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участка тела человека
RU2157601C1 (ru)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