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391A -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391A
KR20180063391A KR1020160161736A KR20160161736A KR20180063391A KR 20180063391 A KR20180063391 A KR 20180063391A KR 1020160161736 A KR1020160161736 A KR 1020160161736A KR 20160161736 A KR20160161736 A KR 20160161736A KR 20180063391 A KR20180063391 A KR 2018006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obot
home service
home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세
조승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391A/en
Publication of KR2018006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3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based on a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 user to set a schedule of a home service robot using a service blueprint is provided. A plurality of user behaviors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s modularized to be selected and edited as a component of the service bluepri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re output. The user behaviors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s selected by the user are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input user behaviors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s are mapped based on a preset or user-selected correlation. The mapped user behaviors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s are arranged in a time-serial manner to set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schedule is applied to the service blueprint to be out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Description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이용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0002]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0003]

본 발명은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에 기반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링을 처리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및 그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that handles scheduling of a home service robot based on a service blueprint and a scheduling method thereof.

현대의 산업구조는 제품생산 중심의 제조업에서 서비스와 마케팅이 융합된 서비스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서비스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모하며 서비스 부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창출함에 따라, 제조기업에서도 제품 생산만이 아닌 서비스 부문에 관련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및 의료기기 등의 물질 개념의 제품 뿐만 아니라, 가전 기기 렌탈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개념의 제품 또한 지속적인 관리 서비스 등의 서비스 부문과 연계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과 서비스의 연계는 고객이 원하는 때에 고객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The modern industrial structure is changing from a manufacturing centered on product production to a service business in which service and marketing converge. As such, the service sector is transformed into a service-oriented paradigm and the service sector creates relatively high value. Therefore, manufacturing companies are paying more attention to creating a new business model related to the service sector than product production. For example, not only products with a substance concept such as automobiles and medical devices, but also products with service concepts such as home appliance rental service are linked with services such as continuous management services. Such linkages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nd user experiences (UX) that provide what customers want when they want.

한편, 서비스 디자인은 유무형 매체의 조합을 통해 최적의 해결안에 집중하는 새로운 분야로서, 총체적인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서비스 시스템 및 프로세스가 디자인된다. 즉, 서비스 디자인은 무형의 서비스를 유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디자인의 하나의 분야로서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가 있다.On the other hand, service design is a new field that focuses on optimal solution through combination of media with and without media. Service system and process are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delivering overall service to customers. In other words, service design can type intangible services. One such area of service design is Service Blueprint.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건축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청사진(즉, 설계도)이라는 개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에 적용한 것으로서, 서비스 전달 과정에 필요한 관계자들의 역할과 서비스 단계의 흐름 등 서비스 전반을 이해하도록 하는 맵이다. 즉,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복잡한 업무를 전체적으로 볼 수 있고, 과정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나 평가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Service Blueprint is a blueprint that is applied to the user interface (UI),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building technology. It is used for the role of the parties involved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and the flow of the service phase. It is a map to understand. In other words, service blueprints can see the complex tasks as a whole, can accurately judge the process, and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new services.

한편, 서비스 블루프린트와의 연계가 가능한 기술 분야로서 스마트 홈 서비스 분야가 있다. 최근들어, 스마트 홈 서비스의 대표적인 기술인 홈 서비스 로봇(Home Service Robot)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홈 서비스 로봇은 일명 가정용 로봇이라고도 불리며, 일반 가정에서 설거지, 빨래, 청소 등의 가사를 지원하는 용도로 개발되었다. 인공 지능 기술 및 홈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향후 홈 서비스 로봇에 관련된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가 추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mart home service field as a technology field capable of linking with a service blueprint. In recent years, home service robots, which are a typical technology of smart home service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Home service robots, also called home robot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housekeeping, laundry, cleaning, and other housework at home. With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home network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unctions and services related to home service robots will be added in the future.

이러한 홈 로봇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0075호(발명의 명칭: 홈 로봇을 이용한 제 3자에 의한 원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는, 제3자에 의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사용자와,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서비스를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되는 홈로봇과, 상기 홈로봇과 제3자인 서비스제공자에 의한 서비스 제공을 원활히 연결하기 위한 서비스연결서버와, 상기 서비스제공자에 의한 원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홈 로봇을 이용한 제 3자에 의한 원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In connection with such a home robot technology,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00075 (title of the invention: remot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y a third party using a home robot) provides a remote service by a third party A service provider for providing a service requested by the service user through a service program, a home robot used for providing the service, and a service providing service by the home robot and the third party service provider A service connection server for seamlessly connecting a service provider and a service program for providing a remote service by the service provider, and a remot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by a third party using a home robot.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홈 서비스 로봇은 단순히 고정된 기능들을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시점에 직접 명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로서, 기술적 또는 서비스적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홈 서비스 로봇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 및 장소 등의 조건과 더불어 사용자의 행위에 기반하여 간편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적응적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However, the home service robot developed to date has a merit that it performs a fixed function or performs a function of directing a user at a specific time point, and there is a lack of satisfying a user's request technically or in servic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user adaptive interface that enables various functions of the home service robot to be easily scheduled based on the user's behavior, in addition to the conditions such as the time and place desi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통해 홈 서비스 로봇의 기능을 사용자 행위에 매칭하여 스케줄링할 수 있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및 그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and a scheduling method thereof capable of matching the functions of a home service robot to a user behavior through service blueprint and scheduling.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기반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는,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의 실행에 응답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로서 선택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복수의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의 행위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사전에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결정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구비된 가정 내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의 행위이고, 상기 홈 서비스 로봇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행위이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cheduling a home service robot based on a service blueprint, the apparatus comprising: a user interface unit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set a schedule of a home service robot using a service blueprint, A memory storing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providing an interface;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is responsive to execu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to perform a plurality of user actions modularized to be selectable and editable as a component of a service blueprint, A home service robot, a home service robot, a home service robot, a home service robot, a home service robot, and a home service robot, And a user interface for scheduling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by arranging the mapped user behavior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 in a time series manner, and applying the schedule to the service blueprint and outputting the schedule. At this time, the user action is an action of at least one member of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home service robot action is a detailed a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를 통한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기반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은,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로서 선택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복수의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사전에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결정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매핑하는 단계; 상기 매핑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구비된 가정 내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의 행위이고, 상기 홈 서비스 로봇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행위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cheduling a home service robot based on a service blueprint through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 user to set a schedule of a home service robot using a service blueprint ; Outputting a plurality of user actions and a home service robot behavior modularized so as to be selectable and editable as a component of a service bluepri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Receiving a user action selected by a user and a home service robot ac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Mapping the inputted user behavior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 based on a pre-set or user-determined association relationship; Scheduling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by arranging the mapped user behavior and the home service robot behavior in a time series manner; And applying the schedule to a service blueprint and outputting the schedule through the user interface. At this time, the user action is an action of at least one member of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home service robot action is a detailed a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홈 서비스 로봇을 스케줄링할 수 있는 제작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 장소 및 상황 등의 조건을 직접 설정하여 홈 서비스 로봇 기능을 편리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tasks, a user can directly schedule a home service robot, thereby providing a home service robot function by directly setting conditions such as a time, place, and situ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can be conveniently scheduled.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제공하여,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하여 서비스 수혜자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자(즉, 홈 서비스 로봇) 및 서비스에 연계된 다양한 관련자의 행위를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 sol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blueprint as a user interface so that not only a service recipient but also a service provider (i.e., a home service robot) It is possible to design simple and intuitive ac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홈 서비스 로봇의 기능 별 행위와 사용자 별 행위를 모듈화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홈 서비스 로봇의 기능들 및 그에 매칭할 사용자 행위를 선택하여 간편하게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생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havior of each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behavior of each user are modularized and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so that the functions of the home service robot desired by the user,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can be easily generated by selecting an action.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케줄링해둔 플랜에 따라 가정 내부 및 외부에서 홈 서비스 로봇을 통해 가정 내부 및 자녀의 현재 상태를 이미지, 동영상 및 음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capable of real-time check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 and children through image, video, and voice through the home service robot from inside and outside the home according to the plan scheduled by the user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케줄링해둔 플랜에 따라 홈 서비스 로봇이 다른 가정의 홈 서비스 로봇과도 연동하여 다른 가정에 방문한 자녀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ice is provided in which a home service robot interlocks with a home service robot of another home according to a schedule that the user has scheduled, and can check the status of a child visiting another home .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케줄링 해둔 플랜에 따라 홈 서비스 로봇이 자녀의 영상을 촬영 및 편집하고, 플랜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대상 및 상황을 인식하여 사전에 편집된 자녀 영상을 재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service robot captures and edits a child's image according to a plan scheduled by a user, recognizes a service target and a situation set by the plan, And provides a service for reproducing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케줄링 해둔 플랜에 따라 홈 서비스 로봇이 사용자의 음성으로 녹음된 책을 저장해두고, 플랜에 의해 설정된 서비스 대상(예: 자녀) 및 상황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책의 음원을 재생하는 책 읽어주기 서비스를 제공한다.Furth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service robot stores a book recorded by the user's voice according to a plan scheduled by the user, and stores a service target (e.g., a child) And provides a reading service for reading the sound source of the corresponding boo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서비스에 적용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될 사용자 행위에 기반한 데일리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의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의 책 읽어주기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된 플랜 설정 화면의 일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된 홈 상태 출력 화면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이용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service blueprint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rvice blueprint applied to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ily scenario based on a user action to be applied to a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a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of a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a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of a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a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of a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the editing and notifying function of a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a book reading function of a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 plan setting screen output through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 home state output screen output through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using a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 또는 '모듈'이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및 그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하며, 하나의 유닛이 둘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Herein, the term " part " or " module " mean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or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by using both units.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service blueprint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는데 관련된 모든 구성들을 표현한 것으로서, 각 요소들의 상호 관계 및 정보의 흐름이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통해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눈에 보이는 부분 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Service blueprint is a representation of all the components involved in providing a service,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each element and the flow of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Such service blueprints can visually confirm not only the visible parts but also the invisible parts in relation to the service provis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상호작용선(line of interaction), 가시선(line of visivilty) 및 내부 상호작용선(line of internal interaction)에 의해 세로축 상에서 4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가시선(line of visibility)을 기준으로 눈에 보이는 가시화 영역(Onstage 또는 Front stage)과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화 영역(Backstage)으로 나뉜다.As shown in FIG. 1, the service blueprint can be divided into four regions on the vertical axis by a line of interaction, a line of visibility, and a line of internal interaction. At this time, the service blueprint is divided into a visible area (Onstage or Front stage) based on the line of visibility and an invisible area (Backstage).

상호작용선은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수혜자(Service Receiver, SR)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가 상호작용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즉, 상호작용선 상에서 발생되는 서비스 수혜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활동(즉, 행위)의 집합을 통해 서비스가 실제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선에 의해 서비스 수혜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다. 가시선은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있어 실제 보여질 부분과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서비스 블루프린트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선과 가시선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들에서 각 관련자들이 하는 행위 및 그에 따른 대응이 표현될 수 있다.The interaction line is the point where the Service Receiver (SR) that receives the service and the Service Provider (SP) that provides the service interact. That is, the service can actually be seen through a set of activities (ie, actions) of service beneficiaries and service providers that occur on the interaction line. The area of the service recipient and the service provider can be distinguished by this interaction line. The line of sight is the basi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actual and invisible parts of the service. In the service blueprint, behaviors performed by the respective persons in the areas separated by the interaction line and the visible line and corresponding correspondence can be expressed.

구체적으로, 상호작용선의 상부 영역은 서비스 수혜자의 행위(SR actions)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호작용선의 하부 영역은 행위 주체에 기준하여 다시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호작용선의 하부 영역들은 가시선 및 내부 상호작용선에 의해 구분된다. 가시선의 상부 영역은 서비스 수혜자와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행위(Onstage SP action)를 나타낸다. 그리고 가시선의 하부 영역이자 내부 상호작용선의 상부 영역은, 서비스 수혜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을 서포트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행위(Backstage SP action)를 나타낸다.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서비스 수혜자 및 서비스 제공자 중 적어도 하나가 다수일 경우에는 각각 해당 영역이 추가될 수 있다. 내부 상호작용선의 하부 영역은 서비스를 적절하고 완성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포트 시스템(Support process)을 나타낸다.Specifically, the upper area of the interaction line represents the SR actions of the service recipient. And the lower area of the interaction line can be divided into multiple areas based on the act subject. At this time, the lower regions of the interaction line are divided by the visible line and the internal interaction line. The upper area of the line of sight represents the behavior of the service providers (Onstage SP action) directly interacting with the service recipient. And the lower area of the line of sight and the upper area of the inner interaction line represent the behavior of the service providers supporting the service providers directly interacting with the service recipient (Backstage SP action). At this time, if the service blueprint has at least one of the service recipient and the service provider, the corresponding area may be added. The lower area of the internal interaction line represents a support process for providing the service in an appropriate and complete mann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서비스에 적용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ervice blueprint applied to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에 있어서 관련자들의 행위(Activity) 모델링을 위한 서비스 블루프린트(10)를 나타내었다.FIG. 2 shows a service blueprint 10 for activity modeling of related parties in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10)는 서비스 수혜자 레이어(SR layer) 및 서비스 제공자 레이어(SP layer)로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수혜자 레이어는 서비스 수혜자 행위(SR Activity) 레이어(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 레이어는, 서비스 수혜자(SR)가 직접 접촉하는 온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Onstage SP Activity) 레이어(12), 및 서비스 수혜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백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Backstage SP Activity) 레이어(13)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블루프린트(10)에는 지원 프로세스(Support Process) 레이어(14)가 추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blueprint 10 may be composed of a service beneficiary layer (SR layer) and a service provider layer (SP layer). The service beneficiary layer includes a service activity (SR Activity) layer (11). The service provider layer includes an On Stage SP Activity layer 12 in which the service recipient SR directly contacts and a Backstage SP Activity layer 12 in which the service recipient does not directly contact 13). In addition, a support process layer 14 may be added to the service blueprint 10.

도 2에서와같이, 서비스 블루프린트(10)를 통해 관련자(즉, 서비스 수혜자, 서비스 제공자 및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대상)의 행위를 정의 및 분류할 수 있으며, 각 행위 간 연관 관계를 분석 및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련자의 행위(activities) 간 상호 관련성을 기초로 행위 모델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10)에는 관련자 각각에 해당되는 행위가 정의되어 시계열적으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서비스 수혜자와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 간 상호작용(즉, 관련성)에 따라 연관 관계가 시각적으로 열거된다.As shown in FIG. 2, the service blueprint 10 can be used to define and classify behaviors of interested parties (that is, all persons associated with the service recipient, service provider, and service) . Behavioral modeling can also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interrelationships between activities of related parties. At this time, an ac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lated parties is defined in the service blueprint 10, and displayed in a time-series manner. And associations are visually enumerate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ie, relevance) between the behavior of the service recipient and the service provider.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홈 서비스 로봇의 각종 기능을 제공받게 되는 서비스 수혜자의 행위(SR activity 1~4)는 각각 온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SP Activity 1~4)와 연관 관계를 가지며, 온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SP Activity 1~4) 중 적어도 하나는 백스테이지(Backstage)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SP Activity 5) 및 지원 프로세스(Support 1)와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해당 행위간 연관 관계가 시각적으로 서비스 블루프린트(10)에 열거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activities (SR activities 1 to 4) of the service recipient who are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s of the home service robot are related to the activities (SP activities 1 to 4) of the on-stage service providers , And at least one of the actions of the on-stage service provider (SP Activity 1-4) may be associated with the action of the backstage service provider (SP Activity 5) and the support process (Support 1). Such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rresponding actions is visually listed in the service blueprint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는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링 처리 시, 사용자가 직접 관련자들의 행위(stakeholder activities)를 모델링(즉, 정의 및 분류)할 수 있고, 각 행위 간 연관 관계를 디자인(즉, 편집 및 생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서비스 블루프린트로 출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라고 지칭하도록 한다.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el (i.e., define and classify) stakeholder activities of users in a scheduling process of a home service robot, Can be designed (i.e., edited and generated), and a user interface for outputting the result in a service blueprint is provided. Hereinafter, a user interface to which such service blueprint is applied will be referred to as a " service blueprint interface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는 통신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3,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memory 120, and a processor 130.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은 홉 서비스 로봇(300)의 적어도 하나의 세부 동작들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서비스 블루프린트에서 "서비스"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예를 들어, 홈 서비스 로봇을 사용하는 가족 구성원)는 "서비스 수혜자"의 개념에 대응되며, 홈 서비스 로봇(300)은 "서비스 제공자"의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홈 서비스 로봇(300)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은 서비스 블루프린트에서 "온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 개념에 대응되고, 홈 서비스 로봇(300)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자체적으로 또는 다른 장비들과 연계하여 처리하는 각종 동작들은 "백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 및 "지원 프로세서" 개념에 대응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are those provided by at least one detailed operation of the hop service robot 300, Lt; / RTI > The user (for example, a family member using the home service robot)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the "service beneficiary ", and the home service robot 300 can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the" service provider ". Also,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directly to the user or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behavior of the onstage service provider" in the service blueprint, and the home service robot 300 Various operations that are performed on their own or in connection with other device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provided to the user may correspond to the "backstage service provider's behavior" and "support processor" concept.

한편,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가 홈 서비스 로봇(300)과 별개의 장치인 것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는 홈 서비스 로봇(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는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 가능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동작을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과 연동하거나 또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제어 시스템 자체에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1,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a separate apparatus from the home service robot 300. [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may be included in the home service robot 300. In this case,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includes all (Hardware and software) that processes all the operations to perform the functions, or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system itself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in one configuration.

통신모듈(110)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10 processe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user terminal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홈 서비스 로봇(3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용 단말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홈 서비스 스케줄링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of a user registered in advance to use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a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DMA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s, tablet PCs and the like. Device. The user terminal 200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such as interne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arch to a portable terminal. The user terminal 200 is a smart phone capable of installing and executing a large number of application programs (i.e., applications) Or the like. Also,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 that can access the home service scheduling apparatus 100 through a network.

또한, 통신 모듈(110)은 홈 서비스 로봇(3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의 경우 홈 서비스 로봇 자체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때 통신 모듈은 홈 서비스 로봇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handle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home service robot 300. For reference,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the home service robot itself.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메모리(120)에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memory 120 stores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that provides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는, 홈 서비스 로봇(3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직접 '관련자 행위'와 매칭하여 스케줄링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The service blur print interface is a user interface that enables a user to directly perform various function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home service robot 300 by matching the '

이러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 및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아래 프로세서(130)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and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processor 130 described below.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력이 필요한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 외에도 홈 서비스 로봇(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이는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The memory 120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on-volatile storage device that keeps stored information even when power is not supplied, and a volatile storage device that requires power to maintain stored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various programs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re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can be processed by the processor 130. [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그 밖에 홈 서비스 로봇(3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executes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can process various processes for opera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

프로세서(130)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응하여, 통신 모듈(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가 각종 플랜을 직접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hrough which the user can directly generate various plans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to the user terminal 200. [

프로세서(130)는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로서 선택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복수의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를 사전에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결정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매핑하고, 매핑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스케줄링하고,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 상에 적용하여 출력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의 행위는 홈 서비스 로봇(300)이 구비된 가정 내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의 행위이고,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는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행위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outputs a plurality of user actions and a behavior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at are modularized so as to be selectable as a component of the service blueprint and inputs an action of the user selected by the user and an a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nd maps the inputted user behavior and the behavior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on the basis of a pre-set or an association relationship determined by the user, and maps the actions of the mapped user behavior and the home service robot 300 in a time-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is scheduled, and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is applied to the service blueprint to output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t this time, the behavior of the user is an action of at least one member of the household provided with the home service robot 300, and the a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is a function of performing a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It can be set as a detailed action.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형태로 제공되어 시각 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홈 서비스 로봇(300)을 통해서도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홈 서비스 로봇(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can be displayed as time information. The processor 130 can also provide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hrough the home service robot 300, which can be visually displayed through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home service robot 300.

또한, 프로세서(130)는 홈 서비스 로봇(300)이 스케줄링된 플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동을 제어하거나,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홈 서비스 로봇(300)으로 전달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30 controls driving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scheduled plan or transmits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home service robot 300 so that the home service robot 300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s.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종 플랜 데이터(즉, 관련자의 행위 등)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요소들을 모듈화시켜 상호관련성에 기초하여 매핑 및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홈 서비스 로봇(300)이 구비된 가정의 구성원(즉, 사용자), 사용자의 행위, 홈 서비스 로봇(300)의 기능에 따른 행위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호관련성을 기초로 매핑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관련자의 각 행위를 행위의 주체, 행위의 대상(즉, 객체), 도구 및 상황 요소를 포함한 상황 기반 행위 모델로 모델링한다.The processor 130 modulates the service blueprint components in advance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nd input various plan data (i. E., Behaviors of the interested parties)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nd map and store do. Specifically, the processor 130 associates one or more of the members of the home (that is, the user) having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e behavior of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on the behavior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rocessor 130 models each action of the concerned person into a situation-based action model including a subject of action, an object (i.e., object) of action, a tool, and a situation element.

즉, 프로세서(130)는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인 관련자, 관련자의 행위 및 기능을 각각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구성요소들을 각각의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매핑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모듈화된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시계열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측(즉, 사용자 단말 및 홈 서비스 로봇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련자, 관련자의 행위 및 기능을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 입력하였거나 또는 기존에 매핑되어 있던 구성요소들 간의 연관 관계를 새로 설정하거나 변경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processor 130 modularizes the behavior and function of the related party, the related party, which are components of the service blueprint, and maps the modularized components based on the respective association relationships.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o the user side (i.e.,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home service robot)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modularized components and to configure them in a time-series manner. At this time, the user can additionally input the action and function of the person concerned and the person concerned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In addition, the user can newly set or change the association between newly input or previously mapped components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프로세서(130)는 이상에서 매핑된 정보 및 매핑된 정보 간 연관관계를 그래픽처리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관련자의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분류하고, 행위 및 기능이 연관 관계를 갖도록 표시된 서비스 블루프린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graphically process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apped information and the mapped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association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t this time, the processor 130 classifies the actions of the persons concerned in a time-series manner and outputs them in a service blueprint format in which the actions and the functions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이처럼, 프로세서(130)가 제공하는 상황 기반 행위 모델은 사용자(즉, 가정 내 구성원 중 허가된 적어도 한명)가 직접 조작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ext-based behavioral model provided by the processor 130 may directly generate various scenarios by the user (i.e., at least one authorized member of the household).

즉, 프로세서(130)는 관련자의 각 행위 및 상황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는 시나리오 생성 템플릿으로서의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된 "관련자의 행위"를 선택하고, 선택된 행위에 따른 행위 컨셉(Concept)들을 상호 연결하여 "상황"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각 기능, 관련자 및 관련자의 각 행위는 하나 이상으로 세부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행위는 임의의 상황에 기초한 행위 컨셉을 가지고 있으며, 각 행위로부터 특정 행위 컨셉을 선택하고 이를 연결(또는 결합)함으로써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링을 위한 행위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s a scenario creation template that allows a user to directly select and edit each action and situation of a related person. At this time, the user can create a variety of scenarios by selecting the " action of a related person " visually displayed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nd constructing a "situation " by interconnecting behavior concepts according to the selected action. For reference, each action of each function, related person, and related pers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can be subdivided into one or more. Each action has an action concept based on an arbitrary situation, and a behavior scenario for scheduling of a home service robot can be created by selecting a specific action concept from each action and connecting (or combining) the same.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프로세서(130)가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nner in which the processor 130 provides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될 사용자 행위에 기반한 데일리 시나리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aily scenario based on a user action to be applied to a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홈 서비스 로봇(300)이 구비된 가정(home)에서 서비스 수혜자 중 하나인 "자녀(children)" 입장에서의 데일리 시나리오를 나타내었다.FIG. 4 shows a daily scenario in the case of "children" which is one of the service beneficiaries in the home provided with the home service robot 300.

도 4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자녀가 기상한 이후 할머니가 집에 방문하면 엄마는 출근을 한다. 그 후 아빠가 기상하고, 자녀는 할머니와 아침식사를 한 뒤 등원 준비를 하고 등원을 한다. 이후 아빠가 출근을 하고, 자녀는 어린이집 생활을 한 후 할머니와 하원하는 길에 놀이터를 들려 집으로 귀가한다. 그리고 자녀는 혼자 놀다가 할머니와 저녁 식사를 하고, 엄마가 퇴근을 하면 할머니가 귀가한다. 그 후 자녀는 엄마와 책보기 등으로 시간을 보내다가 취침을 하며, 자녀와 엄마가 잠든 후 아빠가 퇴근을 한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grandmother visits the house after the child wakes up, the mother goes to work. After that, my dad wakes up and my child goes to bed with my grandmother and prepares for my backpacking. After that, my dad goes to work, my child goes to home, then goes home with grandmother on the way to the house. And when the child plays alone, she goes to dinner with her grandmother, and when she gets home, she goes home. After that, the child spends time with the mother and looks at the book, sleeps, and after the child and mother sleep, the father goes to work.

이러한, 데일리 시나리오를 서비스 블루프린트 형태로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130)는 다양한 관련자 별 행위(예를 들어, "할머니 방문", "엄마 출근", 및 "엄마 퇴근" 등)를 모듈화하되, 이처럼 모듈화된 관련자의 행위들을 각종 정보(예를 들어, 행위의 주체, 행위의 객체, 도구, 상황요소, 이벤트 및 환경 등)와 매핑하여 관리한다.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configure such a daily scenario as a service blueprint, the processor 130 modularizes various pertinent behaviors (e.g., "grandmother visit", "mom work", and "mom work" However, the modularized activities of related persons are managed by mapping them to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for example, subject of action, object of action, tool, situation element, event and environment, etc.).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들을 선택하여 홈 서비스 로봇(300)의 스케줄링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capable of implementing a scheduling scenario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by selecting components of the service bluet that the user desires.

이러한,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서비스 로봇의 다양한 기능이 스케줄링 시나리오 상에 추가될 수 있다.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various functions of the home service robot can be added to the scheduling scenario.

예를 들어, 홈 서비스 로봇(300)은 사용자(즉, 가족 구성원)가 가정 내부 또는 외부에서 가정 내부(예: 자녀가 위치한 장소) 또는 자녀의 현재 상태를 다양한 정보(이미지, 동영상 및 음성 녹음 등)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다른 가정의 홈 서비스 로봇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외부(즉, 다른 가정)에 있는 자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me service robot 300 may allow a user (i.e., a family member) to store various information (image, video, voice recording, etc.) ), And provides a "current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such as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child in the outside (that is, another home) in cooperation with the home service robot of another home can do.

그리고 홈 서비스 로봇(300)은 임의의 기간 동안 자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즉,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을 편집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스케줄링된 플랜에 따라 편집 영상을 재생하여 보여주는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n, the home service robot 300 shoots the chil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reates an edited image by editing the photographed image (i.e., an image and a moving image), reproduces the edited image according to the plan scheduled by the user Quot; edit " function.

또한, 홈 서비스 로봇(300)은 사전에 사용자(예를 들어, 부모)가 책을 읽는 음성을 녹음해두고, 사용자에 의해 스케줄링된 플랜에 따라 자녀에게 사전에 녹음된 음원(즉, 부모가 녹음해둔 책 읽기 음성)을 재생하여 들려주는 "책 읽어주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service robot 300 may record a sound in which a user (for example, a parent) reads a book in advance, and record the sound source pre-recorded to the child according to the plan scheduled by the user Quot; book reading function "for playing back and listening to a book reading voice) can be provided.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하는 기능의 종류는 이상에서 설명한 기능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The types of functions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various functions can be set.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300)은 설정된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홈 서비스 로봇(300)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 서비스 로봇(30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프로세서(13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가 홈 서비스 로봇(300) 상에 구현된 경우, 프로세서(130)가 직접 홈 서비스 로봇(30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home service robo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not shown)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each set function is stored, and a processor (Not shown). At this time, 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executes a program for performing respective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command. For reference, when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is implemented on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e processor 130 may drive the home service robot 300 directly.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링 시나리오가 표시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service blueprint showing a scheduling scenario of the home service robo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FIG.

도 5 내지 도 9에서 나타낸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생성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30)가 사용자 단말(200)로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 상에 제공된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서비스 로봇(300)의 동작(즉, 기능)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서비스 수혜자 별 행위 및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를 선택한다.When the processor 130 provides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200 to generate the service blueprint shown in Figs. 5-9, the user may access the service blueprint via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200 The service provider's behavior and the service provider's behavior for scheduling the operation (i.e.,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re selected.

이하에서 설명할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예시에서는, "서비스 수혜자의 행위" 및 "온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를 위주로 도시하였으며, "백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 및 "지원 프로세스"는 홈 서비스 로봇(300) 자체에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또는 홈 서비스 로봇(300)과 연동된 지원 프로세스를 의미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는 생략하였다. 그러나 프로세서(130)는 "백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 및 "지원 프로세스"가 포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백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 및 "지원 프로세스"와 "온스테이지 서비스 제공자 행위"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표시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backstage service provider action "and the" support process "refer to the home service robot 300 itself and the " backstage service provider activity " Or a support process interlocked with the home service robot 300, and thus is omitted in the user interface. However, the processor 130 may provide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capable of generating a service blueprint that includes a " backstage service provider action "and a" support process. &Quot; The processor 130 may also provide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hat displays together the "back-stage service provider behavior" and the "support process" and the "on-stage service provider behavior" separately.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예시에서는, 서비스 제공자인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하는 서비스(즉, 기능)에 대한 관련자 행위 간의 연관 관계만을 화살표로 표시하였으며, 설명의 편의상 다른 관련자들의 행위 간 연관 관계에 대한 표시는 생략하였다.In the example of the service blueprin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only the association between the pertinent activities for the service (i.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serving as the service provider is indicated by an arrow.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dications for interactions between actions are omitted.

도 5 내지 도 7은 홈 서비스 로봇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S. 5-7 illustrate exemplary service blueprint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도 5에서는 서비스 수혜자로서 "엄마"가 설정되고, 서비스 제공자로서 홈 서비스 로봇(이하, "로봇"이라고 지칭함)이 설정되며, 그 외의 관련자로서 "자녀", "아빠", "할머니"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홈 서비스 로봇(300)이 설정된 조건(시점, 관련자 행위 및 상황 등)에 자녀 또는 집안 내부의 현재 상태를 사진(image)으로 촬영하여 외부에 있는 "엄마"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이 스케줄링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도시하였다.5, "mother" is set as the service beneficiary, a home service robot (hereinafter referred to as "robot") is set as a service provider, and "child", "father" Respectively. Then, the home service robot 300 photographs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or the inside of the house in a set condition (viewpoint, relevant person behavior, situation, and the like) and provides it to the "mother" Notification function "shows the scheduled service blueprint.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자녀의 행위로서 "놀이터로 이동하기", "놀이터 도착하기", "놀이터에서 놀기", "집으로 도착하기", "거실로 이동하기" 등의 행위가 설정되며, 할머니의 행위 또한 자녀의 행위와 대응되어 "놀이터로 이동하기", "놀이터 도착하기", "놀이터에서 놀기", "집으로 도착하기", "거실로 이동하기" 등으로 설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각 관련자의 행위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상에 시계열적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도 5에서는 엄마의 행위로서 "플랜 설정하기", "플랜 저장하기" 등의 로봇을 스케줄링하는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관련자 및 서비스 수혜자의 행위는 사전에 설정되어 서비스 블루프린트 상에 구성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새로 구성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in FIG. 5, the actions of the child are set as "move to the playground", "arrive at the playground", "play at the playground", "arrive at home", "move to the living room" The behavior of the child was also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behavior of the child such as "moving to the playground", "arriving at the playground", "playing at the playground", "arriving at home" and "moving to the living room". At this time, the actions of each participant are arranged in a time series on the service blueprint. In FIG. 5, it is shown that the act of scheduling the robots such as " plan setting "and" save plan " The behavior of the related persons and the beneficiaries of the service may be set in advance on the service blueprint or may be newly selected by the user.

도 5에서와 같이, 엄마는 플랜을 설정한 후 저장하는 행위를 통해 로봇으로 해당 플랜을 전송함으로써 스케줄링을 처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즉, 엄마)가 플랜으로서, 자녀 및 할머니가 "집 도착하기" 행위를 수행한 후 "욕실로 이동하기" 행위를 수행하기까지의 기간 내에서 임의의 시점 또는 상황에서, 로봇이 "촬영하기" 및 "엄마에게 사진 보내기" 행위를 하도록, 관련자 및 서비스 제공자의 행위를 선택한 것을 나타내었다. As shown in FIG. 5, the mother can process the scheduling by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plan to the robot through setting and storing the plan. 5, a user (i.e., a mother) is a plan, and at any point in time or in a period of time from when the child and grandmother perform the " , And that the actors of the association and the service provider selected the action "take a picture" and "send a picture to the mother".

이에 따라, 로봇이 가정 내부 또는 자녀의 현재 상태를 촬영하여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로봇이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여 아이의 안부를 확인하는 일련의 행위 및 기능(P50)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bot captures the current state of the inside of the home or the child, transmits the captured state to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outside, receives a photograph taken by the robot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Lt; RTI ID = 0.0 > P50 < / RTI >

이상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의 다른 예 또한 스케줄링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presence notifica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in a manner similar to the above can also be scheduled.

도 6에서 나타낸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의 다른 예에 따르면, 로봇은 설정된 조건에서 자녀 또는 집안 내부의 현재 상태를 동영상(video)으로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엄마"에게 실시간으로 전송(즉, 스트리밍)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shown in Fig. 6, the robot captures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or the inside of the house in a set condition and transmits the captured moving picture to the" , ≪ / RTI > streaming).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로봇이 설정된 시간에 집안 내부 또는 자녀를 동영상 촬영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로봇이 스트리밍하는 동영상을 수신하여 영상을 확인하면서 출근을 준비하는 일련의 행위 및 기능(P60)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robot captures a moving image of the inside of the house or the child at a set time, transmits the photographed moving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in real time, And a series of actions and functions (P60) for preparing to go to work while checking the images can be scheduled.

이처럼, 도 5 및 도 6에서는 로봇의 기능 중 촬영(이미지 또는 동영상) 기능이 임의의 조건에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스케줄링하되, 촬영 결과를 집안 내부 또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플레이되도록 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도 7에서는 홈 서비스 로봇이 다른 홈 서비스 로봇과의 연동을 통해 다른 장소(예: 보모의 집)에 방문한 "자녀"의 현재 상태를 "엄마"에게 알리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나타냈다.5 and 6, the functions of the robot (image or moving picture) are automatically scheduled to be operated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the result of the photographing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inside or outside the house to be played "Present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was described. 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in which the home service robot notifies the "mother" of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visited at another place Service blueprint.

도 7에서, 로봇 1은 서비스 수혜자(즉, 엄마)의 가정에 구비된 홈 서비스 로봇이며, 로봇 2는 서비스 수혜자의 가정이 아닌 다른 가정에 구비된 홈 서비스 로봇을 의미한다.7, the robot 1 is a home service robot provided in the home of a service recipient (i.e., mother), and the robot 2 is a home service robot provided in a home other than the home of a service recipient.

또한, 도 7에서는 자녀의 행위로서 "보모집 도착하기" 및 "그림 그리기" 등의 행위가 설정되고, 보모의 행위 또한 자녀의 행위에 대응하여 "집 도착하기" 및 "아이가 노는 것 지켜보기" 등으로 설정되며, 이러한 관련자의 행위가 서비스 블루프린트 상에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냈다. 이때, 엄마의 행위로서 "플랜 설정하기", "로봇 선택하기" 및 "플랜 저장하기" 등의 로봇을 스케줄링하는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그리고, 로봇 1이 엄마의 플랜 저장 행위에 대응하여 "플랜 받기", 로봇 2로 "권한 물어보기" 및 "플랜 보내기" 등의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또한, 로봇 2가 로봇 1의 플랜 보내기 행위에 대응하여 "권한 제공하기", 로봇 1로부터 "플랜 받기", 엄마의 사용자 단말로 "음성 들려주기"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In Fig. 7, behaviors such as " arriving at a housewarming "and" drawing a picture "are set as child's actions and the behavior of a nanny is also referred to as & "Etc., indicating that the actions of these stakeholders are arranged in a time series on the service blueprint. At this time, it has been shown that the act of scheduling the robot such as "setting the plan", "selecting the robot" and "saving the plan" is set as the behavior of the mother. Then, the robot 1 indicates that the action such as " receive a plan "in response to the mother's plan storing action," request permission to the robot 2 "and" send a plan " In addition, the robot 2 has been set to "grant authority" in response to the plan sending behavior of the robot 1, "receive plan" from the robot 1, and "voice hear" to the user terminal of the mother.

즉, 도 7에서는 서비스 수혜자인 사용자(즉, 엄마)가, 자녀의 "보모집 도착하기" 및 "그림 그리기" 행위 이후 임의의 시점 또는 상황에서 로봇 1로 가정 외 다른 장소에 대한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플랜을 설정한 것을 나타냈다. 그리고, 로봇 1이 보모집 홈 서비스 로봇(즉, 로봇 2)과 통신하여 로봇 2가 "음성 들려주기" 행위를 하도록 요청하는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That is, in FIG. 7, the user (i.e., mother) who is the service beneficiary receives the "present status notification " for the other place outside the home with the robot 1 at any point in time or situation after the child 'Quot; function "is set. Then, the robot 1 communicates with the home care robot (i.e., the robot 2) to request the robot 2 to perform a " speech "action.

이에 따라, 서비스 수혜자의 가정이 아닌 다른 가정에 구비된 홈 서비스 로봇(즉, 로봇 2)이 자신의 가정(즉, 보모집)에서 자녀가 위치한 장소에 대해 녹음된 음원을 서비스 수혜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수혜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로봇 2가 제공한 음원(즉, 녹음된 음성 등)을 수신하여 "스피커로 보모네 소리듣기"를 하는 일련의 행위 및 기능(P70)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ome service robot (i.e., the robot 2) provided in a home other than the home of the service recipient can record the recorded sound about the place where the child is located in the home (i.e., the home) 200), and a series of actions and functions ("P70") in which a service recipient receives a sound source (that is, a recorded voice, etc.) provided by the robot 2 via the user terminal 200 and " Can be scheduled.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은 자체적으로 또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다른 가정의 홈 서비스 로봇과의 통신 및 사용자 권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서비스 로봇(300)은 다른 가정의 사용자가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도록 허가하는 권한을 등록해주고, 다른 홈 서비스 로봇으로부터 임의의 기능에 대한 원격 사용 요청을 받으면 해당 요청을 하는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홈 서비스 로봇(300)은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다른 홈 서비스 로봇으로부터 "플랜 받기"를 처리한 후 수신된 플랜에 따른 행위(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home service robot of another home and user authority authentication processing by itself o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30. Specifically, the home service robot 300 registers the right to permit at least one of the 'home' functions from the user of another home, and when receiving a remote use request for a certain function from another home service robot, It is possible to authenticate whether the user is a pre-registered user. Then, the home service robot 300 can perform an action (i.e., func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plan after processing the "receive plan" from another home service robot for the authenticated user.

도 8은 홈 서비스 로봇의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the editing and notifying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도 8에서는 서비스 수혜자로서 "아빠" 및 "엄마"가 설정되고, 서비스 제공자로서 "로봇"이 설정되며, 관련자로서 "자녀" 및 "할머니"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엄마"가 홈 서비스 로봇(300)이 촬영하여둔 사진컷들 중 복수의 사진을 선택하면, 홈 서비스 로봇(300)이 선택된 사진들을 편집하고 기설정된 플랜에 따른 조건에서 "아빠"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이 스케줄링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도시하였다.8 shows that "Dad" and "Mom" are set as service beneficiaries, "Robot" is set as a service provider, and "Child" and "Grandmother" are set as related persons. When the "mom" selects a plurality of photos among the photo cuts photograph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e home service robot 300 edits the selected photographs and displays " "Editing < RTI ID = 0.0 > Notification"

구체적으로, 도 8에서는 로봇에 대해 사용자(예: 엄마)가 사전에 설정해둔 플랜에 따라, 로봇이 자녀를 사진 촬영하여 복수의 사진을 저장해두도록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그리고 엄마의 행위로서 "사진컷 확인하기", "사진 선택하기", "플랜 설정하기", "플랜 저장하기", "방으로 이동하기", "취침하기" 등의 로봇을 스케줄링하는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또한, 로봇의 행위로서 엄마의 "플랜 저장하기" 행위에 대응된 "플랜 받기", "플랜 대기하기", "거실로 이동하기", "아이사진 재생하기" 등의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또한, 아빠의 행위로서 "퇴근하기", "로봇과 마주하기", "거실로 이동하기", "아이사진 보기" 등의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Specifically, FIG. 8 shows that the robot is set to store a plurality of pictures by photographing the child according to a plan previously set by a user (e.g., a mother) with respect to the robot. Then, as an act of the mother, an act of scheduling a robot such as "Confirm a photo cut", "Select a picture", "Set a plan", "Save a plan", "Move to a room",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behavior of the robot indicated that actions such as "receiving a plan", "waiting for a plan", "moving to a living room" and "playing a child photo" corresponding to a mother's "save plan" In addition, dad 's actions indicated that activities such as "going to work", "facing robot", "moving to living room", "viewing child photo" were set up.

도 8에서는, 사용자(즉, 엄마)가 플랜으로서 다음과 같은 일련의 관련자 행위를 선택한 것을 나타내었다. 즉, 아빠가 "퇴근하기?, "로봇과 마주하기" 및 "거실로 이동하기" 행위를 수행한 후 임의의 시점 또는 상황에서, 로봇이 "플랜 대기하기"를 하다 아빠와 마주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아빠의 "거실로 이동하기" 행위에 대응하여 로봇이 함께 "거실로 이동하기" 행위를 한 후 "아이사진 재생하기" 행위를 하도록 스케줄링된 것을 나타냈다.In Fig. 8, the user (i.e., mother) has selected the following series of related activities as a plan. In other words, when the dad performs a task such as "going home," "facing the robot," and "moving to the living room," the robot faces the father in a "waiting for a plan" , It is indicated that the robot is scheduled to perform the "play child photo" action after the robot performs the "move to the living room" in response to the dad's "move to the living room".

이에 따라, 로봇이 서비스 수혜자를 인식한 후 편집된 자녀 사진을 자신의 디스플레이 유닛(또는 별도의 홈 네트워크 장비 중 디스플레이 장비 등)을 통해 재생하여, 서비스 수혜자인 아빠가 아이사진을 보며 아이의 하루일과를 확인하는 일련의 행위 및 기능(P80)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robot recognizes the service recipient, the edited child picture is reproduc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or the display device of the separate home network equipment), and the dad as the service recipient views the child picture, A series of actions and functions (P80) can be schedul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서비스 로봇의 책 읽어주기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rvice blueprint related to a book reading function of a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서는 서비스 수혜자로서 "자녀" 및 "엄마"가 설정되고, 서비스 제공자로서 "로봇"이 설정되며, 관련자로서 "아빠" 및 "할머니"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엄마"가 사전에 "로봇"과의 대응된 행위를 통해 자녀에게 읽어줄 책을 미리 녹음해두면, 홈 서비스 로봇(300)이 "자녀"가 선택하는 책 읽기 조건에 따라 엄마가 녹음해둔 '음성으로 책 읽기'를 제공하는 "책 읽어주기 기능"이 스케줄링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도시하였다.9 shows that "child" and "mother" are set as service beneficiaries, "robot" is set as a service provider, and "dad" and "grandmother" are set as related persons. If the "Mom" prepares a book to be read to the child in advance through a corresponding action with the "robot", the home service robot 300 can read the book in accordance with the reading conditions selected by the "child" A "Book Read Function " providing a " read book by voice" shows a scheduled service blue print.

구체적으로, 도 9에서는 사용자(예: 엄마)가 사전에 책을 선택하여 책의 파트 별로 로봇을 통해 녹음해두는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이와 관련하여, 엄마의 "오늘의 책 선택하기", "파트별 목소리 녹음하기", "오늘의 책 지정위치에 두기", "오늘의 책 QR 코드 인지시키기", "취침하기" 등의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그리고 이러한 엄마의 행위에 대응하여, 로봇의 행위로서 엄마의 "파트별 목소리 녹음하기"에 관련된 "녹음하기" 행위와, 엄마의 "오늘의 책 QR 코드 인지시키기" 행위에 관련된 "오늘의 책 QR 코드 인지하기" 및 "저장하기"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Specifically, FIG. 9 shows that a user (for example, a mother) selects a book in advance and sets an action to record the book part by robot. In this regard, the actions of the mother, such as "choosing the book of the day", "recording the voice for each part", "putting it in the designated position of today", "recognizing the book QR code of today" Set. In response to these mom's actions, the act of "recording" related to the mother's "part-by-part recording" as a robot's action and the "today's book QR Code recognition "and" save "

그리고 도 9에서는 엄마가 자녀에게 책 읽어주기를 수행할 조건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플랜을 저장하는 행위로서, "플랜 설정하기" 및 "세부사항 선택하기" 등의 로봇을 스케줄링하는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또한, 로봇의 행위로서 "플랜 받기", "플랜 저장하기", "인지 대상에게 다가가 책보자고 말하기", "자녀임을 확인하는 화면 보여주기", "오늘의 책 제목 및 위치 알려주기", "QR 코드로 책 제목 확인하기", "엄마 목소리로 음성 모드 전환하기", "QR 코드로 아이가 보는 부분 인식하기" 및 "아이가 보는 부분 음성 들려주기" 등의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 또한, 자녀의 행위로서, 로봇의 "인지대상에게 다가가 책보자고 말하기" 이후의 행위들에 대응하여 "화면 터치하여 수락하기", "책제목 확인하기", "로봇용 책 가져오기", "책보기" 등의 행위가 설정된 것을 나타냈다.In FIG. 9, it is shown that the act of scheduling robots such as "plan setting" and "selecting details" is set as a behavior in which a mother selects a condition for reading a book to a child and stores a plan corresponding thereto . In addition, the robot acts as an activity of "getting plan", "saving the plan", "approaching the cognitive subject and talking and speaking", "showing the screen confirming the child", " Quot ;, " confirming a book title with a QR code ", "switching a voice mode to a mother voice "," recognizing a child with a QR code " In addition, as a child's behavior, in response to the actions of the robot after "approaching a cognitive subject and seeing and talking", "accepting touch screen", "checking book title", " Book view "and the like.

도 9에서는, 엄마가 플랜으로서 다음과 같은 관련자 행위를 선택한 것을 나타냈다. 즉, 자녀가 "저녁 식사하기" 행위를 수행한 후 임의의 시점 또는 상황에서, 로봇이 "인지대상에게 다가가 책보자고 말하기" 행위를 한 후 자녀의 행위에 대응하여 사전에 엄마가 녹음해둔 오늘의 책에서 "QR 코드로 아이가 보는 부분 인식하기" 및 "아이가 보는 부분 음성 들려주기" 행위를 하도록 스케줄링된 것을 나타냈다.In Fig. 9, the mother indicated that she chose the following related act as a plan. In other words, after the child performs the "supper" action, the robot "approaches the cognitively, and then tells and talks about the book" at any point in time or situation. Then, in response to the child's behavior, Quot; and "play a part of the child's voice" in the book of " QR code. &Quot;

이에 따라, 로봇이 서비스 수혜자(즉, 자녀)를 인식한 후 사전에 엄마가 녹음해둔 책에서 자녀가 선택한 부분에 대응하는 책 읽어 주기를 수행하는 일련의 행위 및 기능(P90)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Accordingly, after the robot recognizes the service recipient (that is, the child), a series of actions and functions (P90) for reading the book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selected by the child in the book recorded in advance by the mother can be scheduled .

이상 도 5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각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기능이 복합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기능이 수행되는 조건 또한 서로 교차하여 변경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케줄링 시나리오에 포함되는 관련자의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의 기능은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Each of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described in FIGS. 5 to 9 can be configured in a complex manner, and the conditions under which each function is performed can also be changed by mutually crossing. That is,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the behavior of a related person included in the scheduling scenario and the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can be freely set.

한편, 도 5 내지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수혜자(즉, 사용자)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스케줄링을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200) 상에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에 접속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 폰인 경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있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즉, "앱" 또는 "어플")을 통해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5 to 9, in order to receive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capable of handling the scheduling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e service recipient (i.e., the user) And connects to the schedul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200 is a smart phone,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mobile application for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i.e., an "app" or an " To provide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이하, 앞서 도 5 내지 9에 적용된 사용자(예: 엄마)가 로봇에 대한 "플랜 설정하기" 및 "플랜 저장하기" 행위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let us describe in more detail the process in which the user (for example, a mother) applied to FIGS. 5 to 9 processes the action of "setting a plan" and "saving a plan" for the robot.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된 플랜 설정 화면의 일례다.10 is an example of a plan setting screen output through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 상에서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앱을 실행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에서 실행된 모바일 앱 상에서의 플래닝 메뉴로 이동하여 플랜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모바일 앱 상에서의 플랜 설정은 텍스트 입력 등의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구성요소(즉, 모듈화된 관련자의 행위 등)에 관련된 키워드 등을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 상에서 텍스트로 입력하면,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텍스트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출력된 구성요소 중 원하는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행위로서 입력할 수 있다. 도 10에는 사전에 설정된 구성요소로서 "Wake up", "Take Pill", "Pay for Util fee" 등의 행위가 화면 하단의 '선택창'에 출력된 것을 나타냈다. 이때, 사용자가 "Wake up" 행위를 선택한 후 "SAVE" 버튼을 입력하면, 복수의 행위가 시계열적으로 배열된 스케줄 상에 "Wake up" 행위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즉, 시간 및 순서 등)에 추가되어 화면 상단의 "스케줄 출력창"에 출력된다.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의 "스케줄 출력창"에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형태의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이 출력될 수 있다.FIG. 10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mobile application providing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is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200. FIG. At this time, the user can go to a planning menu on the mobile app executed by the user terminal 200 to set a plan. For reference, the plan setting on the mobile app can be processed by text input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a keyword related to a component to be selected by a user (that is, a behavior of a modular related person) is input as text on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text are displayed on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ext or an image, and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one of the outputted components and input them as an action to the service blueprint. In FIG. 10, actions such as " Wake up ", "Take Pill ", and" Pay for Util fee "are displayed on the selection window at the bottom of the screen. At this time, when the user selects the " Wake up "action and then inputs the" SAVE "button, the " Wake up" And it is output to the "schedule output window" at the top of the screen. At this time, the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of the service blueprint type can be output to the "schedule output window" of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이하, 앞서 도 5 내지 7에서 설명한 홈 서비스 로봇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 제공에 따라, 사용자(예: 엄마)가 자녀 또는 집안 내부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or the inside of the hou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된 홈 상태 출력 화면의 일례이다.11 is an example of a home state output screen output through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가 제공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 상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may be output through a mobile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200.

도 11에서는, 도 5 내지 7에서 설명한 홈 서비스 로봇(300)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이 스케줄링된 경우,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전송한 사진(이미지) 및 동영상 등이 사용자 단말(200)의 모바일 앱을 통해 출력된 화면의 예를 나타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 하단의 "현재 상태 출력창(P110)"을 통해 홈 서비스 로봇(300)으로부터 수신된 동영상(또는 이미지)가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는 현재 상태 출력창(P110)에 표시된 '방향키'를 조작하여. 홈 서비스 로봇(300)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있는 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즉, 홈 서비스 로봇(300)이 집안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스트리밍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집안 내부의 위치를 변경하여가며 촬영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11, when a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described in FIGS. 5 to 7 is scheduled, a photograph (image) and a moving image transmitt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200, Of mobile apps. 11, the moving image (or image) received from the home service robot 300 is output through the "current state output window P110" at the bottom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200. [ At this time, the user operates the 'direction key' displayed on the current status output window P110. The home service robot 300 can manipul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me service robot 300 is shooting in real time. That is, when the home service robot 300 photographs and streams the inside of the house in real time, it can provide a result of photographing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side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를 통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using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이용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using a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절차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100)의 프로세서(130)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cedure shown in FIG. 12 can be processed through the processor 130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100.

먼저, 사용자 단말(200) 또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즉,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00).First, a user interface (i.e., a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ccording to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is provided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home service robot 300 (S200).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는 모듈화된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요소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그리고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들에 기반하여 설정된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로 표시한다.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is a user interface that outputs modular service blueprint components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m, and receives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displays the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which is set based on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s a service blueprint.

모듈화된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요소들은, 홈 서비스 로봇(300)의 기능 별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300)을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즉, 주체 및 객체) 별 행위를 포함한다. 이때,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요소들은 각각 상호연관성을 기초로 매핑되어 저장된 상태이다. 더불어,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요소들은 각 행위의 주체, 행위의 대상(즉, 객체),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 상황 요소, 이벤트 및 환경 등의 정보와도 매핑되어 상황 기반 행위 모델로 모델링된 상태이다.The modularized service blueprint components include the behavior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for each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nd the behavior for a plurality of users (i.e., subjects and objects) using the home service robot 300 do. At this time, the service blueprint components are respectively mapped and stored based on the correlation. In addition, the service blueprint components are also mapped to information such as the subject of each action, the object (ie object) of the action, the tool for performing the action, the situation element, the event and the environment, to be.

다음으로,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 요소를 수신한다(S210).Next, the service blueprint component selected by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S210).

즉,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릍 통해 출력된 모듈화된 관련자 행위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관련자 행위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관련자 행위는 서비스 수혜자의 행위, 서비스 제공자(즉, 홈 서비스 로봇)의 행위 및 그 외 관련자의 행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at is, it receives a related acti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modulated related actions output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At this time, the received related person ac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action of the service recipient, the action of the service provider (that is,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action of other related persons.

그런 다음, 선택된 서비스 블루프린트 구성 요소들을 사용자가 선택한 조건에 따라 매칭한 후 시간순으로 배열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생성하고(S220),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성된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자측(즉, 사용자 단말(200) 또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디스플레이 유닛 등)에 제공한다(S230).Then, the selected service blueprint components are match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elected by the user and are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to generate a service blueprint (S220), and the generated service bluepri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side (i.e.,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display unit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S230).

이때, 사용자가 선택한 구성 요소들을 사전에 매핑된 정보들과의 상호연관성에 기초하여 상황 기반 행위 모델로 모델링한 후,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 형태로 생성한다.At this time, the selected components are modeled as a context-based behavior model based on the correlation with previously mapped information, and then created as a visual service blueprint form.

한편,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따라 홈 서비스 로봇을 스케줄링하는 절차는, 앞서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된 가정 구성원 별 행위를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행위들을 연관 관계를 적용하여 시계열적으로 나열함으로써 데일리 시나리오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홈 서비스 로봇(300)의 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들을 데일리 시나리오 상에 적용하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서비스 로봇(300)이 제공하는 기능 중 "현재 상태 알림 기능",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 및 "책 읽어 주기기능"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행위를 선택하여 데일리 시나리오 상의 관련자 별 행위에 매칭하여 스케줄링한다.Meanwhile, in the procedure of scheduling the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he method described in FIGS. 4 to 9 may be appli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behaviors of the hypothetical members provided in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he daily scenarios can be set up by chronologically listing the behaviors selected by the user by applying associ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rough the service blueprint interface, the behaviors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selected by the user can be applied and scheduled in the daily scenario. For example,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can be selected from among functions such as a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edit and notify function", and "book reading function" Selects an action of the robot 300, and matches the action of the robot 300 according to the pertinent action in the daily scenario.

이상의 방식으로 생성된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은 상황 기반 행위 모델로 모델링되며, 사용자 단말(200) 또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화면 상에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시된다.The schedules of the home service robots generated in the above manner are modeled into a situation based behavior model and displayed visually in the form of service blueprints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home service robot 300.

다음으로,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이 최종 저장되면, 스케줄에 따라 해당하는 시점 및 상황에 홈 서비스 로봇(300)이 설정된 기능에 따른 동작을 하도록 구동을 제어한다(S240).Next, when the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is finally stored, the home service robot 3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ccording to the set func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at step S240.

예를 들어, 홈 서비스 로봇(300)의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이 스케줄링된 경우, 홈 서비스 로봇(300)이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 또는 임의의 상황에서 가정 내부 또는 자녀의 현재 상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가 스케줄링해둔 시점 또는 상황에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또는 홈 서비스 로봇(300)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홈 서비스 로봇(300)이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아이의 안부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is scheduled, the home service robot 300 photographs the current state of the inside of the home or the child in a time or any situ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user terminal 200 at a time or a situation at which the user schedules the image. Accordingly, the user can receive the picture taken by the home service robot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display unit of the home service robot 300) and confirm the security of the child in real ti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기반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based on service blue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have.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including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in a modulated data signal such as a carrier wave, or other transport mechanism.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ystems an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 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110: 통신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사용자 단말 300: 홈 서비스 로봇
100: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device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memory 130: processor
200: user terminal 300: home service robot

Claims (15)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기반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프로그램의 실행에 응답하여,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로서 선택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복수의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의 행위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사전에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결정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매핑하고, 상기 매핑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구비된 가정 내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의 행위이고, 상기 홈 서비스 로봇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행위인 것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based on service blueprint,
A memory storing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enabling a user to set a schedule of a home service robot using a service blueprint; And
And a processor for executing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outputs,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program, actions of a plurality of user actions and a home service robot that are modularized so as to be selectable and editable as a component of a service blueprint, The home service robot behavior is inputted and the inputted user behavior and the home service robot behavior are mapped on the basis of a pre-set or a user-determined association relationship, and the mapped user behavior and the home service robot behavior are arranged in a time- A user interface for scheduling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and applying the schedule to the service blueprint and outputting the same,
Wherein the user action is an action of at least one member of the household having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home service robot action is a detailed a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상기 스케줄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Wherein the home service robot controls driving of the home service robot so that the home service robot performs a function set according to the sche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표시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더 포함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visually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by the processor.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의 데이터를 송수신 처리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processor comprising:
Providing the user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provides the user interface through a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in the for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제3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가정 내 임의의 장소의 자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출력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Wherein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device is a current state notification function that photographs the child at any place in the home in a matched condition for the user action included in the schedule and outputs the captured image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3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연동된 다른 홈 서비스 로봇과 통신하여 상기 다른 홈 서비스 로봇이 구비된 다른 가정에 방문한 자녀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이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홈 서비스 로봇은 상기 다른 가정 내 임의의 장소의 자녀를 촬영 또는 음성 녹음하여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녹음된 음성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출력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Communicates with another home service robot interlocked with the home service robot in a condition matched with the user action included in the schedule, and requests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visited in another home provided with the other home service robot Is a presence notification feature,
And the other home service robot captures or records the child at any place in the other home so as to output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moving image or the recorded voice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Devi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제 1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자녀를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제 2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상기 편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Wherein at least one of an image and a moving image of a child photographed under conditions matched with the first user action included in the schedule is edited to generate an edited image, And outputting an edited image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 1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책 읽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원을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 2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기설정된 행위 대상인 자녀에게 상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책 읽어주기 기능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ording a voice to be read by a user in a matching condition for a first user ac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to store a sound source;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device, which is a book reading function that reproduces stored sound sources.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를 통한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기반한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사용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구성요소로서 선택 및 편집이 가능하도록 모듈화된 복수의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사전에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결정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매핑하는 단계;
상기 매핑된 사용자 행위 및 홈 서비스 로봇 행위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홈 서비스 로봇의 스케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구비된 가정 내 구성원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의 행위이고, 상기 홈 서비스 로봇 행위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세부 행위인 것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based on service blueprint through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a user to set a schedule of a home service robot using a service blueprint;
Outputting a plurality of user actions and a home service robot behavior modularized so as to be selectable and editable as a component of a service bluepri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Receiving a user action selected by a user and a home service robot ac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Mapping the inputted user behavior and home service robot behavior based on a pre-set or user-determined association relationship;
Scheduling a schedule of the home service robot by arranging the mapped user behavior and the home service robot behavior in a time series manner; And
Applying the schedule to a service blueprint and outputting the schedule through the user interface,
Wherein the user action is an action of at least one member of the household having the home service robot and the home service robot action is a detailed actio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Wa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을 서비스 블루프린트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상기 스케줄에 따라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fter applying the schedule to the service blueprint and outputting the schedule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the home service robot to perform a function set by the home service robot according to the schedu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접속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상기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형태로 출력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user interface comprises:
Wherein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outputs the home service robot in the form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through a display unit of a connected user terminal or a display unit of the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apparatu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가정 내 임의의 장소의 자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출력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of photographing a child at any place in a home in a matched condition for a user action included in the schedule and outputting the photographed image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연동된 다른 홈 서비스 로봇과 통신하여 상기 다른 홈 서비스 로봇이 구비된 다른 가정에 방문한 자녀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요청하는 현재 상태 알림 기능이며,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홈 서비스 로봇은 상기 다른 가정 내 임의의 장소의 자녀를 촬영 또는 음성 녹음하여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녹음된 음성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출력하는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Communicates with another home service robot interlocked with the home service robot in a condition matched with the user action included in the schedule, and requests information that can confirm the current state of the child visited in another home provided with the other home service robot Is a presence notification feature,
And the other home service robot captures or records the child at any place in the other home so as to output at least one of the image and the moving image or the recorded voice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interface, Wa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제 1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자녀를 촬영한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에 포함된 제 2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상기 편집 영상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편집하여 알려주기 기능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Wherein at least one of an image and a moving image of a child photographed under conditions matched with the first user action included in the schedule is edited to generate an edited image, And outputting the edited image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비스 로봇이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 1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책 읽는 음성을 녹음하여 음원을 저장하고, 상기 스케줄에 따른 제 2 사용자 행위에 대해 매칭된 조건에서 기설정된 행위 대상인 자녀에게 상기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책 읽어주기 기능인 홈 서비스 로봇 스케줄링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home service robot includ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ording a voice to be read by a user in a matching condition for a first user ac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to store a sound source; A home service robot scheduling method, which is a book reading function for reproducing a stored sound source.
KR1020160161736A 2016-11-30 2016-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KR201800633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736A KR20180063391A (en) 2016-11-30 2016-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736A KR20180063391A (en) 2016-11-30 2016-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391A true KR20180063391A (en) 2018-06-12

Family

ID=6262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736A KR20180063391A (en) 2016-11-30 2016-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39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2974A (en) * 2020-07-15 2020-10-30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equipment and intelligent equipment
CN113199472A (en) * 2021-04-14 2021-08-03 达闼机器人有限公司 Robot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rob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621A (en) * 2005-08-10 2007-05-24 Toshiba Corp Motion planning device, motion planning method and motion planning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5621A (en) * 2005-08-10 2007-05-24 Toshiba Corp Motion planning device, motion planning method and motion planning progra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물인터넷(IoT)의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블루프린트에 관한 연구(2015.02.05.)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2974A (en) * 2020-07-15 2020-10-30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equipment and intelligent equipment
CN113199472A (en) * 2021-04-14 2021-08-03 达闼机器人有限公司 Robot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robot
CN113199472B (en) * 2021-04-14 2022-07-26 达闼机器人股份有限公司 Robot control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24794A1 (en) Web and Mobile-Based Platform that Unites Workflow Management and Asynchronous Video Collaboration for Healthcare
US115706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function by causing elements of hardware to perform linkage operation
CN109952586A (en) Efficiency in task management application improves
CN104126315A (en) Mobile device parental control
CN105359128A (en) Smart notifications using a calendar
CN104012151A (en) Automatically quieting mobile devices
CN104077026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xecution result of application
JP59153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0134600A (en) Test script method for record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2177736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information organization mechanism
CN109446031B (en) Control method of terminal equipment,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5637448A (en) Contextualizing sensor, service and device data with mobile devices
KR201800633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of home service robot using service blueprint
CN111047339B (en) House dec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2012009532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computing-based loca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CN10203587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tems in a list shared by a group of mobile devices
CN10242231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report of experiences of members of a group of users
CN11364679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6453568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operation execution
CN108701135A (en) Media file sharing method, media file share equipment and terminal
KR101589543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meeting place
CN108009676A (en) The route planning method and device of pet
Ma et al. Robots in my contact list: using social media platforms for human-robot interaction in domestic environment
CN105975245A (en) Multimedia file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91861A (en) Messenger server, terminal for mutually data communicating with the messenger serv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s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46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0

Effective date: 20190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