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205A -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205A
KR20180063205A KR1020187012159A KR20187012159A KR20180063205A KR 20180063205 A KR20180063205 A KR 20180063205A KR 1020187012159 A KR1020187012159 A KR 1020187012159A KR 20187012159 A KR20187012159 A KR 20187012159A KR 20180063205 A KR20180063205 A KR 2018006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polarizing film
polarizing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0122B1 (en
Inventor
토시유키 에다자와
세이이치로 하야카와
Original Assignee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2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1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29C55/02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of preformed plates or sheets coated with a solution, a dispersion or a melt of thermo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막의 전 제조 공정에서 접힘이나 주름의 문제를 해결하여 생산성이 좋고 편광 얼룩이 적은 편광막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에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2) 물 팽윤 공정, 3) 염색공정, 4) 연신 공정, 및 5) 붕산 가교 공정을 갖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2)∼4)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의 전 및/또는 후에서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컬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folding and wrinkling in the pre-manufacturing process of a polarizing film, thereby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good productivity and less polarization unevenness. 1)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 film unwound from a roll and trans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2) water swelling process, 3) dyeing process, 4) stretching process, and 5) boric acid crosslinking process, 2.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liquid is sprayed to both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before and / or after any one of the steps (2) to (4) to prevent curling of the film.

Description

편광막의 제조 방법, 편광막, 및 편광판Polariz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이하, LCD로 약칭하기도 함) 등에 사용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편광막, 및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반(原反)인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한 편광막의 제조 방법, 이의 제조법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막, 그 편광막을 사용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a polarizing film and a polarizing plate for us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hereinafter abbreviated as LCD)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arizing film and a polarizing plate which are produced by using a polyvinyl alcohol- A method for producing a dyed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film produced by the method, and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polarizing film.

LCD는 휴대 정보 단말, 액정 TV, 탁상 전자계산기, 전자시계, 퍼스널 컴퓨터, 워드 프로세서, 자동차나 기계의 계기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 LCD에는 편광판이 사용되고 있다. 편광판으로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二色性) 염료를 흡착 배향시킨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으로 이루어진 편광막의 편면 또는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보호 필름을 적층한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밝고,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LCD를 제공하기 위해서 높은 투과율과 높은 편광도를 겸비한 편광판이 필요해지고 있다. LCDs are used i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liquid crystal TVs, tabletop computers, electronic clocks, personal computers, word processors, automobile and machine instruments, and polarizers are used in these LCDs. As the polarizing plate, a protective film such as triacetyl cellulose is lamin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polarizing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which an iodine or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is generally used, A polarizing plate having a high transmittance and a high degree of polarization in order to provide an LCD having a contrast has been required.

상술한 편광막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물(온수를 포함)로 팽윤시킨 후, 요오드로 염색하고, 요오드 분자를 배열시키기 위해서 연신하며, 연신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붕산 등의 가교제로 가교하여 건조시켜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은 롤로부터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권출하고, 권취기나 니프 롤을 사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반송(搬送)하면서 연속하여 실시된다. The polarizing film described above is obtained by, for example, swell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ith water (including hot water), dyeing with iodine, stretching to arrange iodine molecules, Followed by drying and crosslinking. Such a manufactur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continuously feed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rom a roll and carrying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using a winding machine or a nip roll.

그러나 물팽윤, 염색, 연신, 붕산 가교, 건조의 제조 공정에서 필름이 흡수 또는 탈수하여 컬하고, 필름의 폭방향 단부에 접힘이나 주름이 발생하므로, 편광막을 생산성 좋게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필름이 얇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접힘이나 주름이 기인이 되어 필름이 파단하여 생산이 중단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단부의 문제는 편광막의 내부에도 영향을 주어 편광막 전체의 편광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편광판의 액정 셀로의 균일한 장착을 곤란하게 하거나 액정 표시 화상의 얼룩이나 탈색 등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polarizing film can not be produced with high productivity since the film is absorbed or dehydrated by the water swelling, dyeing, stretching, boric acid crosslinking, and drying processes and curled and folded or wrinkled at the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Particularly, when the film is thin, the film is broken due to such folding or wrinkling, and the production is interrupted. Such a problem of the end portion also affects the inside of the polarizing film to lower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entire polarizing film or to make it difficult to uniformly attach the polarizing plate to the liquid crystal cell or to cause the unevenness or discolo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mage .

근년, 액정 TV 등의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종래품보다 더욱 폭이 넓고 박형의 편광막이 필요하게 되는 가운데, 단부의 접힘이나 주름은 박멸하지 않으면 안 되는 과제였다. In recent years, with the enlargement of the screen of a liquid crystal TV or the like, a thinner and wider polarizing film is required than in the conventional product, and folding and wrinkling of the end portions must be eradicated.

이와 같은 접힘이나 주름을 저감하기 위해서, 건조 처리로 필름의 폭 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거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수중 주행중의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에 노즐로부터 물을 분사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In order to reduce such folding and creasing, a method of applying a predetermined tens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y a drying process has been propos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addition, there has been proposed a method in which water is jetted from both ends of th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during running underwater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특허 문헌 1 JP 2006-189560 APatent Document 1 JP 2006-189560 A 특허 문헌 2 JP H07-247378 APatent Document 2 JP H07-247378 A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개시 기술에서는 건조 처리 공정에 있어서의 접힘이나 주름을 회피할 수 있지만, 건조 공정 전의 물 팽윤, 염색, 연신, 붕산 가교중 어느 공정에서 필름에 접힘이나 주름이 발생하면, 원래 건조 공정까지 반송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folding or wrinkling in the drying treatment step can be avoided. However, when folding or wrinkling occurs in any of the steps of water swelling, dyeing, stretching and boric acid crosslinking before the drying step,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not be conveyed to a drying process.

또, 상기 특허 문헌 2의 개시 기술에서는 수중에서의 접힘이나 주름을 회피할 수 있지만, 공중에서 발생하는 접힘이나 주름을 막을 수 없다. In addition,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folding and wrinkling in the water can be avoided, but folding and wrinkling occurring in the air can not be prevented.

따라서, 본 발명은 편광막의 전 제조 공정에서, 접힘이나 주름의 문제를 해결하여 생산성이 좋고 편광 얼룩이 적은 편광막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having good productivity and less polarization unevenness by solving the problems of folding and wrinkl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olarizing film.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형태의 발명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invention.

〔편광막의 제조 방법〕[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1)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2) 물 팽윤 공정, 3) 염색공정, 4) 연신 공정, 및 5) 붕산 가교 공정을 갖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이며, 1)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 film unwound from a roll and trans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2) water swelling process, 3) dyeing process, 4) stretching process, and 5) boric acid crosslinking process,

상기 2)∼4)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전 및/또는 후에서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컬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Wherein the film is prevented from curling by spraying a liquid to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before and / or after any one of the steps (2) to (4).

〔편광막〕[Polarizing film]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막. A polarizing film produc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편광판〕[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 필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필름의 폭 방향」이란, 일반적으로는 띠 형태의 필름의 긴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다. 특히, 롤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에서는 필름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이며, 전형적으로는 필름의 양 테두리간의 거리가 최단이 될 때의 방향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 film width direction " is generally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ip-shaped fil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lyvinyl alcohol film which is f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being withdrawn from the roll, it is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and typically refers to a direc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s of the film becomes shortest.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폭 방향을 「TD방향」이라고 칭하고, 필름의 이송 방향을 「MD방향」이라고 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is referred to as " TD direction ", and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is referred to as " MD direction ".

또한, 이하에서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간단히 「필름」이라고도 말한다. In the follow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also simply referred to as " film ".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2) 물 팽윤 공정, 3) 염색 공정, 및 4) 연신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전 및/또는 후에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액체를 분사하여 필름의 컬을 방지하므로, 필름 전면을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접힘이나 주름을 회피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having a polarizing film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before and / or after any one of 2) water swelling step, 3) dyeing step, and 4) The film is prevented from being curled by spraying, so that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m can be kept flat, so that folding or wrinkling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폭이 넓고 긴 박형의 편광막을 생산성 좋게 제조할 수 있어 편광막의 중앙부로부터 단부까지 균일한 편광도를 갖는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폭이 넓고 긴 박형의 편광판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액정 표시 화상의 얼룩이나 탈색을 저감할 수 있다.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film having a wide and long thin shape can be produced with good productivity,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a uniform polarization degree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en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 wide, wide thin polariz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unevenness and discolor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image.

도 1은 1) 원반 권출 공정, 2) 물 팽윤 공정, 3) 염색 공정에 있어서의 액체의 분사 개소(個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2) 물 팽윤 공정과 3) 염색공정 간에 있어서의 물 팽윤조의 액면과 롤(a)과의 거리(A), 롤(a) 및 롤(b)간의 거리(B)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PVA 필름)의 표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의 분사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PVA 필름)의 이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의 분사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에서, 분사 방향과 필름의 면이 이루는 각도 θ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에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에서, 분사 방향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면에 수직 투영했을 때의 방향과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이송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표면 또는 이면에 액체를 분사하였을 경우에서, 분사 방향과 필름의 면이 이루는 각도 θ1, 및 분사 방향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면에 수직 투영했을 때의 방향과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이송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2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에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의 분사 모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s of injection of liquid in 1) a disk-cutting step, 2) water swelling step, and 3) dyeing step.
2 schematically shows the distance A between the surface of the water swelling tank and the roll a between the water swelling process and the dyeing process and the distance B between the roll a and the roll b Fig.
3A is a diagram showing a spray shape when a liquid is sprayed onto the surfac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VA film).
FIG. 3B is a view showing a spray shape when a liquid is sprayed on the back surface of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VA film).
Fig. 4 is a view showing an angle? 1 formed by the spraying direction and the film surface in the case of spraying liquid on the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ig. 5 is a graph showing an angle &thetas; 2 between the direction when the spraying direction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the direction of transpor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hen the liquid is sprayed on the surface or back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gle &thetas; 1 between the jetting direction and the film surface when the liquid is jetted onto the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the direction when the jetting direction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 2 is an angle? 2 formed by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Fig.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pray shape when a liquid is sprayed onto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ig.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se are only examples of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서는, 1)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2) 물 팽윤 공정, 3) 염색 공정, 4) 연신 공정, 및 5) 붕산 가교 공정을 거쳐 편광막을 제조한다. 또한, 1)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을 이하에서는 1) 원반 권출 공정이라고도 한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1) feeding a polyvinyl alcohol film from a roll and transporting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2) water swelling process, 3) dyeing process, 4) stretching process, and 5) boric acid crosslinking process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Further, 1) the step of feed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from the roll and transporting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lso referred to as 1) a step of winding the disc.

상기 1) 원반 권출 공정에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필름상에 제막하여 롤에 권취한 것이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ed in the above-mentioned 1) disc-winding step is formed by form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n a film and winding it on a roll.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로서는 통상, 미변성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즉, 초산비닐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 초산비닐을 비누화하여 제조되는 수지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초산비닐과 소량(예를 들면, 10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의 초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성분과의 공중합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초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본산(예를 들면, 염, 에스테르, 아미드, 니트릴 등을 포함한다), 탄소수 2∼30의 올레핀류(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n-부텐, 이소부텐 등), 비닐 에테르류, 불포화 설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비누화 후의 수산기를 화학 수식하여 얻어지는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 resin prepared by saponifying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which is unmodified, that is, polyvinyl acetate obtained by polymerizing vinyl acetate is used. The polyvinyl alcohol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ilm but may be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 component copolymerizable with a small amount (for example, 10 mol% or less, preferably 5 mol% or les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btained by saponifying a copolymer may be used. Examples of the component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including salts, esters, amides, nitriles, etc.), olefins having 2 to 30 carbon atoms (e.g., ethylene, propylene, n -Butene, isobutene, etc.), vinyl ethers, and unsaturated sulfonate salt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btained by chemically modifying a hydroxyl group after saponification.

또,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로서 측쇄에 1,2-디올 구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측쇄에 1,2-디올 구조를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i) 초산비닐과 3,4-디아세톡시-1-부텐과의 공중합체를 비누화하는 방법, (ⅱ) 초산비닐과 비닐에틸카보네이트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및 탈탄산하는 방법, (ⅲ) 초산비닐과 2,2-디알킬-4-비닐-1,3-디옥솔런과의 공중합체를 비누화 및 탈케탈화하는 방법, (ⅳ) 초산비닐과 글리세린모노아릴에테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 1,2-diol structure in the side chain may also be used. Such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 1,2-diol structure in the side chain can be obtained by, for example, (i)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3,4-diacetoxy-1-butene, ) A method of saponifying and decarboxylat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vinyl ethyl carbonate, (iii)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with 2,2-dialkyl-4-vinyl-1,3-dioxolane, (Iv) a method of saponifying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glycerin monoaryl ether, and the like.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광학 성능이나 연신성의 관점에서 10만∼3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만∼28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2만∼26만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100,000 to 300,000, particularly preferably 110,000 to 280,000, and more preferably 120,000 to 260,000 from the viewpoint of optical performance and stretchability.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비누화도는 광학 성능의 관점에서 통상 9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8몰% 이상이다. The averag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98 mol%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99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9.5 mol%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99.8 mol% or more to b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로서 변성종, 변성량, 중량 평균 분자량, 평균 비누화도 등의 다른 2종 이상의 것을 병용할 수도 있다. As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other kinds such as modified species, modified amount,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average saponification degree may be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상기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하여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와 같은 수용액을 캐스트 드럼, 캐스트 벨트, 캐스트 수지 필름 등의 캐스트형에 토출 및 캐스팅하여 제막하고 건조 후, 롤에 권취하는 것으로 제조된다. The polyvinyl alcohol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preparing an aqueous polyvinyl alcohol resin solution using the polyvinyl alcohol resin and discharging the aqueous solution to a casting mold such as a cast drum, And casting, film-forming, drying, and winding on a roll.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에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이외에,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티올프로판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나,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또는 양이온성의 계면활성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제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The polyvinyl alcohol resin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 commonly used plasticizer such as glycerin, diglycerin, triglycerin, 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trimethyolpropan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ilm formability that a surfactant of anionic, anionic, and / or cationic is contained.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의 수지 농도는 10∼6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5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 중량%이다. The resin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10 to 60% by weight, particularly preferably 15 to 5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20 to 50% by weight.

캐스트형에 토출할 때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의 온도는 8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5∼98℃이다. 또, 캐스트형에 토출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의 토출 속도는 0.1∼5m/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4m/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m/분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when discharged onto the cast mold is preferably 80 to 100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85 to 98 占 폚. The discharging rate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aqueous solution discharged to the cast mold is preferably 0.1 to 5 m / min, particularly preferably 0.2 to 4 m / min, and more preferably 0.3 to 3 m / min.

캐스트 드럼 등의 캐스트형의 표면 온도는 40∼99℃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95℃이다.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ast mold such as a cast drum is preferably 40 to 99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60 to 95 占 폚.

캐스트형으로 제막된 필름의 건조는 필름의 표면과 이면을 복수 라인의 열 롤의 외주부에 교대로 접촉시키면서 반송시키는 것으로 실시된다. 열 롤에 의한 건조 후, 필름에 열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열처리에 대해서는 60∼150℃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130℃가 바람직하다.Drying of the cast film is carried out by alternately bringing the surface and the back of the film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plurality of lines of the thermal roll. After drying with a hot roll, the film may be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at 60 to 150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80 to 130 占 폚.

필름을 롤에 권취하기 전에 필름의 양단부를 슬릿으로 자를 수도 있다. Both ends of the film may be slit-cut before the film is wound on a roll.

이와 같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두께는 편광막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5∼6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박형화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5∼30㎛이며, 파단 회피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이다. The thickness of such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y 5 to 60 占 퐉 in view of thinning of the polarizing fil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30 占 퐉 in view of thinning, and more preferably, 10 to 30 mu m.

또,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폭은 3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면적화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4m 이상, 파단 회피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4∼6m이다.The width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y 3 m or more, more preferably 4 m or more from the standpoint of size reduction, and more preferably 4 to 6 m from the standpoint of avoiding breakage.

또,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길이는 4k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면적화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4.5k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km 이상이다.The length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preferably 4 km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4.5 km or more, more preferably 5 km or more from the view point of large-area.

또한, 필름의 길이의 상한은 파단 회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k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k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km 이하이다. The upper limit of the length of the film is preferably 50 k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40 km or less, more preferably 30 k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breakage.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2) 물 팽윤 공정, 3) 염색공정, 및 4) 연신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의 전 및/또는 후에서, 반송되는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액체를 분사하여 필름의 컬을 방지한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is sprayed to both ends of the film to be transpor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fore and / or after any of the water swelling process, the dyeing process, and the stretching process, Prevent curl.

4) 연신 공정의 후의 5) 붕산 가교 공정 후나, 그 후의 6) 건조 공정 후에, 액체의 분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공정에서는 필름이 가교나 건조에 의해 고경도가 되므로 접힘이나 주름은 발생하기 어렵고, 분사에 의한 효과는 현저하지 않다. 4) After the stretching step 5) After the boric acid crosslinking step 6) Thereafter, after the drying step, the liquid can be injected. However, in this step, since the film becomes hard due to crosslinking or drying,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nd the effect of spraying is not remarkable.

액체의 분사를 실시하는 시기는 상기 2) 물 팽윤 공정, 3) 염색 공정, 및 4) 연신 공정 중에서는, 접힘 회피의 관점에서 2) 물 팽윤 공정의 후, 및/또는 3) 염색공정의 후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 회피의 관점에서 2) 물 팽윤 공정 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편광막의 평탄화의 관점에서 2) 물 팽윤 공정 후 10초 이내이다. The time of spraying the liquid is preferably from 2) water swelling process, 3) dyeing process, and 4) stretching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folding, 2) after water swelling process, and / or 3)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the wrinkles, 2) after the water swelling process, and more preferably within 10 seconds after the water swelling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planar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분사를 실시하는 필름의 면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표면, 이면, 및 양면으로의 분사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원반이 되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을 캐스트 벨트 등의 캐스트형에 토출 및 캐스팅하여 제막하고, 연속적으로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조에서, 양면 상태가 전혀 같지 않은 것이 많으며, 편면측 수분이 적거나, 결정화도가 높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당연한 것이지만, 수분이 적은 면이 흡수하여 늘어나기 쉽기 때문에, 편광막 제조에 있어서의 2) 물 팽윤 공정이나 3) 염색 공정에서 반대면측에 필름이 컬 하기 쉽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서는 컬 방향인 상기 반대면측의 양단부에, 액체의 분사를 실시하는 것이 유효하다. The surface of the film to be spray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t is possible to spray the surface, back surface, and both surfaces. Generally, a polyvinyl alcohol film as a disc can be obtained by forming an aqueous solution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by casting and casting in a casting mold such as a cast belt, and continuously drying the film. In such a drying proces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two-sided state is not completely equal,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water content on one side is small or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is high. It is natural that the film having a low water content tends to be absorbed and stretched, so that the film tends to curl on the opposite surface side in the 2) water swelling process in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and 3) the dyeing process. In such a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ffective to inject liquid at both ends of the opposite surface side in the curl direction.

분사하는 액체로서는, 물(온수를 포함),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산/알칼리수, 염색액, 글리세린 수용액, 각종 약품의 수용액 등의 액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편광막의 성능에 악영향 주지 않는 관점에서 물, 염색액 등의 액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설비의 간편함의 관점에서 물이다. 물을 사용하는 경우, 수온은 10∼50℃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40℃이다. Examples of the liquid to be sprayed include liquids such as water (including hot water),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acid / alkaline water, dyeing solution, aqueous glycerin solution and aqueous solutions of various chemicals. Of these, liquids such as water and a staining solution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not adversel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wat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acility simplicity. When water is used, the water temperature is preferably 10 to 50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20 to 40 占 폚.

또, 분사하는 액체로서 미스트 상태의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편광막의 성능에 악영향 주지 않는 관점이나 설비의 간편함의 관점에서 미스트 상태의 물이 바람직하다. 이하, 미스트 상태의 액체를 간단히 「미스트」라고도 말한다.Misted liquid may be used as the liquid to be sprayed, and water in the mist stat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not adversely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and simplicity of facilities. Hereinafter, the liquid in the mist state is simply referred to as " mist ".

여기서, 미스트란 일반적으로 액체를 인공적으로 안개 상태로 한 것이며, 미소한 액적을 의미한다. 미스트의 입경은 통상, 서브 마이크론∼수백 마이크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스트의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5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이다. 미스트의 입경이 너무 크면, 분사 얼룩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너무 작으면 분사압의 제어가 곤란해지고, 또한 부유하여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Here, the term mist generally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liquid is artificially fogged and refers to a minute droplet. The particle size of the mist is usually submicron to several hundred microns. The particle size of the mis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to 50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100 mu m, and more preferably 3 to 50 mu m. If the particle size of the mist is too large, jetting unevenness tends to occur. If the particle size of the mist is too small, control of the jetting pressure becomes difficult, and there is a tendency to float and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미스트의 분사는 시판의 미스트 살포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스트 살포 장치로서는, 펌프로 압축한 액체를 노즐로부터 분무하는 일류체 방식의 것이나, 압축한 액체와 압축한 공기를 충돌시켜 형성된 미스트를 분무하는 이류체 방식의 것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비의 간편함으로 일류체 방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 시에 있어서의 미스트 유량은 분사 효과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1L/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0.5L/분이다. The spraying of the mist can be carried out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mist spraying apparatus. Examples of such a mist spraying apparatus include a one-fluid system in which a liquid compressed by a pump is sprayed from a nozzle, and a fluid system in which a mist formed by colliding a compressed liquid with compressed air is sprayed. It is desirable to use a first-hand system for the convenience of facilities. The mist flow rate at the time of spraying is preferably 0.01 to 1 L / min, particularly preferably 0.1 to 0.5 L / min, from the viewpoint of the jetting effect.

또, 미스트의 노즐로부터의 분출 형상은 점 형태, 선 형태, 원 형태, 타원 형태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사 효과의 관점에서 원 형태가 바람직하다. 분출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사 효과의 관점에서 1∼90°가 바람직하다. 또한, 물 이외의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는 내식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제 노즐이 바람직하다. The ejection shape of the mist from the nozzle may be a point shape, a line shape, a circle shape, an ellipse shape, or the lik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ircle shap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 jetting effect. The jetting ang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90 degrees from the viewpoint of jetting effect. When a liquid other than water is used, a plastic nozzle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is preferable.

이하에,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로서 2) 물 팽윤 공정 후에 액체의 분사를 실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case of spraying liquid after the water swelling process.

일반적으로, 2) 물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팽윤도 제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45℃, 특히 바람직하게는 20∼35℃이며, 바람직하게는 0.1∼10분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0.5∼5분간, 물에 침지하여 실시된다. 또한, 물에는 요오드화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물, 알코올 등이 소량 들어가 있을 수 있다. Generally, 2) the water swelling process is preferably 10 to 45 캜, particularly preferably 20 to 35 캜, preferably 0.1 to 10 min, particularly preferably 0.1 to 10 min,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olyvinyl alcohol- Followed by immersion in water for 0.5 to 5 minutes. Water may contain a small amount of an additive such as an iodide compound, a surfactant, or an alcohol.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에 감겨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1) 원반 권출 공정을 거치고, 물 팽윤조에 투입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2) 물 팽윤 공정에 의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물 팽윤이 실시된다. 그 후, 물 팽윤조로부터 끌어 올려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롤을 거쳐 염색조로 이송되며, 3) 염색공정에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염색이 실시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 polyvinyl alcohol film wound on a roll is taken out from the roll and is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The polyvinyl alcohol film put in the water swelling tank is subjected to a disc-winding step. 2) The water swelling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carried out by the water swelling process. Thereafter, the polyvinyl alcohol film pulled up from the water swell bath is transferred to the dye bath through the roll, and 3)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stained in the dyeing step.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 양단부로의 액체의 분사는 상술한 바와 같이, 2) 물 팽윤 공정 후, 3) 염색 공정에 이르기까지의 공정 간에 필름에 대해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정 간에 접힘이나 주름이 가장 발생하기 쉽고, 접힘이나 주름으로 필름끼리가 일단 붙으면 간단하게는 벗겨지지 않는다. 또, 이와 같은 공정 간에 접힘이나 주름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2) 및 3)의 공정이 편광막 제조의 첫 공정이므로, 후속 공정에게 주는 영향이 매우 크다. 분사의 구체적인 위치는 예를 들면, 2) 물 팽윤 공정의 물 팽윤조로부터 나온 직후 및 최초의 롤(a)의 직후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중의 화살표에서 분사의 위치와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of the liquid to both ends of the film is preferably performed on the film as described above, 2) after the water swelling process, and 3) until the dyeing process. Such folding or wrinkling is most likely to occur between such processes and is not easily peeled off once the films adhere to each other due to folding or creasing. In the case where folding or wrinkling occurs in such a process, the processes of 2) and 3) are the first process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so that the influence on the subsequent process is very large.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injection is, for example, 2) immediately after the water swelling bath of the water swelling process and immediately after the first roll (a).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injection are schematically shown by the arrows in Fig.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이 2) 물팽윤 공정에 있어서의 물 팽윤조를 나와 최초의 롤(a)에 접할 때까지의 거리(A)가 1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초의 롤(a)로부터 염색조 직전의 롤(b)까지의 거리(B)도 1m 이하인 경우이다. 거리 A가 너무 길면, 접힘이나 주름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물 팽윤조로부터 롤(a)까지의 거리(A)는 물팽윤조의 액면으로부터 롤(a)까지의 최단 거리를 나타내며, 최초의 롤(a)로부터 염색조 직전의 롤(b)까지의 거리 B는 롤(a)와 롤(b)와의 사이의 최단 거리를 나타낸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A) until the film exits the water swell tank in the water swelling step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roll (a) is 1 m or less, Is a case where the distance B from the first roll (a) to the roll (b) just before dyeing is also 1 m or less. If the distance A is too long, folds or wrinkles tend to increase. The distance A from the water swelling tank to the roll a indicate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water swelling tank to the roll a and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roll a to the roll b immediately before the dyeing And the distance B represent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roll (a) and the roll (b).

또한, 일련의 공정에 있어서의 롤 간의 장력은, 1∼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 간의 장력이 너무 크면, 파단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반대로 너무 작으면, 접힘이나 주름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The tensile force between rolls in a series of steps is preferably 1 to 100 N / m. If the tensile force between the rolls is too large, it tends to break. On the other hand, if it is too small, folding and wrinkling tend to be increased.

또한, 2) 물 팽윤 공정에서 3) 염색공정에 이르는 필름의 이송 속도는 생산성의 관점에서 1m/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m/분 이상이다.  In addition, the feed rate of the film from 2) the water swelling process to the 3) dyeing process is preferably 1 m / min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5 m / min or more, more preferably 2 m / min or more .

액체에 의한 분사를 실시하는 경우, 노즐을 사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의 편면 또는 양면에 액체를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표면에 액체를 토출할 수도 있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이면에 액체를 토출할 수도 있고, 필름의 양면에 액체를 토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노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 토출 노즐, 선 토출 노즐, 면 토출 노즐 등 공지의 노즐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분사 위치의 제어의 관점에서 점 토출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노즐은 동종의 것을 복수 개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 종의 것을 조합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jetting by liquid, it is preferable to use a nozzle to eject liquid onto one side or both sides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A, the liquid may be e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film, or the liquid may be ejected to both sides of the film, as shown in Fig. 3B. Such nozz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nozzles such as point ejection nozzles, line ejection nozzles, and surface ejection nozzles can be used, but point ejectio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 of the ejection position. A plurality of nozzles of the same kind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nozzles may be combined.

노즐의 위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접힘 회피의 관점에서 필름이 2) 물팽윤 공정에 있어서의 물 팽윤조를 나온 후, 반송용 롤(a)에 접할 때까지 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주름 회피의 관점에서 물 팽윤조의 출구로부터 노즐까지 1m 이내의 거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평탄성의 관점에서 반송용 롤(a)로부터 노즐까지 0.5m 이내의 거리이다. 또한, 물 팽윤조의 출구로부터 노즐까지의 거리, 및 반송용 롤(a)로부터 노즐까지의 거리는 각각 최단 거리를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2, the position of the nozzle is preferably from the point of avoiding folding of the film until the fil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ransport roll (a) after the water swelling tank in the water swelling process comes out, The distance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welling tank to the nozzle is preferably within 1 m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wrinkles of the film, and more preferably within 0.5 m from the transporting roll (a) to the nozzle from the viewpoint of flatness of the film. The distance from the outlet of the water swell tank to the nozzle and the distance from the transport roll (a) to the nozzle indicate the shortest distance, respectively.

또, 노즐과 필름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필름이 접힘 회피의 관점에서 1∼100mm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필름의 주름 회피의 관점에서 2∼50mm의 거리이다. 또한, 노즐과 필름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최단 거리를 나타내며, 구체적으로는,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노즐과 필름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film surface is preferably a distance of 1 to 100 mm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the folding of the film,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50 mm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wrinkles of the film.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and the film surface indicates the shortest distance, and more specific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surface and the film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surface.

본 발명에서는 컬 방지의 효과의 관점에서 분사의 유속과 분사 각도가 중요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velocity of the jet and the jetting angle are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url.

분사의 유속은 0.01∼5m/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3 m/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2m/초이다. 유속이 너무 늦으면, 컬 방지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유속이 너무 빠르면 필름에 물결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The flow rate of the jet is preferably 0.01 to 5 m / sec, particularly preferably 0.02 to 3 m / sec, and more preferably 0.03 to 2 m / sec. If the flow velocity is too low, the effect of curl prevention tends to be lowered, and if the flow velocity is too high, the film tends to have a ripple.

액체의 분사 방향을 필름의 면에 수직 투영했을 때, 환언하면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필름면을 보았을 때, 액체의 분사 방향이 필름의 폭 방향(TD방향)이나 필름의 이송 방향(MD방향)으로 평행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액체의 분사의 각도에는 액체의 분사 방향과 필름의 면이 이루는 각도 θ1 뿐만 아니라, 액체의 분사 방향을 필름의 면에 수직 투영했을 때의 방향과 필름의 이송 방향(MD방향)과의 이루는 각도 θ2가 포함된다(도 4∼도 6을 참조).When the direction of ejection of the liquid 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lm, in other words, when the film surface is view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plane, the direction of ejection of the liquid chang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TD direction) ) Is not parallel. Therefore, preferably, the angle of ejection of the liquid is not limited to the angle &thetas; 1 between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liquid and the surface of the film but also the direction when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liquid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2 " (refer to Figs. 4 to 6).

또한, 도 6에서는 필름의 이송 방향을 x축, 필름의 폭 방향을 y축, 필름면에 수직인 방향을 z축으로 하고, 필름면을 xy면, 필름면에 수직인 면이고 필름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면을 yz면, 필름면에 수직인 면이고 필름의 이송 방향으로 평행한 면을 xz면으로 하고 있다. In Fig. 6, the film transport direction is the x-axis, the film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plane is the z-axis. The film plane is the xy plane, I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lm plane, and a plane paralle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lm is defined as an xz plane.

액체의 분사 방향과 필름의 면이 이루는 각도 θ1은 5∼8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7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분사 각도 θ1이 너무 낮으면, 컬 방지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으면 필름에 물결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The angle &thetas; 1 between the direction of ejection of the liquid and the plane of the film is preferably 5 to 80 DEG, particularly preferably 10 to 70 DEG, and more preferably 20 to 60 DEG. If the spraying angle? 1 is too low, the effect of preventing curling tends to deteriorate, and if it is too high, the film tends to have a ripple.

또, 액체의 분사 방향을 필름의 면에 수직투영했을 때의 방향과 필름의 이송 방향(MD방향)이 이루는 각도 θ2는 5∼17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9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이다. 분사 각도 θ2가 너무 낮으면, 컬 방지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높으면 필름에 주름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The angle &thetas; 2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quid ejection direction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and the conveying direction (MD direction) of the film is preferably 5 to 175 DEG, more preferably 20 to 90 DEG, More preferably 30 to 60 degrees. If the spraying angle? 2 is too low, the effect of curl prevention tends to be deteriorated. If it is too high, wrinkles tend to occur in the film.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이와 같은 분사의 유속과 분사 각도는 모든 노즐이 같거나 노즐마다 차이가 날 수도 있다. 노즐마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필름의 이송 방향(MD방향)의 상류측에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분사 유속을 서서히 낮게 설정하거나 분사 각도 θ1을 서서히 저 각도로 하는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7, when a plurality of nozzles are used, the flow velocity and the spray angle of such a jet may be the same for all the nozzles or may be different for each nozzle. As a different method for each nozzle, for example, there may be mentioned a method in which the injection flow velocity i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n the transport direction (MD direction) of the film, or the injection angle? 1 is gradually lowered .

이와 같은 방법으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접힘이나 주름이 없는 상태에서 다음의 3) 염색 공정이나 4) 연신 공정에 이송된다. In this way, the polyvinyl alcohol film is transported to the following 3) dyeing process and 4) stretching process in the state without folding or wrinkling.

본 발명의 편광막은, 1) 원반 권출 공정 후, 2) 물 팽윤 공정, 3) 염색 공정, 4) 연신 공정, 5) 붕산 가교 공정, 필요에 따라서, 세정 공정이나 건조 공정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은 2)∼5)의 순서로 반드시 할 필요는 없고, 복수의 공정을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2) 물 팽윤 공정과 동시에 4) 연신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고, 2) 물 팽윤 공정 후, 3) 염색공정과 동시에 4) 연신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고, 2) 물 팽윤 공정과 3) 염색공정 후, 5) 붕산 가교 공정과 동시에 4) 연신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고, 2) 물 팽윤 공정, 3) 염색공정, 5) 붕산 가교 공정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4) 연신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a process such as 1) a step of unwinding a disc, 2) a water swelling process, 3) a dyeing process, 4) a stretching process, 5) a boric acid crosslinking process, do. Such a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the order of 2) to 5), but a plurality of processes may be appropriately combined. For example, 2) water swelling process 4) stretching process 2) water swelling process 3) dyeing process 4) stretching process, 2) water swelling process, 3) After the dyeing step, 5) the boric acid crosslinking step 4), the stretching step may be performed, 2) the water swelling step, 3) the dyeing step, and 5) the boric acid crosslinking step. You may.

이하, 2) 물 팽윤 이후의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cess after 2) water swelling will be described.

3) 염색 공정은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액체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서 실시된다. 통상, 요오드-요오드화칼륨의 수용액이 사용되며, 요오드의 농도는 0.1∼2g/L, 요오드화칼륨의 농도는 1∼100g/L가 적당하다. 염색 시간은 30∼500초 정도가 실용적이다. 처리 욕의 온도는 5∼50℃이 바람직하다. 수용액에는 수용매 이외에 물과 상용성이 있는 유기 용매를 소량 함유시킬 수도 있다. 접촉 수단으로서는 침지, 도포, 분무 등의 임의의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3) The dyeing process is carried out by bringing the film into contact with a liquid containing iodine or a dichroic dye. Usually,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potassium iodide is used, the concentration of iodine is 0.1 to 2 g / L, and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1 to 100 g / L. Dyeing time is practically 30 to 500 seconds.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5 to 50 占 폚. Th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a small amount of an organic solvent compatible with water in addition to the water solvent. As the contact means, any means such as immersion, application, and spraying can be applied.

4) 연신 공정은 1축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3∼10배 연신하는 공정이며, 3.5∼6배 연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연신 방향에 대해서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도 약간의 연신(폭방향의 수축을 방지하는 정도, 또는 그 이상의 연신)을 실시해도 지장 없다. 연신 시의 온도는 30∼170℃의 온도 범위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 배율은 최종적으로 상기 범위로 설정되면 좋고, 연신 조작은 1단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의 임의의 범위의 단계에 실시하면 좋다. 4) The stretching step is a step of stretching in the uniaxial direction, preferably 3 to 10 time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5 to 6 times. At this time, a slight stretching (a degree of preventing the shrinkage in the width direction or further stretching) may be performed eve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preferably selected from a temperature range of 30 to 170 캜.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may be set to the above range, and the stretching operation may be carried out not only at the first stage but also at any stag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5) 붕산 가교 공정은 붕산이나 붕사 등의 붕소 화합물을 사용하여 실시된다. 붕소 화합물은 수용액 또는 물-유기 용매 혼합액의 형태로 농도 10∼100g/L정도로 사용되며, 액 중에는 소량의 요오드화칼륨을 공존시키는 것이 편광 성능의 안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처리 시의 온도는 30∼70℃ 정도, 처리 시간은 0.1∼20분 정도가 바람직하다. 5) The boric acid crosslinking process is carried out using a boron compound such as boric acid or borax. The boron compound is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r a water-organic solvent mixture in a concentration of about 10 to 100 g / L, and a small amount of potassium iodide in the solutio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zation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The temperature for the treatment is preferably about 30 to 70 DEG C, and the treatment time is preferably about 0.1 to 20 minutes.

그 후, 상기 필름에 세정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세정 처리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 발생하는 석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세정 처리는, 예를 들면, 물이나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실시한다.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의 요오드화칼륨 농도는 1∼80g/L정도면 좋다. 세정 처리 시의 온도는, 통상, 5∼50℃, 바람직하게는 10∼45℃이다. 처리 시간은 통상, 1∼300초간, 바람직하게는 10∼240초간이다. 또한, 물 세정과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의한 세정은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또, 그 후, 상기 필름에 건조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film may be subjected to a cleaning treatment. By the cleaning treatment, the precipit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film can be removed. The cleaning treatment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 film in an aqueous iodide solution such as water or potassium iodide. When potassium iodide aqueous solution is used,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1 to 80 g / L. The temperature for the cleaning treatment is usually 5 to 50 占 폚, preferably 10 to 45 占 폚. The treatment time is usually from 1 to 300 seconds, preferably from 10 to 240 seconds. The washing with water and the washing with an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iodide may be suitably combined. The film may then be subjected to a drying step.

건조 공정은 대기 중에서 40∼80℃에서 1∼10분간 실시하면 좋다. The drying process may be carried out at 40 to 80 ° C for 1 to 10 minutes in the atmosphere.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막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 편광도가 너무 낮으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콘트라스트를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The degree of polarization of the polarizing film thus obtained is preferably 99.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9.9% or more. When the degree of polarization is too low, the contrast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tends to be insufficient.

또한, 편광도는 일반적으로 2매의 편광막을, 그 배향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파장 λ에 대해 측정한 광선 투과율(H11)과, 2매의 편광막을 배향 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겹친 상태에서, 파장 λ에 대해 측정한 광선 투과율(H1)에 의해 하기 식에 따라 산출된다.In addition, the degree of polarization is defined as a ratio of the light transmittance (H 11 )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In a state in which two polarizing films are overlapped so that their alignment directions are the same, (H 1 )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formula.

〔(H11-H1)/(H11+H1)〕1 /2 [(H 11 -H 1) / ( H 11 + H 1) ] / 2

또한, 본 발명의 편광막의 단체(單體)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42% 이상이다. 이와 같은 단체 투과율이 너무 낮으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고휘도화를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The single transmittance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42% or more. If such a simple mass transmittance is too low, the bright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tends to be unable to be achieved.

단체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편광막 단체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해 얻어지는 값이다. The mass transmittance i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a single polarizing film using a spectrophotometer.

본 발명의 편광막의 폭은 1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면적화의 관점에서는 1.3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대면적화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 이상, 파단 회피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m이다.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not less than 1 m,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1.3 m from the viewpoint of large surface area, and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1.5 m from the viewpoint of large- 2.5 m.

또, 본 발명의 편광막의 두께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박형화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파단 회피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2∼9㎛, 특히 바람직하게는 3∼8㎛이다.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5 占 퐉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thinning, more preferably 2 to 9 占 퐉, 8 mu m.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편광막은 편광 얼룩이 적기 때문에, 고성능인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obtained is suitable for producing a high-performance polarizing plate since the polarization unevenness is small.

이하, 본 발명의 편광막으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편광막은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통해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수지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붙여서 편광판이 된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올레핀폴리머, 시클로올레핀코폴리머, 폴리스티렌,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릴렌에스테르, 폴리-4-메틸펜텐,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의 필름 또는 시트를 들 수 있다.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adhering an optically isotropic resin film as a protective film to one side or both sides thereof with an adhesive. Examples of the protective film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cycloolefin polymer, cycloolefin copolymer, polystyrene, polyether sulfone, polyarylene ester, And films or sheet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첩합 방법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되며, 예를 들면, 액상의 접착제 조성물을 편광막, 보호 필름, 또는 그 양쪽 모두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양자를 맞붙여 압착하여 가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실시된다. The bonding method is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liquid adhesive composition is uniformly applied to a polarizing film, a protective film, or both, .

또, 편광막에는 박막화를 목적으로 하여, 상기 보호 필름 대신에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우레아 수지 등의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편광판으로 할 수도 있다. For the purpose of thinning the polarizing film,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curable resin such as a 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or a urea resin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film and cure it to form a polarizing plate.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막이나 편광판은 편광 성능이 뛰어나 휴대 정보 단말기, PC, 텔레비전, 프로젝터, 사이니지, 전자 탁상 계산기, 전자시계, 워드프로세서, 전자 페이퍼, 게임기, 비디오, 카메라, 포토 앨범, 온도계, 오디오, 자동차나 기계류의 계기류 등의 액정표시장치, 선글라스, 방현 안경, 입체 안경, 웨어러블디스플레이, 표시 소자(CRT, LCD, 유기 EL, 전자 페이퍼 등)용 반사 방지층, 광통신 기기, 의료기기, 건축재료, 완구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plat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polarizing performance and can be used in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 PC, a television, a projector, a signage, an electronic tabletop calculator, an electronic clock, a word processor, an electronic paper, a game machine, , Anti-reflection layer for optical devices, medical devices, construction (eg, LCDs, LCDs, organic EL, electronic paper, et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ch as audio, automobile and machinery instruments, sunglasses, anti- Materials, toys and the lik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unless the gist thereof is exceeded.

<측정 조건><Measurement Condition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막에 대해 하기와 같이 편광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편광막의 폭 방향의 중앙부와 양단부(각각 단에서 10cm의 개소)의 편광도를 오오츠카덴시(주) 제조:RETS-1100 A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The polarizabilities of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s follows. The degree of polarization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and both ends (positions 10 cm from each end) was measured using RETS-1100 A manufactured by Otsuka Denshi Co.,

<실시예 1>&Lt; Example 1 &gt;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제조)(Production of polyvinyl alcohol film)

중량 평균 분자량 142000, 비누화도 99.8몰%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1000 kg, 물 2500kg,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100kg을 넣어 교반하면서 140℃까지 승온하고, 수지 농도 25중량%로 농도 조정을 실시하고, 균일하게 용해한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얻었다.1000 kg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42,000,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8 mol%, 2500 kg of water and 100 kg of glycerin as a plasticizer were charged an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40 캜 with stirring to adjust the concentration to a resin concentration of 25% To obtain a dissolv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

이어서,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을 벤트를 갖는 2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탈포한 후, 수용액 온도를 95℃로 하고, T형 슬릿 다이 토출구로부터 표면 온도 90℃의 캐스트 드럼에 토출 속도 0.6m/분으로 캐스팅하여 제막했다.Subsequently, the polyvinyl alcohol resin aqueous solution was fed to a twin-screw extruder having a vent and defoamed. Thereafter,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was set at 95 占 폚, and a casting drum having a surface temperature of 90 占 폚 was ejected from a T- Min.

이어서, 얻어진 필름을 복수의 열 롤로 건조하고 플로팅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120℃에서 3분간의 열처리를 실시하고, 4m 폭으로 슬릿하여 잘라 떨어뜨렸다. 마지막으로, 외경 17cm, 내경 16cm, 길이 4.4m의 알루미늄제 심관에 권취함으로써 함수율이 2중량%의 띠 형태의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폭 4m, 길이 5km, 두께 15㎛)이 심관에 감겨진 필름 롤을 얻었다. Subsequently, the obtained film was dried with a plurality of heat rolls, and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at 120 DEG C for 3 minutes using a floating drier. The film was slit with a width of 4 m and cut off. Finally, a polyvinyl alcohol film (4 m wide, 5 km long, 15 탆 thick) in the form of a belt having a moisture content of 2% by weight was wound on an aluminum pi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7 cm, an inner diameter of 16 cm and a length of 4.4 m, A roll was obtained.

(편광막의 제조)(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얻어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면서〔1) 원반 권출 공정〕, 물 팽윤조의 온수에 침지하여 팽윤시키면서, 이송 방향으로 연신했다(25℃에서 1분간, 연신 배율 1.7배)〔2) 물팽윤 공정〕.The obtained polyvinyl alcohol film was taken out from the roll and conve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disc pulling step), and stretch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ile being dipped in warm water in a swelling bath of water and stretch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 [2) Water swelling process].

물 팽윤조로부터 필름을 끌어올려서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롤 사이에(롤 간 거리 1m, 롤 간 장력 20N/m), 이송 속도 2m/분으로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는 필름의 양단부에 노즐로 위쪽에서부터 물(23℃)을 분사하여 컬을 방지했다. 이와 같은 물의 분사 조건은 이하와 같다.The film was pulled up from the water swelling tank and was fed from both sides of the film horizontally (roll distance: 1 m, inter roll tension: 20 N / m) horizontally at both ends of the film conveyed at a conveying speed of 2 m / Water (23 ° C) was sprayed to prevent curling. The spraying condition of such water is as follows.

노즐:미스미사 제조 어저스트 호스 Nozzle: Miss Misa manufactured just hose

노즐 위치:물 팽윤조 출구에서부터 1m Nozzle Location: 1m from the water swelling tank

노즐 위치(높이):필름 상면에서 5mm Nozzle position (height): 5 mm from the top of the film

분사 유속:0.1m/초 Injection flow rate: 0.1 m / sec

분사 각도θ1:30 °Injection angle θ1: 30 °

분사 각도θ2:45° Injection angle θ2: 45 °

얻어진 필름을 요오드 0.9g/L, 요오드화칼륨 30g/L으로 이루어진 수용액 중에 침지하여 염색하면서, 이송 방향으로 연신했다(28℃에서 0.5분간, 연신 배율 1.6배)〔3) 염색 공정〕.The obtained film was stretch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ile dy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0.9 g / L of iodine and 30 g / L of potassium iodide (0.5 min at 28 DEG C, 1.6 times in stretching). [3] Dyeing Step]

이어서 붕산 25g/L, 요오드화칼륨 30g/L의 조성의 수용액에 침지하여, 붕산 가교하면서, 이송 방향으로 1축 연신했다(55℃ 1분, 연신 배율 2.0배)〔5) 붕산 가교 공정〕.Subsequently,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mposition of boric acid of 25 g / L and potassium iodide of 30 g / L, and uniaxially stretch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while the boric acid was crosslinked (55 ° C for 1 minute, draw ratio 2.0 times).

그 후,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으로 세정을 실시하여 건조하고 총 연신 배율 5.4배의 편광막을 얻었다(폭 1.8 m, 두께 7㎛). 얻어진 편광막에 접힘 또는 주름은 없고, 길이 12km에 걸쳐서 파단은 생기지 않았다. 얻어진 편광막의 편광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Thereafter, the film was washed with an aqueous solution of potassium iodide and dried to obtain a polarizing film having a total draw ratio of 5.4 times (width: 1.8 m, thickness: 7 탆). No break or wrinkle was observed in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and no break occurred over a length of 12 km. Table 1 shows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편광판의 제조)(Production of polarizing plate)

얻어진 편광막의 양면에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TAC 필름)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용액을 접착제로서 사용하여 첩합하고, 50℃에서 건조하여 편광판으로 했다. 얻어진 편광판에 편광 얼룩은 관찰되지 않았다. A triacetyl cellulose film (TAC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was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using a polyvinyl alcohol aqueous solution as an adhesive, and dried at 50 占 폚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Polarization unevenness was not observed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실시예 2∼4>&Lt; Examples 2 to 4 &

실시예 1에서 분사 조건을 표 1에 나타나는 조건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막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막에 접힘이나 주름은 없고, 길이 12km에 걸쳐서 파단은 생기지 않았다. 얻어진 편광막에 대해서,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에 편광 얼룩은 관찰되지 않았다. 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ditions for spraying in Example 1 were changed to those shown in Table 1. [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no folding or wrinkles, and no breakage occurred over a length of 12 km.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urther, 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Polarization unevenness was not observed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실시예 5>&Lt; Example 5 &gt;

실시예 1에서 물을 미스트 상태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막을 얻었다. 이와 같은 미스트의 분사 조건은 이하와 같다.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water was changed to a mist state in Example 1. Such mist spraying conditions are as follows.

노즐: 스프레잉 시스템즈사 제조 히트 제트 노즐 Nozzle: Heat jet nozzle manufactured by Spraying Systems Co.

노즐 위치: 물 팽윤조 출구에서 1m Nozzle Location: 1m from the water swelling tank

노즐 위치(높이):필름 상면에서 5mm Nozzle position (height): 5 mm from the top of the film

분사 유속:0.1m/초 분사 Injection flow rate: 0.1m / sec injection

각도θ1:30°Angle &amp;thetas; 1: 30 DEG

분사 각도θ2:45°Injection angle θ2: 45 °

미스트 입경:20㎛ Mist particle size: 20 탆

미스트 유량:0.2L/분 Mist flow rate: 0.2 L / min

얻어진 편광막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에 편광 얼룩은 관찰되지 않았다.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urther, 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Polarization unevenness was not observed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실시예 6∼8>&Lt; Examples 6 to 8 &

실시예 5에서 분사 조건을 표 1에 나타나는 조건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막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막에 접힘이나 주름은 없고, 길이 12km에 걸쳐서 파단은 생기지 않았다. 얻어진 편광막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에 편광 얼룩은 관찰되지 않았다. 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conditions for spraying in Example 5 were changed to those shown in Table 1. [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had no folding or wrinkles, and no breakage occurred over a length of 12 km.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evalu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urther, a polarizing pl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Polarization unevenness was not observed in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실시예 1에서 분사를 실시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막의 제조를 개시했다. 그러나, 2) 물팽윤 공정 이후, 필름의 양단부에 접힘이나 주름이 관찰되고, 길이 1km의 편광막을 제조한 바, 염색조에서 파단이 생겼다. 얻어진 부분의 편광 특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파단이 생겼기 때문에 편광판의 제조는 할 수 없었다.Production of a polarizing film was star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njection was not performed in Example 1. However, 2) folding or wrinkling was observed at both ends of the film after the water swelling process,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a length of 1 km was produced, and a breaking occurred in the dyeing bath. Table 1 shows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btained portion.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could not be produced because of breakage.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막의 제조 방법으로 하면 접힘이나 주름 없이 길이가 긴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또, 편광막의 중앙부뿐만 아니라, 폭방향 양단부에 있어서도 편광도가 높기 때문에, 편광막의 중앙부에서부터 단부까지 균일한 편광도를 갖는 편광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폭이 넓고 긴 박형의 편광판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액정 표시 화상의 얼룩이나 탈색을 저감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when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a polarizing film having a long length can be obtained without folding or wrinkling. 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polarization is high not only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but also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a polarizing film having a uniform degree of polariza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en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 wide, wide thin polariz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unevenness and discolor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image.

본 발명의 편광막은 휴대 정보 단말기, PC, 텔레비전, 프로젝터, 사이니지, 전자 탁상 계산기, 전자시계, 워드프로세서, 전자 페이퍼, 게임기, 비디오, 카메라, 포토 앨범, 온도계, 오디오, 자동차나 기계류의 계기류 등의 액정표시장치, 선글라스, 방현 안경, 입체 안경, 웨어러블디스플레이, 표시 소자(CRT, LCD, 유기 EL, 전자 페이퍼 등)용 반사 방지층, 광통신 기기, 의료기기, 건축재료, 완구 등에 사용된다.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PCs, televisions, projectors, signage, electronic tabletop calculators, electronic clocks, word processors, electronic papers, game machines, video cameras, photo albums, Reflective coatings for display devices (CRT, LCD, organic EL, electronic paper and the like), optical communication devices, medical equipment, building materials, toys, etc. for use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sunglasses, antiglare glasses, stereoscopic glasses, wearable displays,

PVA 필름: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θ1(°):분사 방향과 필름의 면이 이루는 각도
θ2(°):분사 방향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면에 수직 투영했을 때의 방향과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이송 방향이 이루는 각도
거리 A:물 팽윤조의 액면과 롤(a)과의 거리
거리 B:롤(a)와 롤(b) 사이의 거리
PVA film: polyvinyl alcohol film
θ1 (°):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injection and the plane of the film
? 2 (°): An angle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jection direction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to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and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Distance A: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water swelling tank and the roll (a)
Distance B: Distance between roll (a) and roll (b)

Claims (15)

1)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롤에서부터 권출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공정, 2) 물 팽윤 공정, 3) 염색 공정, 4) 연신 공정, 및 5) 붕산 가교 공정을 가지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2)∼4) 중 어느 하나의 공정 전 및/또는 후에서,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단부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필름의 컬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1)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 film from a roll and feeding it in a horizontal direction, 2) water swelling process, 3) dyeing process, 4) stretching process, and 5) boric acid crosslinking proces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2) to 4), wherein liquid is sprayed to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m to prevent curling of the fil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분사가 2) 물 팽윤 공정 후에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aying of the liquid is carried out after 2) the water swelling step.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분사 방향과 상기 필름의 면이 이루는 각도가 5∼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angle between an ejecting direction of the liquid and a surface of the film is 5 to 80 degrees.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분사 방향을 상기 필름의 면에 수직 투영했을 때의 방향과, 상기 필름의 이송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5∼1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n angle between the direction when the liquid ejection direction is perpendicularly projected to the surface of the film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lm is 5 to 175 degrees.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의 분사가 유속 0.01∼5m/초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liquid is injected at a flow rate of 0.01 to 5 m / sec.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물 또는 염색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liquid is water or a dyeing solution.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가 미스트 상태의 액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liquid is a liquid in a mist sta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상태의 액체가 압축한 액체를 노즐로부터 분무하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quid in the mist state is formed by spraying the compressed liquid from the nozzle.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상태의 액체에 있어서의 미스트의 입경이 1∼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mist has a particle diameter of 1 to 500 mu m in the liquid in the mist state.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상태의 액체의 유량이 0.01∼1 L/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Wherein a flow rate of the liquid in the mist state is 0.01 to 1 L / min.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 물 팽윤 공정에서부터 상기 3) 염색 공정에 이르는 상기 필름의 이송 속도가 1m/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film conveying speed from the 2) water swelling step to the 3) dyeing step is 1 m / min or more.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막의 두께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15 占 퐉 or less.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막의 폭이 1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막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width of the polarizing film is 1 m or more.
청구항 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막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막.A polarizing film produc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청구항 14에 기재된 편광막의 적어도 한 면에 보호 필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a protective film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KR1020187012159A 2015-09-30 2016-06-17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24001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3775 2015-09-30
JPJP-P-2015-193775 2015-09-30
PCT/JP2016/068185 WO2017056579A1 (en) 2015-09-30 2016-06-17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205A true KR20180063205A (en) 2018-06-11
KR102400122B1 KR102400122B1 (en) 2022-05-19

Family

ID=5842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159A KR102400122B1 (en) 2015-09-30 2016-06-17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33542B2 (en)
KR (1) KR102400122B1 (en)
CN (1) CN107850718B (en)
TW (1) TWI693248B (en)
WO (1) WO2017056579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378A (en) 1994-03-09 1995-09-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Method and apparatus for enlarging water stream width in underwater running of vinyl alcohol polymer film
JP2006189560A (en) 2005-01-05 2006-07-20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laminate
JP2014109740A (en) * 2012-12-04 2014-06-12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4510B2 (en) * 1998-11-10 2008-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3429476B2 (en) * 2000-05-09 2003-07-22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polymer film, its production method and polarizing film
JP5382843B2 (en) * 2007-10-31 2014-01-08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6228359B2 (en) * 2011-12-06 2017-11-08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2014146035A (en) * 2014-02-27 2014-08-14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378A (en) 1994-03-09 1995-09-26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Method and apparatus for enlarging water stream width in underwater running of vinyl alcohol polymer film
JP2006189560A (en) 2005-01-05 2006-07-20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laminate
JP2014109740A (en) * 2012-12-04 2014-06-12 Sumitomo Chemical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56579A1 (en) 2018-07-19
TWI693248B (en) 2020-05-11
CN107850718A (en) 2018-03-27
KR102400122B1 (en) 2022-05-19
JP6733542B2 (en) 2020-08-05
WO2017056579A1 (en) 2017-04-06
TW201726770A (en) 2017-08-01
CN107850718B (en) 202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1278B (en)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vinyl alcohol-based film
WO2017073638A1 (en)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using same, and polyvinyl alcohol film production method
JP6743502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JP7335697B2 (en)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CN107107404B (en) Polyvinyl alcohol film,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TWI689745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CN110431458B (en)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JP6740857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JP673354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KR102629982B1 (en) Manufacture of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JP660141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film
KR10240012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25258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film
JP678414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KR102636662B1 (en)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nd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N110392852B (en) Polyvinyl alcohol film,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vinyl alcohol film
CN106256847B (en) Method for producing resin film
JP2022148527A (en) Polyvinyl alcohol based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