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176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176A
KR20180062176A KR1020160162165A KR20160162165A KR20180062176A KR 20180062176 A KR20180062176 A KR 20180062176A KR 1020160162165 A KR1020160162165 A KR 1020160162165A KR 20160162165 A KR20160162165 A KR 20160162165A KR 20180062176 A KR20180062176 A KR 2018006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pattern
display device
length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진우
고정훈
김연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176A/en
Publication of KR2018006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1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8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01L27/3211
    • H01L27/3232
    • H01L27/3272
    • H01L27/3276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viewing angle is controlled by attaching a shielding pattern to the upper part of a polarizing plat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implementing an image, a second base lay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 polarizing film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a first base layer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and a polarizing plate composed of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viewing angle.

평판 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표시장치를 대체하여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장치이다. 현재 상용화된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Flat panel displays (FPDs) have been replaced with conventional cathode ray tube (CRT) display devices to provide a compact and lightweight display device for portable computers such as notebook computers, PDAs, and mobile phone terminals as well as monitors of desktop computers Lt; RTI ID = 0.0 > system. ≪ / RTI > Currently, flat panel display devices commercialized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the like.

최근에, 표시장치는 내비게이터(Navigator)로도 사용되어 사용자가 영상을 즐길 수 있게 하고 사용자에게 위치 및 도로를 안내해준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개인용 표시장치로, 사용자가 원하는 취향대로 원하는 영화나 영상프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에 장착하는 경우 운행 중 도로를 표시하여 목적지까지 도로를 안내할 수 있다.Recently, the display device is also used as a navigator, allowing the user to enjoy the image and guiding the user to the location and the road. Such a display device is a personal display device, which not only can display a desired movie or video program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but also can display a road while driving while guiding the road to a destination.

그러나, 자동차에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운전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려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표시장치가 차량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자동차 탑재 장치인 경우,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상이 자동차의 유리창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도 발생 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a display device is installed in an automobile to display an image, the concentration of the driver may be deteriorated, which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is a vehicle- mounted device such as a car navigation system,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reflected from the windshield of the automobile to obstruct the view of the driver.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시장치는 시야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패널에 의해 방출되는 빛의 불필요한 진행을 방지하는 시야각 제어필름(Viewing Angle Control Film)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야각제어 필름을 구비할 경우, 측면 방향의 불필요한 광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isplay device may have a viewing angle control film for preventing unnecessary progress of light emitted by the panel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iewing axis. When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is provided, unnecessary light leakage in the side direc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종래의 시야각 제어필름을 구비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viewing angle control fil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 탑재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는 영상이 구현되는 유기발광표시패널(11), 터치패널(12), 편광판(13) 및 시야각제어필름(14)을 포함한다.1, an OLED display 10 mounted on a vehicl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11, a touch panel 12, a polarizing plate 13, and a viewing angle control film 14, .

유기발광표시패널(11)는 유기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하게 하는 자발광형 표시패널이다. 유기발광표시패널(11)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N×M 개의 단위 화소들을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 방식으로 구분된다. 능동 매트릭스 방식의 유기발광표시패널는 수동 매트릭스 방식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어 대면적 구현에 적합하며, 고해상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11 is a self-luminous display panel that electrically excites an organic compound to emit ligh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11 is divided into a passive matrix and an active matrix according to a method of driving N × M unit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active matrix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s advantageous in that it consumes less power than a passive matrix type and is suitable for realizing a large area and has a high resolution.

자동차에 탑재된 유기발광표시장치(10)에 구비되는 터치패널(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셀(on-cell)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애드온(add-on)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1, the touch panel 12 provided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 mounted on a vehicle may be implemented in an on-cell manner or may be implemented in an add-on manner Can also be implemented.

편광판(13)은 외부환경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10) 구동시에, 외광반사 특성에 의해 유기발광표시장치(10)의 화질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특성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발광표시패널(11)의 출광면 상에 구비된다.The polarizing plate 13 is dispos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11 in order to prevent the sharp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 due to the external light reflection characteristics, Emitting surface.

시야각 제어필름(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표시장치(10)에 표시되는 화상이 자동차의 유리창에서 반사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시야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14 is emit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isual axis axi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10 is reflected from the windshield of the automobile and obstructs the view of the driver It blocks light.

여기서, 시야각 제어필름(14)은 별도 공정에 의해 제작되어, 편광판(13) 부착공정 후, 다시 부착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시야각 제어필름(14)을 부착하기 위해 공정 시간 및 제작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시야각 제어필름(14)의 두께로 인해, 유기발광표시장치(10)의 전체적인 두께가 증가하여 박형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ere,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14 is manufactured by a separate process, and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13 again after the polarizing plate 13 is attached is required. Therefore, additional processing time and fabrication cost are required to attach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14. In addition, due to the thickness of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14,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 is increas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duce the thickness.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판 상부에 차광패턴을 부착하여,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viewing angle by attaching a shielding pattern to an upper portion of a polariz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편광판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and a polarizing plate.

상기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외광 반사를 제어하는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 상에 배치되는 광제어패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polarizing film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to control external light reflection and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상기 표시패널은 빛이 투과되는 개구부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비개구부로 구성되고, 상기 비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및 다수의 데이터라인이 서로 교차하여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표시패널의 비개구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sub-pixel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rranged on the non-open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ub-pixels being composed of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 non- , And the shielding pattern may be disposed on a non-open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편광층 내부에, 광제어패턴층을 구비하여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장치에서 별도의 시야각제어필름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어, 표시장치의 제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의 시야각제어필름의 두께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제어패턴층의 두께가 얇아, 표시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 viewing angle can be controlled by providing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inside the polarizing layer. 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viewing angle control film, so that the manufacturing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simplified.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made thinner.

도 1은 종래의 시야각 제어필름을 구비한 유기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광제어패턴층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차광패턴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viewing angle control film.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shown in Fig.
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shown in FIG.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 layout structure of a light shielding patter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another element or "on" or "on ", it includes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in the middle, do. On the other hand, when a device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 it does not intervene another device or layer in the middl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lower," "above," "upper,"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 "and / or" comprising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resence of stated elements, Or addi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다른 종류의 표시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nother kind of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하부기판(120) 상에 복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125)와 유기발광다이오드(13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를 도시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125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35 on a lower substrate 120. 2, one thin film transisto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여기서, 하부기판(120)은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기판(1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플라스틱 재 또는 금속 재 등, 다양한 재질의 기판을 이용할 수 있다.Here, the lower substrate 1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having SiO 2 as a main component. The lower substrate 1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ubstrates such as a transparent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can be used.

또한, 하부기판(120)의 상면에는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An insulating layer 112 such as a barrier layer and / or a buf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120 to prevent impurity ions from diffusing, to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or outside air, and to planarize the surface. have.

상기 절연층(112) 상에 구동회로로서 박막트랜지스터(125)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일 예로서 탑 게이트(top gate) 방식의 박막트랜지스터(125)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다른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thin film transistor 125 is formed as a driving circuit on the insulating layer 11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p gate thin film transistor 125 is shown as an example of a thin film transistor.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thin film transistor having another structure may be provided.

상기 절연층(112) 상에 박막트랜지스터의 활성층(121)이 반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게이트절연막(113)이 형성된다. 활성층(121)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고,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과 이들 사이의 채널 영역을 갖는다.An active layer 121 of a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112 by a semiconductor material, and a gate insulating layer 113 is formed to cover the active layer 121. The active layer 121 may be an inorganic semiconductor such as 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or an organic semiconductor, and has a source region, a drain region, and a channel region therebetween.

게이트 절연막(113) 상에는 게이트 전극(122)이 구비되고, 이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14) 상에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3)이 콘택홀(124)을 통해 활성층(121)과 연결되며, 이를 덮도록 평탄화막(115)이 순차로 구비된다.A gate electrode 122 is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113,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14 is formed to cover the gate electrode 122.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23 are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121 through the contact holes 124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15 is sequentially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14 to cover the active layer 121.

상술한 바와 같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적층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s described abov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thin film transistors having various structures can be applied.

상기 평탄화막(115)의 상부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135)의 한 전극인 제1전극(131)이 형성되고, 비어홀(130)을 통하여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 first electrode 131 which is an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35 is form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115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23 through the via hole 130.

제1전극(131)의 상부에는 대향 위치된 제2전극(133)을 구비한다.And a second electrode 133 opposed to the first electrode 131.

상기 제1전극(131)은 애노드(anode)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제2전극(133)은 캐소드(cathode)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electrode 131 functions as an anod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133 functions as a cathode electrode. Of course, the polarities of the first electrode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33 may be reversed.

제1전극(131)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구비될 수 있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투명막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31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or a reflective electrode. In the case of using a transparent electrode, it may be formed of ITO, IZO, ZnO, or In2O3, and when it is provided as a reflective electrode,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And a transparent film formed of ITO, IZO, ZnO, or In2O3.

제2전극(133)도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중간층을 향하도록 증착하여 형성된 막과, 그 위의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위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33 may be a transparent electrode or a reflective electrode. When the second electrode 133 is provided as a transparen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133 may be formed by depositing Li, Ca, LiF / Ca, LiF / And an auxiliary electrode or bus electrode lin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ZnO, or In 2 O 3 on the film. When the reflective electrode is provided, it may be formed of Li, Ca, LiF / Ca, LiF / Al, Al, Mg, or a compound thereof.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기판(120)이 박막트랜지스터(125)를 포함할 경우, 서브 픽셀별로 패터닝된 제1전극(131)은 각 서브 픽셀의 박막 트랜지스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때, 제2전극(133)은 모든 서브 픽셀에 걸쳐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공통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lower substrate 120 includes the thin film transistor 125, the first electrode 131 patterned for each subpixe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of each subpixel. At this time, the second electrode 133 may be formed as a common electrode connected to all the sub-pixels.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3) 사이에는 유기막(132)이 개재된다.An organic layer 132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31 and the second electrode 133.

유기막(132)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구비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유기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phthalocyanine), N, N-디(나프탈렌-1-일)-N, N'-디페닐-벤지딘 (N, N'-Di(naphthalene-1-yl)-N, 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The organic film 132 may be formed of a low-molecular or high-molecular organic material. When a low molecular organic material is used,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 electron injection layer, etc.) may be laminated in a single or a composite structure. The usable organic material may be copper phthalocyanine (CuPc), N, N-di (naphthalen- N-diphenyl-benzidine NPB, 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 (Alq3), tris- )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물은 마스크들을 이용하여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수 있다.And the like. These low-molecular organic substances can be formed by a vacuum deposition method using masks.

고분자 유기물의 경우에는 대개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EML)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홀 수송층(HTL)으로 PEDOT를 사용하고, 발광층(EML)으로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유기물질을 사용한다.In the case of the polymer organic material,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the emission layer EML may be formed of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a light emitting layer (EML). In this case, PEDOT is used as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Poly- And a polyfluorene-based polymer organic material.

봉지 기판(300)은 실런트를 사용하여 하부 기판(120)을 밀봉한다. 봉지 기판(300)은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substrate 300 seals the lower substrate 120 using a sealant. The sealing substrate 3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glass or plastic material.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패널(미도시)은 상기 봉지기판(300) 상에 터치센서 모듈을 부착하는 애드온(add-on)방식이나, 상기 봉지기판 표면에 터치센서를 직접 형성하는 온셀(on-cell)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touch panel (not shown) may be an add-on method for attaching a touch sensor module on the encapsulation substrate 300 or an on-cell ) Method.

편광판(350)은 상기 하부기판(120)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135)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경로 상에 구비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발광되는 빛이 하부기판(120)의 하부로 방출되는 바텀에미션(bottom emission)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이 상부로 방출되는 탑에미션(top emission)에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탑에미션의 경우, 상기 편광판(350)은 상기 봉지기판(3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polarizer 350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lower substrate 120 and is provided on the path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35. Her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case of a bottom emission in which light emitted is emit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bstrate 120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op emission). In the case of a mission in the top, the polarizer 350 may be disposed on the sealing substrate 300.

편광판(350)은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의 반사를 차단하여,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 따른 편광판(350)은 광제어패턴층(352)을 포함하여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350 functions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OLED display 100 by blocking the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of the OLED display 100. 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polarizing plate 350 according to the OLED displ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to adjust the viewing angl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편광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arizing plate shown in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광판(350)은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필름(354), 위상지연층(미도시), 상기 편광필름(354)을 감싸는 제1, 2 기재층(351, 355), 차광패턴을 포함하는 광제어패턴층(352) 및 보호층(353)을 포함한다.3, the polarizing plate 350 includes a polarizing film 354 for polarizing light, a retardation layer (not shown), first and second base layers 351 and 355 surrounding the polarizing film 354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including a light shielding pattern, and a protective layer 353. [

편광필름(354)은 빛의 방향을 정렬하며, 입사광을 서로 직교하는 두 가지 편광 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성분은 흡수 또는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직교하는 두 가지 편광 성분이라 함은 직교하는 선 편광성분뿐만 아니라, 직교하는 좌원 편광성분 및 우원 편광성분도 포함한다.The polarizing film 354 aligns the direction of light and divides the incident light into two polarizing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allowing only one component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other component to absorb or disperse. Here, the two polarization components orthogonal to each other include not only orthogonal linear polarization components but also orthogonal left and right polarized light components.

편광필름(354)은 요오드계 편광필름, 염료계 편광필름 및 폴리엔계 편광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요오드 및 염료계 편광 필름에 사용되는 염료를 동시에 포함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요오드계 편광 필름은 요오드이온 사슬이 연신 배향된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며, 염료계 편광 필름도 역시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PVA 사슬에 의하여 배향됨으로써 편광성을 나타내게 된다. 반면, 폴리엔계 편광 필름은 PVA 필름의 탈수반응 또는 PVC필름의 탈염산 반응에 의해 폴리엔을 형성시켜 편광성을 나타낸다.The polarizing film 354 may be an iodine polarizing film, a dye-based polarizing film, or a polyene-based polarizing film, or a material containing both the iodine and dye used in the dye-based polarizing film at the same time. The iodine polarizing film exhibits polarization by being oriented by a polyvinyl alcohol (PVA) chain in which the iodine ion chain is oriented in a stretched state. The dye-based polarizing film is also oriented by the PVA chain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oriented by stretching Thereby exhibiting a polarizing property. On the other hand, the polyene polarizing film exhibits a polarizing property by forming a polyene by a dehydration reaction of a PVA film or a dehydrochlorination reaction of a PVC film.

편광필름(354)은 PVA계 필름을 가열시키면서 연신한 후 요오드 산(idoic acid) 및/또는 이색성 염료 용액에 침적시킴으로써 형성하는 방법, 요오드 산(idoic acid) 및/또는 이색성 염료용액을 PVA 필름에 흡착시킨 후 연신하는 방법, 염착과 연신을 동시에 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polarizing film 354 may be formed by heating the PVA film while stretching it and then immersing it in an iodic acid and / or a dichroic dye solution, a method of forming an iodic acid and / or a dichroic dye solution by PVA A method in which the film is adsorbed on a film and then stretched, and a method in which salt and stretching are simultaneously carried out.

편광필름(354)은 흡수축과 편광축을 구비하는데, 흡수축은 요오드 이온 사슬 또는 이색성 염료가 연신 배향된 축으로서, 임의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의 수직한 두 개의 성분 중 한쪽 성분이 편광 필름의 전자와 상호 작용하여 광의 전기적 에너지가 전자의 에너지로 바뀌는 과정에서 빛의 성분을 소멸시키는 축이다. 편광축은 이러한 흡수축에 수직인 축으로서, 편광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을 투과시킨다.The polarizing film 354 has an absorption axis and a polarization axis, and the absorption axis is an axis in which an iodine ion chain or a dichroic dye is oriented in a stretched direction. One of the two vertical components of light oscillating in an arbitrary direction is polarized And is the axis that destroys the light component in the process that the electric energy of light is converted into the energy of the electron. The polarization axis is an axis perpendicular to this absorption axis, and transmits light that oscillates i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 axis.

연신 과정을 거친 편광필름(354)은 상온에서 쉽게 수축되거나 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 필름(354)의 양면에는 지지층으로서 제1 기재층(351) 및 제2 기재층(355)이 각각 구비된다.The polarizing film 354 having undergone the stretching process can be easily shrunk or deformed at room temperature. In order to prevent this, a first base layer 351 and a second base layer 355 are provided as support layers on both sides of the polarizing film 354, respectively.

도시하지 않았으나, 위상지연층(미도시)은 편광필름(354)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편광된 빛의 위상을 1/4파장 지연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필름(354)에서 빛이 좌원 편광성분 및 우원 편광성분으로 편광된 경우, 상기 원편광된 빛을 선편광된 빛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위상이 지연되고 편광된 빛이 유기발광표시장치(100) 내부에서 반사되어 위상이 반대가 된다. 상기 반사된 빛이 상기 편광필름(354)을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되게 된다. 이렇게 외부에서 유기발광표시장치(100)에 입사된 빛이 반사되지 못하고 차단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a phase retardation layer (not shown) is disposed under the polarizing film 354 to delay the phase of the polarized light by a quarter wavelength. For example, when the light is polarized in the polarizing film 354 as a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component and a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component, it converts the circularly polarized light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The phase retarded and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insi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100, and the phase is opposite. The reflected light is block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olarizing film 354. In this way, the light incident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100 from the outside is not reflected but is blocked.

상기 제1 기재층(351) 및 제2 기재층(355)은 연신된 편광필름(354)을 지지하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편광 필름(354)을 보호하며, 편광 필름(354)의 내구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 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base layer 351 and the second base layer 355 support the stretched polarizing film 354 and protect the polarizing film 354 from external impact or the like, Moisture and mechanical strength.

상기 제1기재층(351) 및 제2기재층(355)은 광투과율이 우수한 투명고분자필름으로서, 트라아세틸 셀룰로오스(TAC: Tri-acetyl-cellulose),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아릴레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설폰, 올레핀계 중합체나 노보넨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나 스티렌계 중합체, 및 이들 중합체의 2종 또는 3종 이상을 혼합한 중합체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base layer 351 and the second base layer 355 are transparent polymer films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Examples of the transparent polymer film include triacetyl-cellulose (TAC), polycarbonate or polyary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But are not limited to, polyesters such as naphthalates, polysulfones, olefinic polymers, norbornene polymers, acrylic polymers, styrene polymers, and polymers obtained by mixing two or more of these polymers.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광제어패턴층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A to 4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shown in FIG.

광제어패턴층(352)은 상기 제1 기재층(351) 상에 배치되어, 편광필름(354)으로부터 편광된 빛의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시야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is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351 and blocks the path of light polarized from the polarizing film 354 to control the viewing angle.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제어패턴층(352)은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차광패턴(352a)을 구비하고, 상기 차광패턴(352a)을 이용하여 빛의 경로를 제한함으로써,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4A to 4C,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hielding patterns 352a arranged in a line, and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is formed by using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The viewing angle can be adjusted.

상기 차광패턴(352a)은 광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광 차폐 물질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질로는 흑색안료나 회색안료 같은 어두운 색상의 안료, 흑색염료나 회색염료와 같은 어두운 색상의 염료, 알루미늄이나 은과 같은 금속, 금속산화물, 어두운 색상의 안료나 염료의 중합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is formed of a light shielding material that absorbs or reflects light. Examples of the light shielding material include a dark pigment such as a black pigment or a gray pigment, a dark color dye such as a black dye or a gray dye, Metal oxides, dark colored pigments or dyestuff polymers,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 차광패턴(352a)의 간격(P)은 서브픽셀(R, G, B)의 크기에 대응하여 10um 내지 150um일 수 있고, 차광패턴(352a)의 높이(H)는 50um 내지 250um 일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화상 표시방향, 즉, 유기발광표시장치(100)로부터 사용자에게로 전달되는 빛의 진행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정의 한다. 그리고, 차광패턴(352a)의 간격(P)이라 함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차광패턴(352a)의 상변 또는 하변의 중심부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차광패턴(352a)의 간격이 넓을수록 시야각이 넓어지는 경향이 있고, 차광패턴(352a)이 높을수록 시야각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경향성을 고려하여, 시야각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광패턴(352a)의 높이(H) 및 간격(P)을 조절할 수 있다.The interval P of the light shielding patterns 352a may be 10um to 150um corresponding to the sizes of the sub pixels R and G and the height H of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may be 50um to 250um . Here, the image display direction of the OLED display 100,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OLED display 100 to the user is defined a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defined as a 2 direction. The distance P between the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direction, as shown in Figs. 4A to 4C . The wider the interval between the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the wider the viewing angle. The higher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the narrower the viewing angle becomes. Therefore, the height H and the interval P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 for viewing angl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endency.

또한, 차광패턴(352a)은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시야각을 제어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된 차광패턴(352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Further, a plurality of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control the viewing ang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 light-shielding pattern 352a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차광패턴(352a)은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인접한 일면의 길이가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인접한 일면의 길이와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의 길이가 제1 길이(L1)로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차광패턴(352a)은 제1 방향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인접한 일면의 길이가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일면의 길이가 제2 길이(L2)를 갖고, 상기 타면의 길이가 제3 길이(L3)를 가질 수 있다. 4A, the length of one surface adjacent to the user may be the same as the length of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That is, the length of one surface adjacent to the user and the length of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length L1 based o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S. 4B and 4C, the length of one surface adjacent to the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length of the other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That is, the length of the one surface may have a second length L2, and the length of the other surface may have a third length L3.

여기서 제2 길이(L2)는 제3 길이(L3)보다 길며, 제3 길이(L3)는 0 내지 제2 길이(L2)의 0.5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광패턴(352a)은 빛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을 따라,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length L2 may be longer than the third length L3 and the third length L3 may be 0.5 times the length of the second length L2. Accordingly,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may be formed to be gradually widened along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또한, 차광패턴(352a)의 상기 일면의 각 끝점과 상기 타면의 각 끝점은 서로 직선 혹은 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end of the one surface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and each end of the other surfac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various shapes such as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일례로, 상기 일면의 각 끝점과 상기 타면의 각 끝점이 직선으로 연결될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패턴(352a-1)의 단면은 직사각형 일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패턴(352a-2)의 단면은 사다리꼴형 일 수 있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패턴(352a-3)의 단면은 삼각형 일 수 있다. 4A, the cross-section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1 may be a rectangle, as shown in FIG. 4B, and the cross-section of the light-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2 may be trapezoidal,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3 may be triangular as shown in Fig. 4C.

그리고 차광패턴(352a) 사이의 투과부(352b)는 광 투과율이 높은 중합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로는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UV경화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지로는, 셀룰로스수지(예컨대,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 폴리올레핀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폴리에스테르수지(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transmissive portion 352b between the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is formed of a polymer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Examples of such a polymer include a cellulose resin (e.g., cellulose acetate butyrate, triacetyl cellulose, etc.), a polyolefin resin (e.g.,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the like), a thermosetting resin ), A polyester resin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styrene, polyurethane, polyvinyl chloride, an acrylic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nd the like.

전술한 바와 같이, 광제어패턴층(352)은 교차로 형성되는 차광패턴(352a)와 투과부(352b)로 구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may be composed of a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and a transmission portion 352b which are formed at intersections.

광제어패턴층(352)는 먼저, 차광패턴(352a)이 형성된 후 투과부(352b)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패턴(352a)이 금속 및 금속산화물 일 경우에는 마스크패터닝을 통한 증착방식으로 차광패턴(352a)을 형성한다. 이후에, 광 투과율이 높은 고분자 중합체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상기 투과부(352b)를 형성할 수 있다. 반면, 차광패턴(352a)이 검정안료를 포함한 수지(resin)등 중합체인 경우에는 차광패턴(352a)을 스핀코팅, 잉크젯 등과 같은 프린팅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광 투과율이 높은 고분자 중합체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상기 투과부(352b)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first, a transmissive portion 352b may be formed after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is formed. For example, when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is a metal or a metal oxide,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is formed by a deposition method through mask patterning. Thereafter, the transmission portion 352b can be formed by coating and curing a high molecular polymer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is a polymer such as a resin including a black pigment,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may be formed through a printing process such as spin coating, inkjet or the like. Thereafter, the transmission portion 352b can be formed by coating and curing a high molecular polymer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또한, 광제어패턴층(352)은 투과부(352b)가 먼저 형성된 후 차광패턴(352a)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광 투과율이 높은 고분자 중합체를 도포하여 포토레지스트 필름이나 몰드 프레스(Mold press)를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이후에,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검정안료를 포함한 수지(resin)를 코팅하여 광제어패턴층(352)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may be formed with a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after the transmissive portion 352b is formed first. First, a polymer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is applied, and a pattern is formed using a photoresist film or a mold press. Thereafter,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352 may be formed by coating a resin containing a black pigment on the patterned por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차광패턴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 layout structure of a light shielding patter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표시장치의 편광판(350)에 구비되는 차광패턴(352a)은 다수의 막대형태로 구성되며,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provided in the polarizing plate 350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rod-like shapes and can be arranged in a line.

보다 상세하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게이트라인(미도시)과 다수의 데이터라인(미도시)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 즉, 녹색 서브픽셀(G), 적색 서브픽셀(R), 청색 서브픽셀(B)을 갖는 픽셀(PX)들을 포함하며, 상기 픽셀(PX)은 빛이 투과되는 개구부(OP)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비개구부(NOP)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비개구부(NOP)에는 상기 데이터라인 및 상기 게이트라인 등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광패턴(352a)은 상기 픽셀(PX)의 비개구부(NOP)상에 대응되어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차광패턴(352a)은 게이트라인과 중첩(overlap)되어 배치될 수 있거나, 데이터라인과 중첩(overlap)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차광패턴(352a)을 배치함으로써, 개구부(OP)에서 나오는 빛을 최대한 투과시켜, 표시장치(100)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5A,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by intersect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not shown), that is, (PX) having a red subpixel (G), a red subpixel (R), and a blue subpixel (B), and the pixel (PX) includes an opening (OP)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 non- NOP). The non-opening portion NOP may be provided with components such as the data line and the gate line.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may be disposed on the non-opening portion NOP of the pixel PX and may have a constant width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ate line or the data line.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ight-shielding patterns 352a may be overlapped with the gate lines, or may be overlapped with the data lines. By arranging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in this way,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ening portion OP is transmitted as far as possible,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improved.

반면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대형태, 즉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차광패턴(352a)이 상기 픽셀(PX)의 비개구부(NOP)에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고,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차광패턴(352a)이 픽셀(PX)의 개구부(OP)의 일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차광패턴(352a)과 픽셀(PX)의 비개구부(NOP)는 10도 이내의 각도(θT)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광패턴(352a)와 비개구부(NOP)에 배치된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은 10도 이내의 각도(θT)를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차광패턴(352a)을 배치함으로써, 동일한 픽셀의 패턴이 반복됨으로써 생기는 모아레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B, the rod shape, that is,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extending in a constant width can be arranged at an angle without being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non-opening portion NOP of the pixel PX. That is, the light shielding pattern 352a may be disposed in a part of the opening OP of the pixel PX. At this time, the non-opening portions NOP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and the pixel PX can be arranged at an angle? T within 10 degrees. More specifically, the data line or the gate line disposed in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and the non-opening portion NOP may be disposed at an angle? T within 10 degrees. By arranging the light-shielding pattern 352a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oire phenomenon caused by repetition of the pattern of the same pixel.

마지막으로 보호층(353)은 유기발광표시장치(100)의 내구성, 내습성 및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기발광표시장치(100) 상에 실리카(silica)계열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층(353)의 헤이즈(haze)는 모아레현상 방지를 위하여 10%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haze)는 보호층(353) 내부에 미세입자의 도포량을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Lastly, the passivation layer 353 may be formed of a silica-based material on the OLED display 100 to improve durability, moisture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of the OLED display 100 . Here, the haze of the protective layer 353 may be less than 10% to prevent moire phenomenon. The haze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fine particles inside the protective layer 353.

이렇게 편광층 내부에, 광제어패턴층을 구비하여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표시장치에서 별도의 시야각제어필름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어, 표시장치의 제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의 시야각제어필름의 두께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광제어패턴층의 두께가 얇아, 표시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viewing angle can be controlled by providing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inside the polarizing layer. 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does not need to have a separate viewing angle control film, so that the manufacturing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simplified.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viewing angle control film in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so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made thinner.

전술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While a number of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rather than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nd the claims.

Claims (11)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어 외광 반사를 제어하는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 상에 배치되는 광제어패턴층을 갖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for implementing an image; And
And a polarizing plat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polarizing film for controlling external light reflection and a light control pattern layer disposed on the polarizing fil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패턴층은 일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차광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control pattern layer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hielding patterns arranged in a lin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의 중심부로부터 인접한 차광패턴의 중심부까지의 거리는 10um 내지 150um인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istance from a center portion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to a center portion of the adjacent light-shielding pattern is 10um to 150u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의 높이는 50um 내지 250um인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height of the shielding pattern is 50um to 250um.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빛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인접한 일면의 길이와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의 길이가 동일한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shielding pattern has a length of one surface adjacent to the user and a length of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빛의 진행방향인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인접한 일면의 길이와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의 길이가 다른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ght shielding pattern has a length of one surface adjacent to the user and a length of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the traveling direction of ligh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의 상기 일면의 길이는 상기 타면의 길이보다 긴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length of the one surface of the light-shielding pattern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other surfa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빛이 투과되는 개구부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비개구부로 구
성되고, 상기 비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이 서로 교차하여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표시패널의 비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divided into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and a non-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arranged on the non-
A plurality of subpixels defined by intersecting lines,
Wherein the shielding pattern is disposed on a non-open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표시패널의 비개구부 상에 배치되는 게이트라인 또는
데이터라인과 중첩(overlap)되어 형성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hielding pattern is a gate line disposed on a non-opening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or
And the data lin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게이트라인 또는 상기 데이터라인의 연장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일정한 폭으로 배치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hielding pattern is form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ate line or the data line
The display device being arranged in parallel with a predetermined width.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패턴은 상기 표시패널의 비개구부에 배치된 데이터라인 또는
게이트라인과 10도 이내의 각도를 이루며 비스듬히 배열되는 표시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ight-shielding pattern may be a data line disposed at a non-
The display device is arranged diagonally at an angle of less than 10 degrees with the gate line.
KR1020160162165A 2016-11-30 2016-11-30 Display device KR2018006217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65A KR20180062176A (en) 2016-11-30 2016-11-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165A KR20180062176A (en) 2016-11-30 2016-11-30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176A true KR20180062176A (en) 2018-06-08

Family

ID=6260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165A KR20180062176A (en) 2016-11-30 2016-11-30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17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250B1 (en) Display device
KR10215175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51081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rganic layer including pigment or dy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084180B1 (en) Polariz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111562B1 (en)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1115869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ght blocking layer over a pixel defining layer
KR102080007B1 (en) Display device
US7639414B2 (en) Polarizer and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6252376B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161386A1 (en) Display apparatus
US9091814B2 (en)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3226217A (en) Polarization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ving the structure
KR101127585B1 (en) Plat panel display apparatus
KR2012003504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08750B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90008459A (en) Display apparatus
KR102604023B1 (en) Light scattering film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20139076A (en) Display device
KR20110016346A (en) Touch screen display apparatus
US201601957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P219706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12018150B (en) Display device
KR20180062176A (en) Display device
US2014006229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42796A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