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077A -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077A
KR20180062077A KR1020160161964A KR20160161964A KR20180062077A KR 20180062077 A KR20180062077 A KR 20180062077A KR 1020160161964 A KR1020160161964 A KR 1020160161964A KR 20160161964 A KR20160161964 A KR 20160161964A KR 20180062077 A KR20180062077 A KR 2018006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ntroller casing
drones
casing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9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승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Priority to KR102016016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077A/en
Publication of KR2018006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and a drone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which is used to control a drone, includes: a first controller casing unit which has a mount area for mounting a drone on the upper surface; and two second controller casing units which are connected to ends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unit to be folded between a first position of arranging the upper surfaces to be at a first preset angle and a second position of arranging the upper surfaces to be at a second preset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pre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unit.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units have the upper surfaces arrang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mount area when being arrang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mount space for mounting the drone is defined by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ler casing units.

Description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0001]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and a dr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드론이란,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하여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를 지칭하는 것으로, 군사용뿐만 아니라 산업용, 개인용, 교육용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컨트롤러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파지하는 컨트롤러 바디 및 드론의 조종을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핸들 및 버튼을 포함한다.The drones refer to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hat can fly and steer by induction of radio waves, and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ilitary, industrial, personal, and educational. Th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on includes a controller body gripped by a user and a handle and a button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종래에는, 드론 및 컨트롤러의 보관시에는 드론과 컨트롤러를 각각 보관함으로써, 드론 및 컨트롤러의 보관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큰 공간이 필요하고, 드론 또는 컨트롤러의 분실이 우려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드론 및 컨트롤러의 운반이 필요한 경우에도, 드론과 컨트롤러를 각각 파지하여 별도로 운반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거나 드론과 컨트롤러가 수납된 보관용 상자 등을 운반하는 경우에는 보관용 상자의 내부에서 드론과 컨트롤러가 서로 부딪혀서 손상될 우려가 있다.Conventionally, when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are stored, a relatively large space is required for storing the drones and the controller by storing the drones and the controller, respectively, and loss of the drone or the controller may be a concern. Also, in the past, even when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are required to be transported,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hold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separately, or if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are carried in a storage box or the like, The drones and controller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nd cause damage.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53146호(명칭: 드론 컨트롤러)(Prior Ar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653146 (name: Drone Controll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ler and a dron system including the same which are configured to be simple and easy to store and transpo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러의 일 양태는, 드론을 조종하기 위한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이 그 상면에 형성되는 제1컨트롤러 케이싱; 및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의 상면이 기설정된 제1각도를 이루는 제1위치와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하도록 기설정된 제2각도를 이루는 제2위치 사이에서 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2개의 제2컨트롤러 케이싱;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이 상기 안착 영역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드론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이 정의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ron, the controller comprising: a first controller casing having a seating area on which the dron is seated, ;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and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is folded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each upper surface forms a first predetermined angle and a second position at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Two second controller casing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troller casing;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seating area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drones are sea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is defin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된 상기 드론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가 각각 구비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are provided with supporting ribs for supporting the drones which are seated in the seating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착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론의 저면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삽입되는 지지 돌기가 구비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defining the seating sp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The support protrusions being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surfaces.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착 공간을 정의하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론의 저면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이 구비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defining the seating sp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is provided with a bottom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nd a magnet to which attrac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의 일 양태는, 드론; 및 상기 드론의 조종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드론에 전송하고, 상기 드론이 상기 안착 공간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트롤러; 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a dron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s;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and transmitting the signals to the drones, wherein the drones are selectively seated in the seating space;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드론은, 적어도 2개의 테두리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되는 테두리면 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고, 비행을 위한 양력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의 로터; 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comprises a main frame formed in a hollow hexahedron shape in which at least two rim surfaces are opened; At least two subframes swingably mounted on the main frame such that the subframes are positioned on an opened rim surface of the main frame or on an imaginary plane same as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And at least two rotors installed in the subframe, respectively, for generating lift and thrust for flight;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드론이 상기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의 선단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은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In an asp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drones ar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the top end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and the top surface of the main frame have the same virtual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에서는, 드론이 컨트롤러의 폴딩에 의하여 정의되는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드론 및 컨트롤러를 보관이나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론 및 컨트롤러의 보관이나 운반이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controller and the drones system including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s and the controller can be stored or transported while the drones ar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defined by the folding of the controll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drone and the controller can be made simpler and easi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드론이 컨트롤러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을 보인 분해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ones are seated on the controll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드론이 컨트롤러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rone is seated on a controll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은, 드론(100) 및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론(100)이 상기 컨트롤러(200)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200S)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드론(100) 및 컨트롤러(200)의 보관 및 운반이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dr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ron 100 and a controller 200.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ones 100 are selectively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00S formed in the controller 200, so that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drones 100 and the controller 200 are simpler Can be easily achiev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론(100)은, 실질적으로 상기 컨트롤러(2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서 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론(100)이 메인 프레임(110), 4개의 서브 프레임(120) 및 4개의 로터(13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drone 100 substantially flies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ones 100 include a main frame 110, four subframes 120, and four rotors 13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상면, 저면 및 4개의 테두리면을 포함하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이, 육면체 형상의 상면을 정의하는 어퍼 플레이트(111), 육면체 형상의 상부 모서리를 정의하는 4개의 상부 엣지 바아(113), 육면체 형상의 하부 모서리를 정의하는 4개의 하부 엣지 바아(115), 및 육면체 형상의 측부 모서리를 정의하는 4개의 측부 엣지 바아(117)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저면 및 4개의 테두리면 모두 개방된다. 물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2개의 테두리면만 개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The main frame 110 is formed in a hollow hexahedral shape including an upper surface, a bottom surface, and four edge surfaces. In this embodiment, the main frame 110 includes an upper plate 111 defining a hexahedron-shaped upper surface, four upper edge bars 113 defining a hexahedron-shaped upper edge, and a hexahedron lower edge And four side edge bars 117 defining a hexahedral side edge.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four edge surfaces of the main frame 110 are opened. Of course, only two edge faces of the main frame 110 may be opened.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되는 테두리면 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대하여 스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 프레임(120)이, 상기 상부 엣지 바아(113)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121) 및 상기 힌지부(121)에 각각 고정되는 4개의 팬 쉬라우드(123)를 포함한다.The subframe 120 is swingably mounted on the main frame 110. The subframe 120 may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in frame 110 such that the subframe 120 is located on the open rim surface of the mainframe 110 or on the same virtual plane as the top surface of the mainframe 110 Swing. The subframe 120 includes a hinge portion 121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edge bar 113 and four fan shrouds 123 each fixed to the hinge portion 121. [ ).

상기 로터(130)는, 비행을 위한 양력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터(130)가 로터 마운트(131)에 의하여 상기 팬 쉬라우드(123)에 고정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로터(1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추력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되는 테두리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120)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대하여 스윙된다.The rotor 130 serves to generate lift and thrust for flight. In this embodiment, the rotor 130 is fixed to the fan shroud 123 by a rotor mount 131. The sub frame 120 positioned on the opening edge of the main frame 11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due to the thrus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130 And is swung relative to the main frame 110 to be positioned on a virtual plane.

한편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드론(100)의 조종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드론(100)에 전송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트롤러(200)가, 상기 드론(100)이 안착되는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선택적으로 정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200)는, 1개의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 및 2개의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controller 200 receiv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100 and transmits the signals to the drones 100. 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ler 200 selectively defines the seating space 200S on which the drones 100 are seated. To this end,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first controller casing 210 and two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은, 적어도 2개의 양측 단부를 가지는 다면체, 예를 들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에는, 상기 드론(100)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양측 단부에는 폴딩 개구(213)가 형성된다. 상기 폴딩 개구(213)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양측 단부의 대략 중앙 부분의 일부가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내부로 함몰되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폴딩 개구(213) 상에는,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폴딩을 위한 회동축이 구비된다.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may be formed as a polyhedron having at least two end portions, for example, a flat hexahedron. A seating area 211 on which the drones 100 are sea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Folding openings 213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The folding opening 213 may be defined by a part of the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being recessed into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Although not shown, a pivoting shaft for folding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provided on the folding opening 213.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전후단에는, 지지 리브(21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 리브(215)는, 상기 안착 영역(211)에 안착된 상기 드론(100),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 엣지 바아(115)를 지지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 리브(215)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전후단에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방으로 연장된다.Support ribs 215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respectively. The support rib 215 will support the dron 100, substantially the lower edge bar 115, which is seated in the seating area 211. To this end, the support ribs 215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은,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양측 단부에 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은,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의 상면이 기설정된 제1각도를 이루는 제1위치(도 1참조)와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하도록 기설정된 제2각도를 이루는 제2위치(도 2참조) 사이에서 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일측 단부, 즉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양측 단부와 각가 마주보는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일측 단부에는, 연장부(22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221)는, 실질적으로 상기 폴딩 개구(213) 상에 위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장부(221)에는 상기 회동축이 관통하는 관통 슬롯이 형성된다.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fold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In other words,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has a first position (see FIG. 1)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10 forms a first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See Fig. 2), which are at a predetermined second angl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this end, extended portions 221 are formed on one end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which faces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Respectively. The extension 221 is located substantially on the folding opening 213. Although not shown, the extended portion 221 is formed with a through slot through which the pivot shaft passes.

그리고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안착 공간(200S)이 정의된다. 물론,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위치, 즉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이 상기 제1 및 제2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서 도면상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이 상이해지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서 도면상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을 상면이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안착 공간(200S)이 정의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이 상기 안착 영역(211)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것이다. 또한 상기 드론(100)이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선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 즉 상기 어퍼 플레이트(111)와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When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ating space 200S is defin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 Of cours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that is, whether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located at the first or second pos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referred to as an upper surface in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seating space 200S is defin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substanti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And may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seating area 211. The tip end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that is, the same virtual surface as the upper plate 111 As shown in FIG.

미설명 도면부호 223은 조작 핸들이다. 상기 조작 핸들(223)은,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드론(100)의 조종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물론, 상기 조작 핸들(223)이 아니라 버튼의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Reference numeral 223 denotes an operation handle. The operation handle 223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and receiv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100. Of course,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utton rather than the manipulation handle 223.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론(100) 및 컨트롤러(200)의 보관이나 운반이 필요한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드론(100)이 비행하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에 대하여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이 폴딩되어 정의되는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상기 드론(100)이 안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드론(100) 및 컨트롤러(200)의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상기 드론(100) 및 컨트롤러(200)를 일체화하여 운반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drones 100 and the controller 200 are required,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drones 100 actually fly, The drones 100 ar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00S in which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folded and defi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volume of the dron 100 and the controller 200 can be relatively minimized, and the dron 100 and the controller 200 can be integrally transpor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드론 시스템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is embodiment, which are the same as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ferred to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드론(100)의 저면, 즉 하부 엣지 바아(115)에 제1지지홈(118)이 형성되고, 상기 드론(100)의 테두리면, 즉, 측부 엣지 바아(117)에 제2지지홈(119)이 형성된다. 또한 안착 공간(200S)을 정의하는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에 제1지지 돌기(217)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 공간(200S)을 정의하는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에 제2지지 돌기(22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드론(100)이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안착되면, 상기 제1 및 제2지지 돌기(217)(215)가 상기 제1 및 제2지지홈(118)(119)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드론(100)이 상기 안착 공간(200S)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3, a first support groove 118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on 100, that is, in the lower edge bar 115, and the edge surface of the dron 100, that is, A second support groove 119 is formed in the bar 117.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defining the seating space 200S includes first support protrusions 217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defining the seating space 200S, 2 support protrusions 225 ar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217 and 215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recesses 118 and 119, respectively, when the drones 100 ar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00S So that the drones 100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200S.

물론, 상기 제1 및 제2지지홈(118)(119) 중 어느 하나만 상기 하부 엣지 바아(115) 또는 측부 엣지 바아(117)에 형성되고, 이에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지지 돌기(217)(215)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 또는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홈(118)(119)이 형성되는 위치에 자성체 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지지 돌기(217)(215)가 구비되는 위치에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자성체 및 자석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드론(100)0)이 안착되는 위치가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드론(100)이 상기 안착 공간(200S)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도 있다.Of course, on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118 and 119 is formed in the lower edge bar 115 or the side edge bar 117,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217 ) 215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or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A magnet or a magnet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118 and 119 are formed and a magnet or a magnetic body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217 and 215 are provided . In this case, the position where the dragon 100 is seated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magnetic body and the magnet is guided, and the dragon 100 can be stably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200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100: 드론 110: 메인 프레임
120: 서브 프레임 130: 로터
200: 컨트롤러 210: 제1컨트롤 케이싱
220: 제2컨트롤 케이싱
100: Drone 110: Main frame
120: Sub-frame 130: Rotor
200: controller 210: first control casing
220: Second control casing

Claims (7)

드론(100)을 조종하기 위한 컨트롤러(20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200)는,
상기 드론(100)이 안착되는 안착 영역(211)이 그 상면에 형성되는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 및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의 상면이 기설정된 제1각도를 이루는 제1위치와 상기 제1각도와 상이하도록 기설정된 제2각도를 이루는 제2위치 사이에서 폴딩 가능하게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양측 단부에 연결되는 2개의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이 상기 안착 영역(211)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에 의하여 상기 드론(100)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200S)이 정의되는 컨트롤러.
A controller (200) for controlling a drones (100) comprising:
The controller (200)
A first controller casing 210 in which a seating area 211 on which the drones 100 are seat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irst position where each upper surface forms a first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and a second position which forms a second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b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Two second controller casings 22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 RTI >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seating area 211 so that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And a seating space (200S) on which the drones (100) are seated is defined by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전후단에는, 상기 안착 영역(211)에 안착된 상기 드론(100)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215)가 각각 구비되는 컨트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rib (215) for supporting the dron (100) seated in the seating area (211)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공간(200S)을 정의하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론(100)의 저면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지지홈(118)(119)에 삽입되는 지지 돌기(217)(225)가 구비되는 컨트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defining the seating space 200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provided with a recess And the support protrusions (217) and (225)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recesses (118) and (119)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member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공간(200S)을 정의하는 상기 제1컨트롤러 케이싱(210)의 상면 및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론(100)의 저면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구비되는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자석이 구비되는 컨트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roller casing 210 defining the seating space 200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provided with a recess 100) having a magnetic force and a magnet acting on the magnetic body.
드론(100); 및
상기 드론(100)의 조종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드론(100)에 전송하고, 상기 드론(100)이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컨트롤러(200); 를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
Drones 100; And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ones (100) is received and transmitted to the drones (100), and the drones (100) are selectively seated in the seating spaces A controller 200; Lt; / RTI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100)은,
적어도 2개의 테두리면이 개방되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 프레임(110);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개방되는 테두리면 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10)에 대하여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서브 프레임(120); 및
상기 서브 프레임(120)에 각각 설치되고, 비행을 위한 양력 및 추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2개의 로터(130); 를 포함하는 드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ones (100)
A main frame (110) formed in a hollow hexahedron shape in which at least two edge faces are opened;
At least two subframes (120) swing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110) so as to be positioned on an opening edge surface of the main frame (110) or on the same virtual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frame (120); And
At least two rotors (130) installed in the subframe (120), respectively, for generating lifting force and thrust force for flight; Lt; / RTI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드론(100)이 상기 안착 공간(200S)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컨트롤러 케이싱(220)의 선단 및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면은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는 드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drones 100 ar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00S so that the tip of the second controller casing 220 and the main frame 110 ) Are located on the same virtual plane.


KR1020160161964A 2016-11-30 2016-11-30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620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64A KR20180062077A (en) 2016-11-30 2016-11-30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64A KR20180062077A (en) 2016-11-30 2016-11-30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77A true KR20180062077A (en) 2018-06-08

Family

ID=6260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964A KR20180062077A (en) 2016-11-30 2016-11-30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07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46B1 (en) 2015-09-04 2016-09-01 홍유정 Dron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46B1 (en) 2015-09-04 2016-09-01 홍유정 Drone con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544B1 (en) The multi-rotor type folding drone
US20180086458A1 (en) Airframe
US10266245B2 (en) Folding heavy-lift unmanned aerial vehicle frame
JPWO2018066043A1 (en) Delivery rotorcraft
US20200290719A1 (en) Frame assembly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JP6779442B2 (en) Luggage carrier for drone and drone equipped with this
US20200180760A1 (en) Modular unmanned air vehicles
JP5260779B1 (en) Coaxial reversal unmanned helicopter
WO2018112798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8883829B (en) Electronic speed controller ar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205186518U (en)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80062077A (en) Controller and drone comprising the same
KR101807082B1 (en) Drone which can move on ground and rise by itself
KR20170121613A (en) A Drone with All-purpose Payload Easily Fitted
US11565810B2 (en) Flying body
KR20170040876A (en) Drone having rotor which can rise by itself
JP2021070469A (en) Rotor mount assembly, rotor seat, propulsion system,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av)
JP2019177879A (en) Flying body
KR101939709B1 (en) Drone system
US11319046B2 (en) Folding heavy-lift unmanned aerial vehicle frame
CN112977793B (en) Combined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35488B1 (en) Foldable drone
US20150321756A1 (en) Rotor Head of Remote Control Helicopter and Remote Control Helicopter
KR20190088208A (en) Boom mounting apparatus used for unmanned flying object and unmanned flying object using the same
KR101968727B1 (en) Unmanne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