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948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948A
KR20180061948A KR1020160161691A KR20160161691A KR20180061948A KR 20180061948 A KR20180061948 A KR 20180061948A KR 1020160161691 A KR1020160161691 A KR 1020160161691A KR 20160161691 A KR20160161691 A KR 20160161691A KR 20180061948 A KR20180061948 A KR 20180061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rganic layer
electrode
organic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신
방형석
박지영
손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948A/ko
Publication of KR20180061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01L27/3246
    • H01L27/3223
    • H01L51/002
    • H01L51/504
    • H01L51/5088
    • H01L51/5221
    • H01L51/527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0Doping active layers, e.g. 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층은 제1 유기층 및 상기 제1 유기층보다 전기전도도가 낮은 제2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층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유기층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누설전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electron)를 주입하는 음극(cathode)과 정공(hole)을 주입하는 양극(anode)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 및 상기 양극에서 발생된 정공이 상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되고,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이 결합하여 액시톤(exciton)이 생성되고, 생성된 엑시톤이 여기상태(excited state)에서 기저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지면서 발광을 일으킴으로써 화상이 디스플레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 박막 트랜지스터층(20), 제1 전극(30), 뱅크층(40), 유기층(50), 및 제2 전극(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은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되며, 화소 별로 패터닝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전극(3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뱅크층(40)은 상기 제1 전극(3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뱅크층(40)은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져 복수의 화소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유기층(50)은 상기 제1 전극(30) 및 상기 뱅크층(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층(50)은 발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발광층의 발광에 의해서 소정의 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제2 전극(60)은 상기 유기층(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의 연구에 따르면, 상기 유기층(50)이 화소 별로 패터닝되지 않고 상기 기판(1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층(50)을 통해서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색 순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 해상도로 갈수록 화소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누설 전류로 인한 표시 품질 저하의 문제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누설 전류 발생을 줄임으로써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층은 제1 유기층 및 상기 제1 유기층보다 전기전도도가 낮은 제2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층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유기층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기 제1 유기층이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패턴 형성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누설전류로 인한 품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평탄화층(300), 제1 전극(400), 뱅크층(500), 유기층(600), 제2 전극(700), 봉지층(750), 컬러 필터층(800), 및 제2 기판(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층(60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제2 기판(900)을 통해 방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기판(100)은 투명한 재료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유기층(60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제1 기판(100)을 통해 방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기판(100)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은 상기 제1 기판(1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은 게이트 전극(210), 게이트 절연막(220), 반도체층(230), 소스 전극(240a), 드레인 전극(240b), 및 보호막(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전극(210), 상기 반도체층(230), 상기 소스 전극(240a), 및 상기 드레인 전극(240b)을 포함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개별 화소별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210)은 상기 기판(10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은 상기 게이트 전극(2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23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22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스 전극(240a)과 상기 드레인 전극(240b)은 상기 반도체층(230) 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막(250)은 상기 소스 전극(240a)과 상기 드레인 전극(240b)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에 구비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게이트 전극(210)이 반도체층(230) 아래에 형성되는 바텀 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도시하였지만, 게이트 전극(210)이 반도체층(230) 위에 형성되는 탑 게이트(top gate) 구조의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센싱 박막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와 같은 다양한 회로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에 해당한다.
상기 평탄화층(3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판(100) 상부의 표면을 평탄화시킨다.
상기 제1 전극(400)은 상기 평탄화층(300) 상에서 개별 화소 별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4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의 드레인 전극(240b)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보호막(250)과 상기 평탄화층(300)에 콘택홀을 형성하여 상기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240b)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드레인 전극(240b)에 상기 제1 전극(400)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소스 전극(240a)을 노출시키고, 상기 노출된 소스 전극(240a)에 상기 제1 전극(400)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400)은 양극(an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400)은 전도성 및 일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투명한 도전물질, 예로서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SnO2 또는 ZnO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뱅크층(500)은 상기 평탄화층(300) 및 상기 제1 전극(4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뱅크층(500)은 화소 영역을 정의하도록 매트릭스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뱅크층(500)에 의해 정의된 화소 영역에서 발광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층(600)은 상기 제1 전극(4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층(600)은 개별 화소 별로 구획되지 않고 상기 제1 전극(400)과 상기 뱅크층(500)을 포함한 상기 제1 기판(100)의 상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층(600)에서는 백색(White)의 발광이 이루어지고, 백색의 광이 상기 컬러 필터층(800)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되어 화소 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층(600)은 제1 유기층(601) 및 제2 유기층(6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은 층이고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은 층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유기층(602)은 모든 화소에 이어져 있다 하여도 누설전류로 인한 표시 품질 저하의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지만, 상기 제1 유기층(601)은 모든 화소에 이어져 있는 경우 누설전류로 인한 표시 품질 저하의 문제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패턴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섬(island)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1 유기층(601)이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제1 전극(400) 및 상기 뱅크층(500) 상에 패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전도도가 높은 상기 제1 유기층(601)이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패턴 형성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누설전류로 인한 품질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섬 구조의 제1 유기층(601)은 규칙적으로 패턴형성될 수도 있고 불규칙적으로 패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평면도 상에서의 형상도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기 제1 전극(400) 및 상기 뱅크층(500) 상에서 상기 제1 기판(100)의 전체 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기 제1 전극(400)의 전체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지만,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상기 제1 전극(400)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층(600)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Emitting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E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정공 주입층(HIL) 또는 상기 정공 수송층(HTL)은 상기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 보다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상기 정공 주입층(HIL)과 상기 정공 수송층(HT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기 발광층(EML), 상기 전자 수송층(ETL), 및 상기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층(600)은 서로 상이한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스택(Stack), 및 복수의 스택(Stack)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ng Layer; CG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ng Layer; CGL)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고, 상기 복수의 스택(St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기층들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기 복수의 스택(St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기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유기층(6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전극(700)은 상기 제1 기판(1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전극(700)은 음극(Cathode)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700)은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 예로서, 알루미늄(Al), 은(Ag), 마그네슘(Mg), 리튬(Li) 또는 칼슘(C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봉지층(750)은 상기 제2 전극(7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750)은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가 상기 유기층(60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봉지층(750)은 서로 상이한 무기물이 적층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기물과 유기물이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800)은 상기 봉지층(7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컬러 필터층(800)은 화소 별로 패턴 형성된 적색(R) 컬러필터, 녹색(G) 컬러 필터 및 청색(B) 컬러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상기 유기층(60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제2 기판(900)을 통해 방출되는 상부 발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따라서 상기 컬러 필터층(800)은 상기 유기층(600)에서 발광된 광이 이동하는 경로 내에,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층(600)과 상기 제2 기판(900) 사이에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유기층(600)에서 발광된 광이 상기 제1 기판(100)을 통해 방출되는 하부 발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컬러 필터층(800)은 상기 유기층(600)과 상기 제1 기판(10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유기층(600)이 화소 별로 서로 상이한 광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포함할 경우 상기 컬러 필터층(800)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900)은 상기 컬러 필터층(8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기판(90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기판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900)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이 상부 발광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상기 제2 기판(900)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하부 발광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상기 제2 기판(900)은 투명한 재료 뿐만 아니라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2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4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유기층(6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기층(600)은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공 주입층(HIL)과 상기 정공 수송층(HT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상기 제1 전극(400) 상에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은 상기 정공 주입층(HIL) 상에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정공 주입층(HIL)과 상기 정공 수송층(HT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전술한 도 2의 제1 유기층(601)이 되고, 상기 차례로 적층된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은 전술한 도 2의 제2 유기층(602)이 된다.
도면에는 상기 정공 주입층(HIL)만이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상기 정공 수송층(HTL)도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HIL)은 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공 수송층(HTL)은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NPD(N, N-dinaphthyl-N, N'-diphenyl benzid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층(EML)은 호스트 물질에 도펀트 물질이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광층(EML)은 화소 별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발광층(EML)은 화소 별로 서로 이격되도록 패턴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EML)은 화소 별로 동일한 색상의 광, 구체적으로 백색(White)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상기 발광층(EML)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광층(EML)이 백색(White)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된 경우 상기 도펀트 물질은 청색 도펀트, 녹색 도펀트 및 청색 도펀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청색 도펀트와 황녹색 도펀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층(EML)이 화소 별로 서로 이격되도록 패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도펀트 물질은 화소 별로 청색 도펀트, 녹색 도펀트 및 청색 도펀트 중 하나의 도펀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층(EML)을 구성하는 호스트 물질 및 도펀트 물질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수송층(ETL)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또는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자 주입층(EIL)은 LiF(lithium fluoride), LiQ(lithium quinolate), 또는 세슘 나이트레이트(Cesium nitrate; CsNO3)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편의상 2×2의 행렬로 배열된 4개의 화소에 구비된 4개의 제1 전극만을 도시하였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의 제1 전극(400)들이 복수의 행렬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사이에는 뱅크층(50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층(500)은 상기 제1 전극(400)의 끝단 영역과 오버랩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및 뱅크층(500) 상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나머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사이에 구비된 뱅크층(5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과 오버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나머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사이에 구비된 뱅크층(500)과 오버랩된다.
이때, 상기 제1 유기층(601)의 크기는 상기 제1 전극(400)의 크기보다 작다. 따라서,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이 하나의 제1 전극(400)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방향, 예로서 가로 방향의 제1 폭(D1)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1 이격 거리(W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이 상기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1 이격 거리(W1)보다 크게 되면, 하나의 제1 유기층(601)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과 각각 오버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유기층(601)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들 사이에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상기 제1 이격 거리(W1)보다 작게 형성하면, 상기 제1 유기층(601) 형성을 위한 마스크 패턴에 미스-얼라인(miss-align)이 발생한다 하여도 상기 제1 유기층(601)이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과 각각 오버랩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마스크 패턴의 얼라인 정밀도를 최적화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뱅크층(500)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1 이격 거리(W1)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은 상기 뱅크층(500)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방향, 예로서 세로 방향의 제2 폭(D2)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2 이격 거리(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이 상기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2 이격 거리(W2)보다 크게 되면, 하나의 제1 유기층(601)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과 각각 오버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유기층(601)에 의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하는 화소들 사이에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상기 제2 이격 거리(W2)보다 작게 형성하면, 상기 제1 유기층(601) 형성을 위한 마스크 패턴에 미스-얼라인(miss-align)이 발생한다 하여도 상기 제1 유기층(601)이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과 각각 오버랩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상기 마스크 패턴의 얼라인 정밀도를 최적화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뱅크층(500)의 상기 제2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2 이격 거리(W2)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은 상기 뱅크층(500)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 작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따른 평면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의 제1 전극(400)들이 복수의 행렬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사이에는 뱅크층(500)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및 뱅크층(500) 상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나머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및 그들 사이에 구비된 뱅크층(5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과 오버랩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 중 나머지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및 그들 사이에 구비된 뱅크층(500)과 각각 오버랩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과는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들(400) 사이에 구비된 뱅크층(500)과 오버랩되는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1 이격 거리(W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은 상기 뱅크층(500)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작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2 이격 거리(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은 상기 뱅크층(500)의 상기 제2 방향의 폭보다 작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크기와 배치 모습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따른 평면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복수의 제1 전극(400)들이 복수의 행렬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사이에는 뱅크층(500)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이 상기 복수의 제1 전극(400)들 및 뱅크층(500)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층(601)의 크기는 상기 제1 전극(400)의 크기보다 작고, 복수의 제1 유기층(601)들이 하나의 제1 전극(400)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도 6에 따르면, 상기 제1 유기층(601)의 크기가 상기 제1 전극(400)의 크기보다 크고, 따라서 하나의 제1 유기층(601)이 하나의 제1 전극(400)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1 유기층(601)의 크기가 상기 제1 전극(4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1 이격 거리(W1)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 사이의 제2 이격 거리(W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유기층(601)의 크기가 커질 경우 상기 제1 이격 거리(W1) 및 상기 제2 이격 거리(W2)를 더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1 유기층(601)이 서로 이웃하는 제1 전극(400)들과 각각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이웃하는 화소들 사이에 누설전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1 유기층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이는 제1 유기층의 평면도 상의 형상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4에 따른 평면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도 4의 경우 제1 유기층(601)이 평면도 상으로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진 반면에, 도 7의 경우 제1 유기층(601)이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곡선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7의 경우,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폭(D1)은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1 방향의 폭 중에서 가장 큰 폭을 의미하고,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폭(D2)은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제2 방향의 폭 중에서 가장 큰 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전극(400)과 상기 곡선형 구조의 제1 유기층(601)의 모습이 도 5 또는 도 6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유기층(600)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단면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전극(4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600)은 제1 유기층(601), 제2 유기층(602), 및 제3 유기층(6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기 제1 유기층(601)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유기층(603)은 상기 제1 유기층(601)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은 층이고, 상기 제2 유기층(602) 및 상기 제3 유기층(603)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은 층이다.
상기 제1 유기층(601)은 모든 화소에 이어져 있는 경우 누설전류로 인한 품질 저하의 문제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패턴 형성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섬(island)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유기층(602)과 상기 제3 유기층(603)은 모든 화소에 이어져 있다 하여도 누설전류로 인한 품질 저하의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유기층(602)과 상기 제3 유기층(603)은 인접하는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기층(600)은 서로 상이한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스택(Stack), 및 복수의 스택(Stack)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ng Layer; CG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하 생성층(CGL)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높고, 상기 복수의 스택(St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기층들은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기층(601)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 유기층(602)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 아래에 구비된 스택(St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기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3 유기층(603)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 위에 구비된 스택(Stack)을 구성하는 복수의 유기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8에서 하나의 화소 영역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4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유기층(6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기층(600)은 제1 스택(1st Stack), 전하 생성층(CGL), 및 제2 스택(2nd Stack)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유기층(600)에서 백색(White)의 광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구비된 발광층(EML)은 청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서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포함된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은 상기 제1 전극(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전술한 도 8의 제2 유기층(602)이 된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포함된 정공 주입층(HIL)과 정공 수송층(HT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전술한 도 3에서와 같이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포함된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이 전술한 도 8의 제2 유기층(602)이 된다.
상기 전하 생성층(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있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하 생성층(CGL)은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전자(electron)을 주입해주고,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정공(hole)을 주입해준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Li, Na, K, 또는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또는 Ra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정공수송능력이 있는 유기물질에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으로 이루어진 상기 전하 생성층(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 상에서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은 전술한 도 8의 제1 유기층(601)이 된다. 상기 전하 생성층(CGL)은 전술한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다양한 평면 구조로 패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동일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동일한 섬 구조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상이한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섬 구조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이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마스크 패턴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구비된 발광층(EML)은 황녹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서 황녹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포함된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은 상기 전하 생성층(CGL)의 상면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1 전극(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전술한 도 8의 제3 유기층(603)이 된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포함된 정공 수송층(HTL)은 전술한 도 3에서와 같이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하 생성층(CGL)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따르면,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제1 기판(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의 전기전도도가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의 전기전도도보다 낮은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제1 스택(1st Stack)과 함께 제2 유기층(602)이 되고,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제1 유기층(601)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술한 도 9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하 생성층(CGL)의 구성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9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따르면,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고,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제1 기판(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의 전기전도도가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의 전기전도도보다 큰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제1 유기층(601)이 되고,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제2 스택(2nd Stack)과 함께 제3 유기층(603)이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제1 전극(400)과 제2 전극(700) 사이에 구비된 유기층(600)은 제1 스택(1st Stack), 제1 전하 생성층(1st CGL), 제2 스택(2nd Stack), 제2 전하 생성층(2nd CGL), 및 제3 스택(3rd Stack)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 상기 제2 스택(2nd Stack), 및 제3 스택(3rd Stack)은 서로 상이한 색상의 광을 방출함으로써, 상기 유기층(600)에서 백색(White)의 광이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은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구비된 발광층(EML)은 청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서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포함된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은 상기 제1 전극(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스택(1st Stack)에 포함된 정공 주입층(HIL)과 정공 수송층(HTL)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택(1st Stack)과 상기 제2 스택(2n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있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스택(2nd Stack)은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구비된 발광층(EML)은 녹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서 녹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포함된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및 전자 수송층(ETL)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의 상면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1 전극(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스택(2nd Stack)에 포함된 정공 수송층(HTL)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스택(2nd Stack)과 상기 제3 스택(3rd Stack) 사이에서 전하를 균형있고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과 상이한 위치에 패턴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 평탄화에 유기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은 상기 제1 전하 생성층(1st CGL)과 동일한 위치에 패턴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 스택(3rd Stack)은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스택(3rd Stack)에 구비된 발광층(EML)은 적색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3 스택(3rd Stack)에서 적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택(3rd Stack)에 포함된 정공 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은 상기 제2 전하 생성층(2nd CGL)의 상면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제1 전극(400)의 전체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다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3 스택(3rd Stack)에 포함된 정공 수송층(HTL)은 섬 구조로 패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기판 200: 박막 트랜지스터층
300: 평탄화층 400: 제1 전극
500: 뱅크층 600: 유기층
601: 제1 유기층 602: 제2 유기층
603: 제3 유기층 700: 제2 전극
750: 봉지층 800: 컬러필터층
900: 제2 기판

Claims (11)

  1. 기판 상에서 복수의 화소에 각각 구비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를 정의하는 뱅크층;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뱅크층 상에 구비된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구비된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기층은 제1 유기층 및 상기 제1 유기층보다 전기전도도가 낮은 제2 유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층은 인접하는 상기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유기층은 인접하는 상기 화소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뱅크층 상에서 섬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기층의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기층의 제2 방향의 폭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제1 전극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고,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 방향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기층의 크기는 상기 제1 전극의 크기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기층의 일 부분은 상기 제1 전극과 오버랩되고 상기 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기층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뱅크층과 오버랩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유기층의 크기는 상기 제1 전극의 크기보다 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유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구비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정공 수송층, 상기 발광층, 상기 전자 수송층, 및 상기 전자 주입층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층은 서로 상이한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스택 및 상기 복수의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유기층은 상기 전하 생성층 내에 구비된 N형 전하 생성층과 P형 전하 생성층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기층은 상기 복수의 스택 내에 구비된 복수의 층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전하 생성층과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택은 제1 스택, 제2 스택, 및 제3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스택과 상기 제2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제1 전하 생성층 및 상기 제2 스택과 상기 제3 스택 사이에 구비된 제2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하 생성층과 상기 제2 전하 생성층은 서로 상이한 위치에 구비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60161691A 2016-11-30 2016-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61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91A KR20180061948A (ko) 2016-11-30 2016-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691A KR20180061948A (ko) 2016-11-30 2016-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948A true KR20180061948A (ko) 2018-06-08

Family

ID=6260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691A KR20180061948A (ko) 2016-11-30 2016-11-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401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550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3079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8013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36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0509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120134464A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1301504A (zh) 有機發光顯示裝置
KR102594014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759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4041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46367B1 (ko) 유기 발광 장치
KR20130071543A (ko) 유기발광소자
KR102181978B1 (ko)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2798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3480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124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8637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3502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6194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06324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82895A (ko) 유기 발광 소자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169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20180062232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62234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