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515A -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515A
KR20180061515A KR1020160160230A KR20160160230A KR20180061515A KR 20180061515 A KR20180061515 A KR 20180061515A KR 1020160160230 A KR1020160160230 A KR 1020160160230A KR 20160160230 A KR20160160230 A KR 20160160230A KR 20180061515 A KR20180061515 A KR 2018006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bile device
malfunction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성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1515A/en
Publication of KR2018006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5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ccurring in a device employing a design having no bezel, which is a touch avoidance area, by employing a separate rear sensor on a rear surfa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using a rear sensor of a mobile device employing a non-bezel design touch screen, comprises: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blocking a touch malfunction by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gripping state of a user is for a front touch recognition with respect to the mobile device or simple gripping in accordance with a user intention for not applying a front touch of the mobile device by using a touch signal acquired by the touch sensor.

Description

무베젤 디자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센서를 이용한 터치 오동작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using a backside sensor of a mobile device employing a bezel-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 오동작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에 별도의 후면 센서를 채용하여 터치 회피 영역인 베젤이 없어지는 디자인을 채용한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는 터치 오동작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for a mobil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generated in a device employing a design in which a bezel as a touch avoidance area is eliminated by employing a separate rear sensor Technology.

모바일 디바이스는 휴대 편이성 증대를 위해 작은 크기로 만들어지나, 사용자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화면인 터치스크린은 반대로 크게 만들수록 편이성이 증대된다. Mobile devices are made small in size to increase portability, but the larger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the screen where the user interaction takes place, the greater the convenience.

이러한 이유로 파지의 편이성을 위해 만들어둔 터치스크린 주변의 터치 방지 영역인 베젤이 시간이 지날수록 화면 크기 확보를 위해 작아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베젤 영역이 아예 없는 무베젤 모바일 디바이스가 출현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bezel, which is a touch preventing area around the touch screen, which is made for the convenience of gripping, has become smaller for securing the screen size over time, and recently, there is an emerging non-bezel mobile device without such a bezel area.

이러한 디자인의 디바이스는 필연적으로 파지 영역 부족에 의해 나타나는 터치 오동작 문제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종래의 터치스크린 오동작 방지 방법은 i) 터치 스크린의 특정 영역을 나누어, 영역별 터치 감도를 다르게 배분하여 파지에 관련된 오동작을 회피하거나(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0-0038769호), ii) 터치 횟수를 감지하여 필요 이상으로 터치된 이벤트로 판단되거나 터치 액션 인식 오류 범위를 넘는 터치 이벤트를 노이즈로 판단하여 삭제하거나(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06-0138403호), iii) 의도치 않게 연속으로 발생하는 키입력을 차단하거나(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1-0086488호), iv) 터치 스크린 가장자리 영역을 가상베젤로 설정하여 해당 위치를 터치하는 것을 무시하거나(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2-0021396호), v) 외부 액세서리 장착 액션의 발생이나 드래그/싱글터치 같은 터치 액션이 터치 스크린 내 특정 영역을 침범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터치 동작을 무시하는 방법(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11-0026275호)이 제안되었고, vi) "밀어서 열기"와 같이 터치 스크린 동작을 무력화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추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avoid such a problem, a conventional method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a touch screen includes: i) dividing a specific area of the touch scree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38769), or ii) detecting the number of touches and judging that a touch event is detected that is unnecessarily touched or exceeding the touch action recognition error range as a nois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86488), iv) touch screen edge area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38403), iii) unintentional consecutive key input is block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21396), or v) (Korean Application No. 10-2011-0026275)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touch action such as occurrence of an accessory attaching action or a drag / single touch has invaded a specific area within the touch scree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26275) ) A method has been proposed to add a separate interface to disable the touch screen operation, such as "push and open."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특정 영역 침범과 특정 액션 발생 여부를 주로 오동작 판단의 근거로 삼는 것으로,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과 모든 터치 액션을 상대로 오동작 판단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these methods are mainly used to judge the malfunction by predict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area is invaded and a specific action is generated, and it is impossible to make a malfunction judgment against the entire touch screen area and all touch actions.

즉, 종래의 터치 오동작 방지 방법은 터치 영역 일부를 차단 구역으로 설정하여 터치 스크린전체 면적을 모두 사용할 수 없으며, 해당 영역을 피하기 위해 사용자가 노력을 해야하는 어려운 점, 그리고 해당 영역이나 노이즈인 것을 판단하는 복잡한 알고리즘 적용으로 오동작 판단 자체에 오류가 발생하여 또 다른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method, a part of the touch area is set as a cut-off area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can not be used,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try to avoid the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an error occurs in the malfunction determination itself due to the application of a complicated algorithm and another malfunction occur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터치 오동작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거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취하는 파지 자세에서 발생한다는 요인에 기인하여, 파지 동작과 관련이 큰 디바이스 후면에 오동작 판단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를 장착하여 터치 오동작을 회피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device, a mobile device, and a mobil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voiding a malfunction of a touch by mounting a separate sensor capable of generating a judgment signal.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무베젤 디자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센서를 이용한 터치 오동작 방지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가 획득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파지 상태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면 터치 인식을 위한 파지인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 터치 인가를 하지 않고자 하는 사용자 의도에 따른 단순 파지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터치 오동작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using a backside sensor of a mobile device employing a bezel design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state is a grip for a front touch recognition for a mobile device or a simple grip according to a user intention for not touching a front face of the mobile device to block a touch malfunction, .

본 발명에 따른 무베젤 디자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센서를 이용한 터치 오동작 방지 장치는 특정 파지 영역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터치 스크린 전 영역을 터치하는 행동에 대하여 오동작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touch using the rear sensor of the mobile device employing the bezel design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malfunction is to be performed against the touch of the entire area of the touch screen even if the specific grip area is not set It is effecti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스럽게 파지하는 위치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에 촉감과 위치로 명확하게 구분된 영역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터치 방지 요청을 명확히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face through which a user can clearly specify a touch prevention request by providing a clearly distinguished area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which is a naturally held position, with touch and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부에 발생한 터치 위치와 후면부에 발생한 터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 및 시간 내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앞뒷면을 함께 움켜쥐는 동작으로 인식하여 화면 터치 인식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touch position generated in the front face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touch position generated in the rear face portion simultaneously occur within the predetermined region and time, It is possible to avoid touch recogni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무베젤 터치스크린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센서가 배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로 방향의 모바일 디바이스 단순 파지 상태 판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 방향의 모바일 디바이스 단순 파지 상태 판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 터치 수행을 위한 파지 상태 판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및 제2 터치 센서가 배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eadless touch screen mobile device.
2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in which a rear touch sensor is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ple grasp state of a mobile device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ple grasp state of a mobile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asping state determination for performing front-side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ar view of a mobile device in which a touch sensor and a second touch sensor are disp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ad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안된 배경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Prior to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ose skilled in the art.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터치 회피 영역인 베젤이 채용된다. A bezel, which is a touch avoiding area, is usually employed as an area for a user to grasp a mobile device.

터치 스크린 화면의 확장에 대한 니즈, 심미감에 대한 니즈 등에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젤이 없어지는, 즉 무베젤 디자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출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 a mobile device adopting a non-bezel design touch screen disappearing from the bezel is emerging according to needs for expansion of the touch screen screen, needs for aesthetics, and the like.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를 잡기 위해 확보되는 파지 공간인 베젤이 제거되고, 앞면 전체가 터치스크린(10)으로 구성된다. The mobile device of Fig. 1 has a bezel which is a gripping space reserved for capturing a device, and the entire front surface is composed of the touch screen 10. Fig.

이 경우,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를 손에 쥐기 위한 영역이 앞면에 별도로 구비되지 않으므로, 디바이스를 손에 드는 경우 필연적으로 터치스크린(10)을 건드리게 되며, 화면이 구동되고 있는 경우 터치 명령 및 파지 액션을 구분하지 못하여 오동작을 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since an area for holding the mobile device in hand is not provided separately on the front side, when touching the device, the touch screen 10 is inevitably touched. When the screen is driven, a touch command and a gripping a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malfunction can not be avoided.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베젤 디자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센서를 이용한 터치 오동작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 to 6 are views showing a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apparatus using a rear sensor of a mobile device employing a bezel-designed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120)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200) 및 디바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ensor 200 disposed on a rear surface 120 of a mobile device and a control unit 300 provided inside the device are included.

터치 센서(200)는 후면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 모양, 즉 그 모양에 따른 터치 영역을 터치 신호로 획득하고, 제어부(300)는 터치 센서(200)가 획득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파지 상태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 구동(전면 터치 인식)을 위한 파지인지, 모바일 디바이스를 단순히 파지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별하여 터치 오동작을 방지한다. The touch sensor 200 acquires a touch are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and of the user holding the back surface as a touch signal an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touch sensor 2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rip state is the grip for the screen driving (front touch recognition) of the mobile device or simply for gripping the mobile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touch malfunction.

즉,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파지를 위해 디바이스 후면의 해당 터치 센서(200)의 위치를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3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부에서 발생하는 터치 액션을 오동작으로 인식하여 차단한다.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touch sensor 200 on the back side of the device to grasp the mobile device, the controller 300 recognizes the touch action occurring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device as a malfunction and blocks the touch ac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동작 인식 차단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세로 및 가로 방향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S. 3 and 4 are views showing a longitudinal and lateral gripping state of a mobile device in which malfunction recognition is interrup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4는 당업자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파지하는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파지하는 경우도 동일하게 오동작 인식 차단이 수행된다. 3 and 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only a state in which the user grasps with the left hand to help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각 사용자의 파지 습관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파지 의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순수한 파지만을 위한 것인지(즉, 전면부 터치 수행을 원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며 전면부 터치 수행을 원하는 것인지 판별함이 필요하므로, 제어부(300)는 별도의 화면 제어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입 및 사용 초기에 순수 파지를 위한 사용자 그립과, 터치 인식 수행에 필요한 파지를 위한 사용자 그립을 입력받도록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each user's grasp habits, whether the current user's grasp intention is for a pure wave of the mobile device (i.e., if the front side touch is not desired), the mobile device is grasped an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front touch is desired The control unit 300 can guide the user to receive a user grip for pure grip and a user grip for grip necessary for performing touch recognition at the beginning of purchase and use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a separate screen control .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영화를 감상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여 시야에 두고 싶을 뿐이어서, 파지로 인한 전면 터치스크린 영역에 대한 터치 인식을 차단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for example, when a user views a movie through a mobile device, the user simply grasps the mobile device and places it in the field of view. Thus,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따라서, 터치 센서(200)는 순수한 파지를 위한 사용자 터치 상황을 터치 신호로 인식하여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제어부(300)는 이를 판단하여 전면부의 터치 인식을 오동작으로 인식하여 차단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touch sensor 200 recognizes the user's touch situation for the pure finger as a touch signal, and transmits the touch signal to the controller 300. The controller 300 determines that the finger touch is perceived as a malfunction.

이러한 방식은 어떠한 한 가지 특정 파지 상태만을 가정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각 사용자의 다양한 파지 상태에 따라 사용자 의도를 판별하여 전면부 터치 액션을 오동작으로 인식하여 화면 터치 인식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This method is not limited to assuming only one specific grip state,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inten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various grip states of each user, thereby recognizing the front touch action as a malfunction and avoiding screen touch recognition.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전체를 터치 센서로 설정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부에서 발생한 터치 위치와 후면부에서 발생한 터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 내의 같은 위치 및 기설정된 시차 내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앞뒷면을 함께 움켜쥐는 동작으로 인식하여 전면부 화면에 대한 터치 인식을 회피한다. 3, when the entir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is set as the touch sensor, the touch position generat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touch position generated at the rear portion are the same at the same position in the predetermined area, In the case of simultaneous occurren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the front and back sides are recognized as a grasping operation, thereby avoiding touch recognition on the front side scree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인식이 수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파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rip state of a mobile device in which touch recogni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베젤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면부 터치 액션이 사용자 의도와는 다른 오동작인 경우 이를 차단하는 것으로, 터치 센서(200)가 획득하는 터치 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그립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 터치 액션을 위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어부(300)는 전술한 전면부 터치 인식 차단을 수행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ront touch action of the mobile device employing the bezel touch screen is a malfunction different from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touch sensor 200 blocks the user's grip by the touch signal acquired by the touch sensor 200, The control unit 300 does not perform the above-described front-face touch recognition cut-off.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사용자의 파지 상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크기 및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는 각 사용 양태에 따라 그 파지 상태에 비추어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터치 센서(200)가 획득한 터치 신호, 즉 후면 터치 상황에 따라 전면부 터치 액션에 대한 인식/차단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3 to 5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habit of the user, but basically, the user's intention can be judged in accordance with the grasping condition according to each use mode The touch sensor 200 determines whether to recognize or block the front touch action according to the touch signal acquired by the touch sensor 200, that is, the rear touch situa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면 터치 센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터치 센서(200) 이외의 제2 터치 센서(210)가 더 구비된다. FIG. 6 illustrates a rear touch sensor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touch sensor 210 other than the touch sensor 200 described above.

사용자의 의도가 왼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고, 오른손으로 전면부 터치 액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게 된다. Assuming that the intention of the user is to grip the mobile device with the left hand and perform the front touch action with the right hand, the user grasps the mobile device as shown in FIG.

이 경우, 사용자 의도는 오른손으로 터치 인식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인데, 이를 터치 오동작으로 인식하여 차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터치 센서(210)가 추가로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intention of the user is to perform touch recognition with the right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s intention from recognizing the touch operation as a touch malfunction, the second touch sensor 210 is additionally provided.

즉, 사용자가 왼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되, 상대적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검지를 통해 해당 위치의 제2 터치 센서(210)를 터치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이러한 상황을 단순한 파지가 아닌 오른손으로 터치 인식을 수행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면 터치 신호를 오동작으로 인식하지 않고 정상 동작으로 인식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grasps the mobile device with his or her left hand and touches the second touch sensor 210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rough relatively free movement detection, the control unit 300 notifies the user of this situation by touching with the right h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wants to perform recognition, and the front touch signal is recognized as a normal operation without being recognized as a malfunction.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한손 파지 및 그 손으로 전면부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통상 전면부 터치를 위해 파지하는 그립 상태에 따라서 편의성이 높은 기설정 영역에 제2 터치 센서(210)를 추가하여, 해당 그립 상태가 전면부 터치를 위한 사용자 의도에 기인한 것임을 판단하여, 제어부(300)는 전면부 터치 액션을 오동작이 아닌 정상 터치 신호로 인식하게 된다.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is not limited to operating the mobile device with both hands as described above, and can also be applied to the one-handed grip of the user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touch sensor 210 is added to the preset default setting area according to the grip state held by the user for the front side touch,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grip state is caused by the intention of the user for the front side touch , The controller 300 recognizes the front touch action as a normal touch signal rather than a malfunction.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모바일 디바이스 전면 120: 모바일 디바이스 후면
200: 터치 센서 210: 제2 터치 센서
300: 제어부
110: Mobile device front side 120: Mobile device rear side
200: touch sensor 210: second touch sensor
300:

Claims (1)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가 획득한 터치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파지 상태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면 터치 인식을 위한 파지인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면 터치 인가를 하지 않고자 하는 사용자 의도에 따른 단순 파지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터치 오동작을 차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베젤 디자인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후면 센서를 이용한 터치 오동작 방지 장치.
A touch sensor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current user's grip state is a grip for recognizing a front touch of the mobile device, a simple grip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not to touch the mobile device, And for blocking the touch malfunction
A touch malfunction prevention device using a backside sensor of a mobile device employing a bezel design touch screen.
KR1020160160230A 2016-11-29 2016-11-29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KR201800615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30A KR20180061515A (en) 2016-11-29 2016-11-29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230A KR20180061515A (en) 2016-11-29 2016-11-29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515A true KR20180061515A (en) 2018-06-08

Family

ID=6259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230A KR20180061515A (en) 2016-11-29 2016-11-29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151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591A (en) 2018-09-20 2020-03-3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arrow bezel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591A (en) 2018-09-20 2020-03-3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including narrow bezel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9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two or more deactivated portions on touch screen
EP2748927B1 (en) Intelligent capacitive swipe switch
TWI446212B (en)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 sensing function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thereof
KR101134027B1 (en)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taining of a display device
WO2019184258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WI509497B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portable devices
EP29754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isoperation on touchscreen equipped mobile device
US20100079382A1 (en) Touch-screen monitoring
KR20140042280A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01268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1600416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screen hold from screen touch
US20200401218A1 (en) Combined gaze and touch input for device operation
CN104641341B (en) A kind of handheld device and the method for realizing input zone position adjustment on a handheld device
US10078396B2 (en) Optical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signal determination method thereof
US20140118276A1 (en) Touch system adapted to touch control and hover contro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52342B1 (en) Off-center sensor target region
CN103809787B (en) Be adapted for contact with controlling and suspend the touch-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of control
KR20180061515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a touch malfunction of bezeless mobile device using rear side sensor
KR2012000456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face for mobil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US20140320430A1 (en) Input device
JP55159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R201602645A2 (en) PROXIMITY SWITCH AND METHOD WITH ADAPTIVE LEARNING FOR FAULT TOUCH
JP2006085218A (en) Touch panel operating device
KR20130123067A (en)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pen
KR20190048109A (en) Touch recognizing method and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