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613A -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Google Patents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9613A KR20180059613A KR1020160158086A KR20160158086A KR20180059613A KR 20180059613 A KR20180059613 A KR 20180059613A KR 1020160158086 A KR1020160158086 A KR 1020160158086A KR 20160158086 A KR20160158086 A KR 20160158086A KR 20180059613 A KR20180059613 A KR 201800596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driving
- body frame
- housing
- wheel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59 for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8—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inger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를 구성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에 양측으로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축사 내부를 주행하기 위하기 위해 회전하는 주행 바퀴부; 상기 주행 바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부;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차체의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주행 바퀴부 및 상기 구동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축사에서 사료 운반 및 청소를 포함하는 축사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로봇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율 주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축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는, 가축 관리의 능률화와 자연의 기상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축사의 요건은 위치, 방향, 통풍, 채광, 환기, 보온이 양호하고, 사료 주기, 청소, 위생관리에 적절한 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축사 시스템은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가축 생육에 적합한 시설 내부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공간상의 취약점과 함께 축사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또한, 산업동물(한우, 양돈, 낙농, 양계, 육계, 오리 등)의 축사 관리는 자동화가 다른 산업에 비하여 기반이 열악하다. 또한, 육우 또는 한우 등의 경우에 노동의 집약보다 노동의 지속성을 요구하는 축종으로 축사 관리자가 사료 급여 등 사양관리를 위해서 24시간 상주해야 하는 환경으로 관리자의 시간적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 뿐 아니라 노동력이 다수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동화된 급여 시스템의 개발이 미래 축산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축사 작업을 위한 차체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관절 로봇을 제어하여 축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축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는 차체를 구성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에 양측으로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축사 내부를 주행하기 위하기 위해 회전하는 주행 바퀴부; 상기 주행 바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부;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차체의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주행 바퀴부 및 상기 구동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축사에서 사료 운반 및 청소를 포함하는 축사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로봇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네 개 이상의 자율주행용 바퀴가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쌍을 이루며 양측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휠 브라켓 고정축; 상기 복수개의 휠 브라켓 고정축을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고정프레임 상측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며 바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으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관절 로봇을 고정시키는 판형상의 상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주행 바퀴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대회전이 가능한 베어링을 내장한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 및 상기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에 결합되는 두 개 이상의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을 위한 위치 추정 동작 및 경로 생성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상기 관절 로봇은 상하, 좌우 및 회전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관절 로봇의 일단은 상기 축사 작업을 위한 파지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 로봇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동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율 주행이 가능한 다기능 로봇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축사 작업을 위해 필요한 물품 이송이나, 축사 청소를 위한 차체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료급여를 위한 건초(조사료)/사료 등 자동화된 적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축사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및 원격 작업 지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 로봇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절 로봇의 움직임 타입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함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를 이용한 축사 주변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 로봇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절 로봇의 움직임 타입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함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를 이용한 축사 주변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의 외관은 바디 프레임(100), 주행 바퀴부(200), 제어부(300), 관절 로봇(400), 적재함(500)을 포함한다. 또한,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는 전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 바디 프레임(100) 내에 구동 모터부(미도시),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프레임(100)은 차체를 구성한다. 바디프레임(100)은, 축사에서 주행하는 차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디프레임(100)은 예시적인 것이며, 바디프레임의 형태는 다양한 폭 및 크기를 갖는 차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100)은 상부프레임, 고정프레임, 지지프레임, 및 휠 브라켓 고정축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도 1의 제어부(300), 관절 로봇(400), 적재함(5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휠 브라켓 고정축을 지지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바디프레임(100)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측으로는 상기 상부프레임이 고정결합 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 상측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바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주행 바퀴부(20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하부에 양측으로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축사 내부를 주행하기 위하기 위해 회전한다. 주행 바퀴부(200)는 고정프레임의 하부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휠 브라켓 고정축의 양측으로 쌍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행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바디프레임(100)의 전방 및 후방에 4륜 구동방식으로 설치되었다. 주행 바퀴부(200)는,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 바퀴 또는 트랙을 구비할 수 있다.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은, 바디프레임(100)의 양측 중 어느 하상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대회전이 가능한 베어링을 내장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은, 브라켓본체, 스플라인, 종동축, 및 휠브라켓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본체는, 바디프레임(100)의 길이방향(진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트랙을 구성하는 구동바퀴 및 종동바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차륜홀 및 회전축을 구성하기 위한 베어링용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라인은, 구동모터부를 구성하는 모터기어의 회전축과 중심축이 연동하게 결합되고 구동바퀴에 대응되는 차륜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바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축은, 상기 두 개 이상의 바퀴 중 상기 스플라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와 연동하는 종동바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중심축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은, 상기 구동바퀴가 회동하는 경우에 상기 무한 궤도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종동바퀴의 상대회전을 유도하는 종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휠브라켓 베어링은, 바디프레임(100)의 휠 브라켓 고정축 및 회전축을 구성하기 위한 상기 브라켓 본체의 베어링용 관통홀과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대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휠브라켓 베어링은 내부베어링, 외부베어링, 외륜커버, 및 내륜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랙은 상기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에 결합되는 구동바퀴와 종동바퀴, 및 상기 두 개의 바퀴 둘레를 둘러싸는 구조로 연장되는 무한궤도를 구비할 수 있다. 트랙은 무한궤도방식을 사용하면서도 한정된 수의 바퀴 둘레만을 연장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조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모터기어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동일 축으로 직접 전달받을 수 있기 때문에 구동바퀴에 전달되는 구동토크가 높아져 주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주행 바퀴부는 트랙이 아닌 일반 바퀴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 모터부는 주행 바퀴부(200)를 회전 구동시킨다. 구동모터부는,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에 결합되는 구동바퀴를 위한 회전력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바퀴의 중심축에 직접 전달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모터기어를 구비한다.
제어부(300)는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차체의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주행 바퀴부 및 상기 구동 모터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자율 주행을 위한 위치 추정 동작 및 경로 생성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차체의 자율주행기능 실현을 위해서 기존의 지능형자동차 인식 시스템 보다 강인하고 우수한 성능의 주행 환경 인식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00)는 주행 환경 인식을 위한 카메라, 레이더 센서, GP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및 레이더는 주행 환경의 특징, 거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주행 환경 인식 센서이다. 레이더 센서의 거리정보는 축사 도로의 구조, 다른 물체 등의 인식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카메라의 영상정보는 축사 도로의 등의 주행환경 인지에 사용된다. 제어부(300)는 단일센서기반의 인식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카메라, 레이더 센서, GPS 센서를 이용한 정보융합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영상, 레이더, GPS의 정보융합을 통해 강인한 축사 도로 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관절 로봇(400)은 바디 프레임(100)의 상부에 장착되고, 축사에서 사료 운반 및 청소를 포함하는 축사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절 로봇(400)은 상하, 좌우 및 회전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관절 로봇의 일단은 상기 축사 작업을 위한 파지 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 로봇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절 로봇의 움직임 타입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절 로봇은 복수의 관절 마디로 구성됨으로써, 각 관절은 상하, 좌우 및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관절 로봇은 상하, 좌우 및 회전 동작에 의해 다양한 축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절 로봇은 끝단이 축사 작업을 위한 파지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가축 사료 또는 가축 분료의 처리를 위한 메니퓰레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관절 로봇은 끝단에 구비된 파지 모듈을 갖는 메니퓰레이터로서 기능함으로써, 적재함(500)에 가축 사료 또는 기타의 물품을 적재하거나 하적할 수 있다.
적재함(500)은 축사 작업 중 가축 사료를 적재하기 위한 공간 또는 축사 작업을 위해 필요한 물품의 적재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적재함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재함은 가축 사료 또는 기타의 물품을 적재하는 한편, 측면 부분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관절 로봇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제어 명령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명령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 프레임의 일측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200)은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절 로봇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리모콘일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일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는 제어부(300)의 카메라를 통해 축사 주변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축사 주변의 영상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를 이용한 축사 주변의 원격 모니터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가 통신부에서 전송되며, 전송된 영상 신호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 상에 축사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율 주행용 차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관절 로봇을 탑재함으로써, 축사 작업을 위한 차체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관절 로봇을 제어하여 축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축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바디프레임
200 : 주행 바퀴부
300 : 제어부
400 : 관절 로봇
500 : 적재함
200 : 주행 바퀴부
300 : 제어부
400 : 관절 로봇
500 : 적재함
Claims (6)
- 차체를 구성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에 양측으로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축사 내부를 주행하기 위하기 위해 회전하는 주행 바퀴부;
상기 주행 바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부;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차체의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주행 환경에 따라 상기 자율 주행을 위한 상기 주행 바퀴부 및 상기 구동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축사에서 사료 운반 및 청소를 포함하는 축사 작업을 수행하는 관절 로봇을 포함하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네 개 이상의 자율주행용 바퀴가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쌍을 이루며 양측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휠 브라켓 고정축;
상기 복수개의 휠 브라켓 고정축을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고정프레임 상측을 서로 연결시켜 고정시키며 바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으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관절 로봇을 고정시키는 판형상의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바퀴부는,
상기 바디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대회전이 가능한 베어링을 내장한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 및
상기 차륜지지용 휠 브라켓에 결합되는 두 개 이상의 바퀴를 포함하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율 주행을 위한 위치 추정 동작 및 경로 생성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로봇은 상하, 좌우 및 회전 동작이 가능하며, 상기 관절 로봇의 일단은 상기 축사 작업을 위한 파지 모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절 로봇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086A KR20180059613A (ko) | 2016-11-25 | 2016-11-25 |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086A KR20180059613A (ko) | 2016-11-25 | 2016-11-25 |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613A true KR20180059613A (ko) | 2018-06-05 |
Family
ID=6263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8086A KR20180059613A (ko) | 2016-11-25 | 2016-11-25 |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59613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35018A (zh) * | 2022-02-10 | 2022-05-06 | 湖南工业大学 | 一种油画制作及显示设备 |
CN114557796A (zh) * | 2022-02-17 | 2022-05-31 | 北京思灵机器人科技有限责任公司 | 机器人系统 |
KR102410452B1 (ko) * | 2021-12-17 | 2022-06-17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팜용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2016
- 2016-11-25 KR KR1020160158086A patent/KR20180059613A/ko unkno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0452B1 (ko) * | 2021-12-17 | 2022-06-17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팜용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방법 |
WO2023113137A1 (ko) * | 2021-12-17 | 2023-06-22 |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팜용 로봇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
CN114435018A (zh) * | 2022-02-10 | 2022-05-06 | 湖南工业大学 | 一种油画制作及显示设备 |
CN114435018B (zh) * | 2022-02-10 | 2024-02-20 | 湖南工业大学 | 一种油画制作及显示设备 |
CN114557796A (zh) * | 2022-02-17 | 2022-05-31 | 北京思灵机器人科技有限责任公司 | 机器人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59613A (ko) | 축사 작업용 다기능 로봇 장치 | |
Murphy | Marsupial and shape-shifting robots for urban search and rescue | |
US20180081373A1 (en) | Variable reference frames in unmanned vehicles | |
JP6963102B2 (ja) | センサキャリア用のインテリジェントトラック及びナビゲーション | |
US20170201614A1 (en) | Mobile device enabled robotic system | |
CN106020240B (zh) | 自主归位校准的云台控制系统 | |
KR20130037056A (ko) | 뱀형 탐사 로봇 및 그 구동 방법 | |
US20180295807A1 (en) | Interactive device for animals and method therefor | |
US11392121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robotic equipment in controlled zones | |
CN204462851U (zh) | 麦克纳姆轮全向移动巡检机器人 | |
JP2004148439A (ja) | 球形ロボット及び球形ロボットの制御方法 | |
CN106542016A (zh) | 一种履带式与足式可变结构的电缆隧道检测机器人 | |
BR112017007122B1 (pt) | Sistema para monitorar e controlar uma planta industrial | |
US11712144B2 (en) | Robotic device performing autonomous self-service | |
US1207270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a task with an unmanned vehicle | |
ITTO20080489A1 (it) | Sistema di guida a infrarossi per carrelli a guida automatica | |
JP6989655B2 (ja) | 通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通信装置を有する飛行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 |
CN205100620U (zh) | 一种背负式智能载车器及应用其的智能载车系统 | |
CN204166385U (zh) | 一种自动行走系统 | |
CN210819526U (zh) | 一种机械臂自主导航移动系统 | |
CN105352097A (zh) | 活性炭滤网式通风系统 | |
CN109304716A (zh) | 一种分享机器人、分享机器人系统及共享方法 | |
Singh et al. | Automatic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Wi-Fi Based Robotic Car | |
CN205191819U (zh) | 活性炭滤网式通风系统 | |
Misbahuddin et al. | Machine-to-Machine Collaboration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and Machine Learn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