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417A -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 Google Patents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417A
KR20180059417A KR1020180060331A KR20180060331A KR20180059417A KR 20180059417 A KR20180059417 A KR 20180059417A KR 1020180060331 A KR1020180060331 A KR 1020180060331A KR 20180060331 A KR20180060331 A KR 20180060331A KR 20180059417 A KR20180059417 A KR 2018005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ine dust
window frame
bloc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성득
Original Assignee
백성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성득 filed Critical 백성득
Priority to KR102018006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417A/en
Publication of KR2018005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4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or screening fine dust. In the window for screen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ne dust blocking filter can be attached to the window, so that the fine dust can be effectively screened, and a ventilation function can be ensur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humidity of a room, and at the same time,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and enables an observer to feel a traditional aesthetic sense when view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 window for screen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assembled window from a window frame, so that the ventilation function and/or an out-room network function can be ensured according to an intention of a user.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WINDOW FOR BLOCKING FINE DUST}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일반적으로, 창문은 투명한 유리 재질로 되어 있어 실내에서 실외를 관망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에 자연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 외에도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Generally, the windows are made of transparent glass material,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outside the room and provide natural light in the room, as well as to ventilate the air in the contaminated room.

또한, 이러한 창은 일정한 크기의 창틀 프레임에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경우에는 창문을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개방된 창문을 통해 짧은 시간 내에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window is installed in a window frame frame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form of a sliding door or a hinged door, and when the room air is ventilated, the window is opened. In this case, the room air can be ventilated through the opened window in a short time.

하지만, 환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열려진 창문을 통해 미세먼지, 외부로부터의 소음, 매연, 스모그, 황사 또는 꽃가루가 여과 없이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fine dust, noise from the outside, soot, smog, yellow dust or pollen flow into the room through the open window during the ventilation to pollute the room air.

특히, 미세먼지(fine dust)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들의 입자 크기 분포 중 직경이 약 10㎛이하의 크기를 가진 먼지를 말한다. Particularly, fine dust refers to dust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탆 or less among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dusts contained in air.

이러한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은, 황사,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한데, 특히 봄철에 중국과 몽골 지역에서 자주 발생해서 우리나라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황사에는 직경이 약 10㎛이하의 미세먼지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서,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는 직경이 10㎛보다 큰 먼지와 미립자들은 사람의 코와 기관에서 걸러지므로 폐로 들어가는 것이 거의 없으므로 의학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으나, 이보다 크기가 작은 미세먼지들은 그대로 폐 속으로 들어가 폐포(肺胞)에 침착해 버리기 때문에 각종 폐질환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이다.These dusts are caused by dust,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lead, ozone, carbon monoxide, etc. Especially, yellow dust, which occurs frequently in China and Mongolia in spring, The following fine dusts are contained in a large amount, causing serious problems. Since dust and particles larger than 10 μm in diameter are filtered from the nose and organs of human beings, it is not a big medical problem because it hardly enters the lungs. However, smaller dust particles enter the lungs and enter the lungs Because it calms down, it causes various lung diseases.

더욱이, 아직 호흡기능이 취약하고 스스로 보호할 능력이 부족한 어린 유아나 호흡 기관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 외출 시 황사에 그대로 노출된다면 호흡기 질환과 눈병, 피부병 등을 발생시킬 위험이 크므로, 이에 대한 예방이 중요하다.Furthermore, young infants who are weak in respiratory function and lack the ability to protect themselves, and elderly people with weak respiratory tracts are at risk of developing respiratory diseases, eye diseases and skin diseases if exposed to yellow dust at the time of going out. This is important.

이러한 미세먼지의 유입을 어느 정도 예상하면서도, 건물 내부의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동안 주기적으로 창문을 열어 둘 필요가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실내 공기는 실내에서 음식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 가스나 각종 건축 자재와 전자 기기에 의해 발생하는 유해 물질 등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데, 이렇게 오염된 공기가 실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면 거주자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In order to creat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nside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open the windows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ile expecting the inflow of such fine dust to some extent.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door air is easily contaminated by combustion gas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making food in indoor areas, and various building materials and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by electronic devices. When such contaminated air is continuously accumulated in a room, And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ventilate to prevent it.

또한, 보다 쾌적한 실내 공기 조성을 위해서는 실내의 습도를 어느 정도 적정한 수준으로 계속하여 유지하여 주는 것이 중요하다.It is also important to keep the humidity of the room at an appropriate level for a more comfortable indoor air composition.

따라서, 건물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때 외부 공기 중 특히 미세먼지가 필터링 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청정 본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환기의 효율 및 실내의 습도 유지 또한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when ventilation is performed by opening a window of a building, fine dust, particularly fin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while being filtered, so that the efficiency of ventilation and maintenance of humidity in the room can be maximize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dust barrier window.

특허문헌 1은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를 제안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proposes a filter for blocking fine dust.

보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기술은, 방충망의 내측 면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고, 미세먼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필터가 구비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면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체결 고정되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제1 자석과 자력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제2 자석; 상기 제2 자석과 체결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자석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echnique prop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fixing member fixed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n insect-proofing net;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a filter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fixing member and preventing a fine dust from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wherein the fixing member comprises: a fixing portion to which a double-sided tape is attached on one side; And a first magnet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fixed portion, wherein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econd magnet which is closely fixed to the first magnet by a magnetic force; A support unit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second magnet; And the filter is fastened and fixed between the second magnet and the support portion.

그러나, 제안된 기술의 경우, 미세먼지 차단망을 구성으로 포함하여, 차단망에 형성된 홈 직경에 따라 차단할 수 없는 미세먼지가 있을 수 있어 미세먼지 차단 비율이 높지 않고, 고정부재 및 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되도록 설치되어 만일 고정부재 및 자석상에 미세먼지가 쌓일 경우, 탈부착에 대한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차단망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로울러 및 조절케이블 등의 별도 구성이 포함되어야 함에 따라 설치 비용도 높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욱이, 제안된 기술은 실내의 습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 이러한 습도 조절에 대한 효과를 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oposed technique, there is a fine dust which can not be block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groove formed in the shielding net including the fine dust shielding net, so that the fine dust blocking ratio is not high,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function of detaching and attaching when minute dust accumulates on the fixing member and the magnet. In addition, a separate configuration such as an adjusting roller and an adjusting cable for adjusting the blocking net should be included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Furthermore, the proposed technique does not include a structure capable of keeping the humidity of the room at an appropriate leve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of humidity control can not be obtained.

따라서, 보다 미세먼지 차단에 효율적이고, 비용도 저렴하며 실내의 습도 조절까지 가능한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대한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for a fine dust-blocking window that is more efficient in reducing fine dust, is inexpensive, and can adjust the humidity of a room.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8756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598756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고, 실내의 습도 조절까지 가능하며,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전통적인 미감까지 느낄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던 중,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재질 및 구조 등을 특이적으로 구성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고, 실내의 습도 조절까지 가능하며,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전통적인 미감까지 느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studie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fine dust barrier filter, and to provide a fine dust barrier window which can more effectively block fine dust, adjust the humidity of the room,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block the fine dust and adjust the humidity of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humidity of the room,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고, 실내의 습도 조절까지 가능하며,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전통적인 미감까지 느낄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which can more effectively block fine dust, adjust the humidity of the room, and at the same time, feel the traditional beauty at low co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있어서, 창틀; 상기 창틀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창살을 포함하는 조립식 창문; 및 상기 조립식 창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창틀은 실외측 제 1 창틀 및 실내측 제 2 창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창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 및 상기 제 2 창틀에 형성된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서로 겹치도록 맞물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comprising: a window frame; A prefabricated window capable of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the prefabricated window including a window bar; And a fine dust blocking filter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refabricated window, wherein the window frame includes a first window frame on the outdoor side and a second window frame on the indoor side, the first window and the second window formed on the first window frame, And a second latching jaw formed on the window frame, wherein the first latching jaw and the second latching jaw can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이중으로 미세먼지 차단 필터가 부착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면서도 환기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실내의 습도 조절까지 가능하며,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실내외에서 바라보았을 때 관찰자로 하여금 전통적인 미감까지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조립식으로써,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환기 기능 및/또는 실내에서 실외에 대한 관망 기능까지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locking the fine dust more effectively by attaching the fine dust blocking filter to the room, securing the ventilation function, adjusting the humidity of the room, And can allow the observer to feel traditional aesthetics when viewed indoors and outdoors. In addition, since the window for blocking dust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assembled window from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ventilation function and / or the outdoors windowing function can be secur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내에서 바라볼 때의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조립식 창문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창틀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제 1 창틀 및 제 2 창틀에 각각 형성된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서로 겹치도록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창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조립식 창문 및 창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 내지 13은 실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상기 제작된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미세먼지 차단능(initial fractional efficiency, 초기 분별 제거 효율) 및 압력 손실(pressure loss) 등에 대한 검사를 의뢰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room.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window in which a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a window fram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window frame in a state where a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a window fram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ctual view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formed in the first window frame and the second window frame, to be.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 window frame in a state where a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a window frame of the fine dust-blocking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prefabricated window and a window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of the fine dust-blocking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appearanc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is installed.
9 to 13 show the result of a request to the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IT) to check the initial fractional efficiency and the pressure loss of the micro dust barrier window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ab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구조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창틀, 조립식 창문 및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 frame, a prefabricated window, and a fine dust barrier filter.

상기 창틀은 실외측 제 1 창틀 및 실내측 제 2 창틀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rame may include an outdoor first window frame and an indoor second window frame.

상기 "제 1 창틀" 및 "제 2 창틀"은 구성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칭된 것으로 상기 제 1 창틀 및 제 2 창틀의 순서 및 용어는 변경될 수 있다.The terms " first window frame "and" second window frame "are referred to in order to facilitate clarific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the order and terms of the first window frame and the second window frame may be changed.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창틀 및 제 2 창틀은 각각 실외측 및 실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ndow frame and the second window frame may be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and the indoor side,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내에서 바라볼 때의 형태를 나타낸 도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room.

도 2를 참조하면, 실내측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을 바라볼 경우, 전통적인 미를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looking at the window for blocking the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door side, it is possible to feel the traditional beauty.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1개의 창틀뿐만 아니라, 2 이상의 창틀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not only one window frame but also two or more window frames.

상기 제 1 창틀 및 제 2 창틀은 각각 또는 모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indow frame and the second window frame may have hooking jaws, respectively.

본 명세서상의 용어 "걸림턱"은, 맞닿을 수 있는 구조나 형태를 가지는 돌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latching jaw" may be used to include all protrusions and the like having a structure or shape that can be contacted.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경우, 이에 포함된 창틀은 제 1 창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 및 상기 제 2 창틀에 형성된 제 2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window for blocking dust parti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ow frame may include a first latching jaw formed on the first window frame and a second latching jaw formed on the second window frame.

또한, 상기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서로 겹치도록 맞물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상기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서로 겹치도록 맞물린 구조로 형성될 경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은 서로 동일 또는 대칭의 "L"자 형태, "ㄷ"자 형태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jaws are form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jaws may have the same or symmetrical "L" Shape, a " C "shape, or a" U "shape, but may be formed in an" L "shape.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상기 창틀과 탈부착이 가능한 조립식 창문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shielding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ndow-type window and a removable window.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조립식 창문을 나타낸 도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efabricated window in which a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a window fram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창틀을 나타낸 도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window frame in a state where a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a window fram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창틀과 조립식 창문이 탈착될 경우 환기 기능 및/또는 실내에서 실외에 대한 관망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창틀과 조립식 창문이 부착될 경우 미세먼지 차단 기능 및 실내외에서 바라볼 때 전통적인 미를 느낄 수 있는 미감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a ventilation function and / or a pipe network function to the outside in a room when the window frame and the assembled window are detached, When attached, it can function as a fine dust-proofing function and an insignificant function to feel the traditional beauty when viewed from inside and outside.

상기 조립식 창문의 형태는 예를 들어 평면적인 측면에서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고, 입체적인 측면에서 직육면체, 원기둥, 삼각기둥 또는 정육면체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 of the prefabricated window may be, for example, a rectangle, a circle, an ellipse, a triangle, or a square on a planar side, and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cylinder, a triangular column, or a cube.

상기 조립식 창문은 또한 창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window may also include a grate.

창살을 포함할 경우, 실내 또는 실외에서 창문을 바라보는 관찰자에게 전통적인 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Including glazing can maximize traditional beauty for observers looking at the window indoors or outdoors.

창살의 문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작자의 의도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통적인 미의 증감을 고려하여 종래 공지된 전통적인 문양 등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g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ventionally known conventional patterns and the lik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ntion of the maker or the demand of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increase / decrease of the traditional beau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전술한 창틀, 창살, 제 1 창틀, 제 2 창틀,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모두 나무 또는 하이 샷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나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window frame, the window pan, the first window frame, the second window frame,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Or a high chassis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wood material.

상기 나무 재질로 형성될 경우, 실내에 대한 인테리어를 보다 전통적인 미감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피톤치드 발생에 의한 실내의 자연 환기 이외에도 실내의 습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wood material, the interior of the room can be more exquisitely aesthetically pleasing, and the humidity of the room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level in addition to the natural ventilation of the room by the generation of phytoncide.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ne dust blocking filter for blocking fine dust.

상기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할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조립식 창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micro dust blocking filter is included,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fine dust blocking filter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refabricated window.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상기 조립식 창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하고 효율적으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e dust blocking filter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assembled window so that the fine dust can be double blocked to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block the fine dust.

상기 미세먼지 차단 필터는 부직포, 폴리에스터 부직포, 한지 및 투명 비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보다 미세먼지 차단능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부직포 및/또는 투명 비닐의 재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토모(TOMO)사에서 제조한 "미세먼지 창문 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ne dust barrier filter may be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onwoven fabric,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 Korean paper and a transparent vinyl. Preferably, the fine dust barrier filter may be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nd / For example, a "fine dust window filter" manufactured by TOMO Corporation can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 도 5 내지 8을 첨부하였다.5 to 8 are attached to show a more detailed view of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제 1 창틀 및 제 2 창틀에 각각 형성된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서로 겹치도록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FIG. 5 is an actual view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jaws formed in the first window frame and the second window frame, to b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창틀을 나타낸 사진이다.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a window frame in a state where a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a window frame of the fine dust-blocking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분리한 상태의 조립식 창문 및 창틀을 나타낸 사진이다.FIG. 7 is a photograph showing a prefabricated window and a window frame in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window is separated from the window frame of the fine dust-blocking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실제 모습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이 설치된 상태에서 실외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FIG. 8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appearance of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viewed from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is installed.

또한, 실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상기 제작된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의 미세먼지 차단능(initial fractional efficiency, 초기 분별 제거 효율) 및 압력 손실(pressure loss) 등에 대한 검사를 의뢰하여 도 9 내지 13에 결과를 첨부하였다. In addition, the actual Korea Research Institute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requested the inspection for the initial fractional efficiency and the pressure loss of the micro dust-blocking window prepared above, Respectively.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이중으로 미세먼지 차단 필터가 부착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하면서도 환기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실내의 습도 조절까지 가능하며,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실내외에서 바라보았을 때 관찰자로 하여금 전통적인 미감까지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은 조립식으로써, 창틀로부터 조립식 창문을 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환기 기능 및/또는 실내에서 실외에 대한 관망 기능까지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5 to 13,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ne dust-blocking filter, which can more effectively block minute dust, while securing a ventilation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and it is possible to allow the observer to feel the traditional aesthetics when viewed from the inside and outside. In addition, since the dust-screening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he assembled window can be removed from the window frame, so that the ventilation function and / or the out-room network function can be ensur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modify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에 있어서,
창틀;
상기 창틀과 탈부착이 가능하고, 창살을 포함하는 조립식 창문; 및
상기 조립식 창문의 양면에 각각 부착된 미세먼지 차단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창틀은 실외측 제 1 창틀 및 실내측 제 2 창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창틀에 형성된 제 1 걸림턱 및 상기 제 2 창틀에 형성된 제 2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서로 겹치도록 맞물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
In 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window frame;
A prefabricated window capable of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window frame, the prefabricated window including a window bar; And
And a fine dust blocking filter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refabricated window,
Wherein the window frame includes a first window frame on the outdoor side and a second window frame on the indoor side and includes a first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irst window frame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econd window frame, (2) A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which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engaging jaw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은 서로 동일 또는 대칭의 "L"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opping jaws are formed in the same or symmetrical "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창살, 제 1 창틀, 제 2 창틀, 제 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모두 나무 또는 하이 샷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The window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ndow frame, the grate, the first window frame, the second window frame, the first engag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jaw are all made of wood or high chassis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 필터는 부직포, 폴리에스터 부직포, 한지 및 투명 비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창문.The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ne dust barrier filter comprise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onwoven fabric, a polyester nonwoven fabric, a Korean paper and a transparent vinyl.
KR1020180060331A 2018-05-28 2018-05-28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KR201800594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31A KR20180059417A (en) 2018-05-28 2018-05-28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331A KR20180059417A (en) 2018-05-28 2018-05-28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95A Division KR101905955B1 (en) 2016-05-27 2016-05-27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417A true KR20180059417A (en) 2018-06-04

Family

ID=6262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331A KR20180059417A (en) 2018-05-28 2018-05-28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41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756B1 (en) 2015-04-03 2016-03-14 진상용 Fine Dust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756B1 (en) 2015-04-03 2016-03-14 진상용 Fine Dust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955B1 (en)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KR101864160B1 (en) Dual window air cleaner
KR101598756B1 (en) Fine Dust Filter
US8172919B1 (en) Window filter apparatus
KR101855405B1 (en) Window frame of slide type having dust proof net
US11142943B2 (en) Ventilation system integrated within window frame
JPH10317851A (en) Window screen
KR200401049Y1 (en) net windows
CN203701917U (en) Screen window part for purifying air flowing indoors and screen window
US6044892A (en) Frame assembly
KR20170004099U (en)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KR20180059417A (en) Window for blocking fine dust
US9776119B2 (en) System for providing flow of filtered air
CN104912470B (en) A kind of screen window with micronic dust filtering function
KR20200134051A (en) Air cleaning combined use ventilator for windows mounted type
KR200310925Y1 (en) Dust proof net assembly for windows and doors using friction elasticity
CN204663361U (en) A kind of screen window with micronic dust filtration
KR102261751B1 (en) Ventilation clean air supply system
CN205558762U (en) Electronicly prevent haze screen window device
CN112196418A (en) Indoor glass assembly type mounting structure with dustproof function
JP3263001B2 (en) Ventilation equipment
CN212790200U (en) Door with gas purifying function
CN209415257U (en) A kind of office pendent lamp with air-cleaning function
KR200488870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For Window Frame Or Door Frame
KR102308539B1 (en) Window frame comprising mosquito net and fine dust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