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938A -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938A
KR20180058938A KR1020160157900A KR20160157900A KR20180058938A KR 20180058938 A KR20180058938 A KR 20180058938A KR 1020160157900 A KR1020160157900 A KR 1020160157900A KR 20160157900 A KR20160157900 A KR 20160157900A KR 20180058938 A KR20180058938 A KR 2018005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device
gps
smartphone
smart shoe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찬곤
Original Assignee
(주)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filed Critical (주)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Priority to KR102016015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938A/ko
Publication of KR2018005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0005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Power management, e.g. system sleep and wake up provi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은, 상기 스마트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추적장치가 저장되며,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GPS부; LTE 또는 3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파악된 위치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GPS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Smart shoes and system for tracking location of demented elderly or infants}
본 발명은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동, 정신지체자, 또는 치매노인 등 정상적인 성인의 분별력을 가지지 못한 사람이나, 애완동물, 또는 귀중품 등 중요한 물건의 경우, 보호자 또는 소지자가 잠시 눈을 돌린 사이에 실종 또는 분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호 대상의 분실 또는 실종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요구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가장 오래되고 현재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보호자나 물건 주인의 연락처를 대상에 적어두는 방법이다. 예컨대 아이들의 팔찌나 목걸이에 부모의 전화번호를 적어두거나 가방에 소유자의 연락처를 적어두는 등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누군가 그것을 보고 찾아 줄 때 까지 소용이 없다는 단점과 오히려 그 정보가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 전자기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GPS와 기간무선통신망(3G, LTE 등)을 이용하여 대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다. 이것은 GPS를 이용하여 대상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기간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서버로 전송해 주는 방법이다. 예컨대, 아동에게 GPS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하고, 분실사고가 발생한 경우 GPS 위치추적장치가 기간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위치를 전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별도로 통신망에 가입하여 통신망 사용 비용을 부담해야 하고, 아동에게 부착되는 장치에 GPS 모듈과 기간무선통신망 이용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필요하여 고가의 장치가 요구되고 휴대성이 떨어진다. 게다가, 전력소모가 많아 장치의 크기가 커지고 배터리 충전을 자주 해야 하는 등 실질적으로 비용과 편의성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기존과 같이 팔찌, 목걸이 등에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할 경우, 치매노인이나 아동의 경우 팔찌나 목걸이를 쉽게 벗어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치매노인의 경우, 팔찌, 목걸이, 장신구 등과 같이 몸에 착용하고 있는 것을 벗어버리는 성향을 가지므로, 결국 위치추적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신발은 아주 어릴 때부터 습관적으로 착용하는 것으로, 아동, 정신지체자, 치매노인 등과 같이 정상적인 성인의 분별력을 갖지 못한 사람일지라도 신발을 벗고 활동하거나 신발을 분실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추적장치를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습관이나 환경의 변화 및 분실위험에 무관하게 위치추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함으로써, 보호자에 의한 수동적인 배터리 충전이 필요없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신발은, 상기 스마트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추적장치가 저장되며,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GPS부; LTE 또는 3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파악된 위치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GPS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소정의 바운더리가 설정되면, 상기 바운더리 이내에서는 상기 위치추적장치를 최소전력으로 동작되고, 상기 바운더리를 이탈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Assisted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신발의 착용자가 걸음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시스템은, 아웃솔(outsole)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추적장치가 저장되는 스마트 신발;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보여주는 보호자용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신발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GPS부; LTE 또는 3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파악된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GPS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추적장치를 신발에 장착하여, 사용자의 습관이나 환경의 변화 및 분실위험에 무관하게 위치추적 기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을 함으로써, 보호자에 의한 수동적인 배터리 충전이 필요없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배치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위치추적장치를 신발에 부착하여 위치 신호를 파악한다. 신발은 기본 의복으로 외출시에 반드시 착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팔찌, 목걸이등과 같이 미 착용 또는 분실의 위험이 적으며, 사용자의 습관, 환경의 변화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목걸이형, 손목시계형 제품의 분실위험, 미착용 위험 등이 있으나, 신발은 원초적 웨어러블로 외출시 분실 위험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은 대부분 웨어러블 기기의 문제점인 배터리 문제를 압전소자를 채택하여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 시스템은, 위치추적장치(200)가 장착된 스마트 신발(100), 보호자의 스마트폰(300), 기지국(400), LMS 서버(500), 스마트기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신발 시스템은, 위치추적장치(200), 보호자의 스마트폰(300), 기지국(400)만으로 동작하는 '단독 사용 모드'로 운영되거나, 위치추적장치(200), 보호자의 스마트폰(300), 기지국(400)와 더불어, LMS 서버(500), 스마트기기(600)를 통해 동작하는 '서비스 연계 모드'로 운영된다.
보통 치매의 단계는 1 내지 4단계로 구분되는데, 보통 1,2 단계이거나 치매환자가 사회적으로 중요한 인물인 경우 보호자나 치매환자는 치매 사실은 공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상기 '단독 사용 모드'는 이러한 상황에서 운영될 수 있는 모드로, 위치추적장치(200), 보호자의 스마트폰(300), 기지국(400)만으로 동작하므로 치매 사실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는다. 단독 사용 모드에서는, 치매환자의 특정한 보호자(자녀, 아내 등)만이 위치추적을 할 수 있는 모드이다.
그러나 치매가 3~4단계로 접어들면, 특정한 보호자만의 위치추적을 통해서는 치매환자가 실종되거나 위험에 처할 수 있게 되므로, 치매 사실이 보호자 외의 다른 기관이나 요원(경찰 등)에게 전파되어 각별한 보호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이처럼 보호자 외에 정해진 기관이나 요원에 의해 위치추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연계 모드'에서는 LMS 서버(500)와, 보호자 이외에 기관이나 요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600)를 통해 위치추적이 이루어진다.
먼저 '단독 사용 모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신발(100)에 장착된 위치추적장치(200)는 GPS 또는 WCDMA(3G) 모듈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위치추적장치(200)는 파악된 위치를 주기적으로(예컨대, 수분, 수십분) WCDMA(3G) 또는 SMS를 이용해서 전송한다.
위치추적장치(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기지국(400)은, 해당 위치정보를 위치추적장치(200)와 연계되어 등록된 보호자의 스마트폰(300)에 전송한다.
보호자의 스마트폰(300)은 수신된 위치 정보를 지도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보호자는 스마트 신발(100)을 착용한 피보호자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300)은 REST API를 통해 원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대응 위치 정보를 변환하며,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REST API를 통해 신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신발 ID(예컨대, MAC 주소 LTE ID 등), 대응 신발 정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0)은, HTML5 웹 브라우저 기반 맵 어플리케이션(구글 맵, 네이버맵, 다음 맵 등) 상에 실시간으로 현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GPS 차단 지역(예컨대, 실내, GPS 음영지역 등)의 대응 및 오차 범위를 보정하여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누적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GPS 차단 지역에 대한 오차 보정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0)은 이동 경로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HTML5 웹 브라우저 기반 맵 어플리케이션(구글 맵, 네이버맵, 다음 맵 등) 상에 특정 기간에 대한 이동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경로를 상세 정보 표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고, 특정 지점에서의 거리 및 소요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지점은 예컨대, 집, 요양원, 어린이집 등이 될 수 있으며, 도보 기준으로 소요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제 '서비스 연계 모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연계 모드'에서, 위치추적장치(2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 기지국(400)은, 해당 위치정보를 LMS 서버(500)로 전송한다. LMS 서버(500)에는 위치추적장치(200)에 대응하여, 피보호자 정보, 보호자 정보, 보호자의 스마트폰(300)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보호자가 스마트폰(300)을 통해 피보호자의 실종신고를 하거나 위치추적을 요청하면, LMS 서버(500)는 기지국(400)과 연계하여 위치추적장치(200)에 대한 위치추적을 수행하고, 위치추적 결과는 정해진 기관 또는 요원의 스마트기기(600)로 전송된다. 그러면 기관 또는 요원은 스마트기기(600)를 통하여 보호자의 스마트폰(300)으로 위치추적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LMS 서버(500)는 바운더리 서비스, 알람 서비스, 리포팅 서비스를 수행하고, 스마트기기(600) 및 스마트폰(3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지점으로부터 반경(예컨대, 100m, 50m, 1km 등)을 설정하거나, 위험 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지도 상에 이 바운더리를 이탈할 경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발 이동 과정에서 설정된 맵 바운더리 이탈시 해당 신발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서비스로서 단문메시지나 이메일을 통해 보호자나 관계 기관에 자동으로 통보할 수도 있다.
또한, 응급 신호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REST API를 통해 응급 신호 수신 시, 응급 신호 발생 위치를 기준으로 브라우저 맵상에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서비스로서, 단문메시지나 이메일을 통해 보호자나 관계 기관에 통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장치(200)의 각 구성요소 배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추적장치(200)는 GPS(210), 통신모듈(220), 컨트롤러(230), 전원(240), 안테나(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위치추적장치(200)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210)는 위치확인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모듈(220)는 무선통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 방식으로, LTE, 3G 방식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컨트롤러(230) 위치추적장치(200) 전반 및 각 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GPS(210)와 통신모듈(220)을 제어하고, GPS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며, 위치정보 및 이동경로를 저장한다. 또한, 통신모듈을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300)과 접속하며, 보호자가 설정한 바운더리 데이터로 정해진 바운더리 이내에서는 최소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바운더리를 집 또는 집 근처로 설정하면(집 또는 집 근처에서는 위치추적이 덜 필요하므로), 집 또는 집 근처 일정 바운더리에서는 최소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바운더리를 이탈하게 되면, 데이터 통신 및 SMS를 이용하여 보호자의 스마트폰(300)으로 위치 및 상황을 전송하게 된다.
스마트 신발(100)은 혼자 신고 벗기 편한 No-Lace up 디자인일 수 있고, 발바닥 인솔(Insole) 까래에 바닥창과 아웃솔(Outsole)과 연결되는 저부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신발 저부 창(outsole)에 위치추적장치(200) 등 IT부품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닥창 뒷꿈치에 블록형 GPS 및 LED 디스플레이가 장착될 수도 있다.
위치추적장치(200)는 최소화하여 스마트 신발(100)에 이질감 없이 삽입될 수 있으며, 트래킹 모드를 두어 사용자 설정 시간대로 경로를 기록 및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위치추적장치(200)는 압전 발전 모듈을 이용하여 1mAV/100Step, 보행 압력으로 압전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신발(100)의 착용자가 걸음에 따라 압전소자에 압력이 가해지면,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고 배터리(240)를 충전한다.
또한 위치추적장치(200)는 저전력 컨트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를 구비하여, A-GPS+3G 혹은 LTE 모듈+컨트롤 모듈을 사용하여 초저전력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기존의 S-GPS는 다중 경로전파와 전파감쇄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고, 최초 위치 측정이 1분에서 최대 12분이 소요되며, 배터리 소모량이 큰 단점이 있다. 그러나 A-GPS(Assisted GPS)는 미연방통신위원회 911 응급 통화시 위치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최초 위치 측정이 평균 20초로 비교적 적게 소요되며, 다중 경로전파 및 전파감쇄가 보정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로서,
    상기 스마트 신발의 아웃솔(outsole)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추적장치가 저장되며,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GPS부;
    LTE 또는 3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파악된 위치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GPS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소정의 바운더리가 설정되면, 상기 바운더리 이내에서는 상기 위치추적장치를 최소전력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바운더리를 이탈하게 되면 상기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Assisted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장치는 압전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신발의 착용자가 걸음에 따라 상기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신발.
  5.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아웃솔(outsole)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공간에 위치추적장치가 저장되는 스마트 신발; 및
    상기 위치추적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여 보여주는 보호자용 스마트폰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신발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GPS부;
    LTE 또는 3G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파악된 위치정보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GPS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60157900A 2016-11-25 2016-11-25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KR20180058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00A KR20180058938A (ko) 2016-11-25 2016-11-25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00A KR20180058938A (ko) 2016-11-25 2016-11-25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38A true KR20180058938A (ko) 2018-06-04

Family

ID=6262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00A KR20180058938A (ko) 2016-11-25 2016-11-25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9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9678A (zh) * 2018-07-02 2018-11-30 河南天易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鞋垫式定位装置
KR102068644B1 (ko) * 2018-08-08 2020-01-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Gps 신발용 소형 위치정보 송신기 및 이를 적용한 위치관리방법
KR20200094511A (ko) 2019-01-30 2020-08-07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 지킴이 팔찌
WO2021085793A1 (ko) * 2019-10-30 2021-05-06 (주)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위치추적기능을 포함하는 신발
KR20220144168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에이디칩스 배회감지를 위한 gps 모듈을 구비하는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9678A (zh) * 2018-07-02 2018-11-30 河南天易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鞋垫式定位装置
KR102068644B1 (ko) * 2018-08-08 2020-01-2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Gps 신발용 소형 위치정보 송신기 및 이를 적용한 위치관리방법
KR20200094511A (ko) 2019-01-30 2020-08-07 동강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 지킴이 팔찌
WO2021085793A1 (ko) * 2019-10-30 2021-05-06 (주)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위치추적기능을 포함하는 신발
KR20220144168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에이디칩스 배회감지를 위한 gps 모듈을 구비하는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938A (ko) 치매노인 또는 영유아의 위치추적을 위한 스마트 신발 및 시스템
US10571284B2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10176691B2 (en)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US9978252B2 (en) Personal monitoring and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10168430B2 (en) Wireless devices and systems for tracking patients and methods for using the like
US20160093197A1 (en) Personal Monitoring And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89882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st subjects
US20060232429A1 (en) Child alert system
CA3105572C (en) Tracking device and system
US20050253727A1 (en) Child alert system
US20150068070A1 (en) Footwear with Position Determination Unit
US20140285322A1 (en) Life saving apparatus
JP2014095718A (ja) ワイヤレス追跡デバイス
WO2004068387A1 (en)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KR101356557B1 (ko) 실종방지 기능이 구비된 신발 및 이를 이용한 실종방지 시스템
US11762424B2 (en) Tracking wristband
KR100926239B1 (ko)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장치
WO2002084618A1 (en) Personal locating system
Surendran et al. A study on devices for assisting Alzheimer patients
US20010045894A1 (en) Locator apparatus system
CN110989330A (zh) 一种老年人专用智能手表
KR20200076243A (ko)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US9576462B2 (en) GPS device for locating a lost child
US10650657B1 (en) Smart wearable accessory as a rescue and tracking device
KR100971848B1 (ko) 보안추적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