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891A -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891A
KR20180058891A KR1020160157454A KR20160157454A KR20180058891A KR 20180058891 A KR20180058891 A KR 20180058891A KR 1020160157454 A KR1020160157454 A KR 1020160157454A KR 20160157454 A KR20160157454 A KR 20160157454A KR 20180058891 A KR20180058891 A KR 20180058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raffic signal
unit
monitoring
power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극
이재관
Original Assignee
(주)서돌전자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돌전자통신 filed Critical (주)서돌전자통신
Priority to KR102016015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891A/ko
Publication of KR2018005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의 소비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유닛; 상기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소비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유닛; 및 상기 교통신호등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고장 판단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여부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SIGNAL LAMP TROUBLE DIAGNOSIS SYSTEM OF TRAFFIC SIGNAL CONTROLLER}
본 발명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통사고율은 OCE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중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교통사고 발생을 일으키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교통신호등의 고장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교통신호등의 고장은 차량의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혼동을 주기 때문에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에게 사고의 위험이 있다. 특히 야간의 경우에는 더 큰 사고로 이어져 인명 피해를 유발할 여지가 있다.
일반적인 교통신호등 시스템은 교통신호등과 이를 제어하는 교통신호 제어기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교통신호 제어기 자체의 출력 이상에 따라 교통 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였다. 때문에 교통신호 제어기에서 교통신호등으로 정상적인 AC전원만 출력한다면 교통신호등이 실질적으로 고장 났다고 하더라도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는 불편한 방법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관제 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1141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4503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11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4503호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 내부에 전류값을 감지하고 추가되는 감지 결과에 따라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교통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교통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변환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은 교통신호등의 소비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유닛; 상기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소비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유닛; 및 상기 교통신호등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고장 판단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여부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교통신호등으로 공급하는 전원 변환 유닛; 및 상기 전원 변환 유닛의 출력 전압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압 모니터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 유닛은 상기 전압 모니터링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출력 전압값과 기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 변환 유닛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일반모드 및 점멸모드에 따라 상기 고장 판단 유닛의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모드와 상기 점멸모드는 시간, 교통량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교통신호등 각각의 소비 전류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신호등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와 상기 소비 전류값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류 모니터링 유닛;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교통신호등으로 상기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의 출력 전압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와 상기 출력 전압값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압 모니터링 유닛;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복수의 교통신호등 및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식별자를 통해 해당 위치를 식별하는 고장 판단 유닛; 및 상기 교통신호등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고장 판단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여부 및 해당 식별자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문제가 발생된 교통신호등을 빠르게 수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와 보행자의 교통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교통신호등의 자체적인 문제뿐 아니라 교통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의 문제 역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교통신호등과 관련된 유지 보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및 전원 변환 장치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신호 제어기의 복수의 신호등 및 전원 변환 장치의 고장 진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히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은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소비 전류값을 비교하여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유닛(300); 및 교통신호등(40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고장 판단 유닛(300)에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여부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200)을 포함한다.
컨트롤 유닛(200)은 교통신호기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장치 및 전원장치 등과 하나의 버스시스템으로 연결되어 교통신호등(400)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어서, 컨트롤 유닛(200)은 고장 판단 유닛(300)을 장착하여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장 판단 유닛(300)은 컨트롤 유닛(200)에 마련된 소켓에 결합 연결될 수 있으며, 결합과 분리를 통해 고장 판단 유닛(300)의 교체 및 업데이트와 같은 보수 관리가 유연하다.
또한, 컨트롤 유닛(200)은 전원 관제센터의 관제서버(100)와 통신이 가능하고, 고장 판단 유닛(300)과도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은 교통신호등(400)에 구비되어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은 교통신호등(400) 각각의 표시등에 구비되어 해당 표시등에서 소비되는 전류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1에서는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은 교통신호등(400)의 뒷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표시하였지만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교통신호등(400)은 빨강불, 녹색불, 주황불, 방향표시불 등이 서로 교번하여 활성화되는데, 이때 교통신호등(400)은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표시등에 구비된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은 해당 표시등에서 소모되는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빨강불, 녹색불, 주황불, 방향표시불 등이 서로 교번하여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를 일반 모드로 정의하기로 하고, 주황불만 간헐적으로 활성화되는 동작 모드를 점멸 모드로 정의하기로 한다.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은 일반 모드와 점멸 모드 시에도 사용되는 전류값을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장 판단 유닛(300)은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전류값을 컨트롤 유닛(200)으로부터 수신 받고,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으로부터 수신된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을 비교하여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고장 여부 판단이 되는 기준 전류값은 교통신호등(400)의 최대 소비 전류값에서 일정 소비 전류값 미만이 되면 교통신호등(40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기준이다. 즉, 예를 들어, 교통신호등(400)의 빨강불에서 소비되는 최대 소비 전류값이 6A일 경우 6A의 50%인 3A를 고장 여부 판단이 되는 기준 전류값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이해를 돕기 위해 위에서 설명한 고장 여부 판단이 되는 기준 전류값을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으로 정의한다.
고장 판단 유닛(300) 내부에는 비교기와 같은 회로가 구성될 수 있으며,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과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을 서로 비교하여 만약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이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보다 큰 경우 정상이라는 정보를 생성하고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이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보다 작은 경우 고장이라는 정보를 생성하여 컨트롤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 유닛(200)은 고장 판단 유닛(300)에서 수신된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관제서버(100)로 전송하여 교통신호등(400)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2에서는 교통신호등(400)과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교통신호등(400)은 4개의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4개의 표시등에는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 통신 유닛(800) 및 전원 변환 유닛(700)이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교통신호등(400)에는 4개의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 4개의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 4개의 통신 유닛(800) 및 4개의 전원 변환 유닛(7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교통신호등(400)의 표시등 중 빨강불은 제1 표시등(420)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또한, 위에서는 교통신호등에 4개의 표시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표시등의 개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원 변환 유닛(700)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교통신호등(400)의 표시등에 대응하는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 변환 유닛(700)은 통상적으로 외부에서 AC 전원을 공급받고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교통신호등(400)으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컨트롤 유닛(200)은 전원 변환 유닛(700)의 입력을 ON/OFF하여 제어 함으로써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DC 전원으로 제대로 변환하여 출력하였는지는 알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다시 말하면, 컨트롤 유닛(200)은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AC전원만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DC전원으로 변환되지 않거나 교통신호등(400)의 동작이 불가한 출력값으로 출력하더라도 컨트롤 유닛(200)은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를 알 수 없었다.
고장 판단 유닛(300)은 컨트롤 유닛(200)으로부터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 및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은 위에서 설명한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과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6V일 경우, 6V의 50%인 3V를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으로 할 수 있다.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과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은 교통신호등(400)의 표시등에 각각에 구비되고, 표시등 각각의 소비 전류값과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표시등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값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과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은 각각 모니터링된 소비 전류값과 출력 전압값을 고장 판단 유닛(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과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은 고장 판단 유닛(300)과 통신 가능한 통신 유닛(800)과 연결되고, 통신 유닛(800)은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과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과 같이 각각의 표시등에 구비될 수 있다. 통신 유닛(800)은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과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RS-485통신(통신포트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종류로서, 다수의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고 먼 거리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통신)을 통해 모니터링 데이터를 고장 판단 유닛(3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으로부터 교통신호등(400)의 소비 전류값을 수신하고,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으로부터 수신된 전원 변환 유닛(700)의 출력값을 수신하고,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여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표시등(420)에 구비된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으로부터 제1 표시등(420)의 소비 전류값을 수신 받아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제1 표시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제1 표시등(420)에 구비된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으로부터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제1 표시등(420)으로 출력되는 출력값을 수신 받아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여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컨트롤 유닛(200)은 고장 판단 유닛(300)으로부터 교통신호등(400)과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를 수신 받아 관제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교통신호등(400)과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을 진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고장 판단 유닛(300)은 교통신호등(4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일반모드와 교통신호등(400)의 점멸모드로 동작될 때,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을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컨트롤 유닛(200)에서 수신하고,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여부 판단을 모드에 따라 각각 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 유닛(200)은 교통신호등(400)의 일반모드와 점멸모드의 기준 조건을 특정 시간에 점멸모드로 변경되는 시간 별, 교통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점멸모드로 변경되는 교통량 별, 짙은 안개나 눈, 비에 따라 점멸모드로 변경되는 날씨 별 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점멸 모드로 작동되는 조건 중에는 일정 시간이 되면 교통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곳은 해당 시간에 점멸 모드로 작동되어 교통이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많은 강수량으로 운전자의 주의가 더 필요할 때 점멸 모드로 변경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더 요구할 수 있다.
이하 고장 판단 유닛(300)을 통해 교통신호등(400)의 모드에 따라 교통신호등(400)과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 유닛(200)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예로, 고장 판단 유닛(300)은 컨트롤 유닛(200)으로부터 교통신호등(400)의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을 일반모드에서 3A로 수신 받고, 점멸 모드에서 2A로 수신 받을 수 있다.
교통신호등(400)은 점멸 모드에서 주황불이 간헐적으로 활성화 되어 일반 모드에서보다 소비 전류값이 낮을 수 있다. 때문에, 고장 판단 유닛(300)은 일반 모드와 점멸 모드의 기준 소비 전류값을 다르게 수신 받을 필요가 있다.
즉, 예를 들어, 고장 판단 유닛(300)은 일반모드의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에서 수신된 제1 표시등(420)의 소비 전류값이 3A 미만이면 제1 표시등(42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점멸모드에서는 제1 표시등(420)의 소비 전류값이 2A 미만이면 제1 표시등(42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컨트롤 유닛(200)으로 고장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고장 판단 유닛(300)은 컨트롤 유닛(200)으로부터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을 3V로 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변환 유닛(700)은 일반 모드와 점멸모드 모두 동일한 전압값을 받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에서 수신된 모니터링 데이터가 3V 미만이면 전원 변환 유닛(70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컨트롤 유닛(200)으로 고장 여부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3에서는 교통신호등(400)과 전원 변환 유닛(700)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고장여부를 판단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교통신호등(400)은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으로 설치가 되어 하나의 컨트롤 유닛(200)이 다수의 교통신호등(4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신호등(400)의 각각의 표시등에는 전원 변환 유닛(700),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 및 고장 판단 유닛(300)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유닛(80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과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으로부터 각각에 대응하는 소비 전류값과 출력 전압값 및 식별자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는 교통신호등(400)의 위치 식별자와 교통신호등(400) 각각의 표시등에 해당하는 표시등 식별자 및 각각의 전원 변환 유닛(700)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식별자는 사거리에 설치된 4개의 교통신호등(400)에서, 북쪽의 교통신호등(400)은 n, 동쪽의 교통신호등(400)은 e, 남쪽의 교통신호등(400)은 s, 서쪽의 교통신호등(400)은 w로 식별될 수 있다. 또한, 표시등의 식별자는 빨강불은 1, 주황불은 2, 방향표시불은 3, 녹색불은 4로 식별될 수 있으며, 전원 변환 유닛(700)의 식별자는 a로 식별 될 수 있다. 즉, 제1 교통신호등(400)은 북쪽의 위치 식별자 n, 표시등 식별자(1~4) 및 전원 변환 유닛(700) 식별자 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으로부터 교통신호등(400) 각각의 소비 전류값을 수신하고, 제1 교통신호등(400a)의 빨강불에서 소비된 전류값이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 미만이면 빨강불의 고장 여부와 해당 식별자 n-1(북쪽, 빨강불)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컨트롤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압 모니터링 유닛(600)으로부터 전원 변환 유닛(700) 각각의 출력 전압값을 수신하고, 제3교통신호등(400c)의 녹색불에 구비된 전원 변환 유닛(700)의 출력 전압값이 고장 판단 기준 전압값 미만이면 전원 변환 유닛(700)의 고장 여부와 식별자 s-4a(남쪽, 녹색불, 전원 변환 유닛(700))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여 컨트롤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제1 교통신호등(400a)의 빨강불 및 제1 교통 신호등(400a)의 빨강불에 구비된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식별자 n-1(북쪽, 빨강불) 및 식별자 n-1a(북쪽, 빨강불, 전원 변환 유닛(700)) 두개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제1 교통신호등(400a)의 빨강불 및 제3 교통신호등(400c)의 녹색불에 구비된 전원 변환 유닛(70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식별자 n-1(북쪽, 빨강불) 및 식별자 s-4a(남쪽, 녹색불, 전원 변환 유닛(700)) 두개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컨트롤 유닛은 고장 판단 유닛에서 전송 받은 고장 여부와 함께 해당 식별자를 관제 서버로(100)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고장 판단 유닛은 복수의 교통신호등(400)의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을 각각 모드에 대응하는 해당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유닛(200)은 제1 교통신호등(400a)은 일반 모드로, 제2 교통신호등(400b)은 점멸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1 교통신호등(400a)의 고장 판단 기준 전류 값을 3A, 제2 교통신호등(400b)의 고장 판단 기준 전류값을 2A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고장 판단 유닛(300)은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으로부터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교통신호등(400a)의 소비 전류값이 3A 미만이면 제1 교통신호등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교통신호등(400b)의 소비 전류값은 2A 미만이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고장 판단 유닛은(300) 전류 모니터링 유닛(500)으로부터 제1 교통신호등(400a) 및 제2 교통신호등(400b)의 식별자를 수신받고, 고장 여부와 함께 해당 식별자를 컨트롤 유닛(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관제 서버
200: 컨트롤 유닛
300: 고장 판단 유닛
400: 교통신호등
500: 전류 모니터링 유닛
600: 전압 모니터링 유닛
700: 전원 변환 유닛
800: 통신 유닛

Claims (6)

  1. 교통신호등의 소비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류 모니터링 유닛;
    상기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과 상기 소비 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교통신호등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고장 판단 유닛; 및
    상기 교통신호등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고장 판단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여부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교통신호등으로 공급하는 전원 변환 유닛; 및
    상기 전원 변환 유닛의 출력 전압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압 모니터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판단 유닛은
    상기 전압 모니터링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출력 전압값과 기 설정된 출력 전압값을 비교하여 상기 전원 변환 유닛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일반모드 및 점멸모드에 따라 상기 고장 판단 유닛의 상기 기 설정된 기준 전류값을 제어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모드와 상기 점멸모드는 시간, 교통량 및 날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6. 복수의 교통신호등 각각의 소비 전류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교통신호등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와 상기 소비 전류값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류 모니터링 유닛;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교통신호등으로 상기 전원을 변환하여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의 출력 전압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와 상기 출력 전압값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압 모니터링 유닛;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복수의 교통신호등 및 상기 복수의 전원 변환 유닛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식별자를 통해 해당 위치를 식별하는 고장 판단 유닛; 및
    상기 교통신호등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고장 판단 유닛에서 제공되는 상기 고장 여부 및 해당 식별자를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의 고장 진단 시스템.
KR1020160157454A 2016-11-24 2016-11-24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KR20180058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54A KR20180058891A (ko) 2016-11-24 2016-11-24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54A KR20180058891A (ko) 2016-11-24 2016-11-24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891A true KR20180058891A (ko) 2018-06-04

Family

ID=6262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54A KR20180058891A (ko) 2016-11-24 2016-11-24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8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69B1 (ko) * 2022-03-28 2022-08-0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횡단보도자의 성향에 따라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
CN116959280A (zh) * 2023-09-20 2023-10-27 济南良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交通信号灯的运行状态自检方法、系统及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115B1 (ko) * 2008-07-16 2008-11-17 샤이니테크 주식회사 Led 신호등용 전원장치
KR100991141B1 (ko) 2010-06-17 2010-11-01 고충국 교통신호 제어기에서 신호등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74503B1 (ko) 2009-09-21 2011-10-18 임하철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신호 안내 장치
JP2011225162A (ja) * 2010-04-22 2011-11-10 Sankosha Co Ltd 多灯型色灯信号機の半断線又は全断線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2204317A (ja) * 2011-03-28 2012-10-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点灯装置
KR20150104417A (ko) * 2014-03-05 2015-09-15 (주)아빌론네트웍스 신호등 불량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115B1 (ko) * 2008-07-16 2008-11-17 샤이니테크 주식회사 Led 신호등용 전원장치
KR101074503B1 (ko) 2009-09-21 2011-10-18 임하철 고장 진단이 가능한 신호 안내 장치
JP2011225162A (ja) * 2010-04-22 2011-11-10 Sankosha Co Ltd 多灯型色灯信号機の半断線又は全断線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91141B1 (ko) 2010-06-17 2010-11-01 고충국 교통신호 제어기에서 신호등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2204317A (ja) * 2011-03-28 2012-10-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点灯装置
KR20150104417A (ko) * 2014-03-05 2015-09-15 (주)아빌론네트웍스 신호등 불량 감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69B1 (ko) * 2022-03-28 2022-08-0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횡단보도자의 성향에 따라 교통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
CN116959280A (zh) * 2023-09-20 2023-10-27 济南良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交通信号灯的运行状态自检方法、系统及设备
CN116959280B (zh) * 2023-09-20 2024-01-09 济南良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交通信号灯的运行状态自检方法、系统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8736A1 (en) Street lamp system
US20020000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outage detection
KR102064369B1 (ko)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970068366A (ko) 마이크로 제어기를 가지는 전자장치의 버스-네트워크 동작장치
US8531175B2 (en) Monitoring device for an electric power system
CN105072763A (zh) 一种汽车挂车灯具的控制电路系统及检测方法
KR101694370B1 (ko) 소비전류값을 이용한 손상된 led모듈 자동검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8891A (ko)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등 고장 진단 시스템
HUE026493T2 (en) Light fixture and procedure to control it
KR100799067B1 (ko) 이상표시 램프를 구비한 교통신호 제어장치의 lsu
CN106105397B (zh) 照明系统、灯以及用于照明系统中的紧急照明操作的方法
IES81008B2 (en) An emergency lighting network
KR100491889B1 (ko) 안전전압을 이용한 가로등 단선검지 및 구동시스템
US9912143B1 (en) Hot standby for lamp driver
KR102456951B1 (ko) 숫자형 보행 잔여 시간 표시기 운영장치
CN104267642A (zh) 一种输出可靠电流信号的系统及方法
CN204340924U (zh) 汽车的拖车电路检测装置
KR100706037B1 (ko) 엘이디신호등의 제어장치
KR100823086B1 (ko)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감시제어시스템
US10668811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railroad car
KR100944876B1 (ko) 엘이디 조명기구 제어시스템
KR20170042977A (ko) 철도차량의 후미등 점등 제어장치
JP2004013257A (ja) 火災受信機
US9578717B2 (en)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n illumination apparatus
CN208515596U (zh) 一种城轨车辆客室照明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