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679A - Battery holder - Google Patents

Battery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679A
KR20180058679A KR1020180054859A KR20180054859A KR20180058679A KR 20180058679 A KR20180058679 A KR 20180058679A KR 1020180054859 A KR1020180054859 A KR 1020180054859A KR 20180054859 A KR20180054859 A KR 20180054859A KR 20180058679 A KR20180058679 A KR 2018005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guide
electrode
batter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7717B1 (en
Inventor
백승일
Original Assignee
백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일 filed Critical 백승일
Priority to KR102018005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17B1/en
Publication of KR2018005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6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5
    • H01M2/105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holder which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tool and enables a user to easily and simply detach a battery only with one to two times of operations. To this end, the battery holder, which is formed in a housing having a battery receiving region and a screw hole, comprises: a movable electrode and a fixed electrod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rotation rod formed by connecting a rotation plate to the terminal of a support plate o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 movable electrode direction alo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Description

건전지 홀더{Battery holder}Battery holder {Battery holder}

본 발명은 건전지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탈부착이 쉽고 간편하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를 요하지 않고도 배터리를 탈부착 가능한 건전지 홀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holder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and detaching a battery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tool such as a driver.

통상적으로, 건전지 홀더는 양극(+)과 음극(-) 한 쌍의 전극을 건전지 개수에 맞게 구비하며, 음극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Typically, the battery holder has a pair of positive (+) and negative (-) electrode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atteries, and the negative electrode is composed of a spring.

스프링은 탄성을 이용하여 건전지를 건전지 홀더에 고정하면서 건전지의 전극 역할을 겸하고 있다. 그러나, 건전지가 건전지 홀더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건전지 홀더의 크기는 건전지 크기와 유사하게 제작되고 있다.The spring uses elasticity to secure the battery to the battery holder and serves as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However, the size of the battery holder is designed to be similar to the size of the battery to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battery holder.

이에 따라, 기존의 건전지 홀더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문제점을 유발한다.Accordingly, existing battery holders cause problems according to the following.

1) 건전지 홀더의 크기가 건전지 크기와 유사하므로, 사용자가 건전지를 장착하기 어렵고, 1) Since the size of the battery holder is similar to the battery siz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nstall the battery,

2) 건전지 홀더에 장착된 건전지를 쉽게 탈착하기도 어렵다. 2) It is also difficult to easily remove the battery attached to the battery holder.

3) 건전지가 건전지 홀더에 복수 개 어레이 수납되는 경우, 건전지 사이에 공간을 주어 건전지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있으나, 이는 건전지 홀더의 크기 증가, 및 사출 비용 증가로 이어진다.3) When the batteries are housed in a plurality of arrays in the battery holder,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batteries to facilitate detachment of the batteries, but thi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battery holder and an increase in the cost of injection.

4) 건전지의 탈착을 위해 건전지 홀더 내에 탈착끈을 설치하여, 건전지의 탈착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이 있으나, 건전지가 수직하게 적층 구조를 이룰 경우, 탈착끈이 중력에 의해 배터리 홀더 내부에 파묻히거나 배터리 홀더를 이탈할 우려가 있다. 4) In order to detach the battery, a detachment strap is installed in the battery hol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detachment of the battery. However, when the battery is stacked vertically, if the detachment strap is buried in the battery holder due to gravity, There is a fear that the holder may come off.

이러한 문제에 대해 중국 공개특허 제201310572730는 건전지의 쉬운 탈 부착과 접촉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건전지 홀더를 수납하는 하우징에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를 돌림으로써 건전지와 전극을 조이는 배터리 홀더를 제안한 바 있다. To address this problem, Chi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10572730 proposes a battery holder that tightens the battery and the electrode by turning a screw using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in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holder in order to improve easy detachment and poor contact of the battery have.

그러나, 공개특허 제201310572730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나사를 조이고 풀어야 하므로 건전지의 탈부착이 불편하고,However, in the patent publication No. 201310572730, the screw is loosened and loosened with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건전지 하나당 나사 구조물이 하나씩 배열되어야 하므로, 하우징에 수납되는 건전지의 개수가 많은 경우, 건전지 탈부착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늘어난다.Since the screw structures are arranged one by one per battery, when the number of batteries housed in the housing is larg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battery increases.

만일, 전자제품 내부에 수납해야 할 건전지가 6개인 경우, 모두 6개의 나사를 조이거나 풀어서 건전지를 고정 또는 교체해야 하며, 각 건전지가 적당한 텐션을 가지면서 배터리 홀더에 고정해야 하므로, 건전지 착탈에 주의가 요구된다. If there are six batteries to be stored in the electronics, all 6 screws must be tightened or loosened to fix or replace the batteries. Each battery must be secured to the battery holder with proper tension.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건전지를 착탈 가능한 건전지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holder in which a user can easily remove a battery by hand without using a separate too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전지 개수와 관계없이 1-2회의 조작으로 전체 건전지를 착탈할 수 있는 건전지 홀더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holder which can detach and remove all the batteries by one or two operations irrespective of the number of batterie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탈착이 용이하여 기존의 탈착끈이 필요치 않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detachment method which does not require an existing detachment strap.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전지 수납 영역 및 나사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대의 종단에 회전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 전극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회전 밀대;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including: forming a housing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area and a screw hole; And a rotating bar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a rotating plate to an end of a supporting base on which a thread is formed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electrode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전지 수납 영역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멈치를 일측 종단에 구비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지지축의 일측에 판상의 누름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노출되며, 상기 지지축의 타측은 상기 유동 전극에 이웃하는 밀대;를 포함하고, 상기 멈치는, 상기 밀대에 의해 상기 유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패드의 유동을 제한하는 건전지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a cover comprising: a cover provided on a housing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area and provided with a stop protruding toward the accommodating area at one end; A flow electrode and a fixed electrod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 pushing plate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support shaft, the pushing plate being expos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shaft being adjacent to the flow electrode, wherein the stopping member Wherein the flow electrode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electrode, and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flow of the pad is restricted.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건전지 수납 영역 및 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의 내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의해 배터리의 전극을 향해 이동하는 유동 전극; 장홈을 구비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시점과 종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유도 홈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동판 가이드; 및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상기 유동판 가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각각은 상기 장홈과 상기 유도 홈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가이드 홈의 일 측 종단에서 상기 제1가이드를 향하는 걸림 홈을 구비하는 건전지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object can be achieved by a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an inner surface of a housing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area and a through hole, the button being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A flow electrode that moves toward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by the button; A first guide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the second guide having a flow forming a flow path formed along an induction groove having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betwee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Plate guides; And a flow plate which protrudes toward the flow plate guide and ha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flow in th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And a retaining groove for guiding the first guide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본 발명에 따르면,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별도의 공구를 요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건전지를 착탈할 수 있다.No separate tool is required, and the user can easily and easily remove the battery.

또한, 1-2회의 조작으로 하우징에 수납된 전체 건전지를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다.Further, all the batteries housed in the housing can be removed or mounted by a 1-2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회전 밀대 지지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회전 밀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건전지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유동 전극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가 제품에 적용된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밀대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8의 d5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건전지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동 전극과 지지대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막대 밀대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과 도 1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제2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support.
Figure 4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holder cover.
Figure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flow electrod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9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nger.
Fig. 10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direction d5 in Fig.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holder cover.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ttery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holder, which facilitates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battery according to FIG. 12;
14 show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electrode and the support shown in Fig.
15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d and guide.
Fig. 16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shown in Fig.
17 and 18 show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guide applicable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건전지를 필요로하는 전자제품, 전기제품 및 기타 생활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The battery holder, which is easy to remove and detach from the battery,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products, electric appliance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requiring batteries.

이하, 건전지를 필요로 하는 전자제품, 전기제품 및 기타 생활용품을 "제품"이라 통칭하도록 한다.Hereinafter, electronic products, electric products and other household goods requiring batteries are referred to as "products".

따라서,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하우징(Housing)은 건전지를 필요로하는 제품의 하우징을 의미할 수 있다.Therefore, the housing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battery holder for easy battery detachment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housing of a product requiring a battery.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수납 영역은 건전지를 필요로하는 제품에서 건전지 삽입을 위해 마련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통상 상기한 수납 영역은 제품 내에 건전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storage area referred to herein may refer to a space provided for battery insertion in a product requiring a battery. Normally, the above-mentioned storage area is configured to insert a battery into the product, so that it can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건전지는 1차 전지 또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으며, 원통형 사각형 및 기타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건전지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통형 건전지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며, 원통형 건전지로는 AA 사이즈, AAA 사이즈, 18650 사이즈, 및 기타 원통 구조를 갖는 다양한 건전지가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batteries referred to herein may be a prim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various other shapes. In this specification, a cylindrical battery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as a battery is shown and described, and a cylindrical battery may include various batteries having an AA size, an AAA size, an 18650 size, and other cylindrical structures. However, Do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대한 배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회전 밀대 지지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회전 밀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배터리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은 유동 전극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가 제품에 적용된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that can easily be detached and attached to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vot suppor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cove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flow electrode,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etachment / And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in which the easy battery holder is applied to the product.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제품에 마련되는 수납 영역(101)에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7 together, the battery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battery, is formed in the storage area 101 provided in the product.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부품 중 회전 밀대(102)나 회전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고 나머지는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다. 이는 회전 밀대(102)가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회전 밀대(102)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따른다. The rotating shaft 102 and the rotating shaft supporting part 105 of the battery holder which are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rest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his allows the pivot 102 to be exposed outside the housing, allowing the user to easily manipulate the pivot 102.

회전 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1)과 회전 밀대(102) 사이에 마련되며, 중심부엔 나사 홀(105a)이 형성되어 회전 밀대(102)의 축을 지지한다. The pivot support 105 is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1 and the pivot 102 and has a threaded hole 105a at its center to support the axis of the pivot 102.

하우징(1)의 두께가 회전 밀대(102)의 축을 지지할 만큼 두꺼운 경우, 회전밀대 지지부(105)가 별도로 필요치 않다. 하우징(1)에 나사 홀을 형성하고, 나사 홀을 회전 밀대(102)의 지지축과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의 두께가 나사산을 형성하고, 지지축을 지탱할 만큼 두껍지 않은 경우, 도시된 회전 밀대 지지부(105)가 필요한 것으로, 회전 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1)의 두께에 따라 존재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If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1 is thick enough to support the axis of the pivot 102, no pivot support 105 is needed. It is possible to form a screw hole in the housing 1 and to fasten the screw hole to the support shaft of the rotary shaft 102.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1 forms a thread and is not thick enough to support the support shaft, the illustrated pusher support 105 is required, and the pusher support 105 is presen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ousing 1. [ Can be determined.

하우징(1) 내측으로는 수납 영역(101), 가이드(103), 고정 전극(106) 및 유동 전극(107)이 배치된다. A housing area 101, a guide 103, a fixed electrode 106, and a flow electrode 107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

가이드(103)는 유동 전극(107)이 수납 영역(101)을 이탈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가이드(103)는 수납 영역(101)의 테두리에서 수납 영역(101)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103 restricts the flow electrode 107 from escaping from the accommodating region 101. [ The guide 103 can be formed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storage area 101 from the rim of the storage area 101. [

고정 전극(106)은 배터리(5)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금속판 또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판 또는 스프링으로 전극이 형성되는 경우, 배터리(5)의 전극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ed electrode 106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5, and may include a metal plate or a spring. When the electrode is formed by a metal plate or a spring, it may protrude toward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5.

유동 전극(107)은 배터리(5)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금속판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유동 전극(107)은 회전 밀대(102)에 의해 수납 영역(101) 내에서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유동 전극(107)은 가이드(103)에 의해 유동 방향이 제한되어 수납 영역(101)을 이탈하지 않는다.The flow electrode 107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5, and may comprise a metal plate or a spring. However, the flow electrode 107 can flow in the storage region 101 in the direction D1 or D2 by means of the rotating bar 102. At this time, the flow direction of the flow electrode 107 is restricted by the guide 103 and does not leave the storage region 101. [

도 3은 회전 밀대 지지부(105)의 구조를 도시한다.Fig. 3 shows the structure of the pivot support 105. Fig.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밀대 지지부(105)는 하우징(101)의 외주연에서 돌출되는 구조물로서, 중심부에는 지지 홀(105a)이 마련된다. 3, the pivot support 105 i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101, and a support hole 105a is provided at the center.

회전 밀대 지지부(105)의 중심부에는 나사 홀(105a)이 형성되고, 나사 홀(105a)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A screw hole 105a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ivot support 105 and a thread is form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crew hole 105a.

도 4는 회전 밀대 지지부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Figure 4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pivot support.

도 4에 도시된 회전 밀대(102)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2a)과 지지축(102c)으로 구성되거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02a), 패드(102b) 및 지지축(10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includes a rotating plate 102a and a supporting axis 102c as shown in FIG. 4 (a), or a rotating plate 102a as shown in FIG. 4 (b) A pad 102b, and a support shaft 102c.

회전판(102a)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데 이용된다. 회전판(102a)은 원형, 다각형, 원통형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노브(knob) 형상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The rotary plate 102a is used to be held and rotated by a user. The rotary plate 102a may have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 cylindrical shape, and various other shapes, and may be realized as a knob shape.

지지축(102c)은 회전판(102a)에 연결되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전극(107)을 직접 푸시(push) 하거나, 또는 패드(102b)와 연결되어 패드(102b)를 통해 유동 전극(107)을 푸시(push)할 수도 있다. 지지축(102c)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 밀대 지지부(105) 측의 나사 홀(105a)에 체결된다. The supporting shaft 102c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102a and directly pushes the flow electrode 107 as shown in Fig. 4 (a) or is connected to the pad 102b, The flow electrode 107 may be pushed through the through-hole.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pport shaft 102c and is fastened to the screw hole 105a on the side of the rotary support 105. [

즉, 회전 밀대(102)는 지지축(102c)에 의해 하우징(1)에 거치 및 회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rotary shaft 102 can be mounted on the housing 1 by the support shaft 102c and turned.

지지축(102c)이 패드(102c)와 연결되는 경우(도 4의 (b)) 지지축(102c)의 종단은 패드(102b)에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패드(102b)의 내주연에도 나사산이 형성된다.When the support shaft 102c is connected to the pad 102c (Fig. 4 (b)), the end of the support shaft 102c is screwed to the pad 102b. In this case, a thread is also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pad 102b.

상기한 회전 밀대(102)가 나사 홀(105a)을 통해 하우징(1)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회전 밀대(10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전 밀대(102)는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 밀대(102)는 고정 전극(106)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ry shaft 102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state where the rotary shaft 102 is mounted on the housing 1 through the screw hole 105a, the rotary shaft 102 rotates in the direction D1 Or D2 direction. That is, the rotating bar 102 can advance or retract toward the fixed electrode 106. [

회전 밀대(102)의 종단인 패드(102b)는 유동 전극(107)과 이웃하게 위치하므로, 회전 밀대(102)가 D1 방향으로 전진하면, 이에 연동되어 배터리(5)를 D1 방향으로 밀어낸다. The pad 102b which is the end of the rotary shaft 102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flow electrode 107. When the rotary shaft 102 is advanced in the direction D1, the pad 102b is interlocked with the pad 102b and pushes the battery 5 in the direction D1.

따라서, 배터리(5)의 두 전극(+ 전극 또는 - 전극) 사이의 거리를 감소하고, 배터리는 고정 전극(106) 및 유동 전극(107)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positive electrode or nega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5 is reduced, and the batter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electrode 106 and the flowing electrode 107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반면, 배터리(5)를 수납 영역(101)에서 탈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회전 밀대(102)를 D2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회전 밀대(102)가 D2 방향으로 후퇴하면, 배터리(5)에 가해지는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하므로 배터리(5)가 수납 영역(101)에서 쉽게 탈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5 is to be detached from the storage area 101, the user retracts the rotating bar 102 in the direction D2. When the rotating bar 102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D2, the tension of the spring applied to the battery 5 is reduced, so that the battery 5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receiving area 101. [

도 5는 배터리 커버(200)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5 show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battery cover 200. Fig.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배터리(5) 교체 후, 배터리 커버(200)를 하우징(1)에 체결하여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200)는 일 측에 체결 홀(202)이 형성되고, 체결 홀(202)은 볼트(bolt)에 의해 하우징(1) 측 홀(204)에 나사 결합되어 배터리 커버(200)를 하우징(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된 배터리 커버(200)는 일 예일 뿐이며, 굳이 나사체결 방식에 의하지 않고도 다양한 방식으로 배터리 커버를 구현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이 예시된 배터리 커버(200)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Referring to FIG. 5, after replacing the battery 5, the user can use the product by fastening the battery cover 200 to the housing 1. The battery cover 20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202 at one side thereof and the fastening hole 202 is screwed to the hole 204 at the housing 1 side by a bolt, (1).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illustrated battery cover 200 is only an example, and the battery cover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ending on the screw fastening metho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illustrated battery cover 200 .

도 6은 유동 전극의 일 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flow electrode.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극(107)은 전극판(107c)이 전극 지지부(107a)에 의해 고정되고, 전극판(107d)이 전극 지지부(107b)에 의해 고정된다. 6, in the flow electrode 10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ode plate 107c is fixed by the electrode support 107a, and the electrode plate 107d is fixed by the electrode support 107b.

전극판(107c)에는 판상의 전극(107c1)과 스프링 형상의 전극(107c2)이 마련되며, 전극(107c1)은 건전지(5)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전극(107c2)은 건전지(5)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The electrode 107c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electrode 107c1 and a spring-shaped electrode 107c2. The electrode 107c1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5, It is possible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egative (-) pole of the battery 5.

마찬가지로, 전극(107d2)은 건전지(5)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전극(107d1)은 건전지(5)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Likewise, the electrode 107d2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sitive (+) pole of the battery 5 and the electrode 107d1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negative (-) pole of the battery 5. [

두 전극판(107c, 107d)은 비 전도성 재질(예컨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극 지지부(107a, 107b)에 의해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전극 지지부(107a, 107b)는 단일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며, 회전 밀대(102)에 의한 푸시(Push) 압력이 제거되면 전극을 형성하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유동 전극(107)은 회전 밀대(10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two electrode plates 107c and 107d are fitted and fixed by electrode supporting portions 107a and 107b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e.g., plastic material). The electrode supporting portions 107a and 107b are integrally formed of a single material and when the pushing pressure by the rotating bar 102 is removed, the flow electrode 107 is rotat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forming the electrode, 102).

한편, 도 6을 통해 설명된 유동 전극(107)은 고정 전극(106)과 그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고정 전극(106)은 유동 전극(107) 대비 건전지(5)의 배치 방향에 역순이므로, 전극의 상대적 높이 관계가 유동 전극(107)과 반대인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the flow electrode 107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xed electrode 106. However, since the fixed electrode 106 is in an inverted order with respect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5 with respect to the flow electrode 107, the relative height relationship of the electrode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low electrode 107.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가 실제 제품에 적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하우징(1)의 내부 일 영역에 구현된다. When the battery holder,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batter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s applied to an actual product, it is implemented in one area of the interior of the product housing 1 as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밀대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8의 d5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건전지 홀더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nger, FIG. 10 is a cross-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holder cover.

도 8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그 형상이 유사하되, 다만 밀대(202)의 구조와 밀대를 고정하는 방식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그 형상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참조부호를 인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embodiment of FIG. 8 is similar in shape to the embodiment of FIGS. 1-7 except that the structure of the plunger 202 and the manner of securing the plunger are different.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7 are referred to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사용자가 밀대(202)를 D1 방향으로 움직일 때, 유동 전극(207)이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밀려 건전지(5)의 전극과 전기적인 접촉을 이루고, 사용자가 밀대(202)의 고정장치를 풀어주면, 유동 전극(207) 및 고정 전극(206) 측에 마련되는 스프링 형상의 전극이 갖는 탄성에 의해 회전 밀대(202)가 D2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유동 전극(207)과 고정 전극(206)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건전지(5)를 탈착하기 용이한 상태가 된다. Referring to FIGS. 8 to 11, when the user moves the plunger 202 in the direction D1, the battery holder is easily push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electrode 206, Shaped electrod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low electrode 207 and the fixed electrode 206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xation device of the pusher 202 by making a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movable electrode 5, The distance between the flow electrode 207 and the fixed electrode 206 becomes large as the pusher 202 is pushed in the direction D2 and the battery 5 becomes easy to be detached.

수납 영역(201)에는 가이드(203), 탈착 홈(208), 유동 전극(207) 및 고정 전극(206)이 배치된다. A guide 203, a removable groove 208, a flow electrode 207, and a fixed electrode 206 are disposed in the storage area 201.

여기서, 가이드(203)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된 제1실시예의 참조부호 103에 해당하고, 유동 전극(207)은 제1실시예의 참조부호 107에 해당하며, 고정 전극(206)은 제1실시예의 참조부호 106에 해당한다. 이들 구성에 대한 구조와 그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것을 준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guide 203 corresponds to reference numeral 103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flow electrode 207 corresponds to reference numeral 107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ixed electrode 206 corresponds to Which corresponds to reference numeral 106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tructure and description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9는 밀대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Figure 9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nger.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밀대(202)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02a)과 지지축(202c)으로 구성되거나,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202a), 지지축(202c) 및 패드(202b)로 구성될 수 있다. 9, the plunger 20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e pressure plate 202a and the support shaft 202c as shown in Fig. 9 (a), or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 (b) Similarly, it can be constituted by a pressure plate 202a, a support shaft 202c and a pad 202b.

도 9의 (a)는 사용자가 누름판(202a)을 누르면 그 힘이 지지축(202c)에 전달되고, 지지축(202c)이 유동 전극(207)을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밀고, 도 9의 (b)는 사용자가 누름판(202a)을 누르면 지지축(202c)을 통해 패드(202b)에 사용자가 가한 힘이 가해지며, 패드(202b)가 유동 전극(207)을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민다. 9A shows that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shaft 202c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late 202a and the support shaft 202c pushes the flow electrode 207 toward the fixed electrode 206, A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the pad 202b is applied to the pad 202b via the support shaft 202c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ure plate 202a and the pad 202b moves the flow electrode 207 toward the fixed electrode 206 .

여기서, 누름판(202a)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 편의를 위해 노브(knob)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Here, the presser plate 202a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may be realized as a knob for the sake of user's convenience.

지지축(202c)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통공에 의해 밀대(202)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가한 힘을 종단에 패드(202b)에 전달하거나 또는 유동 전극(207)에 직접 전달할 수 있한다. 유동 전극(207)에 전달된 사용자의 힘은 유동 전극(207)을 고정 전극(206) 방향으로 밀고, 이때, 수납 영역(201)에 수납된 건전지(5)는 압착된다.The support shaft 202c supports the plunger 202 by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and can transfer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the pad 202b at the end or directly to the flow electrode 207. [ The force of the user transmitted to the flow electrode 207 pushes the flow electrode 207 toward the fixed electrode 206. At this time, the battery 5 stored in the storage region 201 is compressed.

이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커버(400)를 닫으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에 형성되는 멈치(401)가 유동 전극(207) 또는 패드(202b)의 움직임을 폐쇄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cover 400 shown in Fig. 10 is closed, the stop 401 formed on the cover 400 closes the movement of the flow electrode 207 or the pad 202b as shown in Fig.

이후, 사용자는 커버(400)에 형성되는 체결 홀(402)과 하우징 측 체결 홀(403)을 볼트로 고정할 수 있다.Then, the user can fix the fastening hole 402 formed in the cover 400 and the fastening hole 403 in the housing with a bolt.

상기한 실시예는 건전지 수납영역(101)에 건전지(5)를 삽입 후, 커버(400)를 닫아 건전지(5)를 고정하고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battery 5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storage area 101, and then the cover 400 is closed to fix the battery 5.

커버(400)를 닫아 건전지(5)를 고정하는 방법에 더하여, 본 출원인은 커버(400)를 닫아 건전지(5)를 고정하는 절차를 생략하고 사용자가 하우징(1)을 일 방향으로 기울여서 건전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건전지(5)를 고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는 도 12 및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losing the cover 400 to fix the battery 5, the present applicant has omitted the procedure of closing the cover 400 to fix the battery 5, and the user tilted the housing 1 in one direction to remove the battery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user to fix the battery 5.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the subsequent figures.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동 전극과 막대 밀대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5는 막대 밀대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7과 도 1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제2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12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ttery holder that facilitates detachment of a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holder,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d and the guide shown in FIG. 13, FIG. 16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shown in FIG. 13, and FIG. 17 and 18 show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guide applicable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12를 살펴보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건전지(5)가 장착된 후, 아래의 각 호에 따른 과정을 통해 건전지를 장착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2, the battery holder,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ounts the battery through process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items after the battery 5 is mounted.

- 아 래 -- Down -

1) 버튼(510)을 "F" 방향으로 누른 후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1) Press the button 510 in the "F" direction and hold it.

2) R2 방향으로 하우징(1)을 기울인다.2) Tilt the housing 1 in the R2 direction.

1)과 2)의 과정을 통해 건전지(5)는 하우징(1)에 장착된다.1) and 2), the battery 5 is mounted on the housing 1.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사용자가 버튼(510)을 "F"방향으로 누를 때, 유동 전극(501a)이 D6 방향으로 이동하며, 유동 전극(501a)이 D6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건전지(5)를 고정전극(501b)에 밀착시킨다.When the user pushes the button 510 in the direction of "F ", the movable electrode 501a moves in the direction D6 and the movable electrode 501a moves in the direction D6 The battery 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xed electrode 501b.

하우징(1)에 장착된 건전지를 탈착할 때는, 하기의 각 호에 따른 절차에 따라 건전지(5)를 탈착한다.When detaching the battery mounted on the housing (1), remove the battery (5) according to the procedure given below.

- 하 기 -- doing -

3) 버튼을 "F"방향으로 누른 후, 누른 상태를 유지한다.3) Press the button in the "F" direction and hold it.

4) R1 방향으로 하우징을 기울인다.4) Tilt the housing in the R1 direction.

3)과 4)의 절차에 따라 건전지(5)를 고정 전극(501b)에 밀착했던 유동 전극(501a)은 D5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건전지(5)에 대한 밀착 상태를 해제하며, 사용자가 건전지(5)를 하우징(1)에서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flow electrode 501a which has adhered the dry cell 5 to the fixed electrode 501b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3) and 4) is retracted in the direction D5 to release the close contact with the battery 5,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housing (1).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holder shown in Fig. 12, which facilitates detachment of the battery.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버튼(510), 유동 전극(501a), 고정 전극(501b), 커버(502), 유동판(504),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서브 가이드(507, 508), 지지대(5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a battery holder that can easily be detached and attached to a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utton 510, a flow electrode 501a, a fixed electrode 501b, a cover 502, a flow plate 504, 503, a second guide 505, sub guides 507, 508, and a support base 509.

버튼(510)은 버튼 몸체(512), 버튼 헤드(511), 및 버튼 고정부(513)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유동 전극(501a)을 "F" 방향으로 푸시(Push)한다.The button 510 includes a button body 512, a button head 511 and a button fixing portion 513. The button 510 pushes the flow electrode 501a in the "F" direction when pressed by the user, do.

도 13의 실시예에서, 버튼(510)은 버튼 몸체(512), 버튼 헤드(511) 및 버튼 고정부(513)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버튼(510)은 버튼 몸체(512)와 버튼 헤드(511)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버튼 몸체(512)가 직접 유동 전극(501a)을 푸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3, the button 510 illustrates that it includes a button body 512, a button head 511, and a button fixing portion 513. However, the button 51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button body 512 and the button head 511. This means that the button body 512 can directly push the flow electrode 501a.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및 서브 가이드(507, 508)는 하우징(1)의 내측 일 면에 형성되며, 각각은 장 홈이 형성되어 돌기를 구비하는 유동판(504)과 암수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동판(504)은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및 서브 가이드(507, 508)에 형성되는 장홈을 따라 D5 방향 또는 D6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503, the second guide 505 and the sub-guides 507 and 508 are formed on the inner one surface of the housing 1, ). Accordingly, the flow plate 504 can flow in the D5 direction or the D6 direction along the grooves formed in the first guide 503, the second guide 505, and the sub guides 507 and 508.

커버(502)는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 및 서브 가이드(507, 508) 및 유동판(504)을 배터리(5)와 격리하며, 지지대(509)를 관통시키는 관통홀(503a)을 구비한다. 커버(502)는, 하우징(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유동판(504)과 건전지(5)를 분리하고, 유동판(504) 및 막대 밀대(504a)가 하우징(1)의 내측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억제할 수 있다. The cover 502 separates the first guide 503, the second guide 505 and the sub guides 507 and 508 and the flow plate 504 from the battery 5 and has a through hole (503a). The cover 502 separates the flow plate 504 and the battery 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 and separates the flow plate 504 and the bar 504a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 It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detached.

고정 전극(501b)은 건전지(5)의 전극과 접촉되나 고정된 것으로, 건전지(5)의 개수에 따라 양(+)전극과 음(-)전극이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유동 전극(501a)은 막대 밀대(504a)와 체결된다. 유동 전극(501a)과 지지대(509)와 체결 형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fixed electrode 501b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5 but is fixed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batteries 5. The flow electrode 501a is fastened to the rod 504a. The shape of fastening with the flow electrode 501a and the support base 50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유동 전극과 막대 밀대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동 전극(501a)은 지지대(509)가 마주하는 면에 지지대(509)와 결합하기 위한 지지 홈(501a)을 구비한다.Fig. 14 show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electrode and the rod shown in Fig. 13; Referring to Fig. 14, the flow electrode 501a has a support groove 501a for engaging with the support 509 on the side where the support 509 faces.

지지대(509)는 지지 홈(501a)에 삽입 및 고정되며, 버튼(510)에 "F" 방향 힘이 가해지면 버튼(510) - 유동 전극(501a) - 지지대(509)의 순서로 힘이 가해진다. 이때, 지지대(509)는 D6 방향으로 이동하며, 지지대(509)와 연결되는 유동판(504)또한 D6 방향으로 전진하여 배터리(5)를 고정 전극(501b) 방향으로 밀착한다.The support base 509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groove 501a and the force 510 is applied to the button 510 in the order of the button 510 and the flow electrode 501a and the support 509, All. At this time, the support table 509 moves in the direction D6, and the flow plate 504 connected to the support table 509 also advances in the direction D6 to closely contact the battery 5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electrode 501b.

도 15는 막대 밀대와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15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d and guide.

도 15를 참조하면, 유동판(504)에서 연장 형성되는 막대 밀대(504a)는 제1가이드(503)과 제2가이드(505)에 안착하기 위한 제1돌기(504c)와 제2돌기(504b)를 구비한다. 제1돌기(504c)는 제1가이드(503)에 형성되는 장홈(503a)에서 유동하고, 제2돌기(504b)는 제2가이드(505)에 형성되는 장홈(505a)에서 유동한다. 15, the rod 504a extending from the flow plate 504 includes a first protrusion 504c and a second protrusion 504b for seating the first guide 503 and the second guide 505, . The first projection 504c flows in the groove 503a formed in the first guide 503 and the second projection 504b flows in the groove 505a formed in the second guide 505. [

제2가이드(505)의 장홈(505a)은 제1가이드(503)의 장홈(503a)과는 달리 곡률반경을 가지고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일측 종단에는 걸림 홈(505b)이 형성된다. 걸림 홈(505b)은, The grooves 505a of the second guide 505 have a radius of curvature different from the grooves 503a of the first guide 503 and are formed into a semicircular shape and have hooking grooves 505b at one end thereof. The latching groove 505b,

5) 사용자가 버튼(510)에 가하는 F 방향 힘에 의해 유동판(504)이 이동하고,5) The flow plate 504 is moved by the F direction force applied by the user to the button 510,

6) 유동판(504)과 연결된 막대 밀대(504a)가 장홈(505a)을 따라 이동하며, 6) The rod 504a connected to the flow plate 504 moves along the grooves 505a,

7) 사용자가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을 R2 방향으로 기울여두면 걸림 홈(505b)에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에 안착된다.7) When the user tilts the housing 1 shown in Fig. 12 in the R2 direction, the second projection 504b is seated in the engagement groove 505b in the engagement groove 505b.

여기서, 사용자는 버튼(510)에 힘을 가할 때, 또는 가한 직후 하우징(1)을 R2 방향으로 기울여서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에 안착시킬 수 있다.Here, the user can place the second projection 504b in the engagement groove 505b by tilting the housing 1 in the R2 direction immediately after or immediately after applying the force to the button 510. [

5) 내지 7)의 과정에 따라 막대 밀대(504a)가 걸림 홈(505b)에 안착된 후, 걸림 홈(505b)에 안착된 막대 밀대(504a)를 걸림 해제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을 기울여야 한다. 이는 아래의 표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rod 1 is tilted in order to unlock the rod 504a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505b after the rod 504a is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505b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FIGS. .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은 하우징(1)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막대 밀대(504a)와 걸림 홈(505b)의 체결 및 체결 해제 방식을 나타낸다.Table 1 shows how the rod 504a and the engagement groove 505b are fastened and unfaste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1 is tilted.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하우징(1)을 어느 방향으로 기울이느냐에 따라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에 체결되는지, 또는 체결 해제되는지가 결정된다. 이때, 제2돌기(504b)를 걸림 홈(505b)에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 하기 위해서는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 부근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버튼(510)을 눌러, 제2돌기(504b)가 걸림 홈(505b) 부근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를 참조하여 표 1을 설명하면,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ond protrusion 504b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505b or releas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1 is tilted. At this time, in order to fasten or unfasten the second projection 504b to or from the catching groove 505b, the second projection 504b should be positioned near the catching groove 505b. To do this, the user presses the button 510 to cause the second projection 504b to be positioned near the engagement groove 505b. Referring to Table 1,

먼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중심선(Rf)을 기준으로 R1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2돌기(504b)는 Fs 방향으로 치우치며, 이때, 제2돌기(504b)는 걸림 홈(505b)에서 이탈된다.First, as shown in Table 1, the second projection 504b is inclined in the Fs direction when the first projection 504b is tilted in the R1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Rf of the housing 1. At this time, (505b).

다음으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중심선(Rf)을 기준으로 R2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2돌기(504b)는 Fb 방향으로 치우치며, 이때, 제2돌기(504b)는 걸림 홈(505b)에 안착된다.Next,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second projection 504b is tilted in the R2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Rf of the housing 1, the second projection 504b deviates in the Fb direction, And is seated in the latching groove 505b.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가이드의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16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shown in Fig.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는 6개의 돌기(504b 내지 504g)를 구비하는 유동판(504)과, 제1가이드(503), 제2가이드(505)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서브 가이드(507, 50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battery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ttery plate 504 having six protrusions 504b to 504g, a first guide 503, a second guide 505, And a pair of sub-guides 507 and 508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제1가이드(503)와 제2가이드(505)의 구조는 도 16을 통해 설명되었는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서브 가이드(507, 508)는 제1가이드(503)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며 제1가이드(503)와 평행을 이룬다. 유동판(504)에 형성되는 돌기(504b 내지 504g)의 수를 늘리고, 제1가이드(503)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제1가이드(503) 및 제2가이드(505)에서 유동판(504)이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guide 503 and the second guide 505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sub guides 507 and 508 are symmetrical about the first guide 503 and are parallel to the first guide 503.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504b to 504g formed on the flow plate 504 is increased and the first guide 503 and the second guide 505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503, ) Can flow stably.

도 17과 도 18은 본 실시예에 적용 가능한 제2가이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도시한다.17 and 18 show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guide applicable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도 17에 따른 제2가이드(602-1)는 유도 홈(602b)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며, 유도 홈(602b)의 단면이 삼각형을 이룰 때, 유도 홈(602b)을 따라 유동하는 돌기(605b)는 유도 홈(602b)의 시작점(P1)에서 변곡점(P2)을 경유하여 진행 방향이 바뀌면서 종점(P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605b)와 연결되는 막대 밀대(605-1) 또한 돌기(605b)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유도 홈(602b)을 유동한다. First, the second guide 602-1 according to FIG. 17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groove 602b is triangular and the guide groove 602b flows along the guide groove 602b when the cross- The protrusion 605b can be moved to the end point P3 while the advancing direction is changed via the inflection point P2 at the starting point P1 of the guide groove 602b. Accordingly, the rod 605-1 connected to the projection 605b also flows in the guide groove 602b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605b.

다음으로, 도 18에 따른 제2가이드(602-2)는 유도 홈(602c)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며, 유도 홈(602c)의 단면이 사각형을 이룰 때, 유도 홈(602c)을 따라 유동하는 돌기(605b)는 유도 홈(602c)의 시작점(P1)에서 변곡점(P2)을 경유하여 진행 방향이 바뀌면서 종점(P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기(605b)와 연결되는 막대 밀대(605-2) 또한 돌기(605b)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유도 홈(602c)을 유동한다. Next, the second guide 602-2 according to Fig. 18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groove 602c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When the cross-section of the guide groove 602c has a quadrangular shape, The protrusion 605b can be moved to the end point P3 while the advancing direction is changed via the inflection point P2 at the starting point P1 of the guide groove 602c. Accordingly, the rod 605-2 connected to the projection 605b also flows in the guide groove 602c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605b.

도 17과 도 18에서는 제2가이드(602-1, 602-2)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제2가이드(602-1, 602-2)의 단면 형상은 오각형, 육각형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한정하지는 않는다.In Figs. 17 and 18,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second guides 602-1 and 602-2 are triangular or quadrilateral.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ectional shapes of the second guides 602-1 and 602-2 may be pentagonal, hexagonal or more polygonal. However, it is not limited.

101 : 수납 영역 102 : 회전 밀대
103 : 가이드 105 : 회전 밀대 지지부
106 : 고정 전극 107 : 유동 전극
101: storage area 102:
103: guide 105: pivot support
106: fixed electrode 107: floating electrode

Claims (9)

건전지 수납 영역 및 나사 홀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대의 종단에 회전판이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유동 전극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회전 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A battery housing area, and a screw hole,
A flow electrode and a fixed electrod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And a rotating bar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a rotating plate to an end of a supporting base on which a screw thread is formed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flowing electrode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극이 상기 수납 영역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납 영역의 테두리에서 상기 수납 영역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accommodating area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area so that the flow electrode is not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area.
건전지 수납 영역을 구비하는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수납 영역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멈치를 일측 종단에 구비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유동 전극과 고정 전극; 및
지지축의 일측에 판상의 누름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연에 노출되며, 상기 지지축의 타측은 상기 유동 전극에 이웃하는 밀대;를 포함하고, 상기 멈치는,
상기 밀대에 의해 상기 유동 전극이 상기 고정 전극 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유동 전극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착탈이 용이한 건전지 홀더.
A battery housing area,
A cover provided at one end thereof with a stop protruding toward the storage area;
A flow electrode and a fixed electrod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Wherein a plate-shaped pressure plate is exten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shaft, the pressure plate is expos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shaft is adjacent to the flow electrode,
And wherein the flow restricts the flow of the flow electrode when the flow electrode advances toward the fixed electrode by the push rod and the cover is clo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극이 상기 수납 영역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납 영역의 테두리에서 상기 수납 영역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The method of claim 3,
And a guide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accommodating area toward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area so that the flow electrode is not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ng area.
건전지 수납 영역 및 통공을 구비하는 하우징의 내측면 일 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 설치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의해 배터리의 전극을 향해 이동하는 유동 전극;
장홈을 구비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시점과 종점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갖는 유도 홈을 따라 형성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동판 가이드; 및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1돌기와 제2돌기가 상기 유동판 가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각각은 상기 장홈과 상기 유도 홈에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동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가이드 홈의 일 측 종단에서 상기 제1가이드를 향하는 걸림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A battery storage area and a through hole;
A button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 flow electrode that moves toward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by the button;
A first guide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guide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the second guide having a flow forming a flow path formed along an induction groove having at least one inflection point between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Plate guides; And
And a flow plate that protrudes toward the flow plate guide and has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to be able to flow in the groove and the guide groove,
And a latching groove which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 groove toward the first gu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와 평행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제3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t least one third guid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parallel to the first gu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은,
판 형상의 프레임 형상이며, 상기 제1가이드, 상기 제2가이드 및 상기 제3가이드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low plate
Wherein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guide, the second guide and the third gu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은,
상기 유동 전극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전극은, 상기 지지대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지지대 수납을 위한 지지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low plate
And a support protruding toward the flow electrode,
Wherein the flow electrode further comprises a support groove for receiving the support on a surface facing the suppo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을 상기 배터리와 격리하고, 상기 지지대를 관통시키는 관통 홀을 구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홀더.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over having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flow plate to the battery and penetrating the support member.
KR1020180054859A 2018-05-14 2018-05-14 Battery holder KR102107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59A KR102107717B1 (en) 2018-05-14 2018-05-14 Battery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859A KR102107717B1 (en) 2018-05-14 2018-05-14 Battery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79A true KR20180058679A (en) 2018-06-01
KR102107717B1 KR102107717B1 (en) 2020-05-07

Family

ID=6263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859A KR102107717B1 (en) 2018-05-14 2018-05-14 Battery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135B1 (en) 2020-02-06 2020-08-10 김동혁 battery holder
WO2022124650A1 (en) * 2020-12-07 2022-06-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power system and vehicle
WO2023132616A1 (en)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assembly using rotating han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9673A1 (en) * 2022-09-14 2024-03-15 Safran Aircraft Engines Battery pack to power a telemetr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999A (en) * 1994-10-28 1996-05-21 Nec Corp Battery installing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JPH1027592A (en) * 1996-07-12 1998-01-27 Saitama Nippon Denki Kk Battery pack holding and mounting/de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telephone
KR200249306Y1 (en) * 2001-05-28 2001-11-16 현 우 조 Hand check device for a blind person
JP2007324032A (en) * 2006-06-02 2007-12-13 Nec Network & Sensor Systems Ltd Battery housing case
KR20090042591A (en) * 2007-10-26 2009-04-30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Battery lock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and electronic appliance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999A (en) * 1994-10-28 1996-05-21 Nec Corp Battery installing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JPH1027592A (en) * 1996-07-12 1998-01-27 Saitama Nippon Denki Kk Battery pack holding and mounting/demounting structure for portable telephone
KR200249306Y1 (en) * 2001-05-28 2001-11-16 현 우 조 Hand check device for a blind person
JP2007324032A (en) * 2006-06-02 2007-12-13 Nec Network & Sensor Systems Ltd Battery housing case
KR20090042591A (en) * 2007-10-26 2009-04-30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Battery lock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and electronic appliances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135B1 (en) 2020-02-06 2020-08-10 김동혁 battery holder
WO2022124650A1 (en) * 2020-12-07 2022-06-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power system and vehicle
WO2023132616A1 (en) * 2022-01-04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assembly using rotating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17B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8679A (en) Battery holder
US3348116A (en) Electric knife storage case and battery charger
US4737420A (en) Device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s of dry cells therein
US9482423B2 (en) Device for securing a source of LED light to a heat sink surface
US910530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electronic module
US9083038B2 (en) Battery cell terminal quick connect clamp with connecting tab
US20060232239A1 (en) Flashlight charger with an improved contact
US3864172A (en) Battery connecting assembly
US20040027290A1 (en) Microwave antenna with patch mounting device
US11309611B2 (en) Battery mounting unit, electric device, and power supply unit
US2692944A (en) Battery mounting means
KR10192693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 battery enclosure
US3293528A (en) Holder for battery-operated driving unit
JPWO2018190435A1 (en) Storage battery module and storage battery unit
US6374496B1 (en) Structure art design knife
US11478891B2 (en) Knife sharpening device
US9520582B2 (en) Battery holder and mobile illumination device using same
CN215488657U (en) Clamping assembly and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mobile equipment
US20210114859A1 (en)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manual liquid supply device into automatic liquid supply device, and attaching plate provided to conversion device
CN110268189A (en) Holder handle and hand-held cradle head mechanism
US791647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electable battery connection structure
JP2018181640A (en) Storage battery unit
JP3218165B2 (en) Battery holder with insert pin
CN217429837U (en) Electric cooking pan
US20050264258A1 (en) Battery extens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