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896A -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896A
KR20180057896A KR1020160156326A KR20160156326A KR20180057896A KR 20180057896 A KR20180057896 A KR 20180057896A KR 1020160156326 A KR1020160156326 A KR 1020160156326A KR 20160156326 A KR20160156326 A KR 20160156326A KR 20180057896 A KR20180057896 A KR 20180057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node
demodulation reference
information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8550B1 (en
Inventor
고학림
조용호
임태호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550B1/en
Publication of KR20180057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2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earth or a large mass of water thereon, e.g. earth telegraph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erence signal device for downlink demodulation in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a method thereof. The reference signal device has an effect of enhancing reception performance between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nd a central node by variably controlling an insertion interval of a 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within a carrier wave and effectively adjust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ed according to a field situation when an appropriat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and the central node and underwater information communication is performed.

Description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for a submersibl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수중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통신에서 복조를 위한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modulating underwater communication.

최근 해양 자원 탐사, 해양 환경 감시, 수중 군사 방어 등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해양에서 다양한 수중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중 통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수중 통신은 매체의 특성상 초음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수중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망은 수중환경에 수중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노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수중정보를 취득하고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As interest and importance of marine resource exploration,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underwater military defense have increased, demand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that can collect various underwater information in the ocean is increasing.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ultrasonic wav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The communication network for underwater information transmission includes a sensor nod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underwater information to an underwater environment, and acquires and controls underwater information from the sensor node.

상기 수중 통신망은 초음파를 이용한 수중 통신 환경 때문에, 육상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대역폭이 작고, 거리에 대한 신호감쇠도 매우 크다. 즉, 수중 통신망에 이용되어지는 주파수는, 수 km에서 수십 km까지의 거리에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Due to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using the ultrasonic wave,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has a smaller signal bandwidth to be transmitted and a greater signal attenuation to the distance than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That is, the frequency used for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s very limited in order to perform reliable communication at a distance of several kilometers to several tens of kilometers.

더구나 수중 통신망을 이용한 수중 정보 취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면, 수중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센서노드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중 통신망에서는 수중채널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의 제한 때문에, 복수개의 센서노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였다.Furthermore, as the demand for underwater information acquisition using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ncreases, the number of sensor nodes performing communication in the water increase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t is impossible to efficiently control a plurality of sensor nodes because of the frequency limitation in the underwater channel environment.

즉, 종래의 수중 통신망에서 하나의 주파수만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하나의 센서노드에 해당 주파수가 할당되면, 그 이외의 모든 센서노드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었다.That is,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only one frequency in the convention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is allocated to one sensor node, all other sensor nodes can not transmit / receive signals.

또한, 종래의 수중 통신망에서 복수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수중에서 통신을 원하는 센서 노드의 수가 할당된 주파수보다 많으면, 할당된 주파수를 초과하는 수 만큼의 수중 센서 노드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었다. 더욱이 이 경우 모든 센서 노드는 주변의 센서 노드가 어떠한 주파수를 할당 받아 사용하고 있는지를 계속 점검해야 하기 때문에, 수중에서 배터리의 소모량이 크게 증가하여 수중 센서 노드의 운용 기간이 크게 감소한다.In addition, when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frequencies in a convention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f the number of sensor nodes desired to communicate in the water is greater than the assigned frequency, the number of sensor nodes in the water, I could not. In this case, all the sensor nodes must continuously check what frequency the sensor nodes are using, so that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in the water greatly increases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sensor node in the water is greatly reduced.

따라서 종래의 수중 통신망에서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여, 통신 가능한 센서 노드수를 제한시켰다. 더구나 해양정보에 대한 다양한 수요 증가로 센서노드 수 증가가 불가피하게 되고 있고, 여러가지 부분에서 수중 통신망의 효율적인 제어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a plurality of sensor nodes can not be efficiently managed, thereby limiting the number of communicable sensor nodes. In addition, due to various demands for marine information, the number of sensor nodes is inevitably increased, and efficient contro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s is further required in various areas.

또한, 수중 통신은 육상 통신에 비해서 신호 전송이 매우 불안정하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일 예로 조류, 파도 등에 의해 발생한 도플러(Doppler) 주파수 때문에 시간축에서 영향을 받는다. 또한 해수면, 해저면, 지형 등에 의한 다양한 다중 경로 때문에 주파수축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음파의 속도가 해저깊이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 역시 수중 통신에 영향을 준다. 또한 염도나 해수온도, 계절이나 시간 등의 요인들도 수중통신에 영향을 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서 수중통신이 불안정하고, 이러한 불안정함은 실제 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복조성능을 저하시킨다. In additio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is very unstable in signal transmission compared to the land communication.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one example is affected by the time base due to the Doppler frequency caused by algae, waves, and the like. In addition, due to various multipaths due to sea level, sea floor, topography, etc., the frequency axis can be influenced. Also, the phenomenon that the velocity of sound wave varies with the depth of the sea also affects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In addition, factors such as salinity, seawater temperature, season and time also affect underwater communication. Underwater communication is unstable due to various factors, and such instability degrades the demodulation performance of receiving and demodulating actual signal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통신에서 복조를 위한 복조 기준신호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provide variou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demodulation in underwater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통신망에서 제한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복조를 위한 복조 기준신호를 현장상황에 맞게 가변적으로 조절해서 전송 가능한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capable of variably controll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demodulation in accordance with a field situation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limited frequency in an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 통신망의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을 더 작은 복수개의 대역폭으로 분할하고, 유사한 통신 거리에 있는 복수개의 센서노드에 같은 주파수를 할당해서 많은 수의 센서노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수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복조를 위한 복조 기준신호를 현장상황에 맞게 가변적으로 조절해서 전송 가능한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limited frequency bandwidth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nto a plurality of smaller bandwidths and allocate the same frequency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in a similar communication distance to perform efficient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And to provide a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variably controll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demodulation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은,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로부터 검출정보를 취합해서 지상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앙노드를 이용한 수중 통신에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of a submersible communication, the method including: receiving a detec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at detect underwat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formation to a terrestrial network; In underwater communication,

상기 중앙노드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앙노드와 복수개의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해서 상기 분할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센서노드에 할당해서 수중통신을 수행하고,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is divided into small frequency bands,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

상기 각각 할당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using the allocated small frequency bands, channel estimation to be carried on a carri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transmission of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ata demodulation Is variably controll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은,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로부터 검출정보를 취합해서 지상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앙노드를 이용한 수중 통신에서,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in an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central node for collect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for detecting underwater information,

상기 중앙노드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앙노드와 복수개의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해서 상기 분할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센서노드에 할당해서 수중통신을 수행하고,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is divided into small frequency bands,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

상기 각각 할당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테스트신호를 통해서 얻어진 수중 특성에 대한 값을 이용하여,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carrying out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using the respective allocated small frequency bands, channel estimation and data to be transmitted on a carrier using data on the underwater characteristic obtained through a test sign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modulation is variably controlled.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복조 기준신호는, 삽입 횟수, 삽입 간격, 삽입 종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ably controls the number of insertions, the insertion interval, and the insertion typ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복조 기준신호는, 자원 블록 내의 주파수 차원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y adjusted in the frequency dimension in the resource block.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복조 기준신호는, 자원 블록 내의 시간 차원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y adjusted in a time dimension in a resource bloc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전송장치는,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로부터 검출정보를 취합해서 지상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앙노드를 이용한 수중 통신에서,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central node for collecting detec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for detecting underwater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terrestrial network,

상기 중앙노드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앙노드와 복수개의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해서 상기 분할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센서노드에 할당해서 수중통신을 수행하고,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is divided into small frequency bands,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

상기 각각 할당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carrying out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using the respective allocated small frequency bands, it is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insertion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channel estimation and data demodulation,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는,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행할 때, 송신측으로 동작하는 노드가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수신측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측으로 동작하는 노드는 상기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인지한 후, 송신측과 수신측 노드 사이에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a node operating on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node , The node operating on the receiving side recognize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nod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는,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행할 때, 수신측으로 동작하는 노드가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송신측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 송신측 노드는 수신된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에 기초해서 수신측 노드로 복조 기준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the node operating on the receiving side transmi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o the transmitting node , And the transmitting node then transmi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the receiving node based on the receiv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는, 상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는, 상기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 조절되는 자원 블록 내의 주파수 차원 또는 시간 차원의 해당 인덱스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with corresponding index information of a frequency dimension or a time dimension in a resource block which is variably controlled 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는, 상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는, 물리 계층 또는 MAC 계층에서 전송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physical layer or a MAC layer.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는, 미리 결정된 여러개의 기준신호 삽입 예시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측과 수신측이 모두 확인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예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the above-mentioned examples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insertion examples can be confirmed by both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전송방법은, 수중정보를 검출, 취합하기 위하여 수중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수신신호의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저장하는 단계;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modulating a received signal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Setting and storing various insertion methods;

상기 저장된 다수의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 중에서 하나의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Selecting on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s;

상기 송신측과 수신측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와 상기 선택된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the selec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on method in an initial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선택된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을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인지하는 단계; 및 Receiving the information, decoding it using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recognizing the selec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 on both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And

상기 인지된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을 이용하여 수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transmitt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using the perceiv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은, 중앙노드(20)와 복수개의 센서노드(10)의 거리정보에 따라 적정한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져서 수중 정보 통신이 수행될 때,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되, 현장상황에 따라서 삽입되는 복조 기준신호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복수개의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 사이의 수신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proper frequency band is allocated according to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 central node 20 and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he receptio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nd the center node 20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insertion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transmitted in a variable mann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및 방법은, 한정되어진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중앙노드(20)의 다중 접속 방식의 제어로 복수개의 센서노드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수중 통신을 수행하되, 현장상황에 따라서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중 채널 추정 및 수신기의 복조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 The underwater channel estimation and the demodulation performance of the receiver can be improved by controlling the insertion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on the carrier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한 수중 통신에 이용되어지는 일반적인 수중 통신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현된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수중 통신을 위하여 주파수 대역을 분할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통신거리에 따라서 복수의 센서노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을 전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센서노드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중앙노드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수중 통신에서 복조 기준신호가 삽입되는 반송파의 자원 블록을 나타나는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수중 통신에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송신측과 수신측의 관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수중 통신에서 송신측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수중 통신에서 수신측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수중 통신에서 복조 기준신호 생성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수중 통신에서 복조 기준신호 제어를 위한 동작 과정도이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복수개의 복조 기준신호가 사용될 때의 반송파의 자원 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used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show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ed to explain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 frequency band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wid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llocating the same frequency ban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distance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wid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 node for explaining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entral node for explaining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 to 15 illustrate examples of a resource block of a carrier wave to which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insert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8 are diagrams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for explaining a process of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er side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ion unit in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demodulating reference signal control in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to 27 are illustrations showing resource blocks of a carrier wave when a plurality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u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와"노드", '축' 과 '차원'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part " and" node ", " axis ", and " dimension "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to b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도시하고 있는 수중 통신에 이용되어지는 일반적인 수중 통신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used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show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수중 통신망은, 복수개의 센서노드(1)와, 싱크노드(5), 그리고 상기 센서노드(1)와 싱크노드(5) 사이의 정보 전달 역할을 수행하는 중간노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 a sink node 5 and an intermediate node 3 serving as an information transferring function between the sensor node 1 and the sink node 5,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중 통신망에서 수중 정보의 전송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센서노드(1) 중에서 검출한 수중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센서 노드(1)가 여러 단계로 구성되고 있는 중간노드(3)를 통해서 싱크노드(5)로 수중정보를 전송한다. The transmission of underwater information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as follows. The sensor node 1 to transmit the detected underwater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 transmits underwater information to the sink node 5 through the intermediate node 3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중 통신망은, 센서노드(1)에서 싱크노드(5)까지 검출한 수중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여러단계의 중간노드(3)를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센서노드(1)와 여러 단계의 중간노드(3) 그리고 싱크노드(5)까지 연결되는 수중 통신망에서, 검출한 수중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라우팅 알고리즘이 복잡하게 구현되어진다.However,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in this way must pass through the intermediate nodes 3 at various stages in transmitt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ensor node 1 to the sink node 5. Therefore, the routing algorithm for transmitting the detected underwater information is complicatedly implement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1, the intermediate node 3 and the sink node 5 at various stages.

또한 상기 수중 통신망은, 센서노드(1)에서 싱크노드(5)까지 수중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전송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 검출한 수중정보의 재전송을 위한 과정이 번거롭다. Also, if a transmission error occurs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from the sensor node 1 to the sink node 5, the above-mentioned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s troublesome for retransmission of the detected underwater information.

또한, 상기 수중 통신망은 여러단계의 중간노드(3)를 거쳐야만 하는 문제 때문에, 수중 정보를 전달하는 중간노드에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가 발생된 중간노드와 관련된 센서노드의 사용이 안된다.In addition, if the problem occurs in the intermediate node for transmitt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due to the problem that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must pass through the intermediate nodes 3 at various stages, the sensor node related to the intermediate node in which the problem occurs should not be used.

이러한 부분들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수중 통신망은 다양한 수중정보를 취득, 전달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을 비롯한 장비의 이용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점들을 개선해서 본 발명은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을 구현하고자 한다.Because of these parts, the general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shown in FIG. 1 is inevitably deteriorated in efficiency of use of equipment including data transmission efficiency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nd transmitting various underwater information. By improving these points,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realize a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주파수 대역" 그리고 "주파수"가 혼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주파수"는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있는 주파수를 지칭하고 있고, 주파수는 그 주파수의 일정 범위 안에 포함되는 주파수에는 거의 같은 신호가 실리므로, 상기 두 단어가 같은 의미로 표현 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requency band" and "frequency" may be used in combination. Since the "frequency" refers to a frequency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and the frequency is substantially the same for frequencies included in a certain range of the frequency, the two words can be expressed in the same mean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구현된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ed to explain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은, 수중 환경에서 중앙 집중형으로 센서노드들을 연결하여 구성되어진다. The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connecting sensor nodes in a centralized manner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상기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은,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1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노드(10)는, 수중환경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진다. 상기 센서노드(10)는, 많은 수중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 가능한 많이 설치되어진다. The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node 10. The sensor node 10 is installed so as to be fixed or movable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The sensor node 10 is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acquire a large amount of underwater information.

상기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은, 상기 복수개의 센서노드(10)에서 취득한 수중 정보를 취합하는 중앙노드(2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노드(20)는, 복수개의 센서노드(10)에서 취합한 수중정보를 지상 네트워크(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central node (20) for collecting underwater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he central node 20 functions to transmit the underwa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o a ground network (not shown).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중앙 제어형 수중 통신망은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어 되어진다.The central control typ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ntirely controlled as follow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중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한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일정갯수의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viding a certain number of small frequency bands into a limited frequency band in order to control underwat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중앙노드(20)와 복수개의 센서노드(1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수중 통신은 기본적으로 초음파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중앙노드(20)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순방향 주파수 대역과 역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중앙노드(20)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이라 함은, 중앙노드(20)와 각기 다른 거리에 설치되고 있는 센서노드(10) 사이에서 수중 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포함되어지는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즉, 중앙노드(20)에서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센서노드(10)로 신호 전송이 가능하고, 센서노드(10)에서 전송한 신호를 중앙노드(20)에서 수신 가능하도록 이용되어지는 주파수 대역을 표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is basically performed by ultrasonic waves. And divides the entire available frequency band of the central node 20 into a forward frequency band and a reverse frequency band. Here,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the central node 20 can use is a frequency band included in a region where underwater communication is possible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installed at different distances. That i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ignal to the sensor node 10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central node 20 and to transmi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10 to the central node 20 in a frequency band Express.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은, 중앙노드(20)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중앙노드(20)가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f0)으로 설정한다.The forward frequency band is used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central node 20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he frequency band used at this time is set to the lowest frequency band (f0) among the usable frequency bands of the central node 20. [

통상적으로 수중 통신 환경에서는 송수신되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통신범위가 증가한다. 따라서 중앙노드(20)에서 센서노드(10)로 신호 전송시에는 거리에 관계없이 모든 센서노드에서 신호 수신이 가능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가장 낮은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대역(f0)이 순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되어서, 중앙노드(20)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로 신호 전송시에 이용되어진다.Generally,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communication range increases as the frequency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comes lower. Therefore,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node 20 to the sensor node 10, it must be possible to receive signals from all the sensor nodes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erefore, the frequency band f0 having the lowest frequency is determined as the forward frequency band, and is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o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t the central node 20. [

그리고 역방향 주파수 대역은, 각각의 복수개의 센서노드(10)에서 중앙노드(20)로 신호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 중에서,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 전체가 역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어진다. And the reverse frequency band is used to perform signal transmission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o the central node 20. [ Among all the available frequency bands, all the remaining frequency bands except for the forward frequency band are included in the reverse frequency band.

그리고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은, 다시 복수개의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어진다. 이때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은, 중앙노드를 기준으로 센서노드와의 거리 사이에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센서노드를 같은 영역으로 묶고, 상기 분할된 영역 수 만큼 작은 주파수 대역 수(후술되는 영역 M 개)로 분할한다. The reverse frequency band is further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frequency bands. At this time, the division into small frequency bands is performed by grouping the sensor nod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e same frequency band between the distances from the sensor node and the center node to the same region, M).

그리고 각각 분할되어진 작은 주파수 대역이 각기 다른 위치에 설치된 센서노드(10)의 신호전송에 이용되어지도록 할당된다. 예를 들면, 중앙노드(20)와 가장 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노드(10)에 주파수 대역 (f1)이 할당된다. 그리고 중앙노드(2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노드(10)에 주파수 대역(fM)이 할당된다.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be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of the sensor node 10 installed at different positions.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f1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located at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central node 20. And a frequency band fM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located closest to the central node 20. [

이 경우 상기 중앙노드(20)를 기준으로 해서, 가장 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노드(10)일수록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진다. 반대로 상기 중앙노드(20)를 기준으로 해서 가장 가까운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센서노드(10)에게 역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진다. 이는 앞서도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중 통신 환경에서는 송수신되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통신범위가 증가하기 때문에, 낮은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f1)가 가장 장거리 통신용 주파수로 할당된다. 그리고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fM)가 가장 단거리 통신용 주파수로 할당된다.In this case, the sensor node 10 located at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center node 20 is allocated the lowest frequency band among the frequency bands included in the reverse frequency band. Conversely, the highest frequency band among the frequency bands included in the revers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located closest to the center node 20.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communication range increases as the frequency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comes lower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frequency f1 in the lower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longest communication frequency. And the frequency (fM) of the highest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shortest communication frequency.

이와 같은 과정으로 각각의 센서노드(10)에 수중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지고, 이후 센서노드(10)에서 검출한 수중정보가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중앙노드(20)로의 수중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수중통신이 행해진다.In this way, frequency bands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10, and then the underwater information to the central node 20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node 20 using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underwat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node 10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is performed.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한된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복수의 센서노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igning the same frequency ban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wid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수중 통신은 지상 통신과 비교해서 더 많이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센서노드(10) 내에서 수중 센서를 이용하여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환경적인 영향으로 센서노드(10)의 분실 상황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임의의 센서노드(10)가 수중 정보를 정상적으로 검출하였다고 해도, 상기 검출한 수중 정보를 중앙노드(20)까지 전송되는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 성공률이 항상 100% 만족될 수가 없다. 따라서 수중 통신망의 여건이 허락만 된다면, 센서노드(10)의 수를 가능한 많이 설치하는 것이, 수중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Underwater communications are more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compared to terrestrial communication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etecting underwater information using the underwater sensor in the sensor node 10, the loss of the sensor node 10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can not be avoided. Also, even if an arbitrary sensor node 10 normally detects underwater information, the data transmission success rate can not always be 100% satisfied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detected underwater information to the central node 20. Therefore, if the condition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is allow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underwater information more accurately and diversely by installing as many sensor node 10 as possible.

한편,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와의 사이에는 같은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영역이 존재한다. 즉, 중앙노드(20)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포함되는 영역1에 존재하는 센서노드들에는 분할된 주파수 대역(fM)이 동일하게 할당된다. 그리고 중앙노드(20)를 기준으로 가장 먼 거리에 포함되는 영역(M)에 존재하는 센서노드들에는 분할된 주파수 대역(f1)이 동일하게 할당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re is an area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in which signals can be transmitted in the same frequency band. That is, the divided frequency bands fM are allocated to the sensor nodes existing in the region 1 included in the closest distance based on the central node 20. The divided frequency bands f1 are equally allocated to the sensor nodes located in the farthest distance M with respect to the central node 20. [

상기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 사이의 동일 영역 또는 다른 영역으로의 영역 분할은,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 사이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분할되어진다. 즉, 동일한 주파수 대역(fM)으로 수중 통신이 가능한 센서노드들이 영역1에 포함되어진다. 그리고 동일한 주파수 대역(f1)으로 수중 통신이 가능한 센서노드들이 영역M에 포함되어진다.The division of the area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into the same area or another area is performed within a range in which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is possible. That is, the sensor nodes capable of underwater communication in the same frequency band (fM) are included in the zone 1. In addition, sensor nodes capable of underwater communication in the same frequency band (f1) are included in the area M.

이와 같이 여러개의 센서노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것은, 중앙노드(20)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수중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취득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 수를 늘릴 수 밖에 없다. 이런 경우 중앙노드(20)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 내에 설치되고 있는 센서노드(10)의 수가 분할된 역방향 주파수 대역 수보다 많을 경우가 발생되어진다. 이때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동일 영역에 존재하는 센서노드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해서 수중 통신을 제어한다.The reason why the same frequency band is assigne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i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20. For example, in order to acquire underwater information more accurately and diverse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ensor nodes. In this case, the number of sensor nodes 10 installed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available at the central node 20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reverse frequency bands divid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s existing in the same area to control underwater communication.

한편,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센서노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 경우, 같은 주파수 대역을 할당 받은 같은 영역에 있는 복수개의 센서노드(10)는 중앙노드(2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다중접속 방식(주파수 분할 다중접속방식, 시분할 다중 접속 방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캐리어 센싱 다중접속 방식 등)을 이용하여 중앙노드(2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공지된 다중 접속 방식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When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in the same area allocated the same frequency band are controlled by the central node 20,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 a 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 scheme, and the lik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multiple access scheme will be omitted.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망에서 중앙노드와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따른 적응형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중앙노드에서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설명에 앞서서 본 발명의 중앙노드와 센서 노드 사이의 수중정보 송수신을 위한 대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Next, in order to enable adaptiv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sensor node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sensor nodes in the central node. Prior to this description,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derwater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sensor no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에 적용되어지는 센서노드의 대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ensor node applied to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에 적용되어지는 중앙노드의 대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entral node applied to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5를 참조해 보면, 다수개의 센서노드(10) 들은 수중 정보를 채집하고, 중앙노드(20)로 전송한다. 이때 다수개의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 사이에는 수중 통신망(50) 내에서 매체의 특성상 신호 전송을 가능케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수중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노드(10)에서 중앙노드(20)로 신호 전송시에 자신의 위치 데이터도 같이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센서노드(10)의 위치정보는 센서 노드(10)가 수중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시점에서 센서 노드(10)에 기록되어 저장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센서노드(10)의 위치는 수중 환경의 특성상 고정 설치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위치정보라고 표현했지만, 단지 센서 노드(10) 식별 정보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collects underwa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a central node 20. At this time, underwa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nd the central node 20 using the ultrasonic wave, which enables signal transmission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50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The sensor node 10 transmits its own position data at the time of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sensor node 10 to the central node 20.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node 10 is preferably recorded and stored in the sensor node 10 at a time when the sensor node 10 i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in the water.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sensor node 10 to be fixedly install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refore, although it is described as the above-mentioned position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it as the sensor node 10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중앙노드(20)는 다수개의 센서노드(10) 들로부터 취합한 수중정보를 지상으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노드(20)는 지상 통신망(60)의 관리노드(64)로 취득한 수중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중앙노드(20)는 수중 통신망(50) 내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 들과 수중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상의 관리노드(64)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노드(64)는 중앙노드(20)를 통해서 전송받은 수중정보를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지상통신망(62)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entral node 20 transmits the underwat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o the ground. The central node 20 transmits the underwater information acquired by the management node 64 of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network 60. Accordingly, the central node 20 performs underwater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50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ground management node 64. The management node 64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central node 20 to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network 62 using a wireless signal.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노드(10)는 수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부(30), 각 센서부(30)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를 변조하고, 초음파로 변환한 후 중앙노드(2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36), 상기 중앙노드(20)에서 전송한 초음파신호를 수신해서 복조하는 데이터 수신부(38)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송신부(36)와 데이터 수신부(38)는 송수신부(40)에 포함되고, 상기 센서부(30)와 송수신부(40) 사이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2)가 더 포함되어진다. 그리고 센서노드(10)의 전체적인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 및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상기 센서부(30)로부터 검출한 수중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3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sensor node 10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unit 30 for collecting necessary data in water, a sensor unit 30 for modulat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30, And a data receiving unit 38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ultrasonic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node 20. The data transmitting unit 36 transmits the ultrasonic signals to the node 20, The data transmitting unit 36 and the data receiving unit 38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32 included i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0 and performing control between the sensor unit 30 an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40. And a memory 34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algorithms required for the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sensor node 10 and for stor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30.

상기 복수개의 센서부(30)는 자신의 목적에 맞게 물의 온도, 용존산소량, 지진파를 비롯한 각종 수중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한 데이터를 제어부(32)로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30)는 디지털 센서일 수도 있지만, 아날로그 신호로 센싱한 데이터를 디지털로 변환해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센서부(30)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모든 구성에서 신호처리된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임을 기본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30 sense various kinds of underwater information including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mount, seismic wave, and the like, and output sensed data to the control unit 32 according to their purpose. The sensor unit 30 may be a digital sensor, but 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data sensed by an analog signal into digital data and output it.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30 may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ed data is a digital signal.

상기 송수신부(40)는, 수중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 송신부(36)는, 상기 센서부(30)에서 검출한 수중정보를 변조하고, 초음파신호로 변환한 후 중앙노드(20)로 송신한다. 그리고 데이터 수신부(38)는, 상기 중앙노드(20)에서 송신한 초음파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한 후, 제어부(32)로 출력한다. The transceiver 40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by using ultrasonic waves in water. That is, the data transmitting section 36 modulates the underwat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section 30, converts the underwater information into an ultrasonic signal, and transmits the ultrasonic signal to the central node 20. The data receiving unit 38 receives and demodulates the ultrasoun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node 20, and outputs the ultrasound signals to the control unit 32.

도시되고 있는 센서노드(10)는, 데이터 수신부(38)를 통해서 중앙노드(20)에서 전송한 수중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중앙노드(20)에서 전송한 신호의 수신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수신부(38)는,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있는 주파수로 주파수 설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36)는, 이후 자신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특정 주파수로 설정되어져서 중앙노드(20)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에 실어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부(40)에는 제어부(32)의 제어하에 주파수 설정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포함되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부연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각 센서노드(10)의 주파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인 초기 설정과정에서는 중앙노드(20)로부터의 신호 수신시에는 순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고, 초기 설정 전에 중앙노드(20)로 신호 전송시에는 분할된 역방향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한다.The illustrated sensor node 10 receives the underwat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node 20 via the data receiving unit 38. [ At this time, in order to enable recept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node 20, the data receiver 38 sets the frequency to a frequency included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Further, the data transmitting unit 36 is set to a specific frequency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itself,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node 20 by loading the specific frequency. Therefor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40 inclu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equency is s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2. Such a configuration is made by a known technique, and a further explanation is omitted. I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in which the frequency of each sensor node 10 is not set, the forward frequency band is set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node 20 before the initial setting Is set to the lowest frequency band among the divided reverse frequency band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노드(10)는, 수중 환경에서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해류 등의 영향으로 수중 환경 상 대부분 일정 영역 내에서 이동 되어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센서노드(10)가 이동될 우려가 많기 때문에, 중앙노드(20)와의 거리 측정은 수중 정보 측정이 이루어지는 시간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실시간 제어가 불합리할 경우, 수중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간을 피해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측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리 대비 사용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노드(10)는, 중앙노드(20)와의 수중통신을 위하여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실시간으로 가변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node 10 can be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position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but it can only be moved in a certain region due to the influence of an ocean current. Since the sensor node 10 is likely to move in this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measurement with the central node 20 is performed in real time at the time when the underwater information measurement is performed. However, if the real-time control is unreasonable, it is preferable to repeatedly measure at intervals of a certain time avoiding the time during which underwater communication is performed. Since the frequency of use relative to the distance can be changed, the sensor node 10 needs to variably control the available frequency band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node 20 in real time.

이와 같은 부분에서 상기 센서노드(10)의 송수신부(40)는, 설정 주파수를 가변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센서노드(10)의 현재 위치에 따라서 정보의 송신을 위한 주파수가 가변 제어되어져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중앙노드(20)로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센서노드(10)의 이동 위치는, 중앙노드(20)와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특정 반경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하여, 센서노드(10)의 분실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40 of the sensor node 1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variably control the set frequency. That is, the frequency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s varia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ensor node 10, so tha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central node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sensor node 10 is limited only within a certain radius in which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entral node 20 to prevent the risk of the sensor node 10 being lost.

상기 제어부(32)는, 상기 센서부(30)에서 검출된 각종 수중 정보를 메모리(34)에 저장하는 제어를 수행하거나, 송수신부(40)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수중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rol unit 32 performs control to store various kinds of underwat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30 in the memory 34 or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nderwater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40 do.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 사이의 거리검출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부(32)는 중앙노드(20)에서 거리 검출을 위해 송신한 기준신호를 데이터 수신부(38)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전력의 크기를 검출 가능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신호의 전력세기는, 수신신호의 전력을 직접 검출하거나 또는 전류, 전압 등을 검출하여 간단한 연산과정으로 검출 가능하다. 상기 수신전력 크기 검출구성은 공지되고 있는 파워 검출기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에 의해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류크기는, 수신부에 전류 검출용 저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하게 검출 가능하다. 이러한 검출부분들은 공지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검출된 수신신호의 전력세기를 이용한 거리 추정은 메모리(34)에 기저장되고 있는 전력세기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32 also performs control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node 10 and the central node 20.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32 includes a configuration capable of receiving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node 20 for distance detection by the data receiving unit 38 and detecting the magnitude of the received power.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can be detected by a simple calculation process by directly detecting the power of the received signal or detecting the current, voltage, and the like. The received power magnitude detection configuration is applicable by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a known power detector. The current magnitude can be easily detected by providing a current detecting resistor in the receiving section. Since these detection portions utilize a 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istance estimation using the detected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can estimate the distance using the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34 with respect to the power intensity.

또한 상기 제어부(32)는, 거리 검출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노드(20)에서 신호를 송신한 후 센서노드(10)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된 지연시간을 검출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연시간 검출은, 일 예로 중앙노드(20)에서 신호 송신을 시작하는 시점정보와 신호가 도착한 시점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에 의해서 검출 가능하다. 그리고 도착한 시점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32)에 시간 계수 기능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검출된 지연시간을 이용한 거리 추정은, 상기 메모리(34)에 기저장되고 있는 지연시간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 may detect and use a delay time required until the center node 20 transmits a signal and arrives at the sensor node 10 as another method for distance detection. The delay time detection can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time information for starting the signal transmission at the central node 20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signal arrived, for example. In order to detect the arrival tim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32 preferably includes a time counting function or the like. In the distance estimation using the detected delay tim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istance using the distance value compared with the delay tim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34.

그리고 메모리(34)는 센서노드(10)에서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고 검출한 각종 정보 저장에 이용되어진다. 상기 센서부(30)의 검출정보도 메모리(34)에 저장되어진다. 특히, 상기 메모리(34)에는, 센서노드(10)에서 거리 검출이 직접 이루어질 때, 거리 검출에 이용될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게 된다. 일 예로, 수신전력의 세기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지연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 수신전력의 세기를 이용하여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그리고 추정된 거리정보에 따라서 수중 통신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렇게 메모리(34)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부(32)는 거리 추정, 특정 주파수 대역 요청 등의 과정을 수행한다.The memory 34 is used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at the sensor node 10 uses or needs. The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30 is also stored in the memory 34. [ Particularly, when the distance is directly detected by the sensor node 10, the memory 34 stores various information to be used for the distance detection. For exampl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using th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power, the information for detecting the delay time, and the strength of the received power, A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that can be communicated underwater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Using the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4, the controller 32 performs distance estimation, a specific frequency band request, and the lik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중앙노드(20)는, 상기 센서노드(10)와 초음파로 수중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송수신부(22)와, 상기 관리노드(64)와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송수신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노드(20)는, 상기 제 1,2 송수신부의 제어를 수행하고, 정보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부(28)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송수신부(21)는, 상기 중앙노드(20)의 위치가 수면 위인지 또는 수면 아래인지에 따라서 초음파로 전송 가능토록 구성되거나, 무선 신호 등으로 전송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7, the central node 20 includes a first transceiver 2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derwater signals to and from the sensor node 10, and a second transceiver 22 for transmitting / And a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21 for performing the second transmission / reception. The central node 20 includes a controller 28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transceivers an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storage, and a memory 29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The second transceiver 2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transmit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whether the position of the central node 20 is above the water surface or below the water surface, or to be transmittable with a radio signal or the like.

또한, 상기 중앙노드(20)는,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순방향 주파수 대역과 역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하고, 다시 역방향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주파수 분할기(27)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주파수 분할기(27)는, 센서노드(10)와 수중정보를 송수신할 때 이용되어지므로 제 1 송수신부(22)에 포함되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node 20 includes a frequency divider 27 for dividing the entire usable frequency band into a forward frequency band and a reverse frequency band, and further dividing the reverse frequency band into a small frequency band . The frequency divider 27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transceiver 22 because it is used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derwater information with the sensor node 10.

상기 주파수 분할기(27)는, 도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앙노드(20)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영역수(M개) 만큼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주파수 분할기(27)의 주파수 분할을 제어하고, 이후 임의의 센서노드(10)와의 신호 송수신시에 상기 주파수 분할기(27)의 주파수를 해당 주파수로 분할토록 제어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The frequency divider 27 is configured to be able to divide the entire frequency band available in the central node 20 into frequency bands as small as the number of regions (M),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ntrol unit 28 controls the frequency division of the frequency divider 27, and controls the frequency divider 27 to divide the frequency of the frequency divider 27 into a corresponding frequency when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to / from an arbitrary sensor node 10 So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can be normally performed.

상기 제 1 송수신부(22) 내의 데이터 송신부(26)는 모든 센서노드로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순방향 주파수대역(f0)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송수신부(22) 내의 데이터 수신부(24)는 수중 통신이 행해질 임의의 센서노드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역방향 주파수로 설정되어진다. 단, 각 센서노드(20)에 주파수가 설정되지 않은 초기 설정과정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24)는 분할된 역방향 주파수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어진다. 이것은, 센서노드(10)가 주파수 설정이 이루어지기 전이므로, 모든 거리에 존재하는 센서노드에서 송신한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ata transmitter 26 in the first transceiver 22 is set to a forward frequency band f0 to enable signal transmission to all the sensor nodes. The data receiving unit 24 in the firs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2 is set to all the reverse frequencies existing within a frequency band assigned to an arbitrary sensor node to be underwater. However, in the initial setting process in which no frequency is set in each sensor node 20, the data receiving unit 24 is set to the lowest frequency band among the divided reverse frequencies. This is because the sensor node 1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ensor node existing at all distances before frequency setting is performed.

이를 위해서 제어부(28)의 제어하에 주파수 분할기(27)를 통해서 주파수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주파수로 데이터수신부(24)의 주파수가 설정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상기 주파수분할기의 주파수 분할 동작은 디지털식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신부(24)는, 모든 센서노드와의 신호 송수신과정에서 정상적인 신호 수신이 가능하도록 주파수 가변 제어 구성을 포함한다.For this, a frequency divi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requency divider 2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8, and a series of processes of setting the frequency of the data receiving unit 24 at the divided frequency is controlled. The frequency dividing operation of the frequency divider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digital manner. In addition, the data receiving unit 24 includes a frequency variable control structure to enable normal signal reception dur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ll the sensor nodes.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각 센서노드(10)에 대한 전력관리, 트래픽제어와 유사한 거리에 존재하는 센서노드(10)에 대한 다중접속 제어 및 필요에 의해서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 사이의 거리검출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노드(10)의 제어부(32)에서 거리 검출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도 실시 가능하나, 중앙노드(20)의 제어부(28)에서 거리 검출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도 실시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8 controls the multiple accesses to the sensor nodes 10 existing at a distance similar to the power management and traffic control for each sensor node 10, (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2 of the sensor node 10 may perform the distance detection process, but the control unit 28 of the central node 20 may perform the distance detection process.

따라서 상기 제어부(28)는 센서노드의 주파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설정과정에서, 센서노드(10)에서 거리 검출을 위해 송신한 기준신호를 데이터 수신부(24)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전력의 크기를 검출 가능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신호의 전력세기는, 수신신호의 전력을 직접 검출하거나 또는 전류, 전압 등을 검출하여 간단한 연산과정으로 검출 가능하다. 상기 수신전력 크기 검출구성은 공지되고 있는 파워 검출기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에 의해서 적용 가능하다. 상기 수신전력 크기 검출은, 센서노드에서 수행하고 그 검출정보만을 제공 받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전류크기는, 수신부에 전류 검출용 저항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하게 검출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류크기 검출도 센서노드에서 수행하고 그 검출정보만을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검출부분들은 공지되고 있는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검출된 수신신호의 전력세기를 이용한 거리 추정은 메모리(29)에 기저장되고 있는 전력세기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controller 28 receives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10 for distance detection by the data receiving unit 24 in the initial setup process in which the frequency of the sensor node is not set, As shown in Fig.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can be detected by a simple calculation process by directly detecting the power of the received signal or detecting the current, voltage, and the like. The received power magnitude detection configuration is applicable by various techniques including a known power detecto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eceived power magnitude detection is performed in the sensor node and only the detect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current magnitude can be easily detected by providing a current detecting resistor in the receiving section. Similarly,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urrent magnitude detection is performed by the sensor node and only the detected information is received. Since these detection portions utilize a 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distance estimation using the power intensity of the detected received signal can estimate the distance using the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9 with respect to the power intensity.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거리 검출을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센서노드(10)에서 신호를 송신한 후 중앙노드(20)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된 지연시간을 검출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연시간 검출은, 일 예로 센서노드(10)에서 신호 송신을 시작하는 시점정보와 중앙노드(20)에 신호가 도착한 시점정보를 비교하여 그 차에 의해서 검출 가능하다. 그리고 도착한 시점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28)에 시간 계수 기능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검출된 지연시간을 이용한 거리 추정은, 상기 메모리(29)에 기저장되고 있는 지연시간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 can detect and use the delay time required for the sensor node 10 to arrive at the central node 20 after transmitting the signal. The delay time detection can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time information of starting the signal transmission at the sensor node 10 with the time information of the arrival of the signal at the central node 20, for example. In order to detect the arrival time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28 preferably includes a time counting function or the like. And, in the distance estimation using the detected delay time, the distance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distance value compared with the delay tim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29.

그리고 메모리(29)는 센서노드(10)에서 이용하거나 필요로 하고 검출한 각종 정보 저장에 이용되어진다. 특히, 상기 메모리(29)에는, 중앙노드(20)에서 거리 검출이 이루어질 때, 거리 검출에 이용될 각종 정보들을 저장하게 된다. 일 예로, 센서노드(10)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전력의 세기, 지연시간등을 이용하여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 그리고 추정된 거리정보에 따라서 할당 가능한 수중 통신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렇게 메모리(29)에 저장된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어부(28)는 거리를 추정하고, 임의의 센서노드에 할당할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29)에는 주파수 분할을 위한 제어정보들도 포함하고, 분할된 주파수 대역과 그에 설정된 센서노드 등의 연관되어진 정보들도 저장한다. 그리고 센서노드들로부터 취합한 수중정보도 저장한다.The memory 29 is used for sto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that are used or required by the sensor node 10 and detected. Particularly, when the distance is detected at the central node 20, the memory 29 stores various information to be used for distance detection. For exampl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using the intensity of the received power supplied from the sensor node 10, the delay time, etc., And frequency band information enabling possible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the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9, the controller 28 estimates the distance and selects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be allocated to an arbitrary sensor node. The memory 29 also includes control information for frequency division, and also stores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divided frequency band and a sensor node set therein. And it also stores underwat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sensor nodes.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8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고 있는 도 8은, 중앙노드(20)에서 센서노드(10)에 특정 주파수를 할당할 때 이용되어지는 제 1 제어방법에 따른 동작 과정이다. 8 is an op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 first control method used when a specific frequency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at the central node 20. [

본 발명의 수중 통신망에서는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 간의 거리 정보를 검출해야 한다. 그리고 검출된 거리정보에 따라서 센서노드(10)에 특정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진다. 즉, 검출된 거리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특정 주파수가 할당될 필요성이 있다.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must be detected in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That is, it is necessary to adaptively allocate a specific frequency according to the detected distance information.

먼저 중앙노드(20)의 제어부(28)는,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순방향 주파수 대역과 역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200 단계)First, the control unit 28 of the central node 20 identifies the entire usable frequency band and divides the usable whole frequency band in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and the reverse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3 (Step 200)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영역수(M개) 만큼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205 단계). 상기 200 단계와 205 단계는, 상기 중앙노드의 성능에 따라서 기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앙노드(20)가 수중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때, 가장 멀리까지 전송 가능한 주파수를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시켜서 기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노드(20)가 수중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때, 각각의 사용 주파수가 신호를 전송 가능한 거리(영역)를 미리 구분하고, 기저장한다. 이렇게 구분되어 설정된 거리 및 주파수 값은 중앙노드(20)의 메모리(29)와 센서노드(10)의 메모리(34)에 저장하고, 이후 주파수 설정과정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8 performs control to divide the reverse frequency band into a small frequency band by the number of regions (M number) shown in FIG. 4 (operation 205).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s 200 and 205 are controlled so as to be se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entral node. That is, when the central node 20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 center node 20 stores frequencies that can be transmitted the farthest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When the central node 2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the distance (area) in which each frequency of use transmits a signal is previously classified and stored. The distances and frequency values thus set are preferably stored in the memory 29 of the central node 20 and the memory 34 of the sensor node 10 and then used in the frequency setting process.

그리고 기저장하고 있는 거리 정보 검출에 이용될 기준신호를 메모리(29)로부터 읽어온다.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실어지고, 데이터 송신부(26)를 통해 초음파신호로 변환되어져서 중앙노드(20)의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어진 모든 센서노드(10)로 송신되고, 센서노드(10)의 수신부(38)는 기준신호를 수신한다(210 단계). Then, the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tecting the stored distanc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memory 29. The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ll the sensor nodes 10 that are loaded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and converted into an ultrasonic signal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unit 26 and included in the entire usable frequency band of the central node 20, The receiving unit 38 of the sensor node 10 receives the reference signal (step 210).

상기 210 단계에서 기준신호를 수신한 센서노드(10)들은 수신신호의 전력세기, 신호전송에 이용되어진 시간 지연 등을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중앙노드(20)와의 거리를 추정한다(220 단계). 상기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의 거리 추정은, 수신신호의 전력세기를 이용해서 추정된다.The sensor nodes 10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in step 210 detect the power of the received signal and the time delay used for the signal transmission and estimate the distance to the central node 20 using the detection signal 220 step). The distance estimation between the sensor node 10 and the central node 20 is estimated using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상기 220 단계에서 거리 추정이 이루어진 후, 센서노드(10)는 중앙노드(20)로 추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자신의 주파수 대역으로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한다(230 단계). 상기 230 단계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 요청 과정에서는, 해당하는 센서노드에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기 전이므로, 이 경우에서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어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주파수 대역 요청신호가 송신되어진다. 또한 상기 230 단계에서 추정된 거리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값도 기설정되어 저장되고 있는 메모리(34)의 저장값에 근거하여 선택이 이루어진다.After the distance is estimated in step 220, the sensor node 10 requests to allocate a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estimated by the central node 20 to its frequency band in step 230. In step 230, since a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 the frequency band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frequency band set to the lowest frequency band among the reverse frequency bands. . Also, the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estimated in step 230 is also selected based on the stored value of the memory 34, which is stored in advance.

이후, 중앙노드(20)는, 복수개의 센서노드(10)로부터 요청되어진 주파수 대역 정보를 취합하고, 각각의 센서노드(10)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주파수 정보를 해당하는 센서 노드 측으로 전송한다(240 단계). 따라서 상기 240 단계까지 상기 중앙노드(20)의 데이터 수신부(24) 또한 순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어진다.Thereafter, the central node 20 collects the frequency band information reques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llocates a frequency band suitable for each sensor node 10, and transmits the allocated frequency information to the sensor node 10 (Step 240). Therefore, the data receiving unit 24 of the central node 20 is set 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up to step 240. [

이후부터 상기 센서노드(10)는 중앙노드(20)와의 수중 정보 송수신시에, 중앙노드(20)로부터는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어진 주파수대역(f0)에 실어진 초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중앙노드(20)로는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자신에게 할당되어진 주파수 대역에 수중정보를 실어서 초음파신호로 송신한다. The sensor node 10 receives an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in the frequency band f0 allocated 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from the central node 20 at the time of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underwater with the central node 20, (20) transmits the ultrasound signals by load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in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the user in the reverse frequency band.

이러한 과정으로 중앙노드(20)와 복수개의 센서노드(10) 사이에서는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와의 거리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정한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져서 수중 정보 통신이 수행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정되어진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에 각각의 거리에 따른 적정 주파수가 할당되므로서, 할당 주파수가 불합리함에 따른 사용 불가능한 센서노드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복수개의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 사이의 수중 통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an appropriate frequency band is adaptively allocated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Loses. Therefore, since the appropriate frequency i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distances, unusable sensor nodes are not generated due to the unreasonable allocation frequency. That is,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nd the central node 20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다음,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Next, FIG. 9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고 있는 도 9는, 중앙노드(20)에서 센서노드(10)에 특정 주파수를 할당할 때 이용되어지는 제 2 제어방법에 따른 동작 과정이다. 도시되고 있는 실시예는 중앙노드(20)에서 자신의 판단하에 각 센서노드(10)와의 거리를 추정하고, 추정된 거리에 따라서 각각의 센서노드(10)에 주파수를 할당하기 위한 제어 과정이다.9 shows an op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 second control method used when a specific frequency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at the central node 20. [ The illustrated embodiment is a control process for estimating the distance to each sensor node 10 under its own judgment at the central node 20 and allocating the frequency to each sensor node 10 according to the estimated distance.

먼저 중앙노드(20)의 제어부(28)는,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순방향 주파수 대역과 역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300 단계).First, the control unit 28 of the central node 20 identifies the entire usable frequency band and divides the usable whole frequency band in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and the reverse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 3 (Step 300).

그리고 상기 제어부(28)는,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영역 수(M개) 만큼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305 단계). 상기 300 단계와 305 단계는, 상기 중앙노드(20)의 성능에 따라서 기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앙노드(20)가 수중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때, 가장 멀리까지 전송 가능한 주파수를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시켜서 기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노드(20)가 수중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때, 각각의 사용 주파수가 신호 전송 가능한 거리(영역)를 미리 구분하고, 기저장한다. 이렇게 구분되어 설정된 거리 및 주파수 값은 중앙노드(20)의 메모리(29)와 센서노드(10)의 메모리(34)에 저장하고, 이후 주파수 설정과정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28 performs control to divide the reverse frequency band into a small frequency band by the number of areas (M number) shown in FIG. 4 (step 305).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s 300 and 305 are controlled so as to be se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entral node 20. That is, when the central node 20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 center node 20 stores frequencies that can be transmitted the farthest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When the central node 20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the distance (area) at which each frequency is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is previously classified and stored. The distances and frequency values thus set are preferably stored in the memory 29 of the central node 20 and the memory 34 of the sensor node 10 and then used in the frequency setting process.

그리고 기저장하고 있는 거리 정보 검출에 이용될 기준신호를 메모리로부터 읽어온다.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실어지고, 초음파신호로 변환되어져서 모든 센서노드(10)로부터 중앙노드(20)로 송신동작이 제어된다. 복수개의 센서노드(10)로부터 송신된 기준신호를 데이터수신부(24)를 통해서 수신한 중앙노드(20)는, 각 센서노드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전력세기, 전송시간에 이용되어진 지연시간 등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신호를 위한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는, 해당하는 센서노드에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기 전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노드(10)의 데이터송신부(36) 및 중앙노드(20)의 데이터수신부(24)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어진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310 단계). 한편, 상기 신호 검출 동작을 직접 센서노드(10)에서 수행하고, 그 검출제어정보를 중앙노드(20)에서 입력해서 이후 거리 추정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n, the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tecting the stored distanc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memory. The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converted into an ultrasonic signal, and the transmission operation from all the sensor nodes 10 to the central node 20 is controlled. The central node 20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24 detects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from each sensor node and the delay time used for the transmission time, do. In the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ss for the detection signal, a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 The data transmission unit 36 of the sensor node 10 and the data reception unit 24 of the central node 2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using the frequency band set to the lowest frequency band among the reverse frequency bands (Step 310).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signal detection operation directly at the sensor node 10, input the detection control information at the central node 20, and then use it for distance estimation.

상기 310 단계에서 거리 추정을 위한 신호를 검출한 중앙노드(20)는, 각각의 센서노드의 수신신호의 전력세기, 신호전송에 이용되어진 시간 지연 등을 이용하여 중앙노드와 각각의 센서노드와의 거리를 추정한다(320 단계). 이때의 거리 추정은 메모리(29)에 기저장되고 있는 전력세기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29)에 기저장되고 있는 시간지연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step 310, the central node 20 detects a signal for distance estimation. The central node 2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each sensor node using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of each sensor node, The distance is estimated (step 320). In this case, the distance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9 with respect to the power intensity.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distance using the time delay vs.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9.

이후, 중앙노드(20)는, 추정된 거리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각각의 센서노드(10)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주파수 정보를 해당하는 센서 노드 측으로 전송한다(330 단계,340 단계).Subsequently, the central node 20 adaptively allocates a frequency band suitable for each sensor node 10 according to the estimated distance, and transmits the allocated frequency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sensor node side (steps 330, 340 ).

이후, 센서노드(10)는 중앙노드(20)와의 수중 정보 송수신시에, 중앙노드(20)로부터는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어진 주파수대역(f0)에 실어진 초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중앙노드(20)로는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자신에게 할당되어진 주파수 대역에 수중정보를 실어서 초음파신호로 송신한다. The sensor node 10 receives the ultrasound signals transmitted in the frequency band f0 allocated 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from the central node 20 and transmits the ultrasound signals to the central node 20 20) transmits the ultrasound signals by load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in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itself in the reverse frequency band.

이러한 과정으로 중앙노드(20)와 복수개의 센서노드(10) 사이에서는 중앙노드(20)와 센서노드(10)와의 거리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정한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어져서 수중 정보 통신이 수행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정되어진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와 중앙노드(20)의 수중 통신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way, an appropriate frequency band is adaptively allocated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ccor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sensor node 10, Lose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communication of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and the central node 20 in the water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

다음,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통신 방법의 제어 흐름도이다.10 is a control flowchart of a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고 있는 도 10은, 중앙노드(20)에서 센서노드(10)에 특정 주파수를 할당할 때 이용되어지는 제 3 제어방법에 따른 동작 과정이다. 도시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센서노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이 설정 가능함을 보여주기 위한 과정도이다.10 is an oper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 third control method used when a specific frequency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at the central node 20.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ame frequency band can be set for a plurality of sensor nodes.

중앙노드(20)의 제어부(28)는, 자신이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순방향 주파수 대역과 역방향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한다(400 단계). The control unit 28 of the central node 20 identifies the entire usable frequency band and divides the usable whole frequency band in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and the reverse frequency band as shown in Figure 3 Step 400).

또한, 상기 제어부(28)는, 도 4에 도시되고 있는 영역수(M개) 만큼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제어를 수행한다(405 단계). 상기 400 단계와 405 단계는, 상기 중앙노드의 성능에 따라서 기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앙노드(20)가 수중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때, 가장 멀리까지 전송 가능한 주파수를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시켜서 기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노드(20)가 수중환경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할 때, 각각의 사용 주파수가 신호를 전송 가능한 거리(영역)를 미리 구분하고, 기저장한다. 이렇게 구분되어 설정된 거리 및 주파수 값은 중앙노드(20)의 메모리(29)와 센서노드(10)의 메모리(34)에 저장하고, 이후 주파수 설정과정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so, the control unit 28 performs control to divide the reverse frequency band into a small frequency band by the number of regions (M number) shown in FIG. 4 (Step 405). Preferably, steps 400 and 405 are controlled to be preset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central node. That is, when the central node 20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ignals in the underwater environment, the center node 20 stores frequencies that can be transmitted the farthest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When the central node 20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the distance (area) in which each frequency of use transmits a signal is previously classified and stored. The distances and frequency values thus set are preferably stored in the memory 29 of the central node 20 and the memory 34 of the sensor node 10 and then used in the frequency setting process.

그리고 기저장하고 있는 거리 정보 검출에 이용될 기준신호를 메모리(29)로부터 읽어온다. 상기 기준신호는, 상기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실어지고, 데이터 송신부(26)를 통해 초음파신호로 변환되어져서 중앙노드(20)의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어진 모든 센서노드(10)로 송신된다(410 단계). Then, the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tecting the stored distance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memory 29. The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all the sensor nodes 10 that are loaded in the forward frequency band, converted into ultrasonic signals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unit 26, and included in the entire usable frequency band of the central node 20 Step 410).

상기 410 단계에서 송신된 기준신호를 데이터수신부(38)를 통해서 수신한 센서노드(10)들은 수신신호의 전력세기, 또는/및 신호전송에 이용되어진 시간 지연 등을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중앙노드(20)로 송신한다. 상기 검출신호 송신 과정에서는, 해당하는 센서노드에 주파수 대역이 할당되기 전이므로, 이 경우에서는 상기 역방향 주파수 대역 중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검출신호가 중앙노드(20)로 송신되어진다. The sensor nodes 10 receiving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in step 410 through the data receiving unit 38 detect the power intensity of the received signal and / or the time delay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20). In this case,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node 20 using the lowest frequency band among the reverse frequency bands.

상기 검출신호를 수신한 중앙노드(20)의 제어부(28)는, 각각의 센서노드로부터 입력된 수신신호의 전력세기 또는/및 신호전송에 이용되어진 시간 지연 등을 이용하여 중앙노드와 각각의 센서노드와의 거리를 추정한다(420 단계). 이때의 거리 추정은 메모리(29)에 기저장되고 있는 전력세기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29)에 기저장되고 있는 시간지연 대비 거리값을 이용해서 거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ontrol unit 28 of the central node 2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s detects the power of the received signal input from each sensor node and / or the time delay used for signal transmission, The distance to the node is estimated (step 420). In this case, the distance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9 with respect to the power intensity.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the distance using the time delay vs. distance value stored in the memory 29.

이후, 중앙노드(20)는, 추정된 거리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각각의 센서노드(10)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430 단계). 상기 430 단계에서 센서노드(10)에 주파수 할당시,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동일거리 또는 유사 거리에 있는 센서 노드에 같은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이때 중앙노드(20)는 자신을 기준으로 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센서노드를 동일 영역으로 묶는다. 그리고 동일 영역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Thereafter, the central node 20 adaptively allocates a frequency band suitable for each sensor node 10 according to the estimated distance (step 430). In step 430, when a frequency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 10,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s having the same distance or similar distance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entral node 20 binds sensor nod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e same frequency band on the basis of the sensor node to the same area. And the same frequency band is assigned to the same area.

그리고 상기 430 단계에서 각 영역에 따라서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복수개의 센서노드로 전송한다(440 단계).In operation 430, the frequency band information allocated to each region is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상기 센서노드(10)는 이후 중앙노드(20)와의 수중 정보 송수신시에, 중앙노드(20)로부터는 순방향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어진 주파수대역(f0)에 실어진 초음파신호를 수신하고, 중앙노드(20)로는 역방향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자신에게 할당되어진 주파수 대역에 수중정보를 실어서 초음파신호로 송신한다. The sensor node 10 receives the ultrasound signals transmitted in the frequency band f0 allocated to the forward frequency band from the central node 20 and transmits the ultrasound signals to the center node 20 20) transmits the ultrasound signals by load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in the frequency band allocated to itself in the reverse frequency band.

한편, 상기 동일 영역 내에 존재하는 센서노드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가지고 수중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 경우 중앙노드(20) 내 제어부(28)는, 동일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와의 수중 통신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중 접속 방식에 따른 수중 통신 제어가 이루어진다(450 단계).On the other hand, the sensor nodes existing in the same area have the same frequency band and the underwater signal is transmitt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8 in the central node 20 needs to appropriately control underwater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sensor nodes existing in the same area. In this case, underwater communic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multiple access method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operation 450).

이와 같이 여러개의 센서노드에 동일한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은, 중앙노드(20)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수중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취득하기 위해서는, 센서노드 수를 늘릴 수 밖에 없다. 이런 경우 중앙노드(20)에서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 내에 설치되고 있는 센서노드(10)의 수가 분할된 역방향 주파수 대역 수보다 많을 경우가 발생되어진다. 이때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동일 영역에 존재하는 센서노드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해서 수중 통신을 제어한다.The reason why the same frequency is allocate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i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20. For example, in order to acquire underwater information more accurately and diverse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sensor nodes. In this case, the number of sensor nodes 10 installed in the entire frequency band available at the central node 20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reverse frequency bands divid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sensor nodes existing in the same area to control underwater communication.

도 10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정되어진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10)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중앙노드(20)의 다중 접속 방식의 제어로 복수개의 센서노드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수중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분할된 주파수 대역 수보다 많은 센서노드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수중 통신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same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a plurality of sensor nodes 10 within a limited frequency band, and a plurality of sensor nodes are efficiently And performs underwater communication. Therefore, efficient underwater communication control is enabled for more sensor nodes than the number of divided frequency bands.

다음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복수개의 센서노드들을 이용한 효율적인 수중 통신에서 할당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반송파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반송파신호에 수신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복조 기준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Next, as described above, a carrier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frequency allocated in an efficient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sensor nodes in a limited frequency band, and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loaded to the carrier signal so as to improve reception performance Let's look at the transmission operation.

앞서 과정에서 중앙노드(20)와 임의의 센서노드(10) 사이에서 사용할 주파수(또는 주파수 대역 또는 작은 주파수 대역)가 할당되었다. 이후 중앙노드(20)와 임의의 센서노드(10)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상기에서 할당된 주파수를 이용하게 된다. In the above process, a frequency (or a frequency band or a small frequency band) to be used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arbitrary sensor node 10 is allocated. Then, in transmitting a signal between the central node 20 and the arbitrary sensor node 10, the allocated frequency is used.

한편, 본 발명의 수중통신은 여러개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실어보내는 방식을 이용한다. 일 예로 소정의 시간동안 특정 수의 부반송파가 할당되어져서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o a plurality of carriers. For example, a certain number of subcarriers may be allocated and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본 발명에서도 OFDM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수중 통신을 수행한다. 도 11에서는 OFDM 통신 방식에 이용되는 물리 자원 블록을 도시하고 있다. 즉, OFDM 통신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특정 수의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이를 물리 자원 블록이라고 하며, 시간 차원 및 주파수 차원 모두를 갖는다. 상기 OFDM 통신에서는 특별한 기준신호가 물리 자원 블록에 임베드된다. 상기 기준신호가 OFDM 통신 내의 각 셀에 할당되어 셀 특정 식별자로서 작용한다. 이때 각 셀마다 기준신호가 다르게 할당될 수 있고, 또는 정해진 만큼의 셀이 전송되기까지는 동일 기준신호를 이용하고, 정해진 만큼의 셀이 전송된 이후에는 기준신호를 변화시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송수신단에서 공통적으로 알고 있는 기준신호가 실려있는 심볼을 통해서 채널을 추정하고, 그 추정치를 이용하여 데이터 복원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특별한 기준신호를 복조 기준신호라고 명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an OFDM communication scheme to perform underwater communication. 11 shows a physical resource block used in the OFDM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a certain number of sub-carriers are alloc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OFDM communication, which is called a physical resource block, and has both a time dimension and a frequency dimension. In the OFDM communication, a special reference signal is embedded in the physical resource block. The reference signal is assigned to each cell in the OFDM communication and acts as a cell specific identifier. In this case, the reference signals may be allocated to each cell differently, or the same reference signal may be used until a predetermined number of cells are transmitted, and the reference signal may be used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cells are transmitted. Therefore, a channel is estimated through a symbol carrying a reference signal commonly known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d, and data resto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estimated value. Hereinafter, the specific reference signal is referred to as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이와 같이 OFDM 통신 방식에서는 송수신단에서 공통적으로 알고 있는 복조 기준신호가 실려있는 심볼을 특정의 위치에 삽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중통신에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수중채널이 변화하기 때문에, 기존의 육상에서 이용하던 규격화된 기준신호가 포함된 심볼 삽입(심볼수 삽입)에 의해서는 만족할 만한 채널 추정 및 데이터 복원이 어려웠다. In this way, in the OFDM communication system, a symbol contain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ommonly known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d is inserted at a specific position and used. However,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underwater channel changes due to various factors in underwater communication, satisfactory channel estimation and data restoration by the symbol insertion (symbol insertion) including the standardized reference signal used in the existing land- This wa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중 통신망에서 제한된 주파수를 이용하여, 복조를 위한 기준신호를 전송할 때, 많은 수의 센서노드와 효율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상황에 맞게 복조 기준신호를 다양하게 가변시켜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이후 복조 기준신호를 가변한다는 의미는, 복조 기준신호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복조 기준신호가 삽입되는 위치, 삽입되는 횟수, 삽입되는 종류 등,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를 다양한 방법으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낸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for demodulation using a limited frequency in an underwater communication network,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varied and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field conditions so as to efficiently communicate with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 The meaning of chang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hereafter indicates not to chang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tself but to transmit the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various ways such as the position at which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inserted, .

이것은 수중상황이 시간, 장소, 계절, 온도 등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서 매우 가변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가변적인 현장상황에 따른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만, 수중 채널의 추정과 이를 통한 신호 복조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the underwater situation is highly variabl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ime, place, season, temperature, etc., and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appropriately inserted according to such variable site conditions, This is because demodulation can be done safely.

이와 같이 복조 기준신호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에 있어서, 일 예로 물리 자원 블록 내의 주파수 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간 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간차원과 주파수 차원에서 모두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을 조절하면서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미리 정해진 여러가지 종류의 복조 기준신호가 삽입된 예에서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variably adjusted, for exampl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an be inserted while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the frequency dimension in the physical resource block. As another exampl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an be inserted while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the time dimension. As another exampl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an be inserted while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both the time dimension and the frequency dimension. As another example, one method may be selected and transmitted in the example in which various predetermined type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inserted.

도 12는 주파수 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이 가변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시간(M) 차원의 복조 기준신호가 실리는 심볼은 고정시켜놓고, 주파수(N) 차원의 복조기준신호가 실리는 심볼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1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variable in the frequency dimension. That is, a symbol carry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a time (M) dimension is fixed, and a position of a symbol carry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a frequency (N) dimension is variably controlled.

도 13은 시간 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이 가변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복조 기준신호가 주파수차원(N)은 고정되고, 시간차원(M)에서 그 간격이 가변적으로 제어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1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varied in the time dimension. That i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requency dimension N is fixed and the interval in the time dimension M is variably controlled.

도 14는 시간(M)과 주파수(N) 모두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이 가변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varied in both the time (M) and the frequency (N).

도 15는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한 예를 다양하게 기결정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15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example in which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inserted is determined variously, and one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s selected and used.

한편, 도 12 내지 도 15에서 설명되고 있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삽입된 복조 기준신호의 정보(복조 기준신호가 자원 블록 내에 삽입된 위치정보)에 대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어야만 채널 추정 및 신호 복조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와 같이 시간차원으로 또는 주파수차원으로 또는 시간 차원과 주파수차원 모두에서 가변적으로 복조 기준신호가 삽입되는 경우, 수신측에서는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위치를 초기상태에서 알지 못한다. 따라서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 방식에 따른 정보를 수신측에 인지시킨 다음에 이후 결정된 기준신호 전송방식으로 복조 기준신호를 전송할 필요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both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know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inserted in the resource block) inserted in various ways described in Figs. 12 to 15, . However, whe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variably inserted in the time dimension, the frequency dimension, or both the time dimension and the frequency dimens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ide does not know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the initial stat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the receiving side, and then transmit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using the determin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채널에서 복조 기준신호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22 shows a process flow of controll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an underwater chan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송신측으로 이용될 노드와 수신측으로 이용될 노드가 결정된다. 통상적으로는 중앙노드가 송신측으로 동작할 것이고, 센서노드는 수신측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센서노드에서 중앙노드 측으로 신호 전송을 먼저 요구하는 경우에서는 센서노드가 송신측으로 동작될 수 있고, 중앙노드가 수신측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즉, 중앙노드와 센서노드는 송신과 수신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는 수중통신에서 사용할 작은 주파수 대역이 할당된다(500단계).A node to be used as a transmitter and a node to be used as a receiver are determined between a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Typically, the central node will act as the sender, and the sensor node will likely be used as the receiver. Of course, in the case of requesting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sensor node to the central node first, the sensor node may be operated as a transmitting side, and the central node may be operated as a receiving side. That is, the central node and the sensor node are configured to perform b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small frequency band to be used in underwater communication is allocated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operation 500).

그리고 중앙노드와 센서노드가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복조 기준신호를 전송하는 초기과정에서는,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알고 있는 기결정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복조 기준신호를 전송한다(510 단계). 이 경우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방식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할 필요는 없다. 도 16은 초기 접속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에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신호 송수신과정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이 과정에서는 OFDM 통신방식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특정의 위치에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해서 전송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510 단계는,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서로 사용되는 채널 확인 등,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먼저 시험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될 수 있다.In the initial process in which the central node and the sensor node transmit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known to both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operation 510) .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exchange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with each other. FIG. 16 shows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the initial connection process. In general, in this process,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ethod of inserting and transmitt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t a specific position already used in the OFDM communication system. The step 510 may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first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state is available, such as a channel check used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또한 상기 510 단계에서 기결정된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해 초기 과정을 위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using the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 step 510,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for the initial process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broadcasting channel.

다음은 송신측과 수신측의 신호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이용할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을 결정한다. 즉, 도 12 내지 도 15의 과정에서 설명되어진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되고 있는 전송방식 중에서 이용할 하나의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결정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상대측으로 전송한다(520 단계).Next,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to be used is determined in a state in which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That is, it is a process of selecting one transmission scheme to be used among the transmission schemes described in the various methods described in the procedure of FIG. 12 to FIG. Then, the 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eer (step 520).

도 17은 상기 송신측에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하고, 이를 충분히 인지한 수신측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이후 복조 기준신호가 포함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530 단계).FIG. 17 shows an example of transmitting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o a receiver on the transmission side, and then transmitting data includ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fter confirming the reception side sufficiently ).

일반적으로 송신측에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수신측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중 통신 상황은 매우 유동적이며, 지상보다도 더 불완전하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현재의 수중 통신 상황을 우선적으로 판단한 후에, 신호 전송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generally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o the receiving side. However,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situation is very fluid and more imperfect than the grou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demodulation-based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formation in which the signal transmission is appropriately performed after preferentially determining the current underwater communication situation at the reception side.

도 18은 수신측에서 먼저 송신측으로 기준신호 정보 방식의 정보를 통보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수신측에서 채널 추정 및 신호 복조가 가능한 형태의 복조 기준신호 정보 방식을 선택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송신측으로 제공함으로써, 송신측은 수신측에서 요구하는 방식으로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을 수행한다(530 단계).1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system is notified to the transmitting side first on the receiving side. That i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system of the type capable of channel estimation and signal demodulation at the reception side is selected,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system is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side, whereby the transmission side performs transmiss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a manner required by the reception side 530).

도 18에서와 같이 수신측에서 기준신호 전송 방식 정보를 선택하고, 송신측으로 통보하기 위해서는 수신측에서 기준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부분을 만족하기 위해서 수신측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는 기준신호 전송 방식 정보들을 기저장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As shown in FIG. 18, in order to select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ide and notify the transmission side, the reception side must hav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One way is to store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n a memory (not shown) on the reception side to satisfy such a part.

또는 상기 510 단계에서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한 채널 확인 등의 과정을 수행한 이후,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제공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데이터가 기설정된 기준신호 전송방식을 통해서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에 본 발명의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이 포함되어져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r a channel check using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 step 510 and then provid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from the transmitter to the receiver using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One way.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and data are transmitted through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data and transmitted.

한편, 도 17과 도 18의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는, 물리 계층 또는 MAC 계층에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리 계층을 통해서 전송하는 경우에서는 제어채널 또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는 독립적으로 정의되어 전송되거나 다른 정보들과 합쳐져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 중에 한 형태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shown in FIGS. 17 and 18 is transmitted from the physical layer or the MAC layer. 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rough the physical layer,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rough a control channel or a data channel.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can be independently defined and transmitted or combined with other information. For example, it may be transmitted in one form amo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s.

또한 도 17과 도 18의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주파수 차원에서 가변되는 간격에 대한 인덱스정보를 전송해서, 주파수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을 조절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부반송파의 인덱스 정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심볼에서의 복조 기준신호 간격은 미리 기결정된 값이 된다.I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shown in FIGS. 17 and 18, index information about a variable interval in the frequency dimension is transmitted, and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frequency dimension. In this case,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subcarriers is variably adjusted, and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terval in the symbol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시간 차원에서 가변되는 간격에 대한 인덱스정보를 전송해서, 시간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을 조절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심볼의 인덱스 정보가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부반송파에서의 복조 기준신호 간격은 미리 기결정된 값이 된다.I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based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dex information about a variable interval in the time dimension is transmitted, and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the time dimension is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symbol is variably adjusted, and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terval in the subcarrier is a predetermined value.

또한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시간차원 그리고 주파수차원에서 가변되는 간격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전송해서, 시간차원과 주파수 차원 모두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을 조절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가변적으로 변화하는 부반송파의 인덱스 정보와 심볼의 인덱스 정보가 전송된다.I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dex information about a time dimension and an interval that varies in the frequency dimension is transmitted, and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in both the time dimension and the frequency dimension. In this case, index information of a variable subcarrier and index information of a symbol are transmitted.

만약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도 15에서와 같이 미리 결정된 여러개의 기준신호 삽입 예시에서 하나의 예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경우, 선택된 예시에 따른 시간차원의 인덱스정보 또는 주파수차원의 인덱스 정보 또는 시간차원과 주파수차원의 인덱스 정보 들이 전송된다. 또는 선택된 예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측과 송신측에서 모두 갖고 있는 경우에서는, 선택된 '하나의 예'에 해당하는 번호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I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based signal transmission scheme, when one example is selected and us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insertion examples as shown in FIG. 15,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ime dimension or the frequency dimension index Information or time dimension and frequency dimension index information are transmitted. Or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example is present on both the receiving side and the transmitting side, th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example' may be transmitted.

도 15는 하나의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 각기 다른 갯수, 형태, 위치로 삽입되고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 외에도 추가적으로 다른 실시형태로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하여 구성할 수 있다. FIG. 15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inserted in different numbers, types, and positions, and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y be inserted in another embodiment.

상기의 도 17과 도 18의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 조절되는 자원 블록 내의 주파수 차원 또는 시간 차원의 해당 인덱스 정보가 전송됨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에 대해서 인덱스 정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인덱스 정보가 아닌 다른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전송될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라면, 다른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shown in FIGS. 17 and 18, the corresponding index information of the frequency dimension or the time dimension in the resource block that is variable-controlled 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However,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index information. That is,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other than the index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at is, other information may be used if it is information capable of recogniz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transmitted.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통신에서 기준신호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송신측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통신에서 기준신호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수신측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FIG. 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ransmitting side for explaining a reference signal control apparatus in underwate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상기 송신측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중앙노드가 될 수도 있고, 센서 노드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고 있지만, 수중 기지국일 수도 있다. 즉, 수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송신측으로 이용되어지는 구성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신측의 구성은, 중앙노드 또는 센서 노드일 수 있고 도시하지 않은 수중 기지국일 수도 있다. 즉, 수중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수신측으로 이용되어지는 구성이다.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may be a central node described above, or a sensor node.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an underwater base station. That is, this configuration is used for the transmitting side i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Similarly,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side may be a central node or a sensor node, and may be an underwater base station not shown. That is, the configuration is used for the receiving side i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도 1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복조 기준신호는 복조 기준신호 생성부(610)에서 생성된다. 상기 복조 기준신호 생성부(6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방식에 따라서 복조 기준신호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복조 기준신호가 다중화 채널의 수에 따라서 프리코더(620)에 의해서 프리코딩된다. 그리고 시간 주파수 맵퍼(630)는, 전송을 위한 자원 블록 내의 프리코딩된 복조 기준신호를 맵핑하도록 기능한다. 이렇게 맵핑된 신호는 전송 안테나를 통해서 송신되어진다.As shown in Fig. 19,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generated 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or 610. [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or 610 generates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as described above, and the gene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precoded by the precoder 6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multiplexing channels. And time frequency mapper 630 functions to map the precod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the resource block for transmission. The mapped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transmission antenna.

도 20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신측은 시간 주파수 디맵퍼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 주파수 디맵퍼(710)는 전송된 자원 블록으로부터 복조 기준신호를 디맵핑하고, 이어서 채널 추정부(720)는 유효채널 즉 채널 자체와 데이터 복조부(730)에 의한 데이터의 복조용 프리코더 매트릭스와의 적(product)을 추정한다. As shown in Fig. 20, the receiving side includes a time-frequency demapper. The time-frequency demapper 710 demap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rom the transmitted resource block, and then the channel estimation unit 720 estimates the effective channel, that is, the channel itself and the demodulation precoder 730 for demodulating the data by the data demodulation unit 730, Estimate the product with the matrix.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및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 제어는 획일적이지 않고, 현장상황에 맞도록 가변적으로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수중 통신이 이루어지는 현장상황은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수중통신을 가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적용하여 실험으로 산출된 복조 기준신호 가변 제어값을 메모리하고, 이를 적용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Meanwhil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the variable contro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uniform, but need to be variably controlled to suit the situation of the field. The situation at the site where underwater communication occurs changes very irregular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variable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experiment by applying various factors that can vary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apply it.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중통신의 상태가 육상통신과 비교해서 현저하게 나쁜 것을 감안해볼 때, 상기 가변적으로 조절되는 복조 기준신호는 육상통신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가 포함될 필요성이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ing that the state of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is remarkably worse than that of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variably controll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cludes a relatively larger number as compared with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도 21은 본 발명에서 복조 기준신호를 생성할 때, 필요로 하는 일부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Fig. 21 show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required whe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gen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고 있는 복조 기준신호 생성부는, 수중통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온도, 시간, 계절, 염도, 해수온도, 사용자 입력값 등을 포함한 수중통신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적용되어 그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설정된 복조 기준신호 가변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6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중 통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은, 센서 노드의 검출 기능을 통해서 검출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e illust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or is adapted to apply various parameters (temperature, time, season, salinity, seawater temperature, various parameters affecting underwater communication including user input values) that may affect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a memory 612 for storing a setting value for demodulating reference signal variable control set to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ly. Various elements that may affect the underwater communication can be detected through the detection function of the sensor node.

그리고 상기 메모리(612)로부터 최적의 복조 기준신호 가변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가져와서 그에 해당하는 복조 기준신호를 생성하는 복조 기준신호 생성기(6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612)로부터 최적의 복조 기준신호 가변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구사항들을 인지해서 그로부터 최적의 복조 기준신호 가변 제어를 위한 설정값을 메모리(612)로부터 가져와서,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복조 기준신호가 가변 제어되어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복조 기준신호 생성기(611)는, 현재 수중상황에 맞도록 복조 기준신호를 가변 제어하게 된다.And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or 611 for obtaining a set value for variabl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variable control from the memory 612 and generat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And selects a setting value for the optimum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variable control from the memory 612 or a setting value for the optimum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variable control from the memory 612 from the user's requirements, And a control unit 613 for variably controlling and outputt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From this configuratio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or 611 variably control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meet the current underwater situ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복조 기준신호를 최적으로 가변 제어 가능하도록 생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수중상황에 맞는 조건을 찾아야 한다. 복조 기준신호를 생성하고, 전송함에 있어서, 송신측 또는 수신측에서 자율적으로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제어를 위한 변수로, 앞서 설명한 파라미터 외에도 수중채널 특성, 수신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또는 간섭비), 비트 에러율, 패킷 에러율, 재전송 횟수 들이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generat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with optimum and variable control, it is necessary to find a condition suitable for the current underwater situation. I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autonomously set on the transmitting side or the receiving side. In this case, parameters for variable contro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an be applied to the underwater channel characteristics, signal-to-noise ratio (or interference ratio), bit error rate, packet error rate, and retransmission counts of the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o the parameters described above.

상기 주파수 축에서의 기준신호 간격 조절은, 수중채널의 길이(다중경로 개수)와 밀접하게 관계되고, 시간 축에서의 기준신호 간격은 수중채널이 시간적으로 얼마나 빨리 바뀌는가(도플러 주파수)와 밀접하게 관계된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상기 수중 채널 특성들을 측정하고, 측정한 수중 채널 특성들을 송신측으로 전달해주면, 송신측에서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 설정치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또는 수신측에서 측정한 수중 채널 특성들을 기반으로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 설정치를 선택하여, 해당 정보를 송신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reference signal spacing adjustment on the frequency axis is closely related to the length of the underwater channel (multipath number), and the reference signal spacing on the time axis is closely related to how fast the underwater channel changes over time (Doppler frequency) do. Therefore, if the receiving side measures the underwater channel characteristics and delivers the measured underwater channel characteristics to the transmitting side, the transmitting side can select the variable set value of the demodulating reference signal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Or a variable set value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based on the underwater channel characteristics measured at the reception side, and can transm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side.

즉,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이 선택되고 결정되는 것은 이를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과, 예를 들면 수중채널 길이, 도플러 주파수, RSSI, RSRP, RSRQ, 비트 에러율, 패킷에러율, 재전송 여부(재전송 횟수) 등, 기준신호 전송방식을 결정하는 주체가 송신측인지 또는 수신측인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That is, the demodulation-based signal transmission scheme is selected and determined based on the parameters used for this purpose, such as the underwater channel length, Doppler frequency, RSSI, RSRP, RSRQ, bit error rate, packet error rate, retransmission number ,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subject determining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s the transmission side or the reception side.

일 예로 수중 채널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주파수 측에서의 기준신호 간격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플러 주파수가 증가할 경우 시간축에서의 기준신호 간격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신호의 크기(RSSI, RSRP, RSRQ 등을 통해 측정)가 감소하거나 비트 에러율, 패킷 에러율, 재전송 횟수 등이 증가할 경우, 채널 추정 성능 향상을 위해서 시간축 또는 주파수축 또는 두개의 축 모두 기준신호의 간격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조 기준신호 가변 제어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앞서 언급한 다양한 가변 변수들 값에 대하여 테스트를 통해 얻어진 기설정된 설정값이 적용되어져서 결정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underwater channel becomes long,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to reduce the reference signal interval on the frequency side. If the Doppler frequency increases, control can be performed to reduce the reference signal interval on the time axis. Also, when the size of the received signal (measured through RSSI, RSRP, RSRQ, etc.) decreases, or the bit error rate, packet error rate, retransmission count, etc. increase, the time base or frequency axi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trol to reduce the interval of the time interval. Therefor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variable control can be controlled through a predetermined algorithm. Or may be determined by applying predetermined set values obtained through testing to the various variable variable values mention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과정에서 OFDM 통신 방식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여러개의 반송파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방식을 이용하는 FMT, FBMC, SC-FDMA 방식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Although the OFDM communication method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FMT, FBMC, SC-FDMA method using a method of sending data to a plurality of carriers.

앞서 설명하고 있는 도 11 내지 도 15의 실시예의 과정에서는 한 종류의 복조 기준신호를 가변 삽입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가변 삽입 위치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은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가변 삽입되는 심볼 수가 다를 수 있음을 포함한다. 즉,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위치가 달라지므로 인해서 삽입되는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process of the embodiment of FIGS. 11 to 15 described above, a form of variably inserting one type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has been described. Although only the variable insertion position for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is may include that the number of variable insertion symbols for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y be different. That is, sinc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changed, the insertion number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ed can be changed.

또한 본 발명은 삽입되는 복조 기준신호가 한 종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3 내지 도 2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두가지의 복조 기준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inserted is not limited to one ty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3 to 27, it is also possible to use two kind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도 23은 두가지의 복조 기준신호가 사용되는 기본 예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4는 주파수 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이 가변 제어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즉, 시간(M) 차원의 복조 기준신호가 실리는 심볼은 고정시켜 놓고, 주파수(N) 차원의 복조 기준신호가 실리는 심볼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고 있는 예시에서는 제1복조 기준신호와 제2복조 기준신호에 대하여 시간차원(M1,M2)은 고정하고, 주파수차원(N1,N2)에 대해서 모두 가변 가능함을 설명하고 있다. FIG. 23 shows a basic example in which two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used, and FIG. 2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variably controlled in the frequency dimension. That is, a symbol carry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a time (M) dimension is fixed, and a position of a symbol carry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of a frequency (N) dimension is variably controll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it is explained that the time dimensions M1 and M2 are fixed for the firs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the seco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that the time dimensions M1 and M2 are all variable for the frequency dimensions N1 and N2.

그러나 두가지 복조 기준신호 중에 어느 하나의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만 주파수차원을 가변 가능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일 예로 제 1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주파수 차원만을 가변적으로 제어하고, 제 2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값은 고정할 수 있다. 또는 제 1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값은 고정하고, 제 2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주파수 차원만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dimension to be variable for only on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mong the two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For example, only the frequency dimension for the firs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an be variably controlled and the value for the seco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an be fixed. Alternatively, the value for the firs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y be fixed and only the frequency dimension for the seco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y be variably controlled.

즉, 삽입되는 복조 기준신호의 종류가 복수개일 때, 각각의 종류에 대한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 주파수 차원 값을 가변 제어하거나 또는 적어도 어느 한가지 종류에 대한 복조 기준신호의 주파수 차원 값에 대해서만 가변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to be inserted, the frequency dimension value is variably controlled with respect to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each type or variable control is performed only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dimension value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at least any one type It is possible.

도 25는 두가지 종류의 복조 기준신호가 사용되는 경우에서, 시간 차원에서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이 가변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복조 기준신호가 주파수차원(N1,N2)은 고정되고, 시간차원(M1,M2)에서 그 간격이 가변적으로 제어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2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varied in the time dimension when two type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used. That i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requency dimensions N1 and N2 are fixed and the intervals thereof are variably controlled in the time dimensions M1 and M2.

이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되는 복조 기준신호의 종류가 복수개일 때, 각각의 종류에 대한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 시간 차원이 가변 제어되거나 또는 적어도 한가지 종류에 대한 복조 기준신호의 시간 차원만이 가변 제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In this case as well, when a plurality of type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inserted, the time dimension is variably controlled with respect to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each type, or only the time dimens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for at least one type is variably controlled It will be possible.

도 26은 두가지 종류의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 시간(M1,M2)과 주파수(N1,N2) 모두 복조 기준신호의 간격이 가변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고 있지는 않지만, 제 1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주파수(N1) 차원의 가변 제어와 제 2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시간(M2) 차원의 가변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이고, 또 다른 예로서 제 1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는 시간 차원의 가변 제어를 하고, 제 2 복조 기준신호에 대해서는 주파수 차원이 가변 제어를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즉, 도 26은 주파수와 시간 차원에 대해서 가변 제어가 동시에 가능함을 설명하고 있다.26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ntervals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varied in both the time periods M1 and M2 and the frequencies N1 and N2 for the two type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lthough not shown, variable control of the frequency (N1) dimension to the firs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variable control of the time (M2) dimension to the seco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will be possible, and as another example,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variable control of the time dimension is performed for the signal and variable control of the frequency dimension is performed for the seco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hat is, Fig. 26 illustrates that variable control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respect to frequency and time dimension.

도 27는 복수개의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한 예를 다양하게 기결정하고, 그 중에서 하나의 방법을 선택하여 이용 가능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27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inserted in various ways, and one of them is selected and used.

따라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의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도 27에서와 같이 미리 결정된 여러개의 기준신호 삽입 예시에서 하나의 예를 선택해서 이용하는 경우, 선택된 예시에 따른 시간차원의 인덱스정보 또는 주파수차원의 인덱스 정보 또는 시간차원과 주파수차원의 인덱스 정보 들이 전송된다. Therefore, when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when one example is selected and us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insertion examples as shown in FIG. 27,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time dimension or the frequency dimension index Information or time dimension and frequency dimension index information are transmitted.

또는 선택된 예시에 관련된 정보가 수신측과 송신측에서 모두 갖고 있는 경우에서는, 선택된 '하나의 예'에 해당하는 번호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미리 결정된 여러개의 기준신호 삽입 예시에 관련된 정보를 먼저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 이후에,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모두 확인이 가능한 상태에서, '하나의 예'를 선택하기 위한 '번호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노 복조 기준신호를 삽입하는 실시형태를 구현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Or i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example is present on both the receiving side and the transmitting side, the numb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example' may be transmitted. In this case, after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insertion examples is performed first, the number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example'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embodiment in which various methods an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inserted, and selectively use the embodiments.

나아가서 더 많은 수의 복조 기준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을 제어함에 있어서, 복조 기준신호의 위치,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갯수, 복조 기준신호의 종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복조 기준신호를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설정된 복조 기준신호는, 전송채널을 통해서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져서 데이터의 복조를 수행할 때 이용되어진다.It is also quite possible to use a larger number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he number of inser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nd the type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 controlling inser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t is suggested that it can be used by using. Therefor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set in various forms is used to demodulate the data by preferentially providing related information so that both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can us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channel.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복조 기준신호의 종류를 복수개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복조 기준신호 전송 방식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위치에 대한 심볼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되어지는 복조 기준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구분해서 정보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 정보에는, 복조 기준신호에 대한 삽입 위치정보, 종류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되어진다.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types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are used as described above, in providing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nstead of providing only the symbol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herefore,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insertion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ype information for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따라서,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y way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센서노드 20 : 중앙노드
21,22,40 : 송수신부 23,26,36 : 데이터 송신부
24,25,38 : 데이터 수신부 27 : 주파수 분할기
28,32 : 제어부 29,34 : 메모리
50 : 수중 통신망 62 : 지상 통신망
64 : 관리노드 110 : 복조 기준신호생성부
111 : 복조 기준신호생성기 112 : 메모리
113 : 제어부 120 : 프리코더
130 : 시간 주파수 맵퍼 210 : 시간 주파수 디맵퍼
220 : 채널 추정부 230 : 데이터 복조부
10: sensor node 20: central node
21, 22, 40: transmission / reception units 23, 26, 36:
24, 25, 38: Data receiving unit 27: Frequency divider
28, 32: control unit 29, 34: memory
50: Underwater network 62: Ground network
64: management node 110: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ion unit
111: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generator 112: memory
113: Control section 120:
130: Time frequency mapper 210: Time frequency demapper
220: Channel estimator 230: Data demodulator

Claims (12)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로부터 검출정보를 취합해서 지상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앙노드를 이용한 수중 통신에서,
상기 중앙노드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앙노드와 복수개의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해서 상기 분할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센서노드에 할당해서 수중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각각 할당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
In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central node that collects detec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at detect underwa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restrial network,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is divided into small frequency bands,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using the allocated small frequency bands, channel estimation to be carried on a carri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nd transmission of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ata demodulation Wherein the reference signal control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로부터 검출정보를 취합해서 지상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앙노드를 이용한 수중 통신에서,
상기 중앙노드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앙노드와 복수개의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해서 상기 분할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센서노드에 할당해서 수중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각각 할당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테스트신호를 통해서 얻어진 수중 특성에 대한 값을 이용하여,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전송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
In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central node that collects detec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at detect underwa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restrial network,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is divided into small frequency bands,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
When carrying out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using the respective allocated small frequency bands, channel estimation and data to be transmitted on a carrier using data on the underwater characteristic obtained through a test signal,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erence signal of a submersible communication that variably adjusts transmission of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modulation.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기준신호는, 삽입 횟수, 삽입 간격, 삽입 종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variably adjusts the number of insertions, insertion intervals, and insertion types.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기준신호는, 자원 블록 내의 주파수 차원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variably adjusted in a frequency dimension within a resource block.
제 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기준신호는, 자원 블록 내의 시간 차원에서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variably adjusted in a time dimension within a resource block.
수중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개의 센서노드로부터 검출정보를 취합해서 지상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중앙노드를 이용한 수중 통신에서,
상기 중앙노드가 사용 가능한 전체 주파수 대역을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중앙노드와 복수개의 센서노드 사이의 거리에 기반해서 상기 분할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각각의 센서노드에 할당해서 수중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각각 할당된 작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수행할 때, 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채널 추정과 데이터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In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a central node that collects detec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ensor nodes that detect underwa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restrial network,
The entire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by the central node is divided into small frequency bands, and the divided small frequency bands are allocated to the respective sensor nodes based on the distances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the plurality of sensor nodes, ,
When carrying out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using the respective allocated small frequency bands, it is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insertion interval of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channel estimation and data demodulation, A reference signal control device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행할 때, 송신측으로 동작하는 노드가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수신측 노드로 전송하고, 상기 수신측으로 동작하는 노드는 상기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인지한 후, 송신측과 수신측 노드 사이에서 복조 기준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a node operating as a transmitting side transmit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o a receiving node, and a node operating on the receiving node transmi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And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no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노드와 임의의 센서노드 사이에서 수중통신을 행할 때, 수신측으로 동작하는 노드가 복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를 송신측 노드로 전송하고, 이후 송신측 노드는 수신된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에 기초해서 수신측 노드로 복조 기준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performing underwa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ral node and an arbitrary sensor node, a node operating on the receiving side transmi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o the transmitting node, and then the transmitting node transmits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And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node.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는, 상기 복조 기준신호의 가변 조절되는 자원 블록 내의 주파수 차원 또는 시간 차원의 해당 인덱스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with corresponding index information of a frequency dimension or a time dimension in a resource block that is variablely controlled in th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는, 물리 계층 또는 MAC 계층에서 전송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physical layer or a MAC layer.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신호 전송방식 정보는, 미리 결정된 여러개의 기준신호 삽입 예시에 관련된 정보를 송신측과 수신측이 모두 확인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예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통신의 기준신호제어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formation transmits information for selecting one of the examples in a state in which information related to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insertion examples can be confirmed by both the transmission side and the reception side. Reference signal control device.
수중정보를 검출, 취합하기 위하여 수중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수신신호의 복조에 이용될 복조 기준신호의 삽입 방법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다수의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 중에서 하나의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과 수신측의 초기 접속 과정에서,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와 상기 선택된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기설정된 복조 기준신호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선택된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을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된 복조 기준신호 삽입 방법을 이용하여 수중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중통신에서 기준신호제어방법.
Setting and storing various methods for inserting a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o be used for demodulating a received signal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in order to detect and collect underwater information;
Selecting one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 among the plurality of stor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s;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the selec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on method in an initial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Receiving the information, decoding it using a predetermin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nd recognizing the selec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 on both the transmitting side and the receiving side; And
And transmitting the underwater information using the perceiv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inserting method.
KR1020160156326A 2016-11-23 2016-11-23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88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26A KR102088550B1 (en) 2016-11-23 2016-11-23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26A KR102088550B1 (en) 2016-11-23 2016-11-23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896A true KR20180057896A (en) 2018-05-31
KR102088550B1 KR102088550B1 (en) 2020-04-23

Family

ID=6245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326A KR102088550B1 (en) 2016-11-23 2016-11-23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5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977A (en) * 2018-12-14 2020-06-2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adaptive to underwater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865A (en) * 2006-04-24 2007-10-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generating pilot pattern for adaptive channel estimation,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using the pilot pattern and apparatus thereof
US20130215772A1 (en) * 2010-06-10 2013-08-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configuration and handover procedures for fuzzy cells
KR101637560B1 (en) * 2016-01-13 2016-07-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resource allocating method in the maritime surveillance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865A (en) * 2006-04-24 2007-10-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generating pilot pattern for adaptive channel estimation,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using the pilot pattern and apparatus thereof
US20130215772A1 (en) * 2010-06-10 2013-08-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configuration and handover procedures for fuzzy cells
KR101637560B1 (en) * 2016-01-13 2016-07-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A resource allocating method in the maritime surveillance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ang Yonggang, "Underwater Acoustic Chaennel estimation for Pilot based OFDM", 201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ignal Processing, Communications and Computing (ICSPCC), 14-16 Sept. 2011(2011.0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977A (en) * 2018-12-14 2020-06-2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adaptive to underwater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550B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9308B2 (en) Channel sounding to improve system performance
KR101161913B1 (en) Rate control for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s
US98194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back channel quality information and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6407B1 (en) Softer and soft handoff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476061B (en)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EP32957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pilot allocation
KR100571806B1 (en) Method for reducing feedback channel state information within adaptive OFDMA system and OFDMA system using the same
KR20190109426A (en) Vision Intelligence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KR10164726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chored down-selection in a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luster
KR1005399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b-carrier alocation in ofdm system
JP502033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9290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speed of mobile terminal us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564501B2 (en) Frequency division communication system
EP1987696A2 (en) Method of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012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CN108463956B (e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EP2098093A2 (en)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cei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2268063B1 (en) Underwater communication system adaptive to underwater environment
WO2018063042A1 (en) Method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allocation and signaling
KR100849330B1 (en)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45110B1 (en) Apparatus for repetitive transmission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N109075924B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mobility measurement in radio access network
KR2018005789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signal of underwater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078943B1 (en) Underwater communication method adaptive to underwater environment
CN107005332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the interference in the downlink transmission of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